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580B1 -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580B1
KR102085580B1 KR1020180053943A KR20180053943A KR102085580B1 KR 102085580 B1 KR102085580 B1 KR 102085580B1 KR 1020180053943 A KR1020180053943 A KR 1020180053943A KR 20180053943 A KR20180053943 A KR 20180053943A KR 102085580 B1 KR102085580 B1 KR 102085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brown
white
produ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9389A (ko
Inventor
김의웅
김훈
안재환
이효재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53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580B1/ko
Publication of KR20190129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5/00Grain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2B5/02Combined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5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of granular material, e.g. ore particles, grain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미를 포함한 배아미, 발아현미, 클린라이스와 같은 특수 가공미 및 잡곡 등의 혼합미의 통합 생산이 가능한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건조된 벼를 반입하여 저장하는 건벼 저장장치와, 상기 건벼 저장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건조된 벼를 가공하여 현미를 생산하는 현미 생산장치와, 생산된 상기 현미를 공급받고, 공급된 현미를 가공하여 백미를 생산하는 백미 생산장치와, 상기 현미 생산장치를 통해 생산된 현미 및 백미 생산장치를 통해 생산된 백미를 각각 공급받고, 공급된 현미 및 백미를 각각 가공하여 특수미를 생산하는 특수미 생산장치와, 잡곡을 반입하여 가공처리하고, 가공처리된 잡곡, 상기 현미 및 상기 백미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미를 생산하는 혼합미 생산장치 및 반입되는 상기 건조된 벼 및 잡곡의 이력정보를 저장하고, 미곡종합처리장의 관리시스템을 이루는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미곡 종합관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특수미 생산장치를 통해 생산되는 특수미는, 상기 특수미 생산장치를 통해 생산되는 특수미는, 상기 현미를 가공한 발아현미와 상기 백미를 가공한 클린라이스(clean ric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FACILITIES AND MANAGEMENT SYSTEM OF RICE PROCESSING COMPLEX}
본 발명은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백미를 포함한 배아미, 발아현미, 클린라이스와 같은 특수 가공미 및 잡곡 등의 혼합미의 통합 생산이 가능한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벼농사의 형태는 크게 논벼 재배와 밭벼 재배로 나뉘는데 논에 물을 대고 농사를 짓는 논벼 재배가 여러 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벼농사의 대부분은 수도작(水稻作)이며 밭벼 재배는 극히 적은 실정이다.
한국의 벼농사는 보통 농가를 통해 이루어지며, 4월 상순부터 중순까지 파종하여 9월 중순 또는 하순경이 성숙기가 되어 수확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농가에 의해 수확된 벼들은 지역에 있는 건조저장시설에 반입되거나 미곡종합처리장에 반입되어 유통된다.
여기서, 건조저장시설(DSC, Drying & Storage Center)은 농민들이 수확한 벼를 반입, 건조 및 저장만을 담당하는 곳이고, 미곡종합처리장(Rice Processing Complex, RPC)는 수확한 벼에 대해 반입, 건조, 저장 및 도정 등을 수행하는 곳에 해당한다.
미곡종합처리장은 벼 등의 곡물의 수확 후 건조, 저장, 도정, 포장 및 출하 작업을 기계화 및 자동화함으로써 품질의 향상과 상품성을 높이기 위한 시설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농촌 노동력의 노령화 및 부녀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현상 해소, 생산비용 절감 및 품질경쟁력 향상을 목적으로 농촌에 보급되고 있다.
