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365B1 -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 - Google Patents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365B1
KR102079365B1 KR1020160148250A KR20160148250A KR102079365B1 KR 102079365 B1 KR102079365 B1 KR 102079365B1 KR 1020160148250 A KR1020160148250 A KR 1020160148250A KR 20160148250 A KR20160148250 A KR 20160148250A KR 102079365 B1 KR102079365 B1 KR 102079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wing
pair
seat modul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1214A (ko
Inventor
홍건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강에이에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강에이에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강에이에스씨
Priority to KR1020160148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365B1/ko
Priority to EP17868703.4A priority patent/EP3539622A4/en
Priority to US16/348,301 priority patent/US20210289940A1/en
Priority to JP2019545220A priority patent/JP2020500668A/ja
Priority to PCT/KR2017/012288 priority patent/WO2018088752A1/ko
Priority to CN201721477350.2U priority patent/CN208524225U/zh
Publication of KR20180051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 A47C3/026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with central column, e.g. rocking office chairs; Tilting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 A47C3/025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pivotally mounted in the base frame, e.g. sw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22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 A47C7/626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directly under the seat
    • A47C7/628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directly under the seat accessible by displacement of sea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5Reciprocating movement along, in or on a guid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9Rotational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8User-manipulated weights using user's bod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02Space saving incorporated in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27Abdomen moving torso or lower limbs laterally, i.e. substantially in the frontal pla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에 지지되는 다리 모듈; 상기 다리 모듈의 상측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시트 모듈; 및 상기 다리 모듈과 상기 시트 모듈을 연결하고, 상기 시트 모듈에 앉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시트 모듈이 상기 다리 모듈에 대해 스윙 운동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스윙 모듈을 포함하는,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CHAIR HAVING SWING FUNCTION FOR BUSINESS OR LEARNING}
본 발명은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직장인이나 학생 등은 하루 중 점심시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의자에 앉은 채 시간을 보낸다. 이러다 보니, 보통 수십 분에서 수 시간을 허리가 고정된 자세로 보내게 된다.
이런자세로 오래 앉아 있으면, 어깨, 허리, 골반 주변의 근육이 뻣뻣해진다. 특히 자세 습관이 올바르지 못한 편이라면 위 증상은 거세게 나타날 수 있다. 그로 인해, 만성적인 골반 통증, 허리통증, 어깨 결림 등{'의자병(sittting disease)'이라고도 함}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한 자리에 오래 앉아 있지 않고, 자주 일어서서 스트레칭을 하는 등으로 몸을 풀어주는 것이 원칙론적인 해결책이다.
그러나, 직장인이 업무를 보거나 학생이 수업을 듣는 현실에 있어서, 이들이 자주 일어나서 스트레칭 등으로 몸을 풀어주기는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그래서, 현실적으로 이들이 앉은 자세에서 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대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직장인이나 학생, 그리고 앉아서 운동이 필요한 모든 이가 의자에 앉은 채로 상체의 윗부분은 바로 선 자세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상체의 허리 부분을 기준으로 아랫 부분을 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는, 바닥에 지지되는 다리 모듈; 상기 다리 모듈의 상측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시트 모듈; 및 상기 다리 모듈과 상기 시트 모듈을 연결하고, 상기 시트 모듈에 앉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시트 모듈이 상기 다리 모듈에 대해 스윙 운동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스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윙 모듈은, 상기 시트 모듈이 상기 다리 모듈과 정렬된 정렬 라인의 일측 및 상기 정렬 라인의 타측 간에 왕복하는 스윙 운동을 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윙 모듈은, 상기 시트 모듈이 상기 사용자의 양측방으로 상기 다리 모듈을 기준으로 대칭적인 스윙 운동을 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윙 모듈은, 상기 시트 모듈이 상기 다리 모듈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바닥으로부터 상승되는 형태의 스윙 운동을 하게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윙 모듈은, 상기 다리 모듈에 결합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시트 모듈에 결합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연결단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연결단을 구비하는 링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연결단은 