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961B1 -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961B1
KR101401961B1 KR1020120045918A KR20120045918A KR101401961B1 KR 101401961 B1 KR101401961 B1 KR 101401961B1 KR 1020120045918 A KR1020120045918 A KR 1020120045918A KR 20120045918 A KR20120045918 A KR 20120045918A KR 101401961 B1 KR101401961 B1 KR 101401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mented reality
reality contents
contents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2836A (ko
Inventor
조수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임페이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임페이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임페이퍼
Priority to KR1020120045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961B1/ko
Publication of KR20130122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사용자 단말기에 마커정보뿐만 아니라, 제작자가 제작한 큰 용량의 증강현실 컨텐츠도 함께 저장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은 증강현실정보 수신부, 증강현실정보 데이터베이스,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 수신부 및 컨텐츠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증강현실정보 수신부는 제작자단말기로부터 실세계 영상에서 식별된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정보 및 제작자가 상기 식별된 오브젝트에 부가한 부가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수신한다. 상기 증강현실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를 저장한다.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 수신부는 사용자의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을 수신한다. 상기 컨텐츠 전송부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증강현실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고, 상기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전송한다.

Description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 및 방법 {SYSTEM FOR SHAR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사용자 단말기에 마커정보뿐만 아니라, 제작자가 제작한 큰 용량의 증강현실 컨텐츠도 함께 저장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은 사용자가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 영상을 겹쳐 보여주는 기술로서, 현실세계에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이라고도 한다. 이와 같은 증강현실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과 대비된다. 즉, 가상현실기술은 일반적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가상의 환경에 몰입하게 하므로 사용자는 실제 환경을 볼 수 없는 반면, 증강현실 기술에서는 사용자가 실제 환경을 볼 수 있으며, 실제 환경과 가상의 객체가 혼합된 형태를 띤다.
이와 같은 증강현실 기술은 연산처리량이 많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고성능 사양의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였지만, 최근 출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를 기본 사양으로 구비하고 있으며, 계산량이 많은 연산도 처리할 수 있는 높은 사양을 구비하고 있어, 3D 렌더링, 또는 카메라 영상 처리 등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나아가 고성능 데스크톱에서 가능했던 가상현실 기술이나 증강현실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 이동통신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증강현실 컨텐츠는 대부분 컨텐츠 제작자가 제작한 컨텐츠를 사용자들이 내려 받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이와 같이 특정 제작자가 컨텐츠를 제작하고, 일반 사용자들은 단지 이용만 하게 되면, 다양한 컨텐츠의 개발이 어려워지고, 동일한 오브젝트에 대해서는 동일한 증강현실 정보만 보여지는 획일성이 문제가 된다. 따라서, 일반 사용자들이 다양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한국등록특허 제10-0677502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증강현실기반의 메시지 작성 방법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텍스트, 또는 음성, 또는 이미지 등과 같은 메시지를 추가로 작성하여 작성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하고나, 상대방에게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위 선행기술에서는 제작자가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작하여 메시지로 사용자에게 전송하면,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는 그 증강현실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있어, 다양한 일반 사용자들이 많은 수의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작하여 공유할 경우,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많은 수의 증강현실 컨텐츠가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되고, 이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의 저장공간이 부족해지는 문제점이 있어, 사용자가 증강현실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정책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77502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증강현실 컨텐츠의 다운로드 시점을 직접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증강현실 컨텐츠의 식별정보 및 부가 컨텐츠를 분리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필요한 부분만 단말기에 다운로드해 두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 공간을 많이 차지하더라도 증강현실 컨텐츠를 로딩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지 않거나,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로딩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더라도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도록 하는 등 사용자가 증강현실 컨텐츠 다운로드 선호방식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제작자가 제작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오브젝트에 대해서도 사용자별로 다양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제작자가 자신의 의도에 따라 동일한 식별정보라도 특정 상태를 만족할 때 보여지는 증강현실 컨텐츠가 다르도록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은 증강현실정보 수신부, 증강현실정보 데이터베이스,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 수신부 및 컨텐츠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증강현실정보 수신부는 제작자단말기로부터 실세계 영상에서 식별된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정보 및 제작자가 상기 식별된 오브젝트에 부가한 부가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수신한다. 