최근에는 미곡종합처리장의 규모화 정책에 따라 시군별로 미곡종합처리장의 통합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하나의 미곡종합처리장은 다수의 반입, 건조 및 저장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다수의 반입, 건조 및 저장실설을 포함하여 미곡종합처리장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현재 미곡종합처리장은 소규모 형태로 운영되고 있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가 미흡하고, 또한 외국산 쌀과의 차별화를 위한 쌀 이력 추적시스템의 미도입으로 인한 쌀 품질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현미 소비 증가, 배아미, 발아현미, 클린라이스, 영양강화미, 코팅미 및 혼합미 등 특수 가공미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으나, 현재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스템으로는 이러한 특수 가공미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여건이 미흡하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7400호(2015년 03월 25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쌀 이력정보를 도입함으로써 수입쌀의 혼합판매 등 부정유통을 방지하고, 미곡종합처리장의 효율적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역 통합 미곡종합처리장의 백미 및 배아미, 발아현미, 클린라이스, 혼합미 등 특수 가공미의 대량 생산이 가능한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은, 건조된 벼를 반입하여 저장하는 건벼 저장장치와, 상기 건벼 저장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건조된 벼를 가공하여 현미를 생산하는 현미 생산장치와, 생산된 상기 현미를 공급받고, 공급된 현미를 가공하여 백미를 생산하는 백미 생산장치와, 상기 현미 생산장치를 통해 생산된 현미 및 백미 생산장치를 통해 생산된 백미를 각각 공급받고, 공급된 현미 및 백미를 각각 가공하여 특수미를 생산하는 특수미 생산장치와, 잡곡을 반입하여 가공처리하고, 가공처리된 잡곡, 상기 현미 및 상기 백미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미를 생산하는 혼합미 생산장치 및 반입되는 상기 건조된 벼 및 잡곡의 이력정보를 저장하고, 미곡종합처리장의 관리시스템을 이루는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미곡 종합관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특수미 생산장치를 통해 생산되는 특수미는, 상기 현미를 가공한 발아현미와 상기 백미를 가공한 클린라이스(clean ric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은, 상기 현미 생산장치, 백미 생산장치, 특수미 생산장치 및 혼합미 생산장치를 통해 생산되어 배출되는 현미, 백미, 특수미 및 혼합미를 각각 설정된 용량으로 개별 포장하여 배출하는 미곡 포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을 이루는 상기 현미 생산장치는 상기 건조된 벼를 투입하는 건벼 투입부와, 상기 건조된 벼의 함수율 및 중량을 측정하는 제 1 계량부와, 상기 건조된 벼에 대해 정선 및 석발 공정을 수행하여 건조된 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와, 이물질이 제거된 건조된 벼에 대해 왕겨와 현미를 분리하는 제현부와, 상기 제현부를 통해 분리된 현미에 대해 크기선별 공정을 수행하는 입선별부 및 상기 입선별부를 통해 크기선별이 수행된 현미 중 석발 공정을 수행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현미 석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을 이루는 상기 백미 생산장치는, 상기 현미 생산장치를 통해 생산된 현미를 공급받고, 공급된 현미의 함수율 및 중량을 측정하는 제 2 계량부와, 공급된 현미에 대해 정백 공정을 수행하여 정백미를 생산하는 정백미 생산부와, 상기 정맥미의 표면에 잔류하는 부착 겨의 제거 및 광택 공정을 수행하여 연미를 생산하는 연미 생산부와, 상기 연미 생산 시 발생하는 싸라기를 선별하고, 상기 연미와 선별된 상기 싸라기를 분류하는 싸라기 선별부 및 상기 싸라기가 선별된 연미에 대해 석발 공정을 수행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백미를 생산하는 백미 석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을 이루는 상기 백미 생산장치는, 상기 백미 석발부를 통해 석발 공정 수행 후, 상기 연미에 대해 색체선별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연미에 포함된 불량품을 선별하는 