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282B1 -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9282B1
KR102509282B1 KR1020220165831A KR20220165831A KR102509282B1 KR 102509282 B1 KR102509282 B1 KR 102509282B1 KR 1020220165831 A KR1020220165831 A KR 1020220165831A KR 20220165831 A KR20220165831 A KR 20220165831A KR 102509282 B1 KR102509282 B1 KR 102509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ot
household
telescopic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5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원
Original Assignee
(주)동화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화이엔씨 filed Critical (주)동화이엔씨
Priority to KR1020220165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2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80Homes; Building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39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monitoring users'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8Frames or mounting racks for relay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08Pivotable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10Hous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행동을 자동으로 인지하여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 배치되는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사용자의 행동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IoT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음과 IoT 디바이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며, 세대 벽체 상단부에 거치장치를 설치하여, 이 거치장치에 IoT 서버와 무선인터넷 공유기를 장착하여 장치 간의 통신이 항상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IoT 디바이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고, 여러 종류의 가구, 가전제품 등과 무관하게 IoT 서버와 무선인터넷 공유기를 적정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게 되며, 사용자의 위치에 무관하게 각종 가구, 가전제품 등이 센서의 작동에 제약을 주는 일이 없게 되어 IoT 디바이스의 제어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거치장치에 의해 IoT 서버와 무선인터넷 공유기를 벽체의 상단 한 쪽 구석에 위치시킬 수 있어 IoT 서버와 무선인터넷 공유기가 세대 바닥 공간을 차지하는 일이 없게 되어 세대 바닥 공간의 활용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system for apartment houses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 중에서,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행동을 자동으로 인지하여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 배치되는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사용자의 행동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IoT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음과 IoT 디바이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며, 장치 간의 통신이 항상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IoT 디바이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고, 여러 종류의 가구, 가전제품 등과 무관하게 IoT 서버와 무선인터넷 공유기를 적정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게 되며, 사용자의 위치에 무관하게 각종 가구, 가전제품 등이 센서의 작동에 제약을 주는 일이 없게 되어 IoT 디바이스의 제어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거치장치에 의해 IoT 서버와 무선인터넷 공유기를 벽체의 상단 한 쪽 구석에 위치시킬 수 있어 IoT 서버와 무선인터넷 공유기가 세대 바닥 공간을 차지하는 일이 없게 되어 세대 바닥 공간의 활용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한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은 서로 통신하기 위해 표준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예를 들어, 송신제어 프로그램(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및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을 사용하는 상호 접속된 컴퓨터 및 컴퓨터 네트워크의 글러블 시스템이다.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은 컴퓨터 및 컴퓨터 네트워크가 아닌 일상 사물이, IoT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에드-혹 시스템 또는 인터넷)를 통해 판독가능, 인식가능, 위치결정가능, 어드레싱가능 및 제어가능하다는 아이디어에 기초하고 있다.
즉, 사물인터넷은 존재하는 사물을 인터넷으로 연결하여 인간가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언제 어디서나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정보통신 기반이다.
종래에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 등의 이동단말 또는 개인컴퓨터(PC)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였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외부에서 이동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보일러 온도를 제어하거나, 가스밸브를 잠그거나 또는 세탁기의 완료시간을 설정하거나, 전기밥솥의 전원을 켜는 등 다양한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입력방식은 사용자가 이동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수반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이동단말을 활성화할 것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이러한 IoT 디바이스들의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67109호 (2022.02.21.)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제어시스템"이 있다.
