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0207B1 - 사각단면 플러그단자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사각단면 플러그단자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0207B1
KR101200207B1 KR1020120060570A KR20120060570A KR101200207B1 KR 101200207 B1 KR101200207 B1 KR 101200207B1 KR 1020120060570 A KR1020120060570 A KR 1020120060570A KR 20120060570 A KR20120060570 A KR 20120060570A KR 101200207 B1 KR101200207 B1 KR 101200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mother
connection terminal
groove
posi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현
Original Assignee
(주)이안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안정밀 filed Critical (주)이안정밀
Priority to KR1020120060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02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각단면 플러그단자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제조장치에 의한 사각단면 플러그단자 제조방법은, 부품공급장치(미도시)가 모제(10')를 이송시켜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접속단자모제(M)를 제1위치고정블럭(21)의 제1위치고정홈(21a)에 위치고정하는 단계(S1)와; 제1위치고정홈(21a)의 상단에 위치된 제1펀치(25)가 하강하면서 제1위치고정홈(21)에 위치고정된 접속단자모제(M)를 기준폭(W) 보다 점차로 작아지는 절삭홈(22a)(22a')을 강제로 통과시킴으로써, 그 접속단자모제(M)에 한쌍의 제1절삭면(11a)을 형성하는 단계(S2)와; 제1펀치(25)가 더욱 하강하면서 제1절삭면(11a)이 형성된 접속단자모제(M)를 선단절삭홈(23a)을 강제로 통과시킴으로써, 그 접속단자모제(M')의 선단에 한쌍의 선단절삭면(11c)을 형성하는 단계(S3)와; 부품공급장치가 제1절삭면(11a) 및 선단절삭면(11c)이 형성된 모제(10')를 이송하여 접속단자모제(M')를 제2위치고정블럭(31)의 제2위치고정홈(31)에 위치고정하는 단계(S4)와; 제2위치고정홈(31a)의 상단에 위치된 제2펀치(35)가 하강하면서 접속단자모제(M')를 기준폭(W) 보다 작은 폭(W2)의 절삭홈(32a)을 강제로 통과시킴으로써, 그 접속단자모제(M)에 제1절삭면(11a)과 수직 방향으로 한쌍의 제2절삭면(11b)을 형성하는 단계(S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각단면 플러그단자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square cross-section plug terminal}
본 발명은 사각단면 플러그단자를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사각단면 플러그단자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의 단면은 나라의 전기규격에 따라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도 1은 사각단면 플러그단자를 채용한 플러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플러그단자가 플러그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단면 플러그단자는, 콘센트에 접속되는 접속단자부(1)와, 접속단자부(1)와 연결된 것으로서 전선이 연결되는 전선단자부(2)로 구성된다. 이때 접속단자부(1)에는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1a)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플러그단자는 플라스틱재질의 플러그(F)에서 돌출되는 성형단자(F1)에 전선단자부(2)를 인서트가공함으로써 일체화한다.
상기한 플러그단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단면이 직사각형인 기다란 모제를 선반이나 밀링머쉰과 같은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접속단자부(1)와 전선단자부(2)를 가공하고, 이후 제조된 접속단자부(1)를 고정한 후 그 접속단자부(1)의 선단을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경사면(1a)을 절삭하며, 이후 도금함으로서 완성되었다.