색체선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은 상기 백미 생산장치의 상기 정백미 생산부를 통해 생산되는 상기 정백미는 배아미(胚芽米)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을 이루는 상기 특수미 생산장치는, 상기 현미 생산장치를 통해 생산된 현미를 공급받고, 상기 현미에 대해 발아 공정을 수행하여 발아현미를 생산하는 발아현미 생산부 및 상기 백미 생산장치를 통해 생산된 백미를 공급받고, 상기 백미에 대해 세척공정을 수행하여 클린라이스(clean rice)를 생산하는 클린라이스 생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을 이루는 상기 혼합미 생산장치는, 종류별로 구분된 상기 잡곡을 각각 공급받고, 상기 잡곡에 포함된 이물질을 각각 제거하는 잡곡 이물질 제거부와, 이물질이 제거된 상기 잡곡과, 상기 현미 생산장치에서 생산된 상기 현미 및 상기 백미 생산장치를 통해 생산된 상기 백미를 각각 공급받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미를 생산하는 혼합미 생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은, 상기 혼합미 생산장치에 반입하는 상기 잡곡이 두류, 귀리, 율무, 조, 기장, 깨, 수수, 찹쌀 및 찰흑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을 이루는 상기 미곡 포장장치는, 상기 혼합미 생산장치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종류별 상기 잡곡에 대해 선택적으로 포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을 이루는 상기 미곡 종합관리 장치는, 상기 건조된 벼 및 잡곡의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미곡정보 저장부 및 상기 현미 생산장치, 백미 생산장치, 특수미 생산장치 및 혼합미 생산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생산장치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곡정보 저장부에 저장되는 상기 이력정보는 상기 건조된 벼 및 잡곡의 중량정보, 품질정보, 재배자 정보, 생산일자 및 위치정보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을 이루는 상기 미곡 종합관리 장치는, 상기 현미 생산장치, 백미 생산장치, 특수미 생산장치 및 혼합미 생산장치에 각각 투입되는 양에 근거하여 각 장치로부터 생산 가능한 양을 산출하는 생산량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은 상기 각각의 생산장치와 서로 연결되고, 가공시 발생하는 부산물을 집진하여 처리하는 부산물 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부산물은 압송식 공기이송(pneumatic conveying) 방식으로 상기 부산물 처리장치에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에 따르면, 미곡종합처리장에서 가공되는 곡물에 대해 이력정보를 도입 및 품질관리의 자동화를 통해 수입쌀의 혼합판매 등 부정유통을 방지하고, 고품질 쌀 브랜드 육성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은 친환경 집진시스템 도입 및 쌀 공기 이송 시스템의 도입을 통해 에너지 절감 등 미곡종합처리장의 효율적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은 현미 소비증가, 배아미 발아현미, 클린라이스, 혼합미 등 특수 가공미에 대한 대량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을 이루는 현미 생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을 이루는 백미 생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을 이루는 특수미 생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을 이루는 혼합미 생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곡 종합관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곡종합처리장의 관리시스템을 이루는 현미 생산장치, 백미 생산장치, 특수미 생산장치, 혼합미 생산장치 및 미곡 종합관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각각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1)은 건벼 저장장치(10), 현미 생산장치(20), 백미 생산장치(30), 특수미 생산장치(40), 혼합미 생산장치(50), 미곡 종합관리 장치(60), 미곡 포장장치(70) 및 부산물 처리장치(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건벼 저장장치(10)는 사일로(silo) 등의 저장탱크로 이루어져 건조된 벼를 반입하여 저장하고, 현미 생산장치(20)는 건벼 저장장치(10)로부터 공급되는 건조된 벼를 가공하여 현미를 생산할 수 있다.
