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936B1 - 클리어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클리어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936B1
KR102080936B1 KR1020180008964A KR20180008964A KR102080936B1 KR 102080936 B1 KR102080936 B1 KR 102080936B1 KR 1020180008964 A KR1020180008964 A KR 1020180008964A KR 20180008964 A KR20180008964 A KR 20180008964A KR 102080936 B1 KR102080936 B1 KR 102080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crylic polyol
polyol resin
resin
mgko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0280A (ko
Inventor
정다은
박종윤
김지승
마충식
이중호
정진훈
이우탁
이정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80008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936B1/ko
Priority to CN201880087383.7A priority patent/CN111630120B/zh
Priority to PCT/KR2018/016058 priority patent/WO2019146911A1/ko
Publication of KR20190090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9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 C09D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종 이상의 아크릴 폴리올 수지, 카르복실기와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과 글리시딜 에스테르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변성 아크릴 폴리올 수지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1액형의 클리어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클리어 도료 조성물{CLEAR PAINT COMPOSITION}
본 발명은 클리어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도장 시스템은 그 특성에 따라 기본적인 기계적 물성을 좌우하는 중도, 색상과 외관이 중시되는 상도 베이스 코트, 그리고 자동차의 최종 광택 및 맑기감과 기계적 물성을 보완할 수 있는 상도 클리어 코트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몸체에 도장되는 상도 클리어 코트 조성물은 수산기 함유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블록이소시아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지며, 그 외 평활제, 슬립제, 자외선흡수제, 산화방지제 등으로 구성된 첨가제와 산촉매가 첨가되는 1액형 클리어 도료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수산기 함유 아크릴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클리어 도료의 경우, 수용성 베이스 도료 위에 도장시 재도장 부착성이 떨어지고, 산성비 등의 화학적인 저항성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576,447호에서는 종래의 아크릴폴리올 수지, 멜라민 수지 및 블록이소시아네이트, 도료의 경화 시스템을 유지하면서 내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 개발에 중점을 두어 아크릴폴리올 수지의 합성 및 선정, 멜라민 함량의 극소화 및 특징적인 블록이소시아네이트의 함량을 극대화하고 에폭시 수지를 적용하여 내산성 및 재도장 부착성에서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고 내스크래치성 및 내수성이 우수하며, 불순물 등에 의한 황변현상 발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내산성 및 도막 외관 품질이 우수한 자동차 용제형 1액형 투명 상도도료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에폭시 기능 그룹을 적용한 1액형 클리어 코트 시스템은 산-에폭시 자체의 안정성이 떨어져 저장 안정성이 불량하며, 제조 후 바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점차적으로 겔화를 이루게 되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수용성 상도 베이스 코트에 적용시, 수용성 상도 베이스 코트에 적용되는 아민과 반응하여 황변이 발생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06-0119012호에서는 1액형 투명 상도도료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수산기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올 주수지, 디우레아기를 갖는 아크릴 폴리올 보조수지 및 용제를 함유한 주제부와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라이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트라이머 및 용제를 함유한 경화제부를 포함하는 2액형 자동차용 도료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이 조성물은 우수한 외관 및 기계적 물성, 수용성 상도 베이스 코트와의 상용성, 층간 분리감 및 맑기감 등을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2액형 클리어 도료는 이소시아네이트의 사용으로 건강에 유해하며 수분에 노출될 경우 수분에 의해 원하지 않는 부반응이 생길수 있고, 가사시간이 짧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도 클리어 코트의 외관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기술적인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52309호
본 발명은 클리어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1종 이상의 아크릴 폴리올 수지, 카르복실기와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와 글리시딜 에스테르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변성 아크릴 폴리올 수지 및 경화제부를 포함하는 1액형의 클리어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클리어 도료 조성물은 종래의 1액형 도료 조성물과 비교하여, 내후성 및 내치핑성이 우수하고, 고광택 도장의 영상선명도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클리어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클리어 도료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아크릴 폴리올 수지, 카르복실기와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와 글리시딜 에스테르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변성 아크릴 폴리올 수지 및 경화제부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구성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크릴 폴리올 수지>
본 발명의 클리어 도료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도장의 외관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하이드록시기 함유 아크릴 모노머를 이용하여 중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록시기 함유 아크릴 모노머는 예를 들어, 모노하이드록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하이드록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락톤(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알리사이클릭(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일 수 있다. 예컨대, 2-하이드록시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6-하이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카두라아크릴레이트, 카두라메타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메타크릴레이트, 2,3-디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3-디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일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록시기 함유 아크릴 모노머는 스티렌,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의 혼합물과 같은 모노머와 공중합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함량은 클리어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0 중량% 내지 7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고, 30 중량% 내지 60 중량% 이거나, 30 중량% 내지 50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인 경우 내화학성 등의 화학적 물성이 저해되어 외관 향상 효과가 저조하고, 70 중량% 초과인 경우 도막이 너무 단단해지는 문제가 있어 내치핑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는 10℃ 내지 50℃일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가 