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327B1 - 현장 동영상 기반의 건물 소방안전관리 통제 방법 - Google Patents

현장 동영상 기반의 건물 소방안전관리 통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327B1
KR102080327B1 KR1020180078854A KR20180078854A KR102080327B1 KR 102080327 B1 KR102080327 B1 KR 102080327B1 KR 1020180078854 A KR1020180078854 A KR 1020180078854A KR 20180078854 A KR20180078854 A KR 20180078854A KR 102080327 B1 KR102080327 B1 KR 102080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inspection
video
safety management
firef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5300A (ko
Inventor
김영대
Original Assignee
김영대
대성산업 주식회사
유한회사 영컨설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대, 대성산업 주식회사, 유한회사 영컨설팅 filed Critical 김영대
Priority to KR1020180078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327B1/ko
Publication of KR20200005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 동영상 기반의 건물 소방안전관리 통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비상구, 대피로, 방화복, 방화셔터, 방염창, 소방호스, 소화전, 소방차 진입로 등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소방법의 각종 규제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점검하여 승인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동영상으로 제작하고, 소방법에 금지된 변경, 장애시설 추가, 기존시설 훼손, 기능의 감소, 전기적 점검이 초기 승인 상태로부터 변경사항 없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지에 대한 점검 과정을 동영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소방안전관리를 진행하는 점검자의 불성실한 점검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효율적인 소방안전관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고발생시 사고원인 규명과 책임소재 파악이 용이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용접 등 화재와 안전사고의 가능성이 있는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작업 시작 승인을 위한 안전 점검 동영상을 사전에 업로딩하도록 하고 현장과 사무실 등 원격지에 있는 책임자의 승인을 받도록 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책임소재를 명확하게 밝힐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현장 동영상 기반의 건물 소방안전관리 통제 방법{Control method for fire and safety management based on mobile video at the real work site}
본 발명은 현장 동영상 기반의 건물 소방안전관리 통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비상구, 대피로, 방화복, 방화셔터, 방염창, 소방호스, 소화전, 소방차 진입로 등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소방법의 각종 규제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점검하여 승인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동영상으로 제작하고, 소방법에 금지된 변경, 장애시설 추가, 기존시설 훼손, 기능의 감소, 전기적 점검이 초기 승인 상태로부터 변경사항 없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지에 대한 점검 과정을 동영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소방안전관리를 진행하는 점검자의 불성실한 점검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효율적인 소방안전관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고발생시 사고원인 규명과 책임소재 파악이 용이한 현장 동영상 기반의 건물 소방안전관리 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을 관리함에 있어서, 화재예방 및 화재시 대처를 위한 소방안전관리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대형 건물의 경우는 소방서에서 직접 소방안전관리를 진행하고 있으며, 소형 건물의 경우는 자가점검을 통해 민간 전문회사 또는 소방 당국으로 보고하는 형식으로 소방안전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소방안전관리는 소방법에 금지된 변경, 장애시설 추가, 기존시설 훼손, 기능의 감소, 전기적 점검이 초기 승인 상태로부터 변경사항 없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지에 대한 점검 과정이 재해예방을 위해 가장 중요하며, 특히, 비상구와 비상탈출로 및 방화셔터가 내려오는 곳, 소방전과 급수조 또는 소방접근로 등이 변형되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점검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현재 소방안전관리는 모든 점검사항이 서류상으로 진행됨에 따라 소방안전관리를 위한 점검을 진행해야하는 점검자들이 실제로 점검은 하지도 않고 이상이 없는 것으로 점검서류에 기재하는 등 형식적인 