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606B1 - 사출 성형기의 금형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사출 성형기의 금형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606B1
KR102084606B1 KR1020180086924A KR20180086924A KR102084606B1 KR 102084606 B1 KR102084606 B1 KR 102084606B1 KR 1020180086924 A KR1020180086924 A KR 1020180086924A KR 20180086924 A KR20180086924 A KR 20180086924A KR 102084606 B1 KR102084606 B1 KR 102084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lamping
clamping bar
injection molding
mol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2094A (ko
Inventor
이시욱
김임종
이병화
전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주식회사 미코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주식회사 미코명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80086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606B1/ko
Publication of KR20200012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29C45/641Clamping devices using means for straddling or interconnecting the mould halves, e.g. jaws, straps, la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29C45/68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hydro-mechanical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금형과 가동금형이 형폐된 상태에서 서로 열리는 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열리지 못하게 클램핑하는 경사 클램핑 바 및 구동실린더의 밀림도 방지시킨 사출 성형기의 금형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출 성형기의 금형잠금장치{mold locking device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본 발명은 고정금형과 가동금형이 형폐된 상태에서 서로 열리는 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열리지 못하게 클램핑하는 경사 클램핑 바 및 구동실린더의 밀림도 방지시킨 사출 성형기의 금형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출 성형기의 형체(型締)장치로서 특허문헌 1(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31804호)에 공지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사출 성형기의 형체장치(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금형부(11)를 가지는 고정형판(10)과, 제2금형부(21)를 가지는 가동형판(20)과, 가동형판(20)의 이동을 안내하며 형체실린더(31)에 작용하는 유압에 의해 형체력을 제공하는 안내 바(30)와, 가동형판(20)을 전후진 이송하는 이송실린더(40)를 포함하고, 가동형판(20)에 장착되어 상기 안내 바(30)에 결합하여 형합(型合) 시 가동형판(20)을 록킹하는 잠금너트(5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안내 바(30)는 가동형판(20)의 직선 운동을 안내하고, 안내 바(30)는 고정형판(10)에 설치된 형체실린더(31)로 출입하는 유압시스템(32)의 작동 유압에 의해 전후진 한다.
잠금너트(50)를 통해 가동형판(20)을 록킹하는 종래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잠금너트(50)는, 도 2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형판(20)에 고정되는 하우징(6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잠금너트(50)는 너트실린더(70)에 의해서 안내 바(30)의 반경 방향으로 전/후진하여, 안내 바(30)에 형성된 톱니(35)와 잠금너트(50)에 형성된 톱니(55)에 의해 체결/해제된다.
이와 같은 형체 장치는 고정형판(10)과 가동형판(20)에 구비된 제1,2금형부(11,21)를 형합(型合) 하거나 형개(型開) 하게 된다 종래에 형합이나 형개는 모두 이송실린더(40)에 의해 가동형판(20)을 전후진 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데, 형합 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실린더(70)를 작동하여 잠금너트(50)를 전진시켜 잠금너트(50)의 톱니(55)와 안내 바(30)의 톱니(35)를 맞물린다 안내 바(30)의 톱니(35)와 잠금너트(50)의 톱니(55)는 수직면(35a, 55a)과 경사면(35b, 55b)을 가지고 있으며, 체결 후에는 수직면(35a, 55a)의 한쪽 방향으로만 하중(Fc)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잠금너트(50)와 안내 바(30)가 체결되면 형체실린더(31)는 고압의 작동유를 공급받아 안내 바(30)를 당기게 되고, 그에 따라 안내 바(30)의 톱니(35)의 수직면(35a)이 잠금너트(50)의 톱니(55)의 수직면(55a)을 당기게 되며, 이 힘에 의해 제1, 2금형부(11, 21)가 강하게 형합 되어 금형 안으로 고압의 용융수지가 주입될 때 열리지 않게 된다. 금형 내부로 용융된 수지가 주입되어 성형품이 성형되면 제1금형부(11)와 제2금형부(21)는 성형품에 의해 접합된 상태이므로 금형을 열기 위해서는 이 접합력 이상의 하중을 가해 주어야 하며 이 과정을 고압형개라고 한다.
그러나, 잠금너트(50)와 안내 바(30)는 치형으로 맞물려 있어 미세하지만 간극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출 성형시 압력에 의해 잠금너트(50)가 밀리면서 안내 바(30)도 약간 밀릴 수 있다.
