KR101576853B1 - 선조립된 철근망과 양성보조부재를 이용한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선조립된 철근망과 양성보조부재를 이용한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853B1
KR101576853B1 KR1020150046685A KR20150046685A KR101576853B1 KR 101576853 B1 KR101576853 B1 KR 101576853B1 KR 1020150046685 A KR1020150046685 A KR 1020150046685A KR 20150046685 A KR20150046685 A KR 20150046685A KR 101576853 B1 KR101576853 B1 KR 101576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curing
reinforcing net
reinforcing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이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우 filed Critical 이정우
Priority to KR1020150046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8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이나 보, 벽체, 교량, 잔교(pier, 棧橋) 등에 사용되는 철근망 선조립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둥이나 보, 벽체, 교량, 잔교(pier, 棧橋) 등을 시공하기 위해 설치하고자 하는 철근망의 각 주근과 슬라브의 각 주근을 손쉽고 용이하게 서로 연결 결합함과 아울러 간편하게 시공장소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선조립된 철근망과 양성보조부재를 이용한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며,
중앙부에 철근망의 주근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의 체결홈이 형성됨과 함께 양단부에 철근망의 후프 외주면에 걸어지는 걸이홈이 각각 형성된 고정클립으로 상기 철근망에서 각 주근과 각 후프가 만나는 부분을 결합하여 상기 철근망의 각 주근이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단계;
철근망을 이루는 후프 중 상·하부에 구비되는 후프에 이송 보조부재를 각각 구비하는 단계;
상기 슬라브의 각 주근 단부에 결합된 커플러에 상기 철근망의 주근 단부를 안내하도록 하는 보조커플러를 결합하는 단계;
크레인을 이용하여 철근망을 들어올려 슬라브의 각 주근 측으로 철근망을 이송하는 단계;
상기 철근망의 각 주근 단부를 상기 슬라브의 각 주근에 결합된 보조커플러 내로 각각 삽입하는 단계;
철근망에 양생 보조부재를 씌우는 단계;
철근망의 각 주근은 고정클립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임에 따라 상기 각 주근을 각각 회전시켜 상기 슬라브의 각 주근에 결합된 커플러에 삽입 체결하여 상기 커플러에 의해 철근망의 각 주근과 슬라브의 각 주근을 각각 연결 결합하는 단계;
상기 철근망의 각 주근과 상기 슬라브의 각 주근이 연결 결합된 커플러로부터 보조커플러를 해체하는 단계;
시공장소로 운반된 철근망 외주면에 폼을 설치하는 단계;
폼 설치 후 양생 보조부재에 전원을 연결하는 단계;
전원연결 후 콘크리트를 충진하여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조립된 철근망과 양성보조부재를 이용한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 시공방법{Method for curing concrete in winter}
본 발명은 선조립된 철근망과 양성보조부재를 이용한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둥이나 보, 벽체, 교량, 잔교(pier, 棧橋) 등을 시공하기 위해 설치하고자 하는 철근망의 각 주근과 슬라브의 각 주근을 손쉽고 용이하게 서로 연결한 선조립 철근망과 철근망의 외측에 탄소섬유, 카본, 열선 등으로 직조한 콘크리트양성 보조부재를 씌운 후 간편하게 시공장소로 운반함과 아울러 겨울철에도 온조조절기를 통하여 온도를 조절하여 안정되게 양생할 수 있도록 한 선조립된 철근망과 양성보조부재를 이용한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시멘트, 물, 골재로 이루어진 복합재료로써, 시멘트와 물의 수화반응에 의하여 경화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콘크리트의 물성은 그 양생방법이나 양생조건에 의해 변화하기 때문에 20±3℃의 수중(또는 물의 분무)에 있어서의 양생을 표준으로 하고 표준양생한 재령 28일의 강도를 기본으로 한다.
그리고, 콘크리트의 수화 반응은 장기에 걸쳐 진행하여 소요의 강도를 발현하게 되는데, 수화반응 자체가 온도에 의해 크게 좌우되는 특성상, 외기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수화반응이 늦어지므로 초기 수화반응시에는 적당한 도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체에 타설된 콘크리트는 적절한 양생방법을 통해 수화반응이 실현되지 않으면 콘크리트가 본래의 성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되고, 아울러 콘크리트가 타설된 초기 재령의 단계에서는 서중이나 한중과 같은 가혹한 환경에 노출되거나 진동 및 충격 등의 외력을 받는 경우 그 구조체로서의 성능이 저하되는 위험도 있다.
