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022B1 - 차량용 조인트 내륜 보관함 - Google Patents

차량용 조인트 내륜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022B1
KR102083022B1 KR1020170134960A KR20170134960A KR102083022B1 KR 102083022 B1 KR102083022 B1 KR 102083022B1 KR 1020170134960 A KR1020170134960 A KR 1020170134960A KR 20170134960 A KR20170134960 A KR 20170134960A KR 102083022 B1 KR102083022 B1 KR 102083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rod
partition panel
inner ring
box portion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3210A (ko
Inventor
이필웅
이윤호
이상근
Original Assignee
서한산업(주)
한국프랜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한산업(주), 한국프랜지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한산업(주)
Priority to KR1020170134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022B1/ko
Publication of KR20190043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68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 B65D2585/687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engines, motors, machines and vehicle parts
    • B65D2585/688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engines, motors, machines and vehicle parts vehicle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조인트 내륜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다수의 차량용 조인트 내륜을 보관하거나 운송하는 경우, 파손 또는 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조인트 내륜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용 조인트 내륜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박스부와, 박스부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통공과; 상기 통공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차량용 조인트 내륜이 복수의 층으로 적층된 상태로 거치될 수 있는 거치봉과; 상기 거치봉을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인트 내륜 보관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조인트 내륜 보관함{ A container for an inner race of a joint for a vechicle }
본 발명은 차량용 조인트 내륜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다수의 차량용 조인트 내륜을 보관하거나 운송하는 경우, 파손 또는 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조인트 내륜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조인트는 한국 특허 10-154180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륜과, 내륜과, 볼과, 케이지로 구성된다. 외륜의 내면 및 내륜의 외면에는 각각 볼이 이동할 수 있는 그루브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내륜에 대한 표면 가공이나 표면 처리를 위해서는 이들을 모아서 보관하고 운송을 한다.
종래에는 도6과 같이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박스(1)에 내륜(2)을 넣어서 운송을 하였는데, 이러한 경우, 박스가 엎어지면서 바닥과 충돌하거나 또는 보관된 내륜(2)들 끼리 충돌을 하여 그 표면이 손상되거나 더 나아가 제품이 파손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마련된 것으로서, 조인트 내륜의 보관 및 운송시에 내륜의 파손 또는 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조인트 내륜 보관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용 조인트 내륜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박스부와, 박스부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통공과; 상기 통공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차량용 조인트 내륜이 복수의 층으로 적층된 상태로 거치될 수 있는 거치봉과; 상기 거치봉을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인트 내륜 보관함을 제공한다.
상기 거치봉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부는 박스부의 바닥면 상면에 배치되고, 거치봉에 거치된 내륜과 바닥면을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부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봉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거치봉에서 차량용 조인트 내륜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박스부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패널을 더 포함하되, 구획패널은 박스부를 구성하는 내측벽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측벽 내면에는 구획패널이 끼워지는 슬롯부가 마련되며, 슬롯부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구획되는 공간의 체적이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획패널은 박스부 내부의 전후 공간을 구획하는 제1구획패널과, 박스부 내부의 좌우 공간을 구획하는 제2구획패널을 포함하되, 제1구획패널과, 제2구획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1구획패널과 제2구획패널이 교차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내륜이 각각의 거치봉에 삽입되어 거치되기 때문에 그 위치가 고정되어 다른 거치봉에 거치된 내륜과 접촉이 방지되어 표면 손상 및 충돌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거치봉에는 마개가 마련되어 있고, 마개는 거치봉의 상단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거치봉에서 내륜의 이탈이 방지된다.
거치봉을 보관함 바닥이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만큼 거치봉을 사용하여 보관함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관함 내부에는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패널이 있기 때문에, 필요한 공간만큼 내륜을 운송 또는 보관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나머지 공간에는 다른 물품들을 보관할 수 있어서 공간의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다.
보관함 내벽에는 구획패널을 끼울 수 있는 슬롯이 있어서, 다양한 체적의 공간을 구획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좌우 구획패널과, 전후 구획패널이 서로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서도 공간의 활용도 및 변화도를 높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조인트 내륜 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조인트 내륜 보관함에 사용되는 거치봉과 이에 부수되는 부품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조인트 내륜 보관함에서 다양한 수량의 내륜이 보관되는 것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조인트 내륜 보관함에서 다양한 수량의 내륜이 보관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조인트 내륜 보관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6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용 조인트 내륜 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조인트 내륜 보관함(이하, '보관함'이라고 한다.)(10)은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박스부(20)와, 박스부(20) 바닥면(21)에 형성된 통공(22)에 끼워지는 거치봉(30)과, 박스부(20)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패널(40)과, 구획패널(40)이 끼워질 수 있도록 박스부(20)의 내벽(21)에 형성되는 복수의 슬롯(24)을 포함한다.
