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403B1 - Wiring duct, plug device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 Google Patents

Wiring duct, plug device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403B1
KR102084403B1 KR1020180113121A KR20180113121A KR102084403B1 KR 102084403 B1 KR102084403 B1 KR 102084403B1 KR 1020180113121 A KR1020180113121 A KR 1020180113121A KR 20180113121 A KR20180113121 A KR 20180113121A KR 102084403 B1 KR102084403 B1 KR 102084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
terminal
wiring duct
plug device
earth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1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38352A (en
Inventor
아키라 와타나베
에이키 다바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8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3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4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1/00Non-rotary current collectors for maintaining contact between moving and stationary parts of an electr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Patch Board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배선 덕트와 플러그 장치를 접속함에 있어서, 급전용의 배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전에 어스용의 배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용이한 배선 덕트, 플러그 장치 및 배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에서는, 배선 덕트(100)는, 도전성을 갖는 중공의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4)에 있어서 프레임(10)에 유지되어 있는 하우징(20)과, 내부 공간(14)에 있어서 하우징(20)에 유지되어 있는 급전용 도체(30)를 구비한다. 프레임(10)은, 프레임(10)의 외면의 일부에 어스 단자(11)를 갖는다.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wiring duct, a plug device, and a power distribution system in which the wiring for earth is easily connected before the wiring for power supply is electrically connected in connecting the wiring duct and the plug device.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wiring duct 100 includes a hollow frame 10 having electrical conductivity, a housing 20 held in the frame 10 in the internal space 14 of the frame 10, and an internal space. In 14, the power supply conductor 30 held by the housing 20 is provided. The frame 10 has an earth terminal 11 on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0.

Description

배선 덕트, 플러그 장치 및 배전 시스템{WIRING DUCT, PLUG DEVICE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Wiring Ducts, Plug Units,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s {WIRING DUCT, PLUG DEVICE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배선 덕트, 플러그 장치 및 배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상세하게는 전력의 공급 경로를 구성하는 배선 덕트, 배선 덕트에 접속되는 플러그 장치, 및 배선 덕트 및 플러그 장치를 구비하는 배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is disclosure relates generally to a wiring duct, a plug apparatus, and a power distribution system. Specifically, the wiring duct which comprises a power supply path, the plug apparatus connected to a wiring duct, and a power distribution system provided with a wiring duct and a plug apparatus. It is about.

종래, 전력의 공급 경로를 구성하는 배선 덕트에 있어서의 임의의 위치에 플러그 장치를 설치하고, 배선 덕트 및 플러그 장치를 거쳐서 전기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전 시스템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배전 시스템은, 예컨대 공장, 데이터 센터라고 하는 다수의 전기 기기가 사용되는 시설에 설치된다.Conventionally, there exists a distribution system which installs a plug apparatus in the arbitrary position in the wiring duct which comprises a power supply path, and supplies electric power to an electrical device via a wiring duct and a plug apparatus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is installed in a facility where a large number of electrical equipment, such as a factory or data center, is used.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14-225353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4-225353

본 개시는, 배선 덕트와 플러그 장치를 접속함에 있어서, 급전용의 배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전에 어스용의 배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용이한 배선 덕트, 플러그 장치 및 배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wiring duct, a plug device, and a power distribution system in which the wiring for earth is easily connected before the wiring for power supply is electrically connected in connecting the wiring duct and the plug device. do.

본 개시의 일 태양과 관련되는 배선 덕트는 도전성을 갖는 중공(中空)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유지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내부 공간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어 있는 급전용 도체를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외면의 일부에 어스 단자를 갖는다.A wiring duc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hollow frame having conductivity, a housing held in the frame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frame, and a grade held in the housing in the internal space. It has a dedicated conductor. The frame has an earth terminal on a part of an outer surface of the frame.

본 개시의 일 태양과 관련되는 플러그 장치는, 배선 덕트에 접속되는 플러그 장치이고, 상기 배선 덕트에 접속되는 상태에서 상기 배선 덕트의 외면의 일부에 대향하는 면과, 상기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어스 접속 단자를 구비한다.A plu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plug device connected to a wiring duct, and faces a part of an outer surface of the wiring duct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wiring duct, and an earth connection terminal protruding from the surface. It is provided.

본 개시의 일 태양과 관련되는 배전 시스템은, 상기의 배선 덕트와, 상기의 플러그 장치를 구비한다.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the wiring duct and the plug device.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배선 덕트 및 플러그 장치를 구비하는 배전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의 배전 시스템에 있어서의 배선 덕트에 플러그 장치를 접속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의 배전 시스템에 있어서의 배선 덕트에 플러그 장치를 접속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의 배전 시스템에 있어서의 플러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의 플러그 장치에 있어서의 천판, 어스판 및 어스 접속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의 플러그 장치에 있어서의 어스 접속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는 상기의 플러그 장치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상기의 플러그 장치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wer distribution system including a wiring duct and a plu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process of connecting a plug apparatus to the wiring duct in said power distribution system.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ep of connecting a plug device to a wiring duct in the above power distribution system.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ug device in the above power distribution system.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top plate, earth plate, and earth connection terminal in said plug apparatus.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in said plug apparatus.
7A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plug device.
7B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plug device.

우선 본 개시의 완성에 도달한 경위의 개략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the outline of the process which reached completion of this indication is demonstrated.

배선 덕트와 플러그 장치를 접속하는 경우, 그것에 의해 급전용의 배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뿐만 아니라, 어스용의 배선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경우가 있다.When connecting a wiring duct and a plug device, not only the electrical wiring for electric power supply is connected by this, but also the wiring for earth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배선 덕트에 플러그 장치를 접속함에 있어서, 급전용의 배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후에 어스용의 배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단시간이기는 하지만, 어스용의 배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급전용의 배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상태가 발생한다. 최근의 안전 기준의 엄격화를 감안하면, 비록 단시간이더라도 어스용의 배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In connecting the plug device to the wiring duct, if the wiring for the earth is electrically connected after the wiring for the power supply is electrically connected, although the wiring for the earth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for a short time, The state in which the wiring of is electrically connected occurs. In view of stringent safety standards in recent years, it is preferable that even a short time does not occur a state in which the earth wiring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그래서, 본 개시는, 배선 덕트와 플러그 장치를 접속함에 있어서, 급전용의 배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전에 어스용의 배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용이한 배선 덕트, 플러그 장치 및 배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Thus,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wiring duct, a plug device, and a power distribution system in which the wiring for earth is easily connected before the wiring for power supply is electrically connected in connecting the wiring duct and the plug device. It is a task.

본 개시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배선 덕트(100), 플러그 장치(200) 및 배전 시스템(300)에 대하여 도 1~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wiring duct 100, the plug device 200, and 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300 which concern on embodiment of this indication are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S.

배선 덕트(100) 및 플러그 장치(200)를 구비하는 배전 시스템(300)은, 예컨대 시설에 있어서의 전기 기기 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이용된다. 배선 덕트(100)는 예컨대 시설 내에 설치되어, 전력의 공급 경로를 구성한다. 배선 덕트(100)에 있어서의 적당한 위치에, 전기 기기 등에 이어진 플러그 장치(200)를 접속함으로써, 배선 덕트(100) 및 플러그 장치(200)를 거쳐서 전기 기기 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전 시스템(300)은, 예컨대 공장, 데이터 센터라고 하는 다수의 전기 기기가 사용되는 시설에 설치된다.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300 including the wiring duct 100 and the plug device 200 is used to supply electric power to, for example, an electric device in a facility. The wiring duct 100 is installed in a facility, for example, and constitutes a power supply path. By connecting the plug device 200 connected to an electrical device or the like at an appropriate position in the wiring duct 100,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electrical device or the like via the wiring duct 100 and the plug device 200. 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300 is installed in a facility where a large number of electrical equipment, such as a factory or data center, is used.

도 1에 나타내는 배전 시스템(300)에서는, 배선 덕트(100)는, 긴 형상이고, 그 긴 쪽 방향이 수평면을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배선 덕트(100)의 아래쪽을 향하는 면에 플러그 장치(200)가 접속되어 있다. 또, 플러그 장치(200)는, 배선 덕트(100)의 위쪽을 향하는 면 등에 접속되더라도 좋다. 또한, 배선 덕트(100)는, 그 긴 쪽 방향이 연직 방향을 따르는 등의 다양한 자세로 설치되더라도 좋다.In 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300 shown in FIG. 1, the wiring duct 100 is elongate and is provided so that the long direction may follow a horizontal plane. The plug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surface of the wiring duct 100 facing downward. In addition, the plug device 200 may be connected to a surface facing upward of the wiring duct 100 or the like. In addition, the wiring duct 100 may be provided in various postures, such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perpendicular direction.

이하의 설명에서는, 배전 시스템(300)이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의,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인(직교하는)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고,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아래쪽을 "아래쪽", 위쪽을 "위쪽"으로 한다. 또한, 배선 덕트(100)의 긴 쪽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고,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양쪽과 직교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한다. 또한, 전후 방향에 있어서, 후술하는 접속부(82)에 대하여 어스 접속 단자(50)가 있는 쪽을 "뒤쪽", "뒤쪽"과는 반대쪽을 "앞쪽"으로 한다. 또한, 좌우 방향에 있어서, 배전 시스템(300)을 정면으로부터 볼 때 왼쪽을 "왼쪽", 오른쪽을 "오른쪽"으로 한다. 도면 중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위쪽" 및 "아래쪽",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앞쪽" 및 "뒤쪽", 및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왼쪽" 및 "오른쪽"을 각각 나타내는 화살표는 설명을 위해 표기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고, 실체를 수반하지 않는다. 이들 방향은 배전 시스템(300)의 설치 상태를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orthogonal)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in the state where 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300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1 is referred to as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downwar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downward" ", The upper side is" upward. " In addi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ring duct 100 is made into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rthogonal to both the "up-down direction" and "left-right direction" is made into the "front-back direc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side where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is locat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ortion 82 to be described later is referred to as "back" and the opposite side to "back" as "fro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left side is "left" and the right side is "right" when 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300 is viewed from the front. "Up" and "Dow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n the drawings, "front" and "back" in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respectively, are shown. Arrows are merely for explanatory purposes and do not involve an entity. These direction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300.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특정한 방향(예컨대 접속부(82)의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및 방면이란, 특정한 방향에 대하여 엄밀하게 90°를 이루는 방향 및 방면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기술 상식에 비추어, 본 실시 형태가 소기의 작용을 발휘하는 한, 90°를 이루는 방향 및 방면과 동일시할 수 있는 방향 및 방면도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irection and direction orthogonal to a specific direction (for example, the projecting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82) do not mean only the direction and direction which exactly make 90 degree with respect to a specific direction, In light of technical common sense. As long as this embodiment exerts the desired effect, the direction and direction which can be identified with the direction and direction which make 90 degrees are also included.

