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353B1 - 대나무 공예 교구 - Google Patents

대나무 공예 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353B1
KR102082353B1 KR1020180117624A KR20180117624A KR102082353B1 KR 102082353 B1 KR102082353 B1 KR 102082353B1 KR 1020180117624 A KR1020180117624 A KR 1020180117624A KR 20180117624 A KR20180117624 A KR 20180117624A KR 102082353 B1 KR102082353 B1 KR 102082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bamboo
mold
cutting members
bod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일
Original Assignee
최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일 filed Critical 최성일
Priority to KR1020180117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3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틀 구조를 통해 전통 방식 대나무 공예품 제작을 가이드 하기 위한 대나무 공예 교구에 관한 것으로서, 일종의 형판 구조체인 바디부재와, 상기 바디부재의 상부에 돌출구조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형틀돌부들을 포함하는 패턴부를 포함하며, 이때 제작하고자 하는 대나무 공예품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형판 구조체상에 대나무 절편인 절편부재를 구비시키는 경우, 상기 형틀돌부들이 상기 절편부재들을 접촉 간섭함으로써 일종의 형틀과 같은 조립 가이드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이러한 상기 형틀돌부들의 접촉방식 가이드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별도의 세밀한 조작 없이 상기 형틀돌부들의 형상, 배치 구조 등에 대응되는 대나무 공예품을 제작할 수 있게 되어, 이를 통해 전통 공예 방식인 대나무 공예에 대한 접근성 및 대중성이 용이하게 확보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대나무 공예 교구{Teaching tool for making bamboo crafts}
본 발명은 대나무 공예 교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형틀 구조를 통해 전통 방식 대나무 공예품 제작을 가이드 하기 위한 대나무 공예 교구에 관한 것이다.
대나무 공예, 즉 죽(竹) 공예란 대나무를 이용하여 소정의 형상을 갖는 공예품을 제작하는 것으로, 대나무의 주요 산지인 아시아권에서 행해지는 공예 방식의 일종이다.
우리나라 또한 대나무가 자라기 좋은 환경을 지니고 있어 이러한 대나무를 이용한 죽(竹) 공예가 예로부터 행해지고 있으며, 대나무를 다양하게 가공함으로써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죽(竹) 공예 방식 중에는, 다수 개의 대나무 절편을 마련한 후 이를 상호간 직조 방식으로 결합시켜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형상으로 제작하는 방식이 있다.
이는, 충분한 수의 대나무 절편들이 마련된 상태라면 가정에서 누구나 손쉽게 대나무를 직조 방식으로 꼬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예로부터 널리 전해져 오는 죽(竹) 공예 방식 중 하나이다.
상술한 직조 방식 죽(竹) 공예품 제작을 통해, 유년층에게는 전통문화의 계승감을 고취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예품 구상 및 실제 제작을 통해 어린이들에게 IQ 및 EQ 함양을 불러일으킬 수 있고, 실버층에게 발생할 수 있는 인지 장애를 방지하거나 개선시킬 수 있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는 죽(竹) 공예를 교습하기 위해 별도의 시간을 할애하기 어려울 수 있어, 이로 인해 죽(竹) 공예의 명맥이 손실되고, 상술한 죽(竹) 공예의 장점들이 보급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때와 장소에 관계 없이 죽(竹) 공예를 가이드할 수 있는 교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과제 해결의 일환으로, 본 발명은 형틀 구조를 통해 때와 장소에 관계없이 전통 방식 대나무 공예품 제작을 가이드할 수 있는 대나무 공예 교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대나무 공예 교구는, 밑판부, 상기 밑판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1 바디부재와, 대나무 절편인 복수 개의 절편부재들이 상호 직교하는 패턴으로 결합될 수 있게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 1 바디부재의 상부면 둘레를 따라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1 형틀돌부를 포함하는 제 1 패턴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절편부재가 상기 제 1 패턴부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절편부재의 상부면을 구속하도록 상기 제 1 패턴부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절편부재를 상기 복수 개의 제 1 형틀돌부 사이에 구비시킨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절편부재들 각각의 양 측면이 상기 복수 개의 제 1 형틀돌부에 의해 간섭되도록 함으로써 대나무 공예품 제작을 위한 형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대나무 공예 교구는, 밑판부, 상기 밑판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2 바디부재와, 대나무 절편인 복수 개의 절편부재가 상호간 직각, 둔각 및 예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끼인각을 갖고 절곡되는 패턴으로 결합될 수 있게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 2 바디부재의 상부면 둘레를 따라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2 형틀돌부를 포함하는 제 2 패턴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절편부재가 상기 제 2 패턴부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절편부재의 상부면을 구속하도록 상기 제 2 패턴부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절편부재를 상기 복수 개의 제 2 형틀돌부 사이에 구비시킨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절편부재들 각각의 양 측면이 상기 복수 개의 제 2 형틀돌부에 의해 간섭되도록 함으로써 대나무 공예품 제작을 위한 형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대나무 공예 교구는, 밑판부, 상기 밑판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1 