소방안전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비상시에 언제나 접근이 가능하고 탈출에 장애를 받지 않도록 주변이 정리되어야 하는 장소임에도 불구하고, 장애물이 위치하거나 불법적으로 다른 용도로 변경되어 사용되는 등 효율적인 소방안전점검이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사고와 밀양 세종병원 화재사고 같이 화재에 따른 대형 참사를 유발하게 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소방안전관리를 위한 점검이 진행되는 작업 현장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모바일을 이용한 현장 관리 방법이 공개특허 제10-2017-0014523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건설 현장별로 건설 현장에 부합되는 공사지침에 대한 매뉴얼이 현장관리서버에 등록되는 매뉴얼등록단계; 건설 현장의 작업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공사진행상황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동영상촬영단계; 및 상기 동영상촬영단계에서 촬영되는 공사진행상황이 상기 매뉴얼등록단계에서 등록된 매뉴얼에 따라 진행되는지의 여부를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동영상촬영단계에서 촬영된 공사진행상황 동영상을 상기 매뉴얼등록단계에서 등록된 매뉴얼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공사상황 디스플레이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특허문헌 1은 현장별로 각각의 매뉴얼을 등록하고, 등록된 매뉴얼을 교육(Training), 학습하도록 하며, 현장 작업자에 의해 등록되는 현장정보 데이터를 확인하여 해당 매뉴얼에 따라 현장대응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감시함으로써, 현장별로 이루어지는 작업진행에 대해 투명한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나, 건설 현장에 국한되어 부실공사를 방지하기 위한 것에 불과함에 따라, 소방안전관리를 위한 분야에 적용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소방안전관리를 위한 점검이 현장에서 매뉴얼대로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소방안전관리에 대한 내역을 공유하여 사고 발생시 대형참사로 이어지지 않도록 신속한 대처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사고원인 규명과 책임소재 파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452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상구, 대피로, 방화복, 방화셔터, 방염창, 소방호스, 소화전, 소방차 진입로 등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소방법의 각종 규제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점검하여 승인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동영상으로 제작하고, 소방법에 금지된 변경, 장애시설 추가, 기존시설 훼손, 기능의 감소, 전기적 점검이 초기 승인 상태로부터 변경사항 없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지에 대한 점검 과정을 동영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소방안전관리를 진행하는 점검자의 불성실한 점검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효율적인 소방안전관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고발생시 사고원인 규명과 책임소재 파악이 용이한 현장 동영상 기반의 건물 소방안전관리 통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용접 등 화재와 안전사고의 가능성이 있는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작업 시작 승인을 위한 안전 점검 동영상을 사전에 업로딩하도록 하고 현장과 사무실 등 원격지에 있는 책임자의 승인을 받도록 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책임소재를 명확하게 밝힐 수 있는 현장 동영상 기반의 건물 소방안전관리 통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 동영상 기반의 건물 소방안전관리 통제 방법은, 비상구, 대피로, 방화셔터, 방염창, 소방호스, 소화전, 소방차 진입로와 같은 소방구조물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소방법의 각종 규제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점검하여 승인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승인자 단말기를 통해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승인과정 촬영단계; 상기 승인과정 촬영단계를 통해 승인된 소방구조물에 대한 점검을 진행함에 있어서, 점검자의 점검 지침사항이 기재된 점검매뉴얼이 소방안전관리서버에 등록되는 점검매뉴얼 등록단계; 소방안전 점검을 진행하는 점검자 단말기를 통해 소방안전 점검상황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되, 소방법에 금지된 변경, 장애시설 추가, 기존시설 훼손, 기능의 감소, 전기적 점검이 초기 승인 상태로부터 변경사항 없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지에 대한 점검 과정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점검과정 촬영단계; 및 상기 점검과정 촬영단계에서 촬영되는 소방안전 점검이 상기 매뉴얼 등록단계에서 등록된 점검매뉴얼에 따라 진행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점검과정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소방안전 점검상황 동영상을 