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351B1 - 운전자 인증을 통해 차량의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운전자 인증을 통해 차량의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351B1
KR102079351B1 KR1020180103381A KR20180103381A KR102079351B1 KR 102079351 B1 KR102079351 B1 KR 102079351B1 KR 1020180103381 A KR1020180103381 A KR 1020180103381A KR 20180103381 A KR20180103381 A KR 20180103381A KR 102079351 B1 KR102079351 B1 KR 102079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vehicle
information
authent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병주
박두완
Original Assignee
니덱모빌리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덱모빌리티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니덱모빌리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3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3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06K9/0089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70Multimodal biometrics, e.g. combining information from different biometric modal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09Driver authorisation; Driver identity ch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72Driver physiolo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9Driver vo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 인증을 통해 차량의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운전자 인증을 통해 차량의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는, 다른 사람이 운전하여 시트, 사이드미러, 룸미러, HUD(Head Up Display), 스티어링 컬럼 등과 같은 운전자 편의 장치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사용자 인증을 통해 간편하게 사용자 별로 셋팅된 운전자 편의 장치의 설정 정보를 기초로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가된다.

Description

운전자 인증을 통해 차량의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DRIVER'S COMFORT OF A VEHICLE THROUGH DRIVER AUTHENTICATION}
본 발명은 운전자 인증을 통해 차량의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체정보 및/또는 사용자 단말 등을 통해 사용자(운전자)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된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로 차량의 운전자 편의 장치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운전자 인증을 통해 차량의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운전자마다 신체 조건이 달라 가정이나 직장에서 여러 운전자가 사용하는 공용 차량을 운전하고자 하는 경우, 시트, 사이드미러, 룸미러, HUD(Head Up Display), 스티어링 컬럼 등과 같은 운전자 편의 장치의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에 탑승할 때마다 이전 운전자가 설정해 놓은 운전자 편의 장치의 설정들을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게 재설정해야 한다.
이러한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재설정하는 방법으로, 종래 기술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도록 버튼을 조작하여 수동으로 운전자 편의 장치의 설정을 조정하고, 설정 정보가 저장된 버튼을 눌러서 운전자 편의 장치의 위치를 조정하였다. 하지만, 차량의 운전자가 바뀌는 경우, 운전자는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도록 장치를 조정하거나, 설정 정보가 저장된 버튼을 눌러야 하는 등 사용자 입장에서는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41647호(2017.05.30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생체정보 및/또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자동차의 운전자)를 인증하고, 인증된 운전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설정된 룸미러, 사이드미러 등의 각도, 운전석 시트의 위치 및 핸들의 기울기 등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운전자 인증을 통해 차량의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운전자 인식을 통해 차량의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는,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인증을 위한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인식하는 생체정보 인식부; 상기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는 사용자 단말 인식부; 상기 운전자와 관련한 신체정보를 음성으로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 상기 차량의 시동 온/오프(on/off) 상태, 변속 기어의 위치 및 차량의 속도와 같은 차량의 상태를 검출하는 차량 상태 검출부; 및 상기 운전자의 생체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운전자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차량의 시트, 룸미러, 사이드미러, 스티어링 컬럼, HUD(Head Up Display), 클러스터와 같은 운전자 편의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운전자의 생체정보는, 지문센서를 통해 인식되는 지문정보, 안구 인식 카메라를 통해 검출되는 홍채 정보 및 뇌파 검출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뇌파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생체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번호 중 어느 하나의 정보가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운전자의 생체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운전자 편의 모듈의 위치를 상기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생체정보와 대응되는 운전자별 운전자 편의 모듈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인증을 위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가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인증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부 및/또는 스피커와 같은 출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신체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음성으로 입력받은 신체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신체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최적의 운전자 편의 모듈 