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344B1 - 공기순환구를 통한 바디 냉각기능을 구비하는 드론 - Google Patents

공기순환구를 통한 바디 냉각기능을 구비하는 드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344B1
KR102086344B1 KR1020190112898A KR20190112898A KR102086344B1 KR 102086344 B1 KR102086344 B1 KR 102086344B1 KR 1020190112898 A KR1020190112898 A KR 1020190112898A KR 20190112898 A KR20190112898 A KR 20190112898A KR 102086344 B1 KR102086344 B1 KR 102086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rotor
air circulation
hous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6344B9 (ko
Inventor
황성일
Original Assignee
(주)네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온테크 filed Critical (주)네온테크
Priority to KR1020190112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344B1/ko
Publication of KR102086344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344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24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using steam or spr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B64C2201/024
    • B64C2201/042
    • B64C2201/108
    • B64C2201/16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 Y02T50/6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Abstract

공기순환구를 통한 바디 냉각기능을 구비하는 드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드론 바디 냉각 구조는 복수의 내장부품이 마련되며, 적어도 어느 일측에 공기순환구가 형성되어 상기 내장부품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바디 하우징 및 상기 바디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바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순환구는 상기 바디 커버의 대향하는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순환구를 통한 바디 냉각기능을 구비하는 드론{Drone Having Body Cooling Structure}
본 발명은, 공기순환구를 통한 바디 냉각기능을 구비하는 드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전과 달리 공기 통풍이 가능한 바디를 적용함으로써 바디 내에 탑재되는 내장부품에 대한 효율적인 냉각 및 온도 관리를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부품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드론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공기순환구를 통한 바디 냉각기능을 구비하는 드론에 관한 것이다.
드론(drone)은 사람이 타지 않고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하는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비행체를 가리킨다.
처음에는 공군기나 고사포, 미사일의 연습사격에 적기 대신 표적 구실로 사용되었으나, 점차 무선기술의 발달과 함께 정찰기로 개발되어 적의 내륙 깊숙히 침투하여 정찰, 감시의 용도로도 운용되었다. 근래에 들어 드론에 미사일 등 각종 무기를 장착하여 공격기로도 활용되고 있다.
드론의 활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성능을 가진 비행체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데 대형 비행체의 군사용뿐만 아니라, 초소형 드론도 활발하게 개발 연구되고 있다. 또한, 개인의 취미활동으로 개발되어 상품화된 것도 많이 있다.
정글이나 오지, 화산지역, 자연재해지역, 원자력 발전소 사고지역 등 인간이 접근할 수 없는 지역에 드론을 투입하여 운용한다. 최근에는 드론을 활용하여 수송목적에도 활용하는 등 드론의 활용 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다.
드론이 개발되던 초기에는 표적 드론(target drone), 정찰 드론(reconnaissance drone), 감시 드론(surveillance drone)으로 분류하였지만, 현재는 활용 목적에 따라 더욱 세분화된 분류가 가능하다.
도 1은 일반적인 드론의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드론(2)은 바디(5)와, 바디(5)에 연결되는 복수의 프레임(미도시)과, 프레임에 연결되는 아암(6)과, 아암(6)의 단부에 결합하되 로터(3)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4)를 포함한다.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바디(5)에는 드론(2)을 회전시키기 위한 내장부품을 비롯한 로터(3)의 제어 부품들이 탑재된다. 그뿐만 아니라 바디(5)에는 배터리 등이 탑재된다.
도면에는 바디(5)에 4개의 아암(6)이 결합하는 드론(2)을 개시하였으나 아암(6)의 개수는 3개, 혹은 5개 이상인 경우도 많다. 그리고, 바디(5) 역시, 도시된 원반형에서 벗어나 타원형, 유선형 등 매우 다양하다.
