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143B1 - 모듈형 블록 금형 - Google Patents

모듈형 블록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143B1
KR102081143B1 KR1020180051284A KR20180051284A KR102081143B1 KR 102081143 B1 KR102081143 B1 KR 102081143B1 KR 1020180051284 A KR1020180051284 A KR 1020180051284A KR 20180051284 A KR20180051284 A KR 20180051284A KR 102081143 B1 KR102081143 B1 KR 102081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odular block
fastening
unit
mol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7120A (ko
Inventor
박석남
Original Assignee
박석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석남 filed Critical 박석남
Priority to KR1020180051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143B1/ko
Publication of KR20190127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30Moulds
    • B29C51/36Moulds specially adapted for vacuum forming, Manufactur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 B29C33/301Modular mould systems [MMS], i.e. moulds built up by stacking mould elements, e.g. plates, blocks, rods
    • B29C33/302Assembling a large number of mould elements to constitute one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30Moulds
    • B29C51/40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압공성형 등에 의해 제조되는 플라스틱 포장용기 등의 제조에 있어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금형의 블록화, 모듈화를 통해 다양한 형상과 크기, 모양의 플라스틱 용기제조를 지원할 수 있는 동시에, 필요 금형의 제조를 단순화함으로써 금형 준비(생산) 일정을 단축하고 금형 준비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모듈형 블록 금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듈형 블록 금형 {Modular Block Mold}
본 발명은 각종 포장용 플라스틱 용기의 제조를 위한 금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압공(진공)성형에 사용되는 금형의 블록(Block)화, 모듈(Module)화를 통해 금형의 추가 제작 없이도 다양한 크기와 규격을 가지는 플라스틱 용기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블록 모듈형 금형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용기의 제조는 통상 가열된 플라스틱 패리슨(parison, 플라스틱 용기의 성형을 위한 Tube형의 Melting된 예비 성형품) 등을 미리 설치된 금형의 공간(cavity)에 넣어 공기압을 가하여 상기 금형의 공간과 같은 형태와 모양의 속이 빈 용기와 같은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는 방식(블로우 성형, Blow Molding) 또는 용기 필름을 가열하여 성형하는 압공(진공)공정 등이 사용되며, 이를 위해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금형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압공(진공)방식 등에 의해 제조되는 플라스틱 용기의 제조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금형의 블록화, 모듈화를 통해 다양한 형상과 크기, 모양의 플라스틱 용기 제조를 지원할 수 있는 동시에, 필요 금형의 제조를 단순화함으로써 금형 준비(생산) 일정을 단축하고 금형 준비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고자 한다.
또한 블로우 성형 등 다른 플라스틱 제조용기 제조 공정에도 필요에 따라 구성품 모듈의 재조정, 재구성을 통해 사용할 수 있는 복합 기능을 가진 모듈형 블록 금형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해 플라스틱 필름 기반의 압공(진공)성형 공정 또는 패리슨의 블로우 성형 공정을 지원하도록 복수개의 금형 유닛의 상호 체결을 통해 형성되는 모듈형 블록 금형에 있어서, 상기 금형 유닛은 각각 동일한 크기의 바닥면을 가지는 동시에, 다양한 형태의 입면, 평면 및 측면을 가지는 내부 수용부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플라스틱 포장용기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블록 금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모듈형 블록 금형의 경우, 압공성형 공정을 통해 가열된 플라스틱 필름을 플라스틱 포장용기로 제조할 수 있는 복수개의 금형 유닛의 상호 체결을 통해 형성되는 모듈형 블록 금형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형 유닛은 측면의 설정된 위치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가스배기홈이 형성되어, 상기 금형 유닛이 이웃하는 다른 금형 유닛과 상호 체결될 경우 관통할 수 있는 배기홀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상기 압공성형 또는 블로우 성형 공정에 따른 상기 모듈형 블록 금형 내부의 공기 순환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블록 금형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형 블록 금형은, 상기 복수개의 금형 유닛들의 체결을 지원하는 이탈방지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탈방지유닛은, 상기 금형 유닛의 바닥면에 밀착하여 부착될 수 있는 길게 형성된 판재로 형성된 체결판; 및 상기 체결판과 상기 배기홀에 삽입하여 체결될 수 있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상기 금형 유닛들이 상기 압공성형이나 블로우 성형 공정 중에서도 안정적으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블록 금형으로도 제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할 경우, 다양한 형태와 모양, 크기를 가지는 포장용 플라스틱 용기를 모둘화를 통해 최소한의 금형만으로도 제조할 수 있게 되는 바, 최소의 비용과 공정으로 플라스틱 용기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성형되는 플라스틱 용기의 제품 크기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용기의 후크부의 위치 역시 제품 요구 조건 등에 따라 탄력적으로 조정, 변경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플라스틱 용기에 표기되는 다양한 각인 내용을 보다 손쉽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기존 진공(압공) 성형 공정에서 흔히 발생되는 문제점인 내부의 공기 흐름을 최적화할 수 있음에 따라 금형에 의해 제조되는 플라스틱 용기의 성형 역시 최적화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모듈형 블록 금형이 서로 체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배면 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블록 금형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블록 금형의 단면도(도 2의 A-B 섹션 기준)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블록 금형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금형 유닛에 이탈방지모듈이 추가적으로 채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모듈형 블록 금형이 서로 체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배면, 즉 바닥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블록 금형(10)은 하나 이상의 금형 유닛(100)의 측면이 상호 맞닿아 특정한 바닥면을 형성한다.