설정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 인식부는, 상기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을 블루투스 통신 또는 NFC 통신 중 어느 하나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 인식부는, 차량 도어의 일측에 마련된 NFC 리더기일 수 있으며, NFC 기능이 활성화된 사용자 단말이 통신 가능한 범위 내로 접근하는 경우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생체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운전자를 인증하되, 인증 횟수를 카운트하여 미리 저장된 운전자별 운전자 편의 모듈의 설정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하고, 상기 차량 상태 검출부에서 차량의 시동 상태가 오프(off) 상태로 검출되는 경우, 상기 인증 횟수가 가장 많은 운전자 편의 모듈의 설정 정보를 기초로하여 운전자 편의 모듈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 횟수가 가장 많은 운전자가 다수인 경우, 가장 최근에 인증된 운전자의 운전자 편의 모듈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 편의 모듈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생체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운전자를 인증하되, 인증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된 인증 횟수에 미리 설정된 구간별로 가중치를 곱하여 점수를 산정한 후, 미리 저장된 운전자별 운전자 편의 모듈의 설정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하고, 상기 차량 상태 검출부에서 차량의 시동 상태가 오프(off) 상태로 검출되는 경우, 상기 산정된 점수가 가장 높은 운전자 편의 모듈의 설정 정보를 기초로하여 운전자 편의 모듈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상태 검출부의 시동이 온(on) 상태이고 변속 기어의 위치가 P(Parking)이거나, 상기 차량 상태 검출부의 시동이 온(on) 상태이고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 이하인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 운전자 편의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문센서는 차량의 엔진 스타트 버튼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운전자 인식을 통해 차량의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에서의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방법은,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인증을 위한 운전자의 생체정보 또는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하는 단계; 운전자와 관련한 신체정보를 음성으로 입력받아 수신하는 단계; 차량의 시동 온/오프(on/off) 상태, 변속 기어의 위치 및 차량의 속도와 같은 차량의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의 생체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운전자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차량의 시트, 룸미러, 사이드미러, 스티어링 컬럼, HUD(Head Up Display), 클러스터와 같은 운전자 편의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운전자의 생체정보는, 지문센서를 통해 인식되는 지문정보, 안구 인식 카메라를 통해 검출되는 홍채 정보 및 뇌파 검출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뇌파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전자 편의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의 생체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번호 중 어느 하나의 정보가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생체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운전자 편의 모듈의 위치를 상기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생체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번호와 대응되는 운전자별 운전자 편의 모듈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전자 편의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의 인증을 위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가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인증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부 및/또는 스피커와 같은 출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신체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음성으로 입력받은 신체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신체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최적의 운전자 편의 모듈 설정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전자 편의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의 생체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운전자를 인증하되, 인증 횟수를 카운트하여 미리 저장된 운전자별 운전자 편의 모듈의 설정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하고, 상기 차량 상태 검출부에서 차량의 시동 상태가 오프(off) 상태로 검출되는 경우, 상기 인증 횟수가 가장 많은 운전자 편의 모듈의 설정 정보를 기초로하여 운전자 편의 모듈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전자 편의 모듈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 횟수가 가장 많은 운전자가 다수인 경우, 가장 최근에 인증된 운전자의 운전자 편의 모듈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 편의 모듈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른 사람이 운전하여 시트, 사이드미러, 룸미러, HUD(Head Up Display), 스티어링 컬럼 등과 같은 운전자 편의 장치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사용자 인증을 통해 간편하게 사용자 별로 셋팅된 운전자 편의 장치의 설정 정보를 기초로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가된다.
또한, 차량의 주행을 종료한 경우에는 사용자 인증 횟수를 참고하여, 사용자 인증 횟수가 가장 많은 사용자와 대응되는 운전자 편의 장치의 설정 정보를 기초로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차량의 이용이 많은 운전자의 편의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들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인식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인식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여부에 따른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인식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인식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100)는 생체정보 인식부(110), 사용자 단말 인식부(120), 음성 입력부(130), 차량 상태 검출부(140), 운전자 편의 모듈(150), 저장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100)를 자동 조정 장치라고 칭하기로 한다.
