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784B1 -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784B1
KR102081784B1 KR1020180081854A KR20180081854A KR102081784B1 KR 102081784 B1 KR102081784 B1 KR 102081784B1 KR 1020180081854 A KR1020180081854 A KR 1020180081854A KR 20180081854 A KR20180081854 A KR 20180081854A KR 102081784 B1 KR102081784 B1 KR 102081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way
service
request
railway service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7579A (ko
Inventor
차성열
박현정
조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180081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784B1/ko
Publication of KR20200007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는, 외부의 사용자 플랫폼으로부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분석하여, 서로 다른 철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들 중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하는 서비스 요청 분석부,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는 서비스 요청 변환부, 및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상기 선택된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서버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grated railroad service}
본 발명은 다양한 철도 서비스를 융합하여 통일된 환경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 기술 발전에 따라 철도 분야에서도 여객, 결제, 민원 등 다양한 철도 관련 서비스들을 온라인상에서 제공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제3자(third party)의 모바일 앱이나 SNS 등의 외부 사용자 플랫폼에서 이러한 기존의 철도 서비스들을 제공하려면 각 서비스 고유의 통신 프로토콜, 데이터 형식, 보안 요구사항 등을 맞추어 시스템을 개발해야 하였다. 사용자 입자에서는 각 철도 서비스마다, 각 사용자 플랫폼마다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경험해야 하였다. 이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 플랫폼에서 기존의 다양한 철도 서비스들을 안전하고 간편하고 통일성 있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또한 서로 다른 다양한 철도 서비스들을 연계하여 융합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대국민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고, 민간 사업자들이 간편하고 안전하게 철도 서비스를 연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철도 서비스를 융합하여 통일된 환경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는, 외부의 사용자 플랫폼으로부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분석하여, 서로 다른 철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들 중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하는 서비스 요청 분석부,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는 서비스 요청 변환부, 및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상기 선택된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서버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가 외부의 사용자 플랫폼으로부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서비스 요청 분석부가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분석하여, 서로 다른 철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들 중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 서비스 요청 변환부가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 및 서버 통신부가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상기 선택된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 통신부가 상기 선택된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된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터페이스에 따른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에 대한 제1 철도 서비스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서비스 응답 변환부가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플랫폼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제2 철도 서비스 응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가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응답을 상기 사용자 플랫폼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플랫폼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제2 철도 서비스 응답은, 챗봇 대화, 음성 AI 대화, 인라인 프레임, 또는 독립적인 웹 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플랫폼에 고유한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요청 변환부가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되는 상기 선택된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에 고유한 제2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 통신부가 상기 제2 사용자 식별자를 상기 선택된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플랫폼에 고유한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플랫폼으로부터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고유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를 가리키는 지시자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지시자를 상기 사용자 플랫폼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지시자를 포함하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에 포함된 상기 지시자를 검증하는 단계,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에 포함된 상기 지시자가 검증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고유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를 통해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고유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되는 통합 철도 서비스 사용 기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 통신부가 상기 선택된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에 대한 제1 철도 서비스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서비스 응답 변환부가 상기 제1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에 맞는 제2 철도 서비스 응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가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응답을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자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송신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1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지시자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자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송신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2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에 포함된 상기 지시자에 포함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정보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자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송신한 기기를 나타내는 제1 기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기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지시자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자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송신한 기기를 나타내는 제2 기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에 포함된 상기 지시자에 포함된 상기 제1 기기 정보와 상기 제2 기기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송신한 기기를 나타내는 제1 기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송신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에이전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 정보 중 기기에 고유한 부분만을 상기 제1 기기 정보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자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자의 만료 시간을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자를 생성하는 단계는, 매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에 고유한 