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458B1 - 헤딩머신을 이용한 롱볼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헤딩머신을 이용한 롱볼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458B1
KR102085458B1 KR1020180136773A KR20180136773A KR102085458B1 KR 102085458 B1 KR102085458 B1 KR 102085458B1 KR 1020180136773 A KR1020180136773 A KR 1020180136773A KR 20180136773 A KR20180136773 A KR 20180136773A KR 102085458 B1 KR102085458 B1 KR 102085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eading machine
long bolt
holder
suppl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운
Original Assignee
김상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운 filed Critical 김상운
Priority to KR1020180136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4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2Dies or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8Accessories for handling work or tools
    • B21J13/10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2Die forging; Trimming by making use of special dies ; Punching during fo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08Upse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12Forming profiles on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44Making machine elements bolts, studs, or the like
    • B21K1/46Making machine elements bolts, studs, or the like with heads
    • B21K1/48Machines working with hammers, e.g. beating in a radial direction, for forming heads

Abstract

본 발명은 헤딩머신을 이용한 롱볼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롱볼트용 소재(10)들이 소재낙하공(113)으로 흘러내리는 소재낙하공급부(110); 소재받이부(121) 후진시 소재를 공급받고, 전진시 소재를 외부로 내밀어주는 소재공급판(120); 소재공급판 전방에 대향 설치되어 소재공급판 전진시 소재를 잡아 올리고, 후진시 들어올린 소재를 하측 성형부(140)로 투입 후 원위치로 복귀되는 집게동작부(130); 승하강되는 금형홀더(151) 상하에 구비된 제1 및 제2 타격금형으로 성형부(140)에 공급된 소재(10) 일단을 순차 타격하여 볼트머리(11)를 성형하는 왕복대(150); 소재낙하공급부(110)와 집게동작부(130) 일측에 설치되며, 양쪽 가이드부(161)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펀치지지부(162)에 대향되어 소재(10)의 타단을 드릴형 칼날부(12)로 성형하는 제3 타격금형(160); 홀더지지부(171) 선단에 마주 설치되되 제3 타격금형(160) 보다 더 돌출되어 제3 타격금형(160) 타격 전에 소재(10)를 스프링(172) 장력으로 잡아주는 보조홀더(170);로 구성되어 볼트머리(11) 성형과 드릴형 칼날부(12) 성형을 하나의 헤딩머신에서 순차적으로 모두 행하며,
소재낙하공급부(110)의 양쪽 걸침턱(111) 사이에는 후미의 힌지축(181)을 기점으로 선단의 횡봉(182)이 유동되는 진동부(180)를 설치하고, 소재공급판(120) 상면에는 전진시 상기 진동부(180)의 횡봉(182)을 들어올리고, 후진시 횡봉(182)을 내려주는 돌조부(123)를 구비하여 쌓여있는 소재(10)들이 소재낙하공(113)으로 원활히 주입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헤딩머신을 이용한 롱볼트 제조장치{A long bolt manufacturing system using heading machine}
본 발명은 헤딩머신을 이용한 롱볼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롱볼트의 헤드와 첨단부를 하나의 헤딩머신에서 모두 단조 성형 가능하여 생산성 향상 및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으므로 보다 저렴한 가격에 롱볼트를 제공할 수 있는 헤딩머신을 이용한 롱볼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제 볼트는 소정 굵기의 철선을 일정 길이로 커팅한 후 그 커팅된 소재를 고정다이의 성형홀에 위치시키고 왕복대 상하에 구비된 다수의 타격금형이 차례로 2단 또는 3단 또는 4단의 타격 과정을 행하도록 하여 소재 일단이 일정 형태의 헤드로 형성되게 하는 헤딩머신 장치를 주로 이용하여 생산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의 두형 가공공정(헤딩머신에서 볼트의 머리부분을 타격 성형하는 공정)을 행할 때, 길이가 짧은 볼트는 소재몸체에 휨 현상이 별로 없으므로 휨교정 작업을 하지 않고 곧바로 첨단부를 드릴 형태로 가공하거나 나사산을 가공하는 공정을 할 수 있다.
