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499B1 -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499B1
KR102086499B1 KR1020190001995A KR20190001995A KR102086499B1 KR 102086499 B1 KR102086499 B1 KR 102086499B1 KR 1020190001995 A KR1020190001995 A KR 1020190001995A KR 20190001995 A KR20190001995 A KR 20190001995A KR 102086499 B1 KR102086499 B1 KR 102086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lug
terminal
switche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우
최유리
김정은
서진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굿텍
주식회사 모비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굿텍, 주식회사 모비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굿텍
Priority to KR1020190001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4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전력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전원공급에 의해 구동되는 어떠한 사물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원을 차단하고, 이와 반대로 사물을 사용할 경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본 명세서는 통신이 가능한 송수신부가 내부에 설치되고 콘센트에 결합되며 대상물에 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플러그; 통신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설치된 송수신기가 송수신부와 연결되고 대상물의 전원부에 부착되어 플러그의 ON/OFF 명령에 의해 작동되며 동시에 전원부를 구동시키는 스위처; 및, 송수신부와 연결되고 플러그와 송수신할 수 있는 거리 값의 범위를 미리 설정하여 거리 값의 범위 내에서 상기 플러그를 제어하는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 {Power supply control system based of IoT}
본 명세서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은 세상에 존재하는 유형 혹은 무형의 객체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개별 객체들이 제공하지 못했던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사물인터넷은 단어의 뜻 그대로 ‘사물들(things)’이 ‘서로 연결된(Internet)’ 것 혹은 ‘사물들로 구성된 인터넷’을 말한다. 기존의 인터넷이 컴퓨터나 무선 인터넷이 가능했던 휴대전화들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었던 것과는 달리, 사물인터넷은 책상, 자동차, 가방, 나무, 애완견 등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이 연결되어 구성된 인터넷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기술들은 이미 많이 개발되어지고 있다.
종래기술의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91983호는 사물통신망과 인터넷전화망 연동 시스템에 있어서, 사물에 설치되어 상기 사물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며, E164에 따른 전화번호가 할당되지 않은 사물통신단말; 및 상기 사물통신단말로부터 상기 사물의 식별정보와 상기 사물의 상태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사물의 상태별로 대응 서비스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별 판단정책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사물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대응 서비스를 선택하고, 상기 사물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입자 정보와 사물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사물/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사물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입자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가입자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가입자 전화번호로 호(call)를 자동 생성하여 선택된 대응 서비스를 수행하는 연동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기존의 전화망을 이용하여 다양한 사물통신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는 사물통신망과 인터넷전화망 연동 시스템을 제공하고, 사물통신단말이 차량인 경우 차량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이벤트 정보를 미리 등록되어 있는 가입자 전화번호로 자동 발신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의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사물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 불필요한 전원을 차단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사물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술들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91983호
본 명세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전력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전원공급에 의해 구동되는 어떠한 사물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원을 차단하고, 이와 반대로 사물을 사용할 경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전원 공급에 의해 작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상물들을 제어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명세서의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은 통신이 가능한 송수신부가 내부에 설치되고 콘센트에 결합되며 대상물에 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플러그; 통신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설치된 송수신기가 송수신부와 연결되고 대상물의 전원부에 부착되어 플러그의 ON/OFF 명령에 의해 작동되며 동시에 전원부를 구동시키는 스위처; 및, 송수신부와 연결되고 플러그와 송수신할 수 있는 거리 값의 범위를 미리 설정하여 거리 값의 범위 내에서 상기 플러그를 제어하는 