한편, 위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체의 성능 저하로 인해 한랭기에 시공하는 콘크리트에 대해서는 한중 콘크리트로서 특별 관리하여 보온양생할 필요가 있고, 한랭지역이 아니라 하더라도 외기온도가 급격하게 떨어지는 지역에 대해서는 콘크리트 타설을 조속히 종료하고 블리딩수를 제거함과 동시에 표면을 시트로 덮는 등의 조치를 취하여 콘크리트의 동결을 방지해야 한다.
즉, 기온이 0 ℃이하가 되어 콘크리트가 동결되면, 그 후에 기온이 높아지게 되더라도 강도 발현은 상당히 저해되고, -10℃ 이하가 되면 시멘트 수화반응은 사실상 정지가 된다.
또한, -1℃ 정도가 되면 아직 굳지않은 시멘트 페이스트 중에 다량의 자유수가 빙결되어 용적이 10% 정도 팽창됨으로써, 콘크리트의 조직구조가 파괴되고, 이 후 온도가 상승되어도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갖지 못하게 된다.
또, 경화 중에 콘크리트가 급격한 건조를 받으면, 온도응력에 의해서 균열이 발생될 수 있고, 동결융해가 반복되면 콘크리트의 파괴까지 도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콘크리트가 동해에 견딜 수 있는 강도(5MPa)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0℃를 밑돌지 않도록 하는 양생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한중콘크리트의 적절한 양생계획은 콘크리트의 초기동해 방지와 소정의 재령에 있어서 소요의 강도를 확보하는 것으로, 초기양생과 계속양생으로 구분한다. 이 중, 초기양생은 한중콘크리트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양생으로 콘크리트의 부어넣기 시기에 적절한 양생계획과 양생기간을 정하여 실시하고, 계속양생은 초기양생보다 낮은 온도로 실시하며, 양생방법은 초기양생에 준하게 된다.
이러한 한중콘크리트의 초기양생 및 계속양생은 모두 보온양생방법을 이용하는데, 보온양생은 다시 가열보온양생과 단열보온양생으로 구분한다.
먼저, 단열보온양생은 시멘트 수화반응시 일어나는 발열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표면을 시트, 매트, 단열거푸집 등 단열성이 좋은 재료를 덮어 콘크리트 온도저하를 방지하는 방법으로, 주로 외기온도가 비교적 낮지 않은 경우에 사용한다.
그리고, 가열보온양생은 열원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따뜻하게 하는 방법으로, 외기온도가 상당히 낮아 단열보온양생만으로 불충분한 경우에 사용한다. 가열보온양생에서는 가열기기 등으로 공간을 가열하는 방법, 발열시트 등으로 콘크리트에 열원을 접촉시키는 직접난방방법 및 적외선 히터 등의 복사열에 의해 콘크리트 표면을 따뜻하게 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 중, 갈탄난로나 열풍기와 같은 가열기기에 의한 공간 가열 양생방법은 비교적 용이하게 가열하여 양생 시공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현장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첨부 도면 도 1은 갈탄난로를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개념도로써, 양생하고자 하는 실내 중앙에 갈탄을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갈탄난로나 열풍기를 사용하는 양생 시공방법은 갈탄 연소시 일산화탄소를 포함한 여러 유해가스가 다량 방출되어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유해가스 방출로 인해 내부에서 장시간 작업이 어려워 작업조건과 환경이 매우 열악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유해가스를 현장에서 배출하기 위해 차단막을 설치하고 않지 않아, 바람에 의한 온도저하가 발생되어 콘크리트 양생에 큰 저해요인이 되는 문제도 있었고, 갈탄난로의 경우 바닥에 피우므로 바닥에 매립된 전기/배관 설비가 녹을 수 있는 우려도 있었다.
더욱이, 갈탄 또는 열풍기 연료(등유)교체 투입으로 인한 불규칙적인 가열과 국부적인 가열로 인해 열원거리에 따라 작업 현장 내에서도 부분적, 특히 천장면과 벽면에 4~5℃의 온도차가 발생하여 고른 온도분포를 기대하기 어렵고 이로 인해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갈탄이나 등유는 1일 3~4회의 보충이 필요하므로 심야에는 연료 보충과 온도 관리 등을 위한 추가적인 원이 필요하고, 이로 인해 과도한 인건비의 지출이 소요되며, 또한 배출가스로 인한 작업자가 항상 질식사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와 함께 화재 발생 우려도 있는 것이다.
