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7109B1 -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제어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7109B1 KR102367109B1 KR1020210070666A KR20210070666A KR102367109B1 KR 102367109 B1 KR102367109 B1 KR 102367109B1 KR 1020210070666 A KR1020210070666 A KR 1020210070666A KR 20210070666 A KR20210070666 A KR 20210070666A KR 102367109 B1 KR102367109 B1 KR 1023671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rver
- support
- fixing
- plate
- us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title 1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5
- 238000007405 data analysi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42 behaviou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42—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with arrangement for propelling the support stands on whee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04—Artificial life, i.e. computing arrangements simulating life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80—Homes; Building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nt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행동을 자동으로 인지하여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 배치되는 사물인터넷(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사용자의 행동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한편, 사물인터넷 서버에 대한 세대 내의 실내 바닥면으로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행동을 자동으로 인지하여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 배치되는 사물인터넷(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사용자의 행동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한편, 사물인터넷 서버에 대한 세대 내의 실내 바닥면으로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은 서로 통신하기 위해 표준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예를 들어, 송신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및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를 사용하는 상호 접속된 컴퓨터 및 컴퓨터 네트워크의 글로벌 시스템이다.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은 컴퓨터 및 컴퓨터 네트워크가 아닌 일상 사물이, IoT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애드-혹 시스템 또는 인터넷)를 통해 판독가능, 인식가능, 위치결정가능, 어드레싱가능 및 제어가능하다는 아이디어에 기초하고 있다. 즉 사물인터넷(IoT)은 존재하는 사물을 인터넷으로 연결하여 인간과 사물, 사물과 사물간에 언제 어디서나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정보통신 기반이다.
종래에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 등의 이동단말 또는 개인컴퓨터(PC)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물인터넷(IoT) 디바이스를 제어하였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외부에서 이동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보일러 온도를 제어하거나, 가스밸브를 잠그거나 또는 세탁기의 완료시간을 설정하거나, 전기밥솥의 전원을 켜는 등 다양한 사물인터넷(IoT) 디바이스를 제어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입력방식은 사용자가 이동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수반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이동단말을 활성화할 것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이러한 사물인터넷(IoT) 디바이스들의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행동을 자동으로 인지하여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 배치되는 사물인터넷(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사용자의 행동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한편, 사물인터넷 서버에 대한 세대 내의 실내 바닥면으로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사물인터넷(IoT) 디바이스(4); 사용자가 신체의 소정 부위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동작신호를 인지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는 행동 데이터를 서버(1)에 전송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3); 상기 행동 데이터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IoT 디바이스(4)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상기 서버(1)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3)는,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3)를 착용한 신체의 소정 부위의 가속도, 각속도 및 심박수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작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231); 및 상기 센서부(231)가 감지한 사용자의 동작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동작신호를 인지하여 저장부(234)에 저장된 행동패턴에 따라 사용자의 행동을 판단하여 상기 행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부(232)로 구성되는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서버(1)에 대한 세대 내의 실내 바닥면으로부터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지지부(100)를 더 포함하며, 지지부(100)는 바닥면에 안착되는 지지판(110); 하부가 지지판(110)에 고정되는 지지바(120); 서버(1)를 지지바(1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130); 및 지지판(110)에 구비되면서 지지판(110)과 함께 서버(1)에 대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장치(140)를 포함하고, 이동장치(140)는 하부가 개방되는 'ㄷ'자 형태를 이루는 프레임(142)과, 프레임(142)의 내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바퀴(143)를 포함하면서 지지판(110)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이동수단(141); 및 한 쌍의 이동수단(141)을 지지바(120)에 승,하강 가능하게 연결하는 조절수단(144)을 포함하고, 바퀴(143)는 조절수단(144)의 조절에 따라 하강되면서 지지판(110)보다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실내 바닥면에 접하면서 서버(1)에 대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승강되면서 지지판(110)이 실내 바닥면에 접하며 서버(1)에 대한 이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단말을 IoT 디바이스의 제어 데이터를 입력할 필요 없이 사용자의 동작신호에 대응하는 IoT 디바이스의 제어 데이터가 자동으로 전송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 서버에 대한 세대 내의 실내 바닥면으로의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제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제어시스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제어시스템에서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이동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에서 지지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제어시스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제어시스템에서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이동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에서 지지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제어시스템은 사물인터넷(IoT) 서버(1), 사용자 단말(2),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3) 및 사물인터넷(IoT) 디바이스(4)를 포함한다.
