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618B1 -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618B1
KR102086618B1 KR1020190036500A KR20190036500A KR102086618B1 KR 102086618 B1 KR102086618 B1 KR 102086618B1 KR 1020190036500 A KR1020190036500 A KR 1020190036500A KR 20190036500 A KR20190036500 A KR 20190036500A KR 102086618 B1 KR102086618 B1 KR 102086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unit
unit
present
height
spo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진우
Original Assignee
송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진우 filed Critical 송진우
Priority to KR1020190036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6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46Measurement devices associated with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for 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e.g. baseball bats with impact indicators or bracelets for measuring the golf sw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foo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70Measuring or simulating ambient conditions, e.g. weather, terrain or surface conditions
    • A63B2220/73Altitud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장치에 대한 것으로,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에 측면카메라유닛이 부착되기 위한 카메라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중심부에는 프레임에 고정된 중심카메라유닛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비된 통공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MULTI-SPORT SIMULATION SENSING DEVICE}
본 발명은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구기 스포츠 종목에 활용할 수 있는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 골프는 한정된 공간에서도 실제 필드에 있는 듯한 체험을 제공하는 골프시뮬레이션 시스템으로서, 실제 골프클럽의 스윙과 골프공의 움직임을 거의 실제와 같이 분석함으로써 많은 골프 유저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
종래 스크린 골프에 사용되는 시뮬레이션 장치는 골프클럽의 스윙 이외에도 실제 골프공의 물리량을 계산하여 분석결과를 제공하여 주는데, 골프공이라는 한정된 물체에 집중하여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정밀도를 높이고 있다.
공의 타격에 따른 물리량의 계산에 필요한 알고리즘은 어느 정도 유사하므로 이를 다양한 구기종목에 접목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면, 최근 스크린 야구 또는 스크린 테니스 등 실내에서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스포츠가 서비스되고 있다.
스크린 스포츠 시뮬레이션은 아직 고가의 장비이고 일정한 공간을 필요로 하는 점에서 다소 고액의 서비스 비용을 지불하고 즐길 수 있다. 시뮬레이션 스포츠는 실제 골프장, 운동장 등에서 즐기는 것에 비하여 현장감은 다소 떨어지지만, 공의 타격에 따른 물리량 계산과 사용자의 모션을 분석할 수 있는 점은 장점으로 꼽을 수 있다. 특히, 야구, 축구 등의 스포츠는 실외에서 즐기게 되므로 날씨와 같은 외부 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지만, 스크린을 활용한 스포츠의 경우 이러한 단점을 상쇄할 수 있다.
한편, 공교육 기관인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등에서는 다수의 반으로 편성되어 각각의 학급별로 정해진 학업 스케줄에 따라서 수업이 진행된다. 따라서, 악천후 시에도 스케줄에 따라 체육수업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실내 강당 등을 이용한 체육활동이 가능하지만, 운동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비좁은 공간을 이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골프 또는 야구 등의 종목은 타구에 의하여 제3자에 불측의 부상을 입힐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공교육 현장에서 학습 또는 지도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면이 있다.
스크린 스포츠의 장점은 교육목적의 활용성 측면에서 큰 장점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일정한 스케줄에 따라서 교과 커리큘럼이 정해진 공교육 현장에서 악천후 시 실내공간을 체육교육에 활용할 경우 더욱 그 활용성이 크다고 할 것이다.