금형 유닛(100)은 상호 맞닿아 체결(부착 등)되고, 모듈형 블록 유닛(10)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각각 동일한 크기의 바닥면을 가지지만, 다양한 플라스틱 포장용기의 제조 요구 사항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금형 유닛(100)은 다양한 형태의 입면, 평면 및 측면(높이 등)을 가지는 내부 수용부(즉, 도 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호 체결된 6개의 금형 유닛(100)은 각각 내부에 오픈 된 공간을 가지며, 6개의 금형 유닛(100)이 맞닿아 체결되어 벽과 바닥판으로 둘러 쌓인 내부에 플라스틱 필름이나 플라스틱 패리슨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간을 지칭)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금형 유닛(100)은 이를 위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의 바닥면을 가지며,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단일 금형(100)의 측면은 다른 이웃하는 단일 금형(100)과 체결이나 부착을 위해 별도의 체결구(미도시)와 상기 체결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체결홈(미도시)이 측면에 각각 형성되거나, 자성을 가지도록 하여 단일 금형(100)의 안정적 상호 체결이나 부착을 도울 수 있다.
금형 유닛(100)은 측면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가스배기홈(11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스배기홈(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 유닛(10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설정된 높이까지는 넓고 깊게(D), 그리고 설정된 높이 이상은 좁고 얇게(d)형성될 수 있다. 가스배기홈(110)은 상호 대응될 수 있는 위치에 같은 높이와 폭(D 및 d)으로 형성되어 각 금형 유닛(100)이 상호 체결이나 부착될 경우, 바닥면으로 노출되는 배기홀(130)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각 금형 유닛(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가스배기홈(110)은 각 금형 유닛(100)의 기능이나 역할에 따라 대응되는 위치에 다른 크기나 높이, 폭, 깊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각 금형 유닛(100)이 맞닿아 하나의 모듈형 블록 금형(10)을 이루게 될 경우,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배기홀(13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배기홀(130)은 각 금형 유닛(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가열된 플라스틱 필름에 공기압력(압공성형)이 가해지거나 또는 플라스틱 패리슨에 가공 압력이 가해질 경우, 모듈형 블록 금형(10) 및 각 금형 유닛(100) 내부의 공기 흐름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바닥면에 형성되는 홀(Hole)을 지칭한다. 즉, 금형 유닛(100)의 측면에 인위적으로 형성된 가스배기홈(110)간의 맞닿음 결합(체결 또는 부착)으로 형성되는 배기홀(130)을 통해 기존 금형 기반의 가공시 발생하는 문제점인 금형 내부의 공기 흐름을 개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내부의 플라스틱 제품 성형을 최적화할 수 있는 기술적 장점이 발생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블록 금형(10)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블록 금형(10)의 단면도(A-B)이다.
도 2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블록 금형(10)은 개별 금형 유닛(100)의 체결(맞닿음 체결 또는 부착)을 통해 제조가 필요한 플라스틱 포장용기의 다양한 크기와 형태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로 손쉽게 변형할 수 있다. 즉, 도 2(a)나 도 2(c)와 같은 크고, 작은 정사각형 플라스틱 포장용기를 제조할 수 있는 금형으로도, 도 2(b)와 같이 직사각형 평면을 가지는 플라스틱 포장용기의 제조에 필요한 금형으로도 손쉽게 변형,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블록 금형(10)은 각 금형 유닛(100)의 측면 높이, 상부면의 가공형태, 단면 및/또는 평면 형상 등을 다양화하여 이를 통해 다양한 평면과 단면 형상 등을 가지는 모듈형 블록 금형(10)을 형성할 수 있다.