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플러그는, 단말기와의 거리가 거리 값의 범위 외로 벗어나게 될 경우 전원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플러그는, 콘센트에 삽입되는 단자 및, 단자에 연장되고 대상물에 전원이 공급되기 위해 대상물의 일부가 삽입되며 단말기에 의해 전원이 단자에서 대상물로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배치된 전원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원제어기는, 단자에 연장되는 바디부; 바디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원이 충전되는 배터리부; 배터리부에 연결되고 단말기와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송수신부와 연결되고 단말기에서 수신된 신호에 의해 대상물에 전원 공급의 여부를 결정하며 송수신부를 통해 전원제어기의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처리부; 및, 처리부에 연결되어 처리부의 신호에 따라 대상물로 상기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비된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스위치부는, 바디부의 외부로 일부 돌출되고 대상물에 수동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Push/Pull 되는 수동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스위처는, 대상물의 전원부에 커버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원이 충전되는 배터리; 배터리에 연결되고 송수신부에 연결되는 송수신기; 송수신기에 연결되고 전원부의 구동 상태를 감지하고 플러그에서 전달된 ON/OFF 명령을 판단하여 전원부를 구동시키는 제어기; 및, 제어기에 의해 작동되고 전원부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작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작동수단은, 하우징의 내부에서 외부로 승강되는 전원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작동수단은, 광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작동수단은, 사운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플러그 및 스위처는, 각각 서로의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고, 플러그 및 스위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단말기로 상기 상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전력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전원공급에 의해 구동되는 어떠한 사물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원을 차단하고, 이와 반대로 사물을 사용할 경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전원 공급에 의해 작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상물들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 중 플러그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 중 스위처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중 설정단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중 사전 설정단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중 대상물을 작동시키기 위한 사전 설정단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중 대상물을 해제시키기 위한 사전 설정단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중 사전 설정단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출원인은 자신의 기술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기술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기술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의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100)은 플러그(110)와, 스위처(120) 및 단말기(130)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110)와, 상기 스위처(120) 및 상기 단말기(130)를 서로 연결시키는 네트워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140)는 상기 플러그(110)와, 상기 스위처(120) 및 상기 단말기(130)가 각각 서로 연결되도록 무선이나 유선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140)는 상기 플러그(110)와, 상기 스위처(120) 및 상기 단말기(130)가 서로 연동하기 위해, 허브(Hub)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러그(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통신이 가능한 후술할 송수신부(도 3 참조:112c)가 내부에 설치되며 콘센트에 결합되고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대상물에 상기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스위처(120)는 통신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설치된 후술할 송수신기(도 5 참조:123)가 상기 송수신부(112c)와 연결되고 상기 대상물의 전원부에 부착되어 상기 플러그(110)의 ON/OFF 명령에 의해 작동되며 동시에 상기 전원부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는 에어컨, TV, 세탁기, 건조기, 전기밥솥, 청소기, 공기청정기에 형성된 전원부 외에도 조명스위치, 멀티탭에 설치된 스위치와 같이, 온(ON)과 오프(OFF)의 기능을 갖는 모든 스위치에 해당된다.
상기 단말기(130)는 상기 송수신부(112c)와 연결되고 상기 플러그(110)와 송수신할 수 있는 거리 값의 범위를 미리 설정하여 상기 거리 값의 범위 내에서 상기 플러그(11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110) 및 상기 스위치(120)는 각각 서로의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플러그(110) 및 상기 스위처(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단말기(130)로 상기 상태 정보를 송수신이 가능하다.
상기 플러그(110)와, 상기 스위처(120) 및 상기 단말기(130)간 유기적인 연결구조 및 이에 의해 도출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6을 토대로 후술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 중 플러그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상기 도 2의 (b)를 참고하여, 상기 플러그(110)는 단자(111) 및, 전원제어기(112)를 포함한다.