현미 생산장치(2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벼 투입부(200), 제 1 계량부(210), 이물질 제거부(220), 제현부(230), 입선별부(240), 현미 석별부(250) 및 현미 저장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건벼 투입부(200)를 통해 건벼 저장장치(10)로부터 건조된 벼가 투입되면, 제 1 계량부(210)에서는 건조된 벼의 함수율(즉, 벼의 수분량 측정) 및 중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는 실시간으로 미곡 종합관리 장치(6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물질 제거부(220)에서는 건조된 벼에 대해 정선 및 석발 공정을 수행하여 건조된 벼에 포함된 돌, 흙, 금속물질,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후, 제현부(230)에서는 이물질이 제거된 건조된 벼에 대해 왕겨와 현미를 분리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현부(230)는 고무롤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현부(230)에서는 탈부율 기준을 95%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선별부(240)는 제현부(230)를 통해 분리된 현미에 대해 크기선별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입선별부(240)는 현미 정립과 비정립의 두께차이를 선별망으로 선별하는 방식으로, 현미 성상, 결실율 및 현미의 사용 용도 등에 따라 선별체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선별부(240)는 선별망의 크기가 다른 입선별기를 2단으로 설치항고 필요에 따라 1, 2 단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현미 석발부(250)는 입선별부(240)를 통해 크기선별이 수행된 현미 중 석발 공정을 수행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미 석발부(250)는, 예를 들어, 2가지 형태로 반진공식과 토요 타입(Toyo type)이라고 하는 요동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현미 저장부(260)는 저장탱크 구조로 현미 석발부(250)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현미를 저장할 수 있다.
백미 생산장치(30)는 현미 생산장치(20)에서 생산된 현미를 공급받고, 별도의 가공공정을 통해 백미를 생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미 생산장치(30)는 제 2 계량부(300), 정백미 생산부(310), 연미 생산부(320), 싸라기 선별부(330), 백미 석발부(340), 색체선별부(350) 및 백미 저장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2 계량부(300)에서는 현미 생산장치(20)를 통해 생산된 현미, 즉 현미 저자웁(260)에 저장되는 현미를 공급받고, 공급된 현미의 함수율 및 중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미곡 종합관리 장치(60)에 제공할 수 있다.
정백미 생산부(310)는 공급된 현미에 대해 현미의 미강층을 제거하기 위하여 연삭 및 마찰 공정을 포함하는 정백 공정을 수행하여 백미 상태의 정백미를 생산할 수 있다. 특히, 정백미 생산부(310)를 통해 생산되는 정백미는 백미상태의 배아미(胚芽米)로 생산될 수 있다.
이후, 연미 생산부(320)에서는 정백미 생산부(310)를 통해 생산된 정백미의 의 표면에 잔류하는 부착 겨의 제거 및 광택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연미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백미 생산장치(30)를 이루는 싸라기 선별부(330)는 연미 생산 시 발생하는 싸라기를 선별하여 연미에 포함된 싸라기를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싸라기 선별부(330)는 청소 등 유지관리가 로토리쉬트(rotary sifter)보다 용이한 진동체선별기를 사용할 수 있다.
싸라기가 선별된 연미에 대해 백미 석발부(340)는 석발 공정을 수행하여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백미를 생산할 수 있다. 백미 석발부(340)에서 사용되는 석발 방식은 상술한 현미 석발부(250)에 적용되는 방식 중 하나인 요동식이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색체선별부(350)는 백미 석발부(340)를 통해 석발 공정 수행 후, 연미에 대해 색체선별 공정을 수행하여 연미에 포함된 불량품을 선별하고, 선별결과로 불량품선율에 대한 정보는 미곡 종합관리 장치(60)에 제공될 수 있다.
색체선별부(350)는 2단의 색채선별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1단에서는 머신 비전(machine vision)으로 분상질립, 열손립 및 이종곡립 등 비정상립을 선별하고, 2단에서는 근적외선(NIR)을 이용하여 성분(예를 들어, 수분함량을 이용)이 다른 물질(플라스틱 및 유리 등)을 선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파장대를 확대함으로써 머신 비전과 근적외선을 모두 이용하는 방식을 채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후, 색체선별이 완료된 백미는 백미 저장부(360)에 저장된다. 이때, 저장되는 백미는 필요에 따라 함수율 측정 및 중량 측정 등 계량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저장될 수 있다.