상기 증강현실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를 저장한다.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 수신부는 사용자의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을 수신한다. 상기 컨텐츠 전송부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증강현실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고, 상기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전송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은 제작자에 의해 업로드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저장하고, 이를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 전부 또는 일부 전송하여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다양한 제작자가 제작한 컨텐츠를 사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증강현실 컨텐츠가 다양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증강현실 컨텐츠 다운로드 정책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증강현실 컨텐츠의 다운로드 선호방식에 따른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로 (A) 오브젝트 식별정보만 실시간 전송하는 경우, (B) 사용자의 요청시 오브젝트 식별정보만 전송하는 경우, (C)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경우, (D) 사용자의 요청시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를 전송하는 경우와 같은 방식으로의 설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A)의 경우 증강현실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정보의 업로드시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로 새로 추가된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전송하므로,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새로 추가된 오브젝트 식별정보도 바로 식별할 수 있어 증강현실 컨텐츠의 신속한 공유가 가능하다. 그리고 (B)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경우, 오브젝트 식별정보의 무분별한 전송을 방지할 수 있다. (C)의 경우에는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가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로 실시간 전송되므로,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의 저장용량을 많이 차지하게 될 수는 있지만, 증강현실 컨텐츠의 빠른 재생이 가능하다. 즉, 증강현실 컨텐츠가 음성 또는 3D 컨텐츠와 같이 용량이 큰 정보를 포함하게 되면,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서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순간 이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로딩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 (D)의 경우는 사용자 요청시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의 전송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의 저장용량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전송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와 관련하여 사용자별로 자신만의 설정 방식을 반영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도가 극대화될 수 있다.
또, 제작자가 증강현실 컨텐츠 제작시, 증강현실 컨텐츠를 사용할 사용자를 직접 지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오브젝트에 대해서도 사용자별로 다양한 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다양한 상황을 고려하여, 즉 부가 컨텐츠들의 재생 환경 정보와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세계 영상으로부터 오브젝트 식별정보가 인식되는 시점의 재생 환경에 따라, 식별된 오브젝트에 부가될 부가 컨텐츠가 선택되도록 함에 함으로써 제작자의 입장에서는 만족도가 높고,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보다 다양한 재미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작자별 증강현실 컨텐츠 다운로드 정책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카테고리별 증강현실 컨텐츠 다운로드 정책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예에 불과하다.
<시스템에 대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100)은 증강현실정보 수신부(110), 증강현실정보 데이터베이스(120),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 수신부(130), 컨텐츠 전송부(140),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한다.
증강현실정보 수신부(110)는 제작자단말기(10)로부터 실세계 영상에서 식별된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정보 및 제작자가 상기 식별된 오브젝트에 부가한 부가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수신한다. 여기서, 오브젝트는 영상으로 식별되는 실생활의 물체, 오브젝트 식별정보는 오브젝트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어, 마커정보 또는 특징점정보와 같은 비마커정보), 부가 컨텐츠는 3D 가상 오브젝트, 사진, 음향, 동영상 등 증강되는 컨텐츠를 의미하며, 상기 부가 컨텐츠는 제작자에 의해 편집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증강현실 컨텐츠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기본 3D 모델, 애니메이션 데이터 및 배열 방식에 따른 템플릿 등을 활용하여 제작 가능하기도 하고, 또는 개별적으로 사용자가 다른 툴에서 제작한 3D 데이터를 활용하여 제작 가능하기도 한다.
이 때, 증강현실정보 수신부(110)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정보를 상기 제작자단말기로부터 더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작자가 동일한 오브젝트에 대해서 사용자 별로 서로 다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증강현실 컨텐츠를 보다 다양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증강현실정보 데이터베이스(120)는 다음 표와 같이, 제작자의 식별정보, 제작자가 제작한 증강현실 컨텐츠, 증강현실 컨텐츠의 카테고리정보 및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사용자 식별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한다. 상기 제작자의 식별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는 제작자와 사용자 각각의 주민번호나 단말기의 전화번호 등과 같은 고유번호를 의미한다.
