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753B1 - 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753B1
KR102084753B1 KR1020180154307A KR20180154307A KR102084753B1 KR 102084753 B1 KR102084753 B1 KR 102084753B1 KR 1020180154307 A KR1020180154307 A KR 1020180154307A KR 20180154307 A KR20180154307 A KR 20180154307A KR 102084753 B1 KR102084753 B1 KR 102084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terminal
spring plate
body port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나
Original Assignee
이유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유나 filed Critical 이유나
Priority to KR1020180154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7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면에 직립하여 설치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정면으로 돌출되어 절곡된 후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몸체부와 이격된 형태로 결합되는 거치부; 단말기의 배면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와 거치부 사이에 이격된 공간으로 끼워지는 고리가 형성된 고리부; 상기 몸체부의 좌,우측으로 연장되며, 그 끝단이 정면측으로 절곡되어 단말기의 배면 일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결합되며, 몸체부가 회전되도록 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말기 거치대{TERMINAL HOLDER}
본 발명은 휴대폰과 같은 단말기의 측면이 바닥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부에 고리부가 탈부착되는 과정에서 고리부가 거치부에 끼워지면, 단말기의 측면은 바닥면에 지지되어 단말기의 전체 무게를 바닥면에 전가하여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충격이 발생되어도 단말기의 안정된 자세가 유지되도록 하는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테블릿이나 휴대폰 등이 있다.
이러한 단말기는 주로 영상 이미지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예를 들어, 차량에 구비되는 휴대폰을 네비게이션으로 활용하는 경우, 별도의 거치대가 마련되고, 이러한 거치대에 휴대폰을 임시로 거치하여 운전자가 휴대폰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활용된다.
그러나 종래 거치대는 휴대폰의 겉면 대부분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이를 이용하여 휴대폰을 거치하는 과정에서 휴대폰을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의 간격을 넓힌 후 휴대폰을 거치하기 때문에 한손으로는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부재가 고정형이 아닌 가변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휴대폰 거치를 위한 반복 사용시 쉽게 고장이 나며, 휴대폰의 겉면 대부분을 감싸는 구조 형태이기 때문에 부피가 커져 미관을 해치게 된다.
또한, 차량에 고정되는 거치대가 차량의 앞 유리에 부착하는 구조인 경우, 햇볕 노출에 의한 부착 고무패드의 노후화에 의해 부착력이 상실되고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환풍구 또는 CD 투입구에 끼워서 고정하는 구조인 경우, 환풍구의 풍향을 방해하고 잦은 흔들림으로 인해 사용자의 눈 피로가 누적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자석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인 경우, 빠르고 쉽게 착탈이 가능한 이점이 있으나, 차량의 흔들림이나 비포장도로, 방지턱 등 충격이 발생되는 곳에서는 거치된 휴대폰이 이탈되어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3972호(2012.06.07.)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4306호(2017.12.2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몸체부에 고리부가 탈부착되는 과정에서 고리부가 거치부에 끼워지면, 단말기의 측면은 바닥면에 지지되어 단말기의 전체 무게를 바닥면에 전가하여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충격이 발생되어도 단말기의 안정된 자세가 유지되도록 하는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즉 단말기가 거치되는 지지대는 차량의 대시보드와 같은 바닥면에 설치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차량의 흔들림 발생에도 휴대폰을 안정되게 지지하여 휴대폰 흔들림으로 인한 운잔자의 시력을 보호할 수 있는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는 바닥면에 직립하여 설치되는 몸체부; 몸체부의 정면으로 돌출되어 절곡된 후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몸체부와 이격된 형태로 결합되는 거치부; 단말기의 배면에 결합되며, 몸체부와 거치부 사이에 이격된 공간으로 끼워지는 고리가 형성된 고리부; 몸체부의 좌,우측으로 연장되며, 그 끝단이 정면측으로 절곡되어 단말기의 배면 일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몸체부의 하측에 결합되며, 몸체부가 회전되도록 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몸체부에 고리부가 탈부착되는 과정에서 고리부가 거치부에 끼워지면, 단말기의 측면은 바닥면에 지지되어 단말기의 전체 무게를 바닥면에 전가하여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충격이 발생되어도 단말기의 안정된 자세가 유지되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바닥면에 견고하게 결합되되, 차량의 대시보드에 단말기(10)의 전체 무게를 