상기 상부 연결단보다 상기 시트 모듈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시트 모듈과 결합되는 상부 베이스부와, 상기 상부 베이스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연결단은, 상기 날개부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날개부는,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서브 날개로 구성되고, 상기 링크 유닛은, 상기 상부 베이스부와 상기 한 쌍의 서브 날개가 한정하는 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링크 유닛은, 상기 날개부에 대면한 채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서브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서브 링크는, 상기 한 쌍의 서브 날개 중 하나에 대면한 채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링크 유닛은, 상기 한 쌍의 서브 날개 중 다른 하나에 대면한 채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른 한 쌍의 서브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다리 모듈과 결합되는 하부 베이스부; 및 상기 하부 베이스부에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서브 링크 중 하나와 상기 다른 한 쌍의 제2 서브 링크 중 하나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피봇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의자용 스윙 모듈은, 의자의 다리 모듈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의자의 시트 모듈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연결단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연결단을 구비하는 링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연결단은 상기 다리 모듈로부터 상기 상부 연결단보다 멀리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에 의하면, 직장인이나 학생, 그리고 앉아서 운동이 필요한 모든 이가 의자에 앉은 채로 상체의 윗부분은 바로 선 자세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상체의 허리 부분을 기준으로 아랫 부분을 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1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100)를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200)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2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스윙 모듈(250)을 다른 각도에서 보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스윙 모듈(25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200)를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1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100)는, 크게 다리 모듈(110), 시트 모듈(130), 및 스윙 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리 모듈(110)은 바닥(바닥면)에 대해 지지되는 구성이다. 다리 모듈(110)은, 본 실시예에서는, 지주대(111), 확장대(113), 및 높이조절기(115)를 갖는 것이다.
지주대(111)는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일 수 있다. 확장대(113)는 지주대(111)에서 방사상으로 퍼지도록 복수 개의 로드로 구성될 수 있다. 확장대(113) 대신에 플레이트 형태의 확장판이 구비될 수도 있다. 확장대(113)의 하단에는 바퀴(114)가 결합될 수 있다. 높이조절기(115)는 필요에 따라 지주대(111)에 설치되어, 지주대(11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시트 모듈(130)은 다리 모듈(110)의 상측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시트 모듈(130)은 힙시트(131), 백시트(133), 및 팔걸이(135)를 포함할 수 있다.
힙시트(131)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힙시트(131)는 바닥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백시트(133)는 힙시트(131)의 후단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게 구성된다. 팔걸이(135)는 힙시트(131)에서 사용자의 양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백시트(133) 및 팔걸이(135)가 없는 의자(10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윙 모듈(150)은 다리 모듈(110)과 시트 모듈(130) 사이에 배치되어 그들을 연결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스윙 모듈(150)은 시트 모듈(130), 구체적으로 힙시트(131)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의 좌우 움직임에 따라 시트 모듈(130)이 다리 모듈(110)에 대해 스윙 운동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스윙 모듈(150)은, 링크 유닛(151)과, 탄성복원체(155)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 유닛(151)은 다리 모듈(110)에서 시트 모듈(130)을 향한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링크 유닛(151)은, 시트 모듈(1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연결단(152)과, 다리 모듈(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연결단(153)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링크 유닛(151)은, 본 실시예에서는 4개로 구비된다. 이렇게 4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4개의 링크 유닛(151)은, 스윙 운동 중에 힙시트(131)가 기울어지지 않고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4개의 링크 유닛(151)은 지주대(111)의 정렬 라인(L){다리 모듈(110)의 중심 라인}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시트 모듈(130)이 정렬 라인(L)의 일측에서 타측 간에 왕복하는 스윙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스윙 운동은 정렬 라인(L)을 기준으로 대칭적인 것이 될 수 있다.
탄성복원체(155)는 다리 모듈(110)에 대해 시트 모듈(13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탄성복원체(155)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으로서, 링크 유닛(15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의해, 탄성복원체(155)는 힙시트(131)가 지주대(111)를 따르는 정렬 라인(L)의 일측으로 스윙 이동되었을 때, 힙시트(131)에 다시 정렬 라인(L)의 타측으 향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도 2는 도 1의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100)를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 상태도이다.