특수미 생산장치(40)는 현미 생산장치(20)를 통해 생산된 현미와 백미 생산장치(30)를 통해 생산된 백미를 각각 공급받고, 공급된 현미 및 백미를 각각 가공 공정을 통해 발아현미 또는 클린라이스(clean rice) 등 특수미를 생산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수미 생산장치(40)는 발아현미 생산부(400)와 클린라이스 생산부(4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발아현미 생산부(400)는 현미 생산장치(20)를 통해 생산된 현미를 공급받아 발아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발아현미를 생산하여 반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발아현미 생산부(400)는 세척기, 발아기, 살균기 및 탈수기 등을 구비하여, 공급되는 현미에 대해 세철-발아-살균-탈수 등의 세부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발아현미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클린라이스 생산부(410)는 백미 생산장치(30)를 통해 생산된 백미를 공급받고, 공급되는 백미에 대해 세척공정을 수행하여 클린라이스(clean rice)를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클린라이스 생산부(410)가 백미 생산장치(30)를 통해 생산되는 백미에 대해서만 클린라이스를 생산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현미 생산장치(30)를 통해 생산된 현미 또는 발아현미 생산부(400)를 통해 생산된 발아현미에 대해서도 클린라이스를 생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발아현미 생산부(400) 및 클린라이스 생산부(410)를 통해 생산된 발아현미 및 클린라이스는 별도의 개별 포장을 위해 미곡 포장장치(70)로 이송될 수 있다.
혼합미 생산장치(50)는 잡곡을 반입하여 가공처리한 잡곡에 대해 현미 및 백미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미를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혼합미 생산장치(50)는 잡곡 이물질 제거부(500) 및 혼합미 생산부(5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미 생산장치(50)를 통해 반입되는 잡곡은 두류, 귀리, 율무, 조, 기장, 깨, 수수, 찹쌀 및 찰흑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잡곡 이물질 제거부(500)는 종류별로 구분되는 잡곡을 별도의 저장장치 또는 공급장치로부터 각각 공급받아 잡곡에 포함된 이물질을 각각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잡곡 이물질 제거부(500)는 상술한 현미 석발부(250) 또는 백미 석발부(340)와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잡곡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혼합미 생산부(510)는 이물질이 제거된 잡곡과, 현미 생산장치(20)에서 생산된 현미 및 백미 생산장치(30)를 통해 생산된 백미를 각각 공급받아 일정비율로 서로 혼합하여 혼합미를 생산할 수 있다.
혼합미를 생산하기 위한 혼합비율은 미곡 종합관리 장치(60)를 통해 미리 설정된 값으로 설정되거나, 용도 및 필요에 따라 실시간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혼합미 생산부(510)에서 생산된 혼합미도 미곡 포장장치(70)로 이송되어 설정된 용량으로 개별 포장 후 반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곡을 가공처리하는 각각의 장치는 미곡 종합관리 장치(6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미곡 종합관리 장치(60)는 각 장치의 동작제어 뿐만 아니라, 미곡의 품질관리를 위해 반입되는 건조된 벼 및 잡곡의 이력정보 및 각 장치에서 생산되는 생산물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미곡 종합관리 장치(60)는, 도 6을 참조하면, 미곡정보 저장부(600), 생산장치 동작제어부(610) 및 생산량 산출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미곡 종합관리 장치(60)를 이루는 미곡정보 저장부(600)는 반입되는 건조된 벼 및 잡곡의 이력정보 및 각 생산장치에서 생산되는 생산물(예를 들어, 현미, 백미, 발아현미, 클린라이스 등)의 각종 정보 및 가공 과정에서의 계량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곡에 대한 정보 외에 품질정보, 재배자 정보, 생산일자 및 생산 위치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생산장치 동작 제어부(610)는 현미 생산장치(20), 백미 생산장치(30), 특수미 생산장치(40) 및 혼합미 생산장치(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미곡 포장장치(70)와 부산물 처리장(80)에 대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생산장치 동작 제어부(610)는 각 생산장치에서 생산되는 생산물의 양이 설정된 양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장치를 독립적 또는 종합적으로 각 장치의 동작 속도나 운영 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장치의 