전가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거치대 자체는 간소화하여 작은 크기로도 제조가 가능함으로써, 차량의 대시보드 등에 결합시, 운전자의 전방주시 시야 방해를 최소화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몸체부에 결합되는 거치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통해 고리부의 고리가 상측에서 끼워져 탈부착됨으로써, 몸체부에 단말기가 쉽고 간편하게 거치되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몸체부는 360° 회전 가능한 받침부에 의해 바닥면에 결합됨으로써, 몸체부를 회전시켜 단말기가 거치되는 방향을 조절함에 따라, 햇볕에 의한 난반사를 차단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보호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몸체부의 형상이 사람, 동물 또는 식물 등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갖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장식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에서 몸체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에서 이미지연출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에서 거치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에서 거치부에 고리부가 끼워진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에서 거치부에 돌기가 형성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에서 고리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에서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에서 지지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에서 거치된 휴대폰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에서 받침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방향(예를 들어 "전", "후", "좌", "우", "위", "아래", "상", "하", "횡", "종", "정면", "배면", "일측", "타측", "내측" 및 "외측")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으며, 이러한 방향의 기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는 몸체부(100)에 고리부(300)가 탈부착되는 과정에서 고리부(300)가 거치부(200)에 끼워지면, 단말기(10)의 측면은 바닥면에 지지되어 단말기(10)의 전체 무게를 바닥면에 전가하여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충격이 발생되어도 단말기(10)의 안정된 자세가 유지되도록 하는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단말기(10)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테블릿이나 휴대폰 등을 의미한다.
나아가, 핸드폰 모형으로 이루어진 목업(mockup)이나 다양한 장식 또는 사진을 보관하는 액자 등이 단말기(10)를 대신하여 거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바닥면은 단말기 거치대가 결합되고, 단말기(10)의 측면이 접촉되어 지지되는 바닥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단말기 거치대가 차량의 대시보드에 설치되는 경우, 바닥면은 대시보드의 상측면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은 차량에 거치대가 결합되고, 단말기(10)의 측면이 대시보드에 접촉되어 거치대에 거치됨으로써, 단말기(10)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안정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에서 몸체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에서 이미지연출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는 바닥면에 직립하여 설치되어 단말기(10)가 쉽고 용이하게 탈부착되어 거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몸체부(100), 거치부(200), 고리부(300), 지지부(400) 및 받침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100)는 바닥면에 직립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제1몸체부재(110)와 제2몸체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몸체부(100)는 도 1에서와 같이, 사람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도 13에서와 같이 기린 등 동물 형태로 이루지거나 또는 식물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되, 제1몸체부재(110)와 제2몸체부재(120)로 사출 성형되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몸체부(100)가 사람, 동물 또는 식물 등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지더라도 정면에 후술되는 거치부(200)가 결합되고, 제1몸체부재(110)와 제2몸체부재(1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지지부(400) 및 받침부(500)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설계조건에 따라, 몸체부(100)는 전체 또는 일부분이 외측에서 내부 공간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몸체부재(110)는 정면에 구비되어 후술되는 거치부(200)가 결합되는 것으로, 제1스프링판 체결홀(111), 제1걸개 체결홀(112), 스프링판 안내홈(113) 및 걸개 안내홈(1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스프링판 체결홀(111)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몸체부재(110)에 형성된 스프링판 안내홈(113)에 구비되어 볼트가 체결된다.
제1걸개 체결홀(112)은 제1몸체부재(110)에 형성된 걸개 안내홈(114)에 구비되어 볼트가 체결된다.
