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505U - 결합이 용이한 전기콘센트 및 플러그 - Google Patents

결합이 용이한 전기콘센트 및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505U
KR20230001505U KR2020220000159U KR20220000159U KR20230001505U KR 20230001505 U KR20230001505 U KR 20230001505U KR 2020220000159 U KR2020220000159 U KR 2020220000159U KR 20220000159 U KR20220000159 U KR 20220000159U KR 20230001505 U KR20230001505 U KR 202300015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outlet
insertion hole
pin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1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 우
Original Assignee
현 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 우 filed Critical 현 우
Priority to KR20202200001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505U/ko
Publication of KR202300015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50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결합이 용이한 전기콘센트 및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호 결합되는 콘센트와 플러그의 결합부분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전기콘센트 및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콘센트 및 플러그는, 한 쌍의 삽입핀이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사각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플러그 및 상기 플러그가 삽입 가능하도록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복수개의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의 내부를 향해 인입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의 삽입핀이 삽입되는 핀삽입홀을 포함하는 콘센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결합이 용이한 전기콘센트 및 플러그{Easy-to-connect electrical outlets and plugs}
본 고안은 결합이 용이한 전기콘센트 및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호 결합되는 콘센트와 플러그의 결합부분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전기콘센트 및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필요로 하는 가정, 사무실, 또는 작업장 등과 같이 사람이 머물 수 있는 곳에는 전기를 사용하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콘센트가 벽에 고정되어 위치한다. 상기 콘센트에 접속하여 사용되는 전자제품은 상기 콘센트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단자봉이 구비된 플러그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콘센트에 접속되는 전기플러그는 그 손잡이의 형태가 수평방향으로 구비되어 전선이 하축 방향으로 구비된 플러그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가 콘센트에 삽입되어 각종 전자제품들의 기기내부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콘센트는 하나 이상의 결합구에 플러그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러그의 +단자봉과 -단자봉이 하나씩 삽입되는 한 쌍의 구멍이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콘센트에 구비된 결합구는 모두 수평방향으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러한, 콘센트는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수평 방향으로 삽입하여 사용되었다.
이러한 콘센트는 감전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벽이나 책상 밑 등과 같이 잘 보이지 않는 곳에 숨겨져 있으며, 이렇게 숨겨진 장소에서 플러그를 꽂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굽혀 콘센트에 형성된 결합구의 핀삽입홀 방향을 일일이 확인하여야 함으로 플러그를 결합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야간의 경우 원형단면을 가진 플러그를 콘센트의 결합구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플러그핀과 핀삽입홀의 방향을 매칭시키기 위해서 일일이 돌려가면서 끼워봐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 특허등록 제10-1200207호(2012.11.09 공고)
상호 결합되는 콘센트와 플러그의 결합부분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전기콘센트 및 플러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콘센트 및 플러그는, 한 쌍의 삽입핀이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사각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플러그 및 상기 플러그가 삽입 가능하도록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복수개의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의 내부를 향해 인입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의 삽입핀이 삽입되는 한 쌍의 제1핀삽입홀을 포함하는 콘센트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의 모서리 및 콘센트의 삽입구 내주면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제1핀삽입홀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또 다른 한 쌍의 제2핀삽입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전기콘센트 및 플러그 구조에 의하여 잘 보이지 않는 깊숙한 곳에 콘센트가 설치되었거나 어두운 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콘센트를 삽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콘센트의 삽입구에 한 쌍으로 이루어진 핀삽입홀 두 개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사각 형상의 플러그를 90°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바로 결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콘센트 및 플러그의 삽입 전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콘센트 및 플러그의 삽입되는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콘센트 및 플러그에 있어서, 플러그가 회전되어 콘센트에 삽입되는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콘센트 및 플러그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콘센트 및 플러그는, 한 쌍의 삽입핀(11)이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사각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플러그(10) 및 상기 플러그(10)가 삽입 가능하도록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복수개의 삽입구(21)와, 상기 삽입구(21)의 내부를 향해 인입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10)의 삽입핀(11)이 삽입되는 한 쌍의 제1핀삽입홀(23)을 포함하는 콘센트(20)를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10)는 콘센트(20)에 삽입되기 위하여 한 쌍의 삽입핀(11)이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삽입핀(11)은 +단자와 -단자로 이루어져 콘센트(20)의 제1핀삽입홀(23)에 삽입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플러그(10)의 후방으로 전선이 연장 형성되며, 전원이 공급되면 작동하는 전자기기와 연결된다.
상기 플러그(10)와 결합되는 콘센트(20)는 단일 삽입구(21) 또는 복수개의 삽입구(21)가 나란히 형성된 구조로 벽이나 멀티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구(21)의 내부에는 플러그(10)에 형성된 한 쌍의 삽입핀(11)이 삽입 가능하도록 한 쌍의 제1핀삽입홀(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러그(10)가 삽입구(21)에 삽입되면 제1핀삽입홀(23)에 삽입핀(11)이 삽입되면서 전자기기로 전력을 공급해줄 수 있다.
여기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플러그(10)와 콘센트(20)의 삽입구(21)는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콘센트(20)에 형성된 복수의 삽입구(21)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이에 대응되는 형상의 플러그(10) 또한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져 상호 결합되는데, 삽입구(21)에 형성된 제1핀삽입홀(23)에 삽입핀(11)을 정확하게 삽입하기는 상당히 어렵다는 단점이 있고, 특히 야간에 불빛이 없는 상태에서는 플러그(10)를 일정부분만큼 삽입한 상태로 계속 회전시키면서 삽입핀(11)을 제1핀삽입홀(23)에 위치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플러그(10)와 콘센트(20)는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제1핀삽입홀(23)의 위치를 찾지 않아도 형상만으로 쉽게 삽입 결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10) 및 콘센트(20)는 사각 형상뿐만 아니라 결합을 용이하게 도와줄 수 있는 그 어떤 형상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면이 타원형 구조로 이루어진 플러그(10) 및 콘센트(20)의 경우 타원의 장축과 단축을 통해 어두운 환경에서도 삽입되는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10)의 모서리 및 콘센트(20)의 삽입구(21) 내주면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상기 플러그(10)를 콘센트(20)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삽입구(21)의 내주면과 플러그(10)의 외주면이 상호 대응되도록 이루어져야 함에 따라, 플러그(10)의 모서리 끝부분이 삽입구(21)의 모서리 끝부분과 마찰되어 마모되는 등 제품성이 하락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플러그(10)의 모서리 및 삽입구(21)의 내주면 모서리는 모따기 방식 등으로 라운드처리 됨으로써 플러그(10)의 용이한 삽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제1핀삽입홀(23)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또 다른 한 쌍의 제2핀삽입홀(2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플러그(10)가 삽입구(21)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삽입핀(11)이 제1핀삽입홀(23)에 정확히 끼워지는 경우와, 삽입핀(11)이 제1핀삽입홀(23)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끼워지지 않는 경우로 나뉘어진다. 만약, 후자의 경우라면 상기 플러그(10)를 다시 빼내어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재삽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구(21) 내에 형성된 한 쌍의 제1핀삽입홀(23)에 수직방향으로 제2핀삽입홀(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1핀삽입홀(23) 및 제2핀삽입홀(25)이 각각 형성되면서, 상기 플러그(10)가 삽입구(21)에 어떤 방향으로 삽입되어도 제1핀삽입홀(23) 또는 제2핀삽입홀(25) 둘 중에 하나와는 반드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플러그
11 : 삽입핀
20 : 콘센트
21 : 삽입구
23 : 제1핀삽입홀
25 : 제2핀삽입홀