한편, 도 1과 같은 형태의 드론(2)이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일반적인 형태일 수 있는데, 이러한 드론(2)의 경우, 바디(5)의 외관 케이스가 단지 막힌 구조라서 바디(5) 내에 탑재되는 부품에 대한 냉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로 인해 부품의 내구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7-015169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종전과 달리 공기 통풍이 가능한 바디를 적용함으로써 바디 내에 탑재되는 내장부품에 대한 효율적인 냉각 및 온도 관리를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부품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드론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공기순환구를 통한 바디 냉각기능을 구비하는 드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복수의 내장부품이 마련되며, 적어도 어느 일측에 공기순환구가 형성되어 상기 내장부품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바디 하우징 및 상기 바디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바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순환구는 상기 바디 커버의 대향하는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는 드론 바디 냉각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공기순환구를 갖춘 드론 바디 구조는 상기 공기순환구에 결합하며, 상기 공기순환구를 통해 이물질이 상기 바디 하우징 내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거름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 하우징 내에는 아암과 연결되는 복수의 프레임을 일체로 지지하는 프레임 허브가 마련되며, 상기 프레임 허브의 외측에는 상기 내장부품에 대한 방열을 위한 알루미늄 방열판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바디; 상기 바디에 연결되는 복수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아암; 상기 프레임과 상기 아암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유닛; 상기 아암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되 내부의 회전자로서 로터를 구비하는 착탈식 모터; 상기 착탈식 모터의 로터에 연결되고 상기 로터의 작용으로 회전하는 회전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는, 복수의 내장부품이 마련되며, 적어도 어느 일측에 공기순환구가 형성되어 상기 내장부품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바디 하우징; 상기 바디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바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순환구는 상기 바디 커버의 대향하는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착탈식 모터는, 상기 로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로터 지지용 하우징; 상기 로터의 냉각을 위하여 상기 로터 지지용 하우징의 외주면 상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상부 통공부; 상기 로터의 냉각을 위하여 상기 로터 지지용 하우징의 외주면 하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하부 통공부; 일단부가 상기 로터 지지용 하우징에 연결되는 하우징 연결부재; 및 상기 하우징 연결부재의 타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아암의 단부가 결합하는 장소를 형성하며, 상기 아암 쪽의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 통과구를 구비하는 아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는 프레임 결합대; 상기 아암에 결합하는 아암 결합대; 및 상기 프레임 결합대와 상기 아암 결합대를 수작업으로 로킹 또는 로킹해제하는 수작업 회전 로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 하우징 내에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을 일체로 지지하는 프레임 허브가 마련되며, 상기 프레임 허브의 외측에는 상기 내장부품에 대한 방열을 위한 알루미늄 방열판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전과 달리 공기 통풍이 가능한 바디를 적용함으로써 바디 내에 탑재되는 내장부품에 대한 효율적인 냉각 및 온도 관리를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부품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드론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드론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바디 커버를 개방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알루미늄 방열판을 제거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착탈식 모터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바디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이물질 거름망의 분해도이다.
도 11은 공기순환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바디 하우징의 이미지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론에서 공기순환구 영역의 구조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공기순환구에 이물질 거름망이 슬라이딩 삽입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드론에서 바디 하우징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바디 커버를 개방한 상태도, 도 4는 도 3에서 알루미늄 방열판을 제거한 도면, 도 5는 도 4의 A 영역의 확대도, 도 6 및 도 7은 착탈식 모터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들, 도 8 및 도 9는 바디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들, 도 10은 이물질 거름망의 분해도, 그리고, 도 11은 공기순환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바디 하우징의 이미지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론(100)은 종전과 달리 공기 통풍이 가능한 바디(110)를 적용함으로써 바디(110) 내에 탑재되는 내장부품에 대한 효율적인 냉각 및 온도 관리를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부품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드론(10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드론(100)은 바디(110)와, 바디(110)에 연결되는 복수의 프레임(150)과, 프레임(150)에 연결되는 아암(160)과, 프레임(150)과 아암(160)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유닛(165)과, 아암(160)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되 내부의 회전자로서 로터(미도시)를 구비하는 착탈식 모터(170)와, 착탈식 모터(170)의 로터에 연결되고 로터의 작용으로 회전하는 회전날개(1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드론(100)은 개방된 소프트웨어(SW) 및 하드웨어(HW)를 통해 임무를 위한 특화된 부가장치로서 물류 배송과 영상촬영 분야에 적합한 최적의 솔루션(Solution)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역할 외에, 정찰 또는 감시의 역할을 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150)과 아암(160)은 각기 8개 적용된다. 이때, 8개씩의 프레임(150)과 아암(160)은 등간격의 방사형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아암(160)의 단부에서 로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180)의 회전운동 시 드론(100)의 안정적인 비행이 가능해질 수 있다.