IoT 디바이스(4)는 AP(3)와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에어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IEEE 802.11과 같은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을 준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IoT 디바이스(4)가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AP(3)와 통신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각각의 IoT 디바이스(4)는 유선 또는 무선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통해 통신할 수 있을 것이다.
IoT 디바이스(4)는 에어컨(41), 보일러의 온도조절기(42), 냉장고(43), 전기밥솥(44) 및 TV(45)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그 외의 공동주택의 세대 내의 다양한 사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인터넷은 복수의 라우팅 에이전트 및 프로세싱 에이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은 이질적인 디바이스/네트워크간 통신하기 위한 표준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예를 들어, 송신제어 프로토콜(TCP) 및 인터넷 프로토콜(IP))를 사용하는 상호접속된 컴퓨터 및 컴퓨터 네트워크의 글로벌 시스템이다. TCP/IP는 데이터가 포맷팅, 어드레싱, 송신, 라우팅 및 목적지에서 수신되어야 하는 방법을 특정하는 엔드 대 엔드 접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은 사용자의 댁내에 유선단말(21), 이동단말(22) 및 사용자가 소정 부위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단말(21)의 일예로서 데스크탑 형태의 개인용 컴퓨터(PC)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선단말(21)은 사용자 단말(2)로서 포함되어 있지만, IoT 디바이스(4)에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동단말(22)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단말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3)는 사용자가 소정 부위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시계와 같은 형식으로서 손목에 착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23)는 소정 센서와 통신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자동으로 인지하면서 인터넷을 통해 IoT 서버(1)로 전송하거나 또는 이동단말(22)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3)는 인터넷을 통해 IoT 서버(1)와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단말(22)과 통신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AP(3)는 예를 들어, 광통신 시스템 모뎀, 케이블 모뎀,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모뎀 등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될 수 있다.
AP(3)는 표준 인터넷 프로토콜(예를 들어 TCP/IP)을 사용하여 IoT 디바이스(4) 및 인터넷과 통신할 수도 있다.
IoT 서버(1)는 복수의 구조적으로 별개의 서버들로 구현될 수 있거나, 단일 서버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종래 IoT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 후, 본 발명의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보일러의 온도조절기(42)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단말(22)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온도를 조절하면, 이동단말(22)이 IoT 서버(1)에 해당 데이터를 전송한다.
IoT 서버(1)가 이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AP(3)로 전송하면, AP(3)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온도조절기(42)가 제어 데이터에 의해 제어되는 형식으로 동작한다. 또는 이동단말(22)이 아닌 유선단말(21)에 의해서도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IoT 디바이스(4)를 제어하기 위해, 유선단말(21) 또는 이동단말(23)에 데이터를 입력하면, IoT 서버(1)가 해당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AP(3)에 전송하고, AP(3)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IoT 디바이스(4)가 해당 제어 데이터에 따라 제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IoT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유선단말(21) 또는 이동단말(23)을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4)를 제어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선단말(21) 또는 이동단말(22)의 개입 없이, 사용자의 행동에 의해 IoT 디바이스(4)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23)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인지하여, 행동패턴에 대응하는 소정 행동 데이터를 IoT 서버(1)에 전송하면, 해당 행동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IoT 서버(1)가 인터넷을 통해 AP(3)에 전송하고 AP(3)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IoT 디바이스(4)가 해당 제어 데이터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23)에 의해 인지된 행동 데이터는 직접 인터넷을 통해 IoT 서버(1)에 전송될 수도 있고, 이동단말(22)을 통해 IoT 서버(1)로 전송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아침에 기상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3)는 사용자의 행동과 관련한 데이터를 IoT 서버(1)로 전송하고, IoT 서버(1)는 사용자가 기상하였음을 인지하여 전기밥솥(44)의 전원을 온으로 하거나, 에어컨(41)을 작동하게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3)는 센서부(231), 분석부(232) 및 통신부(233)를 포함한다.
