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780B1 -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780B1
KR102086780B1 KR1020180098098A KR20180098098A KR102086780B1 KR 102086780 B1 KR102086780 B1 KR 102086780B1 KR 1020180098098 A KR1020180098098 A KR 1020180098098A KR 20180098098 A KR20180098098 A KR 20180098098A KR 102086780 B1 KR102086780 B1 KR 102086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
frame
images
image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225A (ko
Inventor
조정환
Original Assignee
네이버웹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웹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웹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8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780B1/ko
Publication of KR20200022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802D [Two Dimensional] animation, e.g. using spri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리소스를 획득하는 리소스 획득부; 상기 컨텐츠 리소스에 기초한 복수개의 기본 이미지로부터 객체를 추출하는 객체 추출부; 및 추출된 상기 객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기본 이미지 각각에 대응하는 컷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컷 프레임에 대응하는 기본 이미지를 상기 컷 프레임 내에 배치하여 컷을 생성하는 컷 생성부; 를 포함하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CARTOON DATA}
본 발명은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텐츠 리소스에 기초한 이미지로부터 객체를 추출하고, 추출된 객체를 고려하여 컷 프레임을 생성하며, 생성된 컷 프레임에 이미지를 배치하여 컷을 생성하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만화는 인물, 동물, 사물 등의 모습을 간결하고 익살스럽게 그리거나 과장하여 나타낸 그림을 말하며, 짤막한 지문을 넣어 유머나 풍자 또는 일정한 줄거리를 담아 읽을거리를 제공한다.
최근에는 온라인 만화가 출시되어 많은 유저들이 만화 열람을 통해 즐거움과 정보를 얻고 있다. 온라인 만화 제공 시스템은 회원들을 중심으로 인증처리 시 승인 결과에 따라 열람 가능하게 제한하고 있으며, 승인된 유저들은 만화를 선택하고 자동 넘김이나 수동 넘김을 선택하여 만화를 보다 쉽게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컨대,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23393호(공개일 2011년 11월 15일)에는 온라인 상의 직거래를 통해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형태의 만화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컨텐츠 리소스로부터 객체를 추출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컷 프레임을 생성하고 컷 프레임에 이미지를 배치할 수 있는 만화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 리소스가 동영상인 경우 음성을 추출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대응하는 컷에 말풍선을 생성할 수 있는 만화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리소스를 획득하는 리소스 획득부; 상기 컨텐츠 리소스에 기초한 복수개의 기본 이미지로부터 객체를 추출하는 객체 추출부; 및 추출된 상기 객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기본 이미지 각각에 대응하는 컷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컷 프레임에 대응하는 기본 이미지를 상기 컷 프레임 내에 배치하여 컷을 생성하는 컷 생성부; 를 포함하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획득부는 상기 컨텐츠 리소스로서 복수개의 이미지 또는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리소스가 동영상인 경우, 상기 동영상의 프레임 이미지들 중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복수개를 추출하여 상기 복수개의 기본 이미지로 결정하는 기본 이미지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본 이미지 결정부는, 상기 동영상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분할한 후 일정 시간 간격 당 하나의 프레임 이미지를 기본 이미지로 추출하거나, 상기 동영상에서 등장인물이 대화를 하는 부분의 프레임 이미지들 중 하나를 기본 이미지로 추출하거나, 상기 동영상에서 장면이 전환되는 부분의 프레임 이미지들 중 하나를 기본 이미지로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리소스가 동영상인 경우, 상기 컷에 대응하는 음성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음성을 변환한 텍스트의 일부 또는 전부가 포함된 말풍선을 생성하여 상기 컷에 삽입하는 대사 삽입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본 이미지 결정부는, 상기 컨텐츠 리소스가 복수개의 이미지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 각각을 상기 복수개의 기본 이미지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컷 생성부는, 상기 기본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객체가 상기 컷 프레임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본 이미지를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컷 생성부는, 상기 기본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객체의 가로세로비에 기초하여 컷 프레임의 가로세로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르면, 컨텐츠 리소스를 획득하는 리소스 획득 단계; 상기 컨텐츠 리소스에 기초한 복수개의 기본 이미지로부터 객체를 추출하는 객체 추출 단계; 및 추출된 상기 객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기본 이미지 각각에 대응하는 컷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컷 프레임에 대응하는 기본 이미지를 상기 컷 프레임 내에 배치하여 컷을 생성하는 컷 생성 단계; 를 포함하는 만화 데이터 생성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획득 단계는 상기 컨텐츠 리소스로서 복수개의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리소스가 동영상인 경우, 상기 동영상의 프레임 이미지들 중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복수개를 추출하여 상기 복수개의 기본 이미지로 결정하는 기본 이미지 결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본 이미지 결정 단계는, 상기 동영상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분할한 후 일정 시간 간격 당 하나의 프레임 이미지를 기본 이미지로 추출하거나, 상기 동영상에서 등장인물이 대화를 하는 부분의 프레임 이미지들 중 하나를 기본 이미지로 추출하거나, 상기 동영상에서 장면이 전환되는 부분의 프레임 이미지들 중 하나를 기본 이미지로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리소스가 동영상인 경우, 상기 컷에 대응하는 음성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음성을 변환한 텍스트의 일부 또는 전부가 포함된 말풍선을 생성하여 상기 컷에 삽입하는 대사 삽입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본 이미지 결정 단계는, 상기 컨텐츠 리소스가 복수개의 이미지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 각각을 상기 복수개의 기본 이미지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 리소스로부터 객체를 추출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컷 프레임을 생성하고 컷 프레임에 이미지를 배치하여, 객체가 컷의 주요 컨텐츠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 리소스가 동영상인 경우 음성을 