하지만 볼트의 길이가 20~35cm 정도로 매우 긴 롱볼트는 헤딩머신(단조기)에서 일정 길이로 절단된 소재몸체의 일단에 상기 두형 가공공정을 행할 때 소재몸체에 휨 현상이 자주 발생하므로 첨단부를 드릴 형태로 가공하는 작업을 행하기 전에 소재몸체의 휨 교정 작업을 먼저 행하여야만 몸체가 직선을 이루는 양질의 롱볼트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와 같이 소재몸체의 휨 교정 작업을 행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97198호(2008.01.23.공고)의 "롱볼트의 휨교정용 다이스"(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고정다이스와 이동다이스의 휨교정용 누름부를 각각 소정의 비틀림각을 갖는 나사산형으로 형성하여 휨 발생된 소재몸체를 고정다이스와 이동다이스 사이에 넣고 이동다이스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소재몸체의 휨 부분이 상기 비틀림각의 나사산형 누름부에 의해 직선으로 교정되게 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97198호(2008.01.23.공고)의 "롱볼트의 휨교정용 다이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롱볼트 제조시 소재몸체에 휨발생이 있어서 항시 선행기술의 휨 교정용 다이스를 이용한 교정작업을 먼저 선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첨단이 드릴 형태의 절삭날로 형성되는 롱볼트 제품 제조시에는 소재몸체의 일단을 소정 형태의 헤드로 형성하는 성형과정은 헤딩머신에서 행하고, 소재몸체의 타단(첨단)에 드릴 형태의 절삭날을 형성하는 성형과정은 상기의 헤드가 성형된 소재를 별도의 단조기로 옮겨서 다시 성형해야 하는 관계로 생산성이 상당히 떨어져서 롱볼트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롱볼트를 헤딩머신으로 제조할 때 하나의 헤딩머신에서 롱볼트용 소재의 양단에 볼트머리 성형과 드릴형 칼날부 성형을 모두 행할 수 있도록 하여 롱볼트 제품의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으로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헤딩머신을 이용한 롱볼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롱볼트용 소재에 볼트머리 성형을 할 때 종래처럼 롱볼트용 소재몸체의 휨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볼트머리 성형 후 소재몸체를 휨 교정하는 공정이 필요 없는 헤딩머신을 이용한 롱볼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절단된 롱볼트용 소재들이 경사진 걸침턱에 걸쳐져 선단으로 흘러내리고, 전면벽과의 사이에 소재낙하공이 구비된 소재낙하공급부; 소재받이부가 후진시는 소재를 공급받고, 전진시는 소재를 전면벽 외부로 내밀어주는 소재공급판; 소재공급판 전방에 대향 설치되어 소재공급판 전진시는 집게로 소재를 들어 올리고, 소재공급판 후진시는 들어올린 소재를 하측 성형부로 투입한 후 원위치로 복귀되는 집게동작부; 승하강식 금형홀더에 구비된 제1 및 제2 타격금형으로 성형부의 소재 일단을 순차 타격하여 볼트머리로 성형하는 왕복대; 소재낙하공급부 일측에 설치되며, 양쪽 가이드부에서 전후진되는 펀치지지부에 대향 설치되어 소재 타단을 드릴형 칼날부로 성형하는 제3 타격금형; 홀더지지부 선단에 마주 설치되되 양쪽의 제3 타격금형 보다 더 돌출 설치되어 제3 타격금형 타격 전에 소재를 스프링 장력으로 잡아주는 보조홀더;로 헤딩머신을 이용한 롱볼트 제조장치를 구성하면 볼트머리 성형과 드릴형 칼날부 성형을 하나의 헤딩머신에서 모두 행할 수 있어 상기 목적 달성이 가능한 것이다.