상기 단자(111)는 상기 콘센트에 삽입되고 110V 또는 220V 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콘센트에 따라, 3상 4선식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제어기(112)는 상기 단자(111)에 연장되고 상기 대상물에 상기 전원이 공급되기 위해 상기 대상물의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단말기(130)에 의해 상기 전원이 상기 단자(111)에서 상기 대상물로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도 2의 (a)를 참고하여, 상기 전원제어기(112)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대상물이 상기 단자(111)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해, 상기 대상물의 일부 즉, 상기 대상물에 형성된 전원플러그가 삽입되도록 내부에 공간부(112-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부(112-1)가 형성된 상기 전원제어기(112)의 내부에는 상기 전원플러그가 삽입되어 상기 단자(111)로부터 상기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홀(11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홀(112-2)이 형성된 상기 전원제어기(112)의 내부에는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물질방지커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사용시에 상기 전원플러그를 상기 이물질방지커버로 밀어 상기 전원플러그가 상기 전원제어기(112)에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공간부(112-1)가 형성된 상기 전원제어기(112)의 내측에는 상기 전원플러그가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된 걸림고리(112-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여, 상기 전원제어기(112)는 상기 단자(111)에 연장되는 바디부(112a)와, 상기 바디부(112a)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이 충전되는 배터리부(112b)와, 상기 배터리부(112b)에 연결되고 상기 단말기(130)와 송수신하는 송수신부(112c)와, 상기 송수신부(112c)와 연결되고 상기 단말기(130)에서 수신된 신호에 의해 상기 대상물에 상기 전원 공급의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송수신부(112c)를 통해 상기 전원제어기(112)의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처리부(112d) 및, 상기 처리부에 연결되어 상기 처리부(112d)의 신호에 따라 상기 대상물로 상기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비된 스위치부(112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부(112b)는 상기 단자(111)에서 전달된 상기 전원을 저장하여 일시적인 정전이나 상기 단자(111)가 상기 콘센트에 꼽혀있지 않을 경우에도 상기 대상물에 일정 시간 동안의 상기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112c)는 상기 단말기(130)와 서로 연결되도록 특정 주파수를 사용하거나 통신사업자, Wifi, 블루투스(Bluetooth)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상기 단말기(13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Bluetooth)는 휴대기기를 서로 연결해 정보를 교환하는 근거리 무선 기술 표준을 뜻한다. 주로 10미터 안팎의 초단거리에서 저전력 무선 연결이 필요할 때 쓰인다. 만약, 상기 전원제어기(112)가 블루투스(Bluetooth)로 설정되어 구비된다면, 상기 플러그(110)는 상기 단말기(130)와의 거리가 상기 거리 값의 범위 외로 벗어나게 될 경우 상기 전원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이 차단된다면, 상기 플러그(110)는 자동으로 상기 스위처(120)에게 OFF 명령을 내리게 되고, 상기 대상물에게 상기 전원 공급을 중단한다.
상기 처리부(112d)는 상기 플러그(110)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이 가능하고, 이와 더불어 상기 단말기에서 전달된 신호 즉, 상기 플러그(110)의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명령은 ON/OFF 신호를 말한다. 상기 처리부(112d)는 상기 배터리부(112b)에 저장된 상기 전원의 전력량, 상기 송수신부(112c)와 상기 단말기간 연결되는 신호의 강도, 후술할 상기 스위치부(112e)의 작동여부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치부(112e)는 상기 콘센트와 상기 대상물과의 연결을 차폐하고, 상기 스위치부(112e)는 상기 바디부(112a)의 외부로 일부 돌출되고 상기 대상물에 수동적으로 상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Push/Pull 되는 수동스위치(도 2 참조:11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여, 상기 플러그(110)는 상기와 같은 구성들을 토대로, 상기 네트워크(140)를 통해 상기 단말기(130)와 송수신이 가능하고, 상기 단말기(130)에서 전달된 제어명령을 수행하여 상기 대상물에게 상기 전원을 공급 및 차단이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은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 중 스위처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상기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상기 스위처(120)는 상기 대상물의 상기 전원부에 커버되는 하우징(121)과, 상기 하우징(121)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이 충전되는 배터리(122)와,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고 상기 송수신부(112c)에 연결되는 상기 송수신기(123)와, 상기 송수신기(123)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부의 구동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플러그(110)에서 전달된 ON/OFF 명령을 판단하여 상기 전원부를 구동시키는 제어기(124) 및, 상기 제어기(124)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전원부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작동수단(125)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21)과 상기 전원부는 벨크로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상기 전원부의 외측면에는 부직포가 부착되며, 상기 하우징(121)의 외주면에도 상기 부직포와 동일한 위치에 다수개의 갈고리의 형상을 갖는 벨크로(120b)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22)는 상기 전원을 저장하여 일시적인 정전에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송수신기(123)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30)와 서로 연결되도록 특정 주파수를 사용하거나 통신사업자, Wifi, 블루투스(Bluetooth)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상기 송수신부(112c)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때에 따라 상기 송수신기(123)는 상기 단말기(130)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기(124)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스위처(120)의 상태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기(124)는 상기 플러그(110)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전원부를 구동시킨다. 상기 제어기(124)는 상기 배터리(122)의 전력량과, 상기 송수신기(123)와 상기 단말기(130)간 통신의 신호 강도 및 상기 전원부의 상태 정보를 상기 단말기(130)로 송신할 수도 있다.