제작자
식별정보
증강현실 컨텐츠에 관한 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오브젝트 식별정보 부가 컨텐츠정보 카테고리정보
제작자1 마커1 3D 가상 오브젝트 카테고리1 사용자1, 사용자2
제작자2 마커2 사진 카테고리2 -
제작자3 마커3 동영상 카테고리1 사용자 4
.
.
.
.
.
.
.
.
.
.
.
.
.
.
.
상기와 같이, 제작자가 자신이 제작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100)으로 업로드하면서 사용자 식별정보를 등록하면,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100)은 등록된 사용자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로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전송하는데, 이러한 전송은 사용자의 요청 또는 사용자의 요청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상기 표의 제작자 2의 경우와 같이, 제작자가 증강현실 컨텐츠를 공유할 사용자의 식별번호를 따로 등록하지 않는 경우라면, 모든 사용자가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증강현실 컨텐츠로 등록된다.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 수신부(130)는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수신한 사용자의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로부터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은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에서 실세계 영상으로부터 식별한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즉,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100)은 등록된 사용자의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로 해당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가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의 카메라를 작동시키면,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는 입력되는 실사 영상에서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증강현실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오브젝트 식별정보와 비교한다. 상기 비교를 통해 오브젝트 식별정보가 식별되면,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는 상기 식별된 정보를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100)으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100)은 상기 식별된 오브젝트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조회한다. 그리고 상기 조회 결과에 따라,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100)은 해당 증강현실 컨텐츠의 전송 여부를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로 문의하고, 이에 사용자가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을 원하면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로부터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을 수신한다.
컨텐츠 전송부(140)는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로부터의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식별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에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전송한다. 즉, 컨텐츠 전송부(140)는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기초로 증강현실정보 데이터베이스(120)를 조회하여 오브젝트 식별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전송한다. 상기 일부는 증강현실 컨텐츠 다운로드 정책 정보에 의해 설정되는 정보로, 이에 관해서는 하기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100)은 제작자에 의해 업로드된 증강현실 컨텐츠와 이를 공유할 사용자 식별정보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로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이를 수신한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가 실세계 영상에서 식별된 오브젝트 식별정보와 다운로드된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정보가 조회되는 경우 상기 오브젝트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100)으로 요청하게 되면,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100)은 해당 증강현실 컨텐츠를 전송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오브젝트 식별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컨텐츠가 증강현실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로 다운로드됨에 따라,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의 저장 공간을 많이 차지하였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 오브젝트 식별정보뿐만 아니라, 증강현실 컨텐츠도 함께 저장되어야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에서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순간 해당 증강현실 컨텐츠를 전송하므로,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의 저장 공간을 많이 차지할 필요가 없어서 많은 증강현실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 식별정보는 용량이 작지만 증강현실 컨텐츠가 음성 또는 3D 컨텐츠와 같이 용량이 큰 정보를 포함하게 되면,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서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순간 이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로딩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 모든 데이터를 동시에 다운로드 및 동기화 하는 등 증강현실 컨텐츠의 재생이 신속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별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150)는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제작자별 또는 카테고리별 증강현실 컨텐츠 다운로드 정책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다운로드 정책 정보는 각 제작자 또는 각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를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 없이도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에 전송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및 증강현실 컨텐츠 중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 없이도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에 전송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정보에 의하면, 종래에는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가 실시간으로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되었지만, 본 발명에서사용자는 다음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은 전송방식으로, 실시간 전송, 사용자 요청에 의한 전송, 오브젝트 식별정보만 전송,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 전송의 조합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제작자별 또는 카테고리별로도 설정 가능하다.