삭제
이러한 본 발명은 헤딩머신에서 일정 길이로 절단된 소재로 롱볼트를 제조할 때, 소재 양단에 볼트머리 성형과 드릴형 칼날부 성형을 하나의 헤딩머신에서 모두 행할 수 있으므로 볼트머리 성형과 칼날부 성형을 각각 다른 기계장치에서 행하는 종래 방식에 비해 생산성이 뛰어나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롱볼트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볼트머리 성형시 종래처럼 롱볼트용 소재몸체의 휨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없어서 볼트머리 성형 후 소재몸체를 휨 교정하는 공정이 필요 없으므로 이로인한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의 효과도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헤딩머신을 이용한 롱볼트 제조장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2a 내지 2d 는 본 발명의 롱볼트 제조장치가 순차적으로 동작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a 및 3b 는 본 발명에서 소재를 정렬시키는 과정을 보인 평면도
도 4a 및 4b 는 본 발명에서 소재 끝단을 홀더로 먼저 잡은 후 성형하는 과정을 보인 평면도
도 5a 내지 5c 는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소재가 성형되는 과정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헤딩머신을 이용한 롱볼트 제조장치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d 는 본 발명의 롱볼트 제조장치가 순차적으로 동작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헤딩머신을 이용한 롱볼트 제조장치는 소재낙하공급부(110), 소재공급판(120), 집게동작부(130), 왕복대(150), 제3 타격금형(160), 보조홀더(170)로 구성된다.
상기 소재낙하공급부(110)는 철선을 20~30cm 정도의 일정 길이로 길다랗게 절단된 롱볼트용 소재(10)들의 양단이 걸쳐지는 걸침턱(111)과, 걸침턱(111) 선단과 전면벽(112) 사이에 구비된 소재낙하공(11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침턱(111)은 걸쳐진 다수의 소재(10)들이 원활히 흘러 내리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져 있으며, 소재낙하공(113)은 소재(10) 1개만이 통과되는 폭이므로 소재(10)들은 하나씩 줄지어 낙하된다.
상기 소재공급판(120)은 선단 양쪽에 구비된 받이홈(122)이 있는 소재받이부(121)가 전면벽(112) 저면에서 외부로 슬라이딩되어 출입되는 과정을 반복하도록 소재낙하공급부(110)의 저면에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딩되어 왕복 운동하는 소재공급판(120)은 소재받이부(121)가 후진시는 소재낙하공(113)에서 낙하되는 소재(10)를 받이홈(122)에 공급받고, 전진시는 소재받이부(121)에 놓인 소재(10)를 전면벽(112) 외부로 내밀어주는 동작을 반복한다.
그리고 소재받이부(121)는 소재공급판(120)의 선단에 일정 간격을 두고 양쪽에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받이홈(122)에 놓인 소재(10)의 중앙 부위는 돌출된 양쪽 소재받이부(121) 사이에 놓여서 집게(131)로 원활히 잡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소재낙하공급부(110)의 양쪽 걸침턱(111) 사이에는 후미의 힌지축(181)을 기점으로 선단의 횡봉(182)이 유동되는 진동부(180)를 설치하고, 소재공급판(120) 상면에는 전진시 상기 진동부(180)의 횡봉(182)을 들어올리고, 후진시 횡봉(182)을 내려주는 돌조부(123)를 구비한다.
상기 소재공급판(120)을 따라 동작되는 돌조부(123)의 전,후진에 의해 상하 유동되는 진동부(180)의 횡봉(182)은 도 2a 와 같이 소재낙하공급부(110)의 걸침턱(111)에 걸쳐져 흘러내리는 소재(10)들 중 소재낙하공(113)에 근접된 소재(10)들을 들었다가 놔주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흔들어주므로 소재(10)들은 일렬로 원활히 주입될 수 있다.
집게동작부(130)는 소재공급판(120)의 전면에 대향 설치되며, 소재(10)가 놓인 소재받이부(121)가 전면벽(112) 전방으로 나와 잠시 멈추는 시간을 이용하여 하강되는 집게(131)로 도 2b 와 같이 소재(10)를 잡은 후 도 2c 와 같이 일정 높이로 들어 올린다.
