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905B1 - 전주 제작용 철근롱의 헤딩장치 - Google Patents

전주 제작용 철근롱의 헤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905B1
KR102079905B1 KR1020190132705A KR20190132705A KR102079905B1 KR 102079905 B1 KR102079905 B1 KR 102079905B1 KR 1020190132705 A KR1020190132705 A KR 1020190132705A KR 20190132705 A KR20190132705 A KR 20190132705A KR 102079905 B1 KR102079905 B1 KR 102079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ead
reinforcing bar
hydraulic pressure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혁철
Original Assignee
김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혁철 filed Critical 김혁철
Priority to KR1020190132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9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9/00Forging presses
    • B21J9/0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 B21J9/06Swaging presses; Upsett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2Dies or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8Accessories for handling work or tools
    • B21J13/10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08Upset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 상의 작업 블록 일측에 설치된 제1 유닛이 철근을 클램핑하고 제2 유닛은 이렇게 클램핑된 철근의 단부에 헤드를 형성시키며 제3 유닛은 작용방향의 반대 방향인 복귀방향으로의 작동압력을 유압 대신 공압으로 제1 유닛 및 제2 유닛에 공급토록 하는 구조로부터, 불필요한 동력 소모를 줄여 장치 전체의 간략화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 전주 제작용 철근롱의 헤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주 제작용 철근롱의 헤딩장치{HEADING APPARATUS OF IRON ROD FRAME FOR ELECTRIC POLE MANUFACTURING}
본 발명은 전주 제작용 철근롱의 헤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주 제작용 철근롱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철근의 단부에 헤딩을 형성하기 위하여 활용되는 전주 제작용 철근롱의 헤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신주는 완만한 구배를 지니는 원기둥 형태로서 7 ∼17m까지 다양한 길이로 제작되는데 지면에 매설되는 단부를 원구라 하고 그 반대측 단부를 말구라 한다.
이러한 전신주는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기본 소재로 하지만 상하 길이방향으로 배설되는 인장재와 이 인장재에 용접으로 부착되는 철선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즉 철근롱(iron rod frame)을 몰딩하여 전주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신주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몰드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충진한 후 몰드를 회전시켜 원심력을 이용하여 중심이 비어있는 전신주를 제작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인장재에 인장력을 가하는 장치는 유압으로 당기는 장치가 사용되는데 인장력을 가하는 장치는 인장재에 인장력을 가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철근롱을 구성하는 철근의 단부에 헤드를 형성해야 한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80564호를 포함한 많은 전주 제조장치들이 공지되어 있지만, 지금까지는 이러한 철근 단부에 헤드를 형성하는 것을 수작업에 의존하거나 용접에 의하여 실시하는 실정이었던 것이다.
이렇게 수작업에 의존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며, 용접에 의하여 헤드를 형성할 경우 유압으로 당길 경우 용접 부위가 인장력을 버티지 못하고 철근으로부터 분리되어 대형 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들이 있었던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8056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불필요한 동력 소모를 줄여 장치 전체의 간략화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주 제작용 철근롱의 헤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전주 제작용의 철근롱(iron rod frame)을 구성하는 철근의 단부를 수용 가능한 작업 공간을 내부에 구비한 작업 블록; 상기 작업 블록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철근의 단부를 양쪽에서 제1 방향으로 클램핑하는 작동 유압을 공급하는 클램프 실린더를 포함하는 제1 유닛; 상기 작업 블록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1 유닛에 의하여 클램핑된 상기 철근의 단부에 헤드(head)를 형성시키는 작동 유압을 공급하는 업셋 실린더를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철근의 단부를 클램핑하는 상기 제1 유닛을 언클램핑시키거나, 상기 철근의 단부에 상기 헤드를 형성시킨 상기 제2 유닛을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작동 공압을 공급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제작용 철근롱의 헤딩장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작업 블록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철근의 