실시간 전송 사용자 요청에 의한 전송
오브젝트 식별정보 전송 (A) 오브젝트 식별정보만 실시간으로 전송 (B) 사용자 요청시 오브젝트 식별정보만 전송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 전송 (C)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를 실시간으로 전송 (D) 사용자 요청시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 전송
따라서 컨텐츠 전송부(140)는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증강현실 컨텐츠 다운로드 정책 정보 기초로 증강현실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 즉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의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 없이도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증강현실 컨텐츠 다운로드 정책 정보가 도 2와 같다면 사용자1은 제작자1과 제작자4가 공유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A)방식으로, 제작자3이 공유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B)방식으로 제작자5가 공유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C)방식으로 제작자2가 공유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D)방식으로 증강현실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만약, 증강현실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정보에 의해 제작자1이 제작한 증강현실 컨텐츠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를 공유할 사용자로 사용자1, 2, 3이 지정되어 있고,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150)에는 사용자1, 2, 3이 각각 제작자1이 제작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A), (B), (D)방식으로 다운로드 하기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100)은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1로 제작자1의 오브젝트 식별정보만 실시간으로 전송,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로 사용자 요청시 오브젝트 식별정보만 전송,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3으로 사용자 요청시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150)에 증강현실 컨텐츠 다운로드 정책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증강현실 컨텐츠의 다운로드 선호방식에 따른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로 (A) 오브젝트 식별정보만 실시간 전송하는 경우, (B) 사용자의 요청시 오브젝트 식별정보만 전송하는 경우, (C)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경우, (D) 사용자의 요청시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를 전송하는 경우와 같은 방식으로의 설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A)의 경우 증강현실정보 데이터베이스(150)에 새로운 정보의 업로드시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로 새로 추가된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전송하므로,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에서 새로 추가된 오브젝트 식별정보도 바로 식별할 수 있어 증강현실 컨텐츠의 신속한 공유가 가능하다. 그리고 (B)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경우, 오브젝트 식별정보의 무분별한 전송을 방지할 수 있다. (C)의 경우에는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가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로 실시간 전송되므로,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의 저장용량을 많이 차지하게 될 수는 있지만, 증강현실 컨텐츠의 빠른 재생이 가능하다. 즉, 증강현실 컨텐츠가 음성 또는 3D 컨텐츠와 같이 용량이 큰 정보를 포함하게 되면,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에서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순간 이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로딩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 (D)의 경우는 사용자 요청시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의 전송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의 저장용량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전송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와 관련하여 사용자별로 자신만의 설정 방식을 반영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도가 극대화될 수 있다.
사용자는 증강현실 컨텐츠의 카테고리별로 다운로드 방식을 설정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150)에 일실시예로 도 3과 같은 카테고리별 증강현실 컨텐츠 다운로드 정책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이에 관해서는 앞서 설명한 제작자별 다운로드 방식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작자가 자신의 의도에 따라 동일한 오브젝트 식별정보라도 특정 상태를 만족할 때 보여지는 증강현실 컨텐츠가 다르도록 설정하는 응용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증강현실 컨텐츠는 둘 이상의 부가 컨텐츠 및 각 부가 컨텐츠의 재생 환경 정보를 포함하고,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에서 실세계 영상으로부터 오브젝트 식별정보가 인식되는 시점의 재생 환경에 따라, 상기 둘 이상의 부가 컨텐츠 중 상기 식별된 오브젝트에 부가될 부가 컨텐츠가 선택되도록 한다. 제작자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재생 환경 정보는 증강현실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되며, 컨텐츠 전송부(140)는 증강현실 컨텐츠 전송시 상기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작자의 설정에 따라 평소에는 특정 마커를 통해 가상 아바타가 노래를 부르는 모습의 컨텐츠를 제공하지만, 특정 날짜, 예를 들면 발렌타인데이에는 상기 특정 마커를 통해 가상 아바타가 선물을 주는 모습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에서 증강현실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 횟수에 따라, 즉 일정 횟수를 초과하면 평소에 제공되던 메시지와는 다른 메시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또는 타 서비스의 open API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다이나믹한 정보를 제공하는 메쉬업(mesh-up) 형태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그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을 수 있다. 특정 마커가 동일하더라도 당일의 날씨 정보를 표현하는 컨텐츠를 3D 영상으로 제공하거나, 또는 사용자 또는 제작자의 SNS 프로필을 활용하여 이를 컨텐츠에 함께 표현할 수도 있다.