그리고 집게동작부(130)의 집게(131)에 잡힌 소재(10)가 일정 높이로 들어올려지는 부위 일측에는 소재(10)를 일정 길이만큼 밀어서 소재(10)들의 위치가 항시 정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정렬구(132)를 좌우로 동작되게 구비한다.
그리고, 소재받이부(121)가 후진되면 전면벽(112)의 전방 하부에 위치된 성형부(140)로 소재(10)를 투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이때 소재(10)를 잡고 있던 집게(131)는 회전캠과 같은 동작수단의 동력을 받아 더 깊게 하강하여 잡고있는 소재(10)를 도 2d 와 같이 하측의 성형부(140)로 투입하며, 그런 다음 원위치로 복귀되는 과정을 반복한다.
성형부(140)에는 집게(131)로 투입된 소재(10)를 물어주기 위해 반원형의 소재홈이 구비된 주홀더(141)가 좌,우 양쪽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면서 출입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왕복대(150)는 승하강되는 금형홀더(151)의 선단 상하에 제1 및 제2 타격금형(도면에 미도시)이 구비되어 있으며, 하측 성형부(140)에 공급된 소재(10)가 주홀더(141)에 물려 고정되면 그 소재(10)의 일단(선단)을 순차로 타격하여 볼트머리(11)를 성형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으로서, 이는 헤딩머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이다.
상기 제3 타격금형(160)은 상기 볼트머리(11)가 성형된 소재(10)의 타단에 드릴형 칼날부(12)를 성형하는 한 쌍의 금형으로서, 소재낙하공급부(110)와 집게동작부(130)의 일측에 대향 설치된 양쪽 가이드부(161)에서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펀치지지부(162)의 전면에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홀더(170)는 양쪽 펀치지지부(162)와 함께 동작되도록 그 일측에 부착된 홀더지지부(171) 선단에 마주 스프링(172) 장력을 받아 출입되도록 설치되되 제3 타격금형(160)이 타격하기 전에 소재(10)를 먼저 잡아주도록 양쪽의 제 3타격금형(160) 보다 더 돌출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헤딩머신을 이용한 롱볼트 제조장치에서 소재낙하공급부(110), 소재공급판(120), 집게동작부(130), 제3 타격금형(160)을 동작시키는 펀치지지부(162), 주홀더(141), 보조홀더(170), 정렬구(132)는 헤딩머신의 왕복대(150)를 동작시키는 주동축의 동력이 전달되는 여러 종동축에 각자의 회전캠 및 작동로드를 설치하여 동작되게 하여도 되고, 또는 유압실린더 등의 동력원을 개별적으로 설치하여 동작되게 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양쪽 펀치지지부(162)는 첨부된 도면들에 회전캠(163) 양쪽의 캠돌기(164)로 동작되는 양쪽 작동로드(165)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동시에 펀칭 동작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양쪽 펀치지지부(162)를 유압실린더의 동력을 받아 슬라이드 방식으로 동작되게 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헤딩머신을 이용한 롱볼트 제조장치로 롱볼트를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1단계> 소재 낙하단계
소재 낙하단계는 철선을 20~30cm 정도의 일정 길이로 길다랗게 절단하여 형성한 롱볼트용 소재(10)들을 소재낙하공급부(110)의 소재낙하공(113)을 통해 줄지어 낙하시키는 단계이다.
즉, 본 발명은 롱볼트용 소재(10)들이 선단을 향해 원활히 흘러내릴 수 있도록 도 2a 와 같이 소재낙하공급부(110)의 경사진 걸침턱(111)에 다수개의 롱볼트용 소재(10)들 양단이 걸쳐져 있으므로 소재(10)들은 전면벽(112)을 향하여 원활하게 흘러내리게 되며, 상기 소재낙하공(113)은 걸침턱(111) 선단과 전면벽(112) 사이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소재(10)들은 소재낙하공(113)을 통해 일렬로 줄지어 낙하된다.