상기 매뉴얼 등록단계에서 등록된 매뉴얼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점검상황 디스플레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방안전관리서버는 상기 승인과정 촬영단계를 통해 촬영된 동영상으로부터 상기 소방구조물이 포함된 이미지를 추출하여 제1캡쳐이미지로 저장하며, 상기 점검자 단말기는 상기 점검과정 촬영단계를 통해 촬영된 동영상으로부터 상기 소방구조물이 포함된 이미지를 추출한 제2캡쳐이미지를 상기 소방안전관리서버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소방안전관리서버에서는 기저장된 상기 제1캡쳐이미지와 상기 점검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2캡쳐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소방구조물에 대한 변경사항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점검자 단말기로 해당 소방구조물에 대하여 최초 승인 상태로 복원시킬 것을 명령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방안전관리서버는 건물화재 발생시, 화재 현장에 투입되는 소방관이 건물 내부 소방구조물의 현황 및 진입로를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가장 최근에 진행된 소방안전 점검상황에 대한 동영상을 소방관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방안전관리서버는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화재와 안전사고 관련 위험성이 있는 작업요청 접수시, 화재예방 및 진압을 위한 교육을 시행하는 과정이 촬영된 교육동영상정보와, 해당 작업을 위한 중요 체크 사항에 대한 점검을 진행하는 과정이 촬영된 점검동영상정보 및 비상시에 탈출을 위한 피난대피 교육 과정이 촬영된 대피동영상정보를 작업자 단말기로 요청하며, 각각의 동영상 정보가 업로드되는 경우에만 화재와 안전사고 관련 위험성이 있는 작업 진행을 승인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방안전관리서버는 대피로에 설치된 CCTV 영상 분석을 통해 대피로의 통행을 방해하는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되, 기설정된 시간동안 움직임이 없는 물체를 감지하는 경우, 이를 장애물로 간주하여 해당 장애물의 이동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점검자 단말기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장애물의 이동이 완료되기 이전까지는 비상상황 발생시 상기 장애물에 의한 통행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대피로 또는 진입로를 재설정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비상구, 대피로, 방화복, 방화셔터, 방염창, 소방호스, 소화전, 소방차 진입로 등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소방법의 각종 규제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점검하여 승인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동영상으로 제작하고, 소방법에 금지된 변경, 장애시설 추가, 기존시설 훼손, 기능의 감소, 전기적 점검이 초기 승인 상태로부터 변경사항 없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지에 대한 점검 과정을 동영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소방안전관리를 진행하는 점검자의 불성실한 점검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효율적인 소방안전관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고발생시 사고원인 규명과 책임소재 파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 동영상 기반의 건물 소방안전관리 통제를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 동영상 기반의 건물 소방안전관리 통제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 동영상 기반의 건물 소방안전관리 통제 방법의 소방구조물의 변경사항을 검출하여 복원시키는 과정을 보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 동영상 기반의 건물 소방안전관리 통제 방법의 화재와 안전사고 관련 위험성이 있는 작업 진행에 대한 승인 과정 및 화재발생에 따른 대처과정을 보인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 동영상 기반의 건물 소방안전관리 통제 방법의 CCTV영상 분석을 통한 대피로에 위치하는 장애물 제거 과정 및 화재발생에 따른 대처과정을 보인 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 동영상 기반의 건물 소방안전관리 통제를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 동영상 기반의 건물 소방안전관리 통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 동영상 기반의 건물 소방안전관리 통제 방법의 소방구조물의 변경사항을 검출하여 복원시키는 과정을 보인 설명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 동영상 기반의 건물 소방안전관리 통제 방법의 화재와 안전사고 관련 위험성이 있는 작업 진행에 대한 승인 과정 및 화재발생에 따른 대처과정을 보인 설명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 동영상 기반의 건물 소방안전관리 통제 방법의 CCTV영상 분석을 통한 대피로에 위치하는 장애물 제거 과정 및 화재발생에 따른 대처과정을 보인 설명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 동영상 기반의 건물 소방안전관리 통제를 위한 시스템은 승인자 단말기(100), 점검자 단말기(200), 관리자 단말기(300), 작업자 단말기(400), 소방안전관리서버(500)를 포함한다.