이것은 안내 바(30)가 형체 실린더(31)에 의해 형체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유압이 압축되면서 안내 바(30)도 그만큼 이동해서 금형이 미세하게 열리게 될 우려가 크다.
이러한 미세한 열림은 버 등의 품질 문제, 금형/사출기의 노후도 증가, 높은 형체력 변화에 따른 전력사용량 증가 등의 문제가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소50-10869호)에서는 이러한 밀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사출성형기에서 있어서 금형(9)이 열리는 방향에 대해 잡아주는 ㄷ자 척 플레이트(5)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척 플레이트(5)가 금형(9)의 형폐를 유지시키기 때문에, 사출 시 미세하게 열리는 것을 잡아준다.
그러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척 플레이트(5)의 끝면에 테이퍼면(b)이 형성되어, 금형(9)이 벌어지려고 할 때 미동이 생길 우려가 매우 크다.
또한, 금형(9)을 사출장치(8)로 향해 밀어주는 것이 구동실린더(10)이기 때문에, 노즐(6)을 통해 사출할 때의 압력으로 금형(9)이 뒤로 밀리면서 구동실린더(10)도 밀릴 우려가 크다.
즉, 구동실린더(10)에는 전진 회로와 후진 회로가 각각 설치되어, 전진 회로로 유압을 제공하면 후진 회로는 유압이 배출되는 것으로, 실린더가 작동하지 않을 때라도 외력이 실린더에 가해지면 유압이 압축되어 미세하게나마 밀리게 된다.
이러한 미세 밀림 현상으로 인해 형폐된 금형이 사출 압력에 의해 미세하게 열리면 버 등의 품질문제, 금형, 사출기의 노후도 증가, 높은 형체력 변화에 따른 전력사용량 증가 발생이 생긴다.
특허문헌 1 :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31804호 특허문헌 2 :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소50-1086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출 압력에 의한 금형 미세 형개를 완전 차단한 형체력으로 사출 성형시켜 작업자의 사상 작업을 개선하여 작업 코스트를 현저히 개선한 사출 성형기의 금형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사출 성형기의 금형잠금장치는, 사출 게이트를 갖는 고정금형; 상기 고정금형과 형폐 시 금형 캐비티를 형성시키는 가동금형; 상기 고정금형과 상기 가동금형을 클램핑하는 클램핑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클램핑부재는 상기 고정금형과 상기 가동금형의 열리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가동금형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클램핑용 홈과, 상기 클램핑용 홈에 삽입되는 경사 클램핑 바와, 상기 클램핑용 홈에 대해 상기 경사 클램핑 바를 전후진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고정금형에 고정된 채 상기 액추에이터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경사 클램핑 바에 연결되는 피스톤과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제1,2챔버에 연결되는 제1,2유압라인과, 상기 제1,2유압라인에 설치되는 제1,2파일럿 조작 체크 밸브(Pilot Operated Check Valve)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사출 성형기의 금형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사 클램핑 바는 상기 전후진 방향에 대해 상기 고정금형을 향하게 경사져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사출 성형기의 형체력 유지용 금형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용 홈의 일측면과 상기 경사 클램핑 바의 일측면은 서로 마주하는 수직면이며, 상기 경사 클램핑 바의 수직면에는 상기 클램핑용 홈의 수직면과 접촉하는 교체용 팁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경사 클램핑 바가 금형 형개(열림) 방향에 대해 경사져 배치됨으로써, 금형 형개(열림) 방향과 수직으로 배치된 수직 클램핑 바 보다 경사 클램핑 바가 금형의 형개력에 더 큰 저항으로 버틸 수 있다.
이때, 금형 열림 방향의 힘 기준축과 경사 클램핑 바 잠금방향의 힘 기준축 간에 편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사출 압력 작용 시 금형 열림 힘이 경사 클램핑 바을 밀어 실린더 내 압력 작용에 따른 유압 역류 발생이 생기는 것을 파일럿 조작 체크 밸브(Pilot Operated Check Valve)가 방지시킴으로써, 금형 형폐의 잠금 형체력을 그대로 유지시켜 우수한 사출 제품을 양산한다.
특히, 경사 클램핑 바의 밀림을 최대한 억제시키기 위해 상기 클램핑용 홈과 접촉하는 경사 클램핑 바의 일측면을 수직면으로 하되 교체용 팁이 설치됨으로써, 금형 열림 방향과 경사 클램핑 바의 힘 작용 기준축이 서로 직각으로 이루어 경사 클램핑 바의 밀림을 더욱더 억제시킬 수 있다.