공교육 현장에서 교육이 가능한 다양한 구기종목, 예를 들면 야구, 축구, 골프, 파크골프, 배드민턴 등에 두루 사용할 수 있는 범용성 시뮬레이션 장치가 제공된다면 학생들의 흥미를 증가시키고 학습효과 역시 두루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은 공의 크기가 다양한 구기종목에 두루 사용될 수 있으면서도, 설치 장소의 환경에 따라 편리하게 세팅이 가능한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는,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에 측면카메라유닛이 부착되기 위한 카메라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중심부에는 프레임에 고정된 중심카메라유닛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비된 통공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수용공간은 상기 중심부로부터 연장되어 소정의 각도를 이루어 형성된 제1 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중심부를 바라보도록 상기 제1 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측면카메라유닛이 상기 카메라수용공간에 배치되도록 부착되기 위한 제2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면카메라유닛은 렌즈부, 상기 렌즈부와 결합되어 상기 렌즈부의 초점축을 변경하기 위한 수평조정부 및 상기 수평조정부와 결합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의 초점축이 상기 중심카메라유닛의 초점축과 임의의 지점에서 교차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수평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장치는, 상기 측면카메라유닛의 렌즈부가 통과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부착되는 하부커버 및 상기 하부커버에 형성된 통공과 주변을 덮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의 크기가 다양한 구기종목에 두루 사용될 수 있으면서도, 설치 장소의 환경에 따라 편리하게 세팅이 가능한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의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의 하부커버가 제거된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의 하부커버가 제거된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의 하부커버에 부착될 수 있는 커버부재가 제거된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의 측면카메라의 구동방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의 높이를 달리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가 적용되는 스포츠를 달리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증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또는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라고 함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 PDA, 휴대전화 등 데이터를 수집, 판독, 처리, 가공, 저장, 표시할 수 있는 모든 계산 수단을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사용자 기기는 해독 가능한 코드로 작성된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킬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장치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소프트웨어를 자체적으로 저장하기도 하고, 또는 외부로부터 데이터와 함께 읽어 들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사용자 기기에는 위와 같은 데이터 처리 기능 뿐 아니라 입력, 출력, 저장 등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위하여 일반적인 컴퓨터 장치들이 갖는 CPU,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 하드디스크, 사운드 카드, 스피커,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USB, 통신 모뎀 등의 각종 요소들 뿐만 아니라 무선 스마트폰 단말기들이 갖는 CPU, 메인보드, 그래픽 칩, 메모리 칩, 사운드엔진, 스피커, 터치패드, USB 등의 외부 연결 단자, 통신 안테나, 3G, LTE, LTE-A, WiFi, 블루투스 등의 통신을 구현할 수 있는 통신 모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종 요소들이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이 함께, 또는 각종 요소들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면이나 상세한 설명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블록으로 표시된 장치 또는 그 일부분들은 위와 같은 사용자 기기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요소들이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이 함께, 또는 각종 요소들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기기,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 등은 통신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통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WCDMA, Wibro, WiFi, LTE, LTE-A, 3G, 4G, 5G, 유무선 전화망 등의 각종 네트워크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10)의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10)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10)는 하우징(100), 하부커버(200), 고정프레임(30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에는 측면카메라유닛(500)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 및 하우징(100)의 하부커버(200)의 소정의 영역에는 중심카메라유닛(400) 또는 측면카메라유닛(500)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또는 이들 카메라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이 접속할 수 있도록 케이블접속구(210)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 또는 하부커버(200)는 전기, 전자부품을 포함하는 카메라유닛 등을 내부에 포함할 수 있으므로, 난연성과 절연특징을 구비한 고분자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소재는 난연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또는 폴리아미드(Polyamide, PA)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하우징(100)의 외형을 유지하면서 절연성 및 난연성을 갖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주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되 전기적 절연이 필요한 곳에 부분적으로 난연성 고분자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1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에 측면카메라유닛(500)이 부착되기 위한 카메라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중심부에는 프레임에 고정된 중심카메라유닛(400)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비된 통공이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상기 하우징(100)은 고정프레임(300)이 부착된 부분을 중심으로 양측에 측면카메라유닛(500)이 부착될 수 있는 카메라수용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카메라수용공간의 상단부는 고정프레임(300)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300)은 중심카메라유닛(400)을 고정할 수 있는 브라켓이 더 포함될 수 있고, 하우징(100)의 상부에 부착되어 천정 등에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10)의 하부커버(200)가 제거된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중심카메라유닛(400)은 하부커버(200)를 통과하여 하방을 지향하도록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을 통해 알 수 있듯이 하우징(100)의 중심부에는 중심카메라유닛(400)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되는데, 중심카메라유닛(4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중심카메라렌즈부(410)를 포함하며, 다수의 카메라구동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열을 방출하기 위해 방열판(420)이 구비될 수 있으므로, 고정프레임(300)에 부착된다.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10)의 하우징(100)의 카메라수용공간은 중심부(101)로부터 연장되어 소정의 각도를 이루어 형성된 제1 면(102), 제1 면(102)으로부터 연장되고 중심부(101)를 바라보도록 제1 면(102)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어 형성되고, 측면카메라유닛(500)이 카메라수용공간에 배치되도록 부착되기 위한 제2 면(103)을 형성할 수 있다.