10℃ 미만인 경우 도막의 건조성이 불량해질 수 있고, 50℃ 초과인 경우 도막의 경도가 높아져서 내충격성이 약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서로 다른 점도를 갖는 2종 이상의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2종의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점도가 950 cP 내지 2,400 cP인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와 점도가 20 cP 내지 55 cP 인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클리어 도료 조성물 내에서 주수지로 작용하는 것으로서, 산가가 5 mgKOH/g 내지 15 mgKOH/g이고, 수산기가가 120 mgKOH/g 내지 170 mgKOH/g이고, 유리전이온도 10℃ 내지 20℃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 g/mol 내지 30,000 g/mol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고형분 함량이 55 중량% 내지 70 중량%이고, 58 중량% 내지 61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클리어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 중량% 내지 69.9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고, 20 중량% 내지 69 중량%, 25 중량% 내지 69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내화학성 등의 화학적 물성이 저해되는 문제가 잇고, 69.9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막이 너무 단단해지는 문제가 있어 내치핑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클리어 도료 조성물 내에서 레벨링제로 작용하는 것으로서, 산가 및 수산기가가 0 mgKOH/g이며, 유리전이온도가 10℃ 내지 50℃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 g/mol 내지 15,000 g/mol인 것일 수 있고, 고형분의 함량이 40 중량% 내지 60 중량%, 49 중량% 내지 51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클리어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3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고, 1 중량% 내지 10 중량%, 1 중량%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도료의 표면이 평활하게 되지 못해 외관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고, 30 중량% 초과인 경우 도막의 물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
<변성 아크릴 폴리올 수지>
본 발명의 클리어 도료 조성물은 변성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변성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상기 1종 이상의 아크릴 폴리올 주수지에 더하여 클리어 도료 조성물 내에 보조 수지로서 첨가되어, 형성된 도막의 광택, 영상선명도(DOI) 및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변성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카르복실기와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와 글리시딜 에스테르의 반응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기와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 비관능성 아크릴 모노머, 카르복실기를 함유한 아크릴 모노머 및 하이드록시기를 함유한 아크릴 모노머를 중합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는 스티렌,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터셔리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일 수 있고,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는 상기 아크릴계 수지를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모노머의 총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내지 16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11 중량% 내지 12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 광택에 영향을 주어 외관이 저하되고, 12 중량% 초과인 경우 도료에 적용시 장기 내후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비관능성 아크릴 모노머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비사이클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관능성 아크릴 모노머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터셔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노말헥실메타크릴에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터셔리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노말옥틸아크릴에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관능성 아크릴 모노머는 상기 아크릴계 수지를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모노머의 총량을 기준으로 55 중량% 내지 62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59 중량% 내지 62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관능성 아크릴 모노머의 함량이 55 중량% 미만인 경우 관능성 아크릴 모노머의 증가로 내후성이 저하될 수 있고, 62 중량% 초과인 경우 제조된 변성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수산기가가 감소하여 도료의 내후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불량해질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기를 함유한 모노머는 벤조산,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2-에틸헥산산,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라우르산, 천연 및 합성 지방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량체 아크릴산, 크로톤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트라히드로프탈산, 헥사히드로프탈산,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말레산, 푸마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피멜산, 수베르산, 세바신산, 도데칸이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카르복실기를 함유한 모노머는 상기 아크릴계 수지를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모노머의 총량을 기준으로 4 중량% 내지 7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5 중량% 내지 6.2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기를 함유한 모노머가 4 중량% 미만인 경우 점도가 낮아져서 내스크래치성에 문제가 있고, 7 중량% 이상인 경우 아크릴계 수지 내의 또는 아크릴계 수지 간의 수소결합이 증가하여 점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하이드록시기를 함유한 모노머는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카두라아크릴레이트, 카두라메타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메타크릴레이트, 2,3-디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 2,3-디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크릴레이트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이드록시기를 함유한 모노머는 상기 아크릴계 수지를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모노머의 총량을 기준으로 15 중량% 내지 22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18 중량% 내지 22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록시기를 함유한 모노머의 함량이 15 중량% 미만인 경우 도막의 가교밀도가 저하되어 도료의 물성이 저하되고, 22 중량% 초과인 경우 가교밀도가 높아져서 도막 물성이 향상되나 표면 장력이 높아져 도막의 퍼짐성이 저하되고 다른 조성물들과의 상용성이 저하되어 도막의 외관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제조에는 유기 용제 또는 개시제가 더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톨루엔, 크실렌, 자일렌과 같은 탄화수소계 용제, 메틸에틸케톤, 메틸프로필케톤, 메틸부틸케톤, 에틸프로필케톤과 같은 케톤계 용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n-프로필아세테이트, n-부틸아세테이트, 에틸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 등과 같은 에스테르계 용제, n-부탄올, 프로판올, 부틸알코올, 1-메톡시-2-프로판올 같은 알코올계 용제 등일 수 있다.