상기 작동수단(125)은 상기 하우징(121)의 내부에서 외부로 승강되는 전원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핀은 상기 제어기(124)의 신호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전원 핀(125)은 상기 전원부와 대응되게 적어도 1 구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처(120)는 상기 전원부에 대향되어 상기 하우징(121)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처(120)의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12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20a)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LED 또는 알람 기능이 탑재된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20a)에 상기 LED가 배치된다면, 상기 전원부의 작동여부에 따라, 색상이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20a)에 상기 스피커가 설치된다면, 상기 전원부의 작동여부에 따라, 상기 스피커에서 전달되는 신호음의 길이, 신호음의 높낮이, 규칙 또는 불규적인 신호음들 및, 음악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전원부의 작동여부를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수단(125)은 광 센서 및 사운드 센서를 더 포함한다.
상기 광 센서(미도시)는 상기 전원부에서 발산되는 빛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21) 중 상기 대상물에 부착되는 면, 상기 전원부 중 상기 빛이 발산되는 인근 또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부가 구동될 경우(상기 대상물의 품목마다 다를 수 있다.) 상기 대상물에서 발산되는 빛을 상기 광 센서가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빛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기(124)가 판단하여, 상기 대상물의 오작동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24)가 상기 대상물의 오작동을 감지했을 경우에는 상기 작동수단(125)을 재가동시키거나, 이에 대한 보고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운드 센서(미도시)는 상기 대상물에서 전달되는 소리를 감지하여, 상기 대상물의 오작동을 감지한다. 상기 대상물의 오작동이 감지되었을 경우에 상기 사운드 센서는 신호음의 길이, 신호음의 높낮이, 규칙 또는 불규칙적인 신호음들 및 음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리로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운드 센서가 상기 오작동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기(124)에 의해 상기 스위처(120)는 재가동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콘센트에 플러그를 결합시키고 단말기에 상기 플러그를 인식시키며 전원부에 장착된 스위처를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는 식별단계(S100);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처 간의 ON/OFF 작동을 설정하는 설정단계(S200);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제어명령을 입력하고 상기 단말기를 통해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상기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송신단계(S300); 및,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 상태 여부를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하는 수신단계(S400);를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와 상기 스위처 및 상기 단말기가 각각 서로 연결되도록 본 명세서에서의 상기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네트워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이나 유선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플러그와, 상기 스위처 및 상기 단말기가 서로 연동하기 위해, 허브(Hub)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러그와 상기 스위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통신이 가능한 통신장치가 내부에 설치되며 콘센트에 결합되고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대상물에 상기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식별단계(S100)에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스위처와 동일하게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될 수도 있다.
