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795B1 - 아임계수로 처리된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 유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임계수로 처리된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 유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795B1
KR102083795B1 KR1020190061110A KR20190061110A KR102083795B1 KR 102083795 B1 KR102083795 B1 KR 102083795B1 KR 1020190061110 A KR1020190061110 A KR 1020190061110A KR 20190061110 A KR20190061110 A KR 20190061110A KR 102083795 B1 KR102083795 B1 KR 102083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callus
edelweiss
skin
subcritica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준
김은지
오승익
김현정
정민숙
조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산씨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산씨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산씨엔텍
Priority to KR1020190061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7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임계수로 처리된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 유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삼, 록샘파이어, 및 에델바이스의 식물유래 추출물로부터 피부개선에 대한 생리활성을 확인하고 이를 화장료 조성물에 이용함에 있어 유효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아임계수를 이용하여 유기용제의 사용을 제한하고 산/염기 및 그에 따른 중화염류의 잔류를 미연에 차단한 공정을 거쳐 제조된 아임계수로 처리된 아임계수로 처리된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 유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임계수로 처리된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 유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improvement comprising a complex extract derived from ginseng, rock samphire and edelweiss callus treated with subcritical water}
본 발명은 아임계수로 처리된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 유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삼, 록샘파이어, 및 에델바이스의 식물유래 추출물로부터 피부개선에 대한 생리활성을 확인하고 이를 화장료 조성물에 이용함에 있어 유효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아임계수를 이용하여 유기용제의 사용을 제한하고 산/염기 및 그에 따른 중화염류의 잔류를 미연에 차단한 공정을 거쳐 제조된 아임계수로 처리된 아임계수로 처리된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 유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표면에 위치한 표피(superficial epidermis) 및 표면의 하부에 위치한 진피(dermis)의 두 조직으로 구성된다. 인간의 천연 표피는 각질형성세표(keratinocyte), 멜라닌 세포(melanocyte) 및 랑게르한스 세포(Langerhans cell)의 3가지 유형의 세포로 구성된다. 위의 각 세포 유형은 특별한 기능에 따라 피부의 유기체를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인 장벽기능(barrier function)이라고 불리는 기후, 자외선, 대기오염 물질, 담배연기 등의 외부 자극으로부터 유기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가진다.
이러한 피부는 태양 방사선에 노출되는 것과 같은 특정 환경요인에 노출되면 노화과정이 가속된다.
특히, 피부가 태양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의 형성이 유도된다. 유기체에서는 이러한 반응을 산화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로 명명하는 데, 활성 산소종이 생성되면 피부의 노화 및 피부 부속기관(skin appendage)의 각화(keratinization)을 촉진시키는 데 기여하는 DNA, 단백질 또는 지질이 손상되게 된다.
또한, UV 방사선의 영향으로 DNA가 손상되면 피부 노화의 징후 중 하나인 광 손상된(photo-damaged) 피부 세포의 형성이 촉진된다.
특히, 산화 스트레스는 세포 호흡에 영향을 미치고, 피부의 노화, 특히 윤기 없는 피부 톤, 회색 피부 톤, 균일하지 않은 피부 톤, 피부 윤기 및 피부 투명도 손실, 주름 또는 미세선의 조기 형성, 부드러움, 유연성, 탄성의 손실, 색소 반점, 광선 색반(actinic lentigo)의 형성이 두드러지게 된다.
최근 들어, 이러한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 개선을 위한 천연식물 유래 생리활성군의 탐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에 따라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등의 캘러스 추출물에 대한 관심도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대다수의 유기용매 추출법, 산/염기 추출법, 알콜 추출법 등 종래의 추출방식은 추출 이후 추출물 내 산 또는 염기 그리고 중화염류의 잔류 위험성이 내재되어 있으며, 유효성분의 산화 및 변성을 초래할 수 있는 공정으로 화장료 조성물로써 안정성 확보가 미흡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 KR 등록특허공보 제1602552호(2016.3.10.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아임계수 기반의 무촉매 고온가수분해를 이용하여 배양된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로부터 복합추출물을 수득하고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아임계수로 처리된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 유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인삼 부정근, 록샘파이어, 및 에델바이스 캘러스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임계수로 처리된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 유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의 각 건조물을 증류수에 투입하고, 고온 압력용기에 투입 후, 200℃~250℃, 100 기압까지 가온 가압하여 아임계수 상으로 전환한 후 촉매 고온 가수분해를 수행하고, 120분부터 압력을 해제시켜 온도를 급속 하강시키고 반응기 내부 온도를 135℃까지 