단부 외주면을 양쪽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클램핑하는 한 쌍의 조오(jaw)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 실린더는 상기 한 쌍의 조오와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조오에 상기 철근을 클램핑하는 작동 유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작업 블록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클램핑된 상기 철근의 단부에 헤드를 형성하는 펀치 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업셋 실린더는 상기 펀치 해머와 연결되어 상기 펀치 해머가 상기 철근의 단부측으로 이동하는 작동 유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프레임;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전주 제작용의 철근롱(iron rod frame)을 구성하는 철근의 단부를 수용 가능한 작업 공간을 내부에 구비한 작업 블록; 작업 블록의 일측에 설치되며, 철근의 단부를 양쪽에서 제1 방향으로 클램핑하는 작동 유압을 공급하는 클램프 실린더를 포함하는 제1 유닛; 작업 블록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1 유닛에 의하여 클램핑된 철근의 단부에 헤드(head)를 형성시키는 작동 유압을 공급하는 업셋 실린더를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제1 유닛 및 제2 유닛과 연결되며, 철근의 단부를 클램핑하는 제1 유닛을 언클램핑시키거나, 철근의 단부에 헤드를 형성시킨 제2 유닛을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작동 공압을 공급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작용방향으로 큰 힘이 필요할 때는 유압을 사용하고 큰 힘이 필요없는 복귀방향으로의 이동시에는 공압을 이용함으로써 불필요한 유공압 컨버터를 일부 없애 장치 전체의 간략화 및 경량화 구현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닛은, 작업 블록의 일측에 설치되며, 철근의 단부 외주면을 양쪽에서 제1 방향으로 클램핑하는 한 쌍의 조오(jaw)를 더 포함하며, 클램프 실린더는 한 쌍의 조오와 연결되어 한 쌍의 조오에 철근을 클램핑하는 작동 유압을 공급하게 되므로, 장치 전체의 간략화 및 경량화 구현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은, 작업 블록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클램핑된 철근의 단부에 헤드를 형성하는 펀치 해머를 더 포함하며, 업셋 실린더는 펀치 해머와 연결되어 펀치 해머가 철근의 단부측으로 이동하는 작동 유압을 공급하게 되므로, 장치 전체의 간략화 및 경량화 구현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불필요한 유공압 컨버터를 일부 없앰으로써 동력 및 에너지의 낭비를 최소화하면서도 일련의 공정이 자동적이며 신속하게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생산 효율의 대폭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제작용 철근롱의 헤딩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2는 도 1의 ii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제작용 철근롱의 헤딩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 개념도
도 3은 도 1의 iii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제작용 철근롱의 헤딩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제작용 철근롱의 헤딩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ii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제작용 철근롱의 헤딩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 개념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iii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제작용 철근롱의 헤딩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면에서 화살표 I-I 방향은 제1 방향을, 화살표 II-II 방향은 제2 방향을, 화살표 III-III 방향은 제3 방향을 각각 나타낸다.
아울러, 도 1에서 우측 하단에서 헤드(710)가 형성된 철근(700)은 도면 이해의 편의상 확대하고 그 길이를 생략하여 도시한 것임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500) 상의 작업 블록(600) 일측에 설치된 제1 유닛(100)이 철근(700)을 클램핑하고 제2 유닛(200)은 이렇게 클램핑된 철근(700)의 단부에 헤드(710)를 형성시키며 제3 유닛(300)은 작용방향의 반대 방향인 복귀방향으로의 작동압력을 유압 대신 공압으로 제1 유닛(100) 및 제2 유닛(200)에 공급토록 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작용방향"은 제1 유닛(100)의 경우 제1 방향을 따라 후술할 한 쌍의 조오(110, 110, jaw)가 상호 접근하여 철근(700)을 클램핑하는 방향을, 제2 유닛(200)의 경우 제2 방향을 따라 후술할 펀치 해머(210)가 한 쌍의 조오(110, 110)측으로 이동하면서 철근(700)의 단부에 압력을 가하여 헤드(710)를 형성시키는 방향을 각각 나타낸다.
이때, 전술한 "복귀방향"은 제1 유닛(100)의 경우 제1 방향을 따라 후술할 한 쌍의 조오(110, 110)가 상호 이격하여 철근(700)을 언클램핑하는 방향을, 제2 유닛(200)의 경우 제2 방향을 따라 후술할 펀치 해머(210)가 한 쌍의 조오(110, 110) 및 헤드(710)로부터 멀어지게 원위치로 복귀하는 방향을 각각 나타낸다.
우선, 프레임(500)은 후술할 작업 블록(600)과 제1 내지 제3 유닛(100, 200, 300)이 설치되는 공간과 면적을 제공하며 받침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그리고, 작업 블록(600)은 프레임(500) 상에 설치되어 전주 제작용의 철근롱(iron rod frame, 이하 미도시)을 구성하는 철근(700)의 단부를 수용 가능한 작업 공간을 내부에 구비한 것으로, 상면이 개방되어 작업 상태의 파악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것이다.