상기 식별단계(S100)는 최초의 단계로서, 상기 단말기에 상기 플러그와 상기 스위처를 연결시키기 위해, 우선,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0~30m 사이의 거리내에서 상기 플러그와 상기 스위처를 ON하고, 이어서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를 구동시킨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처에서 전파되는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신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단말기가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처와 연결시킨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는 블루투스(Bluetooth)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Bluetooth)는 통신거리가 약 10m 이내 이므로 상기 플러그에 상기 블루투스(Bluetooth)가 장착될 경우에 상기 단말기와 약 10m 이외로 벗어나면, 통신이 끊기게 되고, 이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대상물로 상기 전원의 인가를 해제할 수도 있다.
상기 식별단계(S100)에서 상기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플러그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처와 인식 및 등록 단계를 마치게 되면 이어서, 상기 설정단계(S200)로 이동된다.
상기 식별단계(S100)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처와 연결되는데, 이때, 무분별하게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처에는 고유의 식별번호가 저장되고, 상기 식별번호의 입력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처와 연결이 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처의 식별번호는 제품의 설명서 또는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처에 기재되어 있거나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중 상기 대상물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기와 연동되는 것 일 수도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중 설정단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상기 설정단계(S200)는 상기 플러그와 상기 단말기 간의 송수신할 수 있는 거리 값의 범위를 미리 설정하여 상기 거리 값의 범위 내에서 상기 플러그의 제어가 가능하고, 상기 플러그와 상기 단말기의 거리가 상기 거리 값의 범위 외로 벗어나게 될 경우 상기 플러그가 상기 대상물로 인가되는 상기 전원의 공급을 차단(OFF)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상기 설정단계(S200)는 설정 확인 단계(S210)와, 선택제어단계(S220) 및 사전 설정단계(S230)를 포함하고,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채택하여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설정 확인 단계(S2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스위처가 작동될 모형의 패턴이 저장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스위처를 연결시켜 상기 모형의 패턴을 테스트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면, 상기 단말기 내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나타나고, 이어서, 상기 플러그의 연결 상태와 상기 스위처의 연결 상태 및 구동 상태를 볼 수 있도록 설정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나타난 상기 모형의 패턴은 상기 스위처의 형상과 유사할 수 있고, 적어도 1구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택제어단계(S220)은 상기 플러그와, 상기 스위처 및 상기 대상물을 개별제어 또는 전체제어 할 수도 있다.
상기 개별제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플러그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처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대상물들 중 사용자가 구동시키고 싶은 상기 대상물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개별제어는 상기 대상물들 중 사용자가 특정하는 상기 대상물을 구동시키기 위해, 그와 연결된 상기 플러그와 상기 스위처가 구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가 특정하는 상기 대상물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저장될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자동 또는 이미 저장된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처의 구동으로 상기 대상물을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전체제어는 상기 단말기에 연결된 상기 플러그와 상기 스위처를 전체적으로 ON 또는 OFF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사전 설정단계(S230)는 상기 플러그와 상기 스위처의 ON/OFF 기능을 미리 설정해 놓는 것이다.
상기 사전 설정단계(S230)에 대해서는 도 3을 토대로 후술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중 사전 설정단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전 설정단계(S230)는 상기 대상물을 작동시키기 위한 사전 설정단계(S231)와, 상기 대상물을 해제시키기 위한 사전 설정단계(S232)를 포함한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중 대상물을 작동시키기 위한 사전 설정단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물을 작동시키기 위한 상기 사전 설정단계(S231)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플러그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플러그의 상태를 ON으로 하는 제1 설정단계(S231a)와, 상기 플러그의 상태가 ON으로 위치되면 상기 스위치의 상태를 ON으로 하는 제2 설정단계(S231b) 및 상기 스위치의 상태가 ON이 되면 상기 대상물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제3 설정단계(S231c)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설정단계(S231a)는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상기 플러그에 연결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미리 설정된 상기 플러그의 ON/OFF 상태를 ON으로 설정한다.