그런데 상기한 절삭방식에 의하면, 플러그단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하나하나의 모제를 절삭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되었다. 이에 따라 플러그단자를 대량생산하는데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었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사각단면 플러그단자를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사각단면 플러그단자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각단면 플러그단자 제조장치는, 측면에 수평측면(M1)이 형성되고 선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측면(M2)이 형성되며 수평측면(M1) 측으로 기준폭(W)을 가지는 접속단자모제(M)와, 그 접속단자모제(M)와 일체화된 것으로서 전선이 연결되는 전선단자부(12)로 구성된 모제(10')를 절삭가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접속단자모제(M)를 X 축 방향으로 절삭하고 선단에 선단절삭면(11c)을 절삭하기 위한 제1절삭부(20) 및 상기 제1절삭부(20)에 의하여 제1절삭면(11a) 및 선단절삭면(11c)이 형성된 접속단자모제(M')를 Y 축 방향으로 절삭하기 위한 제2절삭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절삭부(20)는, 상기 접속단자모제(M)를 위치고정하기 위한 제1위치고정홈(21a)이 형성된 제1위치고정블럭(21)과; 상기 제1위치고정블럭(21)의 하부측에 이격되게 배치된 것으로서 상기 기준폭(W) 보다 작은 폭(W1)의 절삭홈(22a)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X 측면절삭블럭(22)과; 상기 X 측면절삭블럭(22)의 하부측에 이격되게 배치된 것으로서 선단(Z 축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선단절삭홈(23a)이 형성된 선단절삭블럭(23)과; 상기 접속단자모제(M)를 상기 제1위치고정홈(21a)으로부터 상기 선단절삭홈(23a) 방향으로 타발하는 제1펀치(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절삭부(30)는, 상기 제1절삭부(20)에 의하여 상기 제1절삭면(11a) 및 선단절삭면(11c)이 형성된 상기 접속단자모제(M')를 위치고정하기 위한 제2위치고정홈(31a)이 형성된 제2위치고정블럭(31)과; 상기 제2위치고정블럭(31)의 하부측에 이격되게 배치된 것으로서 상기 기준폭(W) 보다 작은 폭(W2)의 절삭홈(32a)을 가지는 Y 측면절삭블럭(32)과; 상기 접속단자모제(M')를 상기 제2위치고정홈(31a)으로부터 상기 절삭홈(32a) 방향으로 타발하는 제2펀치(35);를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펀치에 의하여 타발하여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접속단자모제에 제1,2절삭면 및 선단절삭면을 형성함으로서 사각단면 플러그단자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라는 작용, 효과가 있다.
도 1은 사각단면 플러그단자를 채용한 플러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플러그단자가 플러그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사각단면 플러그단자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사각단면 플러그단자를 제조하기 위한 모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모제에 접속단자모제를 절삭가공하기 위한 제1절삭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는 도 5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5의 B-B' 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6c는 도 5의 C-C'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6d 는 도 5의 D-D' 선을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제1절삭부에 의하여 절삭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7에 의하여 제1절삭면 및 선단절삭면이 형성된 접속단자모제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접속단자모제를 절삭가공하기 위한 제2절삭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a는 도 9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b는 도 9의 B-B' 선을 따른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제2절삭부에 의하여 절삭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각단면 플러그단자 제조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사각단면 플러그단자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사각단면 플러그단자를 제조하기 위한 모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각단면 플러그단자 제조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에 접속되는 접속단자부(11) 및 그 접속단자부(11)와 연결된 것으로서 전선이 연결되는 전선단자부(12)로 구성되는 플러그단자(10)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접속단자부(11)에는, X 축 방향으로 대향되는 한쌍의 제1절삭면(11a)이 형성되고, Y 축 방향으로 대향되는 한쌍의 제2절삭면(11b)이 형성되며, 선단에는 Z 축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한쌍의 선단절삭면(11c)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각단면 플러그 단자는 플러그 구멍(미도시)에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다.
상기한 플러그단자(10)를 제조하기 위한 모제(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수평측면(M1)이 형성되고 선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측면(M2)이 형성된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접속단자모제(M)와, 그 접속단자모제(M)와 일체화된 것으로서 전선이 연결되는 전선단자부(12)로 구성된다. 이때 접속단자모제(M)는 수평측면(M1) 측으로 기준폭(W)을 가지며, 동재질로 되어 있다.
상기한 모제(10')를 절삭가공하여 플러그단자(10)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각단면 플러그단자 제조장치는, 접속단자모제(M)를 X 축 방향으로 절삭하고 선단에 선단절삭면(11c)을 절삭하기 위한 제1절삭부(20)와, 제1절삭부(20)에 의하여 제1절삭면(11a) 및 선단절삭면(11c)이 형성된 접속단자모제(M')를 Y 축 방향으로 절삭하기 위한 제2절삭부(30)를 포함한다.