상기 개시제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일 수 있고, 상기 개시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2,2’-아조비스(2-메틸부틸로니트릴), 2,2’-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터셔리부틸퍼옥시 벤조에이트, 디터셔리부틸퍼옥사이드, 터셔리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터셔리부틸퍼옥시아세테이트, 터셔리아밀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디터셔리아밀퍼옥사이드, 큐밀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큐밀퍼옥사이드 등일 수 있다. 상기 개시제는 상기 아크릴계 수지를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모노머의 총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7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5 중량% 내지 7 중량%, 6 중량% 내지 7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개시제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중합도가 낮아 물성의 저하가 생길 수 있고, 7 중량% 초과인 경우 도료 조성물의 과경화로 인해 도막의 외관이 불량해질 수 있다.
상기 글리시딜 에스테르는 하기 화학식 1의 화학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08539176-pat00001
(여기서, 상기 R은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이다.)
상기 R은
Figure 112018008539176-pat00002
의 구조로 표시될 수 있고,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다. 상기 도트(
Figure 112018008539176-pat00003
)는 치환기가 주쇄에 결합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알킬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고,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sec-부틸, 1-메틸부틸, 1-에틸부틸,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tert-펜틸, n-헥실, 1-메틸펜틸, 2-메틸펜틸, 4-메틸-2-펜틸, 3,3-디메틸부틸, 2-에틸부틸, n-헵틸, 1-메틸헥실, 시클로펜틸메틸, 시클로헥틸메틸, n-옥틸, tert-옥틸, 1-메틸헵틸, 2-에틸헥실, 2-프로필펜틸, n-노닐, 2,2-디메틸헵틸, 1-에틸프로필, 1,1-디메틸프로필, 이소헥실, 4-메틸헥실, 5-메틸헥실 등이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글리시딜 에스테르는 상기 아크릴계 수지를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모노머의 총량을 기준으로 6 중량% 내지 12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10 중량% 내지 12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글리시딜 에스테르의 함량이 6 중량% 미만인 경우 아크릴계 수지와 반응이 미흡하여 도료의 내스크래치성 및 내후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고, 12 중량% 초과인 경우 과량의 하이드록시기로 인해 과경화로 인한 도막의 외관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상기 글리시딜 에스테르는 상기 카르복실기와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와 반응하여, 글리시딜의 에폭시 그룹의 고리 열림 중합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카르복실기가 글리시딜 에스테르에 의해 변성된 변성 아크릴 폴리올 수지가 본 발명의 클리어 도료 조성물에서 보조수지로 이용됨으로써, 도료의 저장 안정성이 확보되고, 유리전이온도(Tg)가 최적화됨으로써 흐름성 및 레벨링이 개선되어 클리어 도료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수지에 장쇄 폴리올(long chain polyol)이 도입됨으로써 저온 경화가 가능하게 되어 유성 클리어 도료의 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변성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 g/mol 내지 15,000 g/mol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변성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클리어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내지 2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된다.
상기 변성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 도료의 외관 개선 효과가 없으며, 25 중량% 초과인 경우 도료의 흐름성 및 레벨링이 불량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변성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유리전이온도(Tg)가 0℃ 이하이고, -10℃ 이상 0℃ 이하, -5℃ 이상 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변성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도료 조성물의 흐름성 및 레벨링이 개선된다.
상기 변성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수산기가가 100 ㎎KOH/g 내지 150 ㎎KOH/g이고, 100 ㎎KOH/g 내지 120 ㎎KOH/g일 수 있다. 상기 변성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수산기가가 100 ㎎KOH/g 미만인 경우, 부착성 불량으로 내후성에도 악영향이 미치며, 수산기가가 150 ㎎KOH/g 초과인 경우 변성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외관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변성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산가가 10 ㎎KOH/g 내지 15 mgKOH/g이다. 변성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산가가 10 ㎎KOH/g 미만인 경우 도료의 부착성이 떨어지고, 산가가 15 ㎎KOH/g 초과인 경우 도료의 외관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변성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점도가 70 cP 내지 110 cP이다. 상기 변성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점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제조된 클리어 도료 조성물의 흐름성 및 레벨링을 높여주어, 도막의 우수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변성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점도가 70 cp 미만인 경우 도료의 스크래치성, 광택, 내후성이 불량해지며, 110 cp 초과인 경우 내치핑성이 불량해지는 단점이 있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
본 발명의 클리어 도료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는 도료의 부착성 및 내후성 향상을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를 아크릴 폴리올 수지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도막의 유연성과 도료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광택과 외관품질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는 산 모노머와 알코올 모노머의 축합 반응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염기산(아디픽산, Adipic Acid)과 글리콜(Glycol)이나 트리올(Triol)과의 탈수축합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성상, 물성은 사용되는 산(Acid), 폴리올의 종류, 분자량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는 상기 클리어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중량%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1 중량%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는 수지 고형분이 60 중량% 내지 80 중량%이고, 점도가 1,500 cP 내지 3,500 cP이고, 산가는 20 mgKOH/g 내지 25 mgKOH/g이고, 수산기가는 130 mgKOH/g 내지 150 mgKOH/g이고, 유리전이온도는 0℃ 내지 10℃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은 3,000 g/mol 내지 8,000 g/mol 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의 물성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도막의 유연성과 도료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도막의 광택과 외관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경화제>
본 발명의 클리어 도료 조성물은 경화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경화제는 상기 아크릴 폴리올 수지 또는 변성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하이드록시기와 경화할 수 있는 것이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멜라민 화합물 및 우레탄 화합물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멜라민 화합물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헥사메틸올멜라민,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 헥사부톡시메틸멜라민 등일 수 있다.