본 도면(및 도 1)을 참조하면, 시트 모듈(130)이 사용자의 우측방(RS) 및 좌측방(LS)으로 스윙 운동할 때, 그 스윙 운동의 중심은 하부 연결단(153)이 된다.
그에 의해, 시트 모듈(130)이 사용자의 우측방(RS)이나 좌측방(LS)으로 넘어질 수 있으나, 이는 탄성복원체(155)의 복원력에 의해 막아진다. 나아가, 하부 연결단(153)은 위치가 고정됨에 반하여, 상부 연결단(152)은 스윙 운동의 궤적(ST)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결과로, 사용자는 자신의 양 측방(RS 및 LS)으로 엉덩이를 흔들어서, 시트 모듈(130)과 함께 자신의 엉덩이, 옆구리, 골반, 허벅지, 허리, 위장 기관 등이 운동되게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이러한 운동은 주로 엉덩이와 허리 부분이 좌우로 스윙됨에 따른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가슴, 어깨, 머리 등은 상대적으로 움직임이 거의 없다. 따라서, 엉덩이 등의 주로 움직이는 부분은 책상에 의해 가려지므로, 위 운동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남에게 거의 드러내지 않을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200)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2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200)는, 다리 모듈(210), 시트 모듈(230), 및 스윙 모듈(250)을 포함한다. 여기서, 다리 모듈(210) 및 시트 모듈(230)은 앞선 실시예의 다리 모듈(110) 및 시트 모듈(130)과 각각 대체로 동일하다. 그러나, 스윙 모듈(250)은 앞선 실시예의 스윙 모듈(150)과 상이한 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스윙 모듈(250)은, 상부 플레이트(251)와, 하부 플레이트(255), 및 링크 유닛(258)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251)는 다리 모듈(210)의 중심 라인(L)에 수직 배치된 채로 시트 모듈(230)의 힙시트(231)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251)는 시트 모듈(230), 구체적으로 힙시트(231)에 대해 평행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시트 모듈(230)에 앉은 사용자는 바닥면에 대해 평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하부 플레이트(255)는 다리 모듈(21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링크 유닛(258)은 상부 플레이트(251) 및 하부 플레이트(255)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된다. 구체적으로, 링크 유닛(258)의 일 단은 상부 플레이트(251)에, 타 단은 하부 플레이트(255)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링크 유닛(258)의 하단이 상부 플레이트(251)에 결합되고 링크 유닛(258)의 상단이 하부 플레이트(255)에 결합됨에 의해, 스윙 운동의 중심은 링크 유닛(258)의 상단이 된다. 그 결과, 링크 유닛(258)의 하단은 스윙 운동의 궤적(ST)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링크 유닛(258)은 4개로 구성될 수 있다(도 5 참조). 이러한 4개의 링크 유닛(258)은 정렬 라인(L)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마치 그네와 같이 링크 유닛(258)의 스윙 중심이 스윙 궤적(ST)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시트 모듈(230)에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트 모듈(230)은 자중에 의해 지주대(211)를 따르는 정렬 라인(L)에 정렬된 채로 대기하게 된다. 그 결과,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은 탄성복원체(155)가 필요 없게 된다.
또한, 시트 모듈(230)이 사용자의 우측방(RS) 및 좌측방(LS)으로 스윙할수록, 시트 모듈(230)는 다리 모듈(210)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그에 의해, 사용자가 정렬 라인(L)에 위치한 상태에서 좌우로 엉덩이를 흔드는 초기 단계에서 몸이 가라앉지 않는다. 그에 의해, 사용자는 그 초기 단계에 낙하에 대한 불안감을 갖지 않게 된다.
이제, 스윙 모듈(250)의 구체적 구성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스윙 모듈(250)을 다른 각도에서 보인 조립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스윙 모듈(25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부 플레이트(251)는, 상부 베이스부(252)와, 날개부를 가질 수 있다.