특히,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최저 양생온도인 5℃를 유지하기 위한 갈탄 연소량이 상당하고, 한 번 사용된 탄은 재사용이 불가능하며, 열풍기의 경우에는 고가의 등유를 원료로 사용함으로써, 갈탄 등의 원자재 및 유가 급등에 따른 공사비의 지출이 늘어나는 폐단이 있었고, 또한 갈탄의 경우 연소 과정에서 다량의 폐기물과 분진이 발생하므로, 폐기물 처리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되어 공사비용을 가중시킴은 물론, 분진 청소 작업이 번거롭고, 쾌적한 작업환경 조성이 근본적으로 불가능한 문제도 있었다.
한편, 도 3과 도 4는 이와 같은 문제점 중 일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 제0151943호로 발명된 "동절기 콘크리트구조체의 시공방법"에 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소정의 두께로 단열층(2)이 형성되는 거푸집(1)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1)의 내부에 배근되는 배근철근(3)에 결속선으로 군데 군데 결속 고정되며 지그재그 모양으로 전열선(5)을 설치하여 그 두 끝선을 전원에 연결시키고, 상기 거푸집(1) 내부에 미경화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구조체(6)를 형성한다.
즉, 전연선(5)에서 발열되는 열을 배근철근(3)을 통해 콘크리트구조체(6)에 전달함으로써, 미경화콘크리트의 양생을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전열선 사용으로 인한 전기감전의 위험이 매우 크고, 전열선 구입에 상당한 비용이 소모되어 실제 사용하기가 어려움은 물론, 실질적으로 현장에서 사용되는 예도 극히 드문 시공 방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2618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5194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둥이나 보, 벽체, 교량, 잔교(pier, 棧橋) 등을 시공하기 위해 설치하고자 하는 철근망의 각 주근과 슬라브의 각 주근을 손쉽고 용이하게 서로 연결한 선조립 철근망과 철근망의 외측에 탄소섬유, 카본, 열선 등으로 직조한 콘크리트양성 보조부재를 씌운 후 간편하게 시공장소로 운반함과 아울러 겨울철에도 온조조절기를 통하여 온도를 조절하여 안정되게 양생할 수 있도록 한 선조립된 철근망과 양성보조부재를 이용한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간편하게 시공장소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선조립된 철근망과 양성보조부재를 이용한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 시공방법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중앙부에 철근망의 주근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의 체결홈이 형성됨과 함께 양단부에 철근망의 후프 외주면에 걸어지는 걸이홈이 각각 형성된 고정클립으로 상기 철근망에서 각 주근과 각 후프가 만나는 부분을 결합하여 상기 철근망의 각 주근이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단계;
철근망을 이루는 후프 중 상·하부에 구비되는 후프에 이송 보조부재를 각각 구비하는 단계;
상기 슬라브의 각 주근 단부에 결합된 커플러에 상기 철근망의 주근 단부를 안내하도록 하는 보조커플러를 결합하는 단계;
크레인을 이용하여 철근망을 들어올려 슬라브의 각 주근 측으로 철근망을 이송하는 단계;
상기 철근망의 각 주근 단부를 상기 슬라브의 각 주근에 결합된 보조커플러 내로 각각 삽입하는 단계;
철근망에 양생 보조부재를 씌우는 단계;
철근망의 각 주근은 고정클립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임에 따라 상기 각 주근을 각각 회전시켜 상기 슬라브의 각 주근에 결합된 커플러에 삽입 체결하여 상기 커플러에 의해 철근망의 각 주근과 슬라브의 각 주근을 각각 연결 결합하는 단계;
상기 철근망의 각 주근과 상기 슬라브의 각 주근이 연결 결합된 커플러로부터 보조커플러를 해체하는 단계;
시공장소로 운반된 철근망 외주면에 폼을 설치하는 단계;
폼 설치 후 양생 보조부재에 전원을 연결하는 단계;
전원연결 후 콘크리트를 충진하여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둥을 시공하기 위해 설치하고자 하는 철근망의 각 주근과 후프를 고정클립으로 결합된 철근망의 각 주근이 회전가능함에 따라 크레인에 의해 들어 올려져 이송되는 철근망의 각 주근을 슬라브의 각 주근에 결합된 커플러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철근망의 각 주근을 회전시켜 커플러에 체결함으로 상기 철근망의 각 주근과 상기 슬라브의 주근을 손쉽고 용이하게 서로 연결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편하게 시공장소로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콘크리트 양생 시공을 위해 사용된 갈탄난로 설치 개념도,
도 2는 기존의 갈탄난로 사용에 따른 시공비용 분석 결과 그래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동절기 콘크리트구조체 양생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철근망을 조립하기 위한 구성을 분리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철근망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철근망에 양생 보조부재를 씌운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 철근망을 크레인으로 들어올린 상태의 도면,