그리고, 제1 유닛(100)은 작업 블록(6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철근(700)의 단부를 양쪽에서 제1 방향으로 클램핑하는 작동 유압을 공급하는 클램프 실린더(120)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제2 유닛(200)은 작업 블록(6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1 유닛(100)에 의하여 클램핑된 철근(700)의 단부에 헤드(710, head)를 형성시키는 작동 유압을 공급하는 업셋 실린더(220)를 포함하는 것이다.
아울러, 제3 유닛(300)은 제1 유닛(100) 및 제2 유닛(200)과 연결되며, 철근(700)의 단부를 클램핑하는 제1 유닛(100)을 언클램핑시키거나, 철근(700)의 단부에 헤드(710)를 형성시킨 제2 유닛(200)을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작동 공압을 공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제1 유닛(100)은, 작업 블록(6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철근(700)의 단부 외주면을 양쪽에서 제1 방향으로 클램핑하는 한 쌍의 조오(110, 1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클램프 실린더(120)는 한 쌍의 조오(110, 110)와 연결되어 한 쌍의 조오(110, 110)에 철근(700)을 클램핑하는 작동 유압을 공급하게 될 것이다.
한편, 제2 유닛(200)은, 작업 블록(6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클램핑된 철근(700)의 단부에 헤드(710)를 형성하는 펀치 해머(21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업셋 실린더(220)는 펀치 해머(210)와 연결되어 펀치 해머(210)가 철근(700)의 단부측으로 이동하는 작동 유압을 공급하게 될 것이다.
한편, 프레임(500)의 일측에는 트랜스포머(800, transformer)가 설치되어 한 쌍의 조오(110, 110) 및 펀치 해머(210)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한 쌍의 조오(110, 110) 및 펀치 해머(210)에 저항열(joule heat)을 발생시키게 될 것이다.
따라서, 한 쌍의 조오(110, 110)에 의하여 클램핑된 철근(700)이 전술한 저항열에 의하여 가열된 상태에서, 펀치 해머(210) 또한 가열되면서 철근(700)의 단부를 가압하게 되면 헤드(710)가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제3 유닛(300)은, 제1 유닛(100)과 연결되어 클램프 실린더(120)의 클램핑시 작동 유압에 대하여, 철근(700)의 단부를 언클램핑시키는 작동 공압을 클램프 실린더(120)에 공급하는 제1 컨버터(31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3 유닛(300)은, 제2 유닛(200)과 연결되어 업셋 실린더(220)가 제2 방향을 따라 제1 유닛(100)측으로 이동시키는 작동 유압에 대하여, 철근(700)의 단부에 헤드(710)가 형성되었을 때 헤드(710) 및 제1 유닛(100)으로부터 멀어지게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작동 공압을 업셋 실린더(220)에 공급하는 제2 컨버터(320)를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작용방향으로 큰 힘이 필요한 경우, 예를들어 한 쌍의 조오(110, 110)가 철근(700)을 클램핑한 상태에서는 펀치 해머(210)가 철근(700)의 단부를 가압할 때, 철근(700)이 뒤로 후퇴하거나 밀리는 일이 발생해서는 안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클램프 실린더(120)는 유압을 이용하지만 헤드(710)가 형성되어 철근(700)을 작업 블록(600)으로부터 분리 취출시키기 전에 철근(700)을 언클램핑할 때는 큰 힘이 필요없으므로, 클램프 실린더(120)는 제1 컨버터(310)를 통하여 공압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작용방향으로 큰 힘이 필요한 경우, 예를들어 펀치 해머(210)가 철근(700)의 단부를 밀어붙여 헤드(710)를 형성시키고자 철근(700)의 단부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철근(700)의 단부에 헤드(710)가 형성될만큼 강한 압력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업셋 실린더(220)는 유압을 이용하지만 헤드(710)가 형성되어 새로운 별도의 철근(700)에 헤드(710)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2 방향으로 후퇴, 즉 한 쌍의 조오(110, 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원위치 복귀할 때에는 큰 힘이 필요없으므로, 업셋 실린더(220)는 제2 컨버터(320)를 통하여 공압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작업 블록(6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1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며 철근(700)을 제1 유닛(100)측으로 안내함과 동시에 제1 유닛(100)에 의하여 클램핑된 철근(700)의 단부가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승강 왕복하면서 제2 유닛(200)에 의하여 헤드(710)가 형성된 철근(700)을 취출시키는 취출보조부(4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취출보조부(400)는 