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2832A -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2832A
KR20210052832A KR1020190138290A KR20190138290A KR20210052832A KR 20210052832 A KR20210052832 A KR 20210052832A KR 1020190138290 A KR1020190138290 A KR 1020190138290A KR 20190138290 A KR20190138290 A KR 20190138290A KR 20210052832 A KR20210052832 A KR 20210052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glasses
temple
assistance system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2526B1 (ko
Inventor
권민철
Original Assignee
권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민철 filed Critical 권민철
Priority to KR1020190138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526B1/ko
Publication of KR20210052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2Assembling eyepieces, lenses or vision-correction means in or on gas-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Zo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사용자의 안경에 제공되어, 사용자가 착용하고자 하는 마스크를 고정하기 위한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에 있어서, 안경의 템플(temple)의 일단에 제공되어, 마스크의 끈을 거치하도록 하는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부; 및 바디부의 일단에 제공되어, 상기 마스크의 끈을 홀딩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

Description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Supporting system of holding mask for user wearing glasses}
본 발명은 마스크를 고정하기 위한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마스크의 끈을 거치 하는 경우, 안경의 템플에 제공되어 거치부를 통해 마스크 끈을 홀딩하도록 하는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에 관한 분야이다.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2015년 이후부터 초미세먼지 농도가 세제곱미터당 36mg이상을 기록해 '나쁨'이었던 날을 정리해 왔다. 관측결과에 따르면 2015년1월 1일부터 3월 3일까지 초미세먼지 농도가'나쁨'이었던 날은 12일이었다. 2019년 같은 기간동안'나쁨'을 기록한 날은 23회로 4년 전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고 한다.
미세먼지 입자들은 기관지를 거쳐 폐에 흡착돼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미세먼지와 미세먼지는 신체 안에서 박테리아 병원균에 대한 항체를 무력화해 폐렴을 유발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미세먼지는 호흡기와 직접적 연관이 없는 간, 비장, 중추신경계, 뇌, 심지어 생식기관까지 손상한다고 밝혀졌다.
이러한 미세먼지 먼지로 인해 미세먼지 마스크는 필수 생활용품이 되었다. 반면 마스크를 착용할 시 안경 착용자의 경우 안경의 템플 일단과 마스크의 줄이 모두 귓등을 지지하고 있어야 하는 상황이다. 이때, 안경과 마스크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 귓등에 오는 통증이 가중되는 것을 경감시키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시도는 존재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 특허문헌의 예로서 “김서림방지와 안경결이 기능의 마스크(공개번호 제 10-2016-0145522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1의 경우, 안경착용자 안경알의 김서림 방지기능과 안경다리에 부착할 수 있는 김서림방지와 안경걸이 기능의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마스크 본체와 김서림 방지 헤드와 김서림 방지 날개를 연결하며, 내부홈과 연결끈과 안경고리를 포함하는 김서림 방지와 안결걸이 기능의 마스크이다.
또한, 특허문헌 1의 경우, 안경과 같이 귀에 걸지 않고 안경에 바로 연결되어 귀 뒤의 압박감을 줄여주는 것을 기술적인 효과로 개시한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마스크 안경 고리(공개번호 제 20-2019-0002520이하 특허문헌2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2의 경우, 안경에 부착하여 마스크를 편리하게 쓸 수 있게 한 고리에 관한 것으로, 마스크를 걸 수 있는 마스크 끈 고정 홈과, 고리를 부착하는 안경 부착 판으로 이루어져, 홈이 있는 작은 고리를 안경에 걸어 그 고리에 마스크를 걸 수 있게 하여 안경과 마스크가 겹치는 것 없이 편리하게 마스크를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실리콘 귀테를 포함하는 안경(공개번호 제 20-2014-0004053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 3의 경우, 실리콘 귀테를 포함하는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의 안경에 있어서, 안경다리 단부에 형성되는 유연성 있는 재질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와 그 일 측 단부의 연결홈에서 연결되며, 귀바퀴를 감싸는 역C자 형태이고, 내부가 비어 있으며, 하단에 착용홈이 터져 있어 귀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귀테 및 귀바퀴에 착용이 용이하도록 휘어지도록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안경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귀테를 포함하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3에 따른 발명의 경우, 귀에 거는 형태의 머리를 압박하는 종래의 안경다리에 비해 테가 관자 놀이와 귓바퀴와 얼굴의 골에 닿지 않기 때문에, 압박감이 없으므로 착용감이 우수하며, 실리콘 재질로서, 착용시 압박감이 적으며, 귀에 거는 형태로 제작되어 안경이 흘러내리지 않아, 운동 등의 경우에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인 효과로 제시한다.
특허문헌1과 같은 경우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마스크 제조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내부홈과 연결끈을 통해 안경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생산과정에서의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허문헌2의 경우에는 작은 고리를 마스크에 걸어 고정하는 방법으로 작은 움직임으로 안경과 마스크가 이격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들 선행 특허문헌들 특히 특허문헌3의 경우, 실리콘 귀테를 포함하여 안경다리가 관자놀이와 귓바퀴를 압박하지 않는 것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에 불과하다.