센서부(231)는 사용자가 동작중인 팔(손목에 찬 경우)의 가속도, 각속도 및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다. 일예로서, 센서부(231)는, 팔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231a), 팔의 회전관성을 감지하여 위치와 방향을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231b), 및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맥박센서(231c)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31a)는 직선운동에 대한 속도의 증감비 또는 가해진 충격의 세기와 같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자이로 센서(231b)는 단위시간에 물체가 회전한 각속도를 검출하여 신체의 회전 동작, 방향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31a)와 자이로 센서(231b)는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을 구분하기 위해서 x, y, z축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6축 센서(3축의 가속도 센서 및 3축의 자이로 센서)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센서부(231)에서 측정된 사용자 신체(팔)의 회전, 방향, 가속도의 데이터와 맥박수는 분석부(232)로 전달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센서부(231)가 현재 사용자가 수행하고 있는 동작을 측정한 데이터를 '동작신호'라 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 동작신호는 사용자의 신체의 가속도, 각속도 및 사용자의 심박수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부(232)는 센서부(231)에서 측정된 동작신호로부터 사용자의 행동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232)는, 사용자가 수면상태에서 움직임이 인지되는 경우, 사용자가 기상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의 동작신호에 대응하는 행동의 패턴은 저장부(234)에 저장될 수 있다.
통신부(233)는 분석부(232)가 판단한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IoT 서버(1)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를 수신한 IoT 서버(1)는, 해당 행동 데이터에 대응하여 IoT 디바이스(4)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AP(3)로 전송할 수 있으며, AP(3)를 통해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IoT 디바이스(4) 중 어느 하나는, 해당 제어 데이터에 의해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예를 들어, 센서부(231)가 인지한 동작신호에 의해, 분석부(232)가 사용자가 기상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IoT 서버(1)는 밥솥(44)과 에어컨(41)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AP(3)에 전송할 수 있고, 밥솥(44)과 에어컨(41)이 해당 제어 데이터에 의해 각각 온으로 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예를 들어, 센서부(231)가 인지한 동작신호에 의해, 분석부(232)가 사용자가 퇴근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책상에 앉아서 근무한 후 퇴근을 위해 대중교통을 이용하고자 이동하는 경우, 분석부(232)는 이러한 동작신호에 의해 사용자가 퇴근하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분석부(232)로부터 사용자의 행동이 '퇴근'인 것을 수신한 IoT 서버(1)는 집안의 온도를 올리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AP(3)에 전송할 수 있고, 온도조절기(42)가 해당 제어 데이터에 의해 실내온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예를 들어, 센서부(231)가 인지한 동작신호에 의해, 분석부(232)가 사용자가 퇴근시 위험한 상황에 처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평온하게 정상적인 속도로 움직이다가, 갑자기 뛰는 등의 경우, 분석부(232)는 해당 동작신호로부터 사용자가 위험에 빠진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분석부(232)로부터 사용자가 '위험'에 빠진 것을 수신한 IoT 서버(1)는 유선단말(21)을 통해(이 경우, 유선단말(21)는 IoT 디바이스(4)에 해당함) 근처 경찰서에 연락하도록 제어 데이터를 AP(3)에 전송할 수 있고, 유선단말(21)은 해당 제어 데이터에 의해 근처 경찰서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위에서 설명한 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러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동작신호로부터 행동을 인지하여, IoT 디바이스(4)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예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3)가 사용자의 행동을 인지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웨어러블 디바이스(23)는 사용자의 동작신호를 IoT 서버(1)에 전송하고, 이러한 동작신호를 수신한 IoT 서버(1)가 사용자의 행동을 인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23)의 센서부(231)로부터 사용자의 동작신호가 검지되면, 사용자의 동작신호에 해당하는 행동패턴이 결정되고, 해당 행동패턴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에 의해 IoT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유선단말(21) 또는 이동단말(22)을 통해 IoT 디바이스의 제어 데이터를 입력할 필요 없이, 사용자의 동작신호에 대응하는 IoT 디바이스의 제어 데이터가 전송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제어시스템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에 대한 세대 내의 바닥면으로부터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지지부(100)를 더 포함한다.