바디부재와, 대나무 절편인 복수 개의 절편부재들이 상호 직교하는 패턴으로 결합될 수 있게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 1 바디부재의 상부면 둘레를 따라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1 형틀돌부를 포함하는 제 1 패턴부, 상기 밑판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2 바디부재와, 상기 복수 개의 절편부재가 상호간 직각, 둔각 및 예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끼인각을 갖고 절곡되는 패턴으로 결합될 수 있게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 2 바디부재의 상부면 둘레를 따라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2 형틀돌부를 포함하는 제 2 패턴부 및 상기 제 1 패턴부 및 상기 제 2 패턴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절편부재의 상부면을 구속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절편부재를 상기 복수 개의 제 1 형틀돌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제 2 형틀돌부 각각의 사이에 구비시킨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절편부재들 각각의 양 측면이 상기 복수 개의 제 1 형틀돌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제 2 형틀돌부에 의해 간섭되도록 함으로써 대나무 공예품 제작을 위한 형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대나무 공예 교구는 일종의 형판 구조체인 바디부재와, 상기 바디부재의 상부에 돌출구조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형틀돌부들을 포함하는 패턴부를 포함하며, 이때 제작하고자 하는 대나무 공예품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형판 구조체상에 대나무 절편인 절편부재를 구비시키는 경우, 상기 형틀돌부들이 상기 절편부재들을 접촉 간섭함으로써 일종의 형틀과 같은 조립 가이드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이러한 상기 형틀돌부들의 접촉방식 가이드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별도의 세밀한 조작 없이 상기 형틀돌부들의 형상, 배치 구조 등에 대응되는 대나무 공예품을 제작할 수 있게 되어, 이를 통해 전통 공예 방식인 대나무 공예에 대한 접근성 및 대중성이 용이하게 확보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대나무 공예 교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패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대나무 공예 교구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제 1 패턴부를 이용한 대나무 공예품 제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제 1 패턴부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는 대나무 공예품의 예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대나무 공예 교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 2 패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대나무 공예 교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대나무 공예 교구를 통해 대나무 공예품을 제작한 예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고, 명세서 전체에 걸쳐 기재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형 표현들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이상 복수형도 포함한다 할 것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대나무 공예 교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대나무 공예 교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패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대나무 공예 교구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대나무 공예 교구(1000)에 대해 전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나무 공예 교구(1000)는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밑판부(100), 제 1 패턴부(200), 및 커버부(400)의 순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이때 절편부재(1)가 상기 제 1 패턴부(200)에 구비된다.
상기 절편부재(1)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대나무 절편이며, 이러한 절편부재(1)들은 본 발명에 의한 대나무 공예 교구(1000)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복수 결합됨으로써, 다양한 구조를 가진 대나무 공예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밑판부(100)는 상기 대나무 공예 교구(1000)의 최하부에 위치하며, 그 상부에 위치하는 구성들을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패턴부(200)는 절편부재(1)들이 상호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절편부재(1)들의 조립방향을 가이드하는 일종의 형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400)의 경우, 상기 대나무 공예 교구(1000)의 최상부에 구비됨으로써, 그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절편부재(1)의 상부를 간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간섭 기능을 통해, 대나무 공예품 조립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절편부재(1)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a 내지 도 4c는 제 1 패턴부를 이용한 대나무 공예품 제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이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대나무 공예 교구(10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밑판부(100)의 경우, 밑판바디부재(110)와, 상기 밑판바디부재(110)의 상부 측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는 기둥부재(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패턴부(200)는 제 1 바디부재(210)와, 제 1 형틀돌부(220)와, 제 1 패턴공간(230)과, 제 1 체결공(240)을 포함한다.