상기 멜라민 화합물의 고형분 함량은 56 중량% 내지 60 중량%이고, 점도는 600 mPas 내지 1,000 mPas이고, 색상은 50 Hazen 이하이고, 산가 1 mgKOH/g 이하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g/mol 내지 4,000 g/mol 일 수 있다.
상기 우레탄 화합물은 클리어 도료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고, 알코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1,4-프로필렌글리콜, 1,5-펜탄디올, 1,2-부탄디올, 1,2-헥산디올,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에톡실레이트 비스페놀 A, 벤젠 다이올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 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4,4',4''-트리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우레탄 화합물의 고형분 함량은 73 중량% 내지 77 중량%이고, 점도 2,800 mPas 내지 5,800 mPas이고, 색상은 100 Hazen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경화제부는 상기 클리어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 중량% 내지 5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부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인 경우, 주수지와 반응 시 불완전한 경화로 인하여 경도, 내용제성 등의 도료 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50 중량% 초과인 경우, 과경화로 인하여 부착성, 내충격성 등의 도료 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도료 내 미반응 경화제가 잔존하여 기타 물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유기 용제>
본 발명의 클리어 도료 조성물은 유기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제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중합 반응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톨루엔, 자일렌, 크실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 디메틸케톤, 메틸에틸케톤, 메틸프로필케톤, 메틸부틸케톤, 에틸프로필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아릴케톤과 같은 케톤계 용제,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n-프로필 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부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카비톨아세테이트와 같은 에스테르계 용제, 또는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터셔리부탄올과 같은 알코올계 용제 등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용제는 클리어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중량% 내지 2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제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 도료의 제조가 어려울 수 있고, 20 중량% 초과인 경우 도장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첨가제>
본 발명의 클리어 도료 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표면조정제, 광안정제, 내후성 첨가제, 건조제, 외관 조절제, 소포제 및 자외선 흡수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클리어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
<제조예 1> 아크릴 폴리올 보조수지 A
온도계, 교반장치를 구비한 합성용 4구 플라스크에 자일렌 239g과 부틸알코올 90g을 투입하여 환류온도로 승온한 후 스티렌 모노머 64g, 부틸메타크릴레이트 100g, 하이드록시 에타크릴레이트 123g, 부틸아크릴레이트 251g, 메타크릴산 35g과 t-부틸퍼록시아세테이트 36g 혼합물을 5시간에 걸쳐 균일 적가하였다. 적가 완료 후 환류온도에서 2시간 동안 유지한 후, 점도의 변화가 없을 때 120℃로 냉각하여 Cardura E10p 글리시딜 에스테르 65g을 2시간 적가 후, 산가의 변화가 없을 때까지 반응시켜, 고형분 50 중량%, 점도 C-D(Gardner-Holdt), 산가 13 mgKOH/g인 아크릴 폴리올 보조수지 A를 얻었다.
<제조예 2> 아크릴 폴리올 보조수지 B
온도계, 교반장치를 구비한 합성용 4구 플라스크에 자일렌 239g과 부틸알코올 90g을 투입하여 환류온도로 승온한 후 스티렌 모노머 64g, 부틸메타크릴레이트 135g, 하이드록시 에타크릴레이트 83g, 부틸아크릴레이트 254g, 메타크릴산 35g과 t-부틸퍼록시아세테이트 36g 혼합물을 5시간에 걸쳐 균일 적가하였다. 적가 완료 후 환류온도에서 2시간 동안 유지한 후, 점도의 변화가 없을 때 120℃로 냉각하여 Cardura E10p 글리시딜 에스테르 65g을 2시간 적가 후, 산가의 변화가 없을 때까지 반응시켜, 고형분 50 중량%, 점도 A-(Gardner-Holdt), 산가 13 mgKOH/g인 아크릴 폴리올 보조수지 B를 얻었다.