이하, 배선 덕트(100)에 있어서의 어스용의 도체와 플러그 장치(200)에 있어서의 어스용의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어스 접속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하, 배선 덕트(100)에 있어서의 급전용의 도체와 플러그 장치(200)에 있어서의 급전용의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급전 접속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Hereinafter,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earth conductors in the wiring duct 100 and the earth conductors in the plug device 200 may be referred to as earth connection. In addition,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conductor for electric power feeding in the wiring duct 100 and the conductor for electric power feeding in the plug apparatus 200 may be called power supply connection below.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 덕트(100)는, 도전성을 갖는 중공의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4)에 있어서 프레임(10)에 유지되어 있는 하우징(20)과, 내부 공간(14)에 있어서 하우징(20)에 유지되어 있는 급전용 도체(30)를 구비한다. 프레임(10)은, 프레임(10)의 외면의 일부에 어스 단자(11)를 갖는다.As shown in FIGS. 1-3, the wiring duct 100 is a housing | casing which is hold | maintained in the frame 10 in the hollow frame 10 which has electroconductivity, and the internal space 14 of this frame 10. FIG. And a power feeding conductor 30 held in the housing 20 in the internal space 14. The frame 10 has an earth terminal 11 on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0.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배선 덕트(100)에는, 플러그 장치와 접속되는 경우, 프레임(10)의 외면에 있어서 어스 단자(11)와 플러그 장치에 있어서의 어스용의 도체의 사이에서 어스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배선 덕트(100)와 플러그 장치의 사이의 급전 접속의 전에 양자 사이의 어스 접속을 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 배선 덕트(100)에 접속되는 플러그 장치는,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플러그 장치(200)이더라도 좋고, 그 이외의 플러그 장치이더라도 좋다.In the wiring duct 100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when connected with a plug apparatus, earth connection is possible between the earth terminal 11 and the earth conductor in the plug apparatus in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0. Done. Therefore, it is easy to make the earth connection between both before the power supply connection between the wiring duct 100 and a plug device. In addition, the plug device connected to the wiring duct 100 may be the plu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r a plug device other than that.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플러그 장치(200)는, 배선 덕트에 접속된다. 도 2~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장치(200)는, 배선 덕트에 접속되는 상태에서 배선 덕트의 외면의 일부에 대향하는 면(52)과, 이 면(52)으로부터 돌출하는 어스 접속 단자(50)를 구비한다. 어스 접속 단자(50)는, 플러그 장치(200)에 있어서의 어스용의 도체이다.The plu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to a wiring duct. As shown in FIGS. 2-4, the plug apparatus 200 has the surface 52 which opposes a part of outer surface of a wiring duct, and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which protrudes from this surface 52 in the state connected to the wiring duct. 50 is provided.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is a conductor for earth in the plug device 200.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플러그 장치(200)에는, 배선 덕트와 접속되는 경우, 배선 덕트의 외면에 있어서 어스 접속 단자(50)와 배선 덕트에 있어서의 어스용의 도체의 사이의 어스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배선 덕트와 플러그 장치(200)의 사이의 급전 접속의 전에 양자 사이의 어스 접속을 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 플러그 장치(200)에 접속되는 배선 덕트는,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배선 덕트(100)이더라도 좋고, 그 이외의 배선 덕트이더라도 좋다.When connected to the wiring duct, the plu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nables earth connection between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and the earth conductor in the wiring duc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iring duct. do. Therefore, it is easy to make the earth connection between both before the power supply connection between the wiring duct and the plug device 200. In addition, the wiring duct connected to the plug apparatus 200 may be the wiring duct 100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and may be other wiring ducts.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배전 시스템(300)은,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의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배선 덕트(100)와, 상기의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플러그 장치(200)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S. 1-3, 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300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the wiring duct 100 which concerns on said this embodiment, and the plug device 200 which concerns on said this embodiment. ).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배전 시스템(300)에는, 배선 덕트(100)와 플러그 장치(200)가 접속되는 경우, 플러그 장치(200)의 어스 접속 단자(50)와 프레임(10)의 외면에 있어서의 어스 단자(11)를 접촉시켜 어스 접속을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 때문에, 배선 덕트(100)와 플러그 장치(200)의 사이의 급전 접속의 전에 양자 사이의 어스 접속을 하는 것이 용이하다.When the wiring duct 100 and the plug device 200 are connected to 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0 of the plug device 20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arth connection can be made by contacting the earth terminal 11. Therefore, it is easy to make the earth connection between both before the power supply connection between the wiring duct 100 and the plug device 200.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배선 덕트(100), 플러그 장치(200) 및 배전 시스템(300)의 구성에 대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하에 설명하는 배선 덕트(100), 플러그 장치(200) 및 배전 시스템(300)에 있어서의 배전 방식은 단상 3선식 배전 방식이지만, 예컨대 3상 3선식 배전 방식이더라도 좋고, 3상 4선식 배전 방식이더라도 좋다. 배선 덕트(100), 플러그 장치(200) 및 배전 시스템(300)에는, 배전 방식에 따른 적당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The structure of the wiring duct 100, plug device 200,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300 which concern on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in more detail. In addition, although the distribution system in the wiring duct 100, the plug apparatus 200, and the distribution system 300 demonstrated below is a single-phase three-wire distribution system, it may be a three-phase three-wire distribution system, for example, and a three-phase four-wire system It may be a power distribution system. The wiring duct 100, the plug device 200, and 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300 can be appropriately modified according to 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우선,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배선 덕트(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 덕트(100)는, 상기와 같이, 프레임(10), 프레임(10)에 유지되어 있는 하우징(20), 및 하우징(20)에 유지되어 있는 급전용 도체(30)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선 덕트(100)는, 또한 피복부(40)도 구비한다.First, the wiring duct 100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As shown in FIGS. 1-3, the wiring duct 100 is supplied to the frame 10, the housing | casing 20 hold | maintained in the frame 10, and the power supply hold | maintained in the housing 20 as mentioned above. The conductor 30 is provid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ring duct 100 further includes a covering part 40.

프레임(10)은, 도전성을 갖는다. 프레임(10)은, 예컨대 금속제이다. 프레임(10)은 길이를 갖는다. 즉, 프레임(10)은 긴 형상이다. 프레임(10)의 긴 쪽 방향은 좌우 방향에 일치한다. 또한, 프레임(10)은, 통 형상이고, 통의 축은 좌우 방향을 따르고 있다. 프레임(10)은,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4)과 프레임(10)의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접속구(12)를 더 갖는다. 접속구(12)는, 프레임(10)의 외면에 있어서의 아래쪽을 향하는 면에 있고, 외부 공간을 향해서 아래쪽으로 개구한다. 이 때문에, 접속구(12)의 개구 방향은, 상하 방향과 일치한다. 접속구(12)는, 좌우 방향을 따른 슬릿 형상이다. 또, 접속구(12)의 개구 방향이란, 접속구(12)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다.The frame 10 is conductive. The frame 10 is made of metal, for example. Frame 10 has a length. In other words, the frame 10 is elongate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 corresponds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addition, the frame 10 is cylindrical and the axis of the cylinder is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 The frame 10 further has a connector 12 that connects the internal space 14 of the frame 10 and the external space of the frame 10. The connector 12 is located on the surface facing downwar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0 and opens downward toward the external space. For this reaso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 12 corresponds with an up-down direction. The connection port 12 is a slit shape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 In additio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 12 i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nection port 12.

하우징(20)은, 전기 절연성을 갖는다. 하우징(20)은, 예컨대 합성수지제이다. 하우징(20)은, 프레임(10)의 내면을 덮고 있다. 하우징(20)은, 제 1 유지부(21), 제 2 유지부(22) 및 제 3 유지부(23)를 갖는다. 제 1 유지부(21)는 접속구(12)의 위쪽의, 접속구(12)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다. 제 2 유지부(22) 및 제 3 유지부(23)는, 접속구(12)와 제 1 유지부(21)의 사이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하고 있다.The housing 20 has electrical insulation. The housing 20 is made of synthetic resin, for example. The housing 20 covers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10. The housing 20 has a first holding part 21, a second holding part 22, and a third holding part 23. The 1st holding part 21 is in the position which opposes the connection port 12 above the connection port 12. As shown in FIG. The 2nd holding part 22 and the 3rd holding part 23 are located side by side in the front-back dir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tool 12 and the 1st holding part 21. As shown in FIG.

제 1 유지부(21), 제 2 유지부(22) 및 제 3 유지부(23)의 각각은, 급전용 도체(30)를 유지하고 있다. 이하, 제 1 유지부(21)가 유지하는 급전용 도체(30), 제 2 유지부(22)가 유지하는 급전용 도체(30), 및 제 3 유지부(23)가 유지하는 급전용 도체(30)를, 각각 제 1 급전용 도체(31), 제 2 급전용 도체(32) 및 제 3 급전용 도체(33)라고 한다. 급전용 도체(30)는, 도전성을 갖는다. 급전용 도체(30)는, 예컨대 금속제이다. 급전용 도체(30)는, 좌우 방향을 따른 길이를 갖는 봉 형상이다. 제 1 급전용 도체(31), 제 2 급전용 도체(32) 및 제 3 급전용 도체(33)는, 각각 제 1 유지부(21), 제 2 유지부(22) 및 제 3 유지부(23)에 삽입됨으로써, 유지되어 있다. 제 1 급전용 도체(31)는 예컨대 단상 3선 배선의 S극이고, 제 2 급전용 도체(32) 및 제 3 급전용 도체(33)는 각각 예컨대 단상 3선 배선에 있어서의 R극 및 T극이다.Each of the 1st holding part 21, the 2nd holding part 22, and the 3rd holding part 23 hold | maintains the conductor 30 for electric power feeding. Hereinafter, the power feeding conductor 30 held by the first holding part 21, the power feeding conductor 30 held by the second holding part 22, and the power feeding conductor held by the third holding part 23 are described below. The 30 is called the 1st power supply conductor 31, the 2nd power supply conductor 32, and the 3rd power supply conductor 33, respectively. The electric power feeding conductor 30 has electroconductivity. The power supply conductor 30 is made of metal, for example. The conductor 30 for electric power feeding is a rod shape which has the length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 The first power supply conductor 31, the second power supply conductor 32, and the third power supply conductor 33 each include a first holding part 21, a second holding part 22, and a third holding part ( It is held by being inserted into 23). The first power supply conductor 31 is, for example, an S pole of single-phase three-wire wiring, and the second power supply conductor 32 and the third power supply conductor 33 are each an R pole and a T, for example, in single-phase three-wire wiring. It is a pole.

제 1 유지부(21)는, 제 1 급전용 도체(31)를 노출시키는 제 1 통공(通孔)(24)을 갖는다. 제 1 통공(24)은,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4)을 향해서 아래쪽으로 개구하고 있고, 접속구(12)와 대향하고 있다. 제 2 유지부(22)는 제 2 급전용 도체(32)로 통하는 제 2 통공(25)을 갖고, 제 3 유지부(23)는 제 3 급전용 도체(33)로 통하는 제 3 통공(26)을 갖는다. 제 2 통공(25) 및 제 3 통공(26)은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4)을 향해서 각각 앞쪽 및 뒤쪽으로 개구하고 있고, 서로 대향하고 있다.The 1st holding part 21 has the 1st through-hole 24 which exposes the conductor 31 for 1st electric power feeding. The first through hole 24 opens downward toward the internal space 14 of the frame 10 and faces the connection port 12. The second holding portion 22 has a second through hole 25 that leads to the second feeding conductor 32, and the third holding portion 23 has a third through hole 26 that leads to the third feeding conductor 33. Has The second through holes 25 and the third through holes 26 open to the front and the rear toward the internal space 14 of the frame 10, respectively, and face each other.

피복부(40)는, 프레임(10)의 외면을 덮고 있다. 피복부(40)는, 전기 절연성을 갖고, 예컨대 합성수지제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복부(40)와 하우징(20)은 연속하여 하나의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피복부(40)와 하우징(20)으로 구성되어 있는 부재에 프레임(10)이 삽입되어 있다고도 말할 수 있다. 프레임(10)이 피복부(40)와 하우징(20)으로 구성되어 있는 부재로 덮여 있다고도 말할 수 있다.The coating part 40 covers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0. The coating part 40 has electrical insulation, for example, is made of synthetic resin. In this embodiment, the covering part 40 and the housing 20 comprise one member continuously. It can also be said that the frame 10 is inserted in the member which consists of the coating | coated part 40 and the housing 20. FIG. It can also be said that the frame 10 is covered with a member composed of the covering part 40 and the housing 20.

프레임(10)은, 그 외면의 일부에 어스 단자(11)를 갖는다. 어스 단자(11)는, 프레임(10)의 긴 쪽 방향을 따른(즉, 좌우 방향을 따른) 띠 형상이다. 피복부(40)는, 어스 단자(11)를 노출시키는 노출구(41)를 갖는다. 노출구(41)는, 어스 단자(11)와 마찬가지로, 프레임(10)의 긴 쪽 방향을 따른 띠 형상이다. 프레임(10)의 외면에 있어서의, 노출구(41)에서 노출되는 부분이, 어스 단자(11)라고도 말할 수 있다.The frame 10 has an earth terminal 11 on a part of its outer surface. The earth terminal 11 has a band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 (that is,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covering part 40 has the exposure opening 41 which exposes the earth terminal 11. The exposure port 41 is a strip | belt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 similarly to the earth terminal 11. The part exposed by the exposure opening 41 in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0 can also be called the earth terminal 11.

