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300B1 - 흡수제품 - Google Patents

흡수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300B1
KR102081300B1 KR1020130040560A KR20130040560A KR102081300B1 KR 102081300 B1 KR102081300 B1 KR 102081300B1 KR 1020130040560 A KR1020130040560 A KR 1020130040560A KR 20130040560 A KR20130040560 A KR 20130040560A KR 102081300 B1 KR102081300 B1 KR 102081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ations
row
perforation
longitudinal direction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6704A (ko
Inventor
김형범
박형우
노성대
손서연
김성수
이주형
Original Assignee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06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61F13/512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characterised by the planar distribution of the apertures, e.g. in a predefined patte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13/5139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creating a visual effect, e.g. having a printed or coloured topsheet, printed or coloured sub-layer but being visible from the topsheet, other than embossing for purposes of bonding, wicking, acquisition, leakage-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61F2013/512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characterized by open targets or acquisitions or vulnerability z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2013/5133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having improved touch or feeling, e.g. smooth fil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제품은, 액체투과성이고 부직포인 상면시트와, 액체불투과성의 배면시트와, 상기 상면시트와 상기 배면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포함한다. 상면시트는, 상기 상면시트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매 열마다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천공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열 및 제2 열과, 상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1 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1 천공과, 상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2 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2 천공을 포함한다. 제2 열의 상기 제2 천공은 상기 제1 열의 상기 제1 천공에 대해 어긋나게 배열된다.