우선 도 2(a) 내지 도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꼭지점에 위치하는 금형 유닛(100)의 자리에는 직각 평면이 아닌 곡선의 형태를 가지는 평면으로 형성된 금형 유닛(100a)을 배치함으로써, 직각의 꼭지점이 아닌 곡선형의 부드러운 꼭지점을 가지는 모듈형 블록 금형(1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플라스틱 포장용기 역시 단부가 부드러운 꼭지점을 가진 포장용기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단부에 위치하게 되는 단부 금형 유닛(100a 및 100b)의 경우,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 금형 유닛(100c)들에 비해 외곽측 측면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고, 내부의 측면은 낮은 높이의 측면 또는 별도의 바닥면 이외에는 높이를 가지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좌우측 및 상하측 최단부에 위치하는 단부 금형 유닛(100a 및 100b)의 경우, 외부로는 설정된 높이로 형성된 측면을 통해 벽을 형성하지만, 내부에서 상호 체결되는 내부 금형 유닛(100c)와 상기 좌우측 및 상하측 최단부에 위치하는 단부 금형 유닛(100a 및 100b)의 내부측 방향으로는 바닥면 이상의 높이로 형성된 측면이 없거나, 낮게 형성되어, 내부에서 가공되는 플라스틱 포장용기가 접시나 도시락과 같이 내부는 평탄하고, 외부는 음식 등이 임의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벽이 형성되도록 모듈형 블록 금형(10)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부 금형 유닛(100a 및 100b)의 외부 측면은 경사지거나 곡선 등의 형태로 가공되어, 다양한 플라스틱 포장용기의 외관 제작에도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다양한 단면과 형상, 모양을 가지는 금형 유닛(100)을 다른 금형 유닛(100)과 서로 맞닿아 체결(또는 부착)하여, 다양한 높이와 평면, 단면의 형태에 대응할 수 있는 모듈형 블록 모듈(10)을 제공될 수 있다.
즉, 평탄한 바닥면에 하나 이상의 금형 유닛(100)을 위치시켜 제조가 필요한 플라스틱 포장용기의 바닥면을 만들 수 있도록 지지하는 동시에, 요구되는 플라스틱 포장용기의 다양한 형태와 내부 구성(내부 칸 구획과 바닥면 패턴 가공 등)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각기 다른 형태나 모양, 평면을 가지는 금형 유닛(100)들을 상호 체결(또는 부착)함으로써 보다 손쉽게 금형을 만들어 필요한 요구사항의 플라스틱 포장용기를 압공(진공) 성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블록 금형(10)은 다양한 평면과 측면 높이를 가지는 금형 유닛(100)이 상호 맞닿아 형성되지만, 같은 크기의 바닥면과 일정 수준의 최소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측면에는 전술한 가스배기홈(110)이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여(즉, 측면 높이에 따라 가스배기홈(110)의 높이 역시 상이해 질 수 있으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 배기홀(130)이 균일하게 형성되고, 이를 통해 플라스틱 포장용기의 가공 공정 상에서 발생할 수 잇는 금형 내부의 공기 흐름을 최적화하고, 이를 통해 균일한 플라스틱 포장용기 제품을 만들 수 있도록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발생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블록 금형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포장용기의 후크(본체와 뚜껑과의 부착-체결을 위한 돌기)가 필요한 대응되는 위치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생성용 금형 유닛(100d)를 위치시켜 플라스틱 포장용기의 크기나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는 후크를 후크 생성용 금형 유닛(100d)의 위치 및 조합 변경을 통해 손쉽게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생성용 금형 유닛(100d)은 바닥면 위쪽으로 별도의 후크 생성용 돌기(돌출형 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플라스틱 포장용기 제조를 위한 가공시 손쉽게 포장용기의 설정된 위치에 후크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블록 금형(10)은 플라스틱 포장용기의 다양한 형태와 크기, 폭, 모양에 대응할 수 있도록 내외부 금형 유닛(100)을 자유롭게 선택하고, 상호 맞닿음 체결(또는 부착)할 수 있는 바, 플라스틱 포장용기의 후크 생성 위치에 따라 금형을 별도로 제작하지 않고도, 보다 손쉽고 경제적으로 모듈형 블록 금형(10) 조립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포장용기 바닥면에 상호나 상표 등 주문자 표지 등을 보다 손쉽게 플라스틱 포장용기 제작단계에서 각인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유닛(100) 중 해당 플라스틱 포장용기에 각인되어야 할 설정된 위치에 놓이게 되는 표지용 금형 유닛(100e)은 상부 평면에 미리 상표 등의 주문자 표지를 양각 또는 음각으로 패턴화하고, 모듈형 블록 금형(10) 조립시 대응되는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하여, 금형(10)을 통한 플라스틱 포장용기 가공 공정 단계에서 보다 손쉽게 주문자 표지가 포장용기에 