프레임(10)은, 그 내면의 일부에 제 2 어스 단자(13)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임(10)은 내부 공간(14)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고, 이 돌출부에 있어서의 내부 공간(14)으로 노출되는 면이 제 2 어스 단자(13)이다. 이 때문에, 제 2 어스 단자(13)는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4)을 향해서 돌출하고 있다. 또, 돌출부는, 프레임(10)의 일부가 굴곡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지만, 그 이외의 구성이더라도, 제 2 어스 단자(13)가 내부 공간(14)으로 돌출하는 형상이면 된다. 제 2 어스 단자(13)는, 제 2 어스 단자(13)가 돌출하는 방면과는 반대 방면으로부터 보면, 프레임(10)의 긴 쪽 방향을 따른 띠 형상이다. 하우징(20)은, 제 2 어스 단자(13)를 노출시키는 제 2 노출구(27)를 갖는다. 제 2 노출구(27)는, 제 2 어스 단자(13)와 마찬가지로, 프레임(10)의 긴 쪽 방향을 따른(즉, 좌우 방향을 따른) 띠 형상이다. 제 2 어스 단자(13)는, 제 2 노출구(27)를 통해서, 하우징(20)의 내면보다도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4)으로 돌출하고 있다. 프레임(10)의 내면에 있어서의, 제 2 노출구(27)에서 노출되는 부분이, 제 2 어스 단자(13)라고도 말할 수 있다.The frame 10 has a second earth terminal 13 on a part of its inner surface. In this embodiment, the frame 10 has a protrusion which protrudes toward the internal space 14, and the surface exposed to the internal space 14 in this protrusion is the second earth terminal 13. For this reason, the second earth terminal 13 protrudes toward the internal space 14 of the frame 10. The protruding portion may be formed by bending a part of the frame 10. However, the protruding portion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second earth terminal 13 protrudes into the internal space 14 even in other configurations. The second earth terminal 13 has a band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 when viewed from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earth terminal 13 protrudes. The housing 20 has a second exposure port 27 exposing the second earth terminal 13. Similar to the second earth terminal 13, the second exposure port 27 has a band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 (that is,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second earth terminal 13 protrudes into the internal space 14 of the frame 10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0 through the second exposure port 27. The part exposed by the 2nd exposure opening 27 in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10 can also be called the 2nd earth terminal 13.

어스 단자(11)는 아래쪽을 향하고 있고, 즉 접속구(12)의 외부 공간으로 개구하는 방면과 동일한 방면을 향하고 있다. 또한, 제 2 어스 단자(13)는 위쪽을 향하고 있고(즉 위쪽으로 돌출하고 있고), 즉 접속구(12)의 외부 공간으로 개구하는 방면과는 반대 방면을 향하고 있다. 어스 단자(11)와 접속구(12)는, 뒤쪽으로부터 앞쪽으로, 즉 프레임(10)의 긴 쪽 방향 및 접속구(12)의 개구 방향의 양쪽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늘어서 있다. 이 때문에, 배선 덕트(100)에 플러그 장치를 접속할 때에, 접속구(12)를 통해서 급전 접속을 발생시키고, 또한 어스 단자(11)를 이용하여 어스 접속을 발생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어스 단자(11)는 접속구(12)의 뒤쪽에 위치하고, 제 2 어스 단자(13)는 접속구(12)의 앞쪽에 위치한다. 즉, 어스 단자(11), 접속구(12) 및 제 2 어스 단자(13)는, 이 순서로, 프레임(10)의 긴 쪽 방향 및 접속구(12)의 개구 방향의 양쪽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늘어서 있다.The earth terminal 11 faces downward, that is, faces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of opening to the outer space of the connection port 12. In addition, the second earth terminal 13 faces upwards (that is, protrudes upwards), that is, faces toward the opposite side to the openings into the outer space of the connector 12. The earth terminal 11 and the connection port 12 are arranged from the rear side to the front side, that is, along the direction orthogonal to bo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 and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 12. For this reason, when connecting a plug device to the wiring duct 100, it is easy to generate a power supply connection through the connection port 12, and to generate the earth connection using the earth terminal 11 further. In addition, the earth terminal 11 is located behind the connector 12, and the second earth terminal 13 is located in front of the connector 12. That is, the earth terminal 11, the connection port 12, and the 2nd earth terminal 13 are in this order along the direction orthogonal to bo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 and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 12. Lined up.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프레임(10)은 상기와 같이 제 2 어스 단자(13)를 갖지만, 프레임(10)은 제 2 어스 단자(13)를 갖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프레임(10)은 상기와 같이 어스 단자(11)를 접속구(12)에 대하여 뒤쪽의 위치에만 갖는다. 그러나, 프레임(10)은, 접속구(12)에 대하여 프레임(10)의 뒤쪽의 위치와 앞쪽의 위치의 각각에, 어스 단자(11)를 갖더라도 좋다.In addition, although the frame 10 in this embodiment has the 2nd earth terminal 13 as mentioned above, the frame 10 does not need to have the 2nd earth terminal 13. In addition, the frame 10 in this embodiment has the earth terminal 11 only in the back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port 12 as mentioned above. However, the frame 10 may have an earth terminal 11 at each of the position at the rear of the frame 10 and the position at the front of the frame 12.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플러그 장치(200)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plu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2~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장치(200)는, 배선 덕트에 접속되는 상태에서 배선 덕트의 외면의 일부에 대향하는 면(52)(이하, 대향면(52)이라고 한다)과, 이 대향면(52)으로부터 돌출하는 어스 접속 단자(50)를 구비한다. 플러그 장치(200)는, 급전 단자(70)를 더 구비한다. 어스 접속 단자(50)는, 플러그 장치(200)가 배선 덕트에 접속되면, 배선 덕트에 있어서의 어스용의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어스 접속을 발생시킨다. 급전 단자(70)는, 플러그 장치(200)가 배선 덕트에 접속되면, 배선 덕트에 있어서의 급전용의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급전 접속을 발생시킨다. 플러그 장치(200)에는, 케이블(400)이 접속되어 있다. 케이블(400)은, 어스 접속 단자(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어스선, 및 급전 단자(7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전선을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 장치(200)는 회로 차단기를 더 구비하고 있다. 회로 차단기는, 급전 단자(70)와 전선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2 to 4, the plug device 200 includes a surface 5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pposing surface 52) facing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wiring duct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wiring duct,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which protrudes from this opposing surface 52 is provided. The plug device 200 further includes a power feeding terminal 70. When the plug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wiring duct,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generates an earth connection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arth conductor in the wiring duct. When the plug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wiring duct, the power supply terminal 7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ductor for power supply in the wiring duct, thereby generating a power supply connection. The cable 400 is connected to the plug device 200. The cable 400 has an earth wi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and an electric wi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7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g device 200 further includes a circuit breaker. The circuit breaker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terminal 70 and the electric wire.

플러그 장치(200)는, 본체부(81)와, 본체부(81)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 접속부(82)를 구비한다. 대향면(52)은, 플러그 장치(200)의 위쪽의 단부(端部)에 있고, 위쪽을 향하고 있다. 접속부(82)는 본체부(81)의 대향면(52)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한다. 케이블(400)은 본체부(81)의, 아래쪽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어스 접속 단자(50)는 본체부(81)의, 위쪽의 단부에 마련되고, 급전 단자(70)는 접속부(82)에 마련되고, 차단기는 본체부(81)에 수납되어 있다.The plug device 200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81 and a connection portion 82 protruding upward from the main body portion 81. The opposing surface 52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plug device 200 and faces upward. The connecting portion 82 protrudes upward from the opposing surface 52 of the main body portion 81. The cable 40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81.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81, the power supply terminal 70 is provided at the connecting portion 82, and the breaker is housed in the main body portion 81.

플러그 장치(200)의 세부를 더 설명한다.The details of the plug device 200 will be further described.

도 2~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부(82)는, 본체부(81)의 대향면(52)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접속부(82)는, 뒤쪽을 향하는 제 1 측면(83)과 앞쪽을 향하는 제 2 측면(84)을 갖는다. 제 1 측면(83)과 제 2 측면(84)의 사이의 치수는 접속구(12)의 폭 치수보다 작다. 접속부(82)는, 접속부(82)의 위쪽의 단부에 있어서의, 제 1 측면(83)측의 가장자리와 제 2 측면(84)측의 가장자리의 각각에, 위쪽으로 돌출하는 리브(85)를 갖는다.2-4, the connection part 82 protrudes from the opposing surface 52 of the main-body part 81. As shown in FIG. The connecting portion 82 has a first side 83 facing back and a second side 84 facing forward. The dimension between the first side 83 and the second side 84 is smaller than the width dimension of the connector 12. The connection part 82 has the rib 85 which protrudes upward at each of the edge of the 1st side surface 83 side, and the edge of the 2nd side surface 84 side in the upper end part of the connection part 82. Have

도 2~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스 접속 단자(50)는, 본체부(81)의 대향면(52)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한다. 본체부(81)의 대향면(52)은, 구멍(811)을 갖고, 이 구멍(811)으로부터 어스 접속 단자(50)가 돌출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2-4,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protrudes upwards from the opposing surface 52 of the main-body part 81. As shown in FIG. The opposing surface 52 of the main body portion 81 has a hole 811, and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protrudes from the hole 811.

어스 접속 단자(50)의 구성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체부(81)는, 대향면(52)을 구성하는 천판(812)과, 본체부(81)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금속제의 어스판(813)을 구비한다(특히 도 2, 도 3 및 도 5 참조). 어스판(813)은, 어스선이 접속되는 단자(814)를 갖는다. 어스판(813)은, 천판(812)의 하면에 포개지는 접속판(815)을 갖고, 접속판(815)은 천판(812)에 리벳(816)으로 고정되어 있다. 구멍(811)은, 천판(812)과 어스판(813)을 관통한다.The structure of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is demonstrated in detail. The main body portion 81 includes a top plate 812 constituting the opposing surface 52, and a metal earth plate 813 housed inside the main body portion 81 (in particular, FIGS. 2, 3 and 3). 5). The earth plate 813 has a terminal 814 to which the earth wire is connected. The earth plate 813 has a connecting plate 815 stack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812, and the connecting plate 815 is fixed to the top plate 812 with a rivet 816. The hole 811 penetrates through the top plate 812 and the earth plate 813.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장치(200)는 용수철 구조(60)를 구비한다. 어스 접속 단자(50)는 용수철 구조(6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용수철 구조(60)는, 어스 접속 단자(50)가 그 돌출하는 방면(위쪽)과 반대 방면(아래쪽)으로 눌리면 어스 접속 단자(50)에 그 돌출하는 방면(위쪽)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구체적으로는, 플러그 장치(200)는 어스 부재(53)를 구비한다. 어스 부재(53)가 어스 접속 단자(50)와 용수철 구조(60)를 구비한다. 어스 부재(53)는, 굴곡한 띠 형상의 금속판으로 형성된다. 어스 접속 단자(50)는, 굴곡하고 있음으로써 산 모양의 형상을 갖고, 어스 접속 단자(50)의 꼭대기가 어스 접속 단자(50)가 돌출하는 방면(위쪽)을 향하고 있다. 어스 접속 단자(50)는, 어스 접속 단자(50)가 돌출하는 방면(위쪽)과는 반대 방면(아래쪽)을 향하는 2개의 단부(이하, 기단부라고 한다)를 갖는다. 2개의 기단부는, 좌우 방향으로 늘어서고, 즉 2개의 기단부가 늘어서는 방향은, 어스 접속 단자(50)가 돌출하는 방면과 직교한다. 용수철 구조(60)는, 어스 접속 단자(50)에 있어서의 2개의 기단부에 각각 이어지는 2개의 판 용수철(61)을 구비한다. 이 때문에, 어스 접속 단자(50)와 판 용수철(61)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2개의 판 용수철(61)은, 어스 접속 단자(50)로부터 왼쪽과 오른쪽으로 각각 돌출한다. 즉 2개의 판 용수철(61)은, 어스 접속 단자(50)로부터, 각각 반대 방면으로 돌출하고, 각 판 용수철(61)이 돌출하는 방면은, 어스 접속 단자(50)가 돌출하는 방면과 직교한다. 각 판 용수철(61)은, 그 돌출하는 방면을 따라 긴 판 형상이고, 판 용수철(61)의 두께 방향은, 어스 접속 단자(50)가 돌출하는 방면을 따르고 있다. 즉, 판 용수철(61)의 긴 쪽 방향은 좌우 방향과 일치하고, 판 용수철(61)의 두께 방향은 상하 방향과 일치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the plug device 200 includes a spring structure 60.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pring structure 60. The spring structure 60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when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protrudes in the opposite direction (upper side) and the opposite direction (lower side) when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protrudes. Specifically, the plug device 200 includes an earth member 53. The earth member 53 includes an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and a spring structure 60. The earth member 53 is formed of the curved strip | belt-shaped metal plate.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has a mountain shape by bending, and the top of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faces the direction (upper side) where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protrudes.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has two end portio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base ends) that face the opposite direction (lower side) to the opposite direction (upper side) from which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protrudes. The two base ends line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two base ends line, is orthogonal to the direction from which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protrudes. The spring structure 60 is provided with two plate springs 61 respectively connected to two base ends in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For this reason,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and the plate spring 6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two plate springs 61 protrude from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to the left and the right, respectively. That is, the two plate springs 61 protrude from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to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direction from which each plate spring 61 protrudes i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from which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protrudes. . Each plate spring 61 is elongate plate-shaped along the direction which protrudes, and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late spring 61 is along the direction which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protrudes. That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spring 61 corresponds to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late spring 61 corresponds to the up-down direction.