안정화 될 때까지 반응기 외부 자켓에 냉각수를 순환시킨 후, 반응기 내부의 온도가 135℃부터 다시 가온하여 150℃ 도달 시점에서 일정시간 동안 운전을 수행한 후 압력을 해제하고, 반응기 외부 자켓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반응을 종료하고, 반응물 내 잔존하는 미반응 잔사를 여과 분리하여 복합추출물을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크림, 에센스, 로션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에 적용되는 것을 포함하고,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인삼, 록샘파이어, 및 에델바이스 캘러스의 혼합추출물을 1 중량부로 함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계 물리적인 전처리 공정 및 촉매 화학적 가수분해 공정을 요구치 않으며 추출수율이 높고 공정운전비용 및 운전시간이 단축되고 다단 공정의 간소화를 통해 공정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합추출물을 수득하는 과정 중 유기용매, 알콜, 산/염기 촉매를 일체 사용하지 않아 부가적인 중화반응 공정이 요구되지 않으며, 최종생산물의 유기산 또는 중화염류(화학적 유해물질)의 잔류 위험성이 없어 원료에 대한 인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어 친환경 화장품 소재로의 적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후에 피부 미백, 주름개선, 탄력증진, 경피 수분손실 억제 등의 피부 개선에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임계수로 처리된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 유래 복합추출물 수득 방법으로 최종 수득된 수득물의 농도에 따른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 활성능력을 페놀계 항산화제인 BHA(Butylated hydroxyanisole)와 비교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 전후에 따른 피시험자의 눈가 주름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것,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전후에 따른 피시험자의 눈가 멜라닌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것,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전후에 따른 피시험자의 눈가 홍반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것,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 전후에 따른 피시험자의 눈가 피부 거칠기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임계수로 처리된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 유래 복합추출물 수득 방법으로 최종 수득된 수득물의 농도에 따른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 활성능력을 페놀계 항산화제인 BHA(Butylated hydroxyanisole)와 비교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 전후에 따른 피시험자의 눈가 주름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전후에 따른 피시험자의 눈가 멜라닌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전후에 따른 피시험자의 눈가 홍반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 전후에 따른 피시험자의 눈가 피부 거칠기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임계수로 처리된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 유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인삼, 록샘파이어, 및 에델바이스 캘러스(줄기세포)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 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인삼(ginseng, Panax ginseng)은 사포닌 3 ~ 6%, 함질소화합물 12 ~ 15%, 지용성 성분 1 ~ 2%, 탄수화물계 50 ~ 60% 및 기타 4 ~ 6% 정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구성성분 중 인삼의 종(種)에 따른 특이적인 성분은 생리활성물질이며, 사포닌의 일종인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가 약 3~6% 함유되어 있고,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는 분자구조에 따라 파낙사디올계(Panaxadiol: PD)와 파낙사트리올계(Panaxatriol: PT), 올레아난계(Oleanane)로 나뉘며 약 33종이 보고되고 있다. 인삼의 산성다당체는 인삼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 탄수화물로써 그 함량이 50 ~ 60%정도의 매우 높은 함량을 차지하고 있어 상업적 소재화의 원료물질로써 충분한 가치와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인삼의 산성다당체는 사포닌계열의 진세노사이드에 못지않은 우수한 생리활성 물질로써 그 기능은 Nitric oxide 저해 효과와 염증성 Cytokine(IL-6)의 생성을 억제하여 인체의 면역력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그 외 암세포증식 억제능, 항암면역력증강작용, toxohormone-L의 지방분해 저해 활성 등이 보고되고 있다. 인삼배양세포의 조다당체 중 산성다당체는 약 90%이상을 차지하며 이 중 갈라투론산이 71.5%, 글루쿠론산이 28.5% 정도의 비율로 존재한다.
록샘파이어(rock samphire, Chrithmum maritimum)는 바닷물에 영향을 받는 소금기가 많은 곳에서 자라는 식물로 염분농도가 높은 환경에 적응된 염생식물로써 해안, 자갈사이, 절벽의 갈라진 틈, 바위 등에서 발견되며, 서아시아 연안의 흑해 해변에 있는 카나이라 제도와 섬 연안에서 서생 한다. 청정 해협가의 바위틈에서 서식하는 특수한 염생 식물로 높은 염도, 자외선, 온도와 바람 등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추출물의 효능으로는 경피 수분증발 억제, 주름 개선, 피부탄력 개선에 효과가 있다.
에델바이스(edelweiss, Gnaphali㎛ leontopodi㎛)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인 고산식물로서 높이 10-20cm이며, 전체적으로 흰 면모가 덮여 있다. 잎은 뿌리에서 비교적 많이 나오고 줄기에 약간 있으며 선형(線形)이다. 줄기 끝에 포가 모여 달려서 사방으로 퍼지고 중앙에 약간의 두상화(頭狀花)가 달린다. 에델바이스는 건조한 곳에서 잘 자라고, 유럽, 시베리아, 히말라야, 중국, 한국, 일본 및 사할린 등에 분포하지만 극지에는 없다. 미용학적으로 루테올린과 루테올린-7-글루코사이드와 같은 플라보노이드가 많아 피부 진정 효과와 항산화 작용이 있으며, 자외선을 흡수하여 피부에 자외선이 도달하는 것을 방어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원료로 이용되는 인삼, 록샘파이어, 및 에델바이스 캘러스(줄기세포)의 각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실시예 1.