또, 사용자 식별정보에 따라 다른 정보를 제시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각 사용자별 사서함 기능이 있어 제작자가 특정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메시지를 남길 수 있는 컨텐츠, 즉 제작자가 지정한 마커를 특정 사용자가 보면 제작자가 사용자에게 남기는 컨텐츠가 정합되는 증강현실, 더 나아가서 사용자 또한 제작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상황을 고려하여, 즉 부가 컨텐츠들의 재생 환경 정보와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에서 실세계 영상으로부터 오브젝트 식별정보가 인식되는 시점의 재생 환경에 따라, 식별된 오브젝트에 부가될 부가 컨텐츠가 선택되도록 함에 함으로써 제작자의 입장에서는 만족도가 높고,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보다 다양한 재미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방법에 대한 설명>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방법에 대해서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한다.
1. 증강현실 컨텐츠 및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410>
제작자단말기로부터 실세계 영상에서 식별된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정보 및 제작자가 상기 식별된 오브젝트에 부가한 부가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및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를 공유할 하나 이상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오브젝트는 영상으로 식별되는 실생활의 물체, 오브젝트 식별정보는 오브젝트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어, 마커정보 또는 특징점정보와 같은 비마커정보), 부가 컨텐츠는 3D 가상 오브젝트, 사진, 음향, 동영상 등 증강되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2. 증강현실 컨텐츠 및 사용자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420>
제작자의 식별정보, 제작자가 제작한 증강현실 컨텐츠, 증강현실 컨텐츠의 카테고리정보 및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사용자 식별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제작자가 자신이 제작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100)으로 업로드하면서 사용자 식별정보를 등록하면,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100)은 등록된 사용자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로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전송하는데, 이러한 전송은 사용자의 요청 또는 사용자의 요청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3.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430>
사용자의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은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세계 영상으로부터 식별한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즉,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100)은 등록된 사용자의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로 해당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가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를 작동시키면,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는 입력되는 실사 영상에서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증강현실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오브젝트 식별정보와 비교한다. 상기 비교를 통해 오브젝트 식별정보가 식별되면,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식별된 정보를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100)으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100)은 상기 식별된 오브젝트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조회한다. 그리고 상기 조회 결과에 따라,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100)은 해당 증강현실 컨텐츠의 전송 여부를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로 문의하고, 이에 사용자가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을 원하면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을 수신한다.
4. 증강현실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440>
상기 단계 S430의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식별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전송한다. 즉,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기초로 증강현실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오브젝트 식별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100)은 제작자에 의해 업로드된 증강현실 컨텐츠와 이를 공유할 사용자 식별정보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로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이를 수신한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가 실세계 영상에서 식별된 오브젝트 식별정보와 다운로드된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정보가 조회되는 경우 상기 오브젝트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100)으로 요청하게 되면,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은 해당 증강현실 컨텐츠를 전송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 오브젝트 식별정보뿐만 아니라, 증강현실 컨텐츠도 함께 저장되어야 함에 따라 저장 공간을 많이 차지하였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서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순간 해당 증강현실 컨텐츠를 전송하므로,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의 저장 공간을 많이 차지할 필요가 없어서 많은 증강현실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 식별정보는 용량이 작지만 증강현실 컨텐츠가 음성 또는 3D 컨텐츠와 같이 용량이 큰 정보를 포함하게 되면,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서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순간 이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로딩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별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 경우의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방법은 도 5와 같다.