각 판 용수철(61)은, 플러그 장치(200)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64)와, 어스 접속 단자(50)에 이어져 있는 부분인 결합부(65)를, 갖는다. 각 판 용수철(61)은, 고정부(64)와 결합부(65)의 사이에, 고정부(64)와 결합부(65)를 잇는 선분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66)을, 더 갖고 있다. 도 6에 나타내어지는 각 판 용수철(61)은, 판 용수철(61)의 긴 쪽 방향 및 두께 방향의 양쪽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전후 방향)으로 번갈아 만곡하는 형상을 갖는다. 즉, 판 용수철(61)은, 사행(蛇行)하는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판 용수철(61)은, 만곡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고정부(64)와 결합부(65)를 잇는 선분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66)을 가질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판 용수철(61)은, 고정부(64)로부터 결합부(65)까지의 사이의 실효적인 치수를, 고정부(64)와 결합부(65)를 잇는 선분의 치수보다 길게 할 수 있다.Each plate spring 61 has the fixing part 64 fixed with respect to the plug apparatus 200, and the engaging part 65 which is a part connected to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As shown in FIG. Each plate spring 61 has a portion 66 extending between the fixing portion 64 and the coupling portion 65 in a direction intersecting a line segment connecting the fixing portion 64 and the coupling portion 65. , Have more. Each plate spring 61 shown in FIG. 6 has the shape which bends alternately in the direction (front-back direction) orthogonal to bo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late spring 61. As shown in FIG. That is, the plate spring 61 has a meandering shape. Thus, the plate spring 61 can have the part 66 extended in the direction which intersects the line segment which connects the stationary part 64 and the engaging part 65 by having a curved shape. Thereby, the plate spring 61 can make the effective dimension between the fixed part 64 and the engaging part 65 longer than the dimension of the line segment which connects the fixed part 64 and the engaging part 65. Can be.

각 판 용수철(61)의 고정부(64)에는, 리벳 구멍(62)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 용수철(61)은 접속판(815)의 하면(아래쪽을 향하는 면)에 접하도록 포개지고, 어스 접속 단자(50)가 구멍(811)에 통과되어 대향면(52)이 향하는 방향, 즉 위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판 용수철(61)은 리벳 구멍(62)에 통과된 리벳(63)으로 천판(812) 및 접속판(815)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어스 접속 단자(50)는, 용수철 구조(60)를 통해서 어스판(81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본체부(81)의 대향면(52)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A rivet hole 62 is formed in the fixing portion 64 of each plate spring 61. As shown in FIG. 5, the plate spring 61 is super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surface facing downward) of the connecting plate 815, and the earth connecting terminal 50 passes through the hole 811 to face the opposing surface 52. ) Is protruding upwards, ie upwards. The plate spring 61 is fixed to the top plate 812 and the connecting plate 815 with a rivet 63 passed through the rivet hole 62. Thereby,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protrudes from the opposing surface 52 of the main body part 81 in the state connected electrically to the earth plate 813 through the spring structure 60.

어스 접속 단자(50)가 상기 구성을 구비하기 때문에, 어스 접속 단자(50)가 아래쪽으로 눌리면, 용수철 구조(60)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어스 접속 단자(50)는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어스 접속 단자(50)에는, 용수철 구조(60)에 의해, 위쪽으로 향하는 탄성력이 가해지고, 어스 접속 단자(50)는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려고 한다. 상기와 같이 판 용수철(61)의 고정부(64)로부터 결합부(65)까지의 사이의 실효적인 치수는, 고정부(64)와 결합부(65)를 잇는 선분의 치수보다 길기 때문에, 판 용수철(61)에, 그 외관상의 치수에 비하여 작은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어스 접속 단자(50)가 눌린 경우, 어스 접속 단자(50)를 용이하게 이동시키고, 또한 어스 접속 단자(50)에 적당하게 작은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Since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has the above structure, when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is pressed downward, the spring structure 60 elastically deforms, and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moves downward. At this time, an upward force is applied to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by the spring structure 60, and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tries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effective dimension between the fixed part 64 of the plate spring 61 to the engaging part 65 is longer than the dimension of the line segment which connects the fixed part 64 and the engaging part 65, In the spring 61, a small elastic force can be generated as compared with the apparent dimension. Therefore, when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is pressed,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can be easily moved, and a small elastic force can be applied to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suitably.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 장치(200)는, 어스 접속 단자(50)의 그 돌출하는 방면과는 반대 방면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51)를 구비한다(도 2, 3 및 5 참조). 이동을 규제하는 것은, 예컨대 어스 접속 단자(50)가 이동 가능한 거리(이동량)를 제한하는 것이다. 스토퍼(51)는, 어스판(813)의 일부이다. 스토퍼(51)는, 어스 접속 단자(50)의 아래쪽에 있고, 어스 접속 단자(50)와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이 때문에, 어스 접속 단자(50)가 눌려 이동하더라도, 어스 접속 단자(50)가 스토퍼(51)에 접촉하면, 어스 접속 단자(50)는 그 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어스 접속 단자(50)가 눌린 경우의, 어스 접속 단자(50)의, 그 돌출하는 방면과는 반대 방면측으로의 이동량은, 어스 접속 단자(50)가 눌리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어스 접속 단자(50)와 스토퍼(51)의 간격의 치수 이하로 제한된다. 플러그 장치(200)가 이와 같은 스토퍼(51)를 구비하면, 어스 접속 단자(50)가 의도치 않게 눌리더라도, 스토퍼(51)는, 어스 접속 단자(50)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용수철 구조(60)가 과도하게 변형됨으로써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스토퍼(51)에 의해 제한되는 이동량은, 용수철 구조(60)가 과도한 변형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적당히 설정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g device 200 includes a stopper 51 that restricts movement of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rotruding direction thereof (see FIGS. 2, 3, and 5). To restrict the movement is, for example, to limit the distance (movement amount) that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can move. The stopper 51 is part of the earth plate 813. The stopper 51 is located below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and faces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at intervals. For this reason, even if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is pressed and moved, when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contacts the stopper 51,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will no longer be moved. For this reason, when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is pressed,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toward the opposite side to the protruding direction is earth in a state where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is not pressed. It is limited to the dimension of the space | interval of the connection terminal 50 and the stopper 51 or less. If the plug device 200 is equipped with such a stopper 51, even if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is inadvertently pressed, the stopper 51 can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Therefore, the spring structure 6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being excessively deformed. The movement amount limited by the stopper 51 is appropriately set so that the spring structure 60 will not be damaged by excessive deformation.

도 2~도 4,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부(82)는, 3개의 급전 단자(70)(제 1 급전 단자(71), 제 2 급전 단자(72) 및 제 3 급전 단자(73))를 구비한다. 제 1 급전 단자(71)는, 접속부(82)의 위쪽을 향하는 면에 있어서의 2개의 리브(85)의 사이의 위치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한다(특히 도 2~도 4 참조). 제 2 급전 단자(72)는, 접속부(82) 내에 들어가 있는 위치와, 접속부(82)의 제 1 측면(83)으로부터 뒤쪽으로 돌출하는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특히 도 7A 참조). 제 1 측면(83)은, 구멍(86)을 갖고, 제 2 급전 단자(72)가 제 1 측면(83)으로부터 돌출하는 상태에서는 이 구멍(86)으로부터 제 2 급전 단자(72)가 돌출한다. 제 3 급전 단자(73)는, 접속부(82) 내에 들어가 있는 상태와, 접속부(82)의 제 2 측면(84)으로부터 앞쪽으로 돌출하는 상태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특히 도 7B 참조). 이 제 2 측면(84)도, 구멍(87)을 갖고, 제 3 급전 단자(73)가 제 2 측면(84)으로부터 돌출하는 상태에서는 이 구멍(87)으로부터 제 3 급전 단자(73)가 돌출한다.As shown to FIG. 2-FIG. 4, FIG. 7A, and FIG. 7B, the connection part 82 has three feed terminals 70 (1st feed terminal 71, 2nd feed terminal 72, and 3rd feed terminal). (73)). The 1st power supply terminal 71 protrudes upwards from the position between the two ribs 85 in the surface which faces the connection part 82 upward (especially FIG. 2-FIG. 4). The second power feeding terminal 72 is movable between the position that enters the connection portion 82 and the position that protrudes backward from the first side surface 83 of the connection portion 82 (see particularly FIG. 7A). The 1st side surface 83 has the hole 86, and the 2nd power supply terminal 72 protrudes from this hole 86 in the state which the 2nd power supply terminal 72 protrudes from the 1st side surface 83. As shown in FIG. . The third feed terminal 73 is movable between a state that is in the connection portion 82 and a state that protrudes forward from the second side surface 84 of the connection portion 82 (see particularly FIG. 7B). The second side face 84 also has a hole 87, and in the state where the third feed terminal 73 protrudes from the second side face 84, the third feed terminal 73 protrudes from the hole 87. do.

본체부(81)는, 위쪽의 단부에, 제 1 조작부(88)와 제 2 조작부(89)를 갖는다(특히 도 7A 및 도 7B 참조). 제 1 조작부(88)는 제 2 급전 단자(72)를 이동시키는 레버(881)를 갖는다. 레버(881)는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레버(881)의 이동과 연동하여 제 2 급전 단자(72)가 이동한다. 제 2 조작부(89)는, 제 3 급전 단자(73)를 이동시키는 레버(891)를 갖는다. 레버(891)는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레버(891)의 이동과 연동하여 제 3 급전 단자(73)가 이동한다.The main body part 81 has the 1st operation part 88 and the 2nd operation part 89 in the upper end part (refer FIG. 7A and 7B especially). The first operation unit 88 has a lever 881 for moving the second feed terminal 72. The lever 881 is slidable, and the second feed terminal 72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lever 881. The 2nd operation part 89 has the lever 891 which moves the 3rd power supply terminal 73. The lever 891 is slidable, and the third feed terminal 73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lever 891.

