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359B1 -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359B1
KR102084359B1 KR1020190106216A KR20190106216A KR102084359B1 KR 102084359 B1 KR102084359 B1 KR 102084359B1 KR 1020190106216 A KR1020190106216 A KR 1020190106216A KR 20190106216 A KR20190106216 A KR 20190106216A KR 102084359 B1 KR102084359 B1 KR 102084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formula
diagnostic
sulfonic acid
polym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률
Original Assignee
박성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률 filed Critical 박성률
Priority to KR1020190106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3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1/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polysulf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1/06Polysulfones; Polyethersulf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66Polymers having sulfur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 B01D71/68Polysulfones; Polyethersulf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0Specific permeability or cut-off ran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항체에 대한 선별 및 흡착 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기공 형성용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을 최소화하여 멤브레인 표면에 기공을 형성하여 상기 기공의 형태와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잔류 기공 형성용 첨가제에 의한 부반응, 부작용 등을 회피할 수 있고, 멤브레인의 수투과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장기간 사용에도 물에 녹지 않아 멤브레인 표면에 오염물질이 흡착되는 파울링(fouling) 현상을 저감시켜 멤브레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어, 바이오의약품의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Resin composition for membrane to purify or diagnose biological product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항체에 대한 선별 및 흡착 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기공 형성용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을 최소화하여 멤브레인 표면에 기공을 형성하여 상기 기공의 형태와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잔류 기공 형성용 첨가제에 의한 부반응, 부작용 등을 회피할 수 있고, 멤브레인의 수투과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장기간 사용에도 물에 녹지 않아 멤브레인 표면에 오염물질이 흡착되는 파울링(fouling) 현상을 저감시켜 멤브레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어, 바이오의약품의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밀여과막 또는 한외여과막에 존재하는 기공의 크기나 형태를 조절하기 위하여 제조 과정에서 다양한 소재가 사용된다. 이러한 소재의 예로는, 폴리비닐프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등의 고분자 수지, 염화리튬(LiCl) 또는 과염소산리튬(LiClO4) 등의 금속염 화합물, 아세트산 또는 인산 등의 무기산, 프로피온산 등의 유기산, 에탄올, 아세톤, 글라이콜, 에틸렌 글라이콜, 물 등의 유기 또는 수용성 용매 등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소재들 중 친수성 소재로 분리막을 제조하게 되면 분리막의 수투과도가 향상 될 뿐 아니라, 분리막 표면에 오염물질이 흡착되는 파울링(fouling) 현상을 줄여주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친수성 소재는 물과의 친화도가 높아서 물에 녹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여과막의 실제 운전 과정에서도 친수성 소재가 물에 녹게 되어, 소재 사용에 따라 유도되는 수투과도 향상이나 앤티파울링(Anti-fouling) 효과가 운전 시간이 지날수록 줄어들어 결국에는 오염원에 의해 흡착이 잘 되고 그로 인해 막의 분리기능을 잃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54765호에는 정밀여과막 또는 한외여과막 제조용 고분자 첨가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고분자 첨가제는 고분자의 분자구조에 따른 항체의 선별 및 흡착 능력이 구현되지 않거나 크게 불충분하고, 또한 분리막의 수투과도 및 앤티파울링 효과 역시 불충분한 한계가 있었고, 최종 제품의 생산비용이 고가인 문제가 있었다.
여기서, 정밀여과막, 한외여과막 등의 멤브레인은 물질을 분리하는 기능성을 가진 얇은 막으로서 기공 사이즈를 통해 분리하는 경우와 분자의 자유부피(free volume)을 이용하여 확산으로 분리하는 방법 등이 존재하고, 기공 사이즈를 통해 분리하는 멤브레인의 경우 기공 사이즈에 따라 MF(micro filtration), UF(ultra filtration), NF(nano filtration), RO(reverse osmosis) 등으로 구분되고 RO를 제외한 MF, UF, NF는 이에 알맞은 기공 사이즈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변화법을 활용하여 멤브레인에 기공을 형성한다.
