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846B1 -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846B1
KR101198846B1 KR1020100127209A KR20100127209A KR101198846B1 KR 101198846 B1 KR101198846 B1 KR 101198846B1 KR 1020100127209 A KR1020100127209 A KR 1020100127209A KR 20100127209 A KR20100127209 A KR 20100127209A KR 101198846 B1 KR101198846 B1 KR 101198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information
distribution
grow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6679A (ko
Inventor
김의웅
김동철
김훈
김병삼
김종훈
이세은
박용곤
김지영
이효재
정지성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27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846B1/ko
Publication of KR20120076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서, 건조저장시설과 미곡종합처리장을 포함하는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미곡종합처리장은, 재배자 식별 정보, 반입되거나 배출되는 벼, 현미 또는 백미의 중량 정보 및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 반입되는 벼, 가공된 현미 및 백미를 각각 저장하는 다수개의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반입되는 미곡의 재배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전달하는 식별정보 입력부; 상기 각 저장탱크의 입구게이트와 출구게이트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로 입고되거나 출고되는 미곡의 중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미곡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다수개의 연류계; 및 상기 연류계로부터 제공되는 미곡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식별정보 입력부로부터 제공되는 재배자 식별 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유통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각 공정별로 연류계를 설치하여 원료의 입고에서 부터 가공 공정 생산 출하 공정까지 이력을 추적할 수 있는 것입니다.

Description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Integrated Rice Distribution an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미곡종합처리장 뿐만 아니라 건조저장시설의 유통 관리를 제공할 수 있는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에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벼농사의 형태는 크게 논벼 재배와 밭벼 재배로 나뉘는데 논에 물을 대고 농사를 짓는 논벼 재배가 여러 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벼농사의 대부분은 수도작(水稻作)이며 밭벼 재배는 극히 적은 실정이다.
한국의 벼농사는 보통 4월 상순부터 중순까지 파종하여 9월 중순 또는 하순경이 성숙기가 되어 수확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한 농가가 재배하는 벼농사 면적은 0.8 헥타르이고, 5.5톤의 벼를 재배한다.
이와 같이 농가에 의해 수확된 벼들은 지역에 있는 건조저장시설에 반입되거나 미곡종합처리장에 반입되어 유통된다.
여기서, 건조저장시설(DSC, Drying & Storage Center)은 농민들이 수확한 벼를 반입, 건조 및 저장만을 담당하는 곳이고, 미곡종합처리장(RPC, Rice Processing Complex)는 반입, 건조, 저장 및 도정을 수행하는 곳이다.
미곡종합처리장의 규모화 정책에 따라 시· 군별로 미곡종합처리장의 통합이 진행되고 있어 하나의 미곡종합처리장은 다수의 반입, 건조 및 저장시설을 보유하게 되어, 미곡종합처리장과 다수의 반입, 건조 및 저장시설을 포함하여 종합적인 관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종래 건조저장시설은 수확된 벼(수분이 24% 내외)를 투입구에 투입하고, 투입구에 반입된 벼들은 이송장치를 통해 조선기로 이동되어 1차 이물질이 선별된 후 호퍼스케일을 통해 반입된 중량 및 수분이 측정된다.
이후, 반입된 벼를 건조시설로 이동시켜 수분이 24% 내외의 벼를 15% 내외로 건조시킨 후 사일로와 같은 저장시설에 저장하게 된다.
그러나 저장시설의 크기가 200~500톤 규모이기 때문에 하나의 저장탱크에는 다수의 농민이 수확한 벼들이 혼합되어 저장되어 있다가 미곡종합처리장으로 이동되어 도정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한편, 미곡종합처리장 주변의 농가들은 상기 건조저장시설을 거치지 않고 바로 미곡종합처리장에 수확한 벼를 반입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벼를 반입한 미곡종합처리장에서는 투입구과 배출구에 연류계가 설치되어 도정 과정 후 수율만을 계산하였다.