제 1 조작부(88)의 상부에 제 1 고정구(91)가 마련되고, 제 2 조작부(89)의 상부에 제 2 고정구(92)가 마련되어 있다(특히 도 7A 및 도 7B 참조). 제 1 고정구(91), 접속부(82), 및 제 2 고정구(92)는, 이 순서로,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늘어서 있다. 각 고정구(91, 92)는 상하 방향을 따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제 1 고정구(91)는, 회전함으로써, 접속부(82)의 제 1 측면(83) 및 제 2 측면(84)보다 돌출하지 않는 상태와, 제 1 고정구(91)의 양단이 각각 제 1 측면(83)보다 뒤쪽 및 제 2 측면(84)보다 앞쪽으로 돌출하는 상태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다. 제 2 고정구(92)도, 회전함으로써, 접속부(82)의 제 1 측면(83) 및 제 2 측면(84)보다 돌출하지 않는 상태와, 양단이 각각 제 1 측면(83)보다 뒤쪽 및 제 2 측면(84)보다 앞쪽으로 돌출하는 상태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다. 제 1 고정구(91) 및 제 2 고정구(92)는 도전성을 갖고, 어스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The first fastener 91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operating part 88, and the second fastener 92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operating part 89 (see especially FIGS. 7A and 7B). The 1st fastener 91, the connection part 82, and the 2nd fastener 92 are arranged in this order from left to right. Each fixture 91, 92 is rotatable about an axis of rot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fastener 91 is rotated so that the first side 83 and the second side face 84 of the connecting portion 82 do not protrude, and both ends of the first fastener 91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first side surface ( It is switchable between the state which protrudes behind 83 and the front side rather than the 2nd side surface 84. FIG. The second fastener 92 also rotates so that it does not protrude from the first side 83 and the second side 84 of the connecting portion 82, and both ends are rearward and second from the first side 83, respectively. It is switchable between the states which protrudes ahead of the side surface 84. The first fasteners 91 and the second fasteners 92 are conductiv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arth wire.

제 1 고정구(91)는, 제 1 조작부(88)의 레버(881)의 이동과 연동하여 회전한다. 즉, 제 2 급전 단자(72)와 제 1 고정구(91)는 레버(881)가 이동함으로써 연동하여 이동한다. 제 2 급전 단자(72)가 접속부(82) 내에 있을 때는, 제 1 고정구(91)는 제 1 측면(83) 및 제 2 측면(84)보다 돌출하지 않는 상태에 있다. 제 2 급전 단자(72)가 제 1 측면(83)으로부터 돌출하는 위치에 있을 때는, 제 1 고정구(91)는 양단이 각각 제 1 측면(83)보다 뒤쪽 및 제 2 측면(84)보다 앞쪽으로 돌출하는 상태에 있다. 제 2 고정구(92)는, 제 3 급전 단자(73)와 마찬가지로, 제 2 조작부(89)의 레버(891)의 이동과 연동하여 회전한다. 즉, 제 3 급전 단자(73)와 제 2 고정구(92)는 레버(891)가 이동함으로써 연동하여 이동한다. 제 3 급전 단자(73)가 접속부(82) 내에 있을 때는, 제 2 고정구(92)는 제 1 측면(83) 및 제 2 측면(84)보다 돌출하지 않는 상태에 있다. 제 3 급전 단자(73)가 제 2 측면(84)으로부터 돌출하는 위치에 있을 때는, 제 2 고정구(92)는 양단이 각각 제 1 측면(83)보다 뒤쪽 및 제 2 측면(84)보다 앞쪽으로 돌출하는 상태에 있다.The first fastener 91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lever 881 of the first operating unit 88. That is, the second feed terminal 72 and the first fastener 91 move in association with the lever 881 moving. When the 2nd feed terminal 72 is in the connection part 82, the 1st fixture 91 is in the state which does not protrude more than the 1st side surface 83 and the 2nd side surface 84. FIG. When the second feed terminal 72 is in a posi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side face 83, the first fasteners 91 are both ends behind the first side face 83 and forward of the second side face 84, respectively. It is in a protruding state. Similar to the third power supply terminal 73, the second fastener 92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lever 891 of the second operation unit 89. That is, the third feed terminal 73 and the second fastener 92 move in cooperation with the lever 891 moving. When the 3rd feed terminal 73 is in the connection part 82, the 2nd fixture 92 is in the state which does not protrude more than the 1st side surface 83 and the 2nd side surface 84. FIG. When the third feed terminal 73 is in a position to protrude from the second side face 84, the second fasteners 92 are both ends behind the first side face 83 and forward of the second side face 84, respectively. It is in a protruding state.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플러그 장치(200)는 급전 단자(70)와 전선의 사이에 회로 차단기를 구비하고 있지만, 회로 차단기를 구비하고 있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플러그 장치(200)는, 예컨대 누전차단기, 단자대, 변류기(CT)라고 하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g device 200 includes a circuit breaker between the power supply terminal 70 and the electric wire as described above, but may not include the circuit breaker. In addition, the plug device 200 may be provided with a device such as an earth leakage breaker, a terminal block, and a current transformer CT.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배전 시스템(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전 시스템(300)은, 상기의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배선 덕트(100) 및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플러그 장치(200)를 구비한다.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300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As shown in FIGS. 1-3, 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300 is equipped with the wiring duct 100 which concerns on said this embodiment, and the plug apparatus 200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배선 덕트(100)에 플러그 장치(200)를 접속하는 경우, 플러그 장치(200)에 있어서, 제 2 급전 단자(72)와 제 3 급전 단자(73)를 접속부(82) 내에 들어가는 위치에 배치한다. 또한, 제 1 고정구(91)와 제 2 고정구(92)를 접속부(82)의 제 1 측면(83) 및 제 2 측면(84)보다 돌출하지 않는 상태로 하여 둔다. 이 상태에서, 배선 덕트(100)에 대하여 플러그 장치(200)를, 대향면(52)이 배선 덕트(100)의 외면 중 접속구(12)가 있는 부분과 대향하고, 접속부(82)가 접속구(12)와 대향하고, 또한 어스 접속 단자(50)가 어스 단자(11)와 대향하도록 위치맞춤 하여 배치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 장치(200)는, 대향면(52)으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54)를 갖고, 배선 덕트(100)는 플러그 장치(200)가 위치맞춤 된 상태에서 볼록부(54)가 끼워질 수 있는 오목부(55)를 갖는다. 올바르게 위치맞춤 된 상태에서 배선 덕트(100)에 플러그 장치(200)가 접속되면, 볼록부(54)가 오목부(55)에 끼워진다. 플러그 장치(200)가 전후 반대로 배치되는 등 하여 올바르게 위치맞춤 되어 있지 않으면, 볼록부(54)가 배선 덕트(100)의 외면에 끼워지지 않고, 배선 덕트(100)에 플러그 장치(200)를 접속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플러그 장치(200)의 위치맞춤이 용이하다.When connecting the plug device 200 to the wiring duct 100, in the plug device 200, the second feed terminal 72 and the third feed terminal 73 are disposed at a position to enter the connection portion 82. . Moreover, the 1st fastener 91 and the 2nd fastener 92 are left in the state which does not protrude more than the 1st side surface 83 and the 2nd side surface 84 of the connection part 82. FIG. In this state, the plug device 200 is opposed to the wiring duct 100 so that the opposing surface 52 faces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wiring duct 100 in which the connector 12 is located, and the connector 82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 12) and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is positioned to be aligned so as to face the earth terminal (11). Moreover, in this embodiment, the plug device 200 has the convex part 54 which protrudes from the opposing surface 52, and the wiring duct 100 has the convex part (with the plug device 200 aligned). 54 has a recessed portion 55 into which it can be fitted. When the plug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wiring duct 100 in a correctly aligned state, the convex portion 54 is fitted into the concave portion 55. If the plug device 200 is not properly positioned because it is disposed backwards or backwards, the convex portion 54 does not fi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iring duct 100 and the plug device 200 can be connected to the wiring duct 100. Can't. For this reason, the alignment of the plug device 200 is easy.

이 상태에서, 접속부(82)를 접속구(12)로부터 배선 덕트(100)의 내부 공간(14)에 넣는다. 접속부(82)는, 내부 공간(14)에 있어서, 제 2 유지부(22)와 제 3 유지부(23)의 사이에 들어가고, 제 1 유지부(21)를 향해서 위쪽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우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스 접속 단자(50)가 어스 단자(11)와 접촉하여 어스 단자(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어스 접속 단자(50)가 어스 단자(11)에 눌림으로써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계속하여,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급전 단자(71)가 제 1 통공(24)을 통해서 제 1 급전용 도체(31)에 접촉하여 제 1 급전용 도체(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속부(82)는, 제 2 유지부(22)와 제 3 유지부(23)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제 1 측면(83)이 제 2 유지부(22)에 대향하고, 제 1 측면(83)의 구멍(86)이 제 2 유지부(22)의 제 2 통공(25)과 대향한다. 또한, 제 2 측면(84)이 제 3 유지부(23)에 대향하고, 제 2 측면(84)의 구멍(87)이 제 3 유지부(23)의 제 3 통공(26)과 대향한다. 이 상태에서 각 레버(881, 891)가 조작되어 슬라이드하면, 제 2 급전 단자(72)가 구멍(86)을 통해서 제 1 측면(83)으로부터 돌출하고, 또한 제 3 급전 단자(73)가 구멍(87)을 통해서 제 2 측면(84)으로부터 돌출한다. 또한, 제 1 고정구(91)의 양단이 각각 제 1 측면(83)보다 뒤쪽 및 제 2 측면(84)보다 앞쪽으로 돌출하고, 또한 제 2 고정구(92)의 양단도 각각 제 1 측면(83)보다 뒤쪽 및 제 2 측면(84)보다 앞쪽으로 돌출한다. 이 때문에, 제 2 급전 단자(72)는 제 2 통공(25)을 통해서 제 2 급전용 도체(32)와 접촉하여 제 2 급전용 도체(3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3 급전 단자(73)는 제 3 통공(26)을 통해서 제 3 급전용 도체(33)와 접촉하여 제 3 급전용 도체(3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 1 고정구(91)의 양단 및 제 2 고정구(92)의 양단은, 배선 덕트(100)의 내면에 걸리고, 이것에 의해, 배선 덕트(100)로부터의 플러그 장치(200)의 빠짐 방지가 이루어진다. 또한, 제 1 고정구(91) 및 제 2 고정구(92)는, 제 2 어스 단자(13)와 포개져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배선 덕트(100)에 플러그 장치(200)가 접속된다.In this state, the connection part 82 is put in the internal space 14 of the wiring duct 100 from the connection port 12. The connecting portion 82 enters between the second holding portion 22 and the third holding portion 23 in the internal space 14 and moves upward toward the first holding portion 21. Then, first, as shown in FIG. 2,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is in contact with the earth terminal 11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arth terminal 11, and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is connected to the earth terminal 11. Move down by pressing on.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3, the first feed terminal 71 contacts the conductor 31 for the first feed via the first through hole 24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or 31 for the first feed. . The connecting portion 82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holding portion 22 and the third holding portion 23. At this time, the first side surface 83 faces the second holding portion 22, and the hole 86 of the first side surface 83 faces the second through hole 25 of the second holding portion 22. In addition, the second side face 84 faces the third holding part 23, and the hole 87 of the second side face 84 faces the third through hole 26 of the third holding part 23. When the levers 881 and 891 are operated and slide in this state, the second feed terminal 72 protrudes from the first side surface 83 through the hole 86, and the third feed terminal 73 is opened. Protrudes from second side 84 through 87.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first fastener 91 protrude to the rear of the first side 83 and forward of the second side 84, respectively, and both ends of the second fastener 92 are also the first side 83, respectively. Protrude further back and forward than the second side 84. For this reason, the second feed terminal 72 is in contact with the conductor 32 for the second feed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25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or 32 for the second feed. )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power feeding conductor 33 by contacting the third power feeding conductor 33 through the third through hole 26.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first fastener 91 and both ends of the second fastener 92 are caught by the inner surface of the wiring duct 100, thereby preventing the plug device 200 from being pulled out of the wiring duct 100. Is done. In addition, the first fastener 91 and the second fastener 92 are in contact with the second earth terminal 13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s a result, the plug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wiring duct 100.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배전 시스템(300)에서는, 제 1 급전 단자(71), 제 2 급전 단자(72) 및 제 3 급전 단자(73)가 각각 제 1 급전용 도체(31), 제 2 급전용 도체(32) 및 제 3 급전용 도체(33)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급전 접속이 발생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급전 접속이 발생하기 전에, 어스 단자(11)가 어스 접속 단자(50)와 접촉함으로써 어스 접속이 발생한다.In 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300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the 1st feed terminal 71, the 2nd feed terminal 72, and the 3rd feed terminal 73 are respectively the conductor 31 for 1st feed, and the 2nd feed The electric power supply connection occurs by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the dedicated conductor 32 and the 3rd electric power feeding conductor 33. FIG. In this embodiment, before this power supply connection generate | occur | produces, earth connection generate | occur | produces by making the earth terminal 11 contact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As shown in FIG.