상기 제2 설정단계(S231b)는 상기 플러그에 ON이 설정되고 이어서, 상기 스위처에 ON 상태로 설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처는 상기 플러그와 연동될 수 있고, 상기 플러그의 ON/OFF의 상태에 따라, 서로 통신하여 동시동작될 수도 있다.
상기 제3 설정단계(S231c)는 상기 스위치의 상태가 ON이 되면 상기 대상물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게 되고 이어서 상기 대상물은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대상물들 중 일부에는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송수신수단이 장착된 것 일 수도 있고, 이에 의해 상기 단말기가 상기 대상물의 작동 신호를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설정단계(S231b)에 앞서, 상기 스위처는 내부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색상의 LED 또는 알람 기능이 탑재된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위처에 상기 LED가 장착될 경우에는, 상기 스위처의 작동여부에 따라, 색상이 다르게 발산할 수 있다.
상기 스위처에 상기 스피커가 장착될 경우에는, 상기 스위처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스피커에서 전달되는 신호음의 길이, 신호음의 높낮이, 규칙 또는 불규칙적인 신호음들 및 음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리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처에 기능을 부가하자면, 상기 스위처의 작동이 완벽하게 이루어졌는 지에 대해, 상기 스위처가 상기 단말기나 불빛 또는 소리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스위처에 형성된 버튼을 통해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버튼을 누르는 시간의 길이나, 상기 버튼을 누르는 횟수에 따라서, 그 기능을 설정 또는 해제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중 대상물을 해제시키기 위한 사전 설정단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물을 해제시키기 위한 상기 사전 설정단계(S232)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스위처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스위처의 상태를 OFF로 하는 제1 해제단계(S232a)와, 상기 스위처의 상태가 OFF로 위치되면 상기 플러그의 상태를 OFF로 하는 제2 해제단계(S232b) 및, 상기 플러그의 상태가 OFF가 되면 상기 대상물에 상기 전원을 차단하난 제3 설정단계(S232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중 사전 설정단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처의 동작에 의해 상기 대상물이 올바르게 작동하는 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스위처에 빛이 발산하는 패턴 또는 소리를를 등록시킨다. 이후에, 상기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키고 상기 플러그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 후 ON을 선택하여 상기 플러그가 상기 콘센트로부터 상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플러그에 상기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플러그에서 상기 대상물에 형성된 콘센트나 상기 전원부로 상기 전원이 이동된다. 이때, 상기 플러그에서 상기 스위처로 ON 명령을 전달하면 상기 스위처는 ON으로 변환됨과 동시에, 상기 스위처가 정상적으로 ON이 되었다면 그에 해당하는 불빛이 발산 또는 신호음이 들리게 된다. 허나, 이 과정에서 문제가 있다면, 상기 스위처는 이상 신호음 또는 그와 관련된 불빛을 발산하고 상기 플러그가 다시 상기 스위처에 ON에 대한 신호를 명령하며 상기 스위처는 그에 해당하는 동작을 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대상물을 OFF 하기 위해서는,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스위처에 OFF 명령을 전달하고, 이어서, 상기 스위처가 OFF됨과 동시에 상기 플러그도 OFF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스위처는 OFF 되는 신호음 또는 불빛을 발산하게 된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상기 플러그 또는 상기 대상물이 OFF 되지 않을 경우 다시 상기 스위처 OFF의 명령신호로 자동으로 전달된다. 문제가 없을 경우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플러그와 상기 스위처의 OFF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사용자는 외부에서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처를 컨트롤 하여, 상기 사용자가 하고자 하는 일들에 대한 준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TV나 인덕션, 전기밥솥, 에어컨, 난로 등 ON/OFF 여부의 확인이 필요할 때, 외부에서 컨트롤이 가능하고, 상기 사용자의 기억장애가 있을 경우에도, 화재나 재해로부터 안전하게 재산을 지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기술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기술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
110:플러그 111:단자
111a:지지부 111b:삽입부
112-1:공간부 112-2:홀
112-3:걸림고리 112:전원제어기
112a:수동스위치 112a-1:바디부
112b:배터리부 112c:송수신부
112d:처리부 112e:스위치부
120:스위처 120a:표시부
120b:벨크로 121:하우징
122:배터리 123:송수신기
124:제어기 125:작동수단
130:단말기

Claims (10)

  1. 통신이 가능한 송수신부가 내부에 설치되고 콘센트에 결합되며 대상물에 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플러그;
    통신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설치된 송수신기가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되고 상기 대상물의 전원부에 부착되어 상기 플러그의 ON/OFF 명령에 의해 작동되며 동시에 상기 전원부를 구동시키는 스위처;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되고 상기 플러그와 송수신할 수 있는 거리 값의 범위를 미리 설정하여 상기 거리 값의 범위 내에서 상기 플러그를 제어하는 단말기;