제 1 바디부재(210)의 경우, 대나무 공예품이 조립되도록, 전술한 절편부재(1)들을 그 상부에 수용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대나무 공예품 조립을 위해, 상기 제 1 바디부재(210)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제 1 형틀돌부(220)가 돌출형성되며, 이를 통해 상기 각 제 1 형틀돌부(220) 사이에는 절편부재(1)들이 삽입되는 공간인 제 1 패턴공간(230)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패턴부(200)는 복수 개의 절편부재(1)들이 상호 직교하는 패턴으로 결합되게 가이드하는 형틀 구조체이다.
이러한 직교 패턴 형성을 위해, 상기 제 1 형틀돌부(220)들은 상호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제 1 바디부재(210) 둘레면의 길이 축 각각에 직교하는 구조로 복수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제 1 형틀돌부(220)들 사이에는 상술한 직교 구조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패턴공간(230)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절편부재(1)들 각각은 상기 제 1 패턴공간(230)을 통과함과 동시에 그 양 측면이 복수 개의 제 1 형틀돌부(220)들에 의해 간섭 지지될 수 있다.
즉, 제 1 패턴부(200)는 복수 개의 제 1 형틀돌부(220)의 간섭구조를 통해 대나무 공예품 제작을 위한 일종의 형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도 1 내지 도 4c에는 상기 제 1 패턴부(200)가 사각 형상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상술한 복수 개의 제 1 형틀돌부(220)들의 직교 구조는 이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설명을 위한 일 예일 뿐이며, 상기 제 1 패턴부(200)의 형상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패턴부(200)의 형상에 관계 없이, 복수 개의 제 1 형틀돌부(220)들은 상호 평행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일 개체들 및 이러한 일 개체들과 직교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타 개체들로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술한 직교 구조를 갖는 대나무 공예품들이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나무 공예 교구(1000)의 어느 일 방향을 향해 구비되는 제 1 절편부재(1)들과, 나머지 타 방향을 향해 구비되는 제 2 절편부재(1)들은 일종의 직조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바디부재(210)의 외측에는 절개홈 구조로 형성되는 제 1 체결공(240)이 형성되며, 이는 전술한 기둥부재(120)와 삽입 결합 가능한 구조이다.
이에 따라, 대나무 공예 작업시 제 1 패턴부(200)는 상기 기둥부재(120)에 지지되므로, 이를 통해 그 작업 안정감이 확보될 수 있다.
덧붙여, 도 4c에 도시된 대나무 공예품(2)은 모든 절편부재(1)가 연이어 결합된 구조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상기 제 1 패턴부(200)를 이용한 대나무 공예품(2) 제작의 일 예일뿐이다.
가령, 제 1 패턴부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는 대나무 공예품의 예시를 나타내는 사진인 도 5를 더 참조하면, 이에 도시된 대나무 공예품(2)은 도 4c에 도시된 것에 비해 특정 절편부재(1)들간 간격이 소정 이격된 것으로 나타난다.