상부 베이스부(252)는 시트 모듈(230)의 힙시트(231, 도 3)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상부 베이스부(252)는 대체로 평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날개부는 상부 베이스부(252)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날개부는 다리 모듈(210)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날개부는 한 쌍의 서브 날개(253a 및 253b)를 가진다. 이러한 제1 및 제2 서브 날개(253a 및 253b)는 상부 베이스부(252)에 대해 대체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255)는 하부 베이스부(256)와 피봇 로드(25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베이스부(256)는 다리 모듈(210, 도 3)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대체로 평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부 베이스부(256)는 상부 베이스부(252)와 상기 날개부에 의해 한정된 공간 내에 배치되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피봇 로드(257)는 하부 베이스부(256)에 고정되는 막대일 수 있다. 피봇 로드(257)는 링크 유닛(258)의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대상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 링크 유닛(258)이 4개 임에 따라, 피봇 로드(257)는 2개로 구비된다. 2개의 피봇 로드(257)는 정렬 라인(L)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링크 유닛(258)은 상부 베이스부(252)와 하부 베이스부(256)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링크이다.
링크 유닛(258)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링크 유닛(258)은, 한 쌍의 제1 서브 링크(259){'한 쌍의 서브 링크'라고도 한다}와, 또 다른 한 쌍의 제2 서브 링크(261){'다른 한 쌍의 서브 링크'라고도 한다}를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제1 서브 링크(259)가 제1 서브 날개(253a)를 대면한 채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라면, 한 쌍의 제2 서브 링크(261)는 제2 서브 날개(253b)를 대면한 채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다. 이때, 예를 들어, 한 쌍의 제1 서브 링크(259) 중 하나(도 5의 우측의 것)는 한 쌍의 제2 서브 링크(261) 중 하나(도 5의 우측의 것)와 하나의 피봇 로드(257, 도 5의 우측의 것)에 의해 연결된다. 그에 의해, 한 쌍의 제1/2 서브 링크(259/261)눈 사용자의 양 측방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스윙 운동 중에도 서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여 스윙 운동의 전 구간에서 시트 모듈 중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힙시트가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하는 것이다.
링크 유닛(258), 예를 들어 제1 서브 링크(259)는 상부 연결단(259a)과 하부 연결단(259b)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연결단(259a)은 도 5의 도면상 제1 서브 링크(259)의 하단이고, 하부 연결단(259b)은 도 5의 도면상 제1 서브 링크(259)의 상단이다. 상부 연결단(259a)은 상부 플레이트(25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 연결단(259b)은 하부 플레이트(256)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서브 링크(259)의 상부 연결단(259a)은 제1 서브 날개(253a)의 하부에 연결된다. 제1 서브 링크(259)의 하부 연결단(259b)은 피봇 로드(257)에 연결된다. 그에 의해, 하부 연결단(259b)은 다리 모듈(210, 도 3)로부터 상부 연결단(259a)보다 멀리(바닥에서 더 높게)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상의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200)를 통해 사용자가 운동하는 모습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3의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200)를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 상태도이다.
본 도면(및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시트 모듈(230)에 앉은 채로 엉덩이를 우측방(RS) 또는 좌측방(LS)으로 흔들 수 있다.
그에 의해, 스윙 모듈(250)의 작용에 의해, 시트 모듈(230)은 우측방(RS) 또는 좌측방(LS)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는, 허리 부분을 기준으로 아랫 부분은 좌우로 스윙되나 윗부분은 바로 선 자세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또한, 기본 대기 상태에서 우측방(RS) 또는 좌측방(LS)으로 스윙함에 따라, 시트 모듈(230)은 바닥으로부터 상승하는 대칭적인 스윙 궤적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나아가, 사용자가 엉덩이를 흔들지 않게 되면, 스윙 모듈(250)은 중력에 의해 대기 상태로 정렬된다.