<제조예 3> 아크릴 폴리올 보조수지 C
온도계, 교반장치를 구비한 합성용 4구 플라스크에 자일렌 239g과 부틸알코올 90g을 투입하여 환류온도로 승온한 후 스티렌 모노머 64g, 부틸메타크릴레이트 253g, 하이드록시 에타크릴레이트 97g, 부틸아크릴레이트 97g, 메타크릴산 35g과 t-부틸퍼록시아세테이트 36g 혼합물을 5시간에 걸쳐 균일 적가하였다. 적가 완료 후 환류온도에서 2시간 동안 유지한 후, 점도의 변화가 없을 때 120℃로 냉각하여 Cardura E10p 글리시딜 에스테르 65g을 2시간 적가 후, 산가의 변화가 없을 때까지 반응시켜, 고형분 50 중량%, 점도 G-H(Gardner-Holdt), 산가 13 mgKOH/g인 아크릴 폴리올 보조수지 C를 얻었다.
<제조예 4> 아크릴 폴리올 보조수지 D
온도계, 교반장치를 구비한 합성용 4구 플라스크에 자일렌 243g과 부틸알코올 91g을 투입하여 환류온도로 승온한 후 스티렌 모노머 65g, 부틸메타크릴레이트 101g, 하이드록시 에타크릴레이트 125g, 부틸아크릴레이트 256g, 메타크릴산 36g과 t-부틸퍼록시아세테이트 18g 혼합물을 5시간에 걸쳐 균일 적가하였다. 적가 완료 후 환류온도에서 2시간 동안 유지한 후, 점도의 변화가 없을 때 120℃로 냉각하여 Cardura E10p 글리시딜 에스테르 66g을 2시간 적가 후, 산가의 변화가 없을 때까지 반응시켜, 고형분 50 중량%, 점도 R(Gardner-Holdt), 산가 13 mgKOH/g인 아크릴 폴리올 보조수지 D를 얻었다.
<제조예 5> 아크릴 폴리올 보조수지 E
온도계, 교반장치를 구비한 합성용 4구 플라스크에 자일렌 239g과 부틸알코올 90g을 투입하여 환류온도로 승온한 후 스티렌 모노머 64g, 부틸메타크릴레이트 131g, 하이드록시 에타크릴레이트 138g, 부틸아크릴레이트 247g, 메타크릴산 24g과 t-부틸퍼록시아세테이트 36g 혼합물을 5시간에 걸쳐 균일 적가하였다. 적가 완료 후 환류온도에서 2시간 동안 유지한 후, 점도의 변화가 없을 때 120℃로 냉각하여 Cardura E10p 글리시딜 에스테르 32g을 2시간 적가 후, 산가의 변화가 없을 때까지 반응시켜, 고형분 50 중량%, 점도 F(Gardner-Holdt), 산가 13 mgKOH/g인 아크릴 폴리올 보조수지 E를 얻었다.
<제조예 6> 아크릴 폴리올 보조수지 F
온도계, 교반장치를 구비한 합성용 4구 플라스크에 자일렌 239g과 부틸알코올 90g을 투입하여 환류온도로 승온한 후 스티렌 모노머 64g, 부틸메타크릴레이트 164g, 하이드록시 에타크릴레이트 152g, 부틸아크릴레이트 243g, 메타크릴산 13g과 t-부틸퍼록시아세테이트 36g 혼합물을 5시간에 걸쳐 균일 적가하였다. 적가 완료 후 환류온도에서 2시간 동안 유지한 후, 점도의 변화가 없을 때 냉각하여, 고형분 50 중량%, 점도 H-I(Gardner-Holdt), 산가 13 mgKOH/g인 아크릴 폴리올 보조수지 F를 얻었다.