등록특허 제10-2367109호의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제어시스템은 사물인터넷 서버를 공동주택의 세대 바닥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사물인터넷 서버를 적정 위치에 배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물인터넷 서버를 세대 바닥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세대 바닥면에 깔려 있는 카펫트, 러그, 각종 매트 등에 의해 이동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에 배치되는 여러 종류의 가구, 가전제품 등으로 인해 사물인터넷 서버를 적정 위치에 배치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그 사용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식탁에 앉아서 식사를 하는 상황에서 식탁과 의자가 가로 막혀 센서의 작동에 제약을 받게 되므로 IoT 디바이스의 제어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서는 각종 가구, 가전제품 등이 센서의 작동에 제약을 주게 되어 IoT 디바이스의 제어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세대 바닥면 어느 한 위치에는 사물인터넷 서버와 지지부가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세대 바닥 공간의 활용에 지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86499호(2020.03.09.)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367109호 (2022.02.21.)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제어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행동을 자동으로 인지하여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 배치되는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사용자의 행동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IoT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IoT 서버와 무선인터넷 공유기의 위치를 벽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거치장치에 의해 다양한 위치로 이동시켜 IoT 서버와 무선인터넷 공유기를 적정한 위치로 조정할 수 있게 하여, 장치 간의 통신이 항상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IoT 디바이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는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또한 IoT 서버와 무선인터넷 공유기의 위치를 세대 바닥면에 설치되는 카펫트, 러그, 각종 매트 등에 의해 이동에 방해를 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여러 종류의 가구, 가전제품 등과 무관하게 IoT 서버와 무선인터넷 공유기를 적정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또한 IoT 서버와 무선인터넷 공유기가 거치장치에 의해 벽체의 상단에 거치되므로 사용자의 위치에 무관하게 각종 가구, 가전제품 등이 센서의 작동에 제약을 주는 일이 없게 되어 IoT 디바이스의 제어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거치장치에 의해 IoT 서버와 무선인터넷 공유기를 벽체의 상단 한 쪽 구석에 위치시킬 수 있어 IoT 서버와 무선인터넷 공유기가 세대 바닥 공간을 차지하는 일이 없게 되므로 세대 바닥 공간의 활용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되는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 사용자가 신체의 소정 부위에 착용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동작신호를 인지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는 행동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행동 데이터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상기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신체의 소정 부위의 가속도, 각속도 및 심박수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작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사용자의 동작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동작신호를 인지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행동패턴에 따라 사용자의 행동을 판단하여 상기 행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부로 구성되는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IoT 서버를 세대의 벽체 상단에 지지하고 적정위치로 이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거치장치를 더 포함하며,
거치장치는 세대 벽체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고정판의 전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모터설치공간을 가지는 회동지지박스를 포함하는 고정대와;
회동지지박스의 상하면에 수평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하 한 쌍의 회동편과, 상하 한 쌍의 회동편의 전단을 연결하는 연결편 및, 회동편에 형성된 축고정공을 포함하는 회동연결구와;
회동수평판과, 회동수평판의 좌우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회동좌우판과, 회동좌우판의 바깥면에 길이방향으로 신축안내홈을 포함하는 회동대와;
회동수평판 상에 접촉하는 신축수평판과, 신축수평판의 좌우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회동좌우판의 바깥면에 접촉하는 신축좌우판과, 신축좌우판의 안쪽면 후단에 신축안내홈에 삽입되어 전후방으로 안내되는 안내편과, 신축수평판의 전단에서 확장 형성되어 하면에 IoT 서버와 무선인터넷 공유기가 장착되는 장착판을 포함하는 신축대와;
회동지지박스의 모터설치공간 내에 장착되는 회동모터와, 회동모터의 상하단에서 돌출되어 회동편에 형성된 축고정공에 삽입 고정되는 회동모터축을 포함하는 회동장치; 및