추출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대응하는 컷에 말풍선을 생성함으로써, 동영상 컨텐츠에 부합하는 컷을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화 데이터 생성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화 데이터 생성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리소스를 획득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 예시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영상으로부터 기본 이미지를 추출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컷을 생성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말풍선이 삽입된 컷이 생성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가 편집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 예시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10, 120, 130, 140), 서버(150) 및 네트워크(16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사용자 단말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 1(110)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60)를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6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6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6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6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서버(150)는 네트워크(160)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 1(110)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1(110)은 서버(150)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1(110)이 포함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일례로 브라우저나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버(150)에 접속하여 서버(15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10)이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60)를 통해 컨텐츠 리소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접근 요청을 서버(150)로 전송하면, 서버(150)는 컨텐츠 리소스를 변환하여 생성된 만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1(110)로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 1(110)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만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150)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설정된 통신 세션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10, 120, 130, 140)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라우팅할 수도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예로서 사용자 단말 1(110), 그리고 하나의 서버에 대한 예로서 서버(15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다른 사용자 단말들(120, 130, 140)들 역시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 1(110)과 서버(150)는 메모리(211, 221), 프로세서(212, 222), 통신 모듈(213, 2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 2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1, 221)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사용자 단말 1(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상술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을 이용하여 메모리(211, 2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 223)을 통해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150))이 네트워크(16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 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221) 또는 통신 모듈(213, 223)에 의해 프로세서(212, 2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222)는 메모리(211, 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3, 223)은 네트워크(160)를 통해 사용자 단말 1(110)과 서버(15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 단말(일례로 사용자 단말 2(120)) 또는 다른 서버(일례로 서버(150))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 1(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60)를 통해 서버(15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160)를 거쳐 사용자 단말 1(11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사용자 단말 1(1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된 서버(150)의 제어 신호나 명령 등은 프로세서(212)나 메모리(211)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사용자 단말 1(110)이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는 입출력 장치(2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 단말 1(110)의 프로세서(212)는 메모리(2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150)나 사용자 단말 2(12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단말 1(110) 및 서버(15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1(110)은 상술한 입출력 장치(2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프로세서(212)는 웹 페이지를 온라인으로부터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2) 내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화 데이터 생성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 요청 수신부(310), 리소스 획득부(320), 기본 이미지 결정부(330), 객체 추출부(340), 컷 생성부(350), 대사 삽입부(360) 및 추가 편집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선택적으로 프로세서(212)에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서(212)의 기능의 표현을 위해 분리 또는 병합될 수도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사용자 단말 1(11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명령(일례로, 사용자 단말 1(110)에서 구동된 웹 브라우저가 제공하는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212)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서(212)의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12) 및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도 4 의 만화 데이터 생성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S1 내지 S7)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단말 1(11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및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1)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화 데이터 생성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 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만화 데이터 생성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성 요청 수신부(310)는 사용자로부터 만화 데이터 생성 요청을 수신한다(S1). 