공개번호 제 10-2016-0145522호 공개번호 제 20-2019-0002520호 공개번호 제 20-2014-0004053호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안경의 템플의 일단에 제공되어, 마스크 끈을 거치하되, 외력에 의하여 벤딩되어 형상을 유지하여 마스크 끈을 거치하고자 한다.
둘째, 안경의 템플표면을 가압하여 고정하고자 한다.
셋째, 안경 사용자가 마스크를 사용할 경우 귓등에 오는 통증을 경감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은 안경의 템플(temple)의 일단에 제공되어, 상기 마스크의 끈을 거치하도록 하는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 제공되어, 상기 마스크의 끈을 홀딩하는 거치부로 구성되어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은 상기 바디부의 타단에 제공되어, 상기 안경의 템플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삽입 공간을 제공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의 상기 바디부는 상기 사용자가 제공한 외력에 의하여 벤딩(bending)되며, 벤딩된 상태로 형상을 유지하여 상기 마스크의 끈을 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의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 공간 내면에 복수 개가 돌출되도록 제공되며,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안경의 템플의 표면을 가압하여 상기 템플을 고정하는 복수 개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의 상기 거치부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마스크의 끈이 상기 오목하게 형성된 공간에 구속되어 상기 마스크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수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이 외력에 의해 벤딩된 상태로 형상을 유지하고, 안경의 템플에 삽입되어 마스크 끈을 거치하고자 한다.
둘째,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의 거치부에 수납홈을 포함하여 마스크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셋째,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에 마스크 끈을 거치하여, 안경 사용자가 마스크를 사용할 경우 귓등에 오는 통증을 경감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이 안경 템플의 일단에 제공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보조 시스템을 실시한 실 착용사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보조 시스템의 삽입 공간 내면에 돌기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보조 시스템이 수납홈을 제공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보조 시스템이 수납홈을 제공한 것을 도시한 제2 단면도이다.
도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보조 시스템이 벤딩되어 형상이 유지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이 안경 템플의 일단에 제공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보조 시스템을 실시한 실 착용사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보조 시스템의 삽입 공간 내면에 돌기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보조 시스템이 수납홈을 제공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보조 시스템이 수납홈을 제공한 것을 도시한 제2 단면도이다. 도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보조 시스템이 벤딩되어 형상이 유지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보조 시스템의 경우, 안경(10)의 템플(temple)의 일단에 제공되어, 마스크(20)의 끈을 거치하도록 하는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부(100)와 바디부(100)의 일단에 제공되어, 마스크(20)의 끈을 홀딩하는 거치부(200)로 구성되어 포함하게 된다.
먼저, 바디부(100)의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10)의 템플의 일단에 제공되고, 바디부(100)의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길이는10-170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바디부(100)의 경우, 단면의 모양이 원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바디부(100)는 일단에 거치부(200)를 형성하고 이러한 소정의 거치부(200)를 통해 마스크(20) 끈을 거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보조 시스템의 삽입부(110)의 경우, 바디부(100) 타단에 제공되어, 안경(10)의 템플 일단이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삽입 공간을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삽입부(110)의 삽입 공간을 통해 안경(10)의 템플에 바디부(10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보조 시스템의 바디부(100)는 사용자가 제공한 외력에 의하여 벤딩(bending)될 수 있으며, 벤딩된 상태로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부(100)는 벤딩되어 안경(10) 모양에 따라 그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임의변형이 가능하도록 한다.
삽입부(110)의 경우, 돌기부(111)를 통해 안경(10)의 템플 표면을 가압하여 가동(可動)저항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111)는 삽입부(110)의 삽입 공간 내부에 하나 이상의 돌기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가동(可動)이 생길 수 있는 바디부(100)에 가동저항을 형성하게 된다.
거치부(200)의 경우, 바디부(100)의 일단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수납홈(210)을 형성하고, 마스크(20)의 끈이 수납홈(210)에 구속되어 마스크(20)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납홈(210)의 경우,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0)의 일단에 제공되어 수납홈(210)을 통해 안경(10)과 마스크(2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안경 20: 마스크
100: 바디부 110: 삽입부
111: 돌기부 200: 거치부
210: 수납홈