각인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별도의 번거로운 스티커 부착이나 추가 후가공 등의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표지용 금형 유닛(100e)을 상호 결합(또는 맞댐)하여 보다 큰 표지나 문구, 상표나 상호, 연락처 등을 기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유닛(100)은 개별 금형 단위별로 사용자 또는 가공 제조되어야 하는 플라스틱 포장용기의 규격, 형태, 크기 및/또는 모양 등에 따라 탄력적으로 재조립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바, 금형 제작 기간을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전체 플라스틱 포장용기 가공 공정 역시 단순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와 모양, 크기를 가지는 플라스틱 포장용기에 최적화된 모듈로 대응할 수 있고, 플라스틱 포장용기의 바닥 패턴이나 주문자 표지 등을 손쉽게 각인할 수 있는 장점 역시 가지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금형 유닛(100)에 이탈방지모듈(200)이 추가적으로 채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블록 금형(10)은 복수개의 금형 유닛(100)이 상호 체결(맞닿음,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호 체결되는 금형 유닛(100)의 조합을 달리하여 정사각형, 직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플라스틱 포장용기를 제조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호 체결되는 금형 유닛(100)의 내부 수용부(즉 가열된 플라스틱 필름 또는 플라스틱 패리슨이 담기게 되는 금형 유닛(100)의 안쪽 부분)의 평면, 입면, 측면 등의 형상을 달리하는 금형 유닛(100)들을 상호 체결함으로써 다양한 플라스틱 포장용기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블록 금형(10)을 구성하는 금형 유닛(100)의 바닥면의 넓이는 동일하게 유닛으로 형성할 수 있는 바, 다양한 내부 수용부 형태(입면, 평면, 측면 등)를 가지는 금형 유닛(100)을 선택적으로 상호 체결하는 경우에도 일정한 가로 및 세로, 폭을 가지는 모듈형 블록 금형(10)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모듈(200)은 체결판(210) 및 체결구(210a)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판(210)은 하나 이상의 금형 유닛(100)의 바닥면에 밀착하여 부착될 수 있는 길게 형성된 판재를 지칭한다. 체결판(210)이 보다 효과적으로 금형 유닛(100)에 부착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유닛(100)은 체결판(210)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150)이 추가적으로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홈(150)을 따라 체결판(210)이 내부에 수용될 경우, 체결판(210)이 보다 안정적으로 하나 이상의 금형 유닛(100)을 상호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판(210)은 하나의 금형 유닛(10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각각의 체결판(210)을 상호 체결(상호 맞대거나 상호 끼움, 상호 체결 등의 형태)하여 모듈형 블록 금형(10)으로 형성된 길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판(210)은 다양한 가로 및 세로의 폭으로 형성되는 모듈형 블록 금형(10)의 폭에 따라 하나 이상의 체결판(210)을 서로 체결하여 다양한 폭과 길이에 대응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판(210)은 알루미늄 등 열을 빠르게 전도할 수 있는 소재(열전도율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어, 플라스틱 포장용기 제조 공정 중에는 각 금형 모듈(100)에 균일하게 열이 분배되는 역할을 수행하여 균일한 플라스틱 포장용기를 제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제조 공정이 끝난 경우에는 각 금형 모듈(100) 내부에 남아있는 잠열이나 응열 등을 빠르게 외부로 방출하여 금형 유닛(100)의 신속한 재조합이나 재조립 등의 재사용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판(210)은 방열소재를 채택하여 플라스틱 포장용기 제조 중 또는 제조 후 금형 유닛(100)에 남아 있는 열을 신속히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방열판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판(210)은 배기홀(130)에 대응되는 위치에 별도의 홀(미도시)를 형성하여, 모듈형 블록 그램(10)을 기반으로 하는 압공 공정 시 내부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하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체결구(210a)는 배기홀(130)에 삽입 체결될 수 있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지칭하는 것으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 유닛(100)의 바닥면에 부착된 체결판(210)을 관통하여, 이웃하여 맞닿아 있는 금형 유닛(100)을 보다 밀착하여 부착할 수 있는 역할을 가진다.