회동연결구의 연결편의 전면에 장착되는 신축모터와, 신축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신축스크루와, 신축대의 후단에 결합되어 신축스크루의 수나사부에 나사물림되는 암나사공을 가지는 이동블록을 포함하는 신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의 행동을 자동으로 인지하여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 배치되는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사용자의 행동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IoT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사물인터넷 서버를 천장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데이터가 사물인터넷 서버에 적정하게 수신되게 하여 IoT 디바이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IoT 서버와 무선인터넷 공유기의 위치를 벽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거치장치에 의해 다양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IoT 서버와 무선인터넷 공유기를 적정한 위치로 조정할 수 있어, 장치 간의 통신이 항상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IoT 디바이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IoT 서버와 무선인터넷 공유기의 위치를 세대 바닥면에 설치되는 카펫트, 러그, 각종 매트 등에 의해 이동에 방해를 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여러 종류의 가구, 가전제품 등과 무관하게 IoT 서버와 무선인터넷 공유기를 적정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또한 IoT 서버와 무선인터넷 공유기가 거치장치에 의해 벽체의 상단에 거치되므로 사용자의 위치에 무관하게 각종 가구, 가전제품 등이 센서의 작동에 제약을 주는 일이 없게 되어 IoT 디바이스의 제어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거치장치에 의해 IoT 서버와 무선인터넷 공유기를 벽체의 상단 한 쪽 구석에 위치시킬 수 있어 IoT 서버와 무선인터넷 공유기가 세대 바닥 공간을 차지하는 일이 없게 되므로 세대 바닥 공간의 활용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3은 IoT 서버와 무선공유기가 장착된 벽면장작대의 수축상태를 상면과 하면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IoT 서버와 무선공유기가 장착된 거치장치의 신장상태를 상면과 하면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거치장치를 하면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6은 거치장치가 수축상태에서 회동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거치장치가 신장상태에서 회동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을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 따른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은 사물인터넷(IoT) 서버(1), 사용자 단말(2),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3) 및 사물인터넷(IoT) 디바이스(4)를 포함한다.
IoT 디바이스(4)는 AP(3)와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AP(3)와 통신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각각의 IoT 디바이스(4)는 유선 또는 무선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통해 통신할 수 있을 것이다.
IoT 디바이스(4)는 에어컨(41), 보일러의 온도조절기(42), 냉장고(43), 전기밥솥(44) 및 TV(45)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인터넷은 복수의 라우팅 에이전트 또는 프로세싱 에이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은 이질적인 디바이스/네트워크간 통신하기 위한 표준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예를 들어, 송신제어 프로토콜(TCP) 및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사용하는 상호접촉된 컴퓨터 및 컴퓨터 네트워크의 글로벌 시스템이다. TCP/IP는 데이터가 포맷팅, 어드레싱, 송신, 라우팅 및 목적지에서 수신되어야 하는 방법을 특정하는 엔드 대 엔드 접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은 사용자의 댁내에 유선단말(21), 이동단말(22) 및 사용자가 소정 부위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단말(21)의 일예로서 데스크탑 형태의 개인용 컴퓨터(PC)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선단말(21)은 사용자 단말(2)로서 포함되어 있지만, IoT 디바이스(4)에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동단말(22)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단말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3)는 사용자가 소정 부위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시계와 같은 형식으로서 손목에 착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23)는 소정 센서와 통신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자동으로 인지하면서 인터넷을 통해 IoT 서버(1)로 전송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2)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3)는 인터넷을 통해 IoT 서버(1)와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2)과 통신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AP(3)는 예를 들어, 광통신 시스템 모뎀, 케이블 모뎀,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모델 등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될 수 있다.
AP(3)는 표준 인터넷 프로토콜(예를 들어 TCP/IP)을 사용하여 IoT 디바이스(4) 및 인터넷과 통신할 수도 있다.
IoT 서버(1)는 복수의 구조적으로 별개의 서버들로 구현될 수 있거나 단일 서버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종래 IoT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 후, 본 발명의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보일러의 온도조절기(42)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온도를 조절하면, 사용자 단말(2)이 IoT 서버(1)에 해당 데이터를 전송한다.