그런데, 이러한 기공 형성을 위해 비용매 유도 상분리법(NIPS)을 이용한 멤브레인의 제조방법은 기공 형성을 위한 유도물질(첨가제)을 활용하여 기공도를 조절하는데 이러한 유도물질(첨가제)이 잔류하여 부반응, 부작용 등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항체에 대한 선별 및 흡착 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기공 형성용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을 최소화하여 멤브레인 표면에 기공을 형성하여 상기 기공의 형태와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잔류 기공 형성용 첨가제에 의한 부반응, 부작용 등을 회피할 수 있고, 멤브레인의 수투과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장기간 사용에도 물에 녹지 않아 멤브레인 표면에 오염물질이 흡착되는 파울링(fouling) 현상을 저감시켜 멤브레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멤브레인 소재 및 이의 응용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항체의 선별 및 흡착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멤브레인 표면에 보다 효율적으로 기공을 형성할 수 있게 하며 상기 기공의 형태와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멤브레인의 수투과도를 향상시키면서 장시간 사용에도 물에 녹지 않아 파울링 현상을 크게 줄일 수 있어, 바이오의약품 정제 혹은 진단기 멤브레인 소재로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의 블록을 랜덤하게 포함하는 폴리설폰계 랜덤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화학식 1]
Figure 112020000913975-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 중 하나, R5 내지 R8 중 하나 및 R9 내지 R12 중 하나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설폰산 또는 이의 염이고, R1 내지 R12 중 설폰산 또는 이의 염이 아닌 작용기는 수소나 할로겐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고,
[화학식 2]
Figure 112020000913975-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내지 R4 중 하나 및 R5 내지 R8 중 하나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설폰산 또는 이의 염이고, R1 내지 R8 중 설폰산 또는 이의 염이 아닌 작용기 및 R9 내지 R12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나 할로겐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고,
[화학식 3]
Figure 112020000913975-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R9 내지 R12 중 하나는 설폰산 또는 이의 염이고, R1 내지 R8 및 R9 내지 R12 중 설폰산 또는 이의 염이 아닌 작용기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나 할로겐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고,
[화학식 4]
Figure 112020000913975-pat00004
상기 화학식 4에서, R1 내지 R12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나 할로겐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고,
상기 화학식 1 내지 4에서, 아래 수학식 1로 정의되는 설폰화도(Degree of Sulfonation; DS)는 97.5% 이하인,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를 제공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20000913975-pat00005
여기서, 상기 설폰화도(DS)는 2.5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화학식 1 내지 4에서, m:n:o:p의 몰비는 95:2.4:2.4:0.6 내지 0.6:2.4:2.4: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화학식 1 내지 4의 블록은 각각 아래 화학식 5 내지 8의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를 제공한다.
[화학식 5]
Figure 112020000913975-pat00006
[화학식 6]
Figure 112020000913975-pat00007
[화학식 7]
Figure 112020000913975-pat00008
[화학식 8]
Figure 112020000913975-pat00009
상기 화학식 5 내지 8에서,
R13 및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설폰산 또는 이의 염이고, 예를 들어, R13은 설폰산이고 R14는 설폰산 칼륨염이다.
여기서, 상기 폴리설폰계 랜덤 블록 공중합체가 하기 화학식 9 및/또는 10의 블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를 제공한다.
[화학식 9]
Figure 112020000913975-pat00010
[화학식 10]
Figure 112020000913975-pat00011
상기 화학식 9 및 10에서,
R13 및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설폰산 또는 이의 염이고, 예를 들어, R13은 설폰산이고 R14는 설폰산 칼륨염이다.
한편, 아래 단계 a) 내지 c)를 포함하는, 상기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하이드로퀴논계 화합물을 활성화하는 단계,
b) 활성화된 하이드로퀴논계 화합물과 디페닐설폰계 화합물을 축중합하는 단계, 및
c) 중합체의 세척 및 건조 단계.
여기서, 상기 하이드로퀴논계 화합물은 하이드로퀴논과 하이드로퀴논 설폰산 또는 하이드로퀴논 설폰산염을 포함하고, 상기 디페닐설폰계 화합물은 4,4-디클로로디페닐 설폰(DCDPS) 및 3,3-디설포네이티드-4,4-디클로로페닐 설폰(SDCDP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화학식 1 내지 4의 블록은 각각 아래 화학식 5 내지 8의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5]