상기 승인자 단말기(100)는 비상구, 대피로, 방화셔터, 방염창, 소방호스, 소화전, 소방차 진입로와 같은 소방구조물이 소방법의 각종 규제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점검하여 승인을 진행하는 승인자가 휴대하는 단말기로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승인자가 소유한 모바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승인자 단말기(100)는 상기 소방구조물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소방법의 각종 규제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점검하여 승인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소방안전관리서버(5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이로 인하여, 최초 소방구조물의 승인을 진행함에 있어서, 승인자의 불법적인 승인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점검자 단말기(200)는 소방안전 점검을 진행하는 점검자가 휴대하는 단말기로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점검자가 소유한 모바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점검자 단말기(200)는 정상적으로 승인 완료된 소방구조물의 점검 과정을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소방안전관리서버(5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소방법에 금지된 변경, 장애시설 추가, 기존시설 훼손, 기능의 감소, 전기적 점검이 초기 승인 상태로부터 변경사항 없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지에 대한 점검 과정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로 인하여, 정상적으로 승인된 소방구조물의 점검을 진행함에 있어서, 점검자의 불성실한 점검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는 소방구조물의 점검상황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휴대하는 단말기로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관리자가 소유한 모바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관리자가 동영상 편집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PC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는 점검자 단말기(200)로부터 촬영되는 동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원격지에서 점검자 단말기(100)로 점검사항에 대한 별도의 지시를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점검완료된 동영상 정보를 재생하여 해당 점검이 매뉴얼대로 진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는 소방구조물의 점검 과정에서 촬영된 동영상 정보를 확인하여 매뉴얼대로 점검이 진행되지 않은 경우, 해당 소방구조물에 대한 점검을 진행한 점검자 단말기(200)로 시정명령을 통지하여 매뉴얼에 입각한 점검이 다시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작업자 단말기(400)는 화재와 안전사고 관련 위험성이 있는 작업을 진행하는 작업자가 휴대하는 단말기로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작업자가 소유한 모바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단말기(400)는 화재와 안전사고 관련 위험성이 있는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을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소방안전관리서버(5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해당 작업의 승인을 위하여, 화재예방 및 진압을 위한 교육을 시행하는 과정이 촬영된 교육동영상정보와, 해당 작업을 위한 중요 체크 사항에 대한 점검을 진행하는 과정이 촬영된 점검동영상정보 및 비상시에 탈출을 위한 피난대피 교육 과정이 촬영된 대피동영상정보를 소방안전관리서버(5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로 인하여, 안전 점검이 이상없이 수행되었음을 모두 확인한 상태에서만 화재와 안전사고 관련 위험성이 있는 작업의 승인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소방안전관리서버(500)는 소방안전관리를 진행해야 하는 다수의 건물 정보와, 건물에 시공된 소방구조물에 대한 최초 승인 절차를 진행하는 승인자 정보와, 소방구조물을 점검하는 점검자 정보와, 건물 내의 화재와 안전사고 관련 위험성이 있는 작업을 진행하는 작업자 정보와, 건물의 소방안전을 관리하는 관리자 정보가 저장되며, 승인자, 점검자, 작업자 및 관리자가 소방안전관리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방안전관리서버(500)에는 승인자 단말기(100)를 통해 소방구조물에 대한 승인 과정을 촬영한 동영상과, 점검자 단말기(200)를 통해 소방구조물의 점검 과정을 촬영한 동영상과, 작업자 단말기(400)를 통해 화재와 안전사고 관련 위험성이 있는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을 촬영한 동영상 및 소방법의 각종 규제에 부합되는 소방안전관리에 대한 점검매뉴얼 정보가 저장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소방안전관리서버(500)는 소방안전관리에 대한 점검매뉴얼 및 소방구조물의 점검 과정이 촬영된 동영상 정보를 통해 점검자가 매뉴얼대로 소방구조물에 대한 점검을 진행했는지에 대해 관리자가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소방안전관리서버(500)는 저장된 동영상 정보의 확인을 통해 최초 승인단계의 소방구조물의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또는 정기점검때 특정 소방구조물에 대한 정보가 업로드되지 않은 경우, 시간이 지난 상태에서 소방구조물에 대한 정보가 애매모호하게 업로드되는 경우, 소방구조물의 문제가 있음을 제보하는 경우, 그 해당 소방구조물을 특별 관리 대상으로 지정하여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 동영상 기반의 건물 소방안전관리 통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비상구, 대피로, 방화셔터, 방염창, 소방호스, 소화전, 소방차 진입로와 같은 소방구조물의 시공이 완료되면, 각 소방구조물이 소방법의 각종 규제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점검하여 승인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승인자가 소방구조물이 소방법의 규제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점검하여 승인하는 과정을 승인자 단말기(100)를 통해 동영상으로 촬영(S100)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이로 인하여, 소방구조물이 소방법에 부합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불법적인 뒷거래를 통해 승인해줌에 따라 화재시 대형참사를 유발하는 원인을 차단할 수 있게 되며, 소방구조물의 최초 승인과정을 투명하게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승인과정 촬영단계(S100)를 통해 승인된 소방구조물에 대한 정기점검 또는 수시점검 등을 진행함에 있어서, 점검자의 점검 지침사항이 기재된 점검매뉴얼이 소방안전관리서버(500)에 등록(S200)된다.