한편, 사일로내의 곡물의 정확한 온도를 측정하여 곡물의 품질을 관리할 수 있고, 사일로에 곡물의 재고를 측정할 수 있는 재고측정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이와 같은 사일로를 원격지에서 자동으로 관리 및 운영할 수 있는 곡물자동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미곡종합처리장의 곡물 자동관리장치(등록실용신안공보 20-0280560호, 2002년 06월 21일) 출원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 미곡종합처리장의 곡물 자동관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미곡종합처리장의 곡물 자동관리장치는 벼 등의 곡물을 저장하는 사일로(10), 벼 등의 곡물의 중량을 측량하는 중량측정장치(30), 중량측정장치(30)와 연결되어 곡물의 재고를 관리할 수 있도록 설치된 재고측정장치(40), 사일로(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교반기 등의 단위기계 장치들을 제어하는 단위기계제어장치(50), 사일로(10)에 저장되어 있는 벼 등의 곡물의 온도, 습도를 측정하는 곡온, 외기 측정장치(60), 및 재고측정장치(40), 단위기계제어장치(50), 곡온. 외기 측정장치(60)들과 연결되어 이들 각각의 장치들을 종합적으로 제어하도록 관리하는 종합관리장치(70)를 포함하는 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미곡종합처리장의 곡물 자동관리장치에서는 단순히 사일로의 중량을 중량측정장치를 통해 측정하고 그 시일로에 저장된 곡물의 재고 관리만을 수행할 뿐 각 재배자별 곡물의 유통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미곡종합처리장은 상기 건조저장시설에 의해 건조된 벼들을 반입받아 도정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건조저장시설과 미곡종합처리장에서는 농민이 반입한 벼가 혼합되어 저장되거나 혼합되어 도정 과정이 수행됨에 따라 해당 농민이 생산한 벼의 이력 추적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종래 건조저장시설과 미곡종합처리장에서는 도난에 대한 재고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 이유로 종래 건조저장시설과 미곡종합처리장에서는 외부 경비업체에 위탁하여 관리하고 있으나 실제로 저장된 벼가 도난 되더라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농민들이 수확한 벼를 건조, 저장 및 도정 시 벼의 중량을 감지할 수 있는 저장소의 입구 및 출구 게이트에 변화하는 중량을 검측하는 중량검측장치를 설치하고 그 중량 검측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중량변화정보로부터 혼합되는 반입 벼를 구별하여 관리하는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역에 위치한 건조저장시설과 미곡종합처리장이 연계되어 반입된 벼가 관리됨으로써 포장되어 나가는 완제품에 정확한 이력관리가 가능하도록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그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반입 농가별 이력관리가 됨으로써 저장된 벼의 도난여부도 확인할 수 있는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의 일 측면은 건조저장시설과 미곡종합처리장을 포함하는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미곡종합처리장은, 재배자 식별 정보, 반입되거나 배출되는 벼, 현미 또는 백미의 중량 정보 및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 반입되는 벼, 가공된 현미 및 백미를 각각 저장하는 다수개의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반입되는 미곡의 재배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전달하는 식별정보 입력부; 상기 각 저장탱크의 입구게이트와 출구게이트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로 입고되거나 출고되는 미곡의 중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미곡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다수개의 연류계; 및 상기 연류계로부터 제공되는 미곡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식별정보 입력부로부터 제공되는 재배자 식별 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유통정보 관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탱크는 원료탱크, 현미탱크 및 백미탱크이다.
한편 미곡종합처리장은 유통정보 관리부를 통해 저장탱크에 저장된 재배자별 미곡이 모두 배출됨이 확인되면, 저장탱크에 저장된 다른 재배자의 미곡과 혼합되지 않도록 저장탱크의 출구게이트를 차단하는 재배자별 미곡 처리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재배자별 미곡 처리제어부는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하여 재배자별 벼가 가공되어 저장된 저장탱크의 입구게이트를 제어하여 동일한 저장탱크에 재배자별 벼가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미곡종합처리장은 백미로 가공된 후 포장되는 백미의 유통정보를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여 RFID 태그나 바코드에 입력하는 재배자 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별정보 입력부는 상기 건조저장시설의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어 전달되는 건조된 벼의 유통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은 재배자 식별 정보, 반입되거나 배출되는 벼의 중량 정보 및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와, 반입되는 벼를 저장하는 다수개의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에 반입되는 벼의 재배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전달하는 식별정보 입력부와, 상기 각 저장탱크의 입구게이트와 출구게이트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로 입고되거나 출고되는 벼의 중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벼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다수개의 연류계와 상기 연류계로부터 제공되는 벼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식별정보 입력부로부터 제공되는 재배자 식별 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유통정보 관리부 및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어 미곡종합처리장에 전달되는 건조된 벼의 유통정보를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여 미곡종합처리장에 전송하기 위한 유선 또는 무선 송신부로 이루어진 건조저장시설을 포함한다.