값을 갖도록 상기 지시자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시자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자의 기 사용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자를 상기 사용자 플랫폼으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플랫폼에서 자동으로 상기 지시자를 포함하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송신하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분석하여,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제3 철도 서비스 요청 및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들 중 상기 제3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제1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제2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철도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제5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제6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5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6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분석하여,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제3 철도 서비스 요청 및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복수의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들 중 상기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상기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서비스 요청 변환부가 상기 제3 철도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제5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 통신부가 상기 제5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분석하여,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제3 철도 서비스 요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들 중 상기 제3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제1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철도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제5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 통신부가 상기 제5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서버 통신부가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5 철도 서비스 요청에 대한 제1 철도 서비스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들 중 상기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제2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제6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6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요청 분석부가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분석하여,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제3 철도 서비스 요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요청 분석부가 상기 제3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요청 변환부가 상기 제3 철도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제5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 통신부가 상기 제5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 통신부가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5 철도 서비스 요청에 대한 제1 철도 서비스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들 중 상기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상기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메시지의 데이터 포맷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철도 서비스를 융합하여 통일된 환경으로 간편하고 안전하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철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교통 채팅 플랫폼의 화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화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면들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구성을 갖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을 부여하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장치와 방법을 함께 서술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110), 하나 이상의 사용자 플랫폼(120), 및 복수의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들(130)을 포함한다.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들(130)은 철도 여객 서비스를 제공하는 철도 여객 서버, 철도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철도 결제 서버, 철도 민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철도 민원 서버 등 서로 다른 개별 철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들이다. 철도 민원 서비스는 지연증명, 성추행/긴급상황, 온도조절, 질서저해, 안내방송, 시설물, 환경민원 등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들(130)은 별도로 개발된 개별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기존의 서버들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란 해당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필요한 그 서버 고유의 통신 프로토콜, 데이터 형식, 보안 요구사항 등을 통틀어 말하는 것이다. 사용자 플랫폼(120)은 카카오톡, 라인, 페이스북 메신저, 네이버 지도, 스마트 스피커나 소상공인의 개별 애플리케이션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철도 서비스 외부의 사용자 플랫폼이다. 이하 편의상 한국에서 널리 사용되는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복수의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들(130)이 제공하는 서비스들을 통합하여 사용자 플랫폼(120)에 제공하는 서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210), 서비스 요청 분석부(220), 서비스 요청 변환부(230), 및 서버 통신부(240)을 포함한다. 각 구성의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210)가 사용자 플랫폼(120)으로부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다(S310). 예를 들면 사용자가 카카오톡에서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210)가 제공하는 챗봇을 친구로 추가한 후, 해당 챗봇과의 채팅창에서 "내일 부산 가는 기차표 예매"와 같은 철도 서비스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210)는 카카오톡 서버로부터 웹 방식으로 위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요청 분석부(220)는 수신된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분석하여, 복수의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들(130) 중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한다(S320). 예를 들어 서비스 요청 분석부(220) "내일 부산 가는 기차표 예매"라는 요청을 분석하여, 이러한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철도 결제 서버를 선택할 수 있다. 서비스 요청 변환부(230)는 사용자 플랫폼(120)으로부터 수신한 철도 서비스 요청을, 해당 요청을 처리할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적합한 철도 서비스 요청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특정 서버에 적합한 요청이란, 앞서 설명한 각 서버의 인터페이스, 즉 해당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필요한 그 서버 고유의 통신 프로토콜, 데이터 형식, 보안 요구사항 등을 따르는 요청을 말하며, 이하 이를 간략히 해당 서버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요청이라 표현하기로 한다. 즉, 서비스 요청 변환부(230)는 상기 수신된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한다(S330).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은 예를 들면 기차표 예매를 위한 목적지 정보,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240)는 상기 생성된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상기 선택된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한다(S340). 이때 서버 통신부(240)는 해당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적합한 보안성 높은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입력한 철도 서비스 요청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요청을 전달해 주므로 사용자는 자신에게 필요한 개별 서비스를 일일이 찾을 필요가 없다. 