이를 위해 체결판(210)에는 별도의 체결구(210a)를 수용할 수 있는 홈(미도시)가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판(210)의 홈(미도시)에 체결구(210a)의 상단부가 안정적으로 수용됨에 따라 금형 유닛(100)의 외부로 체결구(210a)의 일부가 돌출되거나 빠져나와 금형 유닛(100)의 조립이나 가공 공정에서의 불량 등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금형 유닛(100)의 수용홈(150)에 바닥면 외부로 노출됨이 없이 수용되는 체결판(210)의 홈(미도시)에 체결구(210a) 수용됨으로써, 하나 이상의 금형 유닛(100)이 상호 맞닿아 체결되어 모듈형 블록 금형(10)을 형성하게 될 경우에도, 각 금형 유닛(100)의 바닥면은 평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체결구(210a)의 원활한 삽입 체결을 위해 각 금형 유닛(100)의 설정된 측면에 형성된 가스배기홈(110)에는 볼트로 형성된 체결구(210a)의 나사산과 대응될 수 있는 체결지지홈(110a)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모듈(200)은 체결지그(230) 및 체결지그 체결구(230a)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지그(230)는 복수의 금형 유닛(100)이 상호 맞닿아 형성되는 모듈형 블록 금형(10)의 외곽을 둘러싸서 안정적 체결을 지지할 수 있는 체결수단을 지칭한다. 죽, 체결지그(230)는 모듈형 블록 금형(10)의 외곽부를 형성하는 금형 유닛(100)들의 최외곽 측면을 감싸게 되며, 이를 통해 각 금형 유닛(100)이 제조 공정 중에도 흐트러지지 않고, 안정적인 플라스틱 포장용기 제조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체결지그(230)가 보다 효과적으로 금형 유닛(100)에 부착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유닛(100)은 체결지그(23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미도시)가 추가적으로 금형 유닛(1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부(미도시)를 따라 체결지그(230)가 내부에 수용될 경우, 체결지그(230)가 보다 안정적으로 하나 이상의 금형 유닛(100)을 상호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지그(230)는 하나의 금형 유닛(10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각각의 체결지그(230)를 상호 체결(상호 맞대거나 상호 끼움, 상호 체결 등의 형태)하여 모듈형 블록 금형(10)으로 형성된 길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지그(230)는 다양한 가로 및 세로의 폭으로 형성되는 모듈형 블록 금형(10)의 폭에 따라 하나 이상의 체결지그(230)를 서로 체결하여 다양한 폭과 길이에 대응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지그(230)는 알루미늄 등 열을 빠르게 전도할 수 있는 소재(열전도율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어, 플라스틱 포장용기 제조 공정 중에는 각 금형 모듈(100)에 균일하게 열이 분배되는 역할을 수행하여 균일한 플라스틱 포장용기를 제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제조 공정이 끝난 경우에는 각 금형 모듈(100) 내부에 남아있는 잠열이나 응열 등을 빠르게 외부로 방출하여 금형 유닛(100)의 신속한 재조합이나 재조립 등의 재사용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지그(230)는 방열소재를 채택하여 플라스틱 포장용기 제조 중 또는 제조 후 금형 유닛(100)에 남아 있는 열을 신속히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방열판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체결지그 체결구(230a)는 모듈형 블록 금형(10)의 정면에 부착된 체결지그(230)와 인접하는 측면에 부착된 체결지그(230)를 상호 체결하여 체결지그(230)들이 안정적으로 내부에 수용된 금형 유닛(100)들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체결수단을 지칭한다. 즉, 체결지그 체결구(230a)는 모듈형 블록 금형(10)이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경우, 각 4면의 모서리에서 체결지그(230)를 안정적으로 체결하여 지지하는 체결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모듈형 블록 금형
100: 금형 유닛
110: 가스배기홈 110a: 체결지지홈
130: 배기홀
150: 수용홈
200: 이탈방지모듈
210: 체결판 210a: 체결구
230: 체결지그 230a: 체결지그 체결구

Claims (3)

  1. 압공성형 공정을 통해 가열된 플라스틱 필름을 플라스틱 포장용기로 제조할 수 있는 복수개의 금형 유닛의 상호 체결을 통해 형성되는 모듈형 블록 금형에 있어서,
    상기 금형 유닛은 각각 동일한 크기의 바닥면을 가지는 동시에, 다양한 형태의 입면, 평면 및 측면을 가지는 내부 수용부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플라스틱 포장용기를 제조할 수 있고,