상기 건조저장시설은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어 미곡종합처리장에 전달되는 건조된 벼의 유통정보를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여 RFID 태그나 바코드에 입력하는 재배자 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저장시설은 유선 또는 무선 송신부를 통해 상기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미곡종합처리장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미곡종합처리장의 모니터링부는,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통해 상기 건조저장시설의 작동 조건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곡종합처리장의 일 측면은 재배자 식별 정보, 반입되거나 배출되는 벼, 현미 또는 백미의 중량 정보 및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 반입되는 벼, 가공된 현미 및 백미를 각각 저장하는 다수개의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반입되는 벼의 재배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전달하는 식별정보 입력부; 상기 각 저장탱크의 입구게이트와 출구게이트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로 입고되거나 출고되는 미곡의 중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미곡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다수개의 연류계; 및 상기 연류계로부터 제공되는 미곡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식별정보 입력부로부터 제공되는 재배자 식별 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유통정보 관리부를 포함한다.
미곡종합처리장은 백미로 가공된 후 포장되는 백미의 유통정보를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여 RFID 태그나 바코드에 입력하는 재배자 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조저장시설의 일 측면은 재배자 식별 정보, 반입되거나 배출되는 벼의 중량 정보 및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 반입되는 벼를 저장하는 다수개의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반입되는 벼의 재배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전달하는 식별정보 입력부; 상기 각 저장탱크의 입구게이트와 출구게이트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로 입고되거나 출고되는 벼의 중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벼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다수개의 연류계; 및 상기 연류계로부터 제공되는 벼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식별정보 입력부로부터 제공되는 재배자 식별 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유통정보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어 미곡종합처리장에 전달되는 건조된 벼의 유통정보를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여 미곡종합처리장에 전송하기 위한 유선 또는 무선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은 각 공정별로 연류계를 설치하여 원료의 입고에서 부터 가공 공정 생산 출하 공정까지 이력을 추적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료, 현미, 백미 연류계의 투입, 가공량을 저장 관리하여 도정 수율을 산출하며, 각 과정 별로 설치된 저장탱크의 품명과 재고량의 관리가 가능하며, 제품생산, 주문관리, 출고관리, 반품관리를 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각 공정의 투입 가공량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PC로 연류계를 제어할 수 있어 가공 운전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연류계 운전 상태를 PC 한곳에서 관리하게 됨으로 문제 발생 시 대응을 빠르게 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정별 도정 수율이 실시간으로 계산되어 가공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수기로 작성했던 보고서들을 전산화하여 미곡처리장 내에서 보고서 자료를 공유 작성 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생산주문 지시 시스템을 추가 하여 관리자가 생산에 주문된 제품을 전송하며, 생산자는 이를 터치모니터로 주문량을 확인하여 제품을 제고하고, 생산이 완료 되면 관리자는 제품 생산 여부를 관리자 컴퓨터로 실시간 확인 할 수 있는 또 다른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미곡종합처리장의 곡물 자동관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따른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에서 미곡종합처리장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4는 도 2에 따른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에서 반입 및 건조저장시설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따른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에서 반입 및 도정되는 유통과정이 모니터링부를 통해 표시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에서 미곡종합처리장을 나타낸 기능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에서 건조저장시설을 나타낸 기능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은 미곡종합처리장(100)과 다수개의 건조저장시설(200-1 내지 200-n)로 이루어진다.
미곡종합처리장(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110), 식별정보 입력부(120), 하나 이상의 연류계(130-1 내지 130-n), 유통정보 관리부(140), 재배자별 미곡 처리제어부(150), 재배자 정보 처리부(160) 및 유선 또는 무선 통신부(170)를 포함하며, 원료탱크(101), 현미처리부(102), 현미탱크(103), 백미처리부(104), 백미탱크(105) 및 포장처리부(106)를 포함한다.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110)에는 재배자 식별 정보, 반입되거나 배출되는 벼의 중량 정보, 벼, 현미 및 백미의 위치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재배자 식별정보는 재배자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품종, 필지 등일 수 있다. 또한, 동일 작목반에서 동일한 품종을 동일한 재배방법으로 재배하여 반입한 벼는 미곡종합처리장에서 필요할 때 동일한 재배자로 취급할 수 있다.
식별정보 입력부(120)는 저장탱크인 원료탱크(101)에 입고되는 벼의 재배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유통정보 관리부(140)로 전달한다. 식별정보 입력부(120)는 관리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는 키 입력 장치이거나 재배자의 정보가 포함된 RFID 태그를 리딩하기 위한 RFID 리더기이거나, 바코드 리더기일 수 있다.