또한 사용자는 철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필요 없이, 자신에게 익숙한 사용자 플랫폼(120)을 통해 통일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다양한 철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110)가 사용자 요청을 각 철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요청으로 자동으로 변환해 주므로,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각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 간에는 보안성이 높은 통신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철도 서비스 망과 동일한 보안 수준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 플랫폼(120) 측에서는 다양한 철도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개별 서버들의 통신 프로토콜이나 보안 요구사항 등을 일일이 맞추기 위한 개발 부담이 없으며, 간편하고 안전하게 다양한 철도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철도 서비스를 연계하고자 하는 업체에게 요구되는 보안 수준을 낮추고, 플랫폼 자체의 보안수준은 높임으로써 민간 사업자, 특히 다양한 신생 창업 새싹 기업들에게 간편하고 안전한 철도 서비스 연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240)는 상기 선택된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에 대한 제1 철도 서비스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철도 서비스 응답은 해당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터페이스를 따르므로, 서비스 응답 변환부(미도시)가 이를 사용자 플랫폼(120)의 인터페이스에 맞도록 변환한다. 즉, 서비스 응답 변환부는 상기 수신된 제1 철도 서비스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플랫폼(120)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제2 철도 서비스 응답을 생성한다.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210)는 상기 생성된 제2 철도 서비스 응답을 상기 사용자 플랫폼(12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익숙한 사용자 플랫폼(120)을 통해 요청한 다양한 철도 서비스에 대한 응답을 해당 사용자 플랫폼(120)을 통해 통일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 플랫폼(120)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제2 철도 서비스 응답은, 챗봇 대화, 음성 AI 대화, 인라인 프레임, 또는 독립적인 웹 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철도 서비스들 중에는 사용자 식별을 필요로 하거나, 사용자 식별을 통해 더욱 편리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들이 있으며, 이러한 철도 서비스는 아이디나 전화번호 등의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해 사용자를 식별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개별 서비스마다 별도로 로그인을 해야 하고, 각 서비스의 로그인 정보를 기억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이미 로그인하여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 플랫폼(120)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각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사용자 식별자로 자동으로 변환하여 해당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달함으로써 이러한 불편을 덜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210)가 사용자 플랫폼(120)으로부터 해당 사용자 플랫폼에 고유한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수신하고, 서비스 요청 변환부(230)가 제1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되는 상기 선택된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에 고유한 제2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한다.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2 사용자 식별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돼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기존에 별도로 해당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이용할 때 생성된 사용자 식별자를, 사용자가 사용자 플랫폼(120)을 통해 본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이용할 때 사용자 플랫폼(120)의 사용자 식별자에 매칭시켜 저장해 놓은 것일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사용자 플랫폼(120)을 통해 본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해당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이용할 때 새로 생성되어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로 개별 철도 서비스에 가입할 필요가 없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개별 철도 서비스에 대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기억하거나 입력할 필요가 없이, 자신이 익숙한 이용자 플랫폼(120)에 로그인하는 것만으로 각종 철도 서비스의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서버 통신부(240)는 상기 제2 사용자 식별자를 상기 선택된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함으로써 해당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 플랫폼(예: 라인)을 이용하여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해당 사용자 플랫폼의 사용자 식별 정보가 각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사용자 식별자와 매칭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사용자 플랫폼(예: 카카오톡과 라인)의 사용자 식별자들이 서로 매칭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플랫폼(120)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해당 사용자의 이용 기록을 저장하고, 해당 이용 기록에 기반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플랫폼(120)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에게 그 사용자에 맞춘 전용 UI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 이러한 사용자 전용 UI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플랫폼(120)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한 해당 사용자의 전용 UI를 통해 사용자 플랫폼(120)으로부터 철도 서비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210)는 사용자 플랫폼(120)으로부터 해당 사용자 플랫폼에 고유한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수신하고, 사용자 플랫폼(120)으로부터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고유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를 가리키는 지시자를 생성하여 사용자 플랫폼(12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지시자는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거나 그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지시자는 URL에 포함되어 사용자 플랫폼(120)으로 송신될 수 있다.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210)는 상기 지시자를 포함하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플랫폼(120)에서 상기 지시자가 포함된 URL을 클릭함으로써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210)로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플랫폼(120)은 직접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송신할 수도 있고, 외부 플랫폼을 통해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송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210)는 수신된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에 포함된 지시자가 유효한지 검증하고, 검증을 통과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고유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210)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를 사용자 플랫폼(120)으로 제공할 수도 있고,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송신한 외부 플랫폼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210)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를 통해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240)가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에 대한 제1 철도 서비스 응답을 수신하면, 서비스 응답 변환부가 상기 제1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에 맞는 제2 철도 서비스 응답을 생성하고,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210)가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응답을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110)가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를 통해 사용자와 통신하면, 철도 서비스 제공에 관한 정보가 제3자인 사용자 플랫폼(120) 측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3자인 사용자 플랫폼(120)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식별자에 고유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는 해당 사용자와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210)가 제공하는 챗봇이 대화하는 채팅창이 표시된 웹 문서일 수 있다. 