스프링판 안내홈(113)은 제1몸체부재(110)의 정면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후술되는 거치부(200)의 스프링판(220) 일부분이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스프링판 안내홈(113)에 스프링판(220)이 안착되면, 제1스프링판 체결홀(111)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스프링판(220)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걸개 안내홈(114)은 제1몸체부재(110)의 정면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후술되는 거치부(200)의 걸개(210) 일부분이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걸개 안내홈(114)에 걸개(210)가 안착되면, 제1걸개 체결홀(112)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걸개(210)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판 안내홈(113)은 제1몸체부재(110)의 상측에 형성되고, 걸개 안내홈(114)은 하측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판 안내홈(113)과 걸개 안내홈(114) 각각은 걸개(210) 또는 스프링판(220)이 접촉되는 면이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스프링판 안내홈(113)에 스프링판(220) 일부분이 안착되고, 걸개 안내홈(114)에 걸개(210) 일부분이 안착되면, 평평한 면이 접촉됨에 따라,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걸개(210)와 스프링판(220)이 밀착되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스프링판 안내홈(113)과 걸개 안내홈(114) 각각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부재(110)의 내측으로 파여진 일부분이 각진 형태로 이루어지되, 스프링판 안내홈(113)에 안착되는 스프링판(220) 일부분과 걸개 안내홈(114)에 안착되는 걸개(210) 일부분 각각이 이에 대응하여 모서리 일부분이 각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스프링판 안내홈(113)에 스프링판(220)이 안착되고, 걸개 안내홈(114)에 걸개(210)가 안착되면, 각진 형태의 모서리 부분에 의해 걸개(210)와 스프링판(220)이 편심되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몸체부재(110)의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제2몸체부재(120)는 제1몸체부재(110)의 배면에 구비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제2스프링판 체결홀(121) 및 제2걸개 체결홀(1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스프링판 체결홀(121)은 제1스프링판 체결홀(111)에 체결되는 볼트가 함께 체결되고, 제2걸개 체결홀(122)은 제1걸개 체결홀(112)에 체결되는 볼트가 함께 체결되어 제1몸체부재(110)와 제2몸체부재(120)가 상호간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제2스프링판 체결홀(121) 및 제2걸개 체결홀(1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몸체부재(120)의 내주면에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스프링판 체결홀(111) 및 제1걸개 체결홀(112)도 이에 대응하여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스프링판 체결홀(111)은 제2스프링판 체결홀(121)에 대응하여 제1몸체부재(110)의 내주면에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제1스프링판 체결홀(111) 끝단과 제2스프링판 체결홀(121) 끝단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걸개 체결홀(112)과 제2걸개 체결홀(122)은 끝단이 서로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프링판 체결홀(111)과 제2스프링판 체결홀(121) 사이에 형성되는 소정 간격은 후술되는 지지부(400)의 이음부재(410)의 두께와 같거나 또는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지지부(400)가 몸체부(10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부(400)의 이음부재(410)는 제1스프링판 체결홀(111)과 제2스프링판 체결홀(121) 사이에 구비됨에 따라, 몸체부(100)로부터 지지부(40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스프링판(220)에 형성된 스프링판 관통공(221), 제1스프링판 체결홀(111), 지지부(400)의 이음부재(410)에 형성된 관통공(411) 및 제2스프링판 체결홀(121)은 하나의 볼트에 의해 순차적으로 체결됨으로써, 하나의 볼트를 체결하는 과정만으로도 제1몸체부재(110), 제2몸체부재(120), 스프링판(220) 및 지지부(400)가 상호간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나아가, 걸개(210)에 형성된 걸개 관통공(211), 제1걸개 체결홀(112) 및 제2걸개 체결홀(122)은 하나의 볼트에 의해 순차적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몸체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내부에 구비된 이미지(132)가 외측에서 확대되어 노출될 수 있도록 이미지연출부(1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미지연출부(132)는 몸체부(100) 내부에 사진이나 그림 또는 장식구 등과 같이 이미지 연출이 가능한 이미지(132)를 볼록렌즈(131)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확대하여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블록렌즈(131)는 일정 크기의 초점거리(f)를 갖는 렌즈로 형성되며, 상기 볼록렌즈(131)와 이미지(132)의 거리는 상기 초점거리(f) 보다 가까운 거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볼록렌즈(131)는 이미지(132)를 확대하여 몸체부(100) 외측으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볼록렌즈(1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이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몸체부(100) 내에서 볼록렌즈(131)와 이미지(132) 사이 간 거리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이미지(132)의 크기 선택의 폭이 넓어질 수 있다.
