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308B1 - 화재 감지용 영상 장치 - Google Patents

화재 감지용 영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308B1
KR102085308B1 KR1020160158085A KR20160158085A KR102085308B1 KR 102085308 B1 KR102085308 B1 KR 102085308B1 KR 1020160158085 A KR1020160158085 A KR 1020160158085A KR 20160158085 A KR20160158085 A KR 20160158085A KR 102085308 B1 KR102085308 B1 KR 102085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rgb
thermal
housing
rad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9612A (ko
Inventor
남형도
노치원
이수준
서정길
Original Assignee
포테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테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테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8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308B1/ko
Publication of KR20180059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48Thermography; Techniques using wholly visu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46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14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from gases, flam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6Arrangements for eliminating effects of disturbing radiation;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changes in sensitivity
    • G01J5/061Arrangements for eliminating effects of disturbing radiation;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changes in sensitivity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apparatus or parts thereof, e.g. using cooling means or thermosta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감지용 영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용 영상 장치는 객체에 대한 RGB 이미지를 검출하는 RGB 카메라; 상기 객체에 대한 열상 이미지를 검출하는 열상 카메라; 상기 객체에 대한 거리 및 방향을 측정하는 레이더; 상기 RGB 카메라, 상기 열상 카메라 및 상기 레이더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RGB 카메라, 상기 열상 카메라, 상기 레이더 및 상기 컨트롤러를 열원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에워싸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RGB 카메라 및 상기 열상 카메라의 주시 방향에 대향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RGB 카메라 및 상기 열상 카메라의 시야 확보를 위한 투명 윈도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재 감지용 영상 장치{Image apparatus for fire detection}
영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현장의 농연 환경 내에서 가시거리 확장을 위한 화재 감지용 영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재난은 발생 원인에 따라 크게 자연 재난 및 인적 재난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전 세계적인 기후 변화 등으로 인한 자연 재난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사회 구조 변화 등과 함께 도시화 등에 따른 인적 재난의 위험성도 같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자연 재난 및 인적 재난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도로 교통을 제외하면 화재로 인한 인명 피해 및 재산 피해가 심각한 수준이다.
화재 시에 발생하는 인명 피해는 화재 연기의 흡입, 화상 등으로 발생하며 이러한 원인을 극복하기 위한 센서, 화재 진압 및 소방 보조 로봇 등의 개발이 본격화되고 있다. 화재 현장 내부에 화재 연기 환경에서 인명이 있는지 판단하고 내부 환경을 인지하기 위한 각종 센서는 화재 진압을 위해 가장 중요한 장비이다. 화재 연기는 가연물의 종류, 연기의 온도, 연기의 밀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다양한 화재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센서의 개발이 시급하다.
화재 현장을 감지하기 위한 대부분의 센서는 검출할 수 있는 파장이 결정되어 있으며 일반 환경에서는 문제가 없지만 화재 연기, 분진, 안개 등의 극한 환경에서는 성능을 보장하기 어렵다. 즉, 초저 단파장을 가지는 X-ray부터 장파장인 마이크로웨이브 대역에서 동작하는 매우 다양한 센서가 존재하지만 예측이 불가능한 화재 연기의 특성에 항상 대응하는 센서의 개발은 미진한 상황이다.