중심카메라유닛(400)과 측면카메라유닛(500)은 중심카메라유닛(400)의 하방으로의 초점축과 측면카메라유닛(500)의 초점축이 임의의 지점에서 서로 교차하여야 타격된 볼의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타격된 공의 회전속도와 같은 물리량을 보다 효과적으로 계측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면(103)에 배치된 측면카메라유닛(500)의 초점축이 중심카메라유닛(400)의 중심축과 교차하도록 제2 면(10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중심카메라유닛(400)은 수직한 하방의 이미지 또는 비스듬한 방향의 하방을 촬영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양한 구기종목에 있어서, 타격된 공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직하방향 보다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카메라렌즈를 정렬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지면으로 비스듬한 방향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배치된 중심카메라유닛(400)의 초점축과 측면카메라유닛(500)의 초점축이 교차하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면(102)와 제2 면(103)에 더하여 제3 면(104)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10)의 하부커버(200)가 제거된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과 도 4를 참고하면, 하우징(100)의 카메라수용공간에 배치된 측면카메라유닛(500)이 지면과 비스듬한 각도의 방향으로 배치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측면카메라유닛(500)은 렌즈부(510), 상기 렌즈부(510)와 결합되어 상기 렌즈부(510)의 초점축을 변경하기 위한 수평조정부(600) 및 상기 수평조정부(600)와 결합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510)의 초점축이 상기 중심카메라유닛(400)의 초점축과 임의의 지점에서 교차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수평제어유닛(7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전기, 유압, 압축 공기 등을 사용하는 원동기로서 상기 수평제어유닛(700)의 전기적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수평조정부(600)의 수평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10)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룸(room)의 천장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심카메라유닛(400)과 측면카메라유닛(500)의 초점축이 임의의 방향을 지향하도록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각각의 초점이 공통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보다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축구의 경우 골프와 마찬가지로 매트에 공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킥을 하게 된다. 그러나, 축구공과 골프공의 크기는 그 차이가 매우 크다. 따라서, 골프에서 축구로 종목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축구공 크기를 고려하여 중심카메라유닛(400)의 초점과 측면카메라유닛(500)의 초점축의 방향 및 초점이 조절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측면카메라유닛(500)의 수평조정부(600)는 렌즈부(510)의 하부에 부착되어 렌즈부(510)의 초점축이 임의의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데, 수평조정부(600)는 수평제어유닛(700)의 액추에이터에 연결되어 사용자 기기, 또는 서버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렌즈부(510)의 초점축을 제어할 수 있다.
수평제어유닛(700)은 중심카메라유닛(400)의 초점정보를 이용하여 렌즈부(510)의 초점축을 중심카메라유닛(400)의 초점정보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액추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10)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10)의 하부커버(200)에 부착될 수 있는 커버부재(220)가 제거된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장치는, 상기 측면카메라유닛(500)의 렌즈부(510)가 통과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부착되는 하부커버(200) 및 상기 하부커버(200)에 형성된 통공과 주변을 덮는 커버부재(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참고하면, 하부커버(200)의 통공 및 그 내부에 위치한 측면카메라유닛(500)의 렌즈부(510)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주변의 빛 반사 등이 미치는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커버부재(220)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반투명의 고분자 소재 또는 유리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빛의 간섭효과를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면서도 일정한 투과성을 갖는 소재라면 제한 없이 이를 적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10)의 측면카메라의 구동방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측면카메라유닛(500)의 초점축은 중심카메라유닛(400)의 중심축과 임의의 지점에서 교차하는 것이 타격된 공의 이미지를 획득하는데 유리하므로 일방향으로만 제어되기 보다는 도 4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4방향의 자유도를 갖고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제어유닛(700)은 사용자 기기 또는 서버로부터 전송된 임의의 정보에 따라 수평조정부(600)를 제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되먹임 제어(feedback) 방식을 통하여 중심카메라유닛(400)과 측면카메라유닛(500)의 초점이 하방에 놓인 공에 상응하여 맺힐 수 있도록 자동제어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또는, 