바디(110)는 프레임(150), 아암(160), 착탈식 모터(170) 및 회전날개(180)를 제외한 나머지의 구조체를 이룬다.
바디(110)의 일측에 브릿지(121)가 마련된다. 브릿지(121)에 의해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다. 브릿지(121)는 착탈식 구조를 갖는다. 즉 브릿지(121)는 바디(110)의 하부에 결합하는 브릿지 홀더(12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따라서, 파손된 브릿지(121)를 교체하기가 수월하다. 바디(110)의 일측에는 안테나(128)가 마련된다.
한편, 바디(110)는 적어도 어느 일측에 내부의 공기순환을 위한 공기순환구(125)가 형성되는 바디 하우징(120)과, 바디 하우징(1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바디 커버(130)를 포함한다.
바디 하우징(120) 내에는 복수의 프레임(150)을 일체로 지지하는 프레임 허브(122)가 마련된다. 프레임 허브(122)에 복수의 프레임(150)이 방사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프레임 허브(122)의 외측에는 내장부품에 대한 방열을 위한 알루미늄 방열판(123)이 마련된다. 공기가 순환되는 과정에서 알루미늄 방열판(123)이 방열작용을 진행하기 때문에 내장부품에 대한 냉각 작용이 좀 더 원활해질 수 있다.
복수의 프레임(150)에 아암(160)이 연결되기 위해 연결 유닛(165)이 마련된다. 연결 유닛(165)은 프레임(150)과 아암(160)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연결 유닛(165)은 프레임(150)에 결합하는 프레임 결합대(165a)와, 아암(160)에 결합하는 아암 결합대(165b)와, 프레임 결합대(165a)와 아암 결합대(165b)를 수작업으로 로킹 또는 로킹해제하는 수작업 회전 로커(165c)를 포함한다. 수작업 회전 로커(165c)가 적용되기 때문에 공구 없이도 아암(160)에 대한 설치 또는 유지보수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착탈식 모터(170)는 아암(160)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해당 위치에서 로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착탈식 모터(170)는 로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로터 지지용 하우징(171)과, 로터의 냉각을 위하여 로터 지지용 하우징(171)의 외주면 상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상부 통공부(172)와, 로터의 냉각을 위하여 로터 지지용 하우징(171)의 외주면 하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하부 통공부(173)와, 일단부가 로터 지지용 하우징(171)에 연결되는 하우징 연결부재(174)와, 하우징 연결부재(174)의 타단부에 연결되되 아암(160)의 단부가 결합하는 장소를 형성하며, 아암(160) 쪽의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 통과구(176)를 구비하는 아암 커넥터(175)를 포함한다. 착탈식 모터(170)의 상부에 회전날개(180)를 고정하는 회전날개 고정판(179)이 마련된다. 회전날개 고정판(179)의 중심 부위에 실질적으로 회전날개(180)와 연결되는 모터축(170a)이 마련된다.
한편, 바디 하우징(120)은 복수의 내장부품이 마련되는 장소를 이룬다. 여기서, 내장부품은 로터를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해서 모터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내장부품은 실질적으로 열을 발생시키는 요소이다. 따라서, 적절한 냉각, 다시 말해 내부 통풍이 되어야 발열을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디 하우징(120)에 공기순환구(125)가 형성된다.
공기순환구(125)는 바디 하우징(120)과 바디 커버(130)로 이루어진 바디(110), 특히 열이 발생하는 바디 하우징(120) 내의 내장부품을 냉각을 위해 바디 하우징(120) 내외로 공기의 통풍작용이 진행되는 장소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처럼 공기순환구(125)를 통해 바디(110)의 내외로 공기가 통풍되기 때문에 바디(110)에 내장되는 모터나 배터리 등의 내장부품을 냉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부품의 손상을 없애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순환구(125)는 바디 하우징(120)의 대향하는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일측의 공기순환구(125)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면 타측의 공기순환구(125)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순환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기순환구(125)에는 이물질 거름망(135)이 마련된다. 이물질 거름망(135)은 공기는 통과하되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물질 거름망(135)은 공기순환구(125)에 결합할 수 있으며, 공기순환구(125)를 통해 이물질이 바디 하우징(120) 내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말해, 부품에 손상을 주는 이물질 없이 공기만 순환토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전과 달리 공기 통풍이 가능한 바디(110)를 적용함으로써 바디(110) 내에 탑재되는 내장부품에 대한 효율적인 냉각 및 온도 관리를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부품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드론(10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론에서 공기순환구 영역의 구조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공기순환구에 이물질 거름망이 슬라이딩 삽입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바디 커버(230)에도 공기 통풍을 위한 공기순환구(231)가 형성된다.