이때, 만화 데이터 생성 요청이란,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 리소스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만화 데이터를 생성할 것을 요청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만화 데이터란, 하나 이상의 컷으로 이루어진 2차원 이미지들의 조합을 뜻하는 데이터이다. 일반적으로 만화 데이터는 인간의 드로잉(drawing)을 기초로 생성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화 생성 장치는 사진이나 동영상을 기초로 자동적으로 만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만화 데이터 생성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사용자 단말(11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화 데이터 생성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5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은 홈 이동, 만들기 및 개인 설정 메뉴를 제공하는 메뉴바(51), 신규 만화 데이터 생성하기 메뉴(52) 및 기존 만화 데이터 목록(53)을 포함할 수 있다. 메뉴바(51)는 본 발명의 만화 생성 어플리케이션의 기본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메뉴바로서, 반드시 도 5 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5 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신규 만화 데이터 생성하기 메뉴(52)를 선택하여 만화 데이터를 생성할 것을 요청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의 만화 데이터 생성 요청을 생성 요청 수신부(310)가 수신할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는 기존 만화 데이터 목록(53)을 선택하여 기존에 생성된 만화 데이터를 불러올 수도 있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신규 만화 데이터 생성하기 메뉴(52)를 선택하여 만화 데이터 생성 요청을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할 수 있다. 만화 데이터 생성 요청이란,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 리소스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만화 데이터를 생성할 것을 요청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기초한 컨텐츠 리소스로부터, 만화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기본 이미지를 결정한 후 기본 이미지에서 객체 및 배경을 추출하여 컷들을 생성함으로써, 도 5 의 53 에 나타난 바와 같은 만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만화 데이터는 컷으로 이루어진 이미지들의 조합인 컨텐츠로서, 스토리 텔링을 위해 컷의 순서에 따라 시간 순서대로 컨텐츠가 배치되고, 등장 인물의 대사는 말풍선을 통해 처리되는 특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리소스로부터 자동적으로 만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하며, 보다 상세히,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 혹은 동영상들을 분석하여 객체 및 배경을 추출하고 추출된 객체 및 배경을 이용하여, 만화 데이터의 형식을 갖출 수 있도록 자동적으로 컷에 이미지를 배치하고 말풍선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만화 데이터 생성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리소스 획득부(320)는 컨텐츠 리소스를 획득할 수 있다(S2). 컨텐츠 리소스란, 만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초가 되는 컨텐츠 데이터로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음성(소리), 텍스트, 특수효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소스 획득부(320)는 컨텐츠 리소스가 이미지인 경우 복수개의 이미지를 컨텐츠 리소스로서 획득하고, 컨텐츠 리소스가 동영상인 경우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컨텐츠 리소스로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리소스 획득부(320)는 복수개의 이미지 혹은 동영상이 컨텐츠 리소스인 경우 이미지 혹은 동영상들의 순서를 획득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리소스를 획득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 예시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도 5 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사용자가 신규 만화 데이터 생성하기 메뉴(52)를 선택하는 경우, 도 6 과 같은 컨텐츠 리소스 선택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도 6 을 참조하면 컨텐츠 리소스 대상으로서 사용자 단말의 갤러리(61)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 목록이 컨텐츠 목록(62)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의 갤러리(61) 말고도, 사용자의 클라우드나 웹 상의 컨텐츠들이 컨텐츠 목록(62)에 표시될 수도 있다. 더불어, 사용자 단말의 갤러리에 저장된 컨텐츠 외에도, 사용자는 촬영 모드 메뉴(63)를 선택하여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컨텐츠 목록(62)에 추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텐츠 목록(62)에서 컨텐츠 리소스로 사용하길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도 6 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는 컨텐츠 목록(62)에서 만화 데이터로 생성하길 원하는 컨텐츠, 즉 컨텐츠 리소스들을 체크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들을 리소스 획득부(320)는 컨텐츠 리소스로서 획득한다. 사용자는 컨텐츠 리소스를 선택한 후, 웹툰 변환 메뉴(64)를 선택하여 컨텐츠 리소스를 만화 데이터로 생성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사용자는 도 6 과 같은 컨텐츠 목록(62)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에서 컨텐츠 리소스를 선택한 후, 해당 컨텐츠 리소스를 웹툰으로 변환하기 위해 웹툰 변환 메뉴(64)를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본 이미지 결정부(330)는 컨텐츠 리소스가 동영상 혹은 이미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 기본 이미지 결정부(330)는 컨텐츠 리소스가 이미지인 경우 컨텐츠 리소스에 포함된 이미지들을 복수개의 기본 이미지로 결정한다(S5). 또한, 기본 이미지 결정부(330)는 동영상의 프레임 이미지들 중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복수개의 프레임 이미지를 추출하여 복수개의 기본 이미지로 결정한다(S4). 즉, 기본 이미지 결정부(330)는 컨텐츠 리소스가 동영상인 경우 동영상의 특정 장면을 추출하여 기본 이미지를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본 이미지는 생성되는 만화 데이터의 개별 컷에 대응하는 이미지이다. 이때, 컨텐츠 리소스가 이미지들로만 구성되는 경우, 기본 이미지들은 컨텐츠 리소스에 속한 이미지들 전체일 수 있다. 이에 반해, 컨텐츠 리소스가 동영상인 경우, 만화 데이터는 동영상이 아닌 이미지에 기초한 컷들로 이루어진 데이터이므로, 동영상으로부터 컷을 생성할 기본 이미지를 추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본 이미지 결정부(330)는 동영상의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주요 장면에 해당하는 프레임 이미지를 결정하여 기본 이미지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기본 이미지 결정부(330)는 머신러닝 혹은 딥러닝 등 인공지능 학습 기술을 사용하여 주요 장면에 해당하는 프레임 이미지를 선택하여, 기본 이미지로 결정할 수 있다.