여기서 소재 낙하단계는 소재낙하공급부(110)의 경사진 양쪽 걸침턱(111)에 양단이 걸쳐져서 쌓여있는 소재(10)들을 흔들어주는 진동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단계는 소재낙하공급부(110)의 걸침턱(111)에 양단이 걸려있는 소재(10)들 중에서 소재낙하공(113) 도달 직전 위치에 쌓여있는 여러 소재(10)들을 흔들어서 흐트려주므로 소재(10)들은 서로 분리된 상태가 되어 1개씩 줄지어서 소재낙하공(113)으로 들어가 낙하되는 것이다.
<제2단계> 소재 공급단계
소재 공급단계는 상기 일렬로 줄지어 낙하되는 소재(10)들을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소재공급판(120)의 소재받이부(121)에 1개씩 받아서 전방의 집게(131)가 잡을 수 있도록 공급하는 단계이다.
즉, 도 2d 와 같이 소재공급판(120)의 소재받이부(121)가 전면벽(112) 아래로 후진되어 들어가면 받이홈(122)은 소재낙하공(113)과 일치되므로 받이홈(122)에는 낙하되는 소재(10) 1개가 끼워지게 되며, 그 후 도 2a 와 같이 소재공급판(120)와 함께 소재받이부(121)가 전진하면 받이홈(122)에 놓인 소재(10)는 전면벽(112) 전방으로 나오면서 공급되는 상태가 된다.
<제3단계> 집게 동작단계
집게 동작단계는 도 2b 내지 2d 와 같이 상기 소재공급판(120)의 전진에 의해 소재받이부(121)에 놓인 소재(10)를 집게(131)로 잡아 일정 높이로 들어올렸다가 다시 하강하여 하측 성형부(140)로 소재(10)를 투입한 다음 집게(131)가 처음 위치로 복귀하는 단계이다.
즉, 소재(10)를 도 2c 와 같이 집게(131)로 들어올린 후 소재공급판(120)이 도 2d 와 같이 후진되어 소재받이부(121)가 전면벽(112) 아래로 들어가면 전면벽(112)의 전방 하부에 있는 성형부(140)로의 통로가 개방된다.
그러므로 이때 소재(10)를 잡고 있던 집게(131)는 회전캠과 같은 동작수단의 동력을 받아 깊게 하강하여 소재(10)를 하측 성형부(140)로 투입 가능하며, 그런 다음 집게(131)는 원위치로 복귀되어 또 공급되는 소재(10)를 잡기 위한 준비 과정에 놓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집게 동작단계에서 집게(131)로 처음 소재(10)를 일정 높이 들어올리는 과정을 행할 때 집게(131)에 잡힌 소재(10)는 그 위치가 약간씩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집게 동작단계는 집게(131)에 잡혀 들어올려진 소재(10) 일단을 정렬구(140)로 밀어서 소재(10)들의 일단이 항시 정위치에 일정하게 놓이도록 위치를 정렬시키는 소재위치 정렬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소재위치 정렬단계를 행하면 뒤로 밀리는 소재(10)의 타단은 양쪽의 제3 타격금형(160) 사이에 일정하게 놓이게 되므로 드릴형 칼날부(12)의 성형이 일정한 위치에 정확하게 될 수 있다.
<제4단계> 볼트머리 성형단계
볼트머리 성형단계는 성형부(140)로 투입된 소재(10)의 일단을 헤딩머신의 왕복대(150) 전방의 금형홀더(151)에 상하로 설치된 복수의 제1 및 제2 타격금형이 상하로 승강되면서 순차로 타격하여 볼트머리(11)로 만들어주는 단계이다.
상기 볼트머리(11)를 성형하기 위한 상기 왕복대(150)의 금형홀더(151)에 2개의 타격금형이 설치된 헤딩머신은 왕복대(150)가 2번 왕복할 때마다 제1 타격금형 및 제2 타격금형이 교대로 타격하여 볼트머리(11)를 성형한다.