Claims (3)

  1. 한 쌍의 삽입핀이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사각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플러그; 및
    상기 플러그가 삽입 가능하도록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복수개의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의 내부를 향해 인입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의 삽입핀이 삽입되는 한 쌍의 제1핀삽입홀을 포함하는 콘센트;
    를 포함하는 전기콘센트 및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모서리 및 콘센트의 삽입구 내주면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콘센트 및 플러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핀삽입홀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또 다른 한 쌍의 제2핀삽입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콘센트 및 플러그.
KR2020220000159U 2022-01-20 2022-01-20 결합이 용이한 전기콘센트 및 플러그 KR202300015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159U KR20230001505U (ko) 2022-01-20 2022-01-20 결합이 용이한 전기콘센트 및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159U KR20230001505U (ko) 2022-01-20 2022-01-20 결합이 용이한 전기콘센트 및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505U true KR20230001505U (ko) 2023-07-27

Family

ID=87426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159U KR20230001505U (ko) 2022-01-20 2022-01-20 결합이 용이한 전기콘센트 및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505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207B1 (ko) 2012-06-05 2012-11-09 (주)이안정밀 사각단면 플러그단자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207B1 (ko) 2012-06-05 2012-11-09 (주)이안정밀 사각단면 플러그단자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37485B (zh) 安全防护插座
CN103682749A (zh) 插头插座
US20180131109A1 (en) Ac power socket
KR20230001505U (ko) 결합이 용이한 전기콘센트 및 플러그
CN205029067U (zh) 一种接线端子连接器
CN205509173U (zh) 车用连接器组合
KR20080004818U (ko) 다방향의 플러그 삽입이 가능한 콘센트
CN206116795U (zh) 一种安全三相插座
CN202121163U (zh) 防脱插头插座
CN205752835U (zh) 一种带有旋转开关的墙壁插座
CN205657210U (zh) 插头连接器、插座连接器及连接器组合
CN207320452U (zh) 一种连接器
CN205303878U (zh) 活动插座与电源线的连接结构
CN104600477A (zh) 一种入墙式插座
CN206180251U (zh) 一种防水抗震的医疗设备连接线
CN202906019U (zh) 中心针偏转电连接器
CN104901065A (zh) 一种防尘式通讯插座
CN205303877U (zh) 改进的活动插座
CN103700973A (zh) 插头插座
CN205092380U (zh) 一种电源连接器
CN103762454B (zh) 接插件防呆结构
CN214100043U (zh) 一种具有保护套的计算机电源线
CN209823052U (zh) 一种二次成型兼具转接功能的八字尾插头
CN219591703U (zh) 一种线束连接器的焊点保护结构
CN208908266U (zh) 一种便于拆装的五金插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