박스부(20)는 사각 박스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도시되었으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박스부(20)의 바닥면에는 거치봉(30)의 하단부가 관통할 수 있는 다수의 통공(22)이 형성되며, 통공(22)은 전후 좌우로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면서 상호 이격되어 있다.
거치봉(30)에는 다수의 조인트 내륜(이하 ' 내륜' 이라고 한다)(50)이 삽입되어 고정될 있으며, 이 경우 내륜(50)은 거치봉(30)의 상하 방향으로 다수층이 적층되는 형태가 된다.
거치봉(30)의 하단부에는 거치봉(30)을 바닥부(21)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60)가 마련되며, 고정부재(60)는 너트와 같은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 거치봉(30)의 하단부에는 고정부재(60)가 결합될 수 있는 형상(예,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봉(30)의 상단부에는 내륜(5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마개부(31)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개부(31)와 거치봉(30) 상단부의 결합을 공고히 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예, 나사산 구조)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스부(20)의 내면의 4방향에는 슬롯부(24)가 복수개가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다.
슬롯부(24)는 구획패널(40)이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며, 다양한 체적의 공간을 구획할 수 있게 마련된다.
슬롯부(24)의 위치는 다수의 통공(22)이 이루는 하나의 행과 이웃한 행 사이의 가상선(L)을 따라서 위치하거나 또는 다수의 통공(22)이 이루는 하나의 열과 이웃한 열 사이의 가상선(L)을 따라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봉(3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나사산(30a, 30b)이 형성된다.
보관함(10)의 박스부(20) 바닥면(21)을 기준으로 하여, 거치봉(30)의 하단부가 바닥면(21)의 통공(22)을 통과하고, 통과한 부분에는 너트와 같은 고정부재(60)가 결합된다. 그리고, 바닥면(21)의 위에는 원통 형태의 베이스부(32)가 마련된다.
베이스부(32)는 거치봉(30)의 하부 영역에 삽입 또는 결합되며, 베이스부(32)의 역할은 거치봉(30)이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하면서, 고정부재(60)와 함께 거치봉(30)을 바닥면(2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또한, 바닥면(21)과 내륜(50)을 이격시켜서 내륜(50)이 바닥면(21)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륜(50)의 파손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서, 베이스부(32)의 재질은 고무와 같이 탄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부(32)의 가운데에는 거치봉(30)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3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인 형상은 원기둥 형태나 꼭지점 영역이 절단된 원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거치봉(30)의 상단부에는 나사산(30a)이 마련되어 있고, 그 나사산(30a)에는 마개부(31)가 결합될 수 있다. 마개부(31)의 외경은 내륜(50)의 내부에 형성되는 구멍(50a)보다 크게 형성되어 내륜(50)이 거치봉에서 거치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3(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관함(10)의 모든 공간을 이용하여 내륜(50)을 보관하거나 운송하는 경우, 모든 통공(22)에 거치봉(30)을 삽입하고, 고정부재(60)를 이용하여 모든 거치봉(30)을 바닥면(21)에 고정시킨다.
그 상태에서 내륜(50)을 거치봉(30)에 삽입하여 복층 구조를 형성하고, 거치봉(30)의 상단부에 마개부(31)를 결합시켜서 고정시킨다.
도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만약에 일부 공간만 사용하는 경우, 필요한 거치봉(30) 수량만큼 준비하여, 거치봉(30)을 통공(22)에 삽입하여 고정부재(60)를 이용하여 삽입시키고, 내륜(550)을 끼운 후 최종적으로 마개부(31)를 이용하여 거치봉(30)의 상단부를 막는다.
그리고, 나머지 공간을 내륜(50)이 저장된 공간과 구획하기 위해서 슬롯부(24)에 구획패널(40)을 삽입하여 두 공간을 분리한다. 분리된 나머지 공간에 다른 물품을 넣어서 저장할 수도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4(a)는 슬롯부(24)에 하나의 구획패널(40a(40))이 끼워져서 사용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4(b)는 슬롯부(24)에 두 개의 구획패널(40a, 40b(40))이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4(a)와 도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슬롯부(24)는 4개의 벽(23)의 내면에 모두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슬롯부(24)의 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통공(22)이 이루는 하나의 행과 이웃한 행 사이의 가상선(L) 또는 통공(22)이 이루는 하나의 열과 이웃한 열 사이의 가상선(L)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하나의 구획패널(40)을 이용하여 박스부(20)의 내부 공간을 좌우로 분할하거나, 전후로 분할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보관 수량이 적은 경우, 도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구획 패널(40)을 이용하여 4개의 공간으로도 분할 수 있다.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패널(40)은 제1구획패널(40a)과 제2구획패널(40b)로 구성될 수 있다.
편의상 제1구획패널(40a)을 박스부(20) 내부 공간을 좌우로 분할하는 구획패널로 정의하고, 제2구획패널(40b)을 박스부(20) 내부 공간을 전후로 분할하는 구획패널로 정의하자.
제1구획패널(40a)과 제2구획패널(40b)은 각각 박스부 벽(23) 내면에 있는 슬롯부(24)에 끼워질수 있으며, 슬롯부(23)의 위치에 따라서 구획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제1구획 패널(40a)과 제2구획패널(40b)은 서로 맞물릴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제1구획패널(40a)에는 제1결합홈(40a-1)이 다수개 형성되고, 제2구획패널(40b)에는 제2결합홈(40b-1)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제1결합홈(40a-1)은 제1구획패널(40a)의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제2결합홈(40b-1)은 제2구획패널(40b)의 하부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구획패널(40a)과 제2구획패널(40b)은 상호 직교되는 형태가 되어 박스부(20) 내부 공간을 여러 개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의 구획에 의하여 박스부(20) 내부의 공간의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내륜 보관함 20: 박스부
23: 벽 24: 슬롯부
30: 거치봉 31: 마개부
32: 베이스부 40: 구획패널
50: 내륜 60: 고정부재