Claims (5)

  1. 사용자의 안경에 제공되어, 사용자가 착용하고자 하는 마스크를 고정하기 위한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안경의 템플(temple)의 일단에 제공되어, 상기 마스크의 끈을 거치하도록 하는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 제공되어, 상기 마스크의 끈을 홀딩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바디부의 타단에 제공되어, 상기 안경의 템플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삽입 공간을 제공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사용자가 제공한 외력에 의하여 벤딩(bending)되며, 벤딩된 상태로 형상을 유지하여 상기 마스크의 끈을 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 공간 내면에 복수 개가 돌출되도록 제공되며,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안경의 템플의 표면을 가압하여 상기 템플을 고정하는 복수 개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마스크의 끈이 상기 오목하게 형성된 공간에 구속되어 상기 마스크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수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
KR1020190138290A 2019-11-01 2019-11-01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 KR102262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290A KR102262526B1 (ko) 2019-11-01 2019-11-01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290A KR102262526B1 (ko) 2019-11-01 2019-11-01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832A true KR20210052832A (ko) 2021-05-11
KR102262526B1 KR102262526B1 (ko) 2021-06-08

Family

ID=75914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290A KR102262526B1 (ko) 2019-11-01 2019-11-01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5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584B1 (ko) 2021-06-22 2023-05-04 구덕회 마스크 착용 시 귀 보호용 보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6570U (ja) * 2007-08-15 2007-11-01 ライオン株式会社 マスクホルダー
KR20140004053U (ko) 2012-12-24 2014-07-02 장지훈 실리콘 귀테를 포함하는 안경
KR20160145522A (ko) 2016-11-30 2016-12-20 김준구 김서림방지와 안경걸이 기능의 마스크
KR20170028685A (ko) * 2015-09-04 2017-03-14 김성일 안경용 기능성 보조기구
KR20190002520U (ko) 2018-03-30 2019-10-10 최윤서 마스크 안경 고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6570B2 (ja) * 1992-04-07 2001-02-19 東洋紡績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系積層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6570U (ja) * 2007-08-15 2007-11-01 ライオン株式会社 マスクホルダー
KR20140004053U (ko) 2012-12-24 2014-07-02 장지훈 실리콘 귀테를 포함하는 안경
KR20170028685A (ko) * 2015-09-04 2017-03-14 김성일 안경용 기능성 보조기구
KR20160145522A (ko) 2016-11-30 2016-12-20 김준구 김서림방지와 안경걸이 기능의 마스크
KR20190002520U (ko) 2018-03-30 2019-10-10 최윤서 마스크 안경 고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2526B1 (ko)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99611B2 (ja) 補助アイウェアを取り付ける方法および装置
US9989781B2 (en) Eyeglasses with detachable temples and nose grip and method of use
US7029114B2 (en) Eyewear assembly with auxiliary frame and lens assembly
US7237891B2 (en) Eyewear with removable shield
KR20010106155A (ko) 안전 안경
US20130077043A1 (en) Modular Eye Wear System with Multi-Functional Interchangeable Accessories and Method for System Component Selection, Assembly and Use
US105173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eyewear
KR20210052832A (ko)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
JP5451935B1 (ja) 眼鏡
US20180045977A1 (en) Bridgeless glasses
KR102068289B1 (ko) 렌즈 교환형 안경
JP5690907B1 (ja) インナーフレーム付き眼鏡フロント枠
WO2015141404A1 (ja) 眼鏡
CN218213648U (zh) 一种眼镜
US10962800B1 (en) Reconfigurable eyewear system
US6309066B1 (en) Assembled eye-glasses
KR20160068622A (ko) 착용감을 높여 안정감을 주는 안경
CN217902198U (zh) 一种智能眼镜
JP3222198U (ja) 眼鏡ホルダー付き磁気ネックレス
JP3052031U (ja) 簡易メガネ
CN216792613U (zh) 一种可套接墨镜的儿童眼镜
KR20200145468A (ko) 안경착용자와 안경비착용자 모두를 위한 탈부착식 3d 안경
JP3161132U (ja) 前掛け式メガネ
CN117806040A (zh) 头戴设备
US2457938A (en) Ophthalmic mounting with concealed lens-carrying and noseguard-carrying ar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