화염을 동반한 다양한 재난 현장에서 초기의 짙은 화재 연기으로 인한 시야 확보의 어려움으로 소방 대원들의 신속한 현장 투입 및 요구조자 탐색 작업이 지연되는 상황이 자주 발생되고 있다. 특히, 짙은 화재 연기으로 시야가 확보되지 않으면 요구조자 탐색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소방대원 자신의 위치를 잃어버려 요구조자는 물론 구조자의 생명까지 위협에 처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내열 및 내화 센서가 요구된다. 혹독한 외부 환경 특히 극고온 환경에서 로봇 및 기계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센서류를 보호하는 것은 가장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이며, 이를 위해 최근 펠티어 소자와 같은 전기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러한 시스템은 소형 경량화의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가격이 비싸고 전력 소비가 커 에너지 효율이 작을 뿐 아니라 외부환경이 100℃ 이상인 경우에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밖에, 고온 환경에서 센서 보호를 위해, 수냉식 또는 공냉식 냉각 시스템을 센서에 탑재하는 경우도 있지만, 수냉식 및 공냉식 시스템을 탑재함으로 인해 화재 감지를 위한 센서의 제조 비용이 증가하고, 부피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재 현장의 농연 환경 내에서 활용 가능하고 가시화의 성능을 최적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내열 및 내화 성능을 갖는 화재 감지용 영상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지용 영상 장치는 객체에 대한 RGB 이미지를 검출하는 RGB 카메라; 상기 객체에 대한 열상 이미지를 검출하는 열상 카메라; 상기 객체에 대한 거리 및 방향을 측정하는 레이더; 상기 RGB 카메라, 상기 열상 카메라 및 상기 레이더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RGB 카메라, 상기 열상 카메라, 상기 레이더 및 상기 컨트롤러를 열원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에워싸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RGB 카메라 및 상기 열상 카메라의 주시 방향에 대향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RGB 카메라 및 상기 열상 카메라의 시야 확보를 위한 투명 윈도우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내부 하우징 부재 및 외부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하우징 부재와 상기 외부 하우징 부재 사이에 단열재를 포함한다.
상기 단열재는 에어로젤 단열재 및 진공 단열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실장되어 공기 흐름을 생성하기 위해 회전하는 블로우 팬; 상기 블로우 팬의 전방에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열원으로부터 상기 블로우 팬을 보호하는 팬 커버;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실장되어 상기 블로우 팬을 구동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블로우 팬은 에어로젤 단열재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투명 윈도우의 테두리에 상기 공기 흐름을 유도하는 윈도우 프레임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공기 흐름이 상기 투명 윈도우의 전방을 향해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윈도우 프레임 부재는 일측에 상기 블로우 팬에 의해 생성된 상기 공기 흐름이 유입될 수 있는 공기 통로 슬릿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열 및 내화 기능을 갖는 하우징으로 화재 현장의 영상 처리 센서를 보호함으로써, 화재 현장 내에서도 유효한 성능을 갖는 영상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장치의 전방을 향해 공기 흐름이 유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 현장의 영상 획득을 위한 가시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화재 감지용 영상 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화재 감지용 영상 장치 중에서 RGB 카메라, 열상 카메라, 레이더 및 컨트롤러를 예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화재 감지용 영상 장치 중에서 하우징의 전체 외관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화재 감지용 영상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화재 감지용 영상 장치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화재 감지용 영상 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재 감지용 영상 장치는 RGB 카메라(100), 열상 카메라(110), 레이더(120), 컨트롤러(130) 및 하우징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화재 감지용 영상 장치 중에서 RGB 카메라(100), 열상 카메라(110), 레이더(120) 및 컨트롤러(130)를 예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RGB 카메라(100)는 객체에 대한 RGB 이미지를 검출한다. 즉, RGB 카메라(100)는 R, G 및 B의 기준색의 조합을 근거로 하여 객체에 대한 RGB 이미지를 표현하는 카메라이다. 이를 위해, RGB 카메라(100)는 객체에 대한 R, G 및 B 기준색을 인식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GB 카메라(100)는 이미지 센서에서 인식된 R, G 및 B 기준색의 조합에 따른 RGB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이미지 처리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지 처리 프로세서에 의해 객체에 대한 RGB 이미지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RGB 카메라(100)는 이미지 센서의 포화도를 고려한 객체(예를 들어, 가연물)별 RGB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RGB 카메라(100)는 RGB 이미지에서 연기 감소 알고리즘을 반영할 수 있다. 또한, RGB 카메라(100)는 이미지 움직임 총량을 고려한 시간 변위 기반의 연기 감소 알고리즘을 반영할 수 있다.