상기와 같이, 점검매뉴얼이 소방안전관리서버(500)에 등록되면, 소방안전 점검을 진행하는 점검자 단말기(200)를 통해 점검매뉴얼에 입각한 소방안전 점검상황을 동영상으로 촬영(S300)하게 되는데, 이때, 소방법에 금지된 변경, 장애시설 추가, 기존시설 훼손, 기능의 감소, 전기적 점검이 초기 승인 상태로부터 변경사항 없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지에 대한 점검 과정을 동영상으로 촬영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소방구조물에 대한 안전관리는 대형참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철저하게 점검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특히, 비상구와 비상탈출로 그리고 방화셔터 내려오는 곳, 소방전과 급수조 또한 소방접근로 등은 변형이 허용되지 않으며 다른 용도로 사용이 금지되고 있다.(본 발명에서는 비상구와 비상탈출로 그리고 방화셔터 내려오는 곳 등을 '대피로'로 통칭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대피로는 장애물이 존재하거나 용도변경이 있는 경우,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사고와 밀양 세종병원 화재사고와 같이 대형 인재 사고를 초래하기 때문에 비상시에는 언제나 접근이 가능하고 탈출에 장애를 받지 않도록 주변이 정리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은 소방구조물의 변경사항을 검출하여 최초 승인 상태로 복원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소방구조물의 변경사항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소방안전관리서버(500)에서 상기 승인과정 촬영단계(S100)를 통해 촬영된 동영상으로부터 소방구조물이 포함된 이미지를 추출하여 제1캡쳐이미지로 저장(S510)하며, 상기 점검자 단말기(200)에서는 점검과정 촬영단계(S300)를 통해 촬영된 동영상으로부터 소방구조물이 포함된 이미지를 추출한 제2캡쳐이미지를 소방안전관리서버(500)로 제공(S520)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소방안전관리서버(500)에서 기저장된 제1캡쳐이미지와 상기 점검자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되는 제2캡쳐이미지를 비교(S530)하여 소방구조물에 대한 변경사항이 검출(S540)되는 경우, 즉, 점검 과정에서 확인된 제2캡쳐이미지에 포함된 소방구조물이 최초 소방법에 의해 승인된 상기 제1캡쳐이미지에 포함된 소방구조물과 서로 상이한 경우, 상기 점검자 단말기(200)로 해당 소방구조물에 대하여 최초 승인 상태로 복원시킬 것을 명령하는 메시지를 전송(S550)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점검과정 촬영단계(S300)에서 촬영되는 소방안전 점검이 상기 점검매뉴얼 등록단계(S200)에서 등록된 점검매뉴얼에 따라 진행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점검과정 촬영단계(S300)에서 촬영된 소방안전 점검상황 동영상을 점검매뉴얼 등록단계(S200)에서 등록된 매뉴얼과 함께 디스플레이(S400)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300)를 통해 소방안전 점검이 매뉴얼대로 이루어졌는지에 대하여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화재와 안전사고 관련 위험성이 있는 작업 진행에 대한 승인 과정 및 화재발생에 따른 대처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작업자 단말기(400)로부터 화재와 안전사고 관련 위험성이 있는 작업요청이 소방안전관리서버(500)로 접수(S610)되면, 소방안전관리서버(500)에서는 해당 작업 승인을 위해 필요한 동영상정보를 요청(S620)하게 되는데, 이때, 요청되는 동영상정보는 화재예방 및 진압을 위한 교육을 시행하는 과정이 촬영된 교육동영상정보와, 해당 작업을 위한 중요 체크 사항에 대한 점검을 진행하는 과정이 촬영된 점검동영상정보 및 비상시에 탈출을 위한 피난대피 교육 과정이 촬영된 대피동영상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점검동영상정보에 포함되는 중요 체크 사항에 대한 점검 동영상은 작업별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용접 작업을 예를 들면, ① 15m이내 인화성 물질의 격리를 확인하였는지, ② 불꽃비산방지막의 설치를 확인하였는지, ③ 개인 보호구/보호경의 착용여부를 확인하였는지, ④ 소화기 비치여부를 확인하였는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소방안전관리서버(500)에서 상기 작업자 단말기(400)로부터 교육동영상정보와, 점검동영상정보 및 대피동영상정보가 모두 업로드 되는지를 확인하여 모든 동영상 정보가 업로드(S630)되는 경우, 화재와 안전사고 관련 위험성이 있는 작업 진행을 승인(S640)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화재 위험성이 있는 작업을 진행하기에 앞서 화재를 유발할 수 있는 요소를 철저하게 점검한 후,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효율적인 화재예방이 가능하게 된다.