물론, 수직면을 서로 접촉시키기 위해서 마모가 될 수 있지만, 교체용 팁으로 접촉시켜 접촉부분의 파손을 최소화하고,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다.
도 1은 종래의 사출 성형기의 형체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형체장치의 잠금 너트가 잠기고 안내 바에 형체력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
도 3은 도 2에서 안내 바를 형개 방향으로 미는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
도 4 및 도 5는 다른 종래의 사출성형기로서 형폐시 및 형개시 횡단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기의 금형잠금장치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금형 형폐 시 및 금형 형개 시 상태도.
도 8 및 도 9는 경사 클램핑 바가 클램핑용 홈에 삽입(잠금) 또는 비삽입(풀림)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을 이용한 파일럿 조작 체크 밸브의 회로도.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파일럿 조작 체크 밸브의 전후진 작동 설명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되,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종래의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기의 금형잠금장치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금형 형폐 시 및 금형 형개 시 상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경사 클램핑 바가 클램핑용 홈에 삽입(잠금) 또는 비삽입(풀림)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을 이용한 파일럿 조작 체크 밸브의 회로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도 6 및 도 7 상태의 파일럿 조작 체크 밸브 작동 구조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기의 금형잠금장치(100)는 사출 게이트(111)를 갖는 고정금형(110)과, 고정금형(110)과 형폐 시 금형 캐비티(120)를 형성시키는 가동금형(130)과, 고정금형(110)과 가동금형(130)을 클램핑하는 클램핑부재(150)를 포함한다.
고정금형(110)은 사출 게이트(111)로 사출을 하는 사출기(미도시)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금형(130)은 마주보는 고정금형(110)에 대해 직선방향으로 접근해서 형폐 또는 퇴거해서 형개된다.
이러한 고정금형(110)과 가동금형(130)의 수평 배치로 인해, 가동금형(130)은 사출되는 압력에 의해 퇴거되는 방향으로 밀림(미세 열림 또는 형개)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클램핑부재(150)는 가동금형(130)의 외측 상하면에 형성되는 U자 형상의 클램핑용 홈(160)과, 클램핑용 홈(160)에 삽입되는 경사 클램핑 바(170)와, 클램핑용 홈(160)에 대해 경사 클램핑 바(170)를 전후진시키는 액추에이터(180)와, 고정금형(110)에 고정된 채 액추에이터(180)를 지지하는 브라켓(190)을 포함한다.
경사 클램핑 바(170)는 전후진 방향에 대해 하단이 고정금형(110)을 향하게 경사진 것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③축(전후진 방향)에 대해 ②축(경사방향)을 따르게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경사 클램핑 바(170)가 ②축(경사방향)을 따르게 경사진 것은, 단일 클램핑 바(170)가 ③축(전후진 방향) 방향으로 배치된 것보다는 금형의 열림에 대해 더 큰 저항력으로 버티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사 클램핑 바(170)가 경사 배치는 후술되는 구동실린더(181)(183)가 브라켓(190)의 상면을 수평에 대해 아래로 기울인 면에 고정되면 된다.
그러나, 금형열림방향(①)과 잠금방향(②)의 각도에 편차가 있기 때문에, 사출 압력 시 금형이 열리려는 힘(①)에 의해 경사 클램핑 바(170)가 위로 밀릴 우려가 있다. 이러한 밀림 우려를 막아주는 구성이 후술되는 파일럿 조작 체크 밸브(Pilot Operated Check Valve)(C1)(C2)이다.
클램핑용 홈(160)은 금형(110)(130)의 열리거나 닫히는 방향을 축방향(①)이라고 할 때 그 축방향에 대해 직각방향(②)으로 형성되어, 가동금형(130)의 열리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게 된다.
한편, 경사 클램핑 바(170)의 일측면도 클램핑용 홈(160)의 수직면(161)과 서로 마주보게 수직면(171)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경사 클램핑 바(170)의 수직면(171)이 일측면을 클램핑용 홈(160)의 수직면(161)에 접촉하면, 금형이 열리는 ①방향과 수직하게 배향되어, 이러한 경사 클램핑 바(170)의 수직면(171)이 ③축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금형 열림 방향(①축 방향)과 잠금 방향이 동일하여 경사 클램핑 바(170)의 밀림이 없다.
그러나, 수직면(171)이 전후진되면서 수직면(161)에 접촉되면 마모 등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파손을 최소화 하면서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체용 팁(173)이 수직면(171)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수직면(161)에 닿는 교체용 팁(173)의 면도 수직면이다.