Figure 112020000913975-pat00012
[화학식 6]
Figure 112020000913975-pat00013
[화학식 7]
Figure 112020000913975-pat00014
[화학식 8]
Figure 112020000913975-pat00015
상기 화학식 5 내지 8에서,
R13 및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설폰산 또는 이의 염이고, 예를 들어, R13은 설폰산이고 R14는 설폰산 칼륨염이다.
그리고, 상기 폴리설폰계 랜덤 블록 공중합체가 하기 화학식 9 및/또는 10의 블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9]
Figure 112020000913975-pat00016
[화학식 10]
Figure 112020000913975-pat00017
상기 화학식 9 및 10에서,
R13 및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설폰산 또는 이의 염이고, 예를 들어, R13은 설폰산이고 R14는 설폰산 칼륨염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는 새로운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구조 및 블록의 종류별 정밀한 개수 조절에 의해 항체의 선별 및 흡착 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멤브레인 표면에 보다 효율적으로 기공을 형성할 수 있게 하며 상기 기공의 형태와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멤브레인의 수투과도를 향상시키면서 장기간 사용에도 물에 녹지 않아 멤브레인 표면에 오염물질이 흡착되는 파울링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제조한 30 kDa의 분획분자량을 갖는 멤브레인의 표면을 촬영한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제조한 100 kDa의 분획분자량을 갖는 멤브레인의 표면을 촬영한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의 블록, 즉 반복단위를 랜덤하게 포함하는 폴리설폰계 랜덤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20000913975-pat00018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 중 하나, R5 내지 R8 중 하나 및 R9 내지 R12 중 하나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설폰산 또는 이의 염이고, R1 내지 R12 중 설폰산 또는 이의 염이 아닌 작용기는 수소나 할로겐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20000913975-pat00019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내지 R4 중 하나 및 R5 내지 R8 중 하나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설폰산 또는 이의 염이고, R1 내지 R8 중 설폰산 또는 이의 염이 아닌 작용기 및 R9 내지 R12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나 할로겐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다.
[화학식 3]
Figure 112020000913975-pat00020
상기 화학식 3에서, R9 내지 R12 중 하나는 설폰산 또는 이의 염이고, R1 내지 R8 및 R9 내지 R12 중 설폰산 또는 이의 염이 아닌 작용기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나 할로겐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다.
[화학식 4]
Figure 112020000913975-pat00021
상기 화학식 4에서, R1 내지 R12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나 할로겐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다.
또한, 상기 화학식 1 내지 4에서, 아래 수학식 1로 정의되는 설폰화도(Degree of Sulfonation; DS)는 97.5% 이하, 예를 들어, 2.5 내지 97.5%,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80%,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0%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0000913975-pat00022
이러한 설폰화도(DS)를 구현하기 위해,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1 내지 4에서, m:n:o:p의 몰비는 95:2.4:2.4:0.6 내지 0.6:2.4:2.4:95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설폰화도가 97.5% 초과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수지가 적용된 멤브레인은 장기간 사용시 물에 녹아 표면에 오염물질이 흡착되는 파울링(fouling) 현상이 발생하고 수명이 단축될 수 있는 반면, 2.5% 미만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수지가 적용된 멤브레인은 항체에 대한 선별 및 흡착 능력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고 수투과도가 불충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 내지 4의 블록은 각각 아래 화학식 5 내지 8의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5]
Figure 112020000913975-pat00023
[화학식 6]
Figure 112020000913975-pat00024
[화학식 7]
Figure 112020000913975-pat00025
[화학식 8]
Figure 112020000913975-pat00026
상기 화학식 5 내지 8에서,
R13 및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설폰산 또는 이의 염이고, 예를 들어, R13은 설폰산이고 R14는 설폰산 칼륨염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는 아래 화학식 9 및/또는 10의 블록, 즉 반복단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9]
Figure 112020000913975-pat00027
[화학식 10]