    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콘센트에 삽입되는 단자 및,
    상기 단자에 연장되고 상기 대상물에 상기 전원이 공급되기 위해 상기 대상물의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전원이 상기 단자에서 상기 대상물로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배치된 전원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제어기는,
    상기 단자에 연장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이 충전되는 배터리부;
    상기 배터리부에 연결되고 상기 단말기와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되고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된 신호에 의해 상기 대상물에 상기 전원 공급의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전원제어기의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에 연결되어 상기 처리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대상물로 상기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비된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배터리부에 저장된 상기 전원의 전력량, 상기 송수신부와 상기 단말기간 연결되는 신호의 강도, 상기 스위치부의 작동여부 정보가 포함된 상기 플러그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에서 전달된 제어명령을 수행하며,
    상기 스위처는,
    상기 대상물의 전원부에 커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이 충전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고 상기 송수신부에 연결되는 송수신기;
    상기 송수신기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부의 구동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플러그에서 전달된 ON/OFF 명령을 판단하여 상기 전원부를 구동시키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전원부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작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플러그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전원부를 구동시키며, 상기 배터리의 전력량과, 상기 송수신기와 상기 단말기간 통신의 신호 강도 및 상기 전원부의 상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콘센트에 결합되는 플러그와 상기 대상물의 전원부에 부착된 스위처는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플러그와 상기 스위처를 ON하고,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를 구동시켜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처에서 전파되는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신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처 고유의 식별번호의 입력을 통해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처와 연결되고,
    상기 플러그와 상기 단말기 간의 송수신할 수 있는 거리 값의 범위가 미리 설정되어 상기 거리 값의 범위 내에서 상기 플러그의 제어가 가능하고, 상기 플러그와 상기 단말기의 거리가 상기 거리 값 범위 외로 벗어나게 될 경우 상기 플러그가 상기 대상물로 인가되는 상기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스위처가 작동될 모형의 패턴을 설치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스위처를 연결시켜 상기 모형의 패턴을 테스트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상기 단말기 내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나타나고, 상기 플러그의 연결 상태와 상기 스위처의 연결 상태 및 구동 상태를 볼 수 있도록 설정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나타난 상기 모형의 패턴은 상기 스위처의 형상과 유사하고, 적어도 1구 이상으로 형성되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바디부의 외부로 일부 돌출되고 상기 대상물에 수동적으로 상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Push/Pull 되는 수동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외부로 승강되는 전원 핀을 포함하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광 센서를 더 포함하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사운드 센서를 더 포함하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처는,
    각각 서로의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단말기로 상기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
KR1020190001995A 2019-01-07 2019-01-07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 KR102086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995A KR102086499B1 (ko) 2019-01-07 2019-01-07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995A KR102086499B1 (ko) 2019-01-07 2019-01-07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499B1 true KR102086499B1 (ko) 2020-03-09

Family

ID=69801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995A KR102086499B1 (ko) 2019-01-07 2019-01-07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49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572B1 (ko) 2020-07-23 2020-12-28 홍성우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사물인터넷 제어시스템