수평제어유닛(700)은 중심카메라유닛(400)의 초점정보를 이용하여 되먹임 제어방식을 통하여 렌즈부(510)의 초점축을 중심카메라유닛(400)의 초점정보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액추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초점의 자동제어방식은 지면 또는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의 범위에서 조절되도록 미리 세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축구와 골프의 경우 지면 가까이에서 타격이 이루어지므로 약 0.5 내지 30cm 높이를 범위로 세팅되도록 하고, 야구배트를 이용한 배팅볼의 경우, 허리 높이에서 배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지면으로부터 약 0.5 내지 1.5m의 높이를 범위로 하여 세팅하여 수평제어유닛(700) 등이 보다 빠르게 세팅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의 높이를 달리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를 각각 다른 높이의 천장에 설치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a)와 (b)의 천장의 높이는 각각 h1과 h2이다. 골프를 예로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는 설치되는 높이에 따라 측면카메라유닛(500)에 포함된 렌즈부(510)의 초점이 중심카메라유닛(400)의 초점과 일치되도록 초점축(f2 또는 f3)을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천장의 높이가 h1인 곳에서 h2로 옮기게 되는 경우, 천장의 높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중심카메라유닛(400)와 측면카메라유닛(500)의 초점이 골프공에 맞추어 지도록 액추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가 적용되는 스포츠를 달리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따르면, 천장의 높이는 모두 h3로 동일하지만, 공의 크기 또는 스포츠 종목에 따라 초점이 맞추어지는 높이가 각각 상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는 골프, (d)는 축구 그리고 (e)는 야구를 각각 예시한 것이다. 각각의 도면을 참고하면, 골프공과 축구공은 서로 크기가 달라 초점이 맺히는 위치가 상이하므로 중앙카메라유닛(400)과 측면카메라유닛(500)의 초점축이 교차하는 위치가 조정되어야 보다 정밀한 계측이 가능하다. 야구의 경우, 티(P)에 야구공(B3)을 올려놓고 티배팅을 하는 경우,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위치한 공을 타격해야 하고, 중앙카메라유닛(400)과 측면카메라유닛(500)의 초점축이 교차하는 위치가 조정되어야 정밀한 계측이 가능해진다. 사용자의 신장(성인 또는 아동)에 따라서 티(P)의 높이를 달리해야 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종목의 경우라도 중앙카메라유닛(400)과 측면카메라유닛(500)의 초점축이 교차하는 위치가 변경되어햐 하는데,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의 경우에는 간단히 중앙카메라유닛(400)과 측면카메라유닛(500)의 초점을 볼(B3)에 위치하도록 손쉽게 제어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동일한 공간의 천장에 설치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를 이용하여 설치위치(또는 높이)에 무관하게 다양한 종목의 스크린 스포츠를 즐길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
100: 하우징
110(110a, 110b): 체결구
200: 하부커버
210(210a, 220b): 케이블접속구
220(220a, 220b): 커버부재
300: 고정프레임
400: 중심카메라유닛
410: 중심카메라렌즈부
420: 방열판
500: 측면카메라유닛
510: 렌즈부
600(600a, 600b): 수평조정부
700(700a, 700b): 수평제어유닛

Claims (4)

  1.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에 측면카메라유닛이 부착되기 위한 카메라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중심부에는 프레임에 고정된 중심카메라유닛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비된 통공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중심부로부터 연장되어 소정의 각도를 이루어 형성된 제1 면과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중심부를 바라보도록 상기 제1 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측면카메라유닛이 상기 카메라수용공간에 배치되도록 부착되기 위한 제2 면을 구비하고,
    상기 중심카메라유닛과 상기 측면카메라유닛의 초점은 지면으로부터 0.5-30cm의 제1 높이 또는 0.5-1.5m의 제2 높이의 범위에서 교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측면카메라유닛은 렌즈부, 상기 렌즈부와 결합되어 상기 렌즈부의 초점축을 변경하기 위한 수평조정부 및 상기 수평조정부와 결합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렌즈부의 초점축이 상기 중심카메라유닛의 초점과 상기 제1 높이 또는 상기 제2 높이에서 교차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수평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제어유닛은 상기 중심카메라유닛의 초점정보를 이용하여 되먹임 제어방식을 통하여 상기 렌즈부의 초점축을 상기 중심카메라유닛의 초점정보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계측장치는 상기 중심카메라유닛의 초점정보를 이용하여 설치된 높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설치위치 또는 설치높이를 계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
KR1020190036500A 2019-03-29 2019-03-29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 KR102086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500A KR102086618B1 (ko) 2019-03-29 2019-03-29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500A KR102086618B1 (ko) 2019-03-29 2019-03-29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209A Division KR101967828B1 (ko) 2018-12-11 2018-12-11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618B1 true KR102086618B1 (ko) 2020-03-09

