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853B1 - 제품 상태 표시기 - Google Patents

제품 상태 표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853B1
KR102086853B1 KR1020190043696A KR20190043696A KR102086853B1 KR 102086853 B1 KR102086853 B1 KR 102086853B1 KR 1020190043696 A KR1020190043696 A KR 1020190043696A KR 20190043696 A KR20190043696 A KR 20190043696A KR 102086853 B1 KR102086853 B1 KR 102086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display unit
status
storage
addi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영
조백환
조희수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190043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8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91Labels or tickets undergoing a chang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e.g. heat, radiation, passage of tim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1/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 G01K11/12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using changes in colour, translucency or reflect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72Labels for contain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76Safety features, e.g. colour, prominent part, logo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상태 표시기에는, 제 1 물질과 혼합된 제 2 물질이 수용된 상태 표시부, 제품에 따라 미리 설정된 권장 보관 조건에 대응하여 상태 표시부로 제 3 물질의 추가 수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추가 물질 수용부가 포함되고, 추가 물질 수용부는 상태 표시부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권장 보관 조건에 따라 제 1 물질, 제 2 물질 및 제 3 물질 각각의 농도가 미리 결정되어 있으며, 상태 표시부에 수용된 각각의 물질들의 비율, 제품의 보관 시간 및 보관 온도에 따라 제 1 물질과 제 2 물질의 화학적 반응에 따른 색 변화가 상이한 수준으로 발생되고, 발생된 색 변화로써 제품의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Description

제품 상태 표시기{PRODUCT STATE INDICATOR}
본 발명은 의약품 또는 의료제재 보관 시, 오염이나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제품의 자연스러운 손상에 있어서 품질 관리를 보다 간편하고 시각적으로 평가(판단)하기 위해 당과 펩타이드 사이의 갈변(browning) 반응을 이용한 제품의 시간 및 온도 등에 따른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의약품 및 의료제재의 다양화, 다품종화 등으로 인하여, 저장, 유통 및 관리 등에 있어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혈액, 수액 등과 같은 의료제재는 미생물 성장 또는 생물/화학적 분해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쉽게 손상 될 수 있다.
현재 많은 제품의 유통기한은 일반적으로 추정된 수치이기 때문에 오차의 여지가 있다. 또한, 제품은 제품의 보관, 유통 및 소비되는 동안 제품 품질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인 온도 변화를 겪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유통 기한에만 의존하여 의약품 등을 관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다시 말해서, 적절하게 취급되고 보존되지 않은 제품들은 유통 기한 내에서도 부패되고,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수혈을 위한 혈소판은 냉장 보관 시 비활성화(deactivation)되므로, 상온에서 보관하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상온 보관 시 박테리아 등의 성장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수혈이 이루어지기 전 5일 동안만 보관이 가능하고 5일이 지나면 폐기 처분하고 있는 실정이다. 혈소판의 박테리아 오염은 전염과 관련된 질병률과 사망률의 가장 중요한 전염성 원인이며, 품질이 저하된 혈액을 수혈하였을 경우 호흡곤란, 발열, 흉통, 복통, 어지러움, 두드러기, 저혈압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고,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에 감염된 혈액을 수혈할 경우 세균혈증 또는 패혈증까지 진행되어 환자의 목숨을 치명적으로 위협하기 때문에 혈액의 품질 유지는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즉, 의약품 및 의료제재는 보관, 유통 과정에서 품질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오염 및 부패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들이 어떠한 보관, 유통 과정을 거쳤고, 현재의 품질이 양호한지 여부를 즉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장치의 사용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71694호 (등록일자: 1998년10월21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당과 펩타이드 사이의 갈변 반응을 이용한 제품의 시간 및 온도 등에 따른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제품 상태 표시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상태 표시기에는 제 1 물질과 혼합된 제 2 물질이 수용된 상태 표시부, 제품에 따라 미리 설정된 권장 보관 조건에 대응하여 상태 표시부로 제 3 물질의 추가 수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추가 물질 수용부가 포함되고, 추가 물질 수용부는 상태 표시부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권장 보관 조건에 따라 제 1 물질, 제 2 물질 및 제 3 물질 각각의 농도가 미리 결정되어 있으며, 상태 표시부에 수용된 각각의 물질들의 비율, 제품의 보관 시간 및 보관 온도에 따라 제 1 물질과 제 2 물질의 화학적 반응에 따른 색 변화가 상이한 수준으로 발생되고, 발생된 색 변화로써 제품의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물질은 포도당이고, 제 2 물질은 아미노산(ex. 글라이신(glycine) 등)이며, 제 1 물질과 제 2 물질의 화학적 반응에 따라 상태 표시부가 갈색을 띠게 될 수 있다.