오작동으로 인한 장치의 손상 및 안전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생산장치 동작 제어부(610)는 독립적 또는 종합적으로 각 장치의 동작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생산량 산출부(630)는 현미 생산장치(20), 백미 생산장치(30), 특수미 생산장치(40) 및 혼합미 생산장치(50)에 각각 투입되는 양에 근거하여 각 장치로부터 생산 가능한 양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산량 산출부(630)는 각 장치에 투입되는 원료의 양 및 가공처리 속도 등을 근거로 생산량을 미리 예측함으로써, 생산설비의 가동 시간 및 가동 능력 등의 관리가 용이해지고, 미곡종합처리장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미곡 종합관리 장치(60)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아지만, 제어시스템으로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NC(Numeric controller), DCS(Distributed control system)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시스템의 관리를 MMI(Man machine interface)를 통해 중앙에서 집중제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미곡 포장장치(70)는 현미 생산장치(20), 백미 생산장치(30), 특수미 생산장치(40) 및 혼합미 생산장치(50)를 통해 생산되어 배출되는 현미, 백미, 특수미 및 혼합미를 각각 설정된 용량으로 개별 포장하여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혼합미 생산장치(50)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잡곡에 대해 종류별로 개별 포장이 가능하다.
특히, 미곡 포장장치(70)는 통해 포장처리 되는 생산물들은 포장 처리 후, 별도의 저장 시설로 이송처리될 수 있도록 별도의 이송설비, 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 및 로봇 적재기 등과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산물 처리장치(80)는 각각의 생산장치와 서로 연결되어, 가공시 발생하는 부산물을 집진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부산물 처리장치(80)에서 처리되는 부산물은 압송식 공기이송(pneumatic conveying) 방식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 생산장치에서 가공시 발생하는 비산먼지의 집진 및 방냉 등을 위한 집진장치 및 흡인식 청소시스템을 미곡종합처리장의 관리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에 따르면, 이력정보 및 품질관리의 자동화를 통해 고품질 브랜드 육성이 가능하고 미곡종합처리장의 효율적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미곡종합처리장의 관리시스템
10 : 건벼 저장장치 20 : 현미 생산장치
30 : 백미 생산장치 40 : 특수미 생산장치
50 : 혼합미 생산장치 60 : 미곡 종합관리 장치
70 : 미곡 포장장치 80 : 부산물 처리장치
200 : 건벼 투입부 210 : 제 1 계량부
220 : 이물질 제거부 230 : 제현부
240 : 입선별부 250 : 현미 석발부
260 : 현미 저장부 300 : 제 2 계량부
310 : 정백미 생산부 320 : 연미 생산부
330 : 싸라기 선별부 340 : 백미 석발부
350 : 색체선별부 360 : 백미 저장부
400 : 발아현미 생산부 410 : 클린라이스
500 : 잡곡 이물질 제거부 510 : 혼합미 생산부
600 : 미곡 정보 저장부 610 : 생산장치 동작제어부
620 : 생산량 산출부

Claims (14)

  1. 건조된 벼를 반입하여 저장하는 건벼 저장장치;
    상기 건벼 저장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건조된 벼를 가공하여 현미를 생산하는 현미 생산장치;
    생산된 상기 현미를 공급받고, 공급된 현미를 가공하여 백미를 생산하는 백미 생산장치;
    상기 현미 생산장치를 통해 생산된 현미 및 백미 생산장치를 통해 생산된 백미를 각각 공급받고, 공급된 현미 및 백미를 각각 가공하여 특수미를 생산하는 특수미 생산장치;
    잡곡을 반입하여 가공처리하고, 가공처리된 잡곡, 상기 현미 및 상기 백미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미를 생산하는 혼합미 생산장치; 및
    반입되는 상기 건조된 벼 및 잡곡의 이력정보를 저장하고, 미곡종합처리장의 관리시스템을 이루는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미곡 종합관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백미 생산장치는,
    상기 현미 생산장치를 통해 생산된 현미를 공급받고, 공급된 현미의 함수율 및 중량을 측정하는 계량부;
    공급된 현미에 대해 정백공정을 수행하여 정백미를 생산하는 정백미 생산부;
    상기 정백미의 표면에 잔류하는 부착 겨의 제거 및 광택 공정을 수행하여 연미를 생산하는 연미 생산부;
    상기 연미 생산시 발생하는 싸라기를 선별하고, 상기 연미와 선별된 상기 싸라기를 분류하는 싸라기 선별부; 및
    상기 싸라기가 선별된 연미에 대해 석발 공정을 수행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백미를 생산하는 백미 석발부;를 포함하며,