Description

흡수제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자재의 평량 증가 없이도 자재의 강도약화를 최소화 하고 우수한 통기성을 가질 수 있는 상면시트를 구비하는 흡수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흡수물품은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배출된 체액을 흡수하여 보유하는 제품으로서 개인 위생 분야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흡수물품은 착용자의 신체측을 향하는 액체투과성 상면시트와, 착용자의 의복측을 향하는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와, 표면시트와 배면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포함한다. 상면시트는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면이다. 상면시트는 상기 체액을 통과시켜 흡수체로 전달한다. 배면시트는 착용자의 의복측에 부착되고 흡수체에 보유된 상기 체액이 착용자의 의복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흡수체는 상면시트를 통과한 상기 체액을 흡수하여 보유하는 역할을 한다. 상면시트는 착용자의 신체와 맞닿는 부분이므로, 상면시트가 상기 체액을 흡수체로 전달하고 착용자의 신체와 맞닿는 면적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허문헌 1)WO 2007/069964
본 발명의 목적은 자재의 평량 증가 없이도 자재의 강도약화를 최소화 하고 우수한 통기성을 가질 수 있는 상면시트를 구비하는 흡수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제품은, 액체투과성이고 부직포인 상면시트와, 액체불투과성의 배면시트와, 상면시트와 배면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포함한다. 상면시트는, 상면시트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매 열마다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천공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열 및 제2 열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1 천공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 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2 천공을 포함한다. 제2 열의 제2 천공은 제1 열의 제1 천공에 대해 어긋나게 배열된다.
제1 및 제2 천공을 둘러싼 주변부는 천공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 보다 높은 밀도를 가진다.
제1 열과 제2 열이 길이방향에 수직한 폭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열된다.
제1 천공은 제2 천공과 다른 크기 또는 다른 형상을 가진다.
상면시트는 제1 열의 인접해있는 두 개의 제1 천공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천공보다 작은 크기의 제3 천공을 더 포함한다. 상면시트는 제2 열의 인접해있는 두 개의 제2 천공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천공보다 작은 크기의 제4 천공을 더 포함한다. 제1 열의 제3 천공은 제2 열의 제4 천공에 대해 어긋나게 배열된다.
제3 천공은 제1 천공과 유사한 형상 및 제1 천공과 다른 크기를 가지고, 제4 천공은 제2 천공과 유사한 형상 및 제2 천공과 다른 크기를 가진다.
상면시트는 제1 열과 제2 열의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 열과, 제3 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5 천공을 더 포함한다. 제1 열과 제2 열은 제3 열에 의해 분리된다. 제3 열의 제5 천공은 제1 열의 제1 천공 및 제2 열의 제2 천공보다 크기가 작다.
상면시트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 열과, 제3 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5 천공을 더 포함한다. 제3 열은 길이방향에 수직한 폭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제1 열과 제2 열 다음에 배치된다. 제3열의 제5 천공은 제2 열의 제2 천공에 대해 어긋나 있다.
상면시트는 제3 열의 인접해있는 두 개의 제5 천공 사이에 배치되고 제5 천공보다 작은 크기의 제6 천공을 더 포함한다.
제1 열은 인접해 있는 두 개의 제1 천공 사이에서 제1 열을 따라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보조열을 포함한다. 제1 보조열은 제1 천공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복수개의 천공을 포함한다.
제2 열은 인접해 있는 두개의 제2 천공 사이에서 제2 열을 따라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보조열을 포함한다. 제2 보조열은 제2 천공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복수개의 천공을 포함한다.
상면시트의 단위면적에 대한 제1 천공의 전체 면적의 비율은 5 내지 15%의 범위이다. 단위면적에 대한 제2 천공의 전체 면적의 비율은 3 내지 8%의 범위이다.
상면시트의 단위면적에 대한 제3 천공의 전체 면적의 비율은 3 내지 8%의 범위이다. 단위면적에 대한 제4 천공의 전체 면적의 비율은 2 내지 6%의 범위이다.
상면시트는 스펀레이스 부직포를 포함한다. 각 천공의 평면형상은 타원형, 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라운드된 직사각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수제품은, 액체투과성이고 부직포인 상면시트와, 액체불투과성의 배면시트와, 상면시트와 배면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포함한다. 상면시트는, 상면시트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매 열마다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천공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열 및 제2 열과, 폭방향으로 형성된 제1 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천공과, 폭방향으로 형성된 제2 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2 천공을 포함한다. 제2 열의 제2 천공은 제1 열의 제1 천공에 대해 어긋나게 배열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면시트가 복수개의 제1 천공과 복수개의 제2 천공에 의해 높은 개구율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상면시트는 우수한 흡수성과 통기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배출된 체액이 흡수체로 신속하게 전달되므로,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상면시트는 보송보송함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천공에 인접하는 부분은 천공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비하여 높은 섬유밀도를 가지게 되므로, 섬유의 평량을 높이지 않고도 부직포의 강도의 약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 제1 천공과 제2 천공이 서로 어긋나게 반복적으로 배치되므로, 상면시트는 직물무늬의 패턴을 형성하게 되어 착용자에게 심미감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제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상면시트의 일 예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4는 상면시트의 다른 예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5는 상면시트의 또 다른 예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6은 상면시트의 또 다른 예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7은 상면시트의 또 다른 예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흡수제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제품(100)은 상면시트(110)와, 배면시트(120)와, 흡수체(130)를 포함한다. 상면시트(110)와, 배면시트(120)와, 흡수체(130)는 각각 신체측 대향면과 의복측 대향면을 가진다. 도 2에서는 상측이 착용자의 신체측이고 하측이 착용자의 의복측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흡수제품으로서 생리용 패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 성인용 패드, 생리용 패드, 팬티라이너 등과 같은 일회용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상면시트(100)에는 천공의 배열 또는 패턴은 도시하지 않는다.