기본 이미지 결정부(330)가 기본 이미지를 결정하는 기설정된 기준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본 이미지 결정부(330)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 동안의 복수개의 프레임 이미지 중 하나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기본 이미지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이미지 결정부(330)는 동영상을 1초(혹은 24프레임) 단위로 분할한 후, 첫번째 프레임 이미지들을 기본 이미지로 결정할 수 있다. 즉, 30초의 동영상에서는 30개의 기본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혹은, 기본 이미지 결정부(330)가 기본 이미지를 결정하는 기설정된 기준과 관련하여, 기본 이미지 결정부(330)는 동영상에서 이미지 및 사운드 분석을 통해 동영상에 등장한 인물이 대사를 하는 경우 주요 장면으로 파악하여 대사를 하는 장면들 중 하나의 장면을 기본 이미지로 추출할 수 있다. 단순히 배경이 등장하는 장면 보다 등장인물이 대사를 하는 장면이 스토리 이해에 중요한 주요 장면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한편, 기본 이미지 결정부(330)는 하나의 등장 인물이 대사를 하는 장면이 소정 이상 길어지는 경우, 2 이상의 프레임 이미지을 기본 이미지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등장 인물이 20 프레임 이상 대사를 하는 경우, 해당 20 개의 프레임 이미지 중 2 개의 프레임 이미지를 기본 이미지로 추출할 수 있다.
혹은, 기본 이미지 결정부(330)는 동영상에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장면의 전환이 일어나는 경우(예를 들어, 배경이 전환되거나 인물이 빠르게 움직이는 등의 내용 또는 장면의 전환이 급격히 일어나는 경우), 해당하는 장면들 중 하나의 장면을 기본 이미지로 추출할 수 있다. 이는, 장면이 전환되는 경우 해당 장면이 스토리 이해를 위해 만화 데이터에 삽입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때, 기본 이미지 결정부(330)는 인물이 대사를 하는 장면이나 장면 전환이 일어나는 장면을 추출하기 위해 후술하는 객체 추출부(340)가 수행하는 객체 추출을 이용할 수 있다. 더불어, 기본 이미지 결정부(330)는 상술한 기본 이미지를 결정하는 기설정된 기준을 하나 이상 조합할 수도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영상으로부터 기본 이미지를 추출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도 7 의 (a) 및 (b) 는 컨텐츠 리소스가 24fps 인 동영상인 경우, 1초 동안의 프레임 이미지들 중에서 기본 이미지를 추출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a)는 1초 동안의 프레임 이미지들 중에서 1개의 기본 이미지를 추출하는 예시이다. 기본 이미지 결정부(330)는 각 프레임에서 객체 및 사운드를 인식하여, 인물이 대사를 하는 a71 내지 a75 프레임 이미지를 추출하고, a71 내지 a75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 이미지를 기본 이미지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대사를 하는 a71 내지 a75 프레임 이미지 중 첫 프레임 이미지인 a71 프레임 이미지를 기본 이미지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b)는 0.5초 동안의 프레임 이미지들 중에서 1 개의 기본 이미지를 추출하는 예시이다. 기본 이미지 결정부(330)는 프레임 이미지들의 객체를 인식하여, 앞의 0.5초간의 프레임 이미지들 중 인물이 대사를 하는 b71 내지 b74 프레임 이미지와, 뒤의 0.5초간의 프레임 이미지들 중 장면이 전환되는 b75 내지 b78 프레임 이미지를 추출하고, b71 내지 b74 프레임 이미지 중 하나의 프레임 이미지와 b75 내지 b79 프레임 이미지 중 하나의 프레임 이미지를 각각 기본 이미지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71 및 b75 이미지를 기본 이미지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객체 추출부(340)는 기본 이미지로부터 객체를 추출할 있다(S6). 