즉, 제 1 패턴부(200)를 통해 제조될 수 있는 대나무 공예품(2) 구조의 경우의 수는 제 1 패턴공간(230)의 전체 개수, 크기, 상호간의 간격 등 다양한 요인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400)는 커버바디부재(410) 및 상기 커버바디부재(410)의 외측에 절개홈 구조로 형성되는 커버 체결공(420)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400)는 상기 대나무 공예 교구(1000)의 최상부에 구비됨으로써, 그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절편부재(1)의 상부를 간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나무 공예 교구(1000)가 상기 커버부(400)까지 조립이 완료된 이후 절편부재(1)가 제 1 패턴공간(230)에 삽입된다면, 절편부재(1)는 하측면 및 양측면 뿐만아니라, 그 상측면 또한 상기 커버부(400)에 의해 간섭됨으로써 그 조립 안정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버 체결공(420)은 전술한 기둥부재(120)에 삽입결합 됨으로써,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덧붙여, 도 1에는 전술한 밑판부(100), 제 1 패턴부(200) 및 커버부(400)가 상호간 동일 범위 내의 사각 형상 및 단면적을 구비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에는 상기 기둥부재(120)는 4개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제 1 체결공(240) 및 커버 체결공(420) 또한 각기 4개씩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 통일 구조 및 기둥부재(120)의 복수 구조는 기둥부재(120)를 이용한 각 구성들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일 뿐이다.
즉, 밑판부(100), 제 1 패턴부(200) 및 커버부(400) 상호 간의 형상, 단면적 등에 관계없이, 복수 개의 제 1 체결공(240) 및 복수 개의 커버 체결공(420)들 각각이 복수 개의 기둥부재(120)들간의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 구조로 형성되기만 한다면, 밑판부(100), 제 1 패턴부(200) 및 커버부(400)들은 상호간 자연스럽게 결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대나무 공예 교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 2 패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이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대나무 공예 교구(20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대나무 공예 교구(2000)는 밑판부(100), 제 2 패턴부(300) 및 커버부(4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밑판부(100) 및 상기 커버부(40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 1 실시 예에서의 구성들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패턴부(300)는 전술한 제 1 패턴부(200)와 같이 대나무 공예품 제작을 위한 형틀 기능을 수행하며, 제 2 바디부재(310)와, 제 2 형틀돌부(320)와, 제 2 패턴공간(330) 및 제 2 체결공(34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2 바디부재(310)와, 제 2 체결공(340)의 경우 각기 전술한 제 1 바디부재(210)와 제 1 체결공(240)에 대응되는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 또한 생략한다.
다만, 상기 제 2 형틀돌부(320)와 제 2 패턴공간(330)의 경우, 전술한 제 1 형틀돌부(220) 및 제 1 패턴공간(230)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나, 그 형상 구조에서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차이점을 통해, 제 2 패턴부(300)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대나무 공예품은 제 1 패턴부(200)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과 상이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에는 제 1 형틀돌부(220) 각각이 제 1 바디부재(210)의 둘레면 길이 축에 대해 직교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반면, 상기 제 2 형틀돌부(320) 각각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크기 및 형상을 지닌 점 구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각 제 2 형틀돌부(320)의 양 측에는 상술한 점 구조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 제 2 패턴공간(330)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절편부재(1)들은 상술한 점 구조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는 범위 내의 끼인각을 갖고 상호 절곡하는 구조로 교차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즉, 직각 교차 구조를 갖는 대나무 공예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 1 패턴부(200)와 달리, 상기 제 2 패턴부(300)는 직각 뿐만아니라 예각 및 둔각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끼인각을 갖고 절곡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대나무 공예품을 제작하기 위한 구성인 것이다.
이때, 도 7에는 상기 복수 개의 제 2 형틀돌부(320)들 각각의 형상, 크기, 상호 간의 간격 등이 통일되지 않은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제 2 형틀돌부(320)의 크기, 형상, 위치 등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대나무 공예품에 형성될 수 있는 끼인각 구조 또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대나무 공예 교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대나무 공예 교구를 통해 대나무 공예품을 제작한 예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 및 도 9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대나무 공예 교구(30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대나무 공예 교구(3000)는 밑판부(100), 제 1 패턴부(200), 제 2 패턴부(300) 및 커버부(400)를 포함하며, 이는 앞서 제 1 실시 예와 제 2 실시 예에서 설명한 구성들과 동일한 구성들이다.
즉, 제 3 실시 예에 따르는 경우, 상호 상이한 패턴을 갖는 제 1 패턴부(200)와 제 2 패턴부(300)가 조립되고, 상기 각각의 패턴부(200, 300)에 복수 개의 절편부재(1)가 소정의 패턴으로 구비됨으로써, 보다 더 다양한 패턴을 갖는 대나무 공예품이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 1 패턴부(200)와 제 2 패턴부(300)가 조합된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내각을 갖는 삼각형 구조로 형성되는 대나무 공예품(2)이 제작될 수 있다.