상태 표시부는 투명의 재질로 형성된 부분을 갖는 커버로 덮이고, 상태 표시부 내부에는 글자, 숫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기입되어 있으며, 제 1 물질과 제 2 물질의 화학적 반응에 따른 색 변화에 의하여 상태 표시부의 내부가 불투명하게 변해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기에서는 상태 표시부에 인접하여 상태 관련 부가정보표시부가 배치되어 있고, 부가정보표시부에는 제품의 사용 허용 여부 판단을 위한 변색 수준 인덱스가 포함될 수 있다.
추가 물질 수용부에는 제 3 물질이 수용되어 있고, 제 3 물질은 pH 조절을 위한 버퍼 물질이며, 추가 물질 수용부는 상태 표시부와 차단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호 연결되어 있다.
추가 물질 수용부는 탄성의 재질로 형성되고, 사용자로부터 인가된 압력에 따라 탄성 재질의 추가 물질 수용부가 눌림으로써 차단 부재에 파열이 발생하여 제 3 물질이 상태 표시부로 유입되고, 제 1 물질 및 제 2 물질과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추가 물질 수용부의 일 단에는 뾰족한 형상의 파열유도부가 마련되어 있고, 파열유도부는 차단 부재를 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제품의 보관 또는 유통이 개시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인가된 압력에 기초하여 움직인 추가 물질 수용부의 파열유도부가 차단 부재를 파열하고, 파열에 따라 제 3 물질이 상태 표시부로 유입되고, 제 1 물질 및 제 2 물질과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 부재는 복수개의 접착 라인들을 갖고, 복수개의 접착 라인들 각각은 접착 부분이 상호 중복되지 않도록 구분되어 접착되어 있으며, 제품의 보관 또는 유통이 개시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인가된 압력에 따라, 복수개의 접착 라인들이 순차적으로 떨어지면서 제 3 물질이 상태 표시부로 유입되고, 제 1 물질 및 제 2 물질과 혼합될 수 있다.
제품 상태 표시기는 제품의 보관 장소에 세워둘 수 있도록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제품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후면에 점착 물질이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상태 표시기를 이용하면, 기존 대비 간단한 방법으로도 의약품의 저장 상태 등에 대한 안정성을 시각적이고 직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상태 표시기는 종래 대비 비용 효율성이 높게 나타난다. 또한, 명확하고 시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함으로써 제품의 품질 상태를 누구든지 해석할 수 있고, 한눈에 알아보고 이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매우 간단한 결과 해석 방법으로써, 의료 제품 보관/유통 등의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사용, 확인할 수 있도록 조작 등이 간편하다.