사용자 플랫폼(120)이 카카오톡인 경우,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210)의 챗봇은 카카오톡 채팅창을 통해 사용자와 대화하지 않고 전용 UI를 통해 사용자와 대화하므로 대화 내용이 카카오 측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110)가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를 통해 사용자와 통신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플랫폼(120)과 무관하게 동일한 UI를 경험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카카오톡을 통해 통합 철도 서비스를 이용하든, 라인을 통해 통합 철도 서비스를 이용하든 동일한 전용 UI 채팅창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는 해당 사용자에 대한 전용 UI이므로, 사용자는 자신에게 맞추어진 UI를 경험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고유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되는 통합 철도 서비스 사용 기록을 포함할 수 있다. 전용 UI가 전술한 채팅창이라면, 전용 UI의 채팅창에는 해당 사용자가 과거에 통합 철도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챗봇과 대화한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카카오톡을 통해 통합 철도 서비스를 이용하여 기차표를 예매한 후, 라인을 통해 통합 철도 서비스에 접속하여도 기차표를 예매한 대화 내용이 화면에 표시되어, 쉽게 해당 예매를 취소하거나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 식별자에 고유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는, 특정 철도 서비스에 대한 전용 UI일 수도 있다.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들(130) 간의 통신은 철도 서비스 측의 내부 망 통신이므로 보안성이 높은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나,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사용자 플랫폼(120) 간의 통신은 제3자인 사용자 플랫폼(120)의 통신 방식을 따르거나, 제3자가 개발 부담 없이 간편하게 통합 철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간단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므로, 이로 인하여 보안성이 떨어질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110)가 사용자 플랫폼(120)의 UI를 통해 사용자와 통신하지 않고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를 통해 사용자와 통신함으로써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데, 사용자 플랫폼(120)의 UI에서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보안 위협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210)가 사용자 식별자에 고유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를 제공하기 위해 전용 UI를 가리키는 지시자를 사용자 플랫폼(120)으로 송신하는데, 이 지시자가 유출되는 경우 악의의 제3자가 해당 사용자의 전용 UI를 이용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보안 위협을 막기 위해 지시자를 검증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210)는 지시자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에서만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210)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송신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1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송신한 사용자 플랫폼(120)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210)는 지시자 생성 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지시자에 포함시킬 수 있다. 지시자에 제1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시킨다는 것은 제1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그대로 포함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이를 변환시켜 포함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210)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송신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2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획득하고,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에 포함된 지시자에 포함된 제1 애플리케이션 정보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송신한 애플리케이션이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송신한 애플리케이션과 일치하는 경우에만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카카오톡 채팅창을 통해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하고, 이에 따라 그 사용자의 전용 UI를 나타내는 지시자가 포함된 URL을 카카오톡 채팅창을 통해 제공한 경우, 사용자가 카카오톡 채팅창에서 그 URL을 클릭하면 카카오톡의 내부 웹뷰를 통하여 전용 UI를 이용할 수 있게 되지만, 그 URL을 다른 외부 브라우저에 입력하는 경우에는 전용 UI를 이용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악의의 제3자가 해당 URL을 입수하더라도 이를 이용해 해당 사용자의 전용 UI에 접근할 수는 없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210)는 지시자가 해당 기기에서만 사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210)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송신한 기기를 나타내는 제1 기기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지시자에 포함시킬 수 있다.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210)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송신한 기기를 나타내는 제2 기기 정보를 획득하고,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에 포함된 지시자에 포함된 제1 기기 정보와 상기 제2 기기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송신한 기기가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송신한 기기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반드시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송신한 애플리케이션이 아니더라도,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송신한 기기 내의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용 UI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송신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체적으로 전용 UI를 지원하지 못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예를 들어 카카오톡 PC 버전의 경우 채팅창의 URL을 클릭하면 외부 브라우저가 열리므로, 본 실시예에 따라 외부 브라우저를 통해 전용 UI를 수신하여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URL이 유출되더라도 다른 기기에서는 그 URL을 통해 전용 UI를 수신할 수가 없다.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210)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송신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1 애플리케이션 정보로서,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송신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에이전트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210)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송신한 기기를 나타내는 제1 기기 정보를 획득함에 있어서,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송신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에이전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사용자 에이전트 정보 중 기기에 고유한 부분만을 상기 제1 기기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210)는 지시자 생성시 만료 시간을 설정하고, 지시자 검증 시 만료 시간 경과 여부를 검증함으로써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특히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송신한 사용자 플랫폼에 대하여 획득한 애플리케이션 정보나 기기 정보가 완전히 고유한 값이 아니고 중복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애플리케이션 정보나 기기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보완하는 방법으로써 특히 유용하다.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210)는 지시자를 1회용으로 생성하여 사용함으로써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210)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할 때마다 고유한 값을 갖도록 상기 지시자를 생성하고,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수신하였을 때 해당 지시자가 이미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검증하여, 해당 지시자가 아직 사용되지 않은 경우에만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210)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할 때마다 새로운 세션 식별자를 생성하고, 이를 지시자에 포함시킴으로써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에 고유한 지시자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210)는 지시자를 사용자 플랫폼(120)으로 송신할 때, 사용자 플랫폼(120)에서 자동으로 상기 지시자를 포함하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송신하도록 명령함으로써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카카오톡 채팅창을 통해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한 경우, 그 사용자의 전용 UI를 나타내는 지시자가 포함된 URL을 카카오톡 채팅창을 통해 제공하여 사용자가 클릭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별도 클릭 없이 카카오톡에서 해당 URL의 웹 문서를 자동으로 열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하는 즉시 전용 UI가 열리므로, 전용 UI에 대한 지시자가 1회용인 경우에 특히 보안성이 높아지게 된다.