생체정보 인식부(110)는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인증을 위한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인식하는 것이다. 운전자의 생체정보는 지문정보, 홍채 정보 및/또는 뇌파 정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지문정보는 차량에 구비된 지문센서를 통해 인식될 수 있으며, 홍채 정보는 차량에 구비된 안구 인식 카메라를 통해 인식될 수 있고, 뇌파 정보는 뇌파 검출 센서를 포함하는 뇌파 검출 장치를 통해 인식될 수 있다.
이때, 생체정보 인식부(110)가 지문 센서인 경우, 지문 센서는 차량 내에 운전자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면 어느 위치라도 관계없지만, 운전자의 편의성 및 운전자가 아닌 사람이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 스타트 버튼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엔진 스타트 버튼은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걸기 위해 조작하는 것으로, 스티어링 휠의 아래 방향 일측에 설치되며,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에서 엔진 스타트 버튼을 눌려야만 시동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 스타트 버튼에 지문의 인식을 위한 센서를 구비하게 되면, 시동을 검(on)과 동시에 운전자의 신체정보(지문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지문정보의 인식은 차량의 시동이 걸리는 경우에만 인식되도록 설정하여, 타인(예컨대, 동승자)의 지문정보가 인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시동을 걸기 위해서는 반드시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고, 스타트 엔진 버튼을 누르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해야만 하므로, 동승자의 지문정보가 인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엔진 스타트 버튼의 일부에 지문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차량의 시동 걸기와 사용자 인증을 일원화시킬 수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별도의 동작을 취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다. 지문 센서를 통해 인식된 지문 정보는 후술하는 운전자 편의 장치의 설정 정보와 함께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홍채 센서는 운전자의 안구를 인식하기 위한 카메라일 수 있으며, 운전자의 안구를 인식하기 위한 곳에 위치하면 어느 곳이든 관계없다. 홍채 센서를 통해 인식된 홍채 정보는 후술하는 운전자 편의 장치의 설정 정보와 함께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뇌파 검출 센서는 운전자의 뇌파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뇌파 검출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뇌파 검출 장치는 운전자가 머리에 착용하는 헤드셋 타입 및/또는 밴드 타입일 수 있다. 뇌파 검출 장치의 뇌파 검출 센서를 통해 인식된 운전자의 뇌파 정보는 후술하는 운전자 편의 장치의 설정 정보와 함께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인식부(120)는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을 인식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 인식부(120)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식별번호(예컨대, 전화번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인식부(120)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 및/또는 NFC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인식부(120)는 NFC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단말은 NFC 태그로 동작하며, 사용자 단말 인식부(120)는 NFC 리더기로 동작한다. 이처럼, 사용자 단말 인식부(120)가 NFC 리더기인 경우에, NFC 리더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의 도어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NFC 통신은 10c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다양한 무선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 기술이다. NFC 리더기를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이에 설치할 수도 있지만, 조수석에 탑승한 동승자의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운전석의 도어 일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 단말 인식부(120)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인 경우에도 운전석의 도어 일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구비하는 이유는, 블루투스 통신은 미리 설정된 일정 거리 이내(10m)의 통신 반경을 가지므로, 차량 내의 사용자 단말이 다수 개 존재하는 경우, 차량 내에 위치한 다수의 사용자 단말을 탐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 인식부(120)를 운전석의 도어 일측에 구비하여, 다수의 사용자 단말이 탐지되더라도, 인식된 사용자 단말 중 탐지된 거리가 가장 가까운 사용자 단말만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 인식부(120)는 운전자의 도어 일측에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운전자의 시트 일측, 운전자 측에 위치하는 대쉬보드의 일측 등과 같이 운전자와 가까운 거리에 구비되면 관계없다.
한편, 사용자 단말 인식부(120)는 사용자 단말의 근거리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경우에 사용자 단말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된 사용자 단말의 식별번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사용자 단말의 식별번호를 후술하는 제어부(170)로 전송할 수 있다.