크게, 가이드클램핑 수단(410)과 승강취출 수단(420)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가이드클램핑 수단(410)은 작업 블록(600)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철근(700)이 작업 블록(600) 내부로 이동할 때 상호 이격되고, 제1 유닛(100)이 철근(700)을 클램핑하면 상호 접촉하여 작업 블록(600)의 외측면으로 노출된 철근(700)의 외주면을 클램핑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또한, 승강취출 수단(420)은 가이드클램핑 수단(410)과 연결되고, 제2 유닛(200)에 의하여 헤드(710)가 형성된 철근(700)이 작업 블록(600)의 외측면으로부터 취출되도록 철근(700)의 단부를 들어올려 경사지게 슬라이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여기서, 가이드클램핑 수단(410)은, 작업 블록(600)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철근(700)이 작업 블록(600) 내부로 이동할 때 상호 이격하여 철근(700)의 이동을 안내하고, 제1 유닛(100)에 의하여 철근(700)이 클램핑되면 철근(700)의 외주면 양측을 함께 클램핑하는 한 쌍의 보조 클램프(411, 41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클램핑 수단(410)은, 한 쌍의 보조 클램프(411, 411) 각각의 외측면에 연결되어 유체압에 의하여 신축 가능한 보조 로드(412, 41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클램핑 수단(410)은, 보조 로드(412, 412)를 출입 가능하게 수용하며, 한 쌍의 보조 클램프(411, 411)를 제1 방향으로 상호 접촉 또는 이격시키는 작동 압력을 공급하는 제1 보조 실린더(413, 413)를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승강취출 수단(420)의 상단부 양측은 제1 보조 실린더(413, 413)와 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승강취출 수단(420)은, 좌우 양측에 배치된 제1 보조 실린더(413, 413)를 받침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브라켓(421, 421)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취출 수단(420)은, 한 쌍의 지지 브라켓(421, 421) 하부측이 연결되며, 중앙 상면에 작업 블록(600)의 외측면에 대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노치홈(423)이 형성된 승강 블록(422)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취출 수단(420)은, 승강 블록(422)의 하면에 연결되어 승강 블록(422)을 제3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로드(424)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취출 수단(420)은, 승강 로드(424)를 출입 가능하게 수용하며 승강 블록(422)을 제3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작동 압력을 공급하는 제2 보조 실린더(4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승강취출 수단(420)은, 작업 블록(600)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제2 보조 실린더(425)를 고정 지지하고, 승강 블록(422)의 하면과 마주보는 상면을 가지는 받침 블록(426)을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승강취출 수단(420)은, 승강 블록(422)의 하면 양측에 고정되는 상단부를 가지며, 받침 블록(426)을 관통하여 승강 블록(422)과 연동하여 승강 로드(424)에 의하여 승강하는 가이드 로드(427)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주 제작용 철근롱의 헤딩장치가 단일로 설치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주 제작용 철근롱의 헤딩장치는 철근(700)의 양단부에 헤드(710)를 각각 형성할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철근(700)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주 제작용 철근롱의 헤딩장치의 작동 과정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철근(700)이 제2 방향을 따라 작업 블록(600)측으로 이송되어오면, 제1 보조 실린더(413, 413)는 보조 로드(412, 412)를 제1 방향을 따라 수축시켜 한 쌍의 보조 클램프(411, 411)가 상호 이격되게 한 다음, 곧이어 클램프 실린더(120)는 한 쌍의 조오(110, 110) 또한 제1 방향을 따라 이격시킴으로써, 철근(700) 단부의 작업 블록(600) 내 진입을 허용한다.
이후, 철근(700)의 단부가 펀치 해머(210)까지 도달하게 되면, 한 쌍의 조오(110, 110)는 클램프 실린더(120)의 작동 유압에 의하여 철근(700)의 외주면 양측을 클램핑함과 동시에, 한 쌍의 보조 클램프(411, 411) 또한 제1 보조 실린더(413, 413)에 의하여 철근(700)의 외주면 양측을 클램핑한다.
계속하여, 트랜스포머(800)가 한 쌍의 조오(110, 110) 및 펀치 해머(210)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저항열이 발생하게 되고, 곧이어 펀치 해머(210)는 제2 방향을 따라 철근(700)의 단부를 가압하여 헤드(710)를 형성시킨다.