인삼 캘러스(줄기세포) 유래 부정근 제조방법
1) 인삼 뿌리 살균 및 캘러스 유도 단계 : 흐르는 물에 인삼 뿌리주위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오염균을 제거하기 위해서 증류수에 Tween-20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3회 세척한다. 무균작업대 안에서 인삼의 뿌리를 70% 에탄올에 넣어 진공감압세척방식을 이용해 30초~1분간 기타 오염 물질을 완전히 제거 후 멸균증류수로 3회 세척 후 10% NaOCl 용액에 10분간 침지 후 멸균증류수로 3회 세척하고 세척된 인삼의 뿌리는 멸균된 필터페이퍼를 이용하여 표면의 수분을 제거한다. 소독된 인삼의 뿌리는 멸균된 매스를 이용하여 0.5~1cm 길이로 절단 후 캘러스 배양배지에 치상하여 캘러스를 유도한다.
2) 인삼 캘러스의 안정화 단계 : 인삼 캘러스의 배양배지는 2,4-D (2,4-dichlorophenoxy acetic acid) 1 mg/L, 나프탈렌 아세트산(αnaphthalene acetic acid, NAA) 0.1 mg/L, 키네틴(kinetin) 0.25 mg/L, 자당(sucrose) 30 g/L, 한천(agar) 8 g/L가 첨가된 MS (Murashige & Skoog, 1962) 고체배지를 사용하였다. 모든 배지의 pH는 고압멸균 전에 1N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을 사용하여 5.8로 조정하였으며, 각각의 페트리디쉬(petri dish, 10091 (90 x 17 mm), SPL)에 멸균한 배지를 30mL 씩 분주하였다. 인삼 캘러스는 상기 제조한 MS 고체 배지에 접종한 후 25℃ 암실 상태에서 2주 간격으로 일정한 조건으로 배양하여 안정화 하였다.
3) 인삼 캘러스로부터 부정근 유도 단계 : 인삼 부정근 유도는 상태가 좋은 캘러스를 선별 후 IBA(indolebutyric acid) 5 mg/L, 자당(sucrose) 30 g/L, 한천(agar) 8 g/L가 첨가된 MS (Murashige & Skoog, 1962) 고체배지에 계대배양을 통해서 부정근을 유도하였다.
4) 인삼 부정근의 현탁 배양계 확립 단계 : 선별된 부정근의 현탁 배양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IBA(indolebutyric acid) 5 mg/L, 자당 30 g/L가 첨가된 MS 액체 배지 200 mL에 부정근 5 g/L를 접종하였다. 가스교환을 위하여 멤브레인 스크류 캡(membrane screw cap, DU.1183251, Duran)이 있는 1 L 삼각 플라스크에서 배양하였으며, 25℃ 상태에서 100 rpm으로 현탁 배양하였다. 안정적인 증식을 확인한 이후, 현탁 배양한 캘러스를 약 3 ~ 4 주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일정한 조건으로 배양하여 선발하였다.
5)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인삼 부정근의 대량배양 생산 단계 : 인삼 부정근의 증식을 위해 5 L 생물 반응기에서 상기 MS 액체 배지 3L에 현탁 배양으로 선발된 인삼 부정근 5 g/L를 접종하였다. 25℃에서 4 주간 1차 배양한 후 같은 조성의 배지 1L를 생물반응기에 추가하여 같은 조건에서 3 ~ 4 주간 2차 배양하였다. 이후 증식한 인삼 부정근은 열풍건조 후 다음 공정의 추출원료로 사용하였다.
록샘파이어 캘러스(줄기세포) 제조방법
1) 록샘파이어 종자 발아 및 캘러스 유도 단계 : 록샘파이어 종자는 오염균을 제거하기 위해서 증류수에 Tween-20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3회 세척한다. 무균작업대 안에서 종자를 70% 에탄올에 넣어 진공감압세척 방식을 이용해 30초~1분간 기타 오염물질을 완전히 제거 후 멸균증류수로 3회 세척 후 10% NaOCl 용액에 10분간 침지 후 멸균증류수로 3회 세척하고 세척된 종자는 멸균된 필터페이퍼를 이용하여 표면의 수분을 제거한다. 소독된 종자를 발아시킨 후, 식물체의 잎을 멸균된 매스를 이용하여 0.5~1 cm 길이로 절단 후 캘러스 배양배지에 치상하여 캘러스를 유도한다.
2) 록샘파이어 캘러스의 안정화 단계 : 록샘파이어 캘러스의 배양배지는 2,4-D (2,4-dichlorophenoxy acetic acid) 1 mg/L, 나프탈렌 아세트산(αnaphthalene acetic acid, NAA) 0.1 mg/L, 키네틴(kinetin) 0.25 mg/L, 자당(sucrose) 30 g/L, 한천(agar) 8 g/L가 첨가된 MS (Murashige & Skoog, 1962) 고체배지를 사용하였다. 모든 배지의 pH는 고압멸균 전에 1 N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을 사용하여 5.8로 조정하였으며, 각각의 페트리디쉬(petri dish, 10091 (90 x 17 mm), SPL)에 멸균한 배지를 30 mL 씩 분주하였다. 록샘파이어 캘러스는 상기 제조한 MS 고체 배지에 접종한 후 25℃ 광 조사하는 상태(연속백광, 3500 lux)에서 2 주 간격으로 일정한 조건으로 배양하여 안정화 하였다.