종래에는 안전 검증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현장 감독의 지휘하에 화재 위험성이 있는 작업들이 시행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용접 작업 과정에서 다수의 화재 사고가 발생하는 등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나, 이러한 문제점을 예방하고 검증할 수 있는 수단이 없을 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시 책임소재를 검증할 수 있는 수단이 없었다.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점으로 인하여 최근 세종시 24층 규모 최신 주상복합아파트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화재사고에 대한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위험성이 있는 작업을 진행하기 이전에 동영상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작업자가 매뉴얼대로 충분히 예방조치를 취하고 시작됐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충분한 예방조치가 이루어진 작업에 대하여 관리자가 최종 승인했는지 등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화재예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화재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현장 책임자가 잘못했는지, 현장 작업자가 잘못했는지 또는 외부에서 동영상으로 관리하는 관리자가 관리를 소홀히 했는지 등, 그 현장과 직접 관련된 사람의 책임소재를 명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동시에 많은 사람이 다른 장소에서 동영상을 확인하며 매뉴얼에 따라 확인, 감독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화재 등의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만약 화재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초창기에 바로 발견하여 즉각 소방 작업에 참여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로 인하여, 대형사고로 연결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한 동영상을 이용하여 정기적으로 사후 평가에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이로 인하여, 점검자가 점검을 제대로 하지 않고 점검을 한 것으로 기록하거나, 특정 점검 기록을 누락하는 등의 행위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재 위험성이 있는 작업 진행 과정 또는 기타 상황에서 건물화재가 발생(S650)하게 되면, 소방안전관리서버(500)에서 가장 최근에 진행된 소방안전 점검상황에 대한 동영상을 소방관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이로 인하여, 화재 현장에 투입되는 소방관이 건물 내부 소방구조물의 현황 및 진입로를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기재된 소방관 단말기라 함은 소방관이 소지하고 있는 모바일 또는 소방차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소방안전관리서버(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피로에 설치된 CCTV 영상 분석(S710)을 통해 대피로의 통행을 방해하는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감지(S720)하여 해당 장애물의 이동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점검자 단말기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S730)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이때,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대피로를 촬영하는 CCTV 영상에서 소방구조물을 제외한 물체가 감지되는지를 확인하고, 감지된 물체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움직임이 없는 경우, 이를 대피로의 통행을 방해하는 장애물로 간주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방안전관리서버(500)는 상기 장애물이 대피로에 존재하는 경우, 비상상황 발생시 상기 장애물에 의한 통행이 방해되는 것을 고려하여, 기저장되어 있는 대피로 또는 진입로를 재설정하여 변경(S740)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만약,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최종 저장된 대피로 또는 진입로를 바닥면에 표시함으로써, 대피자들의 대피 또는 소방관들의 진입을 효율적으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소방안전관리서버(500)는 화재발생시 소방관이 화재장소로 출동하는 과정에서 진입로에 대한 정보를 미리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진입로 정보를 소방관 단말기로 함께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비상구, 대피로, 방화셔터, 방염창, 소방호스, 소화전, 소방차 진입로 등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소방법의 각종 규제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점검하여 승인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동영상으로 제작하고, 소방법에 금지된 변경, 장애시설 추가, 기존시설 훼손, 기능의 감소, 전기적 점검이 초기 승인 상태로부터 변경사항 없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지에 대한 점검 과정을 동영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최초 소방구조물의 승인을 진행함에 있어서, 승인자의 불법적인 승인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며, 점검자의 불성실한 점검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효율적인 소방안전관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고발생시 사고원인 규명과 책임소재 파악이 가능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승인자 단말기 200: 점검자 단말기