다음으로, 펀치 해머(210)가 제2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조오(110, 110) 및 헤드(710)로부터 멀어지게 후퇴하여 원위치로 복귀한 후, 한 쌍의 조오(110, 110)는 클램프 실린더(120)의 작동 공압에 의하여 철근(700)을 언클램핑하고, 한 쌍의 보조 클램프(411, 411) 또한 제1 보조 실린더(413, 413)에 의하여 철근(700)을 언클램핑한다.
이후, 제2 보조 실린더(425)는 승강 로드(424)를 제3 방향을 따라 신장시켜 승강 블록(422)을 제3 방향을 따라 상승시키면, 헤드(710)가 형성된 철근(700)의 단부측은 노치홈(423)에 안착되어 승강 블록(422)에 의하여 들어올려지고, 곧이어 철근(700)의 단부측은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노치홈(423)을 따라 미끄러져 내리면서 작업 블록(600)의 외부로 취출되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주 제작용 철근롱의 헤딩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프레임(500); 프레임(500) 상에 설치되어 전주 제작용의 철근롱을 구성하는 철근(700)의 단부를 수용 가능한 작업 공간을 내부에 구비한 작업 블록(600); 작업 블록(6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철근(700)의 단부를 양쪽에서 제1 방향으로 클램핑하는 작동 유압을 공급하는 클램프 실린더(120)를 포함하는 제1 유닛(100); 작업 블록(6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1 유닛(100)에 의하여 클램핑된 철근(700)의 단부에 헤드(710)를 형성시키는 작동 유압을 공급하는 업셋 실린더(220)를 포함하는 제2 유닛(200); 및 제1 유닛(100) 및 제2 유닛(200)과 연결되며, 철근(700)의 단부를 클램핑하는 제1 유닛(100)을 언클램핑시키거나, 철근(700)의 단부에 헤드(710)를 형성시킨 제2 유닛(200)을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작동 공압을 공급하는 제3 유닛(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작용방향으로 큰 힘이 필요할 때는 유압을 사용하고 큰 힘이 필요없는 복귀방향으로의 이동시에는 공압을 이용함으로써 불필요한 유공압 컨버터를 일부 없애 장치 전체의 간략화 및 경량화 구현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닛(100)은, 작업 블록(6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철근(700)의 단부 외주면을 양쪽에서 제1 방향으로 클램핑하는 한 쌍의 조오(110, 110)를 더 포함하며, 클램프 실린더(120)는 한 쌍의 조오(110, 110)와 연결되어 한 쌍의 조오(110, 110)에 철근(700)을 클램핑하는 작동 유압을 공급하게 되므로, 장치 전체의 간략화 및 경량화 구현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200)은, 작업 블록(6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클램핑된 철근(700)의 단부에 헤드(710)를 형성하는 펀치 해머(210)를 더 포함하며, 업셋 실린더(220)는 펀치 해머(210)와 연결되어 펀치 해머(210)가 철근(700)의 단부측으로 이동하는 작동 유압을 공급하게 되므로, 장치 전체의 간략화 및 경량화 구현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불필요한 유공압 컨버터를 일부 없앰으로써 동력 및 에너지의 낭비를 최소화하면서도 일련의 공정이 자동적이며 신속하게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생산 효율의 대폭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불필요한 동력 소모를 줄여 장치 전체의 간략화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주 제작용 철근롱의 헤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유닛
110, 110...조오
120...클램프 실린더
200...제2 유닛
210...펀치 해머
220...업셋 실린더
300...제3 유닛
310...제1 컨버터
320...제2 컨버터
400...취출보조부
410...가이드클램핑 수단
411, 411...보조 클램프
412, 412...보조 로드
413, 413...제1 보조 실린더
420...승강취출 수단
421, 421...지지 브라켓
422...승강 블록
423...노치홈
424...승강 로드
425...제2 보조 실린더
426...받침 블록
427...가이드 로드
500...프레임
600...작업 블록
700...철근
710...헤드
800...트랜스포머

Claims (3)

  1.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전주 제작용의 철근롱(iron rod frame)을 구성하는 철근의 단부를 수용 가능한 작업 공간을 내부에 구비한 작업 블록;
    상기 작업 블록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철근의 단부를 양쪽에서 제1 방향으로 클램핑하는 작동 유압을 공급하는 클램프 실린더를 포함하는 제1 유닛;
    상기 작업 블록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1 유닛에 의하여 클램핑된 상기 철근의 단부에 헤드(head)를 형성시키는 작동 유압을 공급하는 업셋 실린더를 포함하는 제2 유닛;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철근의 단부를 클램핑하는 상기 제1 유닛을 언클램핑시키거나, 상기 철근의 단부에 상기 헤드를 형성시킨 상기 제2 유닛을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작동 공압을 공급하는 제3 유닛; 및
    상기 작업 블록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며 상기 철근을 상기 제1 유닛측으로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유닛에 의하여 클램핑된 상기 철근의 단부가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승강 왕복하면서 상기 제2 유닛에 의하여 상기 헤드가 형성된 상기 철근을 취출시키는 취출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제작용 철근롱의 헤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작업 블록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철근의 단부 외주면을 양쪽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클램핑하는 한 쌍의 조오(jaw)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 실린더는 상기 한 쌍의 조오와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조오에 상기 철근을 클램핑하는 작동 유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제작용 철근롱의 헤딩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작업 블록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클램핑된 상기 철근의 단부에 헤드를 형성하는 펀치 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업셋 실린더는 상기 펀치 해머와 연결되어 상기 펀치 해머가 상기 철근의 단부측으로 이동하는 작동 유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제작용 철근롱의 헤딩장치.