기존 소개된 표시기 등과 비교하여 사용될 성분의 독성이 낮기 때문에 부패하기 쉬운 제품의 각 단일 패키지 품목에도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상태 표시기는 제품에 대하여 축적된 시간 및 온도를 기록하여 보여주는 장치로서, 의약품 및 의료 제품이 과도한 온도 변화, 과도하게 상승되거나 낮아진 온도 상태에서의 노출된 정도 등에 따라 제품에 변질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빠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시각화하여 나타내므로, 제품의 사용 직전, 제품의 보관/유통 상태에 따라 최적의 품질로 제품을 소비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제품의 종류 등에 따라 광범위한 유통기한에 맞게 표시기의 동작 조건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빛이나 자외선의 영향을 받지 않고도, 시간 및 온도의 변화 상태를 가시적으로 정확하게 표현해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상태 표시기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상태 표시기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표시부의 갈변 진행 과정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표시부의 다양한 예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표시부와 추가 물질 수용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권장 보관 조건에서의 갈변 진행 과정을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의약품 및 의료제재 등은 보관, 유통 과정에서 품질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오염 및 부패가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의약품 및 의료제재 등이 어떠한 보관, 유통 과정을 거쳤고, 현재의 품질이 양호한지 여부를 수술, 시술 등의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손쉽게 바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저품질의 의약품 및 의료제재의 사용은 질환의 악화, 불필요한 더 큰 질병 유발(ex. 패혈증 등)을 야기하는데도 불구하고 사용 직전의 제품 상태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그 사용에 제약이 있다. 의료제재 품질 확인 방법에는 전통적 세포배양법, pH/glucose 측정법, 핵산증폭법(PCR, 23S rRNA RT-PCR) 등이 있다. BacT/ALERT system과 같은 전통적 세포 배양법은 정확하지만 노동 집약적이고 수 일의 시간이 걸려 그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의료제재의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촌각을 다투는 현장 등에서는 실효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pH/glucose 측정법은 민감도가 낮고, 위양성 확률이 높아 거의 사용되지 않는 현실이다. 핵산증폭법은 핵산을 추출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5~8시간의 긴 소요시간과 숙련된 전문가가 필요하여 상태를 당장 알아야 하는 의료제재에 적용하기에는 역시나 그 한계점이 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상태 표시기는 부패하기 쉬운 제품을 추적하고, 여러 가지 색상 변경을 통해 명확하게 제품의 현재의 품질을 직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점에서 활용성이 높게 평가될 수 있다. 제품의 품질을 관리하기 위한 기존의 방법으로써, 숫자, 글자, 수치 등을 기입하거나 무선 주파수(RFID) 칩 등을 식립하여 활용하는 방안이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일반적으로 비용이 높기 때문에 각 개별 제품 항목 전부에 동시에 적용할 수 없다는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상태 표시기는 포도당과 아미노산(ex. 글라이신 등)의 화학 반응을 이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각 제품 품목 전부에 개별적으로 장착할 수 있으며 의약품 및 의료제재 전체의 제조업체로부터 소비자에 이르기까지의 보관 및 유통과정을 추적 기록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포도당과 글라이신의 비효소적 갈변 반응은 중간생성물질인 데옥시글루코손과 글라이신이 반응하여 갈색을 띠는 멜라노이딘을 형성함으로써 반응이 진행되는데, 이러한 반응은 포도당과 글라이신 이외의 다른 재료는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자연스럽고 간단한 과정을 통하여 제품의 변질 여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비용면에서도 효율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상태 표시기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상태 표시기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상태 표시기(1000)에는 제 1 물질과 혼합된 제 2 물질이 수용된 상태 표시부(1100), 제품에 따라 미리 설정된 권장 보관 조건에 대응하여 상태 표시부(1100)로 제 3 물질의 추가 수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추가 물질 수용부(1200)가 포함되고, 추가 물질 수용부(1200)는 상태 표시부(1100)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권장 보관 조건에 따라 제 1 물질, 제 2 물질 및 제 3 물질 각각의 농도가 미리 결정되어 있으며, 상태 표시부(1100)에 수용된 각각의 물질들의 비율, 제품의 보관 시간 및 보관 온도에 따라 제 1 물질과 제 2 물질의 화학적 반응에 따른 색 변화가 상이한 수준으로 발생되고, 발생된 색 변화로써 제품의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갈변은 Maillard 반응, ascorbic acid에 의한 갈변 등으로 인하여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갈변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는 온도, pH, 당의 종류, 농도 수분, 금속 이온(ex. Fe 등) 유무 등을 꼽을 수 있다. 