다음은, 사용자의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는 데에 복수의 서로 다른 철도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가 있으므로, 하나의 철도 서비스 요청에 대하여 복수의 서비스 제공 서버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서비스 요청 분석부(220)는 사용자 플랫폼(120)으로부터 수신한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분석하여,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제3 철도 서비스 요청 및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을 결정하고, 복수의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들 중 상기 제3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제1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제2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할 수 있다. 서비스 요청 변환부(230)는 상기 제3 철도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제5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고, 상기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제6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이 제5 철도 서비스 요청 및 제6 철도 서비스 요청으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서버 통신부(240)는 상기 제5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6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240) 각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응답을 수신하고, 이는 서비스 응답 변환부 및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210)를 거쳐 사용자 플랫폼(120)으로 전달될 수 있다.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 외에, 내비게이션, 항공권, 호텔, 택시, 지역 상인 등의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40)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서비스 요청 분석부(220)는 사용자 플랫폼(120)으로부터 수신한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분석하여,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제3 철도 서비스 요청 및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을 결정하고, 상기 제3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40) 및 상기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할 수 있다. 서비스 요청 변환부(230)는 상기 제3 철도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40)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제5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고, 상기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240)는 상기 제5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40)로 송신하고,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상기 선택된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복수의 철도 서비스를 연계하여 사용자의 철도 서비스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요청 분석부(220)는 사용자 플랫폼(120)으로부터 수신한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분석하여,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제3 철도 서비스 요청을 결정하고, 복수의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들 중 상기 제3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제1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하며, 서비스 요청 변환부(230)는 상기 제3 철도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제5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고, 서버 통신부(240)는 상기 제5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한 후,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5 철도 서비스 요청에 대한 제1 철도 서비스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요청 분석부(220)는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을 결정하고, 복수의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들 중 상기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제2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하고, 서비스 요청 변환부(230)는 상기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제6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고, 서버 통신부(240)는 상기 제6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외부 서비스와 철도 서비스를 연계하여 사용자의 철도 서비스 요청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서비스 요청 분석부(220)는 사용자 플랫폼(120)으로부터 수신한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분석하여,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제3 철도 서비스 요청을 결정하고, 상기 제3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40)를 선택하며, 서비스 요청 변환부(230)는 상기 제3 철도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40)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제5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고, 서버 통신부(240)는 상기 제5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40)로 송신한 후,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40)로부터 상기 제5 철도 서비스 요청에 대한 제1 철도 서비스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요청 분석부(220)는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을 결정하고, 복수의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들 중 상기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하고, 서비스 요청 변환부(230)는 상기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고, 서버 통신부(240)는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상기 선택된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이렇게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복수의 철도 서비스와 외부 서비스를 연계하여 사용자의 철도 서비스 요청을 수행할 수 있는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카카오톡을 통해 챗봇에게 "부산 가는 기차표 예매해줘"라고 요청하면, 외부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부산까지 가는 경로를 탐색한 후, 철도 여객 서비스를 이용하여 해당 경로의 여객 정보를 파악하고, 철도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여 필요한 기차표를 예매하는 등의 동작이 가능해진다. 만일 사용자 플랫폼(120) 측에서 기존의 Open API 방식 등을 이용하여 복수의 철도 서비스와 외부 서비스를 연계하여 제공하려고 하면 개발 및 관리 부담이 매우 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아무런 부담 없이 다양한 철도 서비스와 관련 외부 서비스를 연계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출원인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기존의 코레일 철도 서비스들을 융합하여 세계 최초로 메신저를 통해 교통 정보부터 민원, 예매, 발매까지 한 번에 제공하는 스마트 교통 채팅 플랫폼을 개발하여 대국민 서비스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도 4 내지 도 8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교통 채팅 플랫폼의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 광학적 판독 매체 등 모든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비록 본 명세서에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각 단계는 반드시 기재된 순서대로 수행되어야 할 필요는 없고, 병렬적, 선택적 또는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형태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균등물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9)