보다 상세히, 또한, 객체 추출부(340)는 배경과 전경을 구분한 후, 전경에서 객체들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추출부(340)는 사람, 동물, 건물 등을 해당 기본 이미지의 객체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객체 추출부(340)는 해당 기본 이미지의 크기 대비 기설정된 크기 이상을 가지는 객체만을 추출할 수 있다. 혹은, 객체 추출부(340)는 사람만을 객체로 추출할 수 있다. 혹은, 객체 추출부(340)는 복수개의 기본 이미지에서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객체 추출부(340)는 머신러닝 혹은 딥러닝 등 인공지능 학습 기술을 사용하여 배경과 전경을 구분하여 추출한 후, 전경에서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컷 생성부(350)는 추출된 객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기본 이미지 각각에 대응하는 컷 프레임을 생성하고 컷 프레임에 대응하는 기본 이미지를 컷 프레임 내에 배치한다. 이때, 컷 프레임이란, 컷을 구성하는 컷 외곽의 라인(line)으로 이루어진 영역을 뜻한다. 컷 생성부(35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혹은 자동적으로 정해진 컷 프레임들의 모양을 이용하여 기본 이미지 각각에 대응하는 컷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컷 생성부(340)는 머신러닝 혹은 딥러닝 등 인공지능 학습 기술을 이용하여 컷 프레임을 생성하고, 기본 이미지를 컷 프레임 내에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컷 생성부(350)는 기본 이미지에 속한 객체의 크기, 모양 및 배치에 기초하여 컷 프레임의 모양 또는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컷 생성부(350)는 객체의 가로세로비에 기초하여, 컷 프레임의 가로세로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이미지에 하나의 객체가 속해 있고, 해당 객체가 좌우로 긴 모양이라면, 컷 생성부(350)는 대응하는 해당 객체가 컷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컷 프레임을 좌우로 길게 형성할 수 있다. 혹은, 기본 이미지에 두 개의 객체가 속해 있고, 해당 객체들이 좌우로 배치되어 있다면, 해당 객체들이 컷에 모두 나타날 수 있도록 컷 프레임을 좌우로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컷 생성부(350)가 생성하는 컷 프레임의 모양 또는 크기는 기본 이미지의 객체를 강조하기 위해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컷 생성부(350)는 기본 이미지에 속한 객체의 크기, 모양 및 배치에 기초하여 컷 프레임에 대응하는 기본 이미지를 컷 프레임 내에 배치한다. 보다 상세히, 컷 생성부(350)는 컷 프레임 내에 객체, 특히 인물 객체가 중점적으로 나타나도록 기본 이미지를 배치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기본 이미지를 확대/축소하거나, 기본 이미지를 크롭(crop)하여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컷 프레임 내의 객체가 사람인 경우, 해당 사람이 컷 프레임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도록 기본 이미지를 배치할 수 있다. 혹은, 컷 프레임 내의 객체가 사람인 경우, 사람 객체가 차지하는 면적이 컷 프레임 면적의 소정 퍼센트 이상을 차지하도록 기본 이미지를 확대/축소할 수 있다. 또한, 컷 프레임 내의 객체가 사람 및 건물인 경우, 사람 및 건물이 모두 컷 프레임 내에 위치하도록 크기를 축소하고 사람이 컷 프레임의 중앙에 오도록 기본 이미지를 배치하거나, 사람 및 건물이 적절히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컷을 생성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컷 생성부(350)는 (a)와 같은 기본 이미지들(a81 내지 a84)로부터 (b)와 같은 컷들(b81 내지 b84)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도 8 의 a81 내지 a84와 같은 기본 이미지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a81 내지 a84 의 기본 이미지들은 컨텐츠 리소스에 속한 이미지들이거나, 혹은 컨텐츠 리소스가 동영상인 경우 동영상으로부터 추출될 프레임 이미지일 수 있다.