상기 제조예 1 내지 6의 아크릴 폴리올 보조수지 물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항목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유리전이온도(Tg)
(℃)
-5 -5 15 -5 -5 -5
수산기가
(mgKOH/g)
116 86 116 116 116 116
CE10P 함량
(중량%)
10 10 10 10 5 0
산가
(mgKOH/g)
13 13 13 13 13 13
고형분 함량
(중량%)
50 50 50 50 50 50
점도
(Gardner-Holdt)
C-D A- G-H R F H-I
<실시예 1 내지 3>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으로 배합하고, 1,500 rpm으로 20분 이상 교반 혼합하여 클리어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8>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으로 배합하고, 1,500 rpm으로 20분 이상 교반 혼합하여 클리어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클리어 도료 조성물 제조 (함량: 중량%)
성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5 6 7 8
아크릴 폴리올 수지 A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0
아크릴 폴리올 수지 B 2 2 2 2 2 2 2 2 2 2 0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 A 5 5 5 5 5 5 5 5 5 5 5
변성 아크릴 폴리올 보조수지 A 15 10 25 5 30 62
변성 아크릴 폴리올 보조수지 B 15
변성 아크릴 폴리올 보조수지 C 15
변성 아크릴 폴리올 보조수지 D 15
변성 아크릴 폴리올 보조수지 E 15
아크릴 폴리올 보조수지 F 15
멜라민 27 27 27 27 27 27 27 27 27 27 27
우레탄 3 3 3 3 3 3 3 3 3 3 3
자일렌 15 20 5 15 15 15 15 15 25 0 0
첨가제 3 3 3 3 3 3 3 3 3 3 3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 아크릴 폴리올 수지 A(주수지)(KCC)
고형분: 60 중량%, 점도(Gardner-Holdt): W 내지 Z, 산가: 10 mgKOH/g, 유리전이온도: 12℃, 수산기가: 140 mgKOH/g, 중량평균분자량 15,000 g/mol
2) 아크릴 폴리올 수지 B(보조수지: 레벨링제)(KCC)
고형분: 50 중량%, 점도(Gardner-Holdt): A2 내지 A, 유리전이온도: 15℃, 중량평균분자량이 6,000 g/mol
3)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 A(보조수지)(KCC)
고형분: 70 중량%, 점도(Gardner-Holdt): Y 내지 Z1, 산가: 22 mgKOH/g, 유리전이온도: 5℃, 수산기가: 135 mgKOH/g, 중량평균분자량: 5,000 g/mol
4) 멜라민(경화제)(Luperox012, BASF)
고형분: 56 중량% 내지 60 중량%, 점도: 600 mPas 내지 1,000 mPas, 색상: 50 Hazen이하, 산가: 1 mgKOH/g 이하, 중량평균분자량: 1,000 g/mol 내지 4,000 g/mol, 외관: clear
5) 우레탄(경화제)(Desmodur PL350, Covestro AG)
고형분: 73 중량% 내지 77 중량%, 점도: 2,800 mPas 내지 5,800 mPas, 색상: 100 Hazen 이하, 외관: clear
6) 첨가제(Tinuvin 5151, BASF)
투과율: 85%이상, 외관: clear
<실험예>
상기 표 2의 조성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8의 클리어 도료 조성물을 하기의 조건으로 수행하여 도료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도장조건>
핸드건(Handgun) 스프레이
노즐구경: 1.5 mm, 공기압: 4.5 kgf/㎠ 내외로 일정 유지
노즐입구와 시편의 거리를 2-30 cm 범위에서 일정하게 유지하여 수평으로 40-50 cm/sec 속도로 등속으로 움직이며 도장함.
도장 후, 130℃에서 20분 소부 경화 후 도막 물성(영상 선영도, 내스크래치, 광택, 경도, 내후성, 내치핑성)을 측정하였다.
<평가방법>
1) 영상 선명도(DOI, Distinctness of Image)는 도장 외관의 우수한 정도를 나타내는 방법으로써 WAVESCAN DUAL 기기로 MS653-01- SPEC에 준하여 상도 도장된 시편의 외관을 측정하였다. (CF: combined factor)
2) 내스크래치는 세차기에 의해 손상된 도막에서의 광택 유지 정도를 나타내는 방법으로써 MS653-01 SPEC에 준한 CAR WASHER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3) 광택은 도막의 광택 품질 수준을 나타내며 MS653-01 SPEC에 준하여 KCC-7-28-0022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KCC-7-28-0022: 건조한 시편을 완전히 식힌 후 규정된 광택기(BYK Gardner-micro gloss)를 이용하여 클리어 도막별로 30 ㎛/ 40 ㎛/ 50 ㎛에서의 20° 광택 값을 측정/기록 한다.)
4) 경도는 도막의 단단한 정도를 나타내는 방법으로 MS653-01 SPEC에 준하여 KCC-7-28-3000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KCC-7-28-3000:
ㄱ) SANDPAPER를 사용하여 연필심 끝 부위를 수평으로 만든다.
ㄴ) 연필심의 끝이 시편과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연필을 쥔다.
ㄷ) 규정된 조건에 따라 작성된 시편의 표면에 적당한 힘으로 연필 종류별로 1회씩 5회 긋는다
ㄹ) 이때, 연필이 시편을 누르는 힘은 약 500 g/㎠ 정도로 한다.
주1) 시험부위를 지우개로 지울 때 긁힘으로 인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 시험방향과 직각으로 지운다.
주2) 시편의 도막두께, 온도, 습도 등은 경도에 상당한 영향을 주므로 표준상태에서 시험한다.
주3) 연필의 강도는 H > F > HB > B > 2B의 순이다.
Figure 112018008539176-pat00004
판정방법: 시험부위를 지우개로 지운 다음 연필자국이 2개 이상 나타나지 않는 수치를 기록한다.)
5) 내후성은 도막의 내구(내후)성능 평가 지표로 부착이 우수할수록 좋으며 MS-653-01 SPEC에 준하여 KCC-7-28-3403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KCC-7-28-3403 방법:
<WOM 기기조건>
광량: 0.35 ±0.01W/㎡ at 340nm의 광량
시편 온도: 63℃ ± 1℃, 습도 -50% ± 5%
Spray: 102min Light 후 18min Light & Spray
<측정방법>
ㄱ) 6cm Ⅹ 15cm시험 Sample(시편 혹은 소지 등(等))을 Holder에 끼워 Rack에 장착한다.