열상 카메라(110)는 RGB 카메라(100)의 측면에 배치되어, 객체에 대한 열상 이미지를 검출한다. 열상 카메라(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스테레오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열상 카메라(110)는 열상 이미지 전처리 기술로서, 농연 및 고온 환경에 대한 열상 이미지 Dynamic Range Compression 기술 및 열상 이미지 대비 강조 알고리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열상 카메라(110)는 열상 스테레오 모듈의 깊이(depth) 추출 기술 또는 농연/고온 환경에 대한 disparity 추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레이더(120)는 RGB 카메라(100) 및 열상 카메라(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객체에 대한 거리 및 방향을 측정한다. 레이더(120)는 전파의 직진성을 이용하여 반사파를 수신한 시각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객체의 방향과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레이더(120)는 송신부, 수신부, 안테나, 송수신 전환부 등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30)는 레이더(120)의 후면에 배치되어, RGB 카메라(100), 열상 카메라(110) 및 레이더(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컨트롤러(130)는 RGB 카메라(100), 열상 카메라(110) 및 레이더(120)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동기화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30)는 화재 모의시험 수치 분석을 통한 온도/연기에 따른 가시거리 정량화를 위해, RGB 이미지 및 열상 이미지의 DB 자료를 메모리(미도시) 내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30)는 레이더 측정거리 및 정확도 DB 자료를 메모리 내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컨트롤러(130)는 RGB 카메라(100) 또는 열상 카메라(110)의 렌즈 왜곡 특징을 반영한 공간 캘리브레이션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130)는 렌즈 특성을 반영한 최외각 가중치 기법의 스테레오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알고리즘이 반영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30)는 RGB 카메라, 열상 카메라 또는 레이더의 시간 동기화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130)는 Time Stamp 및 Sync기술 적용을 통한 개별 센서 특성을 통합하여 시간 동기화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트롤러(130)는 센서들 간의 통합 데이터의 인테페이싱 및 프로토콜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30)는 고도화된 레이더 필터링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레이더(120)의 움직임량 기반의 시간적층 필터 구성 기술을 반영할 수 있으며, 객체 특성 기준하에 레이더 객체 최소 구분 협각 개선 알고리즘을 반영하여 동작할 수 있다. 레이더(120)에 대한 데이터를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30)는 레이더(120)의 전파 특성 및 실내 공간 특성을 반영하여 데이터 보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130)는 객체(예를 들어, 가연물)에 따른 화재 환경 기준 전파 반사 특성을 반영하여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30)는 열상 카메라의 정밀도 향상 및 깊이 추출 고속화를 위해, Textureless 영역 스테레오 매칭 정밀도 향상 기술을 적용할 수 있으며, 병렬 처리를 통한 스테레오 매칭 고속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화재 감지용 영상 장치 중에서 하우징(200)의 전체 외관을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화재 감지용 영상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하우징(200)은 열원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RGB 카메라(100), 열상 카메라(110), 레이더(120) 및 컨트롤러(130)를 에워싼다.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200)은 외부 하우징 부재(202), 단열재(204), 내부 하우징 부재(206), 내부 하우징 정면 커버(208), 하부 플레이트(210), 플레이트 서포트(212), 스페이서(214), 중간 플레이트(216), 외부 하우징 후면 커버(218), 후면 단열재(220), 내부 하우징 후면 커버(222), 상부 플레이트(224), 투명 윈도우(226), 윈도우 고정용 커버(228), 윈도우 단열재(230)을 포함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하우징(200)은 외부 하우징 부재(202) 및 내부 하우징 부재(206)를 포함하고, 외부 하우징 부재(202)와 내부 하우징 부재(206) 사이에 단열재(204)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하우징 부재(206)는 RGB 카메라(100), 열상 카메라(110), 레이더(120) 및 컨트롤러(130)를 감싸기 위해 내측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부재이다. 한편, 외부 하우징 부재(202)는 내부 하우징 부재(206)를 감싸기 위해 외측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부재이다. 