Figure 112020000913975-pat00028
상기 화학식 9 및 10에서,
R13 및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설폰산 또는 이의 염이고, 예를 들어, R13은 설폰산이고 R14는 설폰산 칼륨염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1 내지 4의 블록,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5 내지 8의 블록을 포함하고 이들의 종류별 개수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상기 블록별 포함된 작용기로서 극성이 매우 높은 설폰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구조를 활용하여 친수성을 극대화시키는 동시에 유리전이온도가 200 내지 350℃ 수준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멤브레인 표면에 보다 효율적으로 기공을 형성할 수 있게 하며 상기 기공의 형태와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멤브레인의 수투과도를 향상시키면서 장시간 사용에도 물에 녹지 않아 파울링 현상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기공조절을 위한 첨가제의 도입을 최소화하고 바람직하게는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잔류 첨가제에 의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는 정밀하게 조절된 구조와 개수의 극성기를 통해 멤브레인을 통과시키고자 하는 대상인 항체 등을 선별 및 흡착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바이오의약품 정제 및 진단용 장치의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는 아래 단계 a) 내지 c)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a) 하이드로퀴논계 화합물을 활성화하는 단계,
b) 활성화된 하이드로퀴논계 화합물과 디페닐설폰계 화합물을 축중합하는 단계, 및
c) 중합체의 세척 및 건조 단계
구체적으로, 상기 하이드로퀴논계 화합물은 하이드로퀴논과 하이드로퀴논 설폰산, 하이드로퀴논 설폰산염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디페닐설폰계 화합물은 4,4-디클로로디페닐 설폰(DCDPS)과 3,3-디설포네이티드-4,4-디클로로페닐 설폰(SDCDP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a)는 3구 플라스크(250 ml)에 하이드로퀴논계 화합물, 예를 들어 하이드로퀴논, 하이드로퀴논 설폰산, 하이드로퀴논 설폰산염 등을 구분하여 몰비 0.5 내지 95%의 비율로 구분하여 첨가하고, 2:1 이상의 중량비로 탄산칼륨(K2CO3)과 용매, 예를 들어 NMP(을, DMAc, DMSO 등 양친성 용매), 톨루엔(또는 벤젠 등)을 첨가하여 하이드로퀴논계 화합물을 약 160℃에서 7시간 내외의 시간 동안 활성화한 후, 딘스탁 증류장치를 활용하여 공비증류함으로써 톨루엔을 제거한다.
또한, 상기 단계 b)는 디페닐설폰계 화합물과 활성화된 하이드로퀴논계 화합물 약 85 중량% 및 용매로서 DMAc(NMP, DMF, DMSO 등 양친성 용매) 약 15 중량%를 혼합하고 15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약 190℃에서 약 30시간 동안 반응시켜 축중합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 c)는 해당 반응물인 중합체를 순수와 알콜성 용매(IPA, 에탄올 등)를 중량비 1:1로 혼합한 세척액으로 세척하고 110℃에서 진공 건조함으로써 95% 수율로 최종 결과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 제조예
아래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량체 화합물로서 4,4-디클로로디페닐 설폰(DCDPS), 3,3-디설포네이티드-4,4-디클로로디페닐 설폰(SDCDPS), 하이드로퀴논(HQ) 및 하이드로퀴논 설폰산 칼륨염(HQSP)을 몰비 1:1:1:1로 혼합함으로써 화학식 5 내지 8의 블록, 즉 반복단위를 몰비 m:n:o:p=1:1:1:1로 포함하는 랜덤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했다.
단량체 화합물(mole) 블록(mole) DS(%) Tg(℃)
DCDPS SDCDPS HQ HQSP m n o p
0.25 0.25 0.25 0.25 0.25 0.25 0.25 0.25 50 270.1
그리고, 제조한 랜덤 블록 공중합체를 60℃의 진공오븐에서 4시간 동안 건조시켜 수분을 충분히 제거한 후 25 중량%를 용매 NMP 75 중량%와 함께 3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12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고분자 용액을 제조했다.
그 다음, 제조된 고분자 용액은 25℃의 상온에서 80% 이상의 상대습도를 갖는 조건에 노출시켜 캐스팅 도구를 사용하여 멤브레인을 제작했고, 제조된 후 약 30여초의 시간을 두고 비용매에 세척하여 잔여 용매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친 후, 제조된 멤브레인은 60℃의 열수에서 잔류용매를 추가 제거하고 60℃의 오븐에서 수분제거를 위하여 4시간 건조하여 수득했다.
분자분획능이 각각 30 kDa UF 및 100 kDa UF으로 제조된 멤브레인 표면의 기공은 도 1 및 2의 전자현미경 사진에서와 같이 확인되었다.
2. 분자 제거성능 평가
분자분획능이 각각 30 kDa UF 및 100 kDa UF으로 제조된 멤브레인을 이용하여 증류수에 함유된 폴리스티렌 비드의 투과실험을 수행했고, 순수의 투과유량은 아래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멤브레인 분자분획능 순수의 투과유량
30 kDa UF 500 LMH
100 kDa UF 2,000 LMH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는 별도의 기공 형성용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기공의 형태와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로써 수투과도가 향상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5 내지 화학식 8의 블록을 랜덤하게 포함하는 폴리설폰계 랜덤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화학식 5]
    Figure 112020000913975-pat00048