그리고, 금형홀더(151)에 3개의 타격금형이 설치된 헤딩머신은 왕복대(150)가 3번 왕복할 때마다 제1 내지 제3 타격금형(160)이 순차로 타격하여 볼트머리(11)를 성형하는 것으로서, 이는 헤딩머신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5단계> 소재 홀딩단계
소재 홀딩단계는 상기 볼트머리 성형 전에 성형부(140)롤 투입된 소재(10)를 주홀더(141)로 먼저 잡아주는 단계와, 볼트머리(11)의 성형이 완료되면 소재(10)의 끝단 부위를 제3 타격금형(160)으로 타격하기 전에 소재(10)를 보조홀더(170)로 잡아주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성형부(140)로 투입된 소재(10)는 볼트머리(11)를 성형하기 전에 양쪽의 주홀더(141)가 소재(10)의 양쪽면을 강하게 물어 잡아준 상태로 타격하여 볼트머리(11)를 성형하면 주홀더(141) 뒤쪽으로 노출된 소재 부위는 전혀 타격에 의한 충격을 받지 않으므로 종래와 같이 소재몸체에 휨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휨교정을 위한 공정이 필요하지 않다.
그리고, 도 3b 와 같이 소재(10) 위치가 정렬되었을 때 상기 보조홀더(170)는 제3 타격금형(160) 보다 더 돌출된 상태에 있으며, 스프링(172)의 장력을 받도록 홀더지지부(171)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볼트머리 성형 완료 후 도 4a 와 같이 회전캠(163) 양쪽의 캠돌기(164)가 양쪽 작동로드(165)를 동작시켜서 양쪽 펀치지지부(162)가 소재(10)의 타단을 향해 전진되면 펀치지지부(162) 일측에 구비된 홀더지지부(171)가 함께 전진되면서 제3 타격금형(160) 보다 더 돌출된 보조홀더(170)가 스프링(172)을 압축하면서 그 장력으로 소재(10)를 강하게 잡아주는 것이다.
<제6단계> 칼날부 성형단계
칼날부 성형단계는 상기와 같이 소재(10)의 타단 부위를 보조홀더(170)가 먼저 잡아서 고정시켜 주면 도 4b 와 같이 제3 타격금형(160)이 타격 동작하여 소재(10)의 끝단을 드릴형 칼날부(12)로 만들어 주는 단계이다.
상기 소재(10) 끝단의 드릴형 칼날부(12) 성형이 완료되면 양쪽 펀치지지부(162)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복귀스프링과 같은 복귀수단에 의해 즉시 후진되므로 제3 타격금형(160)도 함께 후진되고, 보조홀더(170) 역시 후진되며, 이때 주홀더(141)도 소재(10)를 놓아주므로 소재(10)는 하부의 배출구로 낙하되어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홀더(170)는 스프링(172)의 장력을 받아 다시 전진되어 제3 타격금형(160) 보다 더 돌출된 상태에 놓이게 되므로 다시 제3 타격금형(160)의 동작 전에 소재(10)를 먼저 잡아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왕복대가 볼트머리 성형을 위해 복수로 왕복되는 사이클 공정 중에 롱볼트용 소재 공급과 볼트머리(11) 성형 및 드릴형 칼날부(12) 성형을 하나의 헤딩머신에서 모두 행할 수 있으므로 볼트머리(11) 성형과 드릴형 칼날부(12) 성형을 각각 다른 기계장치에서 행하여야 하는 종래 방식에 비해 생산성을 배 이상 높일 수 있어 원가절감의 효과가 매우 큰 것이다.
그리고 볼트머리(11) 성형시 도 2a 에 도시된 주홀더(141)가 도 5b 와 같이 소재(10)의 머리성형부 바로 밑단을 양쪽에서 강하게 잡아주고 있는 상태에서 볼트머리(11)를 타격 성형하는 것이므로 주홀더(141) 뒤쪽으로 노출된 소재 부위는 타격 성형시의 충격 하중이 전혀 가해지지 않아 종래처럼 롱볼트용 소재몸체의 휨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볼트머리 성형 후 소재몸체를 휨 교정하는 공정이 필요 없어 이로 인한 생산성 향상의 효과도 있다.