KR1020190132705A 2019-10-24 2019-10-24 전주 제작용 철근롱의 헤딩장치 KR102079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705A KR102079905B1 (ko) 2019-10-24 2019-10-24 전주 제작용 철근롱의 헤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705A KR102079905B1 (ko) 2019-10-24 2019-10-24 전주 제작용 철근롱의 헤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905B1 true KR102079905B1 (ko) 2020-02-20

Family

ID=69647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705A KR102079905B1 (ko) 2019-10-24 2019-10-24 전주 제작용 철근롱의 헤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9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38120A (zh) * 2020-10-29 2021-02-09 江苏张驰轮毂制造有限公司 一种铝合金轮毂锻造生产用夹取固定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0103A (ja) * 1994-09-12 1996-04-09 Aioi Seiki Kk クランプロッドツイスト型クランプ装置
JPH08229630A (ja) * 1995-02-27 1996-09-10 Matsumoto Jukogyo Kk 軸部材の据込み成形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280564Y1 (ko) 2002-03-21 2002-07-04 김승수 전주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0103A (ja) * 1994-09-12 1996-04-09 Aioi Seiki Kk クランプロッドツイスト型クランプ装置
JPH08229630A (ja) * 1995-02-27 1996-09-10 Matsumoto Jukogyo Kk 軸部材の据込み成形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280564Y1 (ko) 2002-03-21 2002-07-04 김승수 전주의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38120A (zh) * 2020-10-29 2021-02-09 江苏张驰轮毂制造有限公司 一种铝合金轮毂锻造生产用夹取固定机构
CN112338120B (zh) * 2020-10-29 2021-10-08 江苏张驰轮毂制造有限公司 一种铝合金轮毂锻造生产用夹取固定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9905B1 (ko) 전주 제작용 철근롱의 헤딩장치
CN106994492A (zh) 一种新型三联动式全自动钢针折弯机
GB21201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elding
CN202052807U (zh) 锚杆调直机
JP2000288676A (ja) 棒材端部の熱間据込み加工機及び加工装置
ITBO950231A1 (it) Apparecchiatura calibratrice multifunzionale
US362656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tructural semijoist
CN206316616U (zh) 一种焊接工装
CN210421093U (zh) 一种建筑工程施工用拔桩机
CN212123694U (zh) 一种管桩生产用自动化开合模装置
CN211518578U (zh) 一种大型金属成型机液压系统
CN210648030U (zh) 一种空心管插芯夹持冲孔装置
CN216226660U (zh) 一种用于电杆加工中的钢筋墩头机
CN212050159U (zh) 一种g型液压钳
JP2002038478A (ja) 鋼製部材の溶接・圧入装置及び溶接・圧入工法
CN207709595U (zh) 一种折弯装置
CN202684416U (zh) 一种副车架焊接工装
CN213591457U (zh) 一种钣金件加工用折弯机
CN211218449U (zh) 一种新式镦头缸
CN211045259U (zh) 硅钢片液压装夹装置
US2428890A (en) Metal stretching press which straightens and moves work edges into drawing chucks
CN110560556A (zh) 一种空心管插芯夹持冲孔装置
CN117381223B (zh) 一种变压器生产用焊接装置
US2294675A (en) Metal stretching press
CN211588349U (zh) 一种预制叠合板用的拉伸切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