도 8은 본 발명 철근망을 슬라브의 상방에 위치시키는 상태의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조립된 철근망과 양성보조부재를 이용한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 시공방법은, 도 1 ~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물의 기둥이나 보, 벽체, 교량, 잔교(pier, 棧橋) (이하, '기둥'이라고 함.) 등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복수 개의 철근 즉, 주근(410)과 후프(420) 및 늑근(430)을 결합하여 기둥 형상의 철근망(400)을 지상에서 조립하고,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철근망(400)을 시공하고자 하는 장소로 이송하여 상기 철근망(400)의 각 주근(410)과 슬라브(900)의 상면으로 돌출된 각 주근(910)을 손쉽고 용이하게 연결 결합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철근망(400)에 사용되는 철근 즉, 주근(410)과 후프(420) 및 늑근(430)은 외면에 나선형 형태의 돌부가 형성된 나사형 철근 및 외면에 링 형태의 돌부가 복수개 구비된 링형 철근을 비롯한 건축 및 토목 등에 사용되는 모든 철근이 적용가능하며, 후술할 커플러(500)은 상기 철근의 외경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내경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철근망(400)은 도면에서와 사각 기둥 형상은 물론 삼각이나 오각, 육각 등의 다각형 기둥 형상은 물론 원형 또는 타원형 기둥 형상 및, 불규칙한 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철근망(400)을 이루는 후프(420) 중 상·하부에 구비되는 후프(420)에 이송 보조부재(440)를 각각 구비하여 철근망을 시공장소로 이송할 때 상부의 이송 보조부재(440)에는 크레인을 밧줄을 통과시키고, 하부의 이송 보조부재(440)에는 후크를 걸어 철근망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고, 이송 후에는 하부의 이송 보조부재(440)에서 후크를 제거하는 과정만으로 간편하게 이송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철근망(400)의 각 주근(410) 외주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후프(420)와 각 주근(410)이 만나는 부분을 결합하기 위한 고정클립(800)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클립(800)은 상기 고정클립(800)의 중앙부에 주근(4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주근(410)이 회전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체결홈(8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클립(800)의 양단부에는 후프(420) 외주면에 걸어지는 걸이홈(82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클립(800)은 철근망(400)의 형상 즉, 원형 기둥 또는 다각형 기둥 등에 따라 다른 구조의 고정클립을 사용하나 상기 고정클립(800)은 철근망(400)의 각 주근(410)이 회전가능한 구조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철근망(400)의 각 주근(410)과 상기 슬라브(900)의 상면으로 돌출된 각 주근(910)을 서로 연결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브(900)의 각 주근(910) 단부에는 커플러(500) 즉, 주근(4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나사산을 갖는 내경부가 내주면에 형성된 커플러(50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슬라브(900)의 각 주근(910)에 결합된 커플러(500)에는 상기 복수 개의 주근(410) 및 후프(420)와 늑근(430)이 결합된 철근망(400)의 각 주근(410) 단부를 상기 슬라브(900)의 각 주근(910)에 결합된 커플러(500)로 안내하도록 하는 보조커플러(60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의 보조커플러(600)는 상기 철근망(400)의 각 주근(410) 단부의 삽입 위치를 안내함은 물론 상기 삽입된 주근(410)의 외측면 일부를 감싸면서 주근(410)이 탈거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된 본체(6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610)의 양측 외주면에는 결합홈(610a)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610)의 개방된 측에는 본체(610)에 결합된 주근(410)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커버(63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커버(630)의 양측부에는 커버(630)를 슬라이딩 결합 및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각 결합홈(610a)으로 삽입되는 결합돌부(63a)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610)의 하부에는 슬라브(900)의 각 주근(910)에 결합된 커플러(500)가 삽입됨은 물론 상기 커플러(500)가 탈거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된 연장관(6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주근(410)과 후프(420)가 만나는 부분에서 상기 고정클립(800)의 체결홈(810)에 주근(410)을 외주면을 삽입하여 끼움 결합함과 함께 고정클립(800)의 양단부에 형성된 각 걸이홈(820)에 후프(420)의 외주면에 걸어 고정하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각 주근(410)과 후프(420)가 만나는 부분을 고정클립(800)으로 결합한다.