지지부(100)는 공동주택의 각 세대로의 서버(1) 설치시, 실내 바닥면으로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여 적정 위치로의 서버(1)에 대한 배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지지부(100)는 실내 바닥면에 안착되는 지지판(110), 하부가 지지판(110)에 고정되는 지지바(120), 서버(1)를 지지바(1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130) 및 지지판(110)에 구비되면서 지지판(110)과 함께 서버(1)에 대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장치(140)를 포함한다.
지지판(110)은 사각 형태를 이루며, 일정 무게를 가지면서 지지바(120) 및 서버(1)에 대한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지지바(120)는 원형봉 형태를 이루며 하부가 지지판(110)의 중앙부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고정수단(130)은 지지바(120)의 상부에 고정되며 서버(1)가 안착되는 고정판(131), 서버(1)의 상부로 안착되는 가압판(132), 상부가 가압판(132)에 고정되고 하부가 고정판(131)을 통과하는 고정바(133) 및 고정바(133)의 하부로 나사결합되면서 고정판(131)과 가압판(132) 간으로 서버(1)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134)를 포함한다.
고정판(131)은 사각판 형태를 이루며 하부가 지지바(120)의 상부에 고정된다.
고정판(131)은 상부면에 서버(1)가 인입되는 하부홈(131a)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판(132)은 고정판((131)과 상하 대향되며 하부면에 서버(1)의 상부가 인입되는 상부홈(132a)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바(133)는 서버(1)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부가 가압판(132)에 고정되고 하부가 고정판(131)을 통과한다.
고정바(133)는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고정부재(134)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고정바(133)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재(134)는 조임 회전에 따라 고정판(131)으로 밀착되면서 가압판(132)이 서버(1)의 상부로 밀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서버(1)는 고정판(131)과 가압판(132) 간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동장치(140)는 하부가 개방되는 'ㄷ'자 형태를 이루는 프레임(142)과 프레임(142)의 내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바퀴(143)를 포함하면서 지지판(110)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이동수단(141) 및 한 쌍의 이동수단(141)을 지지바(120)에 승,하강 가능하게 연결하는 조절수단(144)을 포함한다.
프레임(142)은 전,후판(142a,142b) 및 전,후판(142a,142b)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판(142c)을 포함한다.
바퀴(143)는 회전축(142d)에 의해 전,후판(142a,142b)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동장치(140)는 지지판(110)의 양측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145) 및 하부가 프레임(142)에 고정되고 상부가 지지프레임(145))을 통과하는 가이드바(146) 및 가이드바(146)와 조절수단(144)을 연결하는 연결바(147)를 더 포함한다.
지지프레임(145)은 'ㄱ'자 형태를 이루면서 하부가 지지판(110)의 양측에 고정되고 상부가 외측으로 절곡되면서 가이드바(146)가 통과한다.
조절수단(144)은 지지바(120)의 하부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는 조절레버(144a), 조절레버(144a)의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연결바(147)가 고정되는 고정링(144b)을 포함한다.
지지바(120)는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조절레버(143a)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지지바(120)의 하부로 나사결합된다.
고정링(143b)은 베어링 등에 의해 조절레버(143a)의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에 따라, 조절레버(143a)의 회전시, 고정링(143b)과 함께 연결바(147)가 회전됨이 없이 승,하강될 수 있다.
바퀴(143)는 조절레버(143a)의 하강 회전시, 연결바(147) 및 가이드바(146)와 함께 하강되면서 지지판(110)보다 하방향으로 돌출된다.