이때, 공기순환구(231)는 바디 커버(230)의 베이스(233)와 슬라이딩 레일(232)에 모두 형성된다.
그리고, 이물질 거름망(235)은 슬라이딩 레일(232)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형태로 적용된다. 즉 망 프레임(235a)과 다공망(235b)을 구비하는 이물질 거름망(235)은 슬라이딩 레일(232)에 슬라이딩 삽입되면서 공기순환구(231) 영역에 배치되어 이물질을 거르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전과 달리 공기 통풍이 가능한 바디(110, 도 2 참조)를 적용함으로써 바디(110) 내에 탑재되는 내장부품에 대한 효율적인 냉각 및 온도 관리를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부품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드론(10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드론에서 바디 하우징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바디 하우징(320)에도 내장부품(340)에 대한 방열을 위한 알루미늄 방열판(323)이 마련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알루미늄 방열판(323)과 내장부품(340) 사이에 펠티어 소자(325)가 마련된다.
펠티어 소자(325)는 전류를 흘려주면 전도성 물질 여러 층의 양 끝에 온도차이가 지속되는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저온 냉각을 필요로 하는 반대편의 고온 부분을 강제 냉각시키면 저온부의 열이 고온 쪽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러한 펠티어 효과를 통해 내장부품(340)의 냉각 작용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전과 달리 공기 통풍이 가능한 바디(110, 도 2 참조)를 적용함으로써 바디(110) 내에 탑재되는 내장부품에 대한 효율적인 냉각 및 온도 관리를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부품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드론(10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드론 110 : 바디
120 : 바디 하우징 121 : 브릿지
122 : 허브 지지대 123 : 알루미늄 방열판
125 : 공기순환구 130 : 바디 커버
135 : 이물질 거름망 150 : 프레임
160 : 아암 165 : 연결 유닛
170 : 착탈식 모터 179 : 회전날개 고정판
180 : 회전날개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바디;
    상기 바디에 연결되는 복수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아암;
    상기 프레임과 상기 아암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유닛;
    상기 아암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되 내부의 회전자로서 로터를 구비하는 착탈식 모터; 및
    상기 착탈식 모터의 로터에 연결되고 상기 로터의 작용으로 회전하는 회전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착탈식 모터는,
    상기 로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로터 지지용 하우징;
    상기 로터의 냉각을 위하여 상기 로터 지지용 하우징의 외주면 상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상부 통공부;
    상기 로터의 냉각을 위하여 상기 로터 지지용 하우징의 외주면 하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하부 통공부;
    일단부가 상기 로터 지지용 하우징에 연결되는 하우징 연결부재; 및
    상기 하우징 연결부재의 타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아암의 단부가 결합하는 장소를 형성하며, 상기 아암 쪽의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 통과구를 구비하는 아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는,
    복수의 내장부품이 마련되는 바디 하우징; 및
    상기 바디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바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 커버는 서로 연결되는 베이스와 슬라이딩 레일을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딩 레일 모두에 공기 통풍을 위한 공기순환구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순환구에는 상기 공기순환구를 통해 이물질이 상기 바디 하우징 내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되 망 프레임과 다공망을 구비하는 이물질 거름망이 마련되며,
    상기 이물질 거름망은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형태로 적용되며,
    상기 공기순환구가 상기 바디 하우징의 대향하는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구를 통한 바디 냉각기능을 구비하는 드론.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는 프레임 결합대;
    상기 아암에 결합하는 아암 결합대; 및
    상기 프레임 결합대와 상기 아암 결합대를 수작업으로 로킹 또는 로킹해제하는 수작업 회전 로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구를 통한 바디 냉각기능을 구비하는 드론.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하우징 내에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을 일체로 지지하는 프레임 허브가 마련되며,
    상기 프레임 허브의 외측에는 상기 내장부품에 대한 방열을 위한 알루미늄 방열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구를 통한 바디 냉각기능을 구비하는 드론.