배선 덕트(100)에 플러그 장치(200)를 접속함에 있어서, 급전 접속이 발생하기 전에 어스 접속이 발생하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어스 단자(11)와 어스 접속 단자(50)가 접촉하고 나서, 제 1 급전용 도체(31)와 제 1 급전 단자(71)가 접촉한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선 덕트(100)에 있어서의 어스 단자(11)와 제 1 급전용 도체(31)의 위치 관계와, 플러그 장치(200)에 있어서의 어스 접속 단자(50)와 제 1 급전 단자(71)의 위치 관계가 적절하게 설정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급전 단자(72)와 제 3 급전 단자(73)가 접속부(82) 내에 들어가 있는 상태와 접속부(82)로부터 돌출하는 상태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그 때문에, 어스 접속이 발생한 후에, 제 2 급전 단자(72)와 제 3 급전 단자(73)를 접속부(82) 내로부터 이동시켜 접속부(82)로부터 돌출시켜, 제 2 급전용 도체(32) 및 제 3 급전용 도체(33)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In connecting the plug device 200 to the wiring duct 100, since the earth connection occurs before the power supply connection occurs,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earth terminal 11 and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are used. After the contact is made, the conductor 31 for first feeding and the first feeding terminal 71 contact each other.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earth terminal 11 in the wiring duct 100 and the conductor 31 for 1st feeding,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in the plug device 200,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1st power supply terminal 71 is set suitably.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2nd power supply terminal 72 and the 3rd power supply terminal 73 are movable between the state which fits in the connection part 82, and the state which protrudes from the connection part 82. FIG. Therefore, after earth connection generate | occur | produced, the 2nd feed terminal 72 and the 3rd feed terminal 73 are moved out of the connection part 82, and it protrudes from the connection part 82, and the 2nd power supply conductor 32 and It can electrically connect with the conductor 33 for 3rd electricity supplies, respectively.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의 구성에 의해, 급전 접속이 발생하기 전에 어스 접속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전용 도체(30)에 급전 단자(70)가 부딪쳐 접촉함으로써 급전 접속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선 덕트(100)에 플러그 장치(200)를 접속함에 있어서, 배선 덕트(100)에 플러그 장치(200)를 양자의 접속이 달성되는 위치까지 밀어 넣음으로써 급전 접속을 발생시키고, 그것보다 전에는 급전 접속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급전 접속이 발생하기 전에 어스 단자(11)에 어스 접속 단자(50)를 접촉시켜 어스 접속을 발생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어스 접속 단자(50)의 이동량이 작더라도, 급전 접속이 발생하기 전에 어스 접속을 발생시키는 것이 용이하고, 그 때문에, 플러그 장치(200)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단, 급전용 도체(30)와 급전 단자(70)의 전기적 접속이 되기 전에 어스 단자(11)와 어스 접속 단자(50)의 사이의 어스 접속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면, 급전용 도체(30) 및 급전 단자(70)의 구조 및 양자의 접속의 방식은,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이더라도 좋다.In this embodiment, the earth connection is generated before the power supply connection occurs by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ower supply connection occurs when the power supply terminal 70 collides with and contacts the power feeding conductor 30.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when connecting the plug apparatus 200 to the wiring duct 100, a power supply connection is made by pushing the plug apparatus 200 to the wiring duct 100 to the position where both connection is achieved.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before the power supply connection occurs. Therefore, it is easy to generate the earth connection by bringing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into contact with the earth terminal 11 before the power supply connection occurs. In addition, even if the movement amount of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is small, it is easy to generate the earth connection before the power supply connection occurs, and therefore, the plug device 200 can be miniaturized. However, if the earth connection between the earth terminal 11 and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can be achieved before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ower supply conductor 30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70 is made, the power supply conductor 30 The structure of the power supply terminal 70 and the connection method of both may be any structures and methods.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어스 단자(11)와 어스 접속 단자(50)의 사이뿐만 아니라, 제 1 고정구(91) 및 제 2 고정구(92)와 제 2 어스 단자(13)의 사이에서도 어스 접속을 할 수 있으므로, 어스 접속을 보다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 장치(200)는 고정구로서 제 1 고정구(91) 및 제 2 고정구(92)를 구비하지만, 플러그 장치(200)는 적어도 1개의 고정구를 구비한다면, 그 개수는 몇 개이더라도 좋다. 플러그 장치(200)가 복수의 고정구를 구비하는 경우, 적어도 1개의 고정구가 제 2 어스 단자(13)와의 사이에서 어스 접속할 수 있으면 된다. 고정구가 어스 접속의 기능을 갖지 않고, 어스 단자(11)와 어스 접속 단자(50)의 사이에서만 어스 접속이 되더라도 좋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not only between the earth terminal 11 and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but also between the 1st fastener 91 and the 2nd fastener 92, and the 2nd earth terminal 13, earth connection. As a result, the earth connection can be more reliably achieved.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plug apparatus 200 is equipped with the 1st fixture 91 and the 2nd fixture 92 as a fixture, if the plug apparatus 200 is equipped with at least 1 fixture, the number of them will be several. It may be. In the case where the plug device 200 includes a plurality of fasteners, at least one fastener may be capable of earth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earth terminals 13. The fastener does not have a function of earth connection, and earth connection may be made only between the earth terminal 11 and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플러그 장치(200)가 용수철 구조(60)를 구비한다. 그 때문에, 어스 접속 단자(50)가 눌림으로써 이동하면, 용수철 구조(60)가 어스 접속 단자(50)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플러그 장치(200)가 배선 덕트(100)에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제 1 급전 단자(71)와 배선 덕트(100)의 사이에 발생하는 접촉압을, 어스 접속 단자(50)와 배선 덕트(100)의 사이에 발생하는 접촉압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어스 접속 단자(50)의 파손이 억제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g device 200 includes the spring structure 60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when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moves by depressing, the spring structure 60 can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For this reason, in the state in which the plug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wiring duct 100, the contact pressur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terminal 71 and the wiring duct 100 is connected to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The contact pressure generated between the wiring ducts 100 can be made higher. As a result, damage to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is suppressed.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용수철 구조(60)에 의해 접촉압이 제어되고 있지만, 다른 적당한 수단으로 접촉압이 제어되더라도 좋다.In addition, although the contact pressure is controlled by the spring structure 60 in this embodiment, the contact pressure may be controlled by other suitable means.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판 용수철(61)은, 상기와 같이 사행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고정부(64)와 결합부(65)를 잇는 선분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66)을 포함한다. 그러나, 판 용수철(61)이 이것 이외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고정부(64)와 결합부(65)를 잇는 선분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66)을 포함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판 용수철(61)이 전체적으로 호를 그리는 형상을 갖더라도 좋다. 또, 판 용수철(61)이, 고정부(64)와 결합부(65)를 잇는 선분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66)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좋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plate spring 61 has the shape meandering as mentioned above, and the part 66 extended in the direction which intersects the line segment which connects the fixed part 64 and the engaging part 65 is crossed. Include. However, the plate spring 61 may have a shape other than this, so that the plate spring 61 may include a portion 66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line segment connecting the fixing portion 64 and the engaging portion 65. For example, the plate spring 61 may have a shape that arcs as a whole. Moreover, the plate spring 61 may not include the part 66 extended in the direction which intersects the line segment which connects the fixed part 64 and the engaging part 65. As shown in FIG.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용수철 구조(60)는 판 용수철(61)이지만, 어스 접속 단자(50)가 그 돌출하는 방면과는 반대 방면으로 눌리면 어스 접속 단자(50)에 그 돌출하는 방면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것이면, 판 용수철(61) 이외의 적당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 장치(200)는 어스 접속 단자(50)와 용수철 구조(60)를 갖는 어스 부재(53)를 구비하지만, 어스 접속 단자(50)가 탄성 변형 가능한 것에 의해 어스 접속 단자(50)가 용수철 구조(60)를 갖고 있더라도 좋다.In addition, although the spring structure 60 is the plate spring 61 in this embodiment, when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which protrudes, the elastic force is applied to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in the direction which protrudes. If it can be added, it can have a suitable structure other than the plate spring 61. In addition, although the plug apparatus 200 is equipped with the earth member 53 which has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and the spring structure 60 in this embodiment,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is elastically deformable because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is elastically deformable. 50 may have the spring structure 60.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토퍼(51)는 어스판(813)의 일부이고, 어스 접속 단자(50)에 대하여 어스 접속 단자(50)가 돌출하는 방면과는 반대 방면측의 위치에 있음으로써 어스 접속 단자(50)의 이동을 규제하지만, 스토퍼(51)는 이것 이외의 적당한 구성을 갖더라도 좋다. 즉, 스토퍼(51)는, 어스 접속 단자(50) 및 용수철 구조(60)의 구성에 따른 적당한 구성을 가지면 된다. 또한, 플러그 장치(200)는 스토퍼(51)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좋다.In this embodiment, the stopper 51 is a part of the earth plate 813, and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is locat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protrudes from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Although movement of 50 is regulated, the stopper 51 may have a suitable structure other than this. That is, the stopper 51 should just have a suit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and the spring structure 60. In addition, the plug device 200 may not include the stopper 51.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어스 단자(11)는 프레임(10)의 긴 쪽 방향을 따른 띠 형상이다. 그 때문에, 배선 덕트(100)에 있어서의 플러그 장치(200)의 접속 위치를 배선 덕트(100)의 긴 쪽 방향을 따라 변경하더라도, 어스 단자(11)와 어스 접속 단자(50)의 사이의 어스 접속을 행할 수 있다. 배선 덕트(100)에 플러그 장치(200)를 접속하는 경우, 플러그 장치(200)의 접속 위치를 제외하고, 접속구(12)를 커버로 가리더라도 좋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earth terminal 11 has a band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 Therefore, even if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plug device 200 in the wiring duct 100 is ch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ring duct 100, the earth between the earth terminal 11 and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is changed. Connection can be made. When connecting the plug apparatus 200 to the wiring duct 100, you may cover the connection port 12 with a cover except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plug apparatus 200. FIG.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배선 덕트(100), 플러그 장치(200) 및 배전 시스템(300)은, 상기의 설명으로만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성의 추가, 삭제, 또는 치환이라고 하는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The wiring duct 100, the plug device 200, and 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esign changes such as adding, deleting, or replacing various configurations as necessary. This is possible.

예컨대, 접속구(12)의 형상은 상기의 설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접속구(12)는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4)과 외부 공간을 연결할 수 있으면, 프레임(10)에 있어서의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접속구(12)는, 프레임(10)의 긴 쪽 방향의 특정한 위치에 마련된, 직사각형 형상 등의 적당한 형상을 갖는 구멍이더라도 좋다. 프레임이 복수의 접속구(12)를 갖고, 이들 접속구(12)가 프레임(10)의 긴 쪽 방향으로 늘어서 있더라도 좋다. 그 경우, 플러그 장치(200)의 접속의 작업을 하는 사람은, 어느 하나의 접속구(12)를 선택하여 플러그 장치(200)를 접속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hape of the connector 12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If the connection port 12 can connect the internal space 14 and the external space of the frame 10, it may be provided at various positions in the frame 10, and may have various shapes. For example, the connector 12 may be a hole having a suitable shape such as a rectangular shape provided at a specific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 The frame may have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s 12, and these connection ports 12 may b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 In that case, the person who connects the plug device 200 can select any one of the connection ports 12 and connect the plug device 200.