KR102246763B1 (ko) 2020-11-11 2021-04-30 탑이앤지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최첨단 정보통신 통합제어시스템
KR102271825B1 (ko) 2020-09-24 2021-07-01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시스템
KR102367109B1 (ko) 2021-06-01 2022-02-25 (주)한동엔지니어링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제어시스템
KR102509282B1 (ko) 2022-12-01 2023-03-14 (주)동화이엔씨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3908A (ko) * 2011-07-29 2013-02-06 삼성물산 주식회사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대기 전력 무선 제어 시스템
KR20130091983A (ko) 2012-02-09 2013-08-20 주식회사 휴디콤 사물통신망과 인터넷전화망 연동 시스템
KR101389897B1 (ko) * 2013-11-12 2014-04-29 (주)성진엠케이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
KR20160003517A (ko) * 2014-07-01 2016-01-11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스마트 플러그 및 콘센트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전력 관리 시스템
KR101657281B1 (ko) * 2016-01-26 2016-09-13 주식회사 아이오 조명 스위치 원격 제어 시스템
KR101705009B1 (ko) * 2016-03-11 2017-02-13 (주)커누스 사용자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3908A (ko) * 2011-07-29 2013-02-06 삼성물산 주식회사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대기 전력 무선 제어 시스템
KR20130091983A (ko) 2012-02-09 2013-08-20 주식회사 휴디콤 사물통신망과 인터넷전화망 연동 시스템
KR101389897B1 (ko) * 2013-11-12 2014-04-29 (주)성진엠케이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
KR20160003517A (ko) * 2014-07-01 2016-01-11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스마트 플러그 및 콘센트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전력 관리 시스템
KR101657281B1 (ko) * 2016-01-26 2016-09-13 주식회사 아이오 조명 스위치 원격 제어 시스템
KR101705009B1 (ko) * 2016-03-11 2017-02-13 (주)커누스 사용자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572B1 (ko) 2020-07-23 2020-12-28 홍성우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사물인터넷 제어시스템
KR102271825B1 (ko) 2020-09-24 2021-07-01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시스템
KR102246763B1 (ko) 2020-11-11 2021-04-30 탑이앤지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최첨단 정보통신 통합제어시스템
KR102367109B1 (ko) 2021-06-01 2022-02-25 (주)한동엔지니어링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제어시스템
KR102509282B1 (ko) 2022-12-01 2023-03-14 (주)동화이엔씨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6499B1 (ko)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
CN102855744B (zh) 基于智能手机的红外家电管理系统和方法
EP2685793B1 (en) Lighting control method and lighting control system
US20080003945A1 (en) Interoperation of Terminals
US709269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guest transmitter and a host receiver
US8634720B2 (en) Remote control relay for wirelessly-controlled devices
US7643795B2 (en) Remote-control vibrator
WO2005086560A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installation and control of concealed plumbing flush valves
CN104885572A (zh) 将照明装置分配成组的方法
US20190280888A1 (en) Connecting a domestic appliance to a remote control
KR20210026834A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를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갖춘 이동 단말기
KR100467371B1 (ko) 엘리베이터 통신장치
KR20110124753A (ko) 무선 조명 제어를 위한 연결 시퀀스
TWI822835B (zh) 無線通訊系統及無線通訊方法
KR100636855B1 (ko) 유비쿼터스 유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US8547235B2 (en) Security device and security system determining if the user can hear an audible alarm
KR102086446B1 (ko)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50123676A (ko) 무선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통신방법
KR101677131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
CN109496892A (zh) 宠物训练器的遥控器与接收器的配对方法
US9786160B2 (en) Interior distributing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KR102034094B1 (ko) 조명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조명장치를 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156738B1 (ko) 대기전력콘센트 제어시스템
KR102039780B1 (ko) 경로 단절 및 손실 검증 기능을 갖는 가시광 무선통신 시스템
JP6611930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