먼저, 객체 추출부(340)는 기본 이미지(a81)로부터 사람 및 건물을 객체로 추출하고, 컷 생성부(350)는 사람 및 건물이 좌우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컷(b81)의 프레임과 같이 좌우로 긴 컷 프레임을 생성하고, 컷 프레임 내에 사람 및 건물이 모두 나타나도록 기본 이미지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객체 추출부(340)는 기본 이미지(a82, a83)으로부터 사람을 객체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컷 생성부(350)는 사람이 상하로 길기 때문에 상하로 긴 컷 프레임을 생성하고, 컷 프레임 내에 사람이 중앙에 오도록 기본 이미지를 배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기본 이미지(a82)에는 사람이 주된 객체이므로, 사람이 중앙에 오도록 상하로 긴 컷 프레임의 중간에 기본 이미지를 적절히 크롭(crop)하여 배치함으로서 컷(b82)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기본 이미지(a83)는 사람이 주된 객체이지만 산 객체도 존재하므로, 사람이 주된 객체로 표현되되 산도 일부 표현되도록 사람을 중심에서 오른쪽으로 치우치게 배치하여 컷(b83)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객체 추출부(340)는 기본 이미지(a84)로부터 사람 및 비행기를 객체로 추출하고, 컷 생성부(350)는 사람 및 비행기가 좌우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좌우로 긴 컷 프레임을 생성하되, 사람이 중앙에 위치하도록 기본 이미지를 컷 내에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는 사용자들의 직접 편집 없이도 주된 객체가 컷에 중점적으로 표시되도록 컷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대사 삽입부(360)는 컨텐츠 리소스가 동영상인 경우, 컷에 대응하는 음성을 추출하고, 음성을 변환한 텍스트의 일부 또는 전부가 포함된 말풍선을 컷에 삽입할 수 있다. 도 7 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리소스가 동영상인 경우, 인물이 대화를 하는 장면의 프레임 이미지들 중 하나가 기본 이미지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대사 삽입부(360)는 기본 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으로서, 해당 대화의 음성(예를 들어, 도 7 의 예시에서는 a71 내지 a75 프레임 이미지에 해당하는 음성)을 추출하고, 해당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변환된 텍스트의 일부 또는 전부가 포함된 말풍선을 해당 기본 이미지에 대응하는 컷에 삽입할 수 있다. 이때, 대사 삽입부(360)는 해당 컷의 객체를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 및 위치로 말풍선을 삽입할 수 있으며, 필요 시 컷의 객체의 크기 및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대사 삽입부(360)는 컷의 객체를 인식하고, 객체 영역이 아닌 배경 영역에 말풍선이 삽입되도록 말풍선의 크기 및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만화에 등장하는 인물과 말풍선이 겹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사 삽입부(360)는 인물의 대화 외에도 다른 사운드을 추출하여 컷에 삽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본 이미지에 대응되는 사운드가 "쾅"인 경우(즉, 기본 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프레임 이미지 재생 시 "쾅" 사운드가 들리는 경우) 이를 인식하여 만화적인 효과선과 함께 "쾅"이라는 텍스트를 컷에 추가할 수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말풍선이 삽입된 컷이 생성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 를 참조하면, 먼저 컨텐츠 리소스로서 동영상(91)이 존재할 수 있다. 동영상에는 2명의 사람이 대화하는 영상이 재생될 수 있으며, 이때 음성은 "이번 일요일에 뭐하세요" 가 녹음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먼저 대화하는 장면 중 하나의 프레임 이미지를 기본 이미지로 추출할 수 있으며, 해당 기본 이미지에서 객체로서 2명의 사람(input)을 추출하고, 컷 프레임에 배치하여 컷(output)을 생성할 수 있다(92).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컷을 생성하면서 객체 이외의 부분은 만화적인 배경(92')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컷에 대응하는 음성(input)을 추출하고, 음성을 텍스트(output)로 변환할 수 있다(93). 또한, 대사 삽입부(360)는 생성된 컷에 텍스트가 포함된 말풍선이 삽입된 최종 컷(94)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대사 삽입부(360)는 이미지 분석을 통해 2명의 사람 중 어느 사람이 화자인지를 인식하여, 말풍선 방향이 화자를 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추가 편집부(370)는 생성된 컷을 사용자들이 편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추가 편집부(370)는 생성된 컷에 만화적 효과를 추가하거나, 컷 프레임의 크기 및 모양을 변경하거나, 말풍선을 추가/삭제하거나, 말풍선의 크기, 모양 및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가 편집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 예시이다.