또한, 어스 단자(11)의 위치 및 형상도 상기 설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프레임(10)의 외면의 일부에 어스 단자(11)가 있으면, 급전 접속 전에 어스 접속을 행하는 것이 용이하다. 예컨대 어스 단자(11)가 띠 형상이 아니고, 프레임(10)의 긴 쪽 방향의 특정한 위치에만 마련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예컨대 프레임(10)이 복수의 접속구(12)를 갖는 경우, 접속구(12)마다 어스 단자(11)가 마련되어 있더라도 좋다. 단, 상기 설명과 같이, 접속구(12)와 어스 단자(11)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그에 더하여 접속구(12)의 외부 공간으로 개구하는 방면과 어스 단자(11)가 향하는 방면이 동일하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 플러그 장치를 접속구(12)에 접속하는 경우에, 플러그 장치에 있어서의 어스용의 도체를 어스 단자(11)에 특히 용이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earth terminal 11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If the earth terminal 11 is located in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0, it is easy to perform earth connection before power supply connection. For example, the earth terminal 11 may be provided only at a specific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 rather than in a band shape. For example, when the frame 10 has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s 12, the earth terminal 11 may be provided for each connection port 12. However, as described above, if the connector 12 and the earth terminal 11 are arranged side by side, or in addi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arth opening 11 faces and the direction opening to the outer space of the connection hole 12 are the same, Especially preferred. In this case, in the case of connecting the plug device to the connection port 12, the earth conductor for the plug device can be brought into easy contact with the earth terminal 11.

또한 어스 접속 단자(50)의 위치, 개수, 및 구조 등도 상기 설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어스 접속 단자(50)가 플러그 장치(200)의 대향면(52)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이면, 급전 접속 전에 어스 접속을 행하는 것이 용이하다. 예컨대, 플러그 장치(200)가 2개의 어스 접속 단자(50)를 갖고, 접속부(82)가 2개의 어스 접속 단자(50)의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 경우,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배선 덕트(100)의 프레임(10)은, 2개의 어스 접속 단자(50)의 각각에 대응하는 어스 단자(11)를 갖고 있더라도 좋다. 어스 접속 단자(50)의 개수가 3 이상이더라도 좋다.In addition, the position, number, structure, etc. of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s long as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protrudes from the opposing surface 52 of the plug device 200, it is easy to perform earth connection before power supply connection. For example, the plug device 200 may have two earth connection terminals 50, and the connection portion 82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between the two earth connection terminals 50. In this case, the frame 10 of the wiring duc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n earth terminal 11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two earth connection terminals 50. The number of earth connection terminals 50 may be three or more.

(정리)(theorem)

제 1 태양과 관련되는 배선 덕트(100)는, 도전성을 갖는 중공의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4)에 있어서 프레임(10)에 유지되어 있는 하우징(20)과, 내부 공간(14)에 있어서 하우징(20)에 유지되어 있는 급전용 도체(30)를 구비한다. 프레임(10)은, 프레임(10)의 외면의 일부에 어스 단자(11)를 갖는다.The wiring duct 100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includes a hollow frame 10 having conductivity, a housing 20 held in the frame 10 in the internal space 14 of the frame 10, and In the internal space 14, a power feeding conductor 30 held in the housing 20 is provided. The frame 10 has an earth terminal 11 on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0.

이 구성에 의하면, 배선 덕트(100)가 플러그 장치와 접속되는 경우, 프레임(10)의 외면에 있어서 어스 단자(11)와 플러그 장치에 있어서의 어스용의 도체의 사이에서 어스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배선 덕트(100)와 플러그 장치의 사이의 급전 접속 전에 양자 사이의 어스 접속을 하는 것이 용이하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wiring duct 100 is connected with the plug device, the earth connection is possible between the earth terminal 11 and the earth conductor in the plug devic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0. . Therefore, it is easy to make the earth connection between both before the power supply connection between the wiring duct 100 and a plug device.

제 2 태양과 관련되는 배선 덕트(100)에서는, 제 1 태양에 있어서, 프레임(10)은 긴 형상이고, 프레임(10)은, 내부 공간(14)과 프레임(10)의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접속구(12)를 더 갖고, 어스 단자(11)와 접속구(12)가 늘어서는 방향은, 프레임(10)의 긴 쪽 방향 및 접속구(12)의 개구 방향의 양쪽과 직교한다.In the wiring duct 100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in the first aspect, the frame 10 has an elongated shape, and the frame 10 connects the internal space 14 and the external space of the frame 10. It further has a connection port 12,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earth terminal 11 and the connection port 12 line is orthogonal to bo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 and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 12. As shown in FIG.

이 구성에 의하면, 어스 단자(11)가 프레임(10)의 외면에서 접속구(12)와 늘어서 있기 때문에, 플러그 장치를 접속구(12)에 설치할 때에 어스 접속을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earth terminal 11 is lined with the connection port 12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0, it becomes easy to make earth connection when installing a plug device in the connection port 12. FIG.

제 3 태양과 관련되는 배선 덕트(100)에서는, 제 2 태양에 있어서, 어스 단자(11)는, 프레임(10)의 긴 쪽 방향을 따른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In the wiring duct 100 which concerns on a 3rd aspect, in the 2nd aspect, the earth terminal 11 is formed in strip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 As shown in FIG.

이 구성에 의하면, 배선 덕트(100)에 있어서의 플러그 장치의 접속 위치를 배선 덕트(100)의 긴 쪽 방향을 따라 변경하더라도, 어스 접속을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even if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plug apparatus in the wiring duct 100 is ch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ring duct 100, earth connection can be performed.

제 4 태양과 관련되는 배선 덕트(100)에서는, 제 2 태양 또는 제 3 태양에 있어서, 프레임(10)은, 어스 단자(11)인 제 1 어스 단자(11)와는 별도로, 프레임(10)의 내면의 일부에 내부 공간(14)을 향해서 돌출하는 제 2 어스 단자(13)를 더 갖는다. 제 1 어스 단자(11)와 접속구(12)가 늘어서는 방향은, 프레임(10)의 긴 쪽 방향 및 접속구(12)의 개구 방향의 양쪽과 직교한다. 제 2 어스 단자(13)는 접속구(12)에 대하여 제 1 어스 단자(11)와는 반대쪽의 위치에 있다.In the wiring duct 100 which concerns on a 4th aspect, in the 2nd aspect or 3rd aspect, the frame 10 of the frame 10 is independent of the 1st earth terminal 11 which is the earth terminal 11. It further has a 2nd earth terminal 13 which protrudes toward the inner space 14 in a part of inner surfa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earth terminal 11 and the connection port 12 line up is perpendicular to bo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 and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 12. The second earth terminal 13 is locat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earth terminal 11 with respect to the connector 12.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어스 단자(11)뿐만 아니라 제 2 어스 단자(13)도 이용하여 어스 접속을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not only the 1st earth terminal 11 but the 2nd earth terminal 13 can also be used for earth connection.

제 5 태양과 관련되는 배선 덕트(100)는, 제 1 태양 내지 제 4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프레임(10)의 외면을 덮는, 전기 절연성을 갖는 피복부(40)를 더 구비한다. 피복부(40)는, 어스 단자(11)를 노출시키는 노출구(41)를 갖는다.The wiring duct 100 which concerns on a 5th aspect is further provided with the coating part 40 with electrical insulation which covers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0 in any one of the 1st-4th aspect. . The covering part 40 has the exposure opening 41 which exposes the earth terminal 11.

이 구성에 의하면, 노출구(41)에 의해 어스 단자(11)를 노출시킴으로써, 어스 접속이 용이해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arth connection becomes easy by exposing the earth terminal 11 by the exposure port 41.

제 6 태양과 관련되는 플러그 장치(200)는, 배선 덕트에 접속된다. 플러그 장치(200)는, 배선 덕트에 접속되는 상태에서 배선 덕트의 외면의 일부에 대향하는 면(52)과, 이 면(52)으로부터 돌출하는 어스 접속 단자(50)를 구비한다.The plu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ixth aspect is connected to a wiring duct. The plug device 200 is provided with the surface 52 which opposes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wiring duct in the state connected to the wiring duct, and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which protrudes from this surface 52.

이 구성에 의하면, 배선 덕트가 플러그 장치(200)와 접속되는 경우, 배선 덕트의 외면에 있어서 어스 접속 단자(50)를 이용하여 어스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 때문에, 배선 덕트와 플러그 장치(200)의 사이의 급전 접속 전에 양자 사이의 어스 접속을 하는 것이 용이하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a wiring duct is connected with the plug apparatus 200, there exists an advantage that earth connection is enabled using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in the outer surface of a wiring duct. Therefore, it is easy to make the earth connection between both before the power supply connection between the wiring duct and the plug device 200.

제 7 태양과 관련되는 플러그 장치(200)는, 제 6 태양에 있어서, 플러그 장치(200)가 배선 덕트에 접속되는 상태에서 배선 덕트에 있어서의 급전용의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급전 단자(70)를 더 구비한다.The plu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venth aspect is, in the sixth aspect, a power supply terminal 70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ductor for power feeding in the wiring duct in a state where the plug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wiring duct. ) Is further provided.

제 8 태양과 관련되는 플러그 장치(200)는, 제 6 태양 또는 제 7 태양에 있어서, 급전 단자(70)를 더 구비한다. 플러그 장치(200)가 배선 덕트에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급전 단자(70)와 배선 덕트의 사이에 발생하는 접촉압은, 어스 접속 단자(50)와 배선 덕트의 사이에 발생하는 접촉압보다 높다.The plu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ighth aspect further includes a power feeding terminal 70 in the sixth or seventh aspect. In the state where the plug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wiring duct, the contact pressure generated between the power supply terminal 70 and the wiring duct is higher than the contact pressure generated between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and the wiring duct. .

이 구성에 의하면, 급전 단자(70)가 눌리기 전에 어스 접속 단자(50)가 눌리더라도, 어스 접속 단자(50)의 파손이 억제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even if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is pressed before the power supply terminal 70 is pressed, damage to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is suppressed.

제 9 태양과 관련되는 플러그 장치(200)에서는, 제 6 태양 내지 제 8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어스 접속 단자(50)가 어스 접속 단자(50)가 돌출하는 방면과는 반대 방면으로 눌리면 어스 접속 단자(50)에 어스 접속 단자(50)가 돌출하는 방면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용수철 구조(60)를 더 구비한다.In the plu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ninth aspect, in any one of the sixth to eighth aspects,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is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protrudes. When pressed, the spring structure 60 is further provided with the spring structure 60 which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direction which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protrudes.

이 구성에 의하면, 어스 접속 단자(50)가 눌린 경우에 어스 접속 단자(50)에 적당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어스 접속 단자(50)는, 배선 덕트에 있어서의 어스용의 도체에 적당한 접촉압으로 접하여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을 발생시킬 수 있고, 또한 어스 접속 단자(50)의 파손이 억제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an appropriate elastic force can be applied to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when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is pressed. For this reason,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can contact the earth conductor in the wiring duct with a suitable contact pressure to generate stable electrical connection, and damage to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is suppressed.

제 10 태양과 관련되는 플러그 장치(200)에서는, 제 9 태양에 있어서, 용수철 구조(60)는, 플러그 장치(200)에 고정되는 고정부(64)와 어스 접속 단자(50)에 이어지는 부분인 결합부(65)를 갖는 판 용수철(61)을 구비한다. 판 용수철(61)은, 고정부(64)와 결합부(65)를 잇는 선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66)을 더 갖는다.In the plu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tenth aspect, in the ninth aspect, the spring structure 60 is a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fixed portion 64 and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fixed to the plug device 200. The plate spring 61 which has the engaging part 65 is provided. The plate spring 61 further has a portion 66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line segment connecting the fixing portion 64 and the engaging portion 65.