    상기 금형 유닛은 측면의 설정된 위치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가스배기홈이 형성되어, 상기 금형 유닛이 이웃하는 다른 금형 유닛과 상호 체결될 경우 관통할 수 있는 배기홀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상기 압공성형 공정에 따른 상기 모듈형 블록 금형 내부의 공기 순환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블록 금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블록 금형은,
    상기 복수개의 금형 유닛들의 체결을 지원하는 이탈방지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탈방지유닛은,
    상기 금형 유닛의 바닥면에 밀착하여 부착될 수 있는 길게 형성된 판재로 형성된 체결판; 및
    상기 체결판과 상기 배기홀에 삽입하여 체결될 수 있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상기 금형 유닛들이 상기 압공성형 공정 중에서도 안정적으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블록 금형.
KR1020180051284A 2018-05-03 2018-05-03 모듈형 블록 금형 KR102081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284A KR102081143B1 (ko) 2018-05-03 2018-05-03 모듈형 블록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284A KR102081143B1 (ko) 2018-05-03 2018-05-03 모듈형 블록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120A KR20190127120A (ko) 2019-11-13
KR102081143B1 true KR102081143B1 (ko) 2020-02-25

Family

ID=68535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284A KR102081143B1 (ko) 2018-05-03 2018-05-03 모듈형 블록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1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3286A1 (en) 2006-01-20 2007-07-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odular mold system for production of product families
KR100917970B1 (ko) 2008-09-11 2009-09-17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핸드카형 파렛트의 금형장치 및 핸드카형 파렛트
JP2014104652A (ja) * 2012-11-27 2014-06-09 Azbil Corp 金型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3286A1 (en) 2006-01-20 2007-07-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odular mold system for production of product families
US20080003321A1 (en) 2006-01-20 2008-01-03 Kerr George S Modular mold system for production of product families
KR100917970B1 (ko) 2008-09-11 2009-09-17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핸드카형 파렛트의 금형장치 및 핸드카형 파렛트
JP2014104652A (ja) * 2012-11-27 2014-06-09 Azbil Corp 金型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120A (ko)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56443B (zh) 用于制造物品的部件的制造方法和设备
JP2008273587A (ja) パレット
JP7215795B1 (ja) 搬送容器の製造方法
US20060054579A1 (en) Sectional display stand and making method thereof
KR102081143B1 (ko) 모듈형 블록 금형
PL195414B1 (pl) Urządzenie do formowania przedmiotów o cienkich ściankach
CN101102859A (zh) 成形用金属模的制造方法及成形用金属模
KR101905751B1 (ko) 분할형 캐비티와 코어를 구비하는 금형장치
KR101866091B1 (ko) 발포폼 성형 금형
CN214613328U (zh) 纸浆成型装置
JP6365237B2 (ja) ビーズ法発泡合成樹脂成形用模様付き金型
CN109229715B (zh) 简易组装的周转箱及其吹塑成型工艺
JP5409073B2 (ja) 発泡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梱包材
JP2022023381A (ja) 真空成形用金型
CN112626928A (zh) 纸浆成型装置
CN211518280U (zh) 一种空调柜机用泡沫包装生产模具
CN216329730U (zh) 一种加快脱模的塑胶模具
JP7333682B1 (ja) 搬送容器用受け部材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金型
CN201363314Y (zh) 风扇框体
CN214964685U (zh) 便于蛋糕塑形的硅胶蛋糕模
CN217495361U (zh) 一种模具及容器
CN209775434U (zh) 接线盒组件及热流道系统
JP5912991B2 (ja) 金型
JP2008120021A (ja) 発泡体成形用金型
JP2008188857A (ja) 発泡スチロール成形用金型及び発泡スチロール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