상면시트(110)의 신체측 대향면은 착용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시트(110)의 의복측 대향면은 가장자리에서 배면시트(120)의 신체측 대향면과 접합되고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흡수체(130)의 신체측 대향면과 접합된다. 상면시트(110)는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배출되는 체액 등을 흡수체(130)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면시트(110)는 액체투과성 재질로 제조된다. 또한, 상면시트(110)는 상기 체액 등을 흡수체(130) 측으로 빠르게 전달하고 착용자에게 보송보송한 느낌을 주기 위해 친수성 및 다공성의 성질을 가진다. 상면시트(110)는 밀도가 비교적 낮고 부피가 큰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직포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단일 섬유를 포함하고, 저융점의 성분과 고융점 성분을 갖는 2성분 섬유 또는 복합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섬유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면(cotton), 레이온, 아크릴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2성분 섬유는 폴리에스테르 코어 및 폴리에틸렌 시드(sheath)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면시트(110)는 면 또는 레이온 등을 원료로 하여 스펀레이스 공법에 의해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배면시트(120)의 의복측 대향면은 착용자의 의복에 부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시트(120)의 신체측 대향면은 가장자리에서 상면시트(120)의 의복측 대향면과 접합되고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흡수체(130)의 의복측 대향면과 접합된다. 배면시트(120)는 흡수체(130)에 포집된 상기 체액 등이 착용자의 의복으로 누설되거나 스며드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배면시트(120)는 액체불투과성 필름만으로 제조되거나 액체불투과성 필름 및 부직포의 조합으로 제조될 수 있다.
흡수체(130)는 상면시트(110)와 배면시트(120)의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흡수체(130)의 신체측 대향면은 상면시트(110)의 의복측 대향면과 접합되고, 흡수체(130)의 의복측 대향면은 배면시트(120)의 신체측 대향면과 접합된다. 흡수체(130)는 상면시트(110)로부터 전달된 상기 체액 등을 빠르게 흡수하여 보유하는 기능을 한다. 흡수체(130)는 압축성이고 순응성이며 착용자의 피부에 비자극적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흡수체(130)는 펄프 섬유 또는 초흡수성 입자와 혼합된 펄프 섬유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면시트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면시트(110)는 복수개의 제1 천공(111a, 111b, 111c, 111d)과 복수개의 제2 천공(112a, 112b, 112c, 112d)을 포함한다. 천공을 둘러싼 주변부의 섬유밀도는 천공이 형성되지 않은 상면시트(110)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높다. 따라서, 섬유의 평량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상면시트(110)의 섬유의 강도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천공(111a, 111b, 111c, 111d)은 상면시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복수개의 제2 천공(112a, 112b, 112c, 112d)은 상면시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제1 천공(111a, 111b, 111c)과 제2 천공(112a, 112b, 112c)은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어긋나게 배열된다.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른 제1 및 제2 천공의 직선상의 배열 및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른 제1 천공과 제2 천공의 어긋난 배열은 직물무늬의 패턴을 형성하게 되어 착용자에게 심미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천공(111a, 111b, 111c)이 상면시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을 제1 열(L11, L12, L13)이라 하고, 제2 천공(112a, 112b, 112c)이 상면시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을 제2 열(L21, L22, L23)이라 한다. 제1 열에 배치되는 천공들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2가지 이상의 천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열에 배치되는 천공들은 서로다른 크기를 가지는 2가지 이상의 천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열(L11, L12, L13)은 제2 열(L21, L22, L23)에 대해 평행하다. 제1 열(l11, L12, L13)과 제2 열(L21, L22, L23)은 길이방향에 수직한 폭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열되거나, 폭방향에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열된다. 예를 들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들은 제1 열(L11, L12, L13)-제2 열(L21, L22, L23)-제1 열(L11, L12, L13)-제2 열(L21, L22, L23)의 순으로 폭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열된다. 또,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시트(100)의 천공들은 상면시트(100)의 폭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열(L11, L12, L13)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열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면시트(100)의 천공들은 제2 열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천공(111a)은 제2 천공(112a)과 동일한 형상(예를 들어, 천공 또는 개구의 평면 형상) 및 동일한 크기(예를 들어, 천공 또는 개구의 평면 면적)를 가질 수 있다. 