이 구성에 의하면, 판 용수철(61)의 고정부(64)와 결합부(65)의 사이의 외관상의 치수에 대한 실효적인 치수를 크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판 용수철(61)에, 그 외관상의 치수에 비하여 작은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어스 접속 단자(50)와 배선 덕트의 사이에 발생하는 접촉압을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effective dimension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dimension between the fixing | fixed part 64 and the coupling part 65 of the plate spring 61 can be enlarged, and, thereby, to the plate spring 61,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small elastic force compared with the apparent dimension. For this reason, the contact pressure which arises between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and a wiring duct can be reduced.

제 11 태양과 관련되는 플러그 장치(200)는, 제 9 태양 또는 제 10 태양에 있어서, 어스 접속 단자(50)가 돌출하는 방면과는 반대 방면으로의 어스 접속 단자(50)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51)를 더 구비한다.The plu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leventh aspect regulates the movement of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protrudes in the ninth or tenth aspect. A stopper 51 is further provided.

이 구성에 의하면, 어스 접속 단자(50)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에 따라, 용수철 구조(60)가 과도하게 변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용수철 구조(60)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by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it can suppress that the spring structure 60 deform | transforms excessively and can suppress the damage of the spring structure 60 by this. .

제 12 태양과 관련되는 배전 시스템(300)은, 제 1 태양 내지 제 5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과 관련되는 배선 덕트(100)와, 제 6 태양 내지 제 11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과 관련되는 플러그 장치(200)를 구비한다.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300 according to the twelfth aspect relates to the wiring duct 100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fifth aspects, and to the one of the sixth to eleventh aspects. The plug device 200 is provided.

이 구성에 의하면, 배선 덕트(100)와 플러그 장치(200)를 접속함에 있어서, 배선 덕트(100)와 플러그 장치의 사이의 급전 접속 전에 어스 단자(11)와 어스 접속 단자(5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용이하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in connecting the wiring duct 100 and the plug apparatus 200, the earth terminal 11 and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are electrically connected before the power supply connection between the wiring duct 100 and the plug apparatus. It is easy to be connected.

제 13 태양과 관련되는 배전 시스템(300)에서는, 제 12 태양에 있어서, 플러그 장치(200)는, 플러그 장치(200)가 배선 덕트에 접속되는 상태에서 급전용 도체(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급전 단자(70)를 구비한다. 플러그 장치(200)에 있어서의 어스 접속 단자(50)의 위치는, 플러그 장치(200)가 배선 덕트(100)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접속될 때까지의 과정에서, 어스 단자(11)와 대향하고, 또한 급전용 도체(30)와 급전 단자(7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전에 어스 단자(11)와 접촉하는 위치이다.In 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300 according to the thirteenth aspect, in the twelfth aspect, the plug device 2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conductor 30 in a state where the plug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wiring duct. The power supply terminal 70 is provided. The position of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in the plug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earth terminal 11 in the process from when the plug device 200 is not connected to the wiring duct 100 to the connection. It is a position which opposes and contacts the earth terminal 11 before the electric power feeding conductor 30 and the electric power feeding terminal 70 are electrically connected.

이 구성에 의하면, 배선 덕트(100)와 플러그 장치(200)를 접속함에 있어서, 급전용 도체(30)와 급전 단자(7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전에 어스 단자(11)와 어스 접속 단자(5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용이하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in connecting the wiring duct 100 and the plug device 200, the earth terminal 11 and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50 before the conductor 30 for electric power feeding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70 are electrically connected. ) Is easily connected electrically.

100 : 배선 덕트
200 : 플러그 장치
300 : 배전 시스템
10 : 프레임
11 : 어스 단자(제 1 어스 단자)
12 : 접속구
13 : 제 2 어스 단자
14 : 내부 공간
20 : 하우징
30 : 급전용 도체
40 : 피복부
41 : 노출구
50 : 어스 접속 단자
51 : 스토퍼
52 : 면(대향면)
60 : 용수철 구조
61 : 판 용수철
64 : 고정부
65 : 결합부
70 : 급전 단자
100: wiring duct
200: plug device
300: power distribution system
10: frame
11: earth terminal (first earth terminal)
12: connection port
13: second earth terminal
14: interior space
20: housing
30: feeding conductor
40: covering part
41: exposed port
50: Earth connection terminal
51: stopper
52: face (opposite face)
60: spring structure
61: plate spring
64: fixed part
65: coupling part
70: feed terminal

Claims (11)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도전성을 갖는 중공(中空)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유지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내부 공간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프레임의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접속구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어 있는 급전용 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외면의 일부에 어스 단자를 갖는 배선 덕트에 접속되는 플러그 장치로서,
상기 배선 덕트에 접속되는 상태에서 상기 배선 덕트의 외면의 일부에 대향하는 면과,
상기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어스 접속 단자와,
상기 배선 덕트에 접속되는 상태에서 상기 접속구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으로 넣어지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가 구비하며, 상기 배선 덕트에 접속되는 상태에서 상기 급전용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급전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장치를 상기 배선 덕트에 접속할 때에, 상기 급전 단자와 상기 급전용 도체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전에 상기 어스 단자가 상기 어스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러그 장치.
At a position opposite to a conductive hollow frame, a housing held in the frame in the inner space of the frame, and a connecting port connecting the inner space and the outer space of the frame in the inner space; A plug device having a power feeding conductor held in the housing, wherein the frame is connected to a wiring duct having an earth terminal on a part of an outer surface of the frame,
A surface facing a part of an outer surface of the wiring duct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wiring duct;
An earth connection terminal protruding from the surface;
A connection portion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from the connection port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wiring duct;
And a feed terminal provided with the connecting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eeder conductor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wiring duct,
When the plug device is connected to the wiring duct, the earth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before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conductor for electric power supply are electrically connected.
Plug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덕트에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급전 단자와 상기 배선 덕트의 사이에 발생하는 접촉압은, 상기 어스 접속 단자와 상기 배선 덕트의 사이에 발생하는 접촉압보다 높은
플러그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In the state connected to the said wiring duct, the contact pressure which arises between the said feed terminal and the said wiring duct is higher than the contact pressure which arises between the said earth connection terminal and the said wiring duct.
Plug device.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어스 접속 단자는 상기 어스 접속 단자가 돌출하는 방면과는 반대 방면으로 눌리면 상기 어스 접속 단자에 상기 어스 접속 단자가 돌출하는 방면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용수철 구조를 더 구비하는 플러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And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further includes a spring structure that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when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protrudes when pres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where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protrude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철 구조는, 상기 플러그 장치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어스 접속 단자에 이어지는 부분인 결합부를 갖는 판 용수철을 구비하고,
상기 판 용수철은, 상기 고정부와 상기 결합부를 잇는 선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더 갖는
플러그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spring structure includes a plate spring having a fixing portion fixed to the plug device and a coupling portion that is a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The plate spring further has a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a line segment connecting the fixing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Plug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어스 접속 단자가 돌출하는 방면과는 반대 방면으로의 상기 어스 접속 단자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플러그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And a stopper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arth connection terminal protrudes.
청구항 6에 기재된 배선 덕트와,
청구항 6에 기재된 플러그 장치
를 구비하는 배전 시스템.
The wiring duct of Claim 6,
Plug device according to claim 6
Power distribution system having a.
KR1020180113121A 2017-09-29 2018-09-20 Wiring duct, plug device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KR10208440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91901A JP7033745B2 (en) 2017-09-29 2017-09-29 Power distribution system
JPJP-P-2017-191901 2017-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352A KR20190038352A (en) 2019-04-08
KR102084403B1 true KR102084403B1 (en) 2020-03-04

Family

ID=65919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121A KR102084403B1 (en) 2017-09-29 2018-09-20 Wiring duct, plug device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33745B2 (en)
KR (1) KR102084403B1 (en)
CN (1) CN109586129B (en)
TW (1) TWI693757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51728A4 (en) 2019-03-29 2022-12-28 Laurel Bank Machines Co., Ltd. Medium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of connecting units in medium processing device
JP7308412B2 (en) * 2019-10-15 2023-07-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connection device
JP7331656B2 (en) * 2019-11-21 2023-08-2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Feeding blocks, wiring units and wiring systems
KR102434464B1 (en) * 2021-12-08 2022-08-23 주식회사 행림종합건축사사무소 The building structure electric cable installation floor duct facilit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3346A (en) * 2002-09-09 2004-04-02 Ssec Kk Ground terminal connecting device for wiring duct
JP2005183097A (en) 2003-12-17 2005-07-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lectromagnetic relay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612998U1 (en) * 1976-04-26 1976-08-26 Staff Kg, 4920 Lemgo Plastic busbar
JPS5413595B1 (en) * 1976-06-25 1979-05-31
JPS5333899U (en) * 1976-08-30 1978-03-24
JPS60225386A (en) * 1984-04-20 1985-11-09 松下電工株式会社 Earth leading device for wiring duct
CN1061305A (en) * 1990-11-06 1992-05-20 尤大千 Sealed insulating plug-in wire way wiring device
JPH08250222A (en) * 1995-03-15 1996-09-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Outlet device for power feeder duct
JPH09182259A (en) * 1995-12-28 1997-07-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Noise absorber for power supply duct
JP3975827B2 (en) * 2002-05-16 2007-09-12 松下電工株式会社 Wiring duct
JP2009187917A (en) 2008-02-07 2009-08-20 Mitsuboshi Denki Seisakusho:Kk Plug for lighting duct with independent grounding electrode
JP5749181B2 (en) 2009-02-09 2015-07-15 スノビオン プハルマセウトイカル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Pyrrolidine triple reuptake inhibitor
US7819676B1 (en) * 2009-11-12 2010-10-26 Power Distribution Inc.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system
JP5413595B2 (en) 2010-01-28 2014-02-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Integrated circuit device, electronic equipment
CN103038964A (en) * 2010-06-24 2013-04-1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Wiring duct, wiring duct system, and electric device connected to the wiring duct
JP6528298B2 (en) 2013-05-15 2019-06-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Wiring duct connection device
CN107017596A (en) * 2017-05-19 2017-08-04 深圳市海德森科技股份有限公司 Bus duc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3346A (en) * 2002-09-09 2004-04-02 Ssec Kk Ground terminal connecting device for wiring duct
JP2005183097A (en) 2003-12-17 2005-07-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lectromagnetic re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067631A (en) 2019-04-25
CN109586129B (en) 2020-10-09
KR20190038352A (en) 2019-04-08
JP7033745B2 (en) 2022-03-11
CN109586129A (en) 2019-04-05
TW201916499A (en) 2019-04-16
TWI693757B (en) 202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4403B1 (en) Wiring duct, plug device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US9099808B2 (en) Shielded connector
CN102195168B (en) Electric connector and components thereof
CN104205510B (en) Charge coupled device
KR101258019B1 (en) Connector
US10103496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shield contact
CN103997003A (en) Part flow device for bus duct
CN109994868B (en) Terminal device and power converter including the same
JP2021519499A (en)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the shield conductor of an electric cable to the grounding part
JP2018101556A (en) Terminal module and connector
TWM549469U (en) Wire insertion auxiliary sleeve structure used for wire terminals
KR101050539B1 (en) Adapter for connection between grounding cable and distribution board
KR101037722B1 (en) Grounding cable connector
KR101037721B1 (en) Grounding cable distribution board for electric shock protection
CN110391111B (en) Connection terminal structure of electrical equipment
JP2011014498A (en) Connector
JP2006333573A (en) Cable clamp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2102588B1 (en) Plug device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KR102256729B1 (en) Multi-socketed outlet with incision divice of wire
JP2015125855A (en) Electric connector
KR20100070843A (en) Connector assembly
KR20160069746A (en) Connecter
KR100955054B1 (en) Connector assembly and assembling method for the same
JP7126936B2 (en) Metal terminals and wires with terminals
CN114830459B (en) Wire side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