교체용 팁(173)은 기계구조용 탄소강의 열처리 및 SUS 재질의 플레이트를 적용하는 게 바람직하다.
액추에이터(180)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 클램핑 바(170)에 연결되는 피스톤(181)과 실린더(183)로 이루어진 구동실린더, 실린더(183)의 제1챔버(185)와 제2챔버(186)에 연결되는 제1,2유압라인(182)(184)과, 제1,2유압라인(182)(184)에 설치되는 제1,2파일럿 조작 체크 밸브(Pilot Operated Check Valve)(C1)(C2)를 포함한다. 물론 구동실린더도 경사 클램핑 바(170)와 같이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파일럿 조작 체크 밸브란 실린더를 동작시키는 유압이 발생할 때에만 반대편의 유압이 빠질 수 있도록 체크 밸브를 오픈한다.(자세한 사항은 미국특허 제6,871,574호 참조)
즉, 도 11과 같이 피스톤(181)이 전진하여 금형 열림을 잠그기 위해서는 제2유압라인(184)을 통해 오일이 제2파일럿 조작 체크밸브(C2)를 통해 제2챔버(186)로 유입된다.
이때, 제2유압라인(184)을 통해 유동되는 오일의 압력이 제1파일럿 조작 체크밸브(C1)와 연결된 통로를 따라 제공(일점쇄선)되어 제1파일럿 조작 체크밸브(C1)를 오픈시켜 제1챔버(185) 내의 오일이 제1유압라인(182)을 통해 빠지게 된다.
피스톤(181)의 전진이 멈추어 오일의 유동 압력이 없어지면, 제1,2챔버(185)(186) 내의 오일은 제1,2파일럿 조작 체크밸브(C1)(C2)에 의해 역류가 방지됨으로써, 피스톤(181)의 밀림이 완전히 방지된다.
반대로, 도 12와 같이 피스톤(181)이 후진하여 잠금을 풀기 위해서는 제1유압라인(182)을 통해 오일이 제1파일럿 조작 체크밸브(C1)를 통해 제1챔버(185)로 유입된다.
이때, 제1유압라인(182)을 통해 유동되는 오일의 압력이 제2파일럿 조작 체크밸브(C2)와 연결된 통로를 따라 제공(일점쇄선)되어 제2파일럿 조작 체크밸브(C2)를 오픈시켜 제2챔버(186) 내의 오일이 제2유압라인(184)을 통해 빠지게 된다.
피스톤(181)의 후진이 멈추어 오일의 유동 압력이 없어지면, 제1,2챔버(185)(186) 내의 오일은 제1,2파일럿 조작 체크밸브(C1)(C2)에 의해 역류가 방지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경사 클램핑 바와 파일럿 조작 체크 밸브를 적용함으로써, 금형 간의 미세 열림(밀림)이 전혀 없이 형폐력을 그대로 유지시킨 상태로 사출 성형하기 때문에, 금형 및 사출기의 노후도 저감, 전기료 절감 및 사출 품질 안정화에 크게 기여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100 : 사출 성형기의 금형잠금장치
110 : 고정금형 111 : 사출 게이트
120 : 금형 캐비티 130 : 가동금형
150 : 클램핑부재 160 : 클램핑용 홈
170 : 경사 클램핑 바 173 : 교체용 팁
180 : 액추에이터 181 : 피스톤
183 : 실린더 190 : 브라켓
C1,C2 ; 제1,2파일럿 조작 체크 밸브(Pilot Operated Check Valve)

Claims (3)

  1. 사출 게이트(111)를 갖는 고정금형(110)과, 고정금형(110)과 형폐 시 금형 캐비티(120)를 형성시키는 가동금형(130)과, 고정금형(110)과 가동금형(130)을 클램핑하는 클램핑부재(150)를 포함하되,
    클램핑부재(150)는 가동금형(130)의 외측 상하면에 형성되는 U자 형상의 클램핑용 홈(160)과, 클램핑용 홈(160)에 삽입되는 경사 클램핑 바(170)와, 클램핑용 홈(160)에 대해 경사 클램핑 바(170)를 전후진시키는 액추에이터(180)와, 고정금형(110)에 고정된 채 액추에이터(180)를 지지하는 브라켓(190)을 포함하고,
    액추에이터(180)는 경사 클램핑 바(170)에 연결되는 피스톤(181)과 실린더(183), 실린더(183)의 제1챔버(185)와 제2챔버(186)에 연결되는 제1,2유압라인(182)(184), 제1,2유압라인(182)(184)에 설치되는 제1,2파일럿 조작 체크 밸브(Pilot Operated Check Valve)(C1)(C2)를 포함하되,
    경사 클램핑 바(170)는 상기 전후진시키는 방향에 대해 하단이 고정금형(110)을 향하게 경사지고,
    경사 클램핑 바(170)의 일측면은 클램핑용 홈(160)의 수직면(161)과 서로 마주보게 수직면(171)으로 형성되고,
    경사 클램핑 바(170)의 수직면(171)에는 클램핑용 홈(160)의 수직면(161)과접촉하는 교체용 팁(173)이 설치되는 사출 성형기의 금형잠금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80086924A 2018-07-26 2018-07-26 사출 성형기의 금형잠금장치 KR102084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924A KR102084606B1 (ko) 2018-07-26 2018-07-26 사출 성형기의 금형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924A KR102084606B1 (ko) 2018-07-26 2018-07-26 사출 성형기의 금형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094A KR20200012094A (ko) 2020-02-05