바퀴(143)는 지지판(110)보다 하방향으로 돌출됨에 따라 실내 바닥면에 접하면서 서버(1)에 대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바퀴(143)는 조절레버(143a)의 승강 회전시, 연결바(147) 및 가이드바(146)와 함께 승강되면서 지지판(110)의 바닥면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바퀴(143)는 지지판(110)의 바닥면보다 상측에 위치됨에 따라 지지판(110)이 실내 바닥면에 접하면서 서버(1)에 대한 이동이 정지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지지부(100)는 공동주택의 각 세대로의 서버(1) 설치시, 서버(1)에 대한 실내 바닥면으로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자유로운 이동을 통해 적정 위치로의 배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제어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IoT 서버 2: 사용자 단말
3: AP 4: IoT 디바이스
21: 유선단말 22: 이동단말
23: 웨어러블 디바이스 100: 지지부
110: 지지판 120: 지지바
130: 고정수단 140: 이동장치
141: 이동수단 144: 조절수단
3: AP 4: IoT 디바이스
21: 유선단말 22: 이동단말
23: 웨어러블 디바이스 100: 지지부
110: 지지판 120: 지지바
130: 고정수단 140: 이동장치
141: 이동수단 144: 조절수단
Claims (1)
-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사물인터넷(IoT) 디바이스(4); 사용자가 신체의 소정 부위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동작신호를 인지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는 행동 데이터를 서버(1)에 전송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3); 상기 행동 데이터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IoT 디바이스(4)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상기 서버(1)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3)는,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3)를 착용한 신체의 소정 부위의 가속도, 각속도 및 심박수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작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231); 및 상기 센서부(231)가 감지한 사용자의 동작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동작신호를 인지하여 저장부(234)에 저장된 행동패턴에 따라 사용자의 행동을 판단하여 상기 행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부(232)로 구성되는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서버(1)에 대한 세대 내의 실내 바닥면으로부터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지지부(100)를 더 포함하며,
지지부(100)는 바닥면에 안착되는 지지판(110); 하부가 지지판(110)에 고정되는 지지바(120); 서버(1)를 지지바(1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130); 및 지지판(110)에 구비되면서 지지판(110)과 함께 서버(1)에 대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장치(140)를 포함하고,
이동장치(140)는 하부가 개방되는 'ㄷ'자 형태를 이루는 프레임(142)과, 프레임(142)의 내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바퀴(143)를 포함하면서 지지판(110)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이동수단(141); 및 한 쌍의 이동수단(141)을 지지바(120)에 승,하강 가능하게 연결하는 조절수단(144)을 포함하고,
바퀴(143)는 조절수단(144)의 조절에 따라 하강되면서 지지판(110)보다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실내 바닥면에 접하면서 서버(1)에 대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승강되면서 지지판(110)이 실내 바닥면에 접하며 서버(1)에 대한 이동이 정지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판(110)은 사각 형태를 이루며, 일정 무게를 가지면서 상기 지지바(120) 및 서버(1)에 대한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바(120)는 원형봉 형태를 이루며 하부가 지지판(110)의 중앙부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130)은
상기 지지바(120)의 상부에 고정되며 서버(1)가 안착되는 고정판(131);
상기 서버(1)의 상부로 안착되는 가압판(132);
상기 가압판(132)에 상부가 고정되고 하부는 상기 고정판(131)을 통과하는 고정바(133); 및
상기 고정바(133)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고정판(131)과 가압판(132) 간으로 상기 서버(1)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13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판(131)은 사각판 형태를 이루며 하부가 지지바(120)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131)은 상부면에 서버(1)가 인입되는 하부홈(131a)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판(132)은 고정판((131)과 상하 대향되며 하부면에 서버(1)의 상부가 인입되는 상부홈(132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바(133)는 서버(1)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부가 가압판(132)에 고정되고 하부가 고정판(131)을 통과하고,
상기 고정바(133)는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고정부재(134)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고정바(133)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134)는 조임 회전에 따라 고정판(131)으로 밀착되면서 가압판(132)이 서버(1)의 상부로 밀착되고,
상기 프레임(142)은 전판과 후판(142a,142b) 및 전판과 후판(142a,142b)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판(142c);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바퀴(143)는 회전축(142d)에 의해 전판과 후판(142a,142b)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이동장치(140)는
상기 지지판(110)의 양측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145);
상기 프레임(142)에 하부가 고정되고 상부가 지지프레임(145))을 통과하는 가이드바(146);
상기 가이드바(146)와 조절수단(144)을 연결하는 연결바(147);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프레임(145)은 'ㄱ'자 형태를 이루면서 하부가 상기 지지판(11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상부가 외측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가이드바(146)를 각각 통과시키고,
상기 조절수단(144)은
상기 지지바(120)의 하부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는 조절레버(144a);