도 5는 도 4의 모제에 접속단자모제를 절삭가공하기 위한 제1절삭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a는 도 5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5의 B-B' 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6c는 도 5의 C-C'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6d 는 도 5의 D-D'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 도 7은 도 5의 제1절삭부에 의하여 절삭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의하여 제1절삭면 및 선단절삭면이 형성된 접속단자모제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삭부(20)는, 접속단자모제(M)를 위치고정하기 위한 제1위치고정홈(21a)이 형성된 제1위치고정블럭(21)과, 제1위치고정블럭(21)의 하부측에 이격되게 배치된 것으로서 기준폭(W) 보다 작은 폭(W1)의 절삭홈(22a)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X 측면절삭블럭(22)과, X 측면절삭블럭(22)의 하부측에 이격되게 배치된 것으로서 선단(Z 축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선단절삭홈(23a)이 형성된 선단절삭블럭(23)과, 접속단자모제(M)를 제1위치고정홈(21a)으로부터 선단절삭홈(23a) 방향으로 타발하는 제1펀치(25)를 포함한다. 이때 접속단자모제(M)의 절삭정도에 따라 X 측면절삭블럭(22)의 하부측에는 절삭홈(22a) 보다 작은 폭(W1')의 절삭홈(22a')이 형성된 X 측면 서브절삭블럭(22')이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접속단자모제(M)의 절삭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상기한 제1위치고정블럭(21), X 측면절삭블럭(22) 및 선단절삭블럭(23)은 동재질인 접속단자모제(M)를 절삭할 수 있도록 초경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공지의 부품공급장치는 모제(10')의 접속단자모제(M)를 제1위치고정홈(21a)으로 이송시켜 위치고정한다. 이때 부품공급장치는 당업계에서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제1펀치(25)가 하강하면서 접속단자모제(M)를 타발하면, 접속단자모제(M)는 기준폭(W) 보다 점차로 작아지는 절삭홈(22a)(22a')을 강제로 통과하면서 한쌍의 제1절삭면(11a)이 형성된다. 이때 제1절삭면(11a)이 형성되면서 발생되는 스크랩(S; scrap)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고정블럭(21)과 X 측면 절삭블럭(22)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튕겨져 배출된다.
이후 제1펀치(25)가 더욱 하강하면서, 제1절삭면(11a)이 형성된 접속단자모제(M)는 선단절삭홈(23a)을 강제로 통과하면서 선단에 한쌍의 선단절삭면(11c)이 형성된다. 이때 선단절삭면(11c)이 형성되면서 발생되는 스크랩(S)은, X 측면 절삭블럭(22)과 선단절삭블럭(23)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튕겨져 배출된다.
이러한 일련의 공정을 통하여 도 8에 도시된 접속단자모제(M')가 완성된다.
도 9는 도 8의 접속단자모제를 절삭가공하기 위한 제2절삭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a는 도 9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b는 도 9의 B-B'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도 9의 제2절삭부에 의하여 절삭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절삭부(30)는, 제1절삭부(20)에 의하여 제1절삭면(11a) 및 선단절삭면(11c)이 형성된 접속단자모제(M')를 위치고정하기 위한 제2위치고정홈(31a)이 형성된 제2위치고정블럭(31)과, 제2위치고정블럭(31)의 하부측에 이격되게 배치된 것으로서 기준폭(W) 보다 작은 폭(W2)의 절삭홈(32a)을 가지는 Y 측면절삭블럭(32)과, 접속단자모제(M')를 제2위치고정홈(31a)으로부터 절삭홈(32a) 방향으로 타발하는 제2펀치(35)를 포함한다. 이때 접속단자모제(M')의 절삭정도에 따라 Y 측면절삭블럭(32)의 하부측에는 절삭홈(32a) 보다 작은 폭 절삭홈이 형성된 서브절삭블럭이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접속단자모제(M')의 절삭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상기한 제1위치고정블럭(31) 및 Y 측면절삭블럭(32)은 동재질인 접속단자모제(M)를 절삭할 수 있도록 초경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공지의 부품공급장치는 제1절삭면(11a) 및 선단절삭면(11c)이 형성된 접속단자모제(M')를 가지는 모제(10')를 제2위치고정홈(31a)으로 이송시켜 위치고정한다. 이때 부품공급장치는 당업계에서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펀치(35)가 하강하면서 접속단자모제(M')를 타발하면, 접속단자모제(M')는 기준폭(W) 보다 작은 폭(W2)의 절삭홈(32a)을 통과하면서 제1절삭면(11a)과 수직 방향으로 제2절삭면(11b)이 형성된다. 이때 제2절삭면(11b)이 형성되면서 발생되는 스크랩(S)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고정블럭(31)과 Y 측면 절삭블럭(32)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튕겨져 배출된다.