연류계(130-1 내지 130-n)는 저장탱크인 원료탱크(101), 현미탱크(103) 및 백미탱크(105)의 입구게이트와 출구게이트에 각각 설치되어 저장탱크로 저장되거나 배출되는 벼, 현미 또는 백미의 중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벼, 현미 또는 백미의 중량 정보를 유통정보 관리부(140)로 전달한다. 이때, 연류계(130-1 내지 130-n)는 유통정보 관리부(140)와 이더넷, WiFi, 지그비, 블루투스와 같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유통정보 관리부(140)는 각 연류계(130-1 내지 130-n)로부터 제공되는 벼, 현미 또는 백미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식별정보 입력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재배자 식별 정보와 매칭시켜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한다. 호퍼스케일을 통해 측정된 중량 및 수분 정보를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유통정보 관리부(140)는 각 연류계(130-1 내지 130-n)로부터 제공되는 벼, 현미 또는 백미의 중량 정보를 통해 저장탱크에 저장된 재배자별 남은 벼, 현미 또는 백미의 중량을 확인하고, 재배자별 벼, 현미 또는 백미의 현재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그 정보를 재배자 식별 정보와 매칭시켜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한다.
한편 재배자별 미곡 처리제어부(150)는 유통정보 관리부(140)를 통해 저장탱크에 저장된 재배자별 벼, 현미 또는 백미의 모두 배출됨이 확인되면, 저장탱크에 저장된 다른 재배자의 벼와 혼합되지 않도록 저장탱크의 출구게이트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재배자별 미곡 처리제어부(150)는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110)를 확인하여 재배자별 벼가 가공되어 저장된 저장탱크의 입구게이트를 오픈하여 동일한 저장탱크에 재배자별로 벼가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재배자 정보 처리부(160)는 백미로 가공된 쌀의 유통정보를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110)에서 확인하여 RFID 태그나 바코드에 입력한다.
또한 미곡종합처리장(100)의 식별정보 입력부(12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부(170)를 통해 건조저장시설(200-1 내지 200-n)로부터 전달되는 건조된 벼의 유통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건조저장시설(200-1 내지 200-n)과 미곡종합처리장(100)은 TCP/IP를 이용한 인터넷, 이동통신망, 와이브로와 같은 통신망을 이용하거나 전용망을 설치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건조저장시설(200-1 내지 200-n)은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210), 식별정보 입력부(220), 다수개의 연류계(230-1 내지 230-n), 유통정보 관리부(240) 및 유선 또는 무선 송신부(250)를 포함한다.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210)는 재배자 식별 정보, 반입되거나 배출되는 벼의 중량 정보 및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저장탱크(201)는 반입되는 벼를 저장한다.
그리고 식별정보 입력부(220)는 저장탱크(201)에 반입되는 벼의 재배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유통정보 관리부(240)로 전달한다.
연류계(230-1 내지 230-n)는 각 저장탱크(201)의 입구게이트와 출구게이트에 각각 설치되어 저장탱크(201)로 입고되거나 출고되는 벼의 중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벼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유통정보 관리부(240)로 전달한다. 이때, 연류계(230-1 내지 230-n)는 유통정보 관리부(140)와 이더넷, WiFi, 지그비, 블루투스와 같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유통정보 관리부(240)는 연류계(230-1 내지 230-n)로부터 제공되는 벼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식별정보 입력부(220)로부터 제공되는 재배자 식별 정보와 매칭시켜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그 뿐만 아니라, 조합원 수매 결과, 출고 중량, 평균 수분 결과 등을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송신부(250)는 저장탱크(201)로부터 배출되어 미곡종합처리장(100)에 전달되는 건조된 벼의 유통정보를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210)에서 확인하여 미곡종합처리장(100)에 전송한다. 이때 미곡종합처리장(100)으로 전송되는 유통정보에는 재배자 식별 정보, 건조된 벼의 중량, 건조하고 저장한 건조저장시설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한편, 재배자 정보 처리부(260)는 저장탱크(201)로부터 배출되어 미곡종합처리장(100)에 전달되는 건조된 벼의 유통정보를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210)에서 확인하여 RFID 태그나 바코드에 입력할 수도 있다.