IoT 서버(1)가 이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헤 AP(3)로 전송하면, AP(3)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온도조절기(42)가 제어 데이터에 의해 제어되는 형식으로 동작한다. 또는 사용자 단말(2)이 아닌 유선단말(21)에 의해서도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IoT 디바이스(4)를 제어하기 위해, 유선단말(21) 또는 이동단말(22)에 데이터를 입력하면, IoT 서버(1)가 해당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AP(3)에 전송하고, AP(3)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IoT 디바이스(4)가 해당 제어 데이터에 따라 제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 IoT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유선단말(21) 또는 이동단말(22)을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4)를 제어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선단말(21) 또는 이동단말(22)의 개입 없이 사용자의 행동에 의해 IoT 디바이스(4)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23)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인지하여, 행동패턴에 대응하는 소정 행동 데이터를 IoT 서버(1)에 전송하면, 해당 행동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IoT 서버(1)가 인터넷을 통해 AP(3)에 전송하고 AP(3)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IoT 디바이스(4)가 해당 제어 데이터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23)에 의해 인지된 행동 데이터는 직접 인터넷을 통해 IoT 서버(1)에 전송될 수도 있고, 이동단말(22)을 통해 IoT 서버(1)로 전송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아침에 기상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3)는 사용자의 행동과 관련한 데이터를 IoT 서버(1)로 전송하고, IoT 서버(1)는 사용자가 기상하였음을 인지하여 전기밥솥(44)의 전원을 온으로 하거나, 에어컨(41)을 작동하게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3)는 센서부(231), 분석부(232) 및 통신부(233)를 포함한다.
센서부(231)는 사용자가 동작중인 팔(손목에 찬 경우)의 가속도, 각속도 및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다.
일예로서, 센서부(231)는 팔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231a), 팔의 회전관성을 감지하여 위치와 방향을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231b), 및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맥박센서(231c)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31a)는 직선운동에 대한 속도의 증감비 또는 가해진 충격의 세기와 같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자이로 센서(231b)는 단위시간에 물체가 회전한 각속도를 검출하여 신체의 회전 동작, 방향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31a)와 자이로 센서(231b)는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을 구분하기 위해서 x, y, z축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6축 센서(3축의 가속도 센서 및 3축의 자이로 센서)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센서부(231)에서 측정된 사용자 신체(팔)의 회전, 방향, 가속도의 데이터와 맥박수는 분석부(232)로 전달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센서부(231)가 현재 사용자가 수행하고 있는 동작을 측정한 데이터를 '동작신호'라 하기로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동작신호는 사용자의 신체의 가속도, 각속도 및 사용자의 심박수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부(232)는 센서부(231)에서 측정된 동작신호로부터 사용자의 행동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232)는 사용자가 수면상태에서 움직임이 인지되는 경우, 사용자가 기상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의 동작신호에 대응하는 행동의 패턴은 저장부(234)에 저장될 수 있다.
통신부(233)는 분석부(232)가 판단한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IoT 서버(1)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를 수신한 IoT 서버(1)는 해당 행동 데이터에 대응하여 IoT 디바이스(4)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AP(3)로 전송할 수 있으며, AP(3)를 통해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IoT 디바이스(4) 중 어느 하나는 해당 제어 데이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센서부(231)가 인지한 동작신호에 의해 분석부(232)가 사용자가 기상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IoT 서버(1)는 전기밥솥(44)과 에어컨(41)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AP(3)에 전송할 수 있고, 전기밥솥(44)과 에어컨(41)이 해당 제어 데이터에 의해 각각 온으로 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센서부(231)가 인지한 동작신호에 의해 분석부(232)가 사용자가 퇴근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책상에 