3) 록샘파이어 캘러스로부터 현탁 배양계 확립 단계 : 록샘파이어 캘러스로부터 현탁배양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나프탈렌 아세트산(αnaphthalene acetic acid, NAA) 0.1 mg/L, 자당 30 g/L가 첨가된 MS 액체 배지 200 mL에 록샘파이어 캘러스 5 g/L를 접종하였다. 가스교환을 위하여 멤브레인 스크류 캡(membrane screw cap, DU.1183251, Duran)이 있는 1 L 삼각 플라스크에서 배양하였으며, 25℃ 광 조사하는 상태(연속백광, 3500 lux)에서 100 rpm으로 현탁 배양하였다. 안정적인 증식을 확인한 이후, 현탁 배양한 캘러스를 약 3 ~ 4 주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일정한 조건으로 배양하여 선발하였다.
4) 광 조사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록샘파이어 캘러스의 대량배양 생산 단계 : 록샘파이어 캘러스의 증식을 위해 5 L 광생물 반응기에서 상기 MS 액체 배지 3L에 현탁 배양으로 선발된 캘러스 5 g/L를 접종하였다. 25℃ 광 조사하는 상태(연속백광, 3500 lux)에서 4 주간 1차 배양한 후 같은 조성의 배지 1L를 광 생물반응기에 추가하여 같은 조건에서 3 ~ 4 주간 2차 배양하였다. 이후 증식한 록샘파이어 캘러스는 열풍건조 후 다음 공정의 추출원료로 사용하였다.
에델바이스 캘러스(줄기세포) 제조방법
1) 에델바이스 종자 발아 및 캘러스 유도 단계 : 에델바이스 종자는 오염균을 제거하기 위해서 증류수에 Tween-20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3회 세척한다. 무균작업대 안에서 인삼의 뿌리를 70% 에탄올에 넣어 진공감압세척 방식을 이용해 30초~1분간 기타 오염물질을 완전히 제거 후 멸균증류수로 3회 세척 후, 10% NaOCl 용액에 10분간 침지 후 멸균증류수로 3회 세척하고 세척된 종자는 멸균된 필터페이퍼를 이용하여 표면의 수분을 제거한다. 소독된 종자를 발아시킨 후, 식물체의 잎을 멸균된 매스를 이용하여 0.5~1 cm 길이로 절단 후 캘러스 배양배지에 치상하여 캘러스를 유도한다.
2) 에델바이스 캘러스의 안정화 단계 : 에델바이스 캘러스의 배양배지는 2,4-D (2,4-dichlorophenoxy acetic acid) 1 mg/L, 나프탈렌 아세트산(αnaphthalene acetic acid, NAA) 0.1 mg/L, 키네틴(kinetin) 0.25 mg/L, 자당(sucrose) 30 g/L, 한천(agar) 8 g/L가 첨가된 MS (Murashige & Skoog, 1962) 고체배지를 사용하였다. 모든 배지의 pH는 고압멸균 전에 1 N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을 사용하여 5.8로 조정하였으며, 각각의 페트리디쉬(petri dish, 10091 (90 x 17 mm), SPL)에 멸균한 배지를 30 mL 씩 분주하였다. 에델바이스 캘러스는 상기 제조한 MS 고체 배지에 접종한 후 25℃ 암실 상태에서 2주 간격으로 일정한 조건으로 배양하여 안정화 하였다.
3) 에델바이스 캘러스로부터 현탁 배양계 확립 단계 : 에델바이스 캘러스로부터 현탁배양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나프탈렌 아세트산(αnaphthalene acetic acid, NAA) 0.1 mg/L, 자당 30 g/L가 첨가된 MS 액체 배지 200 mL에 에델바이스 캘러스 5 g/L를 접종하였다. 가스교환을 위하여 멤브레인 스크류 캡(membrane screw cap, DU.1183251, Duran)이 있는 1 L 삼각 플라스크에서 배양하였으며, 25℃에서 100 rpm으로 현탁배양 하였다. 안정적인 증식을 확인한 이후, 현탁 배양한 캘러스를 약 3 ~ 4 주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일정한 조건으로 배양하여 선발하였다.
4)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에델바이스 캘러스의 대량배양 생산 단계 : 에델바이스 캘러스의 증식을 위해 5 L 생물 반응기에서 상기 MS 액체 배지 3L에 현탁 배양으로 선발된 캘러스 5 g/L를 접종하였다. 25℃에서 4 주간 1 차 배양한 후 같은 조성의 배지 1L를 생물반응기에 추가하여 같은 조건에서 3 ~ 4주간 2차배양하였다. 이후 증식한 에델바이스 캘러스는 열풍건조 후 다음 공정의 추출원료로 사용하였다.