즉, 제 1 패턴부(200)를 통해 삼각형의 어느 한 변을 형성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예각 또는 둔각과 같은 절곡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제 2 패턴부(300)를 이용하여 소정의 끼인각을 갖는 삼각형의 나머지 두 변을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사항들은 예시에 불과하며, 전술한 제 1 패턴부(200)와 제 2 패턴부(300) 간의 조합구조를 통해 창작될 수 있는 대나무 공예품(2)의 구조는 사용자의 설계 및 창작 능력에 따라 다양한 경우의 수로 나타날 수 있다 할 것이다.
또한, 이는 사용자가 추구할 수 있는 대나무 공예품(2) 구조의 경우의 수가 더욱 증가하게 된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더욱 폭넓은 창작 활동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그 창의성이 더욱 함양될 뿐만아니라, 창작 행위를 통한 심미적 만족감 또한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도 8에는 전술한 기둥부재(120), 제 1 체결공(240) 및 제 2 체결공(340)간의 결합을 통해 제 1 패턴부(200)와 제 2 패턴부(300)가 밑판부(100)와 커버부(400) 사이에 상하로 조립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기둥부재(120)는 각 구성들과 삽입결합됨으로써 이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각 구성들이 다양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일종의 조립 축과 같은 기능 또한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도 8에는 상부에서 하부 순으로 제 1 패턴부(200)와 제 2 패턴부(300)가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을 위한 일 예일 뿐이며, 각 구성들의 배치 순서와 갯수 등은 사용자가 창작하고자 하는 대나무 공예품(2)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대나무 공예 교구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 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하되,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균등한 실시 예에도 미친다 할 것이다.
1000 :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대나무 공예 교구
2000 :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대나무 공예 교구
3000 :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대나무 공예 교구
1 : 절편부재
2 : 대나무 공예품
100 : 밑판부
110 : 밑판바디부재
120 : 기둥부재
200 : 제 1 패턴부
210 : 제 1 바디부재
220 : 제 1 형틀돌부
230 : 제 1 패턴공간
240 : 제 1 체결공
300 : 제 2 패턴부
310 : 제 2 바디부재
320 : 제 2 형틀돌부
330 : 제 2 패턴공간
340 : 제 2 체결공
400 : 커버부
410 : 커버바디부재
420 : 커버 체결공

Claims (3)

  1. 밑판부;
    상기 밑판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1 바디부재와, 대나무 절편인 복수 개의 절편부재들이 상호 직교하는 패턴으로 결합될 수 있게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 1 바디부재의 상부면 둘레를 따라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1 형틀돌부를 포함하는 제 1 패턴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절편부재가 상기 제 1 패턴부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절편부재의 상부면을 구속하도록 상기 제 1 패턴부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절편부재를 상기 복수 개의 제 1 형틀돌부 사이에 구비시킨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절편부재들 각각의 양 측면이 상기 복수 개의 제 1 형틀돌부에 의해 간섭되도록 함으로써 대나무 공예품 제작을 위한 형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공예 교구.
  2. 밑판부;
    상기 밑판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2 바디부재와, 대나무 절편인 복수 개의 절편부재가 상호간 직각, 둔각 및 예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끼인각을 갖고 절곡되는 패턴으로 결합될 수 있게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 2 바디부재의 상부면 둘레를 따라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2 형틀돌부를 포함하는 제 2 패턴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절편부재가 상기 제 2 패턴부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절편부재의 상부면을 구속하도록 상기 제 2 패턴부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절편부재를 상기 복수 개의 제 2 형틀돌부 사이에 구비시킨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절편부재들 각각의 양 측면이 상기 복수 개의 제 2 형틀돌부에 의해 간섭되도록 함으로써 대나무 공예품 제작을 위한 형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공예 교구.