앉아서 근무한 후 퇴근을 하기 위해 대중교통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분석부(232)는 이러한 동작신호에 의해 사용자가 퇴근하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분석부(232)로부터 사용자의 행동이 '퇴근'인 것을 수신한 IoT 서버(1)는 집안의 온도를 올리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AP(3)에 전송할 수 있고, 온도조절기(42)가 해당 제어 데이터에 의해 실내온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예를 들어, 센서부(231)가 인지한 동작신호에 의해 분석부(232)가 사용자가 퇴근시 위험한 상황에 처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평온하게 정상적인 속도로 움직이다가 갑자기 뛰는 등의 경우, 분석부(232)는 해당 동작신호로부터 사용자가 위험에 빠진 것으로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분석부(232)로부터 사용자가 '위험'에 빠진 것을 수신한 IoT 서버(1)는 유선단말(21)을 통해(이 경우, 유선단말(21)은 IoT 디바이스(4)에 해당함) 근처 경찰서에 연락하도록 제어 데이터를 AP(3)에 전송할 수 있고, 유선단말(21)은 해당 제어 데이터에 의해 근처 경찰서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위에서 설명한 것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이 이러한 예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동작신호로부터 행동을 인지하여 IoT 디바이스(4)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예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3)가 사용자의 행동을 인지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웨어러블 디바이스(23)는 사용자의 동작신호를 IoT 서버(1)에 전송하고, 이러한 동작신호를 수신한 IoT 서버(1)가 사용자의 행동을 인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23)의 센서부(231)로부터 사용자의 동작신호가 검지되면, 사용자의 동작신호에 해당하는 행동패턴이 결정되고, 해당 행동패턴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에 의해 IoT 디바이스(4)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유선단말(21) 또는 이동단말(22)을 통해 IoT 디바이스(4)의 제어 데이터를 입력할 필요 없이, 사용자의 동작신호에 대응하는 IoT 디바이스(4)의 제어 데이터가 전송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제1 실시예는 상기 선행기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367109호와 동일한 것으로, 위 특허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은 상기 선행기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367109호에서 IoT 서버(1)를 지지부에 지지하여 세대 바닥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경우 발생하는 상술한 문제점이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7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 서버(1)를 세대의 벽체 상단에 지지하고 적정위치로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거치장치(6)를 더 포함한다.
거치장치(6)는 세대 벽체(W)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대(61)와, 고정대(61)에 수평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연결구(62)와, 회동연결대(62)의 전면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회동대(63)와, 회동대(63)에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에 IoT 서버(1)가 장착되는 신축대(64)와, 회동대(63)를 회동시키는 회동장치(65)와, 신축대(64)를 신축시키는 신축장치(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대(61)는 벽체(W)에 고정되는 고정판(611)과, 고정판(611)의 전면에 결합되는 회동지지박스(612)를 포함한다.
고정판(611)은 판상으로 형성되며, 벽체(W)에 천공된 구멍(미도시)에 소위 칼블록이라고 불리는 로우플러그(rawplug)(미도시)를 압입하고 고정판(611)을 관통하는 나사(미도시)를 스크루 앵커 블록에 체결하는 것에 의해 벽체(W)에 고정할 수 있다.
회동지지박스(612)는 후면이 개방되고 모터설치공간(613)을 가지는 박스 형태 형성되며, 고정판(611)을 관통하는 나사(미도시)를 회동지지박스(612)의 후면에 형성된 나사홀(미도시)에 체결하는 것에 의해 고정판(611)에 결합할 수 있다.
회동지지박스(612)의 상하면에는 후술하는 회동모터(651)의 회동모터축(652)이 관통하는 관통공(614)이 형성된다.
회동연결구(62)는 회동지지박스(612)의 상하면에 수평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하 한 쌍의 회동편(621)과, 상하 한 쌍의 회동편(621)의 전단을 연결하는 연결편(622) 및, 회동편(621)에 형성된 축고정공(623)을 포함한다.
회동대(63)는 회동수평판(631)과, 회동수평판(631)의 좌우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회동좌우판(632)과, 회동좌우판(632)의 바깥면에 길이방향으로 신축안내홈(633)을 포함한다.
회동대(63)는 회동수평판(631)과 회동좌우판(632)에 의해 전후면과 하면이 개방된 ㄷ자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신축대(64)는 회동수평판(631) 상에 접촉하는 신축수평판(641)과, 신축수평판(641)의 좌우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회동좌우판(632)의 바깥면에 접촉하는 신축좌우판(642)과, 신축좌우판(642)의 안쪽면 후단에 신축안내홈(633)에 삽입되어 전후방으로 안내되는 안내편(643)과, 신축수평판(641)의 전단에서 확장 형성되어 하면에 IoT 서버(1)가 장착되는 장착판(644)을 포함한다.