도 10 의 (a) 내지 (c) 의 추가 편집 화면은 편집 메뉴바(m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편집 메뉴바(m10)는 스타일, 스토리 및 말풍선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편집 메뉴바(m10)의 스타일 메뉴에서는 생성된 컷에 만화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토리 메뉴를 선택하여 생성된 컷의 컷 프레임 모양, 위치 및 크기를 변경하거나, 컷 프레임에 적용되는 이미지의 사이즈 또는 각도를 조정하거나, 이미지의 일부 영역만을 선택하여 크롭핑(cropping)함으로써 컷 프레임과 컷 프레임에 적용되는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또한, 말풍선 메뉴에서는 말풍선을 추가 및 변경할 수 있다. 도 10 의 (a) 내지 (c) 는 도면의 명확성을 위해 컷 내에 컨텐츠를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10 의 (a) 내지 (c) 에 도시된 컷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생성된 컷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추가 편집 화면을 이용해 생성된 컷을 추가적으로 편집할 수 있다. 도 10 에서 도시된 편집 메뉴바(m10)의 명칭 및 기능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는 얼마든지 변형 및 확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도 10 의 (a) 는 스타일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생성된 개별 컷에 대해 사용자가 효과를 적용할 수 있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보다 상세히,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만화 효과를 적용할 컷을 선택(a101)할 수 있고, 생성된 컷에 대해 만화 효과(a102)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때, 만화 효과는 선택된 컷에 특수 효과 필터를 적용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 의 (b)는 스토리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생성된 컷의 컷 프레임 모양을 변경할 수 있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 의 (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컷을 선택(b101)하여, 해당 컷의 컷 프레임 모양(b102)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즉, 도 10 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직사각형 컷 프레임의 모양을 사다리꼴로 변형하거나, 컷 프레임의 위치를 이동하거나, 프레임 간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기존 컷 프레임의 크기 또는 위치 변경으로 빈 공간이 생긴 경우, 다음 컷 프레임의 크기가 해당 빈 공간보다 작다면 다음 컷 프레임이 빈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컷 프레임의 위치를 직접 지정한 경우, 빈 공관과 관계없이 컷 프레임들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 의 (c)는, 말풍선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생성된 컷에 말풍선 메뉴를 생성 또는 변경할 수 있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영상의 음성 인식을 통해 자동적으로 말풍선을 삽입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 의 (c)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말풍선을 추가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컷에 생성된 말풍선(c103)의 모양 및 크기를 조정하거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c101), 말풍선의 크기가 변경되면 말풍선 내의 텍스트의 크기가 자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는 말풍선(c103)을 선택하여 말풍선 내 텍스트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컨텐츠 리소스를 획득하는 리소스 획득부;
    상기 컨텐츠 리소스에 기초한 복수개의 기본 이미지로부터 객체를 추출하는 객체 추출부;
    추출된 상기 객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기본 이미지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컷 프레임을 생성하되, 상기 기본 이미지에 속한 상기 객체의 크기, 모양 및 배치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컷 프레임의 모양 또는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컷 프레임에 대응하는 기본 이미지를 상기 컷 프레임 내에 배치하여 컷을 생성하는 컷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복수개의 컷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복수개의 컷 프레임에 포함된 제1 컷 프레임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컷 프레임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컷 프레임 중 상기 제1 컷 프레임을 제외한 하나 이상의 컷 프레임의 배열을 변경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획득부는 상기 컨텐츠 리소스로서 복수개의 이미지 또는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획득하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리소스가 동영상인 경우, 상기 동영상의 프레임 이미지들 중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복수개를 추출하여 상기 복수개의 기본 이미지로 결정하는 기본 이미지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이미지 결정부는,
    상기 동영상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분할한 후 일정 시간 간격 당 하나의 프레임 이미지를 기본 이미지로 추출하거나, 상기 동영상에서 등장인물이 대화를 하는 부분의 프레임 이미지들 중 하나를 기본 이미지로 추출하거나, 상기 동영상에서 장면이 전환되는 부분의 프레임 이미지들 중 하나를 기본 이미지로 추출하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리소스가 동영상인 경우, 상기 컷에 대응하는 음성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음성을 변환한 텍스트의 일부 또는 전부가 포함된 말풍선을 생성하여 상기 컷에 삽입하는 대사 삽입부;
    를 더 포함하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이미지 결정부는,
    상기 컨텐츠 리소스가 복수개의 이미지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 각각을 상기 복수개의 기본 이미지로 결정하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컷 생성부는, 상기 기본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객체가 상기 컷 프레임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본 이미지를 배치하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컷 생성부는, 상기 기본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객체의 가로세로비에 기초하여 컷 프레임의 가로세로비를 결정하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9. 컨텐츠 리소스를 획득하는 리소스 획득 단계;
    상기 컨텐츠 리소스에 기초한 복수개의 기본 이미지로부터 객체를 추출하는 객체 추출 단계;