300: 관리자 단말기 400: 작업자 단말기
500: 소방안전관리서버

Claims (5)

  1. 비상구, 대피로, 방화셔터, 방염창, 소방호스, 소화전, 소방차 진입로와 같은 소방구조물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소방법의 각종 규제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점검하여 승인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승인자 단말기를 통해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승인과정 촬영단계;
    상기 승인과정 촬영단계를 통해 승인된 소방구조물에 대한 점검을 진행함에 있어서, 점검자의 점검 지침사항이 기재된 점검매뉴얼이 소방안전관리서버에 등록되는 점검매뉴얼 등록단계;
    소방안전 점검을 진행하는 점검자 단말기를 통해 소방안전 점검상황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되, 소방법에 금지된 변경, 장애시설 추가, 기존시설 훼손, 기능의 감소, 전기적 점검이 초기 승인 상태로부터 변경사항 없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지에 대한 점검 과정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점검과정 촬영단계; 및
    상기 점검과정 촬영단계에서 촬영되는 소방안전 점검이 상기 점검매뉴얼 등록단계에서 등록된 점검매뉴얼에 따라 진행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점검과정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소방안전 점검상황 동영상을 상기 점검매뉴얼 등록단계에서 등록된 매뉴얼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점검상황 디스플레이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소방안전관리서버는 상기 승인과정 촬영단계를 통해 촬영된 동영상으로부터 상기 소방구조물이 포함된 이미지를 추출하여 제1캡쳐이미지로 저장하며, 상기 점검자 단말기는 상기 점검과정 촬영단계를 통해 촬영된 동영상으로부터 상기 소방구조물이 포함된 이미지를 추출한 제2캡쳐이미지를 상기 소방안전관리서버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소방안전관리서버에서는 기저장된 상기 제1캡쳐이미지와 상기 점검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2캡쳐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소방구조물에 대한 변경사항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점검자 단말기로 해당 소방구조물에 대하여 최초 승인 상태로 복원시킬 것을 명령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소방안전관리서버는 건물화재 발생시, 화재 현장에 투입되는 소방관이 건물 내부 소방구조물의 현황 및 진입로를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가장 최근에 진행된 소방안전 점검상황에 대한 동영상을 소방관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소방안전관리서버는 대피로에 설치된 CCTV 영상 분석을 통해 대피로의 통행을 방해하는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되, 기설정된 시간동안 움직임이 없는 물체를 감지하는 경우, 이를 장애물로 간주하여 해당 장애물의 이동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점검자 단말기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장애물의 이동이 완료되기 이전까지는 비상상황 발생시 상기 장애물에 의한 통행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대피로 또는 진입로를 재설정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동영상 기반의 건물 소방안전관리 통제 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방안전관리서버는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화재와 안전사고 관련 위험성이 있는 작업요청 접수시, 화재예방 및 진압을 위한 교육을 시행하는 과정이 촬영된 교육동영상정보와, 해당 작업을 위한 중요 체크 사항에 대한 점검을 진행하는 과정이 촬영된 점검동영상정보 및 비상시에 탈출을 위한 피난대피 교육 과정이 촬영된 대피동영상정보를 작업자 단말기로 요청하며, 각각의 동영상 정보가 업로드되는 경우에만 화재와 안전사고 관련 위험성이 있는 작업 진행을 승인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동영상 기반의 건물 소방안전관리 통제 방법.