이하, 실시예 2에서는 상기의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하여 수득된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를 원료로 하여 복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실시예 2.
1)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 배양 및 수득 단계 :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의 건조물은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하여 본 공정의 원료로 준비하는 단계이다.
2)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줄기세포)를 포함하는 배양액의 아임계 수 처리 단계 : 상기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 각각의 건조물을 동일한 비율인 (1:1:1) 40g을 증류수 1L에 넣어, 고온 압력용기에 투입 후 200~250℃, 50~100기압까지 가온 가압하여 물의 수소이온농도가 pH5.5 상태인 아임계수 상으로 전환한 후 2시간 동안 연속 운전하여 무촉매 고온 가수분해를 수행한다. 상기 가수분해 반응물에 가수분해율 95% 초과 시점인 120분부터 압력을 8기압까지 해제시켜 온도를 급속 하강시키고 반응기 내부 온도를 135℃까지 안정화 될 때까지 외부 자켓에 냉각수를 순환한다. 이후, 반응기 내부의 온도가 135℃부터 0.5℃/min 씩 서서히 가온하여 150℃ 도달 시점에서 30분간 운전을 수행하며, 5기압 이상 10 기압 이하의 환경에서 메일라드 반응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후, 압력을 모두 해제하고 반응기 외부 자켓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반응을 종료한다.
상기 배양액의 아임계수 처리단계에서, 승온하는 온도 범위가 200℃ 미만일 경우 아임계수의 수소이온농도가 낮아 무촉매상에서의 산가수분해 수행이 원활하지 못하고, 250℃ 초과일 경우 아임계수의 수소이온농도가 다시 낮아지는 범위이므로 무촉매상에서의 산가수분해 수행 효율이 감소되기에 200℃ 이상 250℃ 이하로 승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행운전 결과 120분 이후부터 가수분해율의 유의적 변화가 없어 가수분해 운전시간을 120분으로 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5기압 이상 10기압 이하의 압력 범위는 반응기 내부의 내부압력이 포화수증기압에 따라 종속변수로 작용될 수 있다.
또한, 메일라드 반응 시, 135℃는 메일라드화 반응의 개시온도로써 그 미만의 온도는 반응 개시가 되지 않고, 150℃ 초과일 경우에는 메일라드화 반응의 탈수 축합반응에서 가수분해 반응으로 전환되어 메일라드화 반응효율이 감소하게 되기에 135℃ 이상 150℃ 이하의 온도로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응 시간도 30분 미만일 경우 메일라드화 반응이 완료되지 않고, 초과일 경우에는 유의적 효과가 없어 30분 동안 진행함이 바람직하다.
3) 여과 단계 : 반응물 내 잔존하는 미반응 잔사를 여과 분리하여 아미노당을 함유하는 산성다당체 복합물 900g을 수득한다.
위에 기술된 본 발명상의 공정은 친환경 공정으로, 유기용매, 알콜, 산/염기 촉매를 일체 사용하지 않아 공정 이후 추출된 추출물 내 화학적 유해물질의 잔류가 없어 원료에 대한 인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어 친환경 화장품 소재로의 적용이 용이하며, 공정운전시간 및 단위공정이 간소하여 공정 운전비용 감소 및 공정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3. (실험방법 : 유효성 평가)
* 항산화 효과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활성은 Blois방법(Blois, 1958)에 의해 측정하였다. 추출된 각 시료는 일정한 농도로 희석한 후 96 well plate에서 시료 20 μL 에 0.2 mM DPPH용액 180 μL를 혼합한 후 암조건 하에서 30분간 반응한 후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시료의 무첨가군과 첨가군의 값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계산식에 의해 IC50로 환산하였다.
Figure 112019053371351-pat00001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이용한 항산화 효과의 측정은 페놀계 항산화제인 BHA(Butylated hydroxyanisole)과 비교 분석하였다. BHA의 IC50 값은 0.082 mg/ml이었고 아미노당 함유 산성다당체 복합물의 농도가 0.75 mg, 1.5 mg, 3.75 mg일 때 각각의 IC50 값은 0.035 mg/ml, 0.018 mg/ml, 0.011 mg/ml로 분석되어, 아미노당 함유 산성다당체 복합물의 환원력에 따른 항산화 활성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제형예로서 크림, 로션, 에센스, 화장수(스킨)의 제형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4. 제형 제조
1) 크림
성분명 함량(%)
아임계수 처리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줄기세포) 유래 복합추출물 1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2
로거스트콩검 0.3
글리세린 4.5
올리브오일 10
폴리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4
폴리솔베이트60 0.2
폴리이소부텐 2
글리세릴모노팔미테이트 2
카보머 0.2
아르기닌 0.2
카프릴릭하이드록사믹애씨드 0.3
정제수 up to 100
2) 로션
성분명 함량(%)
아임계수 처리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줄기세포) 유래 복합추출물 1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2
로거스트콩검 0.3
글리세린 4.5
올리브오일 2
폴리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1
폴리솔베이트60 0.1
카보머 0.1
아르기닌 0.1
카프릴릭하이드록사믹애씨드 0.3
정제수 up to 100
3) 에센스
성분명 함량(%)
아임계수 처리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줄기세포) 유래 복합추출물 1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2
로거스트콩검 0.3
글리세린 4.5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1
폴리솔베이트60 0.1
올리브오일 0.5
카프릴릭하이드록사믹애씨드 0.3
정제수 up to 100
4) 화장수(스킨)
성분명 함량(%)
아임계수 처리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줄기세포) 유래 복합추출물 1
글리세린 5
1,3-부틸렌글리콜 0.5
폴리솔베이트20 0.3
에탄올 0.5
베타인 1
알란토인 0.1
소듐살리실레이트 0.5
카프릴릭하이드록사믹애씨드 0.3
정제수 up to 100
이하, 유효성 평가는 수분보습, 주름(Overall wrinkle size), 멜라닌(Melanin), 홍반(Hemoglobin), 피부 거칠기(Roughness)에 대해 이루어졌다.