한편, IoT 서버(1)와 사용자 단말(2) 중 이동단말(22)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3)는 세대 외부에서는 LTE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세대 내부에서는 무선인터넷, 즉 WiFi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IoT 서버(1)와 IoT 디바이스(4)를 구성하는 에어컨(41), 보일러의 온도조절기(42), 냉장고(43), 전기밥솥(44) 및 TV(45)는 무선인터넷, 즉 WiFi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대 내부의 여러 곳에 설치되는 에어컨(41), 보일러의 온도조절기(42), 냉장고(43), 전기밥솥(44) 및 TV(45)와 IoT 서버(1)의 송수신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장착판(644)에는 IoT 서버(1)와 함께 무선인터넷 공유기(5)가 장착된다.
또한 신축대(64)의 신축수평판(641)과 장착판(644)은 천장면에 거의 닿을 정도로 설치되기 때문에 무선인터넷 공유기(5)의 안테나(51)는 하향 배치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동장치(65)는 회동지지박스(612)의 모터설치공간(613) 내에 장착되는 회동모터(651)와, 회동모터(651)의 상하단에서 돌출되어 회동편(621)에 형성된 축고정공(653)에 삽입 고정되는 회동모터축(652)을 포함한다.
신축장치(66)는 회동연결구(62)의 연결편(622)의 전면에 장착되는 신축모터(661)와, 신축모터(661)에 의해 회전되는 신축스크루(662)와, 신축대(64)의 후단에 결합되어 신축스크루(662)의 수나사부(663)에 나사물림되는 암나사공(665)을 가지는 이동블록(664)을 포함한다.
신축스크루(662)는 신축모터(661)의 신축모터축과 별도로 제작하여 신축모터축에 통상적인 축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되거나, 신축모터축의 외주면에 수나사부(663)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회동지지박스(612)의 내부에 원격조종수신기를 설치하고, 원격조종송신기를 구비하여 회동모터(651)와 신축모터(661)를 원격조종할 수 있다.
또한 회동지지박스(612)의 내부에 원격조종수신기를 설치하고, 이동단말(22)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3)에 원격조종송신기 기능을 추가하여 이동단말(22)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3)에 의해 회동모터(651)와 신축모터(661)를 원격조종할 수 있다.
이하, 거치장치(6)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대(64)가 회동대(63)에 대하여 수축된 상태에서 회동장치(65)에 의해 회동대(63)를 좌우로 수평회동시켜 장착판(64)에 장착된 IoT 서버(1)와 무선인터넷 공유기(5)의 위치를 가변하거나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대(64)가 신축장치(66)에 의해 회동대(63)에 대하여 신장된 상태에서 회동장치(65)에 의해 좌우로 수평회동시켜 장착판(64)에 장착된 IoT 서버(1)와 무선인터넷 공유기(5)가 적정한 위치에 배치되게 할 수 있다.