    추출된 상기 객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기본 이미지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컷 프레임을 생성하되, 상기 기본 이미지에 속한 상기 객체의 크기, 모양 및 배치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컷 프레임의 모양 또는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컷 프레임에 대응하는 기본 이미지를 상기 컷 프레임 내에 배치하여 컷을 생성하는 컷 생성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복수개의 컷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복수개의 컷 프레임에 포함된 제1 컷 프레임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컷 프레임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컷 프레임 중 상기 제1 컷 프레임을 제외한 하나 이상의 컷 프레임의 배열을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만화 데이터 생성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획득 단계는 상기 컨텐츠 리소스로서 복수개의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획득하는, 만화 데이터 생성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리소스가 동영상인 경우, 상기 동영상의 프레임 이미지들 중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복수개를 추출하여 상기 복수개의 기본 이미지로 결정하는 기본 이미지 결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만화 데이터 생성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이미지 결정 단계는,
    상기 동영상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분할한 후 일정 시간 간격 당 하나의 프레임 이미지를 기본 이미지로 추출하거나, 상기 동영상에서 등장인물이 대화를 하는 부분의 프레임 이미지들 중 하나를 기본 이미지로 추출하거나, 상기 동영상에서 장면이 전환되는 부분의 프레임 이미지들 중 하나를 기본 이미지로 추출하는, 만화 데이터 생성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리소스가 동영상인 경우, 상기 컷에 대응하는 음성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음성을 변환한 텍스트의 일부 또는 전부가 포함된 말풍선을 생성하여 상기 컷에 삽입하는 대사 삽입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만화 데이터 생성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이미지 결정 단계는, 상기 컨텐츠 리소스가 복수개의 이미지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 각각을 상기 복수개의 기본 이미지로 결정하는, 만화 데이터 생성 방법.
  15.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098098A 2018-08-22 2018-08-22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86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098A KR102086780B1 (ko) 2018-08-22 2018-08-22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098A KR102086780B1 (ko) 2018-08-22 2018-08-22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225A KR20200022225A (ko) 2020-03-03
KR102086780B1 true KR102086780B1 (ko) 2020-03-09

Family

ID=69802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098A KR102086780B1 (ko) 2018-08-22 2018-08-22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7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1237A (ko) 2022-03-31 2023-10-10 (주)탁툰엔터프라이즈 원터치로 애니메이션을 웹툰으로 자동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9687B1 (ko) * 2021-08-09 2023-08-25 주식회사 플레이칸 애니메이션 제작 방법 및 시스템
KR102476481B1 (ko) * 2022-01-27 2022-12-12 주식회사 위딧 웹툰컷 배분 추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1934A (ja) * 2009-01-20 2010-09-0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1285B2 (ja) * 1995-11-07 2002-10-0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映像情報変換装置
KR101244789B1 (ko) * 2011-05-11 2013-03-18 (주)판도라티비 3차원 재구성을 이용한 디지털 만화 콘텐츠 생성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1934A (ja) * 2009-01-20 2010-09-0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1237A (ko) 2022-03-31 2023-10-10 (주)탁툰엔터프라이즈 원터치로 애니메이션을 웹툰으로 자동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225A (ko) 202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0178B2 (en) Content providing server, content providing terminal and content providing method
US9674580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video directly into an HTML framework
US10684754B2 (en) Method of providing visual sound image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KR102086780B1 (ko)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N110521213B (zh) 故事影像制作方法及系统
CN104994921A (zh) 用于分布式故事阅读的视觉内容修改
CN104918670A (zh) 用于故事阅读的基于位置的增强
KR20180105810A (ko) 음성 댓글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220319549A1 (en) Video automatic edit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machine learning
CN110968362B (zh) 应用运行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1796818B (zh) 多媒体文件的制作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06774852B (zh) 一种基于虚拟现实的消息处理方法及装置
JP6975281B2 (ja) 人工知能モデルを利用したイメージ編集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401961B1 (ko)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 및 방법
KR20120072820A (ko)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과거 및 미래 영상을 보여주는 증강현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WO2017193343A1 (zh) 媒体文件分享方法、媒体文件分享设备及终端
WO2023103597A1 (zh) 多媒体内容的分享方法、装置、设备、介质及程序产品
CN115393484A (zh) 虚拟形象动画的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2009048303A (ja) 仮想空間放送装置
JP7057455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端末
KR101726844B1 (ko) 만화 데이터 생성 시스템 및 방법
CN117319340A (zh) 语音消息的播放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101713626B1 (ko) 음성 데이터를 위한 태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53797B1 (ko) 영상 컨텐츠에 대한 합성음 실시간 생성에 기반한 컨텐츠 편집 지원 방법 및 시스템
US11134310B1 (en) Custom content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