외부 하우징 부재(202)와 내부 하우징 부재(206)는 내열성 및 내화성이 높은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내열성 고분자 소재, 금속 소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열재(204)는 에어로젤 단열재, 진공 단열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젤 단열재는 공기와 같이 가벼운 고체인 에어로젤의 기공 구조를 갖으며, 대부분 기체로 구성되어 있어서 기공의 크기가 평균 공기의 움직임 반경보다 적어서 대류에 따른 열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젤 단열재는 열전도율이 극히 낮은 소재로 이용될 수 있다. 진공 단열재는 심부에 흄드 실리카의 단열재를 구비하고, 심부 바깥쪽으로 진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외피재로 구성되어 있다. 진공 단열재는 내부에 진공 처리되어 열전도율이 매우 낮기 때문에 우수한 단열 성능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200)은 RGB 카메라(100) 및 열상 카메라(110)의 주시 방향에 대향하는 하우징(200)의 일측에 RGB 카메라(100) 및 열상 카메라(110)의 시야 확보를 위한 투명 윈도우(226)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윈도우(226)는 내열성 및 내화성이 우수한 유리 소재 또는 합성 소재일 수 있다. 투명 윈두우(226)는 RGB 카메라(100) 및 열상 카메라(110)의 렌즈에서 일정 거리가 이격된 위치의 하우징(200)에 구비될 수 있다. RGB 카메라(100) 및 열상 카메라(110)는 투명 윈도우를 통해 전방을 촬영할 수 있다. 투명 윈도우(226)의 형태는 직사각형, 원형, 타원형일 수 있다. 다만, 투명 윈도우(226)의 형태는 예시적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투명 윈도우(226)의 테두리는 윈도우 프레임 부재(320)가 구비될 수 있다. 윈도우 프레임 부재(320)는 투명 윈도우(226)의 테두리에서 하우징(2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윈도우 프레임 부재(320)는 후술하는 모터(300)에 의해 구동된 블로우 팬(310)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 흐름을 투명 윈도우(226)의 전방 방향으로 향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모터(300)는 하우징(200)의 내부에 실장되어 블로우 팬(310)을 구동시킨다. 모터(300)는 전원을 공급받아서 동작하게 되며, 이때 제공되는 전원은 직류 전원 또는 교류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터(300)는 배터리를 통해 제공되는 전원을 사용할 수도 있고, 상용 전원(100[V] 또는 220[V])을 공급받아서 동작할 수도 있다.
블로우 팬(310)은 하우징(200)의 외부에 실장되어 공기 흐름을 생성하기 위해 회전한다. 이때, 블로우 팬(310)은 열원으로부터 보호를 위해 에어로젤 단열재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
팬 커버(330)는 블로우 팬(310)의 전방에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열원으로부터 블로우 팬을 보호한다. 팬 커버(330)는 블로우 팬(310)을 에워싸는 형상이며, 팬 커버(330)의 측면은 외부로부터 공기의 유입을 위해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팬 커버(330)의 측면 중 한면(예를 들어, 하면)은 윈도우 프레임 부재(320)의 측면과 접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윈도우 프레임 부재(320)는 블로우 팬(310)에서 생성된 공기 흐름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기 통로 슬릿(3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화재 감지용 영상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블로우 팬(310)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 공기 흐름이 팬 커버(330)의 내측면에 가로막혀서 팬 커버(330)의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팬 커버(330)의 하부는 윈도우 프레임 부재(320)의 공기 통로 슬릿(322)과 연통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공기는 공기 통로 슬릿(322)를 통해 윈도우 프레임 부재(320)의 전방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윈도우 프레임 부재(320)의 전방으로 향하는 공기 흐름으로 인해 에어 커튼이 형성되어, 화재 현장의 농연이 존재하는 상황에서도 화재 감지용 영상 장치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용 영상 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RGB 카메라
110: 열상 카메라
120: 레이더
130: 컨트롤러
200: 하우징

Claims (7)

  1. 객체에 대한 RGB 이미지를 검출하는 RGB 카메라;
    상기 RGB 카메라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객체에 대한 열상 이미지를 검출하는 열상 카메라;
    상기 RGB 카메라 및 상기 열상 카메라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객체에 대한 거리 및 방향을 측정하는 레이더;
    상기 레이더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RGB 카메라, 상기 열상 카메라 및 상기 레이더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열원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기 RGB 카메라, 상기 열상 카메라, 상기 레이더 및 상기 컨트롤러를 에워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 전면측에 배치되어, 공기 흐름을 생성하기 위해 회전하는 블로우 팬;
    상기 블로우 팬의 전방에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열원으로부터 상기 블로우 팬을 보호하는 사각캡 형상의 팬 커버; 및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RGB 카메라 및 상기 열상 카메라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된 상기 블로우 팬을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RGB 카메라 및 상기 열상 카메라의 주시 방향에 대향하는 일측면에 상기 RGB 카메라 및 상기 열상 카메라의 시야 확보를 위한 직사각형의 투명 윈도우를 포함하는 외부 하우징 부재, 상기 외부 하우징 부재 내에 배치되는 내부 하우징 부재, 상기 외부 하우징 부재와 상기 내부 하우징 부재 사이에서 흄드 실리카 소재의 진공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윈도우는,