상이한 물질의 혼합에 따라, 물질들 간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시간에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갈변이 발생될 수 있다. 물론, 전술된 인자에 따라 갈변의 진행 속도, 진행 정도(수준)이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제품 상태 표시기(1000)가 제공될 수 있다. 제품 상태 표시기(1000)에는 제 1 물질과 제 2 물질이 혼합되어 있는 상태 표시부(1100)가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상태 표시부(1100)는 투명의 재질로 형성되고, 예를 들면 도 1에서와 같이, 원형의 개방부를 통하여 상태 변화 여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상태 표시기(1000)에는 추가 물질 수용부(1200)가 마련되어 있고 제품의 특성(ex. 보관 조건 등)에 따라서 추가 물질을 상태 표시부(1100)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추가 물질 수용부(1200)는 상태 표시부(1100)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품과 관련된 보관 이력(ex. 온도, 시간, pH 등)이 별다른 장치의 판독없이도, 또한, 판독자의 숙련도에 무관하게 육안으로 직관적으로 해석(판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품 상태 표시기(1000)에는 상태 관련 부가정보표시부(1100)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제품 상태 표시기(1000)에는 허용라인을 표시하기 위한 태그(1320)가 마련되어 있어서, 제품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보관, 유통 상의 허용 범위를 명확하게 표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허용라인 표시 태그(1320)의 윗 부분에 해당하는 범위(ex. 흰색 ~ 살색) 내에서 상태 표시부(1100)에서의 갈변이 이루어진 경우, 해당 제품은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허용라인 표시 태그(1320)의 아래 부분에 해당하는 범위(ex. 주황색 ~ 짙은 갈색) 내에서의 갈변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해당 제품은 사용할 수 없다. 이처럼, 갈변 정도(수준)에 대하여 비교/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상태 관련 부가정보(ex. 컬러 인덱스)가 상태 표시부(1100)에 바로 인접하여 배치(마련)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숙련도에 무관하게도 제품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허용라인 표시 태그(1320)는 제품의 특성, 보관 조건 등에 따라 부착(표기)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물질은 포도당이고, 제 2 물질은 아미노산 (ex. 글라이신(glycine) 등)이며, 제 1 물질과 제 2 물질의 화학적 반응에 따라 상태 표시부(1100)가 갈색을 띠게 될 수 있다.
제품에 따라 미리 설정된 권장 보관 조건은, 예를 들면, 수혈을 위한 혈소판은 냉장 보관 시 비활성화(deactivation) 되므로, 상온 보관하는 것이 원칙이고, 상온 보관 시 박테리아 성장 가능성으로 인하여 수혈이 이루어지기 전 5일 동안만 보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혈소판은 상온에서 최대 5일 보관이 '권장 보관 조건'으로써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상태 표시기(1000)는 제품의 보관 장소에 세워둘 수 있도록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제품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후면에 점착 물질이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제품 상태 표시기(1000)는 전면부의 커버 부분 및 이러한 커버 부분과 결합(접착)될 수 있는 몸체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 부분에는 상태 표시부(1100)와 추가 물질 수용부(1200)가 차단 부재(1400)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품 상태 표시기(1000)는 제품의 보관 장소(ex. 의약품 저장소 등)에 세워둘 수 있도록 다면체(ex.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품 상태 표시기(1000) 자체가 제품의 표면 등에 직접 부착될 수 있도록 후면에 점착 물질이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제품 상태 표시기(1000)의 사용자는 제품 상태 표시기(1000)를 의약품 등의 저장 공간 전체에, 또는 저장 공간의 각각의 섹션(파트)에 개별적인 제품 상태 표시기(1000)를 각각 배치해두고 일정 기간이 경과(ex. 5일, 1주일, 1달 등)한 후 상태 표시부(1100)의 변색 여부를 확인(체크)함에 따라 제품의 보관 등에 있어서의 현재의 상태를 빠르게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표시부의 갈변 진행 과정을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표시부의 다양한 예시를 나타낸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표시부와 추가 물질 수용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권장 보관 조건에서의 갈변 진행 과정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태 표시부(1100)는 투명의 재질로 형성된 부분(ex. 