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천공(111b)은 제2 천공(112b)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 및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천공(111c)은 제2 천공(112c)과 다른 형상 및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천공이 제2 천공과 다른 형상 및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시트(110)는 제1 천공들(111a, 111b, 111c)의 각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3 천공(113a, 113b, 113c)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천공(113a, 113b, 113c)은 제1 천공(111a, 111b, 111c) 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 상면시트(110)는 제2 천공들(112a, 112b, 112c)의 각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4 천공(114a, 114b, 114c)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천공(114a, 114b, 114c)은 제2 천공(112a, 112b, 112c) 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3 천공(113a, 113b, 113c)과 제4 천공(114a, 114b, 114c)은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어긋나게 배열된다. 제3 천공(113a, 113b, 113c)은 제4 천공(114a, 114b, 114c)과 동일한 또는 다른 개수를 가질 수 있다. 제3 천공(113a, 113b, 114c) 및 제4 천공(114a, 114b, 114c)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 또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천공(113a)은 제1 천공(111a)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4 천공(114a)은 제2 천공(112a)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천공(113b)은 제1 천공(111b)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4 천공(114b)은 제2 천공(112b)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제3 천공은 제1 천공과 유사한 형상 및 제1 천공과 다른 크기를 가지고, 제4 천공은 제2 천공과 유사한 형상 및 제2 천공과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천공(113c)은 제1 천공(111c)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4 천공(114c)은 제2 천공(112c)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3 천공은 제1 천공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제4 천공은 제2 천공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면시트(110)는 제1 천공(111a, 111d)과 제2 천공(112a, 112d)의 사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5 천공(115a, 115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5 천공(115a)이 상면시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을 제3 열(L31)이라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열(L31)은 제1 열(L11)과 제2 열(L21)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1 및 제2 열(L11, L21)에 평행하다. 천공들은 제1 열(L11)-제3 열(L31)-제2 열(L21)-제3 열(L31)-제1 열(L11)-제3 열(L31)의 순으로 폭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열된다. 즉, 제3 열(L31)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열(L11)과 제2 열(L21)의 사이 마다 배치되는 것이다. 제1 열(L11)과 제2 열(L21)은 제3 열(L31)에 의해 분리 또는 구획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5 천공(115a)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제5 천공(115a)은 제1 천공(111a) 및 제2 천공(112a) 보다 작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5 천공은 복수열로 배열될 수도 있다.
상면시트(110)는 복수개의 제5 천공들(115d)의 각 사이에 배치되는 제6 천공(116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면시트(110)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제1 천공(111d)이 배열되는 것을 제1 열(L14)이라 하고, 제2 천공(112d)이 배열되는 것을 제2 열(L24)이라 하고, 제5 천공(115d)이 배열되는 것을 제3 열(L34)이라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들은 제1 열(L14)-제2 열(L24)-제3 열(L34)-제2 열(L24)-제1 열(L14)-제2열(L24)-제3 열(L34)의 순으로 폭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열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제3 천공(113d)은 제1 천공(111d)들 각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천공(111d) 보다 작다. 하나 이상의 제4 천공(114d)은 제2 천공(112d)들 각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천공(112d) 보다 작다. 제1 천공(111d)과 제2 천공(112d)은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어긋나게 배열되고, 제2 천공(112d)과 제5 천공(115d)은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어긋나게 배열된다. 제1 천공(111d)과 제5 천공(115d)은 길이방향에 있어서 거의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즉, 제1 천공(111d)과 제5 천공(115d)은 서로 어긋나게 배열되지 않는다. 제1 천공(111d)과, 제2 천공(112d)과, 제5 천공(115d)은 서로 동일 또는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또 서로 동일 또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천공(112d)과, 제4 천공(114d)과, 제6 천공(116d)은 서로 동일 또는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또 서로 동일 또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열(L11)은 인접해 있는 두개의 제1 천공(111a) 사이에서 제1 열(L11)을 따라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보조열(SL11)을 포함한다. 하나의 제1 보조열(SL11)은 제1 천공(111a)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복수개의 천공을 포함한다. 제2 열(L21)은 인접해 있는 두개의 제2 천공(112a) 사이에서 제2 열(L21)을 따라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보조열(SL21)을 포함한다. 하나의 제2 보조열(SL21)은 제2 천공(112a)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복수개의 천공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열(L13)은 보조열을 가지지 않고 제2 열(L23) 만이 제2 보조열(SL23)을 가질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와 반대로, 제1 열(L13)이 제1 보조열을 가지고 제2 열(L23)이 보조열을 가지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열(L14)은 보조열을 가지지 않고 제2 열(L24) 만이 제2 보조열(SL24)을 가질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와 반대로, 제1 열(L14)이 제1 보조열을 가지고 제2 열(L24)이 보조열을 가지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아래의 표 1은 도 4와 유사한 패턴의 천공배열을 가지는 실제의 상면시트에서 천공들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표 1에서 단위면적은 120 ㎟ 이다.
평균면적(㎟)
(천공 한개)
단위면적당
개수
비율(%)
(단위면적당 전체면적)
비율(%)의 범위