나아가, 몸체부(100)는 제1몸체부재(110)와 제2몸체부재(120)가 상호간에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몸체부(100) 내부에 구비되는 이미지(132)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에서 거치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에서 거치부에 고리부가 끼워진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에서 거치부에 돌기가 형성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거치부(200)는 몸체부(100)의 정면으로 돌출되어 절곡된 후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몸체부(100)와 이격된 형태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몸체부(100)와 거치부(200) 사이에 형성된 이격된 공간으로 후술되는 고리부(300)가 끼워져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걸개(210) 및 스프링판(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개(210)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측 일부분은 몸체부(100)의 정면에 형성된 걸개 안내홈(114)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볼트가 체결되는 걸개 관통공(211)이 형성되며, 중간 부분은 몸체부(100)의 정면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후, 일부분이 상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측 부분과 몸체부(100)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즉 거치부(200)에 후술되는 고리부(300)가 끼워지는 경우, 걸개(210)의 상측 부분을 통해 고리부(300)의 고리(310)가 끼워지고, 상기 고리(310)의 일부분은 걸개(210)와 몸체부(100) 사이에 이격된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스프링판(220)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측 일부분은 몸체부(100)의 정면에 형성된 스프링판 안내홈(113)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볼트가 체결는 스프링판 관통공(221)이 형성되며, 하측 부분은 외측으로 휘어진 형상으로 돌출되어 걸개(210)의 측면측으로 가압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개(210)에 후술되는 고리부(300)의 고리(310)가 끼워지면, 스프링판(220)이 상기 고리(310)를 압박함으로써, 거치부(200)에 끼워진 고리부(300)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걸개(210)의 수평으로 평평한 면, 즉 가운데 부분 상단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돌기(21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212)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걸개(210) 일부분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스프링판(220)의 하단부분 배면측에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돌기(212)는 스프링판(220)이 배면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차단하여, 걸개(210)에 고리부(300)가 끼워지는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스프링판(220)이 배면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걸개(210)에 끼워진 고리부(300)의 고리(310)를 압박하는 스프링판(220)이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고리부(300)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몸체부(100)와 거치부(200) 사이에 이격된 공간으로 끼워지는 고리(310)가 형성되며, 단말기(10)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10)가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고리부(300)와 단말기(10)의 결합은 상기 고리부(300) 정면측에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단말기(10) 배면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표명이 3M 양면테이프인 양면테이프가 이용될 수 있으며, 단말기(10)에 결합되는 고리부(300)의 위치는, 몸체부(100)와 거치부(200) 사이에 형성된 이격된 공간에 고리(310)가 끼워진 후, 단말기(10)의 측면을 바닥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거치부(200)에 끼워진 고리부(300)가 단말기(10)의 배면에 결합되도록 하는 위치를 갖도록 한다.