상기한 제2절삭부(30)에 의하여 제조된 사각단면 플러그단자는 이후 도금됨으로서 완성된다.
다음, 상기한 제조장치에 의하여 사각단면 플러그단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단면 플러그단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부품공급장치(미도시)가 모제(10')를 이송시켜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접속단자모제(M)를 제1위치고정블럭(21)의 제1위치고정홈(21a)에 위치고정하는 단계(S1)를 수행한다.
다음, 제1위치고정홈(21a)의 상단에 위치된 제1펀치(25)가 하강하면서 제1위치고정홈(21)에 위치고정된 접속단자모제(M)를 기준폭(W) 보다 점차로 작아지는 절삭홈(22a)(22a')을 강제로 통과시킴으로써, 그 접속단자모제(M)에 대향된 한쌍의 제1절삭면(11a)을 형성하는 단계(S2)를 수행한다.
다음, 제1펀치(25)가 더욱 하강하면서 제1절삭면(11a)이 형성된 접속단자모제(M)를 선단절삭홈(23a)을 강제로 통과시킴으로써, 그 접속단자모제(M')의 선단에 대향되는 한쌍의 선단절삭면(11c)을 형성하는 단계(S3)를 수행한다.
다음, 부품공급장치가 제1절삭면(11a) 및 선단절삭면(11c)이 형성된 모제(10')를 이송하여 접속단자모제(M')를 제2위치고정블럭(31)의 제2위치고정홈(31)에 위치고정하는 단계(S4)를 수행한다.
다음, 제2위치고정홈(31a)의 상단에 위치된 제2펀치(35)가 하강하면서 접속단자모제(M')를 기준폭(W) 보다 작은 폭(W2)의 절삭홈(32a)을 강제로 통과시킴으로써, 그 접속단자모제(M)에 제1절삭면(11a)과 수직 방향으로 한쌍의 제2절삭면(11b)을 형성하는 단계(S5);를 수행한다.
그리고 제1,2절삭면(11a)(11b) 및 선단절삭면(11c)이 형성된 모제(10')를 도금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단면 플러그단자(10)가 완성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플러그단자 11 ... 접속단자부
11a ... 제1절삭면 11b ... 제2절삭면
11c ... 선단절삭면 12 ... 전선단자부
10' ... 모제 M ... 접속단자모제
M1 ... 수평측면 M2 ... 경사측면
20 ... 제1절삭부 21 ... 제1위치고정블럭
21a ... 제1위치고정홈 22 ... X 측면절삭블럭
22a ... 절삭홈 22' ... X 측면 서브절삭블럭
22a' ... 절삭홈 23 ... 선단절삭블럭
23a ... 선단절삭홈 25 ... 제1펀치
30 ... 제2절삭부 31 ... 제2위치고정블럭
31a ... 제2위치고정홈 32 ... Y 측면절삭블럭
35 ... 제2펀치

Claims (4)

  1. 측면에 수평측면(M1)이 형성되고 선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측면(M2)이 형성되며 수평측면(M1) 측으로 기준폭(W)을 가지는 접속단자모제(M)와, 그 접속단자모제(M)와 일체화된 것으로서 전선이 연결되는 전선단자부(12)로 구성된 모제(10')를 절삭가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접속단자모제(M)를 X 축 방향으로 절삭하고 선단에 선단절삭면(11c)을 절삭하기 위한 제1절삭부(20) 및 상기 제1절삭부(20)에 의하여 제1절삭면(11a) 및 선단절삭면(11c)이 형성된 접속단자모제(M')를 Y 축 방향으로 절삭하기 위한 제2절삭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절삭부(20)는, 상기 접속단자모제(M)를 위치고정하기 위한 제1위치고정홈(21a)이 형성된 제1위치고정블럭(21)과; 상기 제1위치고정블럭(21)의 하부측에 이격되게 배치된 것으로서 상기 기준폭(W) 보다 작은 폭(W1)의 절삭홈(22a)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X 측면절삭블럭(22)과; 상기 X 측면절삭블럭(22)의 하부측에 이격되게 배치된 것으로서 선단(Z 축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선단절삭홈(23a)이 형성된 선단절삭블럭(23)과; 상기 접속단자모제(M)를 상기 제1위치고정홈(21a)으로부터 상기 선단절삭홈(23a) 방향으로 타발하는 제1펀치(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단면 플러그단자 제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삭부(30)는,