먼저, 회동장치(65)에 의한 회동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의 실선표시 위치는 평상시 또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IoT 서버(1)와 무선인터넷 공유기(5)를 벽체(W)의 상단 한 쪽에 위치시킨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6 및 도 7의 실선표시 위치에서 회동모터(651)가 시계방향으로 작동하면, 회동장치(65)의 회동모터축(65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회동모터축(652)에 회동편(621)이 고정된 회동연결구(62)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회동연결구(62)에 결합된 회동대(63)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회동대(63)에 신축 가능하게 결합된 신축대(64) 및 신축대(64)의 장착판(644)에 장착된 IoT 서버(1)와 무선인터넷 공유기(5)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1점쇄선표시 위치와 2점쇄선표시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도 6 및 도 7의 2점쇄선표시 위치에서 회동모터(651)가 반시계방향으로 작동하면, 회동모터축(652)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회동모터축(652)에 회동편(621)이 고정된 회동연결구(6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회동연결구(62)에 결합된 회동대(6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회동대(63)에 신축 가능하게 결합된 신축대(64) 및 신축대(64)의 장착판(644)에 장착된 IoT 서버(1)와 무선인터넷 공유기(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1점쇄선표시 위치와 실선표시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신축장치(66)에 의한 신축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대(64)가 회동대(63)에 대하여 수축된 상태에서 신축장치(66)의 신축모터(661)가 반시계방향으로 작동하면, 신축모터축에 결합된 신축스크루(66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대(64)의 후단에 결합된 이동블록(664)의 암나사부(665)와 신축스크루(662)의 나사작용에 의해 신축대(64)가 회동대(63)에 대하여 신장되고, 신축대(64)의 장착판(644)에 장착된 IoT 서버(1)와 무선인터넷 공유기(5)가 벽체(W)로부터 멀어지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대(64)가 회동대(63)에 대하여 신장된 상태에서 신축장치(66)의 신축모터(651)가 시계방향으로 작동하면, 신축모터축에 결합된 신축스크루(66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대(64)의 후단에 결합된 이동블록(664)의 암나사부(665)와 신축스크루(662)의 나사작용에 의해 신축대(64)가 회동대(63)에 대하여 수축되고, 신축대(64)의 장착판(644)에 장착된 IoT 서버(1)와 무선인터넷 공유기(5)가 벽체(W)에 가까워지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회동작동과 신축작동의 조합에 의하여 벽체(W)에 고정된 고정대(6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연결구(62)와, 회동연결구(62)에 결합된 회동대(63)와, 회동대(63)에 신축 가능하게 결합된 신축대(64)와, 회동장치(65) 및 신축장치(66)에 의하여 신축대(64)의 장착대(644)에 장착된 IoT 서버(1)와 무선인터넷 공유기(5)의 위치를 다양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IoT 서버(1)와 무선인터넷 공유기(5)를 적정한 위치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IoT 서버(1)와 무선인터넷 공유기(5)의 위치를 세대 바닥면에 설치되는 카펫트, 러그, 각종 매트 등에 의해 이동에 방해를 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여러 종류의 가구, 가전제품 등과 무관하게 IoT 서버(1)를 적정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식탁에 앉아서 식사를 하는 상황에서도 IoT 서버(1)와 무선인터넷 공유기(5)가 거치장치(6)에 의해 벽체(W)의 상단에 거치되므로 식탁과 의자가 가로 막히지 않아 센서의 작동에 제약을 받는 일이 없게 되므로 IoT 디바이스의 제어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IoT 서버(1)와 무선인터넷 공유기(5)가 거치장치(6)에 의해 벽체(W)의 상단에 거치되므로 사용자의 위치에 무관하게 각종 가구, 가전제품 등이 센서의 작동에 제약을 주는 일이 없게 되어 IoT 디바이스의 제어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거치장치(6)에 의해 IoT 서버(1)와 무선인터넷 공유기(5)를 벽체(W)의 상단 한 쪽 구석에 위치시킬 수 있어 IoT 서버(1)와 무선인터넷 공유기(5)가 세대 바닥 공간을 차지하는 일이 없게 되므로 세대 바닥 공간의 활용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예시된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고유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IoT 서버 2 : 사용자 단말
3 : AP 4 : IoT 디바이스
5 : 무선인터넷 공유기 6 : 거치장치
61 : 고정대 62 : 회동지지박스
63 : 회동대 64 : 신축대
65 : 회동장치 66 : 신축장치

Claims (1)

  1.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 사용자가 신체의 소정 부위에 착용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동작신호를 인지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는 행동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행동 데이터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상기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신체의 소정 부위의 가속도, 각속도 및 심박수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작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사용자의 동작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동작신호를 인지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행동패턴에 따라 사용자의 행동을 판단하여 상기 행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부로 구성되는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IoT 서버를 세대의 벽체 상단에 지지하고 적정위치로 이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거치장치를 더 포함하며,