이에, 몸체부(100)에 단말기(10) 배면에 결합된 고리부(300)가 탈부착되는 과정에서, 고리(310)가 거치부(200)에 끼워지면, 단말기(10)의 측면은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10)의 무게가 바닥면에 전가되어 분산되도록 하여 충격에 의한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안정된 거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바닥면이 차량의 대시보드인 경우, 대시보드에 결합된 단말기 거치대의 거치부(200)에 단말기(10) 배면에 결합된 고리부(300)를 끼우면, 단말기(10)의 측면은 대시보드의 상측면에 접촉되기 때문에 단말기(10)의 무게를 대시보드에 분산되도록 하여 차량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단말기(10)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흔들림 발생으로 인한 운전자의 시력을 보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에서 고리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고리부(300)에 형성된 고리(310)의 측면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주름형태로 이루어진 고리(310)는 걸개(210)에 끼워지면, 형태적 특성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걸개(210)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고리부(300)가 거치부(200)에 보다 견고하게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고리부(300)의 고리(310)가 끼워지는 걸개(210)의 가로축 단면 또한 주름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주름형태로 이루어진 고리(310)가 걸개(210)의 주름형태로 이루어진 부분에 끼워지면, 상호간에 맞물리게 됨으로써, 걸개(210)로부터 고리(310)가 편심되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정확한 위치에 직립하여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고리부(300)의 고리(310), 거치부(200)의 걸개(210) 또는 스프링판(220)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구성은 자석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거치부(200)에 고리부(300)가 끼워지는 경우, 스프링판(220)의 압박에 의해 고리부(300)가 1차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고, 자석으로 이루어진 재질의 특성에 의해 2차적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에서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에서 지지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에서 거치된 휴대폰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지지부(400)는 몸체부(100)의 좌,우측으로 연장되며, 그 끝단이 정면측으로 절곡되어 단말기(10)의 배면 일부분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사람의 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이음부재(410), 절곡부재(420) 및 지지부재(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음부재(410)는 중간 부분에 구비되며, 정면과 배면을 관통하는 관통공(411)이 형성되는 것으로, 몸체부(100) 내부에 결합되어 스프링판(220)의 스프링판 관통공(221), 제1스프링판 체결홀(111) 및 제2스프링판 체결홀(121)과 함께 하나의 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절곡부재(420)는 이음부재(410)의 좌,우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몸체부(100)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끝단이 정면측으로 절곡되어 사람의 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한 쌍의 절곡부재(420) 각각은 끝단에 후술되는 지지부재(430)가 정면측으로 돌출되어 결합된다.
지지부재(430)는 절곡부재(420) 양 끝단 각각에 결합되어 정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단말기(10)에 결합된 고리부(300)가 거치부(200)에 끼워지면, 단말기(10) 배면 일부분과 접촉되어 단말기(10)의 안정된 자세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지지부재(430)는 스폰지, 테프론 등과 같은 합성수지 또는 고무 등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한 쌍의 지지부재(430)가 단말기(10) 배면에 각각 접촉됨으로써, 거치부(200)에 끼워진 고리(310)와 한 쌍의 지지부재(430)에 의해 3지점에서 단말기(10)를 고정하여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하고, 단말기(10)의 측면은 바닥면에 접촉되어 무게가 분산됨에 따라, 상,하로 흔들리는 것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 배면에 결합된 고리부(300)가 거치부(200)에 끼워져 고정되면, 단말기(10)의 측면은 바닥면에 지지되어 힘의 방향이 바닥면측인 하측으로 향하고, 탄성을 갖는 지지부재(430)는 단말기(10) 배면에 접촉되어 힘의 방향이 정면측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거치된 단말기(10)는 고리부(300)와 거치부(200)가 끼워진 부분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힘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바닥면에 접촉된 단말기(10)는 보다 강한 지지력에 의해 움직임이 최소화되고 안정되게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에서 받침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받침부(500)는 몸체부(100)의 하측에 결합되며, 바닥면 상측에 결합되어, 바닥면으로부터 몸체부(100)가 360° 회전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부회전판(510) 및 하부회전판(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회전판(510)은 몸체부(100) 하측에 결합되며, 몸체부(100) 형태에 대응되어 가로축 단면이 원형을 갖도록 형성되고,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511)가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정돌기(511)는 제1몸체부재(110) 또는 제2몸체부재(120) 내주면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고정홈(도면에 미표시)에 끼워져 몸체부(100)에 결합된 상부회전판(510)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상부회전판(510) 외주면에 한 쌍의 고정돌기(511)가 형성되고, 한 쌍의 고정돌기(511)는 각각 몸체부(100)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짐으로써, 몸체부(10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부회전판(510) 하측면에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형태로 이루어진 걸림홈(5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홈(512)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회전판(510)의 상측으로 파여지고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가 반복된 세로축 단면이 지그재그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술되는 하부회전판(520)의 걸림돌기(521)가 걸림되도록 한다.