상기와 같은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200: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 110,210: 다리 모듈
130,230: 시트 모듈 150,250: 스윙 모듈
251: 상부 플레이트 255: 하부 플레이트
258: 링크 유닛

Claims (12)

  1. 바닥면에 지지되는 다리 모듈;
    상기 다리 모듈의 상측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시트 모듈; 및
    상기 다리 모듈과 상기 시트 모듈을 연결하고, 상기 시트 모듈에 앉아 상기 바닥면에 발은 딛은 사용자가 엉덩이를 좌우 움직임에 따라 상기 시트 모듈이 상기 다리 모듈에 대해 스윙 운동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스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윙 모듈은, 상기 시트 모듈이 상기 사용자의 양 측방으로 스윙 운동을 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윙 모듈은, 상기 다리 모듈에 결합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시트 모듈에 결합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연결단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연결단을 구비하는 링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다리 모듈의 중심 라인에 수직 배치되고 상기 시트 모듈에 대해 평행 상태로 결합되는 상부 베이스부를 포함하여, 상기 시트 모듈에 앉은 사용자가 상기 바닥면에 대해 평행 상태를 유지하게 구성되며,
    상기 하부 연결단은, 상기 상부 연결단 보다 상기 시트 모듈에 가까이 위치하고,
    상기 링크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양 측방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스윙 운동 중에도 서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스윙 운동의 전 구간에서 상기 시트 모듈 중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힙시트가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하는 한 쌍의 서브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스윙 모듈은, 상기 시트 모듈이 상기 다리 모듈의 중심 라인의 일측 및 상기 중심 라인의 타측 간에 대칭적인 왕복 스윙 운동하게 구성되며,
    상기 시트 모듈은, 상기 중심 라인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승되는 형태로 대칭적인 왕복 스윙 운동을 하도록 상기 상부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베이스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날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연결단은, 상기 날개부에 연결되는,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서브 날개로 구성되고,
    상기 링크 유닛은, 상기 상부 베이스부와 상기 한 쌍의 서브 날개가 한정하는 공간 내에 위치하는,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서브 링크는,
    상기 날개부에 대면하여 배치되는,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서브 링크는, 상기 한 쌍의 서브 날개 중 하나에 대면한 채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링크 유닛은, 상기 한 쌍의 서브 날개 중 다른 하나에 대면한 채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른 한 쌍의 서브 링크를 더 포함하는,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다리 모듈과 결합되는 하부 베이스부; 및
    상기 하부 베이스부에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서브 링크 중 하나와 상기 다른 한 쌍의 서브 링크 중 하나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피봇 로드를 포함하는,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
  12. 삭제
KR1020160148250A 2016-11-08 2016-11-08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 KR102079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250A KR102079365B1 (ko) 2016-11-08 2016-11-08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
EP17868703.4A EP3539622A4 (en) 2016-11-08 2017-11-02 CHAIR HAVING A TILT MOVEMENT FUNCTION AND TILT MODULE FOR USE THEREIN
US16/348,301 US20210289940A1 (en) 2016-11-08 2017-11-02 Chair Having Swing Motion Function and Swing Module for Use Therein
JP2019545220A JP2020500668A (ja) 2016-11-08 2017-11-02 スイング運動機能を有する椅子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スイングモジュール
PCT/KR2017/012288 WO2018088752A1 (ko) 2016-11-08 2017-11-02 스윙 운동 기능을 갖는 의자 및 그에 사용되는 스윙 모듈
CN201721477350.2U CN208524225U (zh) 2016-11-08 2017-11-08 具备摇摆功能的椅子及使用于该椅子的摇摆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250A KR102079365B1 (ko) 2016-11-08 2016-11-08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214A KR20180051214A (ko) 2018-05-16