1. 연구대상자
1) 임상대상자는 다산피부임상센터의 홈페이지에 모집공고를 올려 신청을 받고, 조건에 만족하는 적절성을 심사한 후, 대상자를 선정한다.
2) 임상대상자 선정기준
① 시험에 관한 충분한 설명에 대해 이해하며, 임상대상자 설명문을 숙지 하고 자의에 따라 동의서에 서명한 사람
② 30 ~ 50대 중년 여성
3) 임상대상자 제외기준: 임상대상자와의 면담을 통해 다음 사항에 해당되는 사람은 임상대상자에서 제외하였다.
① 안면에 피부질환을 포함한 급, 만성 신체질환 등의 이상 소견이 있는 사람
② 임신 또는 수유 중인 여성
③ 피부 질환의 치료를 위해 스테로이드가 함유된 피부 외형제를 1개월 이상 사용한 사람
④ 연구 시작 전 3개월 내에 연구 부위에 동일 또는 유사한 화장품 또는 의약품을 사용한 경우
⑤ 국소도포제에 의해 접촉피부염 또는 광알러지성 피부염의 과거력이 있는 사람
⑥ 민감성, 과민성 피부를 가진 사람
⑦ 이 외 주연구자의 판단으로 실험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사람
4) 시험 진행 중 중도탈락 기준
① 임상대상자가 시험 참여 중단 의사를 제시한 경우
② 시험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질병이나 사고가 발생한 경우
③ 임상대상자가 시험계획과 주의사항을 심각히 위반하는 경우
④ 기타 주연구자의 판단으로 시험지속이 부적합하다고 생각되는 경우
⑤ 시험부위에 소양감, 홍반, 알러지 등의 유사한 증상이 발생한 경우
⑥ 피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타의 약물 복용 및 도포의 경우 (예: 스테로이드가 함유된 연고 또는 약물)
2. 시험 방법 및 절차
1) 본 인체적용시험 참여에 동의한 자 중 선정기준에 적합하고 제외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총 4명의 시험대상자를 대상으로 연구시료를 지급하였다.
2) 매일 아침, 저녁 세안 후 안면부위에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순으로 적당량을 4주(28일)간 도포하도록 하였다.
3) 피부측정은 사전, 사후 총 2회 시행하였다.
4) 피부측정은 안면부위를 측정하였고, 피부측정 시 피부안정화를 위해 임상대상자는 세안 후, 약 30분간 측정 환경에 적응하도록 하였다.
5) 모든 임상대상자는 자가 관리 차트를 기록 및 제출하도록 하여 불성실한 대상자가 없도록 연구자에 의해 모니터링 되었다.
3. 측정 항목
1) 임상대상자의 사전 사후 안면(이마, 오른쪽 볼, 왼쪽 볼, 턱) 부위의 수분, 경피 수분손실 량(TEWL)의 측정결과를 통계분석 하여 결과를 비교분석한다.
2) 임상대상자의 사전 사후 눈가 주름(Overall wrinkle size), 멜라닌(Melanin), 홍반(Hemoglobin), 피부거칠기(Roughness)의 측정결과를 통계분석 하여 결과를 비교분석한다.
3) 임상대상자의 사전 사후 안면 전체의 피부 톤을 측정 및 통계분석 하여 결과를 비교분석한다.
4. 측정도구
1) SKIN-O-MAT (Corneometer, Sebumeter, Skin-pH-Meter, Cosmomed, Germany)
* 피부측정 항목: 수분보유량
* 기능: 피부의 수분을 측정하는 기기로,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피부의 생리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한다. 수분 측정은 수분이 많을 때 Capacitance가 증가하는 원리를 사용하여 수분을 측정하며 단위는 제조사가 정한 Arbitary Unit을 사용 한다.