하부회전판(520)은 상부회전판(51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바닥면 상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걸림돌기(5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걸림돌기(521)는 상부회전판(510)에 형성된 걸림홈(512)에 걸림되는 것으로, 걸림홈(512)의 상측으로 파여진 홈에 끼워지면, 하부회전판(520)으로부터 상부회전판(510)이 자유롭게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고, 사용자가 몸체부(100)를 회전시키면 상기 상측으로 파여져 반복된 형태로 이루어진 걸림홈(512)의 다수의 홈에 순차적으로 끼워져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바닥면과 하부회전판(520)의 결합은 양면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회전판(510)과 하부회전판(520)이 상호간에 회전, 즉 하부회전판(520)으로부터 몸체부(100)가 360°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10)의 회전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햇볕에 의한 난반사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물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사람, 동물 또는 식물 등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갖도록 형성되기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심미적 효과가 있으며, 차량의 대시보드에 설치시, 장식 효과를 제공하여 차량 실내를 아름답게 꾸밀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는 몸체부(100)에 고리부(300)가 탈부착되는 과정에서 고리부(300)가 거치부(200)에 끼워지면, 단말기(10)의 측면은 바닥면에 지지되어 단말기(10)의 전체 무게를 바닥면에 전가하여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충격이 발생되어도 단말기(10)의 안정된 자세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에 견고하게 결합되되, 차량의 대시보드에 단말기(10)의 전체 무게를 전가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거치대 자체는 간소화하여 작은 크기로도 제조가 가능함으로써, 차량의 대시보드 등에 결합시, 운전자의 전방주시 시야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에 결합되는 거치부(200)와 상기 몸체부(100)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통해 고리부(300)의 고리(310)가 상측에서 끼워져 탈부착됨으로써, 몸체부(100)에 단말기(10)가 쉽고 간편하게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는 360° 회전 가능한 받침부(500)에 의해 바닥면에 결합됨으로써, 몸체부(100)를 회전시켜 단말기(10)가 거치되는 방향을 조절함에 따라, 햇볕에 의한 난반사를 차단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의 형상이 사람, 동물 또는 식물 등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갖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장식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단말기
100 : 몸체부 110 : 제1몸체부재
111 : 제1스프링판 체결홀 112 : 제1걸개 체결홀
113 : 스프링판 안내홈 114 : 걸개 안내홈
120 : 제2몸체부재 121 : 제2스프링판 체결홀
122 : 제2걸개 체결홀 130 : 이미지연출부
131 : 볼록렌즈 132 : 이미지
200 : 거치부 210 : 걸개
211 : 걸개 관통공 212 : 돌기
220 : 스프링판 221 : 스프링판 관통공
300 : 고리부 310 : 고리
400 : 지지부 410 : 이음부재
411 : 관통공 420 : 절곡부재
430 : 지지부재 431 : 경사면
500 : 받침부 510 : 상부회전판
511 : 고정돌기 512 : 걸림홈
520 : 하부회전판 521 : 걸림돌기

Claims (8)

  1. 바닥면에 직립하여 설치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정면으로 돌출되어 절곡된 후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몸체부(100)와 이격된 형태로 결합되는 거치부(200);
    단말기(10)의 배면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100)와 거치부(200) 사이에 이격된 공간으로 끼워지는 고리(310)가 형성된 고리부(300);
    상기 몸체부(100)의 좌,우측으로 연장되며, 그 끝단이 정면측으로 절곡되어 단말기(10)의 배면 일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400); 및
    상기 몸체부(100)의 하측에 결합되며, 몸체부(100)가 회전되도록 하는 받침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300)는
    상기 몸체부(100)와 거치부(200) 사이에 형성된 이격된 공간에 고리(310)가 끼워진 후, 단말기(10)의 측면이 바닥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단말기(10) 배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몸체부(100)에 고리부(300)가 탈부착되는 과정에서 고리(310)가 거치부(200)에 끼워지면, 단말기(10)의 측면은 바닥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200)는
    상기 몸체부(100)의 정면으로 돌출되어 절곡된 후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몸체부(100)와 이격된 형태로 결합되며, 하단에 걸개 관통공(211)이 형성된 걸개(210);
    상기 몸체부(100)에 결합되어 걸개(210)에 끼워진 고리(310)를 압박하며, 상단에 스프링판 관통공(221)이 형성된 스프링판(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정면에 구비되며, 제1스프링판 체결홀(111) 및 제1걸개 체결홀(112)이 형성된 제1몸체부재(110); 및