한편,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의 미곡종합처리장(100)과 건조저장시설(200-1 내지 200-n)에는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110 또는 210)에 저장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모니터링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곡종합처리장(100)과 건조저장시설(200-1 내지 200-n)에서 수행되는 반입, 저장, 건조, 가공 공정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미곡종합처리장(100)은 원료인 벼를 저장하는 원료탱크(101), 저장된 원료를 현미로 가공하기 위한 현미처리부(102), 현미처리부(102)에서 가공된 현미가 저장되는 현미탱크(103), 현미탱크(103)에 저장된 현미를 백미로 가공하기 위한 백미처리부(104), 백미처리부(104)를 통해 가공된 백미를 저장하는 백미탱크(105) 및 가공된 백미를 포장하는 포장부를 포함하며, 원료탱크(101)의 입구게이트와 출구게이트에 각각 제 1 연류계(130-1)와 제 2 연류계(130-2)가 설치되고, 현미탱크(103)의 입구게이트와 출구게이트에 각각 제 3 연류계(130-3)와 제 4 연류계(130-4)가 설치되며, 백미탱크(105)의 입구게이트와 출구게이트에 각각 제 5 연류계(130-5)와 제 6 연류계(130-6)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원료탱크(101), 현미탱크(103) 및 백미탱크(105)의 입구 또는 출구게이트에 설치된 제 2 연류계(130-2) 내지 제 6 연류계(130-6)는 유통정보 관리부(140)에 연결된다.
따라서 재배자가 수확하여 반입된 벼는 원료탱크(101)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원료탱크(101)에 저장되는 벼는 다른 재배자가 수확한 벼가 혼합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식별정보 입력부(120)는 반입되는 벼의 재배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유통정보 관리부(140)로 전달한다. 식별정보 입력부(120)는 관리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는 키 입력 장치이거나 재배자의 정보가 포함된 RFID 태그를 리딩하기 위한 RFID 리더기이거나, 바코드 리더기일 수 있다.
그러면, 유통정보 관리부(140)는 원료탱크(101)의 입구게이트에 설치되는 제 1 연류계(130-1)로부터 반입되는 벼의 중량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재배자 식별 정보와 벼의 위치정보에 매칭시켜 유통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때, 벼의 위치정보는 제 1 연류계(130-1)로부터 벼의 중량정보가 제공됨에 따라 원료탱크(101)가 된다.
이때, 유통정보 관리부(140)는 원료탱크(101)에 임의의 재배자 벼가 반입되는 동안 원료탱크(101)에 저장된 벼의 중량은 변화하게 되고 임의의 재배자 벼가 모두 저장되면 원료탱크(101)내 벼의 중량은 변화하지 않게 됨으로써 반입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고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110)에 매칭하여 저장한다.
이후, 원료탱크(101)에 저장된 벼를 현미 가공하기 위해 원료탱크(101)의 출구게이트를 통해 현미처리부(102)로 배출하게 되면, 제 2 연류계(130-2)는 원료탱크(101)에 저장된 벼의 중량정보를 유통정보 관리부(140)로 제공한다.
그러면 유통정보 관리부(140)는 제 2 연류계(130-2)로부터 변화되는 원료탱크(101)에 저장된 벼의 중량정보를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벼의 중량정보를 비교한다.
만약, 원료탱크(101)로부터 출구게이트를 통해 배출된 벼의 중량이 반입 시 저장된 임의의 재배자 벼의 중량을 초과하게 되면, 유통정보 관리부(140)는 저장된 재배자의 벼가 원료탱크(101)로부터 모두 배출됐음을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110)에 업데이트한다.
이와 함께, 원료탱크(101)로부터 배출된 벼는 현미처리부(102)를 통해 현미로 가공된 후 현미탱크(103)의 입구게이트를 통해 저장된다.
이때, 유통정보 관리부(140)는 현미탱크(103)의 입구게이트에 설치된 제 3 연류계(130-3)로부터 현미탱크(103)에 저장되는 현미의 중량정보를 제공받는다. 여기서, 유통정보 관리부(140)는 제현율(사용된 벼 중량 대비 생산된 현미중량비율) 및 현미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면, 유통정보 관리부(140)는 제 2 연류계(130-2)와 제 3 연류계(130-3)로부터 제공되는 미곡의 중량정보를 통해 미곡의 위치를 확인하고, 미곡의 위치정보를 재배자 식별 정보와 미곡의 중량정보와 매칭시켜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110)에 업데이트한다. 이때, 유통정보 관리부(140)는 미곡(벼, 현미, 백미)의 상태 정보, 수율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미곡이란 벼, 현미 및 백미 등을 통칭하므로 통상 미곡, 곡물 또는 쌀로 표기할 수 있다.
이후, 현미는 다시 백미로 가공하기 위해 현미탱크(103)의 출구게이트를 통해 백미처리부(104)로 배출된다.
이때, 유통정보 관리부(140)는 현미탱크(103)의 출구게이트에 설치된 제 4 연류계(130-4)로부터 현미탱크(103)에서 배출되는 현미의 중량정보를 전달받는다.
이와 같이 현미탱크(103)로부터 배출된 현미는 백미처리부(104)에서 백미로 가공된 후 백미탱크(105)에 저장된다.