    상기 특수미 생산장치를 통해 생산되는 특수미는,
    상기 현미를 가공한 발아현미와 상기 백미를 가공한 클린라이스(clean ric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종합처리장의 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미 생산장치, 백미 생산장치, 특수미 생산장치 및 혼합미 생산장치를 통해 생산되어 배출되는 현미, 백미, 특수미 및 혼합미를 각각 설정된 용량으로 개별 포장하여 배출하는 미곡 포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종합처리장의 관리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미 생산장치는,
    상기 건조된 벼를 투입하는 건벼 투입부;
    상기 건조된 벼의 함수율 및 중량을 측정하는 제 1 계량부;
    상기 건조된 벼에 대해 정선 및 석발 공정을 수행하여 건조된 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
    이물질이 제거된 건조된 벼에 대해 왕겨와 현미를 분리하는 제현부;
    상기 제현부를 통해 분리된 현미에 대해 크기선별 공정을 수행하는 입선별부; 및
    상기 입선별부를 통해 크기선별이 수행된 현미 중 석발 공정을 수행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현미 석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종합처리장의 관리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미 생산장치는,
    상기 백미 석발부를 통해 석발 공정 수행 후, 상기 연미에 대해 색체선별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연미에 포함된 불량품을 선별하는 색체선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종합처리장의 관리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미 생산장치의 상기 정백미 생산부를 통해 생산되는 상기 정백미는 배아미(胚芽米)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종합처리장의 관리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미 생산장치는,
    상기 현미 생산장치를 통해 생산된 현미를 공급받고, 상기 현미에 대해 발아 공정을 수행하여 발아현미를 생산하는 발아현미 생산부; 및
    상기 백미 생산장치를 통해 생산된 백미를 공급받고, 상기 백미에 대해 세척공정을 수행하여 클린라이스(clean rice)를 생산하는 클린라이스 생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종합처리장의 관리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아현미 생산부에서 수행하는 발아공정은 세척-발아-살균-탈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종합처리장의 관리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미 생산장치는,
    종류별로 구분된 상기 잡곡을 각각 공급받고, 상기 잡곡에 포함된 이물질을 각각 제거하는 잡곡 이물질 제거부;
    이물질이 제거된 상기 잡곡과, 상기 현미 생산장치에서 생산된 상기 현미 및 상기 백미 생산장치를 통해 생산된 상기 백미를 각각 공급받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미를 생산하는 혼합미 생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종합처리장의 관리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미 생산장치에 반입하는 상기 잡곡은 두류, 귀리, 율무, 조, 기장, 깨, 수수, 찹쌀 및 찰흑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종합처리장의 관리시스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곡 종합관리 장치는,
    상기 건조된 벼 및 잡곡의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미곡정보 저장부; 및
    상기 현미 생산장치, 백미 생산장치, 특수미 생산장치 및 혼합미 생산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생산장치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곡정보 저장부에 저장되는 상기 이력정보는 상기 건조된 벼 및 잡곡의 중량정보, 품질정보, 재배자 정보, 생산일자 및 위치정보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종합처리장의 관리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미곡 종합관리 장치는,
    상기 현미 생산장치, 백미 생산장치, 특수미 생산장치 및 혼합미 생산장치에 각각 투입되는 양에 근거하여 각 장치로부터 생산 가능한 양을 산출하는 생산량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종합처리장의 관리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생산장치와 서로 연결되고, 가공시 발생하는 부산물을 집진하여 처리하는 부산물 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부산물은 압송식 공기이송(pneumatic conveying) 방식으로 상기 부산물 처리장치에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종합처리장의 관리시스템.