  5. 삭제
KR1020180078854A 2018-07-06 2018-07-06 현장 동영상 기반의 건물 소방안전관리 통제 방법 KR102080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854A KR102080327B1 (ko) 2018-07-06 2018-07-06 현장 동영상 기반의 건물 소방안전관리 통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854A KR102080327B1 (ko) 2018-07-06 2018-07-06 현장 동영상 기반의 건물 소방안전관리 통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300A KR20200005300A (ko) 2020-01-15
KR102080327B1 true KR102080327B1 (ko) 2020-04-23

Family

ID=69156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854A KR102080327B1 (ko) 2018-07-06 2018-07-06 현장 동영상 기반의 건물 소방안전관리 통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3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9881A (ko) * 2020-09-02 2022-03-10 대성산업 주식회사 공정안전관리 대상 사업장에 대한 안전관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19813A (zh) * 2020-08-31 2020-12-01 山东工商学院 一种适用于高层火灾警情的智能疏散系统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63445A (ja) * 2016-03-11 2017-09-1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点検支援システム、点検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188B1 (ko) * 2012-04-20 2014-09-1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자관리시스템 및 하자관리방법
KR101409964B1 (ko) * 2012-05-29 2014-06-20 에이알비전 (주)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14523A (ko) 2015-07-30 2017-02-08 대성산업 주식회사 모바일을 이용한 현장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63445A (ja) * 2016-03-11 2017-09-1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点検支援システム、点検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9881A (ko) * 2020-09-02 2022-03-10 대성산업 주식회사 공정안전관리 대상 사업장에 대한 안전관리 방법
KR102538621B1 (ko) * 2020-09-02 2023-05-31 대성산업 주식회사 공정안전관리 대상 사업장에 대한 안전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300A (ko)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1342B1 (ko) 소방 안전 점검 방법 및 시스템
WO2017073101A1 (ja) デジタルスマートセフティ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21134B2 (ja) 位置特定システム、その装置及び方法
KR102080327B1 (ko) 현장 동영상 기반의 건물 소방안전관리 통제 방법
BRPI0923661A2 (pt) asperor com válvula integrada e sistema de extinção de incêncio utilizando o mesmo
JP6067197B1 (ja) デジタルスマートセフティ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910605A (zh) 一种物联网用安防控制方法
Nadzim et al. Appraisal of fire safety management systems at educational buildings
JP2011233150A (ja) 災難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220071880A (ko) 지하공동구 맞춤형 디지털트윈 재난 관리 시스템
KR20090003938A (ko) 센서 네트워크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피난 장치 및 그 방법
KR102042585B1 (ko) 소방 방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538621B1 (ko) 공정안전관리 대상 사업장에 대한 안전관리 방법
CN112203052A (zh) 一种安防监控平台
CN117046019A (zh) 一种消控室智能语音交互的数字值班机器人系统和方法
CN114187675B (zh) 消防巡检方法及设备、介质和产品
KR20210073102A (ko) 2차원의 건물 평면도를 활용한 건물 재난 상황 발생 시 대응 시스템
Scawthorn Fire following earthquake–analysis and mitigation in North America
TW202011361A (zh) 消防資訊整合系統
TWI785635B (zh) 火警監控系統
KR102563094B1 (ko)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
CN116739870B (zh) 一种应急体系管理系统及方法
KR102326193B1 (ko) 영상 융합형 비상문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Tubbs et al. Evacuation Design Strategies and Considerations for Tall Buildings: Suggested Best Practices.
JP2003077075A (ja) 災害対策システムおよび災害対策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