ㄴ) Equalizing Cycle 버튼을 눌러 장비를 5분가량 Worming up 한다.
ㄷ) Operate 버튼을 누른 후 Lamp Ignition 버튼을 눌러 장비를 가동시킨다.
ㄹ) 3,600시간에 준하여 TEST를 실시한다.
주1) 내후성은 M-1.0 > M-1.5 > M-2.0 > M-2.5 > M-3.0의 순서로 부착성이 좋다는 의미이다.)
6) 내치핑성은 도막의 돌에 의한 치핑 침해를 방어하는 품질을 나타내는 방법으로 MS653-01 SPEC에 준하여 내한 치핑 평가를 진행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5 6 7 8
영상 선명도 59CF 59CF 59CF 55CF 54CF 55CF 57CF 50CF 55CF 59CF 45CF
내스크래치 72% 70% 70% 61% 63% 63% 63% 60% 60% 60% 55%
광택 95% 92% 93% 84% 83% 85% 85% 82% 82% 82% 77%
경도 H HB HB HB B HB HB HB HB 2B 4B
내후성 M-1.0 M-1.0 M-1.0 M-2.0 M-1.5 M-1.5 M-2.0 M-3.0 M-1.5 M-1.5 M-3.0
내치핑성 2.5급 2.5급 2.5급 2.5급 3급 3급 2.5급 3급 3급 3급 3급
상기 표 3에서 확인한 결과,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클리어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도장의 경우, 비교예 1 내지 8에서 제조된 클리어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도장과 비교하여, 경도와 내치핑성은 동등한 수준이면서도, 영상 선명도, 내스크래치성, 광택, 내후성 및 내치핑성에 있어서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클리어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도장의 경우,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클리어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도장에 비하여, 영상 선명도, 내스크래치성 및 광택 측면에서 특히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클리어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도장의 경우, 비교예 6과 같이 변성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거나, 비교예 7과 같이 변성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25 중량% 초과로 포함하는 클리어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도장에 비하여, 영상 선명도, 내스크래치성, 광택, 내후성에 있어서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3과 같이 변성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보조수지로서 포함하는 클리어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도장의 경우, 비교예 8과 같이 변성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주수지로서 단독으로 사용한 클리어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도장에 비하여, 영상 선명도, 내스크래치성, 광택, 내후성에 있어서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성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포함하는 1액형 클리어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도료는 우수한 영상 선명도, 내스크래치성, 광택 및 내후성을 가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9)

1종 이상의 아크릴 폴리올 수지,
카르복실기와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와 글리시딜 에스테르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변성 아크릴 폴리올 수지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1액형의 클리어 도료 조성물로서,
상기 변성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클리어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내지 2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고, 상기 변성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점도가 70 cP 내지 110 cP인, 클리어 도료 조성물.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글리시딜 에스테르는 하기 화학식 1의 화학 구조를 갖는 클리어 도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8008539176-pat00005

(여기서, 상기 R은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이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성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유리전이온도(Tg)가 0℃ 이하이고, 수산기가가 100 ㎎KOH/g 내지 150 ㎎KOH/g이고, 산가가 10 ㎎KOH/g 내지 15 mgKOH/g인 클리어 도료 조성물.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1종 이상의 아크릴 폴리올 수지가 30 중량% 내지 7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고,
상기 경화제가 20 중량% 내지 5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클리어 도료 조성물.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10℃ 내지 50℃인 클리어 도료 조성물.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 및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포함하는 클리어 도료 조성물.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상기 클리어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 중량% 내지 69.9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고,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상기 클리어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3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클리어 도료 조성물.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수지 고형분이 55 중량% 내지 70 중량%이고, 점도가 950 cP 내지 2,400 cP이고, 산가가 5 mgKOH/g 내지 15 mgKOH/g이며, 수산기가가 120 mgKOH/g 내지 170 mgKOH/g이고, 유리전이온도가 10℃ 내지 20℃이고, 중량평균분자량 10,000 g/mol 내지 30,000 g/mol인 클리어 도료 조성물.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수지 고형분이 40 중량% 내지 60 중량%이고, 점도가 20 cP 내지 55 cP이며, 유리전이온도가 10℃ 내지 50℃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 g/mol 내지 15,000 g/mol인 클리어 도료 조성물.