    상기 제1절삭부(20)에 의하여 상기 제1절삭면(11a) 및 선단절삭면(11c)이 형성된 상기 접속단자모제(M')를 위치고정하기 위한 제2위치고정홈(31a)이 형성된 제2위치고정블럭(31)과;
    상기 제2위치고정블럭(31)의 하부측에 이격되게 배치된 것으로서 상기 기준폭(W) 보다 작은 폭(W2)의 절삭홈(32a)을 가지는 Y 측면절삭블럭(32)과;
    상기 접속단자모제(M')를 상기 제2위치고정홈(31a)으로부터 상기 절삭홈(32a) 방향으로 타발하는 제2펀치(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단면 플러그단자 제조장치.
  4. 삭제
KR1020120060570A 2012-06-05 2012-06-05 사각단면 플러그단자 제조장치 KR101200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570A KR101200207B1 (ko) 2012-06-05 2012-06-05 사각단면 플러그단자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570A KR101200207B1 (ko) 2012-06-05 2012-06-05 사각단면 플러그단자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0207B1 true KR101200207B1 (ko) 2012-11-09

Family

ID=47564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570A KR101200207B1 (ko) 2012-06-05 2012-06-05 사각단면 플러그단자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02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505U (ko) 2022-01-20 2023-07-27 현 우 결합이 용이한 전기콘센트 및 플러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505U (ko) 2022-01-20 2023-07-27 현 우 결합이 용이한 전기콘센트 및 플러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047B1 (ko) 히트 싱크의 알루미늄 시트를 압출하는 몰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2000094398A (ja) 打抜き加工用パンチ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40182437A1 (en) Trimming die and punch thereof
KR101200207B1 (ko) 사각단면 플러그단자 제조장치
KR101121221B1 (ko) 콘센트 접지단자용 프레스 금형장치
CN204486589U (zh) 高效cnc按键加工模具
JP5569302B2 (ja) ブスバー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1901777B1 (ko) 단조에 의한 단자용 금속 부품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자용 금속 부품
CN104384639A (zh) 缝纫机压板的线切割用夹具
CN103895172B (zh) 一种注塑埋射成型模组
JP6506963B2 (ja) 切断方法及びこの切断方法で得たワーク
CN110722232A (zh) 线切割方法
CN104416043B (zh) 一种锯片的多孔冲裁无碎料处理成型方法
JP4341929B1 (ja) 母板加工用金型、加工板の製造方法、及び、製品板の製造方法
CN216027409U (zh) 汽车a柱左右件冲压切边成型模具
KR200281034Y1 (ko) 프레스 장치
CN210429763U (zh) 一种自动复位定位针装置
JP2013066998A (ja) 端子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により製造した端子を用いたコネクタ
JP6163085B2 (ja) 部品整列用パレ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6936094U (zh) 一种电子元器件冲切成型刀头组件
KR101026539B1 (ko) 커넥터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JP6156867B2 (ja) 電池用端子部材の製造方法
CN207770609U (zh) 一种横向成型级进模
KR102067700B1 (ko) 전기모터용 베어링 쉴드 제조장치
CN108631081A (zh) 一种新型连接器端子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