이때, 유통정보 관리부(140)는 백미탱크(105)의 입구게이트에 설치된 제 5 연류계(130-5)로부터 백미탱크(105)에 저장되는 백미의 중량정보를 전달받는다.
그러면, 유통정보 관리부(140)는 제 4 연류계(130-4)와 제 5 연류계(130-5)로부터 제공되는 현미 또는 백미의 중량정보를 통해 현미 또는 백미의 위치를 확인하고, 백미의 위치정보를 재배자 식별 정보와 백미의 중량정보와 매칭시켜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110)에 업데이트한다. 이때 유통정보 관리부(140)는 정백수율(사용된 현미중량 대비 생산된 백미중량 비율) 및 백미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현율과 정백수율로부터 전체적인 도정수율(사용된 벼의 중량대비 생산된 쌀의 중량비율)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백미탱크(105)에 저장된 백미는 판매를 위해 포장부로 전달되고, 포장부에서는 기 설정된 단위로 포장하게 된다.
이때, 유통정보 관리부(140)는 백미탱크(105)의 출구게이트에 설치된 제 6 연류계(130-6)로부터 백미탱크(105)에서 배출되는 백미의 중량정보를 전달받는다.
그러면, 유통정보 관리부(140)는 제 6 연류계(130-6)로부터 제공되는 백미의 중량정보를 통해 백미의 위치를 확인하고, 백미의 위치정보를 재배자 식별 정보와 백미의 중량정보와 매칭시켜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110)에 업데이트한다. 이때, 벼의 최종 도정수율정보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재배자별 미곡 처리제어부(150)는 유통정보 관리부(140)를 통해 저장탱크에 저장된 재배자별 벼가 모두 배출됨이 확인되면, 저장탱크에 저장된 다른 재배자의 벼와 혼합되지 않도록 저장탱크의 출구게이트를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탱크의 출구게이트를 차단함으로써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는 벼, 현미 또는 백미를 물리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재배자별 미곡 처리제어부(150)는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110)를 확인하여 재배자별 벼, 현미가 가공되어 동일한 저장탱크의 입구게이트를 오픈하도록 제어하여 동일한 저장탱크에 재배자별 벼가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재배자 정보 처리부(160)는 포장처리부(106)에서 백미탱크(105)에 저장된 백미를 포장 시,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110)에서 확인하여 포장되는 재배자 식별정보, RFID 태그나 바코드에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농민들이 재배한 벼를 건조저장시설에 반입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건조저장시설(200-1 내지 200-n)에서는 농민으로부터 반입되는 벼를 투입구를 통해 저장탱크(201)에 저장한다.
이때, 식별정보 입력부(220)는 저장탱크(201)에 반입되는 벼의 재배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유통정보 관리부(240)로 전달한다. 여기서 식별정보 입력부(220)는 바코드 또는 RFID 리더기이거나, 직접 입력할 수 있는 키 입력장치일 수 있다.
또한 각 저장탱크(201)의 입구게이트와 출구게이트에 각각 설치되어 연류계(230-1 내지 230-n)는 저장탱크(201)로 입고되거나 출고되는 벼의 중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벼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유통정보 관리부(240)로 전달한다.
그러면, 유통정보 관리부(240)는 연류계(230-1 내지 230-n)로부터 제공되는 벼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식별정보 입력부(220)로부터 제공되는 재배자 식별 정보와 매칭시켜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이때,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210)에는 재배자 식별 정보, 반입되거나 배출되는 벼의 중량 정보 및 위치정보가 저장된다.
한편 유선 또는 무선 송신부(250)는 저장탱크(201)로부터 배출되어 미곡종합처리장(100)에 전달되는 건조된 벼의 유통정보를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210)에서 확인하여 미곡종합처리장(10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건조저장시설(200-1 내지 200-n)로부터 출고된 벼는 미곡종합처리장(100)으로 반입된다.
이때, 해당 벼의 정보는 건조저장시설(200-1 내지 200-n)의 유선 또는 무선 송신부(250)와 미곡종합처리장(100)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부(170)의 통신에 의해 전달된다.