KR1020180008964A 2018-01-24 2018-01-24 클리어 도료 조성물 KR102080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964A KR102080936B1 (ko) 2018-01-24 2018-01-24 클리어 도료 조성물
CN201880087383.7A CN111630120B (zh) 2018-01-24 2018-12-17 透明油漆组合物
PCT/KR2018/016058 WO2019146911A1 (ko) 2018-01-24 2018-12-17 클리어 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964A KR102080936B1 (ko) 2018-01-24 2018-01-24 클리어 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280A KR20190090280A (ko) 2019-08-01
KR102080936B1 true KR102080936B1 (ko) 2020-02-25

Family

ID=67395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964A KR102080936B1 (ko) 2018-01-24 2018-01-24 클리어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80936B1 (ko)
CN (1) CN111630120B (ko)
WO (1) WO20191469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545B1 (ko) * 2019-10-02 2021-12-20 주식회사 케이씨씨 클리어 도료 조성물
KR102389713B1 (ko) * 2022-02-17 2022-04-22 율천공업(주) 농기계의 상도 도장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48502A1 (en) * 2011-10-19 2014-09-04 Momentive Specialty Chemicals Inc. Acrylic polyol resins compositions
KR101724918B1 (ko) 2015-10-05 2017-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핫스탬핑 필름용 클리어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방법
KR101725784B1 (ko) 2010-04-27 2017-04-13 주식회사 케이씨씨 자동차 보수용 하이솔리드 2액형 도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6149A (ja) * 1996-04-30 1997-11-18 Kanegafuchi Chem Ind Co Ltd 上塗り塗料用硬化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塗装物
JP4836542B2 (ja) 2004-10-29 2011-12-14 関西ペイント株式会社 塗料組成物
KR20130013452A (ko) * 2011-07-28 2013-02-06 주식회사 케이씨씨 자동차 보수용 투명 도료 조성물
US20140287252A1 (en) * 2011-10-19 2014-09-25 Momentive Specialty Chemicals Inc. Polyester polyol resins compositions
KR101435968B1 (ko) * 2012-12-20 2014-08-29 (주)노루페인트 내스크레치성 투명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막의 복원방법
KR101757287B1 (ko) * 2015-06-26 2017-07-12 주식회사 케이씨씨 비철금속용 베이스 도료 조성물
CN105237688A (zh) * 2015-10-30 2016-01-13 江门市珍图新材料有限公司 一种水稀释型聚酯改性丙烯酸多元醇树脂
KR102060079B1 (ko) * 2016-04-21 2019-12-30 (주)엘지하우시스 이중경화형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데코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130210A (ko) * 2016-05-18 2017-11-28 주식회사 케이씨씨 투명 도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784B1 (ko) 2010-04-27 2017-04-13 주식회사 케이씨씨 자동차 보수용 하이솔리드 2액형 도료 조성물
US20140248502A1 (en) * 2011-10-19 2014-09-04 Momentive Specialty Chemicals Inc. Acrylic polyol resins compositions
KR101724918B1 (ko) 2015-10-05 2017-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핫스탬핑 필름용 클리어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280A (ko) 2019-08-01
WO2019146911A1 (ko) 2019-08-01
CN111630120A (zh) 2020-09-04
CN111630120B (zh)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1837A (en) Chip resistant coatings and methods of application
US5066733A (en) Chip resistant coatings and methods of application
US9574089B2 (en) Fluorine-containing nonaqueous coating material composition, coating methods, and the use of the coating material composition
JP5680067B2 (ja) コーティング剤およびこれから形成される、高い耐引掻性および高い耐膨れ性を有するコーティング
US5182174A (en) Flexible etch-resistant finishes with siloxane cross-linking
US10604675B2 (en) Quick-drying, energy-elastic, scratch-resistant and stable coating compounds
JP2009511253A (ja) 車体へのプライマ焼付無しでの多層コーティングの形成方法
JP2006070277A (ja) 硬化可能なフィルム形成組成物
JP2011207953A (ja) 塗料組成物および塗膜
US20100272886A1 (en) Process for producing a multilayer coating
US6379807B1 (en) Coating composition having improved acid etch resistance
KR102080936B1 (ko) 클리어 도료 조성물
KR100486798B1 (ko) 내스크래치성코팅조성물
JPH08503507A (ja) シランポリマーで変性した酸−エポキシ−メラミン系塗料組成物
JP6454018B2 (ja) 高弾性ポリエステル変性ウレタン樹脂及びこれを含むクリアコート組成物
JP6230473B2 (ja) 塗料組成物及び複層塗膜形成方法
US11952505B1 (en) One component self-crosslinking coatings
JP2019065099A (ja) ウレタン塗料組成物及び成形体
CN110773402B (zh) 多层涂层及其形成方法
KR102567352B1 (ko) 투명 도료 조성물
WO2019181798A1 (ja) 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塗料組成物
CN108473817B (zh) 耐刮擦性优异的单组分型涂料组合物
CN112912416A (zh) 具有改善的外观的非水性可交联的组合物
JPWO2019107570A1 (ja) 塗料組成物及び複層塗膜の形成方法
US20060258808A1 (en) Single component, waterborne coating compositions, related multi-component composite coating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