  3. 밑판부;
    상기 밑판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1 바디부재와, 대나무 절편인 복수 개의 절편부재들이 상호 직교하는 패턴으로 결합될 수 있게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 1 바디부재의 상부면 둘레를 따라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1 형틀돌부를 포함하는 제 1 패턴부;
    상기 밑판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2 바디부재와, 상기 복수 개의 절편부재가 상호간 직각, 둔각 및 예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끼인각을 갖고 절곡되는 패턴으로 결합될 수 있게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 2 바디부재의 상부면 둘레를 따라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2 형틀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패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패턴부; 및
    상기 제 1 패턴부 및 상기 제 2 패턴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절편부재의 상부면을 구속하는 커버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절편부재를 상기 복수 개의 제 1 형틀돌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제 2 형틀돌부 각각의 사이에 구비시킨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절편부재들 각각의 양 측면이 상기 복수 개의 제 1 형틀돌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제 2 형틀돌부에 의해 간섭되도록 함으로써 대나무 공예품 제작을 위한 형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공예 교구.
KR1020180117624A 2018-10-02 2018-10-02 대나무 공예 교구 KR102082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624A KR102082353B1 (ko) 2018-10-02 2018-10-02 대나무 공예 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624A KR102082353B1 (ko) 2018-10-02 2018-10-02 대나무 공예 교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353B1 true KR102082353B1 (ko) 2020-02-27

Family

ID=69647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624A KR102082353B1 (ko) 2018-10-02 2018-10-02 대나무 공예 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35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161A (ko) * 2002-09-02 2004-03-10 신황희 대나무 교구의 제조방법
KR101211294B1 (ko) * 2011-05-22 2012-12-11 최선희 대나무를 휘기 위한 가공 방법
CN105603616A (zh) * 2016-03-25 2016-05-25 宜兴乐威牛仔布有限公司 全棉竹节靛蓝套色牛仔布
KR20170000564U (ko) * 2015-08-03 2017-02-13 이규연 적층식 조립 키트
KR101824458B1 (ko) * 2016-07-22 2018-02-01 김현상 대나무 석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161A (ko) * 2002-09-02 2004-03-10 신황희 대나무 교구의 제조방법
KR101211294B1 (ko) * 2011-05-22 2012-12-11 최선희 대나무를 휘기 위한 가공 방법
KR20170000564U (ko) * 2015-08-03 2017-02-13 이규연 적층식 조립 키트
CN105603616A (zh) * 2016-03-25 2016-05-25 宜兴乐威牛仔布有限公司 全棉竹节靛蓝套色牛仔布
KR101824458B1 (ko) * 2016-07-22 2018-02-01 김현상 대나무 석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1506A (en) Three dimensional relief puzzle
JP7044638B2 (ja) コネクタカバーの母材及びコネクタカバーの生産方法
JP6363530B2 (ja) 接続ブレ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接続ブレード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KR102082353B1 (ko) 대나무 공예 교구
US20200391673A1 (en) Vehicle interior material having stitch line and method of implementing stitch line on vehicle interior material
US9601877B2 (en) Connector housing
US9583888B2 (en) Connector housing
CN106103278B (zh) 格子面板结构以及方法
JP2017086034A (ja) 植え付け孔間隔調節カバー
JP2018160571A (ja) 個片基板の製造方法、組立体の製造方法、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2021132222A (ja) フィルタ部品、及び、ボビン
CN215164043U (zh) 裁切花式纱用固定刀槽架
KR101861267B1 (ko) 회전 이탈을 방지하는 시미 트림용 금형
KR101200207B1 (ko) 사각단면 플러그단자 제조장치
JP2002337087A (ja) プリント基板の切断装置
KR200456251Y1 (ko) 원통형 원단 구멍 가공장치
JP6896521B2 (ja) ボタンの製造方法
JPH0330069Y2 (ko)
KR101199317B1 (ko) 암수 겸용 스냅 단추
WO2021106220A1 (ja) ガイドシート、籠の製作方法、および籠
WO2017159390A1 (ja) インダクターキャリア
JPS6237285Y2 (ko)
JPH0347308Y2 (ko)
JP3075987U (ja) 容器の蓋
JP2019051225A (ja) 蝶結びリボン型装飾具、ランドセル、及び蝶結びリボン型装飾具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