  1. 외부의 사용자 플랫폼으로부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플랫폼에 고유한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수신하는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분석하여, 서로 다른 철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들 중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하는 서비스 요청 분석부;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는 서비스 요청 변환부; 및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상기 선택된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서버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플랫폼으로부터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고유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를 가리키는 지시자를 생성하고,
    상기 지시자를 상기 사용자 플랫폼으로 송신하고,
    상기 지시자를 포함하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에 포함된 상기 지시자를 검증하고,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에 포함된 상기 지시자가 검증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고유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를 제공하고,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를 통해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는,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송신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1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지시자를 생성하고,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송신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2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에 포함된 상기 지시자에 포함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정보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송신한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송신한 애플리케이션이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고유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송신한 기기를 나타내는 제1 기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기기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지시자를 생성하고,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송신한 기기를 나타내는 제2 기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에 포함된 상기 지시자에 포함된 상기 제1 기기 정보와 상기 제2 기기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송신한 기기와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송신한 기기가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고유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
  2.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가 외부의 사용자 플랫폼으로부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플랫폼에 고유한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서비스 요청 분석부가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분석하여, 서로 다른 철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들 중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
    서비스 요청 변환부가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 및
    서버 통신부가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상기 선택된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플랫폼으로부터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고유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를 가리키는 지시자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지시자를 상기 사용자 플랫폼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지시자를 포함하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에 포함된 상기 지시자를 검증하는 단계;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에 포함된 상기 지시자가 검증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고유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를 통해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시자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송신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1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지시자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자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송신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2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에 포함된 상기 지시자에 포함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정보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고유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송신한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송신한 애플리케이션이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고유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지시자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송신한 기기를 나타내는 제1 기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기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지시자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자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송신한 기기를 나타내는 제2 기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에 포함된 상기 지시자에 포함된 상기 제1 기기 정보와 상기 제2 기기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고유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송신한 기기와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송신한 기기가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고유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청 변환부가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되는 상기 선택된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에 고유한 제2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 통신부가 상기 제2 사용자 식별자를 상기 선택된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방법.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고유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되는 통합 철도 서비스 사용 기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통신부가 상기 선택된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에 대한 제1 철도 서비스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서비스 응답 변환부가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에 맞는 제2 철도 서비스 응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플랫폼 통신부가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응답을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송신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1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지시자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자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송신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2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에 포함된 상기 지시자에 포함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정보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고유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송신한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송신한 애플리케이션이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고유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송신한 기기를 나타내는 제1 기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기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지시자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자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송신한 기기를 나타내는 제2 기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에 포함된 상기 지시자에 포함된 상기 제1 기기 정보와 상기 제2 기기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고유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송신한 기기와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송신한 기기가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고유한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송신한 기기를 나타내는 제1 기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을 송신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에이전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 정보 중 기기에 고유한 부분만을 상기 제1 기기 정보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자의 만료 시간을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를 생성하는 단계는,