원형의 투과창 등)(1110)을 갖는 커버로 덮이고, 상태 표시부(1100) 내부에는 글자, 숫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기입되어 있으며, 제 1 물질과 제 2 물질의 화학적 반응에 따른 색 변화에 의하여 상태 표시부(1100)의 내부가 불투명하게 변해갈 수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투명의 재질로 형성된 부분은 원형(도 4의 (a))일 수 있고, X자형(도 4의 (b)) 또는 경고를 시각화한 이미지 컨텐츠(도 4의 (c))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태 표시부(1100) 내부에는 글자로써, “사용 가능” 등과 같은 문구뿐만 아니라, 도 4에 표현된 것과 같이 경고성 이미지 컨텐츠(도 4의 (c))가 표기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물질과 제 2 물질의 화학적 반응에 따른 색 변화(ex. 갈변)에 의하여 상태 표시부(1100)의 내부가 불투명하게 변해갈 수 있다. 상태 표시부(1100)는 제품의 현 시점에서의 사용 가능여부에 대한 판단 요소로 활용될 수 있다. 위급한 환자에 대한 각종 수술 등의 술기의 긴급 진행에 있어서, 제품(ex. 수혈용 혈소판 등)의 사용 가능여부에 대한 판단은 현장에서(ex. 수술 준비실, 수술실) 빠르고 정확하게 해야 한다. 이러한 비상 상황에서는 기존의 시간-온도 지시계 등을 이용하기에는 시간적 소모가 많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상태 표시기(1000)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상태 표시기(1000)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태 표시부(1100)에 인접하여 상태 관련 부가정보표시부(1100)가 배치되어 있고, 부가정보표시부(1100)에는 제품의 사용 허용 여부 판단을 위한 변색 수준 인덱스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변색 수준 인덱스는 변색 가이드(1310)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추가 물질 수용부(1200)에는 제 3 물질이 수용되어 있고, 제 3 물질은 pH 조절을 위한 버퍼 물질이며, 추가 물질 수용부(1200)는 상태 표시부(1100)와 차단 부재(1400)를 사이에 두고 상호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추가 물질 수용부(1200)는 탄성의 재질로 형성되고, 사용자로부터 인가된 압력에 따라 탄성 재질의 추가 물질 수용부(1200)가 눌림으로써 차단 부재(1400)에 파열이 발생하여 제 3 물질이 상태 표시부(1100)로 유입되고, 제 1 물질 및 제 2 물질과 혼합될 수 있다. 차단 부재(membrane)(1400)의 파열에 의하여 추가 물질 수용부(1200)로부터 상태 표시부(1100)로의 물질 이동을 위한 경로(채널)이 뚫리게 되고, 제품 상태 표시기(1000)가 스탠드형인 경우 중력에 의하여 윗쪽의 제 3 물질이 아래 쪽의 상태 표시부(1100)로 자연스럽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차단 부재(1400)의 내부에는 역류(ex. 상태 표시부(1100)로부터 추가 물질 수용부(1200)로의 물질의 이동 등)를 방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ㅅ' 형태의 판막들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에서와 같이, 추가 물질 수용부(1200)의 일 단에는 뾰족한 형상의 파열유도부(1410)가 마련되어 있고, 파열유도부(1410)는 차단 부재(1400)를 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제품의 보관 또는 유통이 개시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인가된 압력에 기초하여 움직인 추가 물질 수용부(1200)의 파열유도부(1410)가 차단 부재(1400)를 파열하고, 파열에 따라 제 3 물질이 상태 표시부(1100)로 유입되고, 제 1 물질 및 제 2 물질과 혼합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파열유도부(1410)는 바늘, 침과 같은 뾰족한 기구가 내포된 관(tube) 형상일 수 있다. 파열유도부(1410)를 통하여 차단 부재(1400)가 파열되면, 관을 통하여 추가 물질 수용부(1200)로부터 상태 표시부(1100)로 제 3 물질이 이동하여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 부재(1400)는 복수개의 접착 라인들(L1, L2, L3)을 갖고, 복수개의 접착 라인들 각각은 접착 부분이 상호 중복되지 않도록 구분되어 접착되어 있으며, 제품의 보관 또는 유통이 개시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인가된 압력에 따라, 복수개의 접착 라인들이 순차적으로 떨어지면서 제 3 물질이 상태 표시부로 유입되고, 제 1 물질 및 제 2 물질과 혼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접착 라인들(L1, L2, L3)의 각 열(column)이 순차적으로 파열되어 개방되면서, 제 3 물질이 상태 표시부(1100)로 유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태 표시부(1100)로의 제 3 물질의 유입량, 유입 속도는 복수개의 접착 라인들(L1, L2, L3)의 각 열(column)의 파열 정도, 상태에 따라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접착 라인들 각각은 접착 부분이 상호 중복되지 않도록 구분되어 접착되어 있음에 따라 전체가 접착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약한 접착력으로도 공간 상의 분리를 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다. 사용자로부터 인가될 압력이 사용자별로 상이할 수 있으므로, 차단 부재(1400)의 파열을 유도하기 위한 정도의 접착력이 요구되며, 나아가 공간(ex. 상태 표시부와 추가 물질 수용부 등) 상의 명확한 분리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이러한 복수개의 접착 라인들 각각은 접착 부분이 상호 중복되지 않도록 구분되어 접착된 형태는 효과적이다.