* 측정방법: 수분 측정 시 이마(미간으로부터 3cm위)/턱(입술 밑으로 1cm)/양 볼(양 콧볼로부터 3cm옆)을 측정하고, 5초씩 간격을 두어 측정한다. 항상 같은 압력을 유지해서 측정한다.
2) DermaLab USB (DermaLab USB test system with TEWL probe, Cortex Technology, Denmark)
* 피부측정 항목: 경피 수분손실 량
* 기능: 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 경피 수분손실량)을 측정하는 기기로,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피부의 생리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한다. probe는 길이가 다른 두 개의 빈 cylinder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부의 온도와 습도를 동시에 측정하는 원리이다. 30~50초 이내에 TEWL이 측정되며, 측정단위는 g/h/m²이다.
* 측정방법: 기기 연결 후, Environment를 눌러 온도와 습도가 잘 측정되는지 확인한다. 측정 시, 프로브의 팁 전체가 피험자의 피부에 다 닿을 수 있도록 하고, 이마(미간으로부터 3cm위)/턱(입술 밑으로 1cm)/양 볼(양 콧볼로부터 3cm 옆)을 측정한다.
3) Antera 3D (모델명: Antera 3D CS, 제조사: Miravex Limited, 국적: Ireland)
* 피부측정 항목: 눈가 가장 깊은 주름 이미지 촬영 및 주름 (Overall wrinkle size), 홍반(Hemoglobin), 멜라닌(Melanin), 피부거칠기(Roughness)
* 기능: Antera 3D CS 는 가시광선 (7Color)을 광원으로 이용하며, 2D, 3D 데이터를 생성하여, Color변화, 주름, 거칠기, 볼륨변화, 멜라닌, 홍반지수를 측정할 수 있다. 7Color의 회전하는 가시광선 광원을 통해 촬영된 피부표면 Data를 재구성하여 3D 이미지를 구성한다.
* 측정방법: 피험자는 무표정인 상태로 눈을 지그시 감은 상태를 유지한다. 눈가 측정 시 눈썹과 코 옆선을 기준으로 기기 두면과 모서리를 맞춘다. 눈 앞머리부터 눈꼬리가 모두 화면에 잡히게 촬영한다. 눈가 주름이 전체가 포함되게 촬영한다. 좌우를 동일한 방법으로 촬영한다.
4) Janus (JANUS Ⅰ, PIE, Korea)
* 피부측정 항목: 안면의 T-zone (이마, 코, 턱)과 U-zone (오른쪽, 왼쪽)의 모공상태, 안면의 주름, 색소침착, 피지, 피부톤
* 기능: Janus 는 광원으로 플래쉬를 사용하며 일반광, 편광, 자외선 광에서 촬영된 세 가지의 이미지를 화면상에서 볼 수 있고, 데이터의 재현성을 위해 일정한 밝기 내에서만 촬영토록 밝기 레퍼런스를 두고 있다. 재분석 등의 데이터 비교를 위해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영역별로 피부 톤의 분석 결과를 RGB %로 정량 분석하여 제시한다.
* 측정방법: 머리카락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머리띠가 잘 착용이 되었는지 확인한다.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악세사리를 제거하고 흰옷을 가릴 수 있도록 가운 착용하고 옷깃이 보이지 않도록 한다. 암막천 덮개가 빛이 들어오지 않게 잘 덮여있는지 확인한다. 첫 번째 촬영 시 격자무늬에 맞춰 눈썹 사이, 코, 입술의 위치를 확인하여 중심을 맞춘다. 재촬영 시에는 전의 촬영 사진에 위치를 맞춰 찍는다.
1) 사전사후 수분보습 개선
① 피부 수분함유량 증가
연구대상자의 사전 사후 수분함유량 변화는 아래 제시한 표 5와 같다. 사전 65.02(M)에서 사후 72.45(M)로 수분함유량이 7.43(M) 증가했으며, 이는 사전 대비 사후 유의한 변화를 나타냈다(p<.05).
Variable Measurement
(M±
t1-t2 t(p)
Before After
Moisuture
(AU)
65.02 72.45 -7.43 -3.353 (.044*)
*p<.05
② 경피 수분손실 량 감소
연구대상자의 사전 사후 경피 수분손실 량 변화는 아래 제시한 표 6과 같다. 사전 9.99(M)에서 사후 7.51(M)로 경피 수분손실량이 2.48(M) 감소했으며, 이는 사전 대비 사후 유의한 변화를 나타냈다(p<.05).