    매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요청에 고유한 값을 갖도록 상기 지시자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시자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자의 기 사용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를 상기 사용자 플랫폼으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플랫폼에서 자동으로 상기 지시자를 포함하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전용 UI 제공 요청을 송신하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분석하여,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제3 철도 서비스 요청 및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들 중 상기 제3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제1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제2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철도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제5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제6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5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6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분석하여,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제3 철도 서비스 요청 및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복수의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들 중 상기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상기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서비스 요청 변환부가 상기 제3 철도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제5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 통신부가 상기 제5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분석하여,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제3 철도 서비스 요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들 중 상기 제3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제1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철도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제5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 통신부가 상기 제5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서버 통신부가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5 철도 서비스 요청에 대한 제1 철도 서비스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들 중 상기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제2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제6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6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청 분석부가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분석하여,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제3 철도 서비스 요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요청 분석부가 상기 제3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요청 변환부가 상기 제3 철도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제5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 통신부가 상기 제5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 통신부가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5 철도 서비스 요청에 대한 제1 철도 서비스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들 중 상기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상기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4 철도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철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터페이스에 맞는 상기 제2 철도 서비스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2항, 제5항, 및 제7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80081854A 2018-07-13 2018-07-13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081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854A KR102081784B1 (ko) 2018-07-13 2018-07-13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854A KR102081784B1 (ko) 2018-07-13 2018-07-13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579A KR20200007579A (ko) 2020-01-22
KR102081784B1 true KR102081784B1 (ko) 2020-02-27

Family

ID=69368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854A KR102081784B1 (ko) 2018-07-13 2018-07-13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784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180B1 (ko) * 2011-04-22 2014-02-03 스탠다드네트웍스 주식회사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한 컨텐츠 중계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45770A (ko) * 2013-06-14 2014-12-24 김연수 통합된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스케줄 관리 시스템
KR20150129956A (ko) * 2014-05-12 2015-11-23 주식회사 에넥스텔레콤 메신저를 이용한 결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결제 서버
KR20160124620A (ko) * 2015-04-20 2016-10-28 라인 비즈플러스 피티이. 엘티디. 지불 처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579A (ko)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1552B2 (en) Aggregated presence over user federated devices
CN103716326B (zh) 一种资源访问方法及用户资源网关
US85276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sion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s
CN105069880B (zh) 一种基于融合通信的移动终端控制门禁的方法和系统
CN111160845B (zh) 一种业务处理方法和装置
CN104253686B (zh) 账号登录的方法、设备及系统
KR20150082235A (ko) 디지털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JP2009535708A (ja) 企業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ネットワーク資源へのゲスト・ユーザ・アクセスの提供
CN102362484B (zh) 访问管理系统和访问管理方法
CN103140890A (zh) 用于声音签名认证的方法及装置
KR20110058649A (ko) 소셜 네트워킹을 이용한 실시간 언어 번역 방법 및 시스템
CN104995900A (zh) 在url中指定链路层信息
CN106844489A (zh) 一种文件操作方法、装置以及系统
WO2009101755A1 (ja) 個人情報流通制御システムおよび個人情報流通制御方法
CN101345758B (zh) 报表归一化处理方法、装置和系统
KR102081784B1 (ko) 통합 철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7864114B (zh) 团险账户登录方法和系统
CN113822036B (zh) 一种隐私政策内容生成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4993935A (zh) 网络威胁提示方法、设备和系统
KR101384973B1 (ko) 본인인증정보를 일괄 전환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CN112838979A (zh) 一种案件讨论信息交互方法及系统
KR101379551B1 (ko) Opmd 시스템에서의 배타적 인증을 위한 방법, 단말, 서버, 및 기록 매체
JP2011253496A (ja) ログインid発行方法及びログインid発行システム
KR100644411B1 (ko) 웹 사이트 인증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JP4845915B2 (ja) 移動体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