도 2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품 상태 표시기(1000)는 제품의 보관 장소에 세워둘 수 있도록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제품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후면에 점착 물질이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다양한 조건(상황)하에서 갈변되는 속도(시간) 및 정도(색 농도)가 상이함을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당과 글라이신의 혼합 비율에 따라 갈변 색 농도가 상이할 수 있고, 온도 조건에 따라 시간에 의한 갈변 상태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도 6과 같이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사용 방법과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장치(i.e., 제품 상태 표시기)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방법과 관련하여, 전술한 장치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제품 상태 표시기
1100: 상태 표시부
1110: 투명 윈도우
1200: 추가 물질 수용부
1300: 부가정보표시부
1310: 변색 가이드
1320: 허용라인 태그
1400: 차단 부재
1410: 파열유도부
L1, L2, L3: 접착 라인

Claims (9)

  1. 제품 상태 표시기로서,
    제 1 물질과 혼합된 제 2 물질이 수용된 상태 표시부;
    제품에 따라 미리 설정된 권장 보관 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상태 표시부로 제 3 물질의 추가 수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추가 물질 수용부가 포함되고,
    상기 추가 물질 수용부는 상기 상태 표시부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추가 물질 수용부에는 상기 제 3 물질이 수용되어 있고, 상기 제 3 물질은 pH 조절을 위한 버퍼 물질이며, 상기 추가 물질 수용부는 상기 상태 표시부와 차단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호 연결되며, 상기 추가 물질 수용부의 일 단에는 뽀족한 형상의 파열유도부가 미련되어 있고, 상기 파열유도부는 바늘 또는 침이 내포된 관 형태로 상기 차단 부재를 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품의 보관 또는 유통이 개시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인가된 압력에 기초하여 움직인 상기 추가 물질 수용부의 파열유도부가 상기 차단 부재를 파열하고, 상기 파열에 따라 제 3 물질이 상기 상태 표시부로 유입되고, 제 1 물질 및 제 2 물질과 혼합되고,
    상기 권장 보관 조건에 따라 제 1 물질, 제 2 물질 및 제 3 물질 각각의 농도가 미리 결정되어 있으며,
    상기 상태 표시부에 수용된 각각의 물질들의 비율, 상기 제품의 보관 시간 및 보관 온도에 따라 상기 제 1 물질과 제 2 물질의 화학적 반응에 따른 색 변화가 상이한 수준으로 발생되고, 상기 발생된 색 변화로써 제품의 상태가 표시되는 제품 상태 표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물질은 포도당이고,
    상기 제 2 물질은 아미노산이며, 상기 제 1 물질과 제 2 물질의 화학적 반응에 따라 상기 상태 표시부가 갈색을 띠게 되는 제품 상태 표시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표시부는 투명의 재질로 형성된 부분을 갖는 커버로 덮이고,
    상기 상태 표시부 내부에는 글자, 숫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기입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물질과 제 2 물질의 화학적 반응에 따른 색 변화에 의하여 상기 상태 표시부의 내부가 불투명하게 변해가는 것인 제품 상태 표시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표시부에 인접하여 상태 관련 부가정보표시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부가정보표시부에는 상기 제품의 사용 허용 여부 판단을 위한 변색 수준 인덱스가 포함되는 것인 제품 상태 표시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물질 수용부는 탄성의 재질로 형성되고, 사용자로부터 인가된 압력에 따라 상기 탄성 재질의 추가 물질 수용부가 눌림으로써 상기 차단 부재에 파열이 발생하여 제 3 물질이 상기 상태 표시부로 유입되고, 제 1 물질 및 제 2 물질과 혼합되는 것인 제품 상태 표시기.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는 복수개의 접착 라인들을 갖고, 상기 복수개의 접착 라인들 각각은 접착 부분이 상호 중복되지 않도록 구분되어 접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품의 보관 또는 유통이 개시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인가된 압력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접착 라인들이 순차적으로 떨어지면서 제 3 물질이 상기 상태 표시부로 유입되고, 제 1 물질 및 제 2 물질과 혼합되는 것인 제품 상태 표시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상태 표시기는 제품의 보관 장소에 세워둘 수 있도록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품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후면에 점착 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것인 제품 상태 표시기.