상기 조절레버(144a)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바(147)가 고정되는 고정링(144b);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바(120)는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레버(144a)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120)의 하부에 외주면에 나사결합하고,
상기 고정링(144b)은 베어링에 의해 상기 조절레버(144a)의 외측과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제어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0666A KR102367109B1 (ko) | 2021-06-01 | 2021-06-01 |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제어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0666A KR102367109B1 (ko) | 2021-06-01 | 2021-06-01 |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제어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67109B1 true KR102367109B1 (ko) | 2022-02-25 |
Family
ID=80490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0666A KR102367109B1 (ko) | 2021-06-01 | 2021-06-01 |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제어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7109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09282B1 (ko) | 2022-12-01 | 2023-03-14 | (주)동화이엔씨 |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 |
WO2024155059A1 (ko) * | 2023-01-17 | 2024-07-2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사용자의 콘텍스트에 따라 복수의 전자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디바이스 |
KR102710035B1 (ko) * | 2024-02-28 | 2024-09-25 |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 스마트 팩토리 작업환경 안전관리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6499B1 (ko) | 2019-01-07 | 2020-03-09 | 주식회사 굿텍 |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 |
KR102103201B1 (ko) * | 2020-01-10 | 2020-04-23 | 한국항공촬영 주식회사 | 지표면의 기준점 위치확인과 지형정보를 적용한 공간영상도화용 보정시스템 |
KR102195572B1 (ko) * | 2020-07-23 | 2020-12-28 | 홍성우 |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사물인터넷 제어시스템 |
-
2021
- 2021-06-01 KR KR1020210070666A patent/KR10236710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6499B1 (ko) | 2019-01-07 | 2020-03-09 | 주식회사 굿텍 |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 |
KR102103201B1 (ko) * | 2020-01-10 | 2020-04-23 | 한국항공촬영 주식회사 | 지표면의 기준점 위치확인과 지형정보를 적용한 공간영상도화용 보정시스템 |
KR102195572B1 (ko) * | 2020-07-23 | 2020-12-28 | 홍성우 |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사물인터넷 제어시스템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09282B1 (ko) | 2022-12-01 | 2023-03-14 | (주)동화이엔씨 |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 |
WO2024155059A1 (ko) * | 2023-01-17 | 2024-07-2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사용자의 콘텍스트에 따라 복수의 전자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디바이스 |
KR102710035B1 (ko) * | 2024-02-28 | 2024-09-25 |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 스마트 팩토리 작업환경 안전관리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67109B1 (ko) |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제어시스템 | |
KR102271825B1 (ko) |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시스템 | |
US20180367329A1 (en) | Internet-of-things system for recognizing user behavior and controlling things | |
AU2017203603B2 (en) | EFFICIENT NETWORK LAYER FOR IPv6 PROTOCOL | |
CA2818546C (en) | Methods and systems for data interchange between a network-connected thermostat and a cloud-based management server | |
EP3082115B1 (en) | Guided installation feedback for an opening sensor | |
US20150194040A1 (en) | Intelligent motion sensor | |
CN208424405U (zh) | 一种智能家居控制与监测系统 | |
CN108614508A (zh) | 一种爬架监控系统 | |
CN110045629A (zh) | 一种智能安防家居控制系统 | |
CN109613299A (zh) | 震动检测装置、方法、智能门锁及系统 | |
KR102195572B1 (ko) |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사물인터넷 제어시스템 | |
WO2021068514A1 (zh) | 一种多合一人体感应器 | |
KR102246763B1 (ko) | 공동주택의 최첨단 정보통신 통합제어시스템 | |
KR102509282B1 (ko) |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 | |
CN210400459U (zh) | 一种多合一人体感应器 | |
CN111424409B (zh) | 一种智能晾衣架及其控制方法 | |
CN107195053A (zh) | 非接触开门锁的方法、耳机、门锁和非接触开门锁的系统 | |
Jain et al. | Empirical Comparison of IoT Based Smart Home Models | |
US20240188162A1 (en) | Multi-protocol network connection restoration | |
CN206311905U (zh) | 一种家居智能控制系统 | |
WO2023220562A1 (en) | Upgrading legacy devices for interoperability with a matter network | |
KR20220001903A (ko) |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의 공동주택의 스마트홈 시스템 | |
WO2023220554A1 (en) | Sharing intelligence-derived information in home networks | |
KR20070105732A (ko) |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서비스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