건조저장시설(200-1 내지 200-n)에서 출고되는 벼의 정보를 미곡종합처리장으로 제공하는 방법은 재배자 정보 처리부를 통해 저장탱크(201)로부터 출고되어 미곡종합처리장(100)에 전달되는 건조된 벼의 유통정보를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210)에서 확인하여 RFID 태그나 바코드에 입력한 후 이를 미곡종합처리장에서 리딩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건조저장시설(200-1 내지 200-n)에서 출고되는 벼 또는 미곡종합처리장에서 반입하여 벼의 유통관리를 종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모니터링부(1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곡종합처리장(100)과 건조저장시설(200-1 내지 200-n)에서 수행되는 반입, 저장, 건조, 가공 공정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건조저장시설(200-1 내지 200-n)은 유선 또는 무선 송신부(250)를 통해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미곡종합처리장(100)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부(170)로 전송하고, 미곡종합처리장(100)의 모니터링부(18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부(170)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건조저장시설(200-1 내지 200-n)의 작동 조건을 실시간으로 관리자에게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전술된 상세한 설명이 여러 실시예에 적용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신규한 특징들을 도시하고 기술하고 언급하였지만, 예시된 시스템의 형태 및 상세 사항에 대해 본 발명의 의도를 벗어남이 없이 여러 생략, 교체 및 변경이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미곡종합처리장 101 : 원료탱크
102 : 현미처리부 103 : 현미탱크
104 : 백미처리부 105 : 백미탱크
106 : 포장처리부
110, 210 :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
120, 220 : 식별정보 입력부 130, 230 : 연류계
140, 240 : 유통정보 관리부 150 : 재배자별 미곡 처리제어부
160 : 재배자 정보 처리부 170 : 유선 또는 무선 통신부
180 : 모니터링부
200 : 건조저장시설 250 : 유선 또는 무선 송신부

Claims (13)

  1. 건조저장시설과 미곡종합처리장을 포함하는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미곡종합처리장은,
    가공 전후나 가공 정도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 종류의 미곡의 반입되거나 배출되는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재배자 식별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
    상기 복수 종류의 미곡을 각각 종류별로 저장하는 복수의 저장탱크;
    상기 복수 종류의 미곡 중에서 벼의 재배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전달하는 식별정보 입력부;
    각각의 상기 저장탱크의 입구게이트와 출구게이트에 각각 설치되어, 입고되거나 출고되는 미곡의 중량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미곡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복수의 연류계; 및
    상기 연류계로부터 제공되는 미곡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상기 식별정보 입력부로부터 제공되는 재배자 식별 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유통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정보 관리부를 통해 저장탱크에 저장된 재배자별 벼가 모두 배출됨이 확인되면, 해당 저장탱크의 출구게이트를 차단하는 재배자별 미곡 처리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자별 미곡 처리제어부는,
    상기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하여 재배자별 벼가 가공되어 저장된 저장탱크의 입구게이트를 제어하여 동일한 저장탱크에 재배자별 벼가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백미로 가공된 후 포장되는 백미의 유통정보를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여 RFID 태그나 바코드에 입력하는 재배자 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 입력부는,
    상기 건조저장시설의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어 전달되는 건조된 벼의 유통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저장시설은,
    재배자 식별 정보, 반입되거나 배출되는 벼의 중량 정보 및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
    반입되는 벼를 저장하는 다수개의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반입되는 벼의 재배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전달하는 식별정보 입력부;
    상기 각 저장탱크의 입구게이트와 출구게이트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로 입고되거나 출고되는 벼의 중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벼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다수개의 연류계;
    상기 연류계로부터 제공되는 벼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식별정보 입력부로부터 제공되는 재배자 식별 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유통정보 관리부; 및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어 미곡종합처리장에 전달되는 건조된 벼의 유통정보를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여 미곡종합처리장에 전송하기 위한 유선 또는 무선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어 미곡종합처리장에 전달되는 건조된 벼의 유통정보를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여 RFID 태그나 바코드에 입력하는 재배자 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
  8.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의 미곡종합처리장과 건조저장시설은 상기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저장시설은 유선 또는 무선 송신부를 통해 상기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미곡종합처리장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미곡종합처리장의 모니터링부는,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통해 상기 건조저장시설의 작동 조건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

  10. 미곡종합처리장에 있어서,
    가공 전후나 가공 정도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 종류의 미곡의 반입되거나 배출되는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재배자 식별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
    상기 복수 종류의 미곡을 각각 종류별로 저장하는 복수의 저장탱크;
    상기 복수 종류의 미곡 중에서 벼의 재배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전달하는 식별정보 입력부;
    각각의 상기 저장탱크의 입구게이트와 출구게이트에 각각 설치되어, 입고되거나 출고되는 미곡의 중량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미곡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복수의 연류계; 및
    상기 연류계로부터 제공되는 미곡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상기 식별정보 입력부로부터 제공되는 재배자 식별 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유통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미곡종합처리장.
  11. 제 10항에 있어서,
    백미로 가공된 후 포장되는 백미의 유통정보를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여 RFID 태그나 바코드에 입력하는 재배자 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미곡종합처리장.