    거치장치는 세대 벽체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고정판의 전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모터설치공간을 가지는 회동지지박스를 포함하는 고정대와;
    회동지지박스의 상하면에 수평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하 한 쌍의 회동편과, 상하 한 쌍의 회동편의 전단을 연결하는 연결편 및, 회동편에 형성된 축고정공을 포함하는 회동연결구와;
    회동수평판과, 회동수평판의 좌우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회동좌우판과, 회동좌우판의 바깥면에 길이방향으로 신축안내홈을 포함하는 회동대와;
    회동수평판 상에 접촉하는 신축수평판과, 신축수평판의 좌우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회동좌우판의 바깥면에 접촉하는 신축좌우판과, 신축좌우판의 안쪽면 후단에 신축안내홈에 삽입되어 전후방으로 안내되는 안내편과, 신축수평판의 전단에서 확장 형성되어 하면에 IoT 서버와 무선인터넷 공유기가 장착되는 장착판을 포함하는 신축대와;
    회동지지박스의 모터설치공간 내에 장착되는 회동모터와, 회동모터의 상하단에서 돌출되어 회동편에 형성된 축고정공에 삽입 고정되는 회동모터축을 포함하는 회동장치; 및
    회동연결구의 연결편의 전면에 장착되는 신축모터와, 신축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신축스크루와, 신축대의 후단에 결합되어 신축스크루의 수나사부에 나사물림되는 암나사공을 가지는 이동블록을 포함하는 신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
KR1020220165831A 2022-12-01 2022-12-01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 KR102509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5831A KR102509282B1 (ko) 2022-12-01 2022-12-01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5831A KR102509282B1 (ko) 2022-12-01 2022-12-01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9282B1 true KR102509282B1 (ko) 2023-03-14

Family

ID=85502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5831A KR102509282B1 (ko) 2022-12-01 2022-12-01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28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499B1 (ko) 2019-01-07 2020-03-09 주식회사 굿텍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
KR102271825B1 (ko) * 2020-09-24 2021-07-01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시스템
KR102367109B1 (ko) 2021-06-01 2022-02-25 (주)한동엔지니어링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499B1 (ko) 2019-01-07 2020-03-09 주식회사 굿텍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
KR102271825B1 (ko) * 2020-09-24 2021-07-01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시스템
KR102367109B1 (ko) 2021-06-01 2022-02-25 (주)한동엔지니어링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19004B1 (en) Robot guidance method by mapping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s and mobile robot using said method
US11700503B2 (en) Crowd sourced location determination
KR101728052B1 (ko) 사용자의 행동을 인지하여 사물을 제어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
KR102367109B1 (ko)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제어시스템
KR101833008B1 (ko) IPv6 프로토콜을 위한 효율적인 네트워크 계층
US9584335B1 (en) System and method of WiFi router based presence detection and control
KR102271825B1 (ko)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시스템
US20170365163A1 (en) Method, digital tool, device and system for detecting/recognizing in a radio range, in particular of an indoor area, repetitive motions, in particular rhythmic gestures, with at least one motional speed and each at least one repetition
CN104887155A (zh) 智能扫地机
EP2477378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network apparatus
KR20060108848A (ko) 무선 제어가 가능한 청소로봇과 그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
KR102509282B1 (ko)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시스템
US20180261905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CN111698671A (zh) 一种蓝牙遥控器
US1083468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radio signal emitted by a gateway, and corresponding gateway and computer program
KR102195572B1 (ko)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사물인터넷 제어시스템
KR102664693B1 (ko) 댁내 중계 장치와 이를 지지하는 지지 장비
CA3069584C (en) Intelligent power line and home appliance provided with same
CN108701887A (zh) 用于选择天线的系统、设备和方法
KR102246763B1 (ko) 공동주택의 최첨단 정보통신 통합제어시스템
US202102800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and/or relative environment of a controlling device
Kanagamalliga et al. Security Monitoring Using Embebdded Systems
KR100431048B1 (ko) 컴퓨터의 무선 송수신장치
CN218735013U (zh) 一种应用于家庭宽带分享的无线路由器
CN207923189U (zh) 一种无线远程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