10 : 소재 11 : 볼트머리
12 : 드릴형 칼날부 110 : 소재낙하공급부
111 : 걸침턱 112 : 전면벽
113 : 소재낙하공 120 : 소재공급판
121 : 소재받이부 123 : 돌조부
130 : 집게동작부 131 : 집게
132 : 정렬구 140 : 성형부
150 : 왕복대 151 : 금형홀더
160 : 제3 타격금형 161 : 가이드부
162 : 펀치지지부 163 : 회전캠
164 : 캠돌기 165 : 작동로드
170 : 보조홀더 171 : 홀더지지부
172 : 스프링 180 : 진동부
181 : 힌지축 182 : 횡봉

Claims (6)

  1. 헤딩머신을 이용한 롱볼트 제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일정 길이로 절단된 여러개의 롱볼트용 소재(10)들 양단이 양측벽 내면의 경사진 걸침턱(111)에 걸쳐져서 선단으로 흘러내리고, 걸침턱(111) 선단과 전면벽(112) 사이에 소재낙하공(113)이 구비되어 소재(10)들이 줄지어 낙하되는 소재낙하공급부(110);
    선단 양쪽에 구비된 받이홈(122)이 있는 소재받이부(121)가 후진시는 소재낙하공(113)에서 낙하되는 소재(10)를 공급받고, 전진시는 소재(10)를 전면벽(112) 외부로 내밀어주도록 소재낙하공급부(110) 아래에서 왕복되는 소재공급판(120);
    소재공급판(120) 전방에 대향 설치되며, 소재공급판(120) 전진시는 하강되는 집게(131)로 소재(10)를 잡아 들어 올리고, 소재공급판(120) 후진시는 들어올린 소재(10)를 하측 성형부(140)로 투입한 후 원위치로 복귀되는 집게동작부(130);
    성형부(140)로 소재(10)가 투입되면 소재(10)를 타격 성형 전에 양쪽에서 잡아주도록 성형부(140)에 출입식으로 설치되는 주홀더(141);
    승하강되는 금형홀더(151)의 선단 상하에 제1 및 제2 타격금형이 구비되어 성형부(140)에 공급된 소재(10) 일단을 순차 타격하여 볼트머리(11)를 성형하는 왕복대(150);
    소재낙하공급부(110)와 집게동작부(130)의 일측에서 소재(10)를 향해 대향된 양쪽 가이드부(161)에서 슬라이딩 동작되는 펀치지지부(162) 전면에 대향 설치되어 소재(10)의 타단을 드릴형 칼날부(12)로 성형하는 제3 타격금형(160);
    양쪽 펀치지지부(162)와 함께 동작되도록 부착된 홀더지지부(171) 선단에 마주 설치되되 양쪽의 제3 타격금형(160) 보다 더 돌출 설치되어 제3 타격금형(160)이 타격하기 전에 소재(10)를 먼저 스프링(172) 장력을 받아 탄력적으로 잡아주는 보조홀더(170);로 구성되어 볼트머리(11) 성형과 드릴형 칼날부(12) 성형을 하나의 헤딩머신에서 순차적으로 모두 행할 수 있도록 하며,
    소재낙하공급부(110)의 양쪽 걸침턱(111) 사이에는 후미의 힌지축(181)을 기점으로 선단의 횡봉(182)이 유동되는 진동부(180)를 설치하고,
    소재공급판(120) 상면에는 전진시 상기 진동부(180)의 횡봉(182)을 들어올리고, 후진시 횡봉(182)을 내려주는 돌조부(123)를 구비하여
    쌓여있는 소재(10)들이 소재낙하공(113)으로 원활히 주입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딩머신을 이용한 롱볼트 제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집게동작부(130)의 집게(131)에 잡힌 소재(10)가 일정 높이로 들어올려지는 부위 일측에는
    소재(10)를 일정 길이만큼 밀어서 소재(10)들의 위치가 항시 정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정렬구(132)를 좌우로 동작되게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딩머신을 이용한 롱볼트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소재낙하공급부(110), 소재공급판(120), 집게동작부(130), 제3 타격금형(160)을 동작시키는 펀치지지부(162), 주홀더(141), 보조홀더(170), 정렬구(132)를 동작시키는 동력은
    헤딩머신의 왕복대(150)를 동작시키는 주동축의 동력이 전달되는 여러 종동축에 각자의 회전캠 및 작동로드를 설치하여 동작되게 하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유압실린더를 구비하여 동작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딩머신을 이용한 롱볼트 제조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80136773A 2018-11-08 2018-11-08 헤딩머신을 이용한 롱볼트 제조장치 KR102085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773A KR102085458B1 (ko) 2018-11-08 2018-11-08 헤딩머신을 이용한 롱볼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773A KR102085458B1 (ko) 2018-11-08 2018-11-08 헤딩머신을 이용한 롱볼트 제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130A Division KR102108041B1 (ko) 2020-02-12 2020-02-12 헤딩머신을 이용한 롱볼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458B1 true KR102085458B1 (ko) 2020-03-05