KR1020190043696A 2019-04-15 2019-04-15 제품 상태 표시기 KR102086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696A KR102086853B1 (ko) 2019-04-15 2019-04-15 제품 상태 표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696A KR102086853B1 (ko) 2019-04-15 2019-04-15 제품 상태 표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853B1 true KR102086853B1 (ko) 2020-03-09

Family

ID=69802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696A KR102086853B1 (ko) 2019-04-15 2019-04-15 제품 상태 표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85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272A (ko) * 2001-07-11 2004-05-10 타임스트립 리미티드 시간 표시기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81522A (ko) * 2011-01-11 2012-07-19 문종현 유통기한 표시 스티커
KR20120005637U (ko) * 2011-01-28 2012-08-07 호봉식 폴리프로필렌 소재 부직포를 이용한 윤활유 진단시트
WO2013054952A1 (ja) * 2011-10-13 2013-04-18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温度履歴判定用インジケータおよび温度履歴判定方法
KR20130078290A (ko) * 2011-12-30 2013-07-10 김민수 냉장식품 및 약품용 인디케이터
KR20170096254A (ko) * 2016-02-15 2017-08-2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인디케이터 및 인디케이터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272A (ko) * 2001-07-11 2004-05-10 타임스트립 리미티드 시간 표시기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81522A (ko) * 2011-01-11 2012-07-19 문종현 유통기한 표시 스티커
KR20120005637U (ko) * 2011-01-28 2012-08-07 호봉식 폴리프로필렌 소재 부직포를 이용한 윤활유 진단시트
WO2013054952A1 (ja) * 2011-10-13 2013-04-18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温度履歴判定用インジケータおよび温度履歴判定方法
KR20130078290A (ko) * 2011-12-30 2013-07-10 김민수 냉장식품 및 약품용 인디케이터
KR20170096254A (ko) * 2016-02-15 2017-08-2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인디케이터 및 인디케이터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6984A (en) Sterilization indicator
Giavarina et al. Blood venous sample collection: Recommendations overview and a checklist to improve quality
US3661717A (en) Unitary sterility indicator and method
JP5537930B2 (ja) 血管アクセス器具の病原菌状態の表示
CN104981203B (zh) 无菌体液采集装置和方法
JP5364575B2 (ja) 血管アクセス器具の清浄化状態の表示
JP2628406B2 (ja) 生物学的活性の検出方法
US5595187A (en) Analytical specimen cup system and method
US20100279397A1 (en) Biological specimen collection and storage devices
US20090119024A1 (en) Test System
US20080021392A1 (en) Medical fluid access site with antiseptic indicator
CN101970684A (zh) 多凝血试验筒状体及其使用方法
JPH07500003A (ja) 顆粒球細胞数を計測するための診断キットおよび方法
KR102086853B1 (ko) 제품 상태 표시기
ES2812816T3 (es) Aparato de seguridad y método para rastrear, controlar y vigilar la administración de sustancias médicas
EP1962712B1 (en) Disposable safety "patient kit" for medical devices
EP2480682B1 (en) Paper strip for determining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of antibiotics
CN109844129A (zh) 方法和设备
KR20130067118A (ko) 식품의 신선도를 확인할 수 있는 키트
US11306345B2 (en) Invention relating to a microbiological testing apparatus
US201102004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ckaging dry test strips
GB2339903A (en) Fluid container
Pietersz Quality assurance and quality control in component preparation
EP4196181A1 (en) Moving-front sterilization monitoring devices
Benson et al. L aboratory Notes: A Program to Diminish the Hazards of Blood Transfu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