KR102079365B1 true KR102079365B1 (ko) 2020-02-19

Family

ID=62109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250A KR102079365B1 (ko) 2016-11-08 2016-11-08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289940A1 (ko)
EP (1) EP3539622A4 (ko)
JP (1) JP2020500668A (ko)
KR (1) KR102079365B1 (ko)
CN (1) CN208524225U (ko)
WO (1) WO20180887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0562A1 (en) * 2019-05-30 2020-12-03 Birger Alon Pelvis training device
CN110179273A (zh) * 2019-06-30 2019-08-30 浙江圣奥家具制造有限公司 一种可摇摆的办公座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19304Y (zh) * 2007-03-26 2008-02-13 杜亚伦 办公椅摇摆结构
KR101623738B1 (ko) * 2016-01-05 2016-05-24 심현 스윙운동 발지압 의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6735Y2 (ja) * 1991-04-05 1997-05-28 デュポン アジアパシフィック リミテッド 背もたれ付椅子
US5427433A (en) * 1993-11-17 1995-06-27 Parma Corporation Rocking, gliding chair and mechanism
DE29602591U1 (de) * 1996-02-14 1996-04-11 Rothhaupt Dirk Dr Med Vorrichtung zum Training der Rückenmuskulatur
DE10342737A1 (de) * 2003-09-16 2005-04-21 Bergen Peter Sitz- oder Liegemöbel
JP4456453B2 (ja) * 2004-10-05 2010-04-28 株式会社岡村製作所 椅子における座の前後摺動装置
CN101365367B (zh) * 2005-11-03 2011-05-04 哥瑞考儿童产品公司 儿童运动设备
WO2007147173A1 (en) * 2006-06-14 2007-12-21 Chyn-Herng Hwu A method and apparatus of lumbar vertebra therapy at sitting posture by transversal swing hips
US20080153673A1 (en) * 2006-12-20 2008-06-26 Kuan-I Lin Horse riding fitness equipment
JP2009240492A (ja) * 2008-03-31 2009-10-22 Takara Belmont Co Ltd 多目的可変手摺りを有する理美容用椅子
CN201404628Y (zh) * 2009-04-09 2010-02-17 厦门康硕健身器材有限公司 一种滑移式健腹器
KR101314969B1 (ko) * 2012-03-26 2013-10-04 박기조 헬스의자
KR101398847B1 (ko) * 2012-06-30 2014-07-01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요추 심부근 단련기능을 갖는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19304Y (zh) * 2007-03-26 2008-02-13 杜亚伦 办公椅摇摆结构
KR101623738B1 (ko) * 2016-01-05 2016-05-24 심현 스윙운동 발지압 의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89940A1 (en) 2021-09-23
EP3539622A1 (en) 2019-09-18
EP3539622A4 (en) 2020-06-24
JP2020500668A (ja) 2020-01-16
WO2018088752A1 (ko) 2018-05-17
KR20180051214A (ko) 2018-05-16
CN208524225U (zh) 2019-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596106B2 (en) Pevic tilt seat
US7278688B1 (en) Elastic support structure for a human body to lean against
US9968196B2 (en) Kinematic mechanisms for furniture
JP6419951B2 (ja) 活性化プラットホーム
KR102079365B1 (ko)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
US9820578B2 (en) Power leisure reclining chair
JP6796667B2 (ja) 改善されたエクササイズ装置
JP7484829B2 (ja) 椅子
WO2019035650A1 (ko) 의자 일체형 책상
KR101231028B1 (ko) 기능성 좌판
US20180344036A1 (en) Core Exercising Stool
US9867472B2 (en) Active dynamic chair
JP2011025015A (ja) 運動器具
JP2023005485A (ja) 足漕ぎ運動システム
KR20140003896A (ko) 요추 심부근 단련기능을 갖는 의자
KR101683871B1 (ko) 전신 운동의자
US20190387886A1 (en) Physical Motion Device
KR101920533B1 (ko) 회전롤러가 구비된 경사운동의자
KR20200102026A (ko) 스트레칭 기능성 무릎의자
US11351414B2 (en) User lift exercise apparatus
JP6303083B1 (ja) 筋力トレーニング可能な揺動座椅子
RU197043U1 (ru) Стул-седл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правильной осанки
BR102016027140A2 (pt) Estrutura pendular dupla suspensa para a prática de exercícios e condicionamento físicos e treinamento
US20230064507A1 (en) Exercise apparatus
KR200230540Y1 (ko)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55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618

Effective date: 2019121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