그러므로, 상기 고정클립(800)의 체결홈(810)에 끼움 결합된 각 주근(410)은 회전가능함으로써, 추후 상기 철근망(400)의 각 주근(410)을 슬라브(900)의 각 주근(910)에 결합된 커플러(500)에 결합시킬 때 상기 철근망(400)의 주근(410)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의 각 주근(410,910)의 연결 결합이 손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각 철근(410)과 각 후프(420)가 결합된 기둥 형상인 철근망(400)의 내구성과 내진성 및 압축강도, 인장강도 및 경도 등을 한층 더 보강하기 위한 보강철근인 늑근(430)을 상기 철근망(400)의 외측이나 내측에 복수 개설치하고 나서 상기 고정클립(800)을 이용하여 철근망(400)의 각 주근(410)에 결합 고정한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주근(410)과 후프(420) 및 늑근(430)이 결합된 기둥 형상인 철근망(400)이 제작되면, 후크를 이용하여 철근망(400)을 들어올려 세로방향으로 세운다.
이후 철근망(400)의 외측에 탄소섬유, 카본, 열선 등으로 제조된 양성 보조부재(1000)을 씌운다.
즉, 기둥 형상인 철근망(400)의 상부에서부터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양성 보조부재(1000)를 씌우되, 양성 보조부재(1000)의 상부에 구비된 절곡부(1100)는 철근망(400)의 주군(410)에 결리도록 하여 양성 보조부재(1000)가 철근망(400)의 외부 전체를 감싸도록 씌운다.
이때 양성 보조부재(1000)의 외측으로 이송 보조부재(440)가 노출되도록 하여 크레인을 이용하여 이송할 때 이송 보조부재(440)에 크레인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크레인을 이용하여 이를 시공하고자 하는 장소로 이송한다.
상기 양성 보조부재(1000)는 철근망(400)을 시공하고자 하는 장소로 이송한 씌울 수도 있다. 그 이유는 철근망(400)을 시공하고자 하는 장소로 장시간 이송할 때 양성 보조부재(1000)가 파손될 수도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크레인에 의하여 이송되는 철근망(400)의 각 주근(410) 단부를 슬라브(900)에 돌출 위치한 각 주근(910)의 상방 측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슬라브(900) 측의 각 주근(910) 단부에는 상기 각 주근(410)과 각 주근(910)을 연결 결합하기 위한 커플러(500)가 각각 결합되어 있음은 물론 상기 각 커플러(500)에는 보조커플러(600)가 각각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보조커플러(600)에 의해 철근망(400)의 각 주근(410)은 상기 슬라브(900) 측의 각 주근(910)에 결합된 커플러(500)로 안내되고, 상기 안내되는 각 주근(410)은 커플러(500)에 의해 상기 슬라브(900) 측의 각 주근(910)과 연결 결합된다.
즉, 상기 슬라브(900) 측의 각 주근(910)에 커플러(500)를 결합한 다음, 상기 보조커플러(600)의 연장관(620) 내로 커플러(500)를 삽입하고 나서 상기 연장관(620)의 상부에 형성된 본체(610)와 커버(630)가 결합된 내측으로 상기 철근망(400)의 주근(410) 단부를 삽입함에 따라 상기 철근망(400)의 주근(410) 단부는 슬라브(900)의 각 주근(910)에 결합된 커플러(500) 측으로 안내된다.
상기 보조커플러(600) 내에 철근망(400)의 각 주근(410)이 삽입되면 상기 철근망(400)으로부터 크레인을 분리한다.