    [화학식 6]
    Figure 112020000913975-pat00049

    [화학식 7]
    Figure 112020000913975-pat00050

    [화학식 8]
    Figure 112020000913975-pat00051

    상기 화학식 5 내지 8에서,
    R13 및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설폰산 또는 이의 염이고,
    상기 화학식 5 내지 8에서, 아래 수학식 1로 정의되는 설폰화도(Degree of Sulfonation; DS)는 97.5% 이하인,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
    [수학식 1]
    Figure 112020000913975-pat00033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폰화도(DS)는 2.5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5 내지 8에서, m:n:o:p의 몰비는 95:2.4:2.4:0.6 내지 0.6:2.4:2.4: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5 내지 8에서, R13은 설폰산이고 R14는 설폰산 칼륨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설폰계 랜덤 블록 공중합체가 하기 화학식 9 및/또는 10의 블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
    [화학식 9]
    Figure 112020000913975-pat00038

    [화학식 10]
    Figure 112020000913975-pat00039

    상기 화학식 9 및 10에서,
    R13 및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설폰산 또는 이의 염이다.
  6. 아래 단계 a) 내지 c)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의 제조방법.
    a) 하이드로퀴논계 화합물을 활성화하는 단계,
    b) 활성화된 하이드로퀴논계 화합물과 디페닐설폰계 화합물을 축중합하는 단계, 및
    c) 중합체의 세척 및 건조 단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퀴논계 화합물은 하이드로퀴논과 하이드로퀴논 설폰산 또는 하이드로퀴논 설폰산염을 포함하고,
    상기 디페닐설폰계 화합물은 4,4-디클로로디페닐 설폰(DCDPS) 및 3,3-디설포네이티드-4,4-디클로로페닐 설폰(SDCDP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5 내지 8에서, R13은 설폰산이고 R14는 설폰산 칼륨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설폰계 랜덤 블록 공중합체가 하기 화학식 9 및/또는 10의 블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의 제조방법.
    [화학식 9]
    Figure 112020000913975-pat00044

    [화학식 10]
    Figure 112020000913975-pat00045

    상기 화학식 9 및 10에서,
    R13 및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설폰산 또는 이의 염이다.
KR1020190106216A 2019-08-29 2019-08-29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84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216A KR102084359B1 (ko) 2019-08-29 2019-08-29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216A KR102084359B1 (ko) 2019-08-29 2019-08-29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359B1 true KR102084359B1 (ko) 2020-03-03

Family

ID=69938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216A KR102084359B1 (ko) 2019-08-29 2019-08-29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3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357A (ko) 2020-07-17 2022-01-25 주식회사 움틀 니트로기를 포함하는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4842A (ko) * 2009-09-29 2011-04-06 광주과학기술원 사슬 내부에 가교구조를 형성하는 술폰화된 폴리(아릴렌 에터)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고분자 염제거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4842A (ko) * 2009-09-29 2011-04-06 광주과학기술원 사슬 내부에 가교구조를 형성하는 술폰화된 폴리(아릴렌 에터)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고분자 염제거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357A (ko) 2020-07-17 2022-01-25 주식회사 움틀 니트로기를 포함하는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ng et al. Recent membrane development for pervaporation processes
Zhao et al. Modification of polyethersulfone membranes–A review of methods
US5067971A (en) Process for dehydration of gases and composite permeable membranes therefor
Chapman et al. Membranes for the dehydration of solvents by pervaporation
US4971695A (en) Sulfonated hexafluoro bis-a polysulfone membranes and process for fluid separations
US20070051680A1 (en) Hydrophilic cross-linked polymeric membranes and sorbents
JP6211059B2 (ja) スルホン化ポリフェニレンスルホンから製造された限外ろ過膜
JP2008043948A (ja) 耐溶剤性ナノフィルトレーション・メンブレン
AU2016218941B2 (en) Chlorine resistant polyelectrolyte multilayer membranes for desalination
CN107708846B (zh) 水处理膜和用于制造其的方法
JP2016503448A (ja) フッ素化エチレン‐プロピレンポリマーを含有するガス分離のためのブレンドポリマー膜
WO2019016082A1 (en) SULFONATED POLYARYLETHERSULFONES AND THEIR MEMBRANES
KR102084359B1 (ko) 바이오의약품 정제 또는 진단기 멤브레인용 고분자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JP6312148B2 (ja) 高性能の正荷電複合膜及びそれらをナノろ過プロセスに用いる使用
JPS62201603A (ja) 親水化ポリスルホン膜
KR101790174B1 (ko) Pva 코팅된 중공사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US11786871B2 (en) Composite poly (aryl ether ketone) membranes, their preparation and use thereof
JP2010214245A (ja) 官能基を有するグラフト鎖が固定された多孔膜、その製造方法および利用
KR20150016019A (ko) 염제거율 및 투과유량 특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계 수처리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JPH10309449A (ja) 有機物分離用高分子膜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56043B1 (ko) 양전하성 오염물질에 대한 내오염성이 우수한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93160A (ko) 폴리에테르술폰 계열 고유량 나노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23425A (ko) 폴리아미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074166A (ko) 고유량 나노필트레이션 복합막의 제조방법
JP6712717B2 (ja) 水処理用ポリ塩化ビニル製多孔質濾過膜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