1. 증강현실 컨텐츠 및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510>
제작자단말기로부터 실세계 영상에서 식별된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정보 및 제작자가 상기 식별된 오브젝트에 부가한 부가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및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를 공유할 하나 이상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2. 증강현실 컨텐츠 및 사용자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520>
제작자의 식별정보, 제작자가 제작한 증강현실 컨텐츠, 증강현실 컨텐츠의 카테고리정보 및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사용자 식별정보를 대응시켜 증강현실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3. 증강현실 컨텐츠 다운로드 정책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530>
상기 단계 S520의 증강현실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신규로 등록된 사용자의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제작자별 또는 카테고리별 증강현실 컨텐츠 다운로드 정책 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저장하는 단계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다운로드 정책 정보는 각 제작자 또는 각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를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 없이도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및 증강현실 컨텐츠 중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 없이도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정보에 의하면, 종래에는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가 실시간으로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되었지만, 본 발명에서사용자는 다음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은 전송방식으로, 실시간 전송, 사용자 요청에 의한 전송, 오브젝트 식별정보만 전송,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 전송의 조합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제작자별 또는 카테고리별로도 설정 가능하다.
실시간 전송 사용자 요청에 의한 전송
오브젝트 식별정보 전송 (A) 오브젝트 식별정보만 실시간으로 전송 (B) 사용자 요청시 오브젝트 식별정보만 전송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 전송 (C)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를 실시간으로 전송 (D) 사용자 요청시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 전송
4.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S540 >
상기 단계 S530에서 저장된 증강현실 컨텐츠 다운로드 정책 정보가 (B) 사용자 요청시 오브젝트 식별정보만 전송, 또는 (D) 사용자 요청시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 전송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의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은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세계 영상으로부터 식별한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즉,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100)은 등록된 사용자의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로 해당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가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를 작동시키면,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는 입력되는 실사 영상에서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증강현실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오브젝트 식별정보와 비교한다. 상기 비교를 통해 오브젝트 식별정보가 식별되면,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식별된 정보를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100)으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100)은 상기 식별된 오브젝트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조회한다. 그리고 상기 조회 결과에 따라,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100)은 해당 증강현실 컨텐츠의 전송 여부를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로 문의하고, 이에 사용자가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을 원하면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을 수신한다.
5. 증강현실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550>
상기 단계 S540의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식별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전송한다. 즉,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기초로 증강현실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오브젝트 식별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전송한다.
또는, 상기 단계 S530에서 저장된 증강현실 컨텐츠 다운로드 정책 정보가 (A) 오브젝트 식별정보만 실시간으로 전송, 또는 (C)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를 실시간으로 전송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 S540을 거치지 않고,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의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 없이도 상기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증강현실 컨텐츠 다운로드 정책 정보가 도 2와 같다면 사용자1은 제작자1과 제작자4가 공유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A)방식으로, 제작자3이 공유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B)방식으로 제작자5가 공유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C)방식으로 제작자2가 공유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D)방식으로 증강현실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만약, 증강현실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의해 제작자1이 제작한 증강현실 컨텐츠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를 공유할 사용자로 사용자1, 2, 3이 지정되어 있고,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사용자1, 2, 3이 각각 제작자1이 제작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A), (B), (D)방식으로 다운로드 하기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100)은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1로 제작자1의 오브젝트 식별정보만 실시간으로 전송,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로 사용자 요청시 오브젝트 식별정보만 전송,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3으로 사용자 요청시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증강현실 컨텐츠 다운로드 정책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증강현실 컨텐츠의 다운로드 선호방식에 따른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다. (A)의 경우에는 증강현실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정보의 업로드시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로 새로 추가된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전송하므로,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새로 추가된 오브젝트 식별정보도 식별할 수 있어 증강현실 컨텐츠의 신속한 공유가 가능하다. 그리고 (B)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경우, 오브젝트 식별정보의 무분별한 전송을 방지할 수 있다. (C)의 경우에는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가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로 실시간 전송되므로,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의 저장용량을 많이 차지하게 될 수는 있지만, 증강현실 컨텐츠의 빠른 재생이 가능하다. 또, (D)의 경우는 사용자 요청시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의 전송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의 저장용량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전송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와 관련하여 사용자별로 자신만의 설정 방식을 반영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도가 극대화될 수 있다.