KR102084606B1 true KR102084606B1 (ko) 2020-03-04

Family

ID=69514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924A KR102084606B1 (ko) 2018-07-26 2018-07-26 사출 성형기의 금형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6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1236B1 (ko) * 1997-06-19 1999-06-15 조욱형 금형고정 파지장치
JP3197926B2 (ja) * 1992-01-13 2001-08-13 株式会社リコー 射出成形機
KR100969350B1 (ko) 2010-01-12 2010-07-09 현성정밀 주식회사 부선의 포스트 클램핑장치
KR101153439B1 (ko) 2012-01-03 2012-06-07 김영진 사출성형기의 형체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0451A (en) 1973-04-30 1975-03-11 Beloit Corp Apparatus for extruding foamed thermoplastic material
JPH0715315U (ja) * 1993-08-26 1995-03-14 エスアー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くさび式クランプ装置
KR19980032290U (ko) * 1996-12-02 1998-09-05 조정제 웨이지 롤러 클램프
KR100931804B1 (ko) 2008-02-27 2009-12-1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사출 성형기의 형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7926B2 (ja) * 1992-01-13 2001-08-13 株式会社リコー 射出成形機
KR100201236B1 (ko) * 1997-06-19 1999-06-15 조욱형 금형고정 파지장치
KR100969350B1 (ko) 2010-01-12 2010-07-09 현성정밀 주식회사 부선의 포스트 클램핑장치
KR101153439B1 (ko) 2012-01-03 2012-06-07 김영진 사출성형기의 형체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094A (ko)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2663B2 (en) Injection molding valve gate system and activating mechanism
US6440351B1 (en) Molding die drive unit, molding unit and molding method
CA2673694C (en) Molding-system clamp
KR100836463B1 (ko) 금속 재료 사출성형 기계용 개선된 주입 노즐
US7670536B2 (en) Molding-system clamp
KR100931804B1 (ko) 사출 성형기의 형체 장치
KR102084606B1 (ko) 사출 성형기의 금형잠금장치
KR102085009B1 (ko) 사출 성형기의 금형잠금장치
JP5567066B2 (ja) 射出成形機
JP7132876B2 (ja) 射出装置及び成形機
US9731442B2 (en) Mold clamping apparatus
KR102084607B1 (ko) 사출 성형기의 금형잠금장치
US9403308B2 (en) Molding tool for producing a component in a gas-assisted injection molding process
EP2150389B1 (en) Molding system having clamp actuator having actuator mount
KR101568568B1 (ko) 가변 형체력을 가지는 사출성형기의 형체장치
US5674541A (en) Mold closing unit
US9254522B2 (en) Mold clamping device
JP5311384B2 (ja) 射出成形機および射出成形機の制御方法
KR102245871B1 (ko) 분리효율이 향상된 고정측 유압 슬라이드 작동기를 가진 사출금형
JP2870630B2 (ja) 成形装置
KR20170010453A (ko) 금형의 잠금 조절장치
JP6400058B2 (ja) ロータリ式射出成形機
JPH10296809A (ja) 射出成形機等の複合型締装置
CN113165241B (zh) 用于注塑机的合模单元和用于锁定传力元件的方法
KR101559234B1 (ko) 사출성형기의 가변속도 하프 너트 체결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