  12. 건조저장시설에 있어서,
    재배자 식별 정보, 반입되거나 배출되는 벼의 중량 정보 및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
    반입되는 벼를 저장하는 다수개의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반입되는 벼의 재배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전달하는 식별정보 입력부;
    상기 각 저장탱크의 입구게이트와 출구게이트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로 입고되거나 출고되는 벼의 중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벼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다수개의 연류계; 및
    상기 연류계로부터 제공되는 벼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식별정보 입력부로부터 제공되는 재배자 식별 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유통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건조저장시설.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어 미곡종합처리장에 전달되는 건조된 벼의 유통정보를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여 미곡종합처리장에 전송하기 위한 유선 또는 무선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건조저장시설.
KR1020100127209A 2010-12-13 2010-12-13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 KR101198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209A KR101198846B1 (ko) 2010-12-13 2010-12-13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209A KR101198846B1 (ko) 2010-12-13 2010-12-13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679A KR20120076679A (ko) 2012-07-09
KR101198846B1 true KR101198846B1 (ko) 2012-11-07

Family

ID=46710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209A KR101198846B1 (ko) 2010-12-13 2010-12-13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8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0509A (ko) * 2017-04-27 2018-11-06 두베 주식회사 압출공정을 위한 무인 원자재 자동추적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400B1 (ko) * 2012-12-27 2015-03-31 한국식품연구원 미곡종합 처리장 및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
CN106845900A (zh) * 2017-01-22 2017-06-13 杭州纳戒科技有限公司 果蔬物流配送方法及装置
KR102138807B1 (ko) * 2017-05-30 2020-07-28 한국식품연구원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2085580B1 (ko) * 2018-05-10 2020-03-06 한국식품연구원 미곡종합처리장의 시설 및 관리시스템
KR102558834B1 (ko) * 2021-01-08 2023-07-25 최보규 IoT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곡종합처리장 클라우드 시스템
KR102538044B1 (ko) * 2021-01-08 2023-05-31 최보규 스마트 rpc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511106B1 (ko) * 2021-10-13 2023-03-16 한국식품연구원 실시간 곡물 수율 자동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46358B1 (ko) * 2023-07-04 2024-03-08 김용우 벼와 부산물의 잔량을 자동으로 산출하는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074B1 (ko) 2001-02-16 2004-01-24 (주) 성산기업 자동 미곡처리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074B1 (ko) 2001-02-16 2004-01-24 (주) 성산기업 자동 미곡처리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0509A (ko) * 2017-04-27 2018-11-06 두베 주식회사 압출공정을 위한 무인 원자재 자동추적시스템
KR102298727B1 (ko) 2017-04-27 2021-09-07 두베 주식회사 압출공정을 위한 무인 원자재 자동추적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679A (ko) 2012-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846B1 (ko)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
JP6069218B2 (ja) 種子処理施設、方法および装置
CN103348372B (zh) 零售点种子处理系统及其方法
KR101507400B1 (ko) 미곡종합 처리장 및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
US20050004682A1 (en) Computer-assisted management of the processing of an agricultural product
CA2810335C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commodities inventory for animal feed rations
KR101927796B1 (ko) IoT 기반의 미곡종합처리장 설비보전 및 운영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80120225A1 (en) Agricultural Product Quality Monitoring
KR101723173B1 (ko) Ict 기반의 농산물 관리 및 생산 시스템
Jifroudi et al. Designing and planning a rice supply chain: a case study for Iran farmlands
JP2014506781A5 (ko)
US20170185062A1 (en) Retail point seed treatment systems and methods
US20190050926A1 (en) Livestock trading platform
KR20200100373A (ko) IoT 기반의 농수축산물 실시간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
JP2004199332A (ja) 階層的情報管理システム
KR20160068309A (ko) 쌀의 도정 후 즉시 판매 시스템
JP2006209269A (ja) トレーサビリティ情報管理装置、端末装置、トレーサビリティ情報管理プログラム
JP2017201511A (ja) 農業支援システム及び農業支援方法
EP1489546A1 (en) Computer-assisted management of the processing of an agricultural product
EP3877929A1 (en) Agriculture data exchange and processing system
EP4102429A1 (en) Integrated agro-industrial digital process
US20190174738A1 (en) Seed trait verification for monitoring herbicide applications on non-resistant varieties and crops
CN108289415B (zh) 农业管理系统
KR102538044B1 (ko) 스마트 rpc 통합 관리 시스템
JP2023144789A (ja) 穀物乾燥調製機施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