그런 다음, 상기 철근망(400)의 주근(410)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주근(410)의 단부는 상기 슬라브(900)의 주근(910)에 결합된 커플러(500) 내로 삽입되어 체결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철근망(400)의 각 주근(410)을 회전시키면서 라브(90)의 각 주근(910)에 결합된 커플러(500) 내로 삽입 체결하므로 상기 슬라브(900)의 상부에 시공하고자 하는 기둥의 철근 구조물인 철근망(400)이 설치된다.
다시 말해, 상기 철근망(400)의 각 주근(410)은 고정클립(80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각주근(410)은 고정클립(800)의 체결홈(810) 내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각 주근(410)의 단부가 상기 슬라브(900)의 각 주근(910)에 결합된 커플러(500) 내로 삽입되면서 체결됨에 따라 상기 커플러(500)에 의하여 철근망(400)의 각 주근(410)과 상기 슬라브(900)의 각 주근(910)은 서로 연결 결합되므로 상기 슬라브(900)의 상면에 철근망(400)의 설치된다.
상기 슬라브(900)의 각 주근(910)과 상기 철근망(400)의 각 주근(410)이 상기 커플러(500)에 의해 연결 결합되어 철근망(40)의 설치되면, 철근망(400)의 각 주근(410)과 상기 슬라브(900)의 각 주근(910)에 결합된 커플러(500)로부터 보조커플러(600)을 분리한다.
즉, 상기 보조커플러(600)의 본체(610)로부터 커버(630)를 상방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분리하고 나서 상기 본체(610)의 개방된 면과 연장관(620)의 개방된 면을 통해 상기 철근망(400)의 각 주근(410)과 상기 슬라브(900)의 각주근(910)에 결합된 커플러(500)를 이탈시켜 보조커플러(600)를 분리한다.
그러므로, 상기 기둥을 시공하기 위한 위치인 슬라브(900)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주근(410)과 후프(420) 및 늑근(430)이 결합된 기둥 형상의 철근망(400) 설치가 완료된다.
이후 철근망(400)의 외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폼(1100)을 설치한다.
폼의 설치가 끝나면 양생 보조부재에 전원을 연결하여 양생 보조부재에서 열이 발생하도록 한다.
이때 양생 보조부재(1000)의 일측에 온도조절기(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계절 및 시공장소의 조건에 따라 온도를 조절하여 안정되게 양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에 철근망의 외측에 콘크리트를 충진하여 양생한다.
400: 철근망
401,910: 주근 420: 후프
430 : 늑근 440 : 이송 보조부재
500: 커플러
600: 보조커플러 610: 본체
610a: 결합홈 620: 연장관
630: 커버 630a: 결합돌부
700: 받침지지대 710: 받침봉
800: 고정클립 810: 체결홈
820: 걸이홈 900: 슬라브
1000 : 양생 보조부재 1100 : 폼

Claims (3)

  1. 중앙부에 철근망의 주근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의 체결홈이 형성됨과 함께 양단부에 철근망의 후프 외주면에 걸어지는 걸이홈이 각각 형성된 고정클립으로 상기 철근망에서 각 주근과 각 후프가 만나는 부분을 결합하여 상기 철근망의 각 주근이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단계;
    철근망을 이루는 후프 중 상·하부에 구비되는 후프에 이송 보조부재를 각각 구비하는 단계;
    상기 슬라브의 각 주근 단부에 결합된 커플러에 상기 철근망의 주근 단부를 안내하도록 하는 보조커플러를 결합하는 단계;
    크레인을 이용하여 철근망을 들어올려 슬라브의 각 주근 측으로 철근망을 이송하는 단계;
    상기 철근망의 각 주근 단부를 상기 슬라브의 각 주근에 결합된 보조커플러 내로 각각 삽입하는 단계;
    철근망에 양생 보조부재를 씌우는 단계;
    철근망의 각 주근은 고정클립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임에 따라 상기 각 주근을 각각 회전시켜 상기 슬라브의 각 주근에 결합된 커플러에 삽입 체결하여 상기 커플러에 의해 철근망의 각 주근과 슬라브의 각 주근을 각각 연결 결합하는 단계;
    상기 철근망의 각 주근과 상기 슬라브의 각 주근이 연결 결합된 커플러로부터 보조커플러를 해체하는 단계;
    시공장소로 운반된 철근망 외주면에 폼을 설치하는 단계;
    폼 설치 후 양생 보조부재에 전원을 연결하는 단계;
    전원연결 후 콘크리트를 충진하여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된 철근망과 양성 보조부재를 이용한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철근망(400)을 이루는 후프(420) 중 상·하부에 구비되는 후프(420)에 이송 보조부재(440)를 각각 구비하여 철근망을 시공장소로 이송할 때 상부의 이송 보조부재(440)에는 크레인을 밧줄을 통과시키고, 하부의 이송 보조부재(440)에는 후크를 걸어 철근망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고, 이송 후에는 하부의 이송 보조부재(440)에서 후크를 제거하는 과정만으로 간편하게 이송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된 철근망과 양성 보조부재를 이용한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 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양생 보조부재는 탄소섬유, 카본, 열선 등으로 직조하여 제조한 것으로, 양생 보조부재에 전원을 연결하여 열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도조절기로 온도를 조절하여 계절 및 설치장소의 조건에 따른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와 관계없이 양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된 철근망과 양성 보조부재를 이용한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 시공방법.