Variable Measurement
(M±
t1-t2 t(p)
Before After
TEWL (AU) 9.99 7.51 2.48 4.802 (.017*)
*p<.05
2) 눈가 주름(Overall wrinkle size)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아임계수로 처리된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줄기세포) 유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시험자의 눈가에 도포하여 눈가 주름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 피 시험자의 눈가 주름이 사전 대비 사후 61.6% 로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3) 눈가 멜라닌(Melani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아임계수로 처리된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줄기세포) 유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시험자의 눈가에 도포하여 눈가 멜라닌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 피 시험자의 눈가 멜라닌이 사전 대비 사후 8.2% 로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4) 눈가 홍반(Hemoglobi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아임계수로 처리된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줄기세포) 유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시험자의 눈가에 도포하여 눈가 홍반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 피 시험자의 눈가 홍반이 사전 대비 사후 10.0% 로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5) 눈가 피부 거칠기(Roughness)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아임계수로 처리된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줄기세포) 유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시험자의 눈가에 도포하여 눈가 피부 거칠기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 피시험자의 눈가 피부 거칠기가 사전 대비 사후 14.9%로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6) 얼굴 피부 톤 증가
연구대상자의 사전 사후 피부 톤 변화는 아래 제시한 표 7과 같다. 사전 66.0(M)에서 사후 67.85(M)로 피부 톤이 1.85(M) 증가했으며, 이는 사전 대비 사후 유의한 변화를 나타냈다(p<.01).
Variable Measurement
(M±
t1-t2 t(p)
Before After
Skin Tone (%) 66.0 67.85 -1.85 -6.441 (.008**)
**p<.01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한 유효성 평가 실험을 통하여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후에 수분보습, 눈가 주름, 눈가 멜라닌, 눈가 홍반, 눈가 피부 거칠기, 얼굴 피부톤 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인삼, 록샘파이어, 및 에델바이스 캘러스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임계수로 처리된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 유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의 각 건조물을 동일한 비율인 1:1:1의 비율로 40g씩 동량처리하고, 증류수 1L에 투입하여 고온 압력용기에 투입 후, 200℃~250℃, 100 기압까지 가온가압하여 물의 수소이온농도가 pH 5.5 상태인 아임계수 상으로 전환한 후 무촉매 고온 가수분해를 수행하고, 120분부터 압력을 해제시켜 온도를 급속하강시키고 반응기 내부 온도를 135℃까지 안정화 될 때까지 반응기 외부 자켓에 냉각수를 순환시킨 후, 반응기 내부의 온도가 135℃부터 다시 가온하여 150℃ 도달시점에서 일정시간 동안 운전을 수행한 후 압력을 해제하고, 반응기 외부 자켓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반응을 종료하고, 반응물 내 잔존하는 미반응 잔사를 여과 분리하여 복합추출물을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임계수로 처리된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 유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KR1020190061110A 2019-05-24 2019-05-24 아임계수로 처리된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 유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83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110A KR102083795B1 (ko) 2019-05-24 2019-05-24 아임계수로 처리된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 유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110A KR102083795B1 (ko) 2019-05-24 2019-05-24 아임계수로 처리된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 유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795B1 true KR102083795B1 (ko) 2020-03-03

Family

ID=69938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110A KR102083795B1 (ko) 2019-05-24 2019-05-24 아임계수로 처리된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 유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79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2473A (ko) * 2013-11-06 2015-05-14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차나무 잎 아임계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2473A (ko) * 2013-11-06 2015-05-14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차나무 잎 아임계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02695A (zh) 一种天然可食用的具有保健功能的组合物及其应用、彩妆化妆品及其制备方法
JP5940986B2 (ja) 美容的処置のためのハエジゴクの抽出物を含有する組成物
CN105769698A (zh) 一种不含防腐剂的化妆品组合物及其应用
CN110585048B (zh) 一种具有抗糖化和抗氧化的组合物及其应用
KR102083294B1 (ko)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2227355B1 (ko) 비자극성 약산성 각질제거 및 상피세포 영양 공급을 위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KR101208012B1 (ko) 홍삼 먹인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0312550A (zh) 用于通过疗法在治疗人体的方法中使用的、包含物种姜花植物提取物的组合物
KR101810229B1 (ko) 티트리 잎 미세침 분말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9044941A (zh) 一种皮肤紧致滋养保湿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653137B (zh) 一种组合物及其在制备养颜化妆品中的应用
CN111870541A (zh) 一种本草美白复方组合物、面膜及其制备方法
KR102083795B1 (ko) 아임계수로 처리된 인삼, 록샘파이어, 에델바이스 캘러스 유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12601A (ko) 창포 추출물을 이용한 미용향장용 조성물, 바디 전용 비누, 두피 전용 비누 및 두피 세정제
CN109568230A (zh) 一种保湿美白的抗衰老的中药化妆品
CN112386547B (zh) 菠萝萃取物的皮肤保健用途
CN106562913B (zh) 具有美白功效的外用组合物、化妆品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571384B1 (ko) 쌀 캘러스 및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다크서클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7184528B (zh) 一种美白乳液及其制备方法
CN112870122A (zh) 一种具有光防护功效的高稳定性纳米乳液及其制备方法
CN105943477A (zh) 一种美白祛痘珍珠化妆品及其制备方法
CN111419732A (zh) 一种防护组合物及其在室内防护化妆品中的应用
CN110946776A (zh) 一种含有金蝉提取物成分的肌肤保养霜及其制备方法
CN117398318B (zh) 一种含有酵母菌发酵溶胞产物滤液的组合物及其应用
KR102159967B1 (ko) 알로에 및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