제1 천공

0.9529

12

10

5 ~ 15

제2 천공

0.4832

12

5

3 ~ 8

제3 천공

0.2726

24

5

3 ~ 8

제4 천공

0.178

24

4

2 ~ 6
전술한 천공들의 형상은 원형과, 타원형과, 다각형(예컨대,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과, 라운드된 다각형(예컨대, 라운드된 직사각형, 라운드된 정사각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천공들은 별, 하트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천공의 형상은 직선적인 방향성을 보다 눈에 띄게 형성하기 위해 타원형과 직사각형, 라운드된 직사각형일 수 있다. 따라서, 상면시트(110)에 직물무늬의 패턴을 보다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천공 및 제2 천공이 상면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천공 및 제2 천공이 상면시트의 폭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천공들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천공들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직물무늬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흡수제품
110: 상면시트
111a, 111b, 111c, 111d: 제1 천공
112a, 112a, 112c, 112d: 제2 천공
113a, 113b, 113c, 113d: 제3 천공
114a, 114b, 114c, 114d: 제4 천공
115a, 115d: 제5 천공
116d: 제6 천공
120: 배면시트
130: 흡수제품

Claims (19)

  1. 액체투과성이고 부직포인 상면시트와,
    액체불투과성의 배면시트와,
    상기 상면시트와 상기 배면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시트는,
    상기 상면시트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천공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열과,
    상기 상면시트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천공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열과,
    상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1 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1 천공과,
    상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2 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2 천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열의 상기 제2 천공은 상기 제1 열의 상기 제1 천공에 대해 어긋나게 배열되고,
    상기 상면시트는 상기 제1 열의 인접해 있는 2개의 제1 천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천공보다 작은 크기의 제3 천공을 더 포함하는,
    흡수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천공을 둘러싼 주변부는 천공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 보다 높은 밀도를 가지는
    흡수제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과 상기 제2 열이 상기 길이방향에 수직한 폭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열되는
    흡수제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천공은 상기 제2 천공과 다른 크기 또는 다른 형상을 가지는
    흡수제품.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시트는 상기 제2 열의 인접해 있는 두 개의 제2 천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천공보다 작은 크기의 제4 천공을 더 포함하는
    흡수제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의 상기 제3 천공은 상기 제2 열의 상기 제4 천공에 대해 어긋나게 배열되는
    흡수제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천공은 상기 제1 천공과 유사한 형상 및 상기 제1 천공과 다른 크기를 가지고,
    상기 제4 천공은 상기 제2 천공과 유사한 형상 및 상기 제2 천공과 다른 크기를 가지는
    흡수제품.
  9. 액체투과성이고 부직포인 상면시트와,
    액체불투과성의 배면시트와,
    상기 상면시트와 상기 배면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시트는,
    상기 상면시트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천공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열과,
    상기 상면시트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천공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열과,
    상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1 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1 천공과,
    상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2 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2 천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열의 상기 제2 천공은 상기 제1 열의 상기 제1 천공에 대해 어긋나게 배열되고,
    상기 상면시트는, 상기 제1 열과 상기 제2 열의 사이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 열과, 상기 제3 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5 천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열과 상기 제2 열은 상기 제3 열에 의해 분리되는
    흡수제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열의 제5 천공은 상기 제1 열의 제1 천공 및 제2 열의 제2 천공보다 크기가 작은
    흡수제품.
  11. 액체투과성이고 부직포인 상면시트와,
    액체불투과성의 배면시트와,
    상기 상면시트와 상기 배면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시트는,
    상기 상면시트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천공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열과,
    상기 상면시트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천공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열과,
    상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1 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1 천공과,
    상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2 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2 천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열의 상기 제2 천공은 상기 제1 열의 상기 제1 천공에 대해 어긋나게 배열되고,
    상기 상면시트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 열과, 상기 제3 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5 천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열은 상기 길이방향에 수직한 폭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열과 상기 제2 열 다음에 배치되고,
    상기 제3열의 상기 제5 천공은 상기 제2 열의 상기 제2 천공에 대해 어긋나 있는
    흡수제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시트는 상기 제3 열의 인접해 있는 두 개의 제5 천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5 천공보다 작은 크기의 제6 천공을 더 포함하는
    흡수제품.
  13. 액체투과성이고 부직포인 상면시트와,
    액체불투과성의 배면시트와,
    상기 상면시트와 상기 배면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시트는,
    상기 상면시트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천공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열과,
    상기 상면시트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천공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열과,
    상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1 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1 천공과,
    상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2 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2 천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열의 상기 제2 천공은 상기 제1 열의 상기 제1 천공에 대해 어긋나게 배열되고,
    상기 제1 열은 인접해 있는 두개의 제1 천공 사이에서 상기 제1 열을 따라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보조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열은 상기 제1 천공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복수개의 천공을 포함하는
    흡수제품.
  14. 액체투과성이고 부직포인 상면시트와,
    액체불투과성의 배면시트와,
    상기 상면시트와 상기 배면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시트는,
    상기 상면시트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천공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열과,
    상기 상면시트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천공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열과,
    상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1 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1 천공과,
    상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2 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2 천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열의 상기 제2 천공은 상기 제1 열의 상기 제1 천공에 대해 어긋나게 배열되고,
    상기 제1 및 제2 천공을 둘러싼 주변부는 천공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 보다 높은 밀도를 가지고,
    상기 제2 열은 인접해 있는 두개의 제2 천공 사이에서 상기 제2 열을 따라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보조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조열은 상기 제2 천공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복수개의 천공을 포함하는
    흡수제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시트의 단위면적에 대한 상기 제1 천공의 전체 면적의 비율은 5 내지 15%의 범위이고,
    상기 단위면적에 대한 상기 제2 천공의 전체 면적의 비율은 3 내지 8%의 범위인
    흡수제품.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시트의 단위면적에 대한 상기 제3 천공의 전체 면적의 비율은 3 내지 8%의 범위이고,
    상기 단위면적에 대한 상기 제4 천공의 전체 면적의 비율은 2 내지 6%의 범위인
    흡수제품.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시트는 스펀레이스 부직포를 포함하는
    흡수제품.
  18. 제1항, 제6항, 제10항,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천공의 평면형상은 타원형, 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라운드된 직사각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흡수제품.
  19. 액체투과성이고 부직포인 상면시트와,
    액체불투과성의 배면시트와,
    상기 상면시트와 상기 배면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시트는,
    상기 상면시트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천공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열과,
    상기 상면시트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천공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열과,
    상기 폭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1 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천공과,
    상기 폭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2 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2 천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열의 상기 제2 천공은 상기 제1 열의 상기 제1 천공에 대해 어긋나게 배열되고,
    상기 상면시트는 상기 제1 열의 인접해 있는 2개의 제1 천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천공보다 작은 크기의 제3 천공을 더 포함하는
    흡수제품.
KR1020130040560A 2012-06-26 2013-04-12 흡수제품 KR1020813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8721 2012-06-26
KR1020120068721 2012-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704A KR20140006704A (ko) 2014-01-16
KR102081300B1 true KR102081300B1 (ko) 2020-02-26