    상기 제1몸체부재(110)의 배면에 결합되며, 제2스프링판 체결홀(121) 및 제2걸개 체결홀(122)이 형성된 제2몸체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스프링판 관통공(221), 제1스프링판 체결홀(111), 지지부(400) 및 제2스프링판 체결홀(121)은 하나의 볼트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걸개 관통공(211), 제1걸개 체결홀(112) 및 제2걸개 체결홀(122)은 하나의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재(110)는
    제1스프링판 체결홀(111)이 형성되며,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져 스프링판(220) 일부분이 안착되는 스프링판 안내홈(113); 및
    제1걸개 체결홀(112)이 형성되며,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져 걸개(210) 일부분이 안착되는 걸개 안내홈(114);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스프링판 안내홈(113) 및 걸개 안내홈(114) 각각은
    상기 걸개(210) 또는 스프링판(220)이 접촉되는 면이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결합되며, 관통공(411)이 형성된 이음부재(410); 및
    상기 이음부재(410)의 좌,우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몸체부(100)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끝단이 정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500)는
    상기 몸체부(100) 하측에 결합되는 상부회전판(510); 및
    상기 상부회전판(51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바닥면 상측에 결합되는 하부회전판(5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사람, 동물 또는 식물 형태의 디자인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
KR1020180154307A 2018-12-04 2018-12-04 단말기 거치대 KR102084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307A KR102084753B1 (ko) 2018-12-04 2018-12-04 단말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307A KR102084753B1 (ko) 2018-12-04 2018-12-04 단말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753B1 true KR102084753B1 (ko) 2020-03-04

Family

ID=69783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307A KR102084753B1 (ko) 2018-12-04 2018-12-04 단말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7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3972U (ko) 2010-11-29 2012-06-07 네오메트로칸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JP2015192154A (ja) * 2014-03-27 2015-11-02 オリバーラボ株式会社 携帯機器用保持具
KR101738615B1 (ko) * 2015-11-20 2017-05-22 김정헌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KR20170004306U (ko) 2016-06-13 2017-12-21 윤여신 받침대가 부착된 휴대폰의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3972U (ko) 2010-11-29 2012-06-07 네오메트로칸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JP2015192154A (ja) * 2014-03-27 2015-11-02 オリバーラボ株式会社 携帯機器用保持具
KR101738615B1 (ko) * 2015-11-20 2017-05-22 김정헌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KR20170004306U (ko) 2016-06-13 2017-12-21 윤여신 받침대가 부착된 휴대폰의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7299B2 (en) Removable lens mounted to an eyewear platform
US7080903B2 (en) Auxiliary eyewear attachment apparatus
US6237156B1 (en) Visor for a baseball cap
AU2002352574B2 (en) A removable lens frame mounted to an eyewear platform
US5056164A (en) Visor cap and eye glass organization
US20140325818A1 (en) Filled amorphous bag apparatus for positioning screened devices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US20020184738A1 (en) Multi-purpose cap clip
US10137969B2 (en) Face mask with mount for imaging device
JP3928778B2 (ja) アイシールドアセンブリ
JPS61203422A (ja) めがねと共用される光学的付属品
US5005214A (en) Removable eyeglass shade visor apparatus
USD472840S1 (en) Picture bracelets
KR102084753B1 (ko) 단말기 거치대
JP5711414B1 (ja) 情報端末機収納ケース
KR200447150Y1 (ko) 이동 정보 단말기용 케이스
KR20120003696U (ko) 캐릭터 형상의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
KR101738615B1 (ko)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KR20130007167U (ko) 휴대폰용 접이식 받침구
EP0506346A2 (en) Monitor filter holder and system
CN205792827U (zh) 一种手机壳
KR101470124B1 (ko) 휴대폰 거치대
US20140305014A1 (en) Graduation Mortarboard Display Holder
KR20210052832A (ko)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
KR101621939B1 (ko)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 및 이를 갖는 악세사리
CN209994435U (zh) 一种多功能手机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