    상기 주시 방향으로 상기 공기 흐름이 유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투명 윈도우의 테두리에 상기 주시 방향으로 돌출된 직사각형의 윈도우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윈도우 프레임 부재는,
    상기 블로우 팬에서 생성된 상기 공기 흐름이 상기 윈도우 프레임 부재를 통해 상기 주시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윈도우 프레임 부재의 상측부 일부가 연통되어 있는 공기 통로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용 영상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우 팬은 에어로젤 단열재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용 영상 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60158085A 2016-11-25 2016-11-25 화재 감지용 영상 장치 KR102085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085A KR102085308B1 (ko) 2016-11-25 2016-11-25 화재 감지용 영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085A KR102085308B1 (ko) 2016-11-25 2016-11-25 화재 감지용 영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612A KR20180059612A (ko) 2018-06-05
KR102085308B1 true KR102085308B1 (ko) 2020-03-06

Family

ID=62635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085A KR102085308B1 (ko) 2016-11-25 2016-11-25 화재 감지용 영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3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48409B (zh) * 2018-04-28 2020-07-24 北京环境特性研究所 一种烟雾检测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034B1 (ko) * 2010-04-14 2012-03-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카메라 시스템
KR101253540B1 (ko) * 2012-07-25 2013-04-11 네오트 주식회사 위험물 보관함 안전시스템
KR101462247B1 (ko) * 2014-03-10 2014-11-21 삼성영상보안주식회사 적외선 열영상 기반의 스마트 화재감지 시스템 및 자동소화장치 인터페이스 플랫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9214A (ko) * 2009-02-03 2010-08-1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블랙박스가 내장된 화재 감지 시스템 및 제어방법
EP2549453B1 (en) * 2010-01-21 2016-11-09 Hochiki Corporation Det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034B1 (ko) * 2010-04-14 2012-03-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카메라 시스템
KR101253540B1 (ko) * 2012-07-25 2013-04-11 네오트 주식회사 위험물 보관함 안전시스템
KR101462247B1 (ko) * 2014-03-10 2014-11-21 삼성영상보안주식회사 적외선 열영상 기반의 스마트 화재감지 시스템 및 자동소화장치 인터페이스 플랫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612A (ko) 201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2542B2 (en) Illuminated yard sign with wide-angle security camera and communication module for use with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WO2008111426A1 (ja) 多視点空中映像表示素子
TW200925577A (en) Particle detection
WO2013067340A1 (en) Camera mounting assembly
EP3642813B1 (en) A sensor assembly and a device comprising such sensor assembly
CN108460948A (zh) 带有测量腔和用于共同地布置火灾传感器和至少一个另外的传感器的电路载体的火灾报警器
KR102085308B1 (ko) 화재 감지용 영상 장치
US9304043B2 (en) Motion detection system
CN104574773A (zh) 烟雾探测器
ES2707974T3 (es) Detector acústico
JP2016205851A (ja) 光走査型の対象物検出装置
CN111413670A (zh) 一种增强型相机辅助的基于接收信号强度比的定位方法
KR101969804B1 (ko) 모니터링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CN115968454A (zh) 装置集合体和装置的共存管理
JP6236684B2 (ja) 建築用部材
KR102012770B1 (ko) 드론을 활용한 거주지 관리 시스템
CN217767512U (zh) 人车核检一体设备
JP2016523760A (ja) 特に車両用の不法侵入防止システムに使用可能な容積測定器を有する装置
JP2018207471A (ja) 磁気シールドルーム
KR20090096213A (ko) 광전식 화재감지기
CN108629342A (zh) 双目摄像头火焰距离测量方法及装置
CN208834449U (zh) 一种红外入侵探测器
JP2006098372A (ja) 炎感知器
CN204345837U (zh) 多功能暖风机
CN105716210A (zh) 具有遥控器位置检测功能的空调、感光部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