Family

ID=50141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560A KR102081300B1 (ko) 2012-06-26 2013-04-12 흡수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3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15084B1 (en) 2014-11-06 2022-01-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e-strained laminat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EP4335420A3 (en) 2017-02-16 2024-05-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substrates having repeating patterns of apertures comprising a plurality of repeat uni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1678A (ja) 2005-12-01 2007-06-21 Kao Corp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の製造方法
KR100904473B1 (ko) 2002-12-05 2009-06-24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세장형의 흡수성 물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0089B2 (ja) * 1997-09-22 2004-03-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吸収性物品の透液性表面シートおよび該シートの製造方法
WO2006093457A1 (en) * 2005-03-04 2006-09-08 Sca Hygiene Products Ab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liquid transfer layer
WO2007069964A1 (en) 2005-12-16 2007-06-21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product
KR20100033209A (ko) * 2008-09-19 2010-03-29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물리적 또는 열적 변형 없이 천공된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부직포를 구비하는 흡수제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473B1 (ko) 2002-12-05 2009-06-24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세장형의 흡수성 물품
JP2007151678A (ja) 2005-12-01 2007-06-21 Kao Corp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704A (ko)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36673C (en) Sanitary napkin including body-facing protrusions and arcuately arranged embossed channels
EP3113742B1 (en) Multi-component topsheets
EP3134047B1 (en) Stretch breathable protective absorbent article using tri-laminate
CN109310554B (zh) 具有带开口的吸收系统的吸收制品
CN110177530B (zh) 具有分隔前区和后区的凹部的吸收制品
KR102549764B1 (ko) 흡수성 코어층 및 이러한 층을 함유한 흡수 개인 위생 용품
AU2015277485A1 (en) Stretch breathable protective absorbent article using tri-laminate
US20100222756A1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JP4712533B2 (ja) 吸収性物品
KR102081300B1 (ko) 흡수제품
JP2000140015A (ja) 吸収性物品
JP2014147433A (ja) 吸収性物品
JP2013121426A (ja) 使い捨ておむつ
TW201720400A (zh) 吸收性物品
US11464682B2 (en) Absorbent article
CN108348376B (zh) 吸收性物品
JP2016059686A (ja) 吸収性パッド積層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吸収性物品
TW201722383A (zh) 吸收性物品
JP2021065585A (ja) 吸収性物品
CN111526848B (zh) 吸收性物品
JP6265104B2 (ja) 吸収性物品
JP6786759B2 (ja) 吸収性物品
JP6737438B2 (ja) 吸収性物品
JP2021171593A (ja) 吸収性物品
JP2022001083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