KR1020190112898A 2019-09-11 2019-09-11 공기순환구를 통한 바디 냉각기능을 구비하는 드론 KR102086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898A KR102086344B1 (ko) 2019-09-11 2019-09-11 공기순환구를 통한 바디 냉각기능을 구비하는 드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898A KR102086344B1 (ko) 2019-09-11 2019-09-11 공기순환구를 통한 바디 냉각기능을 구비하는 드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344B1 true KR102086344B1 (ko) 2020-03-09
KR102086344B9 KR102086344B9 (ko) 2023-02-23

Family

ID=69802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898A KR102086344B1 (ko) 2019-09-11 2019-09-11 공기순환구를 통한 바디 냉각기능을 구비하는 드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34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352B1 (ko) 2021-05-28 2021-11-04 주식회사 하나로티앤에스 드론의 온도 제어 장치
KR102330687B1 (ko) 2021-02-17 2021-12-02 정동훈 하이브리드 엔진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드론
KR20220057680A (ko) 2020-10-29 2022-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항공모빌리티
CN117755542A (zh) * 2024-02-20 2024-03-26 泉州云卓科技有限公司 一种高适配性的多功能无人机支架及其无人机
CN117755542B (zh) * 2024-02-20 2024-05-31 泉州云卓科技有限公司 一种高适配性的多功能无人机支架及其无人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9337A (ko) * 2016-06-20 2017-08-31 주식회사 보성 농약 살포용 드론
KR20170134240A (ko) * 2016-05-27 2017-12-06 주식회사 유비파이 무인항공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4240A (ko) * 2016-05-27 2017-12-06 주식회사 유비파이 무인항공기
KR20170099337A (ko) * 2016-06-20 2017-08-31 주식회사 보성 농약 살포용 드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680A (ko) 2020-10-29 2022-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항공모빌리티
KR102330687B1 (ko) 2021-02-17 2021-12-02 정동훈 하이브리드 엔진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드론
KR102415351B1 (ko) 2021-02-17 2022-06-30 정동훈 하이브리드 엔진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드론
KR102321352B1 (ko) 2021-05-28 2021-11-04 주식회사 하나로티앤에스 드론의 온도 제어 장치
CN117755542A (zh) * 2024-02-20 2024-03-26 泉州云卓科技有限公司 一种高适配性的多功能无人机支架及其无人机
CN117755542B (zh) * 2024-02-20 2024-05-31 泉州云卓科技有限公司 一种高适配性的多功能无人机支架及其无人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344B9 (ko)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6344B1 (ko) 공기순환구를 통한 바디 냉각기능을 구비하는 드론
US10358214B2 (en) Aerial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on
US9199732B2 (en) Tilt rotor aircraft with fixed engine arrangement
KR102243865B1 (ko) 완전 보호 무인기
US10336447B2 (en) Folding proprotor gimbal lock and blade lock mechanism
EP3354567A1 (en) Rotor assembly and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same
US11628932B2 (en) Multicopter
CN109969390A (zh) 堆叠式马达组件及飞行器
KR101727019B1 (ko) 고정익을 갖는 멀티로터형 무인비행기
US20190256224A1 (en) An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654505B1 (ko) 추력 조절부가 구비된 가변피치형 무인 비행체
CN111936742B (zh) 自推进产生推力的控制力矩陀螺仪
KR20170110922A (ko) 다층 구조의 회전날개 유닛을 가지는 멀티콥터
KR102108415B1 (ko) 비행 성능 향상을 위한 드론
US10343785B1 (en) Hybrid rotary drone and method of use
CN209209042U (zh) 一种保护壳、螺旋桨组件、动力装置及无人机
CN219884116U (zh) 一种具有气流循环降温结构的微型无人机
CN211167430U (zh) 一种无人机用散热壳体
JP7238674B2 (ja) 推力発生装置
US11220329B2 (en) Ducted rotor stators
CN205048208U (zh) 照明设备
KR102029318B1 (ko) 하이브리드 추진 시스템을 구비한 멀티 콥터
JP3231324U (ja) プロペラ駆動ユニット
CN205048366U (zh) 新型灯具
US10689126B2 (en) Two-piece firewall and inlet plen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