사용자는 증강현실 컨텐츠의 카테고리별로 다운로드 방식을 설정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일실시예로 도 3과 같은 카테고리별 증강현실 컨텐츠 다운로드 정책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이에 관해서는 앞서 설명한 제작자별 다운로드 방식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동일한 오브젝트 식별정보라도 특정 상태를 만족할 때 보여지는 증강현실 컨텐츠가 다르도록 설정하는 응용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증강현실 컨텐츠는 둘 이상의 부가 컨텐츠 및 각 부가 컨텐츠의 재생 환경 정보를 포함하고,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세계 영상으로부터 오브젝트 식별정보가 인식되는 시점의 재생 환경에 따라, 상기 둘 이상의 부가 컨텐츠 중 상기 식별된 오브젝트에 부가될 부가 컨텐츠가 선택되도록 한다. 제작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재생 환경 정보는 증강현실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컨텐츠 전송부는 증강현실 컨텐츠 전송시 상기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작자의 설정에 따라 평소에는 특정 마커를 통해 가상 아바타가 노래를 부르는 모습의 컨텐츠를 제공하지만, 특정 날짜, 예를 들면 발렌타인데이에는 상기 특정 마커를 통해 가상 아바타가 선물을 주는 모습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서 증강현실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 횟수에 따라, 즉 일정 횟수를 초과하면 평소에 제공되던 메시지와는 다른 메시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상황을 고려하여, 즉 부가 컨텐츠들의 재생 환경 정보와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20)에서 실세계 영상으로부터 오브젝트 식별정보가 인식되는 시점의 재생 환경에 따라, 식별된 오브젝트에 부가될 부가 컨텐츠가 선택되도록 함에 함으로써 제작자의 입장에서는 만족도가 높고,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보다 다양한 재미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
110: 증강현실정보 수신부
120: 증강현실정보 데이터베이스
130: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 수신부
140: 컨텐츠 전송부
150: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

Claims (15)

  1. 제작자단말기로부터 실세계 영상에서 식별된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정보 및 제작자가 상기 식별된 오브젝트에 부가한 부가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수신하는 증강현실정보 수신부;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를 저장하고, 상기 제작자의 식별정보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의 카테고리정보를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증강현실정보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의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 수신부; 및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증강현실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고, 상기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전송하고, 상기 제작자의 식별정보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의 카테고리정보를 기초로 판단하여,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 없이도 상기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
    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제작자별 또는 카테고리별 증강현실 컨텐츠 다운로드 정책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전송부는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증강현실 컨텐츠 다운로드 정책 정보 기초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 없이도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다운로드 정책 정보는
    각 제작자 또는 각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를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 없이도 상기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중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 없이도 상기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전송부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다운로드 정책 정보에 따라 기초로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의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 없이도 상기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정보 수신부는
    상기 제작자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증강현실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수신한 증강현실 컨텐츠 및 사용자 식별번호를 대응시켜 저장하며,
    상기 컨텐츠 전송부는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만 상기 사용자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은
    상기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세계 영상으로부터 식별한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전송부는
    수신한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증강현실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오브젝트 식별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는
    둘 이상의 부가 컨텐츠 및 각 부가 컨텐츠의 재생 환경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세계 영상으로부터 상기 오브젝트 식별정보가 인식되는 시점의 재생 환경에 따라, 상기 둘 이상의 부가 컨텐츠 중 상기 식별된 오브젝트에 부가될 부가 컨텐츠가 선택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
  8. (a) 제작자단말기로부터 실세계 영상에서 식별된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정보 및 제작자가 상기 식별된 오브젝트에 부가한 부가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를 증강현실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제작자의 식별정보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의 카테고리정보를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응시켜 상기 증강현실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c) 사용자의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증강현실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고, 상기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전송하고, 상기 제작자의 식별정보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의 카테고리정보를 기초로 판단하여,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 없이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제작자별 또는 카테고리별 증강현실 컨텐츠 다운로드 정책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단계에서는
    상기 (c)단계에서 저장된 증강현실 컨텐츠 다운로드 정책 정보 기초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 없이도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다운로드 정책 정보는
    각 제작자 또는 각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를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 없이도 상기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중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 없이도 상기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d)단계에서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다운로드 정책 정보에 따라 기초로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의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 없이도 상기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다운로드 정책 정보는
    각 제작자 또는 각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를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 없이도 상기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중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 없이도 상기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d)단계에서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다운로드 정책 정보에 따라 기초로 증강현실 컨텐츠 전부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의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 없이도 상기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요청은
    상기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세계 영상으로부터 식별한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d)단계에서는
    수신한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b)단계에서 저장된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오브젝트 식별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는
    둘 이상의 부가 컨텐츠 및 각 부가 컨텐츠의 재생 환경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세계 영상으로부터 상기 오브젝트 식별정보가 인식되는 시점의 재생 환경에 따라, 상기 둘 이상의 부가 컨텐츠 중 상기 식별된 오브젝트에 부가될 부가 컨텐츠가 선택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방법.