KR1020180053943A 2018-05-10 2018-05-10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 KR102085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943A KR102085580B1 (ko) 2018-05-10 2018-05-10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943A KR102085580B1 (ko) 2018-05-10 2018-05-10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389A KR20190129389A (ko) 2019-11-20
KR102085580B1 true KR102085580B1 (ko) 2020-03-06

Family

ID=68729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943A KR102085580B1 (ko) 2018-05-10 2018-05-10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580B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462B1 (ko) * 1988-02-02 1990-03-12 두산산업 주식회사 곡물의 건조와 저장 및 도정을 겸한 종합 시스템
KR20040017033A (ko) * 2002-08-20 2004-02-26 이현철 다용도형 곡물발아장치
KR100546033B1 (ko) * 2003-11-25 2006-01-24 주식회사농심 현미 연속살균과 백미 혼합 장치 및 방법
KR20060083554A (ko) * 2005-01-18 2006-07-21 햇살영농조합법인 백미에 곡류와 두류를 일정비율 배합한 제조미(製造米)의 제조방법
KR20090072397A (ko) * 2007-12-28 2009-07-02 제이씨엔지니어링(주) 농작물 생산관리시스템
KR101198846B1 (ko) * 2010-12-13 2012-11-07 한국식품연구원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
KR101507400B1 (ko) 2012-12-27 2015-03-31 한국식품연구원 미곡종합 처리장 및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389A (ko) 201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62547B2 (ja) 粉粒体の精製、分級方法及びその装置
CN103977852A (zh) 面粉加工工艺
KR102305474B1 (ko) 도정 수율이 우수한 곡물 탈피방법 및 그 탈피장치
CN103464235A (zh) 一种精加工的大米加工工艺
KR102073540B1 (ko) 곡물 가공 부산물 재가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6793752U (zh) 一种藜麦加工系统
KR102085580B1 (ko)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
CN102427736A (zh) 用于小麦碾磨的方法和系统
CN106140357A (zh) 一种留胚碾米机
KR100792011B1 (ko) 고춧가루 제조 시스템
CN110292966B (zh) 一种受灾小麦分级加工工艺
JP5368329B2 (ja) 樹脂塗膜剥離システム
CN108144671A (zh) 一种在米糠中回收碎米和米粞的系统
CN207482756U (zh) 螺旋进料除杂机
KR102182609B1 (ko) 곡물저장설비 및 곡물가공설비의 에너지 절감시스템 및 그 방법
Ruzhylo et al. Experimental research into impact of kinematic and design parameters of a spiral potato separator on quality of plant residues and soil separation
CN113731524A (zh) 一种环保无尘的大米生产工艺
KR101271643B1 (ko) 정미장치
CN113441227B (zh) 一种大米、糙米、糯米100吨生产控制系统
CN206046106U (zh) 一种米类食品加工设备
CN114939455B (zh) 一种燕麦清理系统及其清理方法
CN215655295U (zh) 一种颗粒谷物原料分级利用清理系统
CN109225572A (zh) 一种石材破碎系统
CN104998712A (zh) 一种精加工的大米加工方法
RU2194616C1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изношенных покрышек 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линия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