Family

ID=69803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773A KR102085458B1 (ko) 2018-11-08 2018-11-08 헤딩머신을 이용한 롱볼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4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45406A (zh) * 2023-11-20 2023-12-19 兴化市银龙不锈钢有限公司 一种不锈钢螺栓件制造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847Y1 (ko) * 1989-06-24 1992-12-22 주식회사 기아정기 파이프 외경 가공기의 취출장치
KR100797198B1 (ko) 2006-08-09 2008-01-23 주식회사 티엔피 롱볼트의 휨교정용 다이스
KR20130013277A (ko) * 2011-07-28 2013-02-06 주식회사 덱센 자동 볼트 제조장치
JP2019121031A (ja) * 2017-12-28 2019-07-22 セコム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847Y1 (ko) * 1989-06-24 1992-12-22 주식회사 기아정기 파이프 외경 가공기의 취출장치
KR100797198B1 (ko) 2006-08-09 2008-01-23 주식회사 티엔피 롱볼트의 휨교정용 다이스
KR20130013277A (ko) * 2011-07-28 2013-02-06 주식회사 덱센 자동 볼트 제조장치
JP2019121031A (ja) * 2017-12-28 2019-07-22 セコム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45406A (zh) * 2023-11-20 2023-12-19 兴化市银龙不锈钢有限公司 一种不锈钢螺栓件制造装置
CN117245406B (zh) * 2023-11-20 2024-02-09 兴化市银龙不锈钢有限公司 一种不锈钢螺栓件制造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5458B1 (ko) 헤딩머신을 이용한 롱볼트 제조장치
KR100421710B1 (ko) 양방향 단조 성형장치
KR102108041B1 (ko) 헤딩머신을 이용한 롱볼트 제조방법
DE2832987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tomatisierten herstellung von gesenkschmiedestuecken aus gestanzten spaltstuecken
US66342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awing elongated stock continuously
KR102050924B1 (ko) 거푸집용 간격 유지구의 제조장치
KR100919630B1 (ko) 금형을 프레스장치에 고정하기 위한 다이플레이트
CN111069466B (zh) 一种制造三角扒钉的连续成型模具及连续成型三角扒钉
US6751997B1 (en) Stamping press arrangement and method
US261977A (en) Machine for making split keys
KR20090016106A (ko) 드릴스크루와 그 연삭장치
US438371A (en) Manufacture of nails
EP2745953A1 (en) A forging apparatus
CN109070186B (zh) 具有形状物方向转换功能的冷锻成型装置
KR20240068327A (ko) 롱볼트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RU3333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й с несколькими изгибами в горизонтальной и прогибом в вертикальной плоскостях
US4671095A (en) Method for forming work-pieces by drop forging
DE102004028378B4 (de) Verfahren zum Gesenkschmieden und Schmiede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5127252A (en) Apparatus for the working of wire pieces and the use of such apparatus
CN217252565U (zh) 一种多功能螺丝打头机
KR102260702B1 (ko) 롱볼트 제조용 헤딩머신의 다이스 금형 구조
KR100196347B1 (ko) 헤딩머신
CN208944938U (zh) 一种冲裁模具定位装置
US12735A (en) Die bob
US1491027A (en) Nail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