Family

ID=69802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500A KR102086618B1 (ko) 2019-03-29 2019-03-29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61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7199B1 (ko) * 1996-12-17 2000-01-15 구자홍 3차원 영상 기록/재생 장치
JP2006340778A (ja) * 2005-06-07 2006-12-21 Sri Sports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製造方法
KR20100137687A (ko) * 2009-06-23 2010-12-31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고속 씨씨디 카메라의 촬상 이미지를 이용한 골프공의 비행데이터 측정방법
KR20110114057A (ko) * 2010-04-12 2011-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 및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의 구동 방법
KR101215401B1 (ko) * 2011-03-15 2012-12-26 김병국 보호덮개를 구비한 씨씨티비 카메라
JP2013009789A (ja) * 2011-06-29 2013-01-17 Bridgestone Corp カメラシステム、撮影システム及び撮影方法
KR101230613B1 (ko) * 2011-03-09 2013-02-14 엔지비스 주식회사 Cmos센서를 기반으로 한 구형 물체의 비행정보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270025B1 (ko) * 2011-03-08 2013-05-31 (주)하이브 스테레오 카메라의 주시각 제어방법 및 그 스테레오 카메라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7199B1 (ko) * 1996-12-17 2000-01-15 구자홍 3차원 영상 기록/재생 장치
JP2006340778A (ja) * 2005-06-07 2006-12-21 Sri Sports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製造方法
KR20100137687A (ko) * 2009-06-23 2010-12-31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고속 씨씨디 카메라의 촬상 이미지를 이용한 골프공의 비행데이터 측정방법
KR20110114057A (ko) * 2010-04-12 2011-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 및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의 구동 방법
KR101270025B1 (ko) * 2011-03-08 2013-05-31 (주)하이브 스테레오 카메라의 주시각 제어방법 및 그 스테레오 카메라 장치
KR101230613B1 (ko) * 2011-03-09 2013-02-14 엔지비스 주식회사 Cmos센서를 기반으로 한 구형 물체의 비행정보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215401B1 (ko) * 2011-03-15 2012-12-26 김병국 보호덮개를 구비한 씨씨티비 카메라
JP2013009789A (ja) * 2011-06-29 2013-01-17 Bridgestone Corp カメラシステム、撮影システム及び撮影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3260A (en) Virtual reality baseball training and amusement system
KR101007947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상현실 무도 대련시스템 및 그 방법
US1061075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basketball shots
US20170173465A1 (en) Object tracking interface device as a peripheral input device for computers or game consoles
US7554511B2 (en) Device and a method for creating an environment for a creature
KR20190046087A (ko) 스크린 골프장 시스템
KR101967828B1 (ko)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
KR102086618B1 (ko)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
KR20150118761A (ko) 사용자 운동량을 관리하고 운동량 목표 달성을 유도하는 런닝머신 시스템
US11951407B2 (en) Screen soccer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creen soccer
KR102224182B1 (ko)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골프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999203B1 (ko)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 연습 시스템 및 이의 관리 시스템
KR101997764B1 (ko)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제공 방법
Li Application of virtual environment in the teaching of basketball tactics
KR101430723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2249103B1 (ko) 트레드밀형 암벽등반 모사장치
US20220032149A1 (en) Basketball training apparatus for improving basketball shot making and a method thereof
KR101990377B1 (ko) 멀티스포츠 센싱시스템
CN103830904A (zh) 实现3d立体仿真游戏的装置
KR102225912B1 (ko)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638486B1 (ko) 드론 및 gis를 이용한 실감형 골프 컨텐츠 제공시스템
CN113457094A (zh) 一种室内高尔夫挥杆练习用辅助设备
KR102043559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가상 골프 플레이 시스템
KR102430084B1 (ko) 라이다 센서를 이용한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시스템
AU2020319631B2 (en) Basketball training apparatus for improving basketball shot making and a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