KR1020150046685A 2015-04-02 2015-04-02 선조립된 철근망과 양성보조부재를 이용한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 시공방법 KR101576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685A KR101576853B1 (ko) 2015-04-02 2015-04-02 선조립된 철근망과 양성보조부재를 이용한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685A KR101576853B1 (ko) 2015-04-02 2015-04-02 선조립된 철근망과 양성보조부재를 이용한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6853B1 true KR101576853B1 (ko) 2015-12-11

Family

ID=55020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685A KR101576853B1 (ko) 2015-04-02 2015-04-02 선조립된 철근망과 양성보조부재를 이용한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68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976B1 (ko) 2018-02-12 2019-02-12 우진에코텍 주식회사 이중복합 용접철근을 이용한 콘크리트 기둥의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114B1 (ko) 2014-05-19 2014-11-06 주식회사 정우비엔씨 철근망의 선조립 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114B1 (ko) 2014-05-19 2014-11-06 주식회사 정우비엔씨 철근망의 선조립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976B1 (ko) 2018-02-12 2019-02-12 우진에코텍 주식회사 이중복합 용접철근을 이용한 콘크리트 기둥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43626B (zh) 一种曲线超高型桥墩墩身温度应力裂缝的控制方法
CN204475591U (zh) 一种免拆模夹芯泡沫混凝土墙体
KR101821630B1 (ko) 전단보강 하프 피씨 슬래브 구조체 및 시공방법
CN213418183U (zh) 一种保温隔声叠合装配式楼板
CN106013483A (zh) 一种模板式a级防火保温板及制造和施工工艺
JP2011032843A (ja) Pcグラウト材の寒中養生施工システム及び施工方法
KR102040135B1 (ko) 콘크리트 양생용 발열시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조기 시공방법
WO2018099199A1 (zh) 一种装配式自保温墙体反打制备工艺
CN105297956A (zh) 一种现浇复合保温混凝土剪力墙及其制造方法
CN110005104A (zh) 一种装配式的保温装饰一体化叠合楼板及其施工方法
JP6960082B2 (ja) コンクリート吹付けによる躯体構築方法
KR101576853B1 (ko) 선조립된 철근망과 양성보조부재를 이용한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 시공방법
CN107338966A (zh) 大体积超长混凝土冬期无缝施工养护结构及施工养护方法
KR100284894B1 (ko) 경량단열패널을 이용한 온돌바닥구조
RU174708U1 (ru) Трехслойная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CN105714943A (zh) 外墙保温加筋复合板、保温墙体一体化结构及施工方法
CN209854976U (zh) 一种装配式保温砌体墙
JP5091835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CN111502091A (zh) 一种使用寿命长的建筑楼面及其制备方法
CN106351361A (zh) 一种xps夹芯保温现浇混凝土剪力墙系统的制作方法
CN212224353U (zh) 一种使用寿命长的建筑楼面
JP4918176B1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養生方法および養生装置
US20180030718A1 (en) Concrete modular element for use in building applications
CN103993687A (zh) 防护-保温-结构一体化的外墙结构及其制造方法
KR101578205B1 (ko) 콘크리트벽체 내에 단열재가 매립된 건축물의 벽체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