Claims (7)

  1. 차량용 조인트 내륜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측벽이 모두 막혀있는 박스부와,
    박스부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통공과;
    상기 통공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차량용 조인트 내륜이 복수의 층으로 적층된 상태로 거치될 수 있으며 상단부와 하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거치봉과;
    상기 거치봉을 바닥면에 고정시키도록 통공을 통과하여 바닥면의 하부에 노출된 거치봉의 하단부와 결합되되, 거치봉의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하면서 박스부의 바닥면 하면에 배치되는 너트 형트의 고정부재와;
    상기 거치봉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거치봉에서 차량용 조인트 내륜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그 외경이 내륜의 내부에 형성되는 구멍보다 크게 형성되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마개부와;
    상기 거치봉의 하부에 배치되며 탄성부재로 마련되며 원기둥 형태 또는 꼭지점이 절단된 원뿔 형태의 베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부는 박스부의 바닥면 상면에 배치되고, 거치봉에 거치된 내륜과 바닥면을 이격시키며,
    상기 박스부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패널과,
    박스부의 내측벽 내면에 마련되어 구획패널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지는 슬롯부를 더 포함하되,
    슬롯부의 위치는 다수의 통공이 이루는 하나의 행과 이웃한 행 사이의 가상선을 따라서 위치하거나, 다수의 통공이 이루는 하나의 열과 이웃한 열을 따라서 위치하며,
    구획패널은 박스부를 구성하는 내측벽의 슬롯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슬롯부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구획되는 공간의 체적이 가변될 수 있으며,
    구획패널은 박스부 내부의 전후 공간을 구획하는 제1구획패널과,
    박스부 내부의 좌우 공간을 구획하는 제2구획패널을 포함하되,
    제1구획패널에는 제1결합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2구획패널에는 제2결합홈이 마련되어, 제1결합홈과 제2결합홈은 상호 맞물리게 형성되어 제1구획패널과 제2구획패널이 교차되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인트 내륜 보관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134960A 2017-10-18 2017-10-18 차량용 조인트 내륜 보관함 KR102083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960A KR102083022B1 (ko) 2017-10-18 2017-10-18 차량용 조인트 내륜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960A KR102083022B1 (ko) 2017-10-18 2017-10-18 차량용 조인트 내륜 보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210A KR20190043210A (ko) 2019-04-26
KR102083022B1 true KR102083022B1 (ko) 2020-02-28

Family

ID=66281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960A KR102083022B1 (ko) 2017-10-18 2017-10-18 차량용 조인트 내륜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0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5287A (zh) * 2021-11-10 2022-01-21 重庆千能实业有限公司 一种汽车覆盖件存放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254B1 (ko) * 2002-11-15 2004-11-17 윤병열 보관 케이스
KR101200786B1 (ko) * 2012-06-19 2012-11-21 이정우 수직형 적재파렛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109284U1 (ko) * 1991-07-27 1991-09-26 Basf Magnetics Gmbh, 6800 Mannheim, D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254B1 (ko) * 2002-11-15 2004-11-17 윤병열 보관 케이스
KR101200786B1 (ko) * 2012-06-19 2012-11-21 이정우 수직형 적재파렛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210A (ko) 201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0688B2 (en) Stacking crates
US5810187A (en) Drawer organizer
JP4473189B2 (ja) 創薬用試料保管システム
US10894498B2 (en) Container
US3326444A (en) Multi-compartment carton
KR102083022B1 (ko) 차량용 조인트 내륜 보관함
US10286541B2 (en) Toolbox
US20070095883A1 (en) Interlocking dividers
JP2019077508A5 (ko)
US4618059A (en) Divider for separating stacked articles
US20200061801A1 (en) Tilt bin storage systems
CN108069103A (zh) 货物运输用托盘
US3365070A (en) Stackable gravity flow stock bin
JP6577905B2 (ja) 集合包装ホルダー
JP2008087781A (ja) 部品運搬用容器
JP3201030U (ja) パレット
JP6048307B2 (ja) 底板一体型仕切体
CN220181380U (zh) 一种包装箱
US20240116666A1 (en) Container for the transport of boxes and pallet comprising said containers
DE102007052649A1 (de) Flaschenkasten aus Kunststoff mit quadratischem Grundriß
US9888754B2 (en) Container assembly
KR200435245Y1 (ko) 계란 판의 덮개
US547771A (en) Puzzle apparatus
CN210140054U (zh) 货架
JP4674359B2 (ja) 運搬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