  15. 제8항 및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45918A 2012-05-01 2012-05-01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 및 방법 KR101401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918A KR101401961B1 (ko) 2012-05-01 2012-05-01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918A KR101401961B1 (ko) 2012-05-01 2012-05-01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836A KR20130122836A (ko) 2013-11-11
KR101401961B1 true KR101401961B1 (ko) 2014-06-02

Family

ID=49852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918A KR101401961B1 (ko) 2012-05-01 2012-05-01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9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474B1 (ko) * 2014-04-30 2021-05-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성 명령 제공 방법 및 장치
US10366290B2 (en) * 2016-05-11 2019-07-30 Baidu Usa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virtual reality content in autonomous vehicles
CN111381670B (zh) * 2018-12-29 2022-04-01 广东虚拟现实科技有限公司 虚拟内容的交互方法、装置、系统、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102523507B1 (ko) * 2021-12-20 2023-04-19 전광표 사운드 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047A (ko) * 2004-11-23 2006-05-26 주식회사 팬택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00022428A (ko) * 2008-08-19 2010-03-02 광주과학기술원 혼합 공간에 공존하는 마커들을 관리하는 마커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10012523A (ko) * 2009-07-30 2011-02-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사용자 선택 정보에 의해 증강 현실을 제공하는 방법과 그를 위한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047A (ko) * 2004-11-23 2006-05-26 주식회사 팬택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00022428A (ko) * 2008-08-19 2010-03-02 광주과학기술원 혼합 공간에 공존하는 마커들을 관리하는 마커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10012523A (ko) * 2009-07-30 2011-02-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사용자 선택 정보에 의해 증강 현실을 제공하는 방법과 그를 위한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836A (ko) 2013-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15573B (zh) 投屏方法、装置、系统和计算机设备
KR102264613B1 (ko) 메시지 파라미터에 의한 메시지들의 라우팅
CN104980809B (zh) 一种弹幕处理方法和装置
US10564820B1 (en) Active content in digital media within a media universe
CN109474844B (zh) 视频信息处理方法及装置、计算机设备
US201200728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collection
CN106621326A (zh) 利用云转变的本地应用快速启动
CN106534875A (zh) 弹幕显示控制方法、装置及终端
US9592446B2 (en) Electronic game providing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electronic game program
JP2012120098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KR101721155B1 (ko) 동영상 클립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230195789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associating scenes depicted in media content with a map of where the media content was produced
KR101842657B1 (ko) 가상현실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CN112672179B (zh) 一种游戏直播的方法和装置及设备
US8860720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graphics over network
KR101401961B1 (ko)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시스템 및 방법
CN107085611A (zh) 一种虚拟现实游戏视频分享方法
CN105682759A (zh) 电子游戏提供装置、电子游戏装置、电子游戏提供程序以及电子游戏程序
KR20170101416A (ko)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을 통해 엔터테인먼트 관련 펀딩 정보 및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20140126152A (ko) 음악 컨텐츠 이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943554B1 (ko) 스포츠 경기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5446677A (zh) 用于多屏幕体验的设备和方法
CN109948082A (zh) 直播信息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KR20100125996A (ko) 동영상 정보에 구간별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US20230059361A1 (en) Cross-franchise object substitutions for immersive 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