음성 입력부(130)는 차량 내에 설치되어 운전자와 관련한 신체정보를 음성으로 입력받는다. 이때, 음성 입력부(130)는 차량 내에 구비된 마이크(미도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 입력부(130)는 생체정보 인식부 및/또는 사용자 단말 인식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운전자 인증이 되지 않는 경우, 운전자로부터 신체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활성화될 수 있으며,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신체정보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운전자의 신체정보를 음성으로 입력받는 것과 관련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차량 상태 검출부(140)는 차량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시동 온/오프(on/off) 상태, 변속 기어의 위치(P(Parking), R(Reverse), N(Neutrality), D(Drive) 중 어느 하나) 및 차량의 속도와 같은 차량의 상태를 검출한다. 이처럼 검출된 차량의 상태 정보는 운전자 편의 모듈(150)을 제어하기 위한 조건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운전자 편의 모듈(150)은 운전자가 운전을 수행함에 있어서 운전자세를 편안하게 하고, 안전한 주행을 도울 수 있는 장치로, IMS(Integrated Memory System) 기능을 포함한다. 예컨대, 운전자 편의 장치는 시트, 스티어링 컬럼, 룸미러, 사이드미러, HUD(Head Up Display), 클러스터 등을 포함하며, 운전자는 차량에 탑승 시 운전을 시작함에 앞서 상술한 차량의 운전자 편의 장치들을 자신의 운전 스타일 및/또는 신체 조건에 맞도록 조정한다. 즉, 시트, 스티어링 컬럼, 룸미러, 사이드미러, HUD의 위치 및/또는 HUD, 클러스터의 밝기가 조정된다.
저장부(160)는 자동 조정 장치(100)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60)는 운전자별 운전자 인증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 정보는, 시트의 높낮이, 전후의 위치 등과 같은 정보, 스티어링 컬럼의 높낮이, 전후의 위치 등과 같은 정보, 룸미러의 전후좌우 등과 같은 정보, 사이드미러의 전후좌우 등과 같은 정보, HUD의 밝기와 같은 정보, 클러스터의 밝기와 같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상술한 정보에 부가적으로 사용자 인증된 횟수 정보 및 최근 인증된 시각정보가 더 포함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신체 조건별로 설정된 최적의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정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의 자동 조정 장치(100)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70)는 운전자의 생체정보 및/또는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운전자를 인증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차량의 시트, 룸미러, 사이드미러, 스티어링 컬럼, HUD(Head Up Display), 클러스터와 같은 운전자 편의 모듈(150)을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운전자의 생체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운전자를 인증하는 경우, 생체정보 인식부(110)를 통해 인식된 운전자의 생체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인식부(120)를 통해 인식된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번호 중 어느 하나의 정보가 저장부(160)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생체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170)는, 인식된 운전자의 생체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번호와 저장부(160)에 미리 저장된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위치를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생체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번호와 대응되는 운전자별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170)는 인식된 운전자의 생체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번호와 저장부(160)에 미리 저장된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신체정보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및/또는 스피커(미도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통해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신체정보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별도로 구비된 입력장치(미도시)를 조작하여 버튼의 조작 및/또는 터치 등의 동작으로 자신의 신체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음성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 즉, 운전자의 신체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운전자의 신체정보는 키, 앉은키, 몸무게 등과 같은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70)는 인식된 운전자의 생체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번호와 저장부(160)에 미리 저장된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및/또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신체 정보를 입력하세요”라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음성을 통해 신체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신체정보를 저장부(160)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입력받은 신체정보에 대응되는 최적의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70)는 사용자로부터 버튼 및/또는 터치를 통해 신체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지만, 음성을 통해 신체정보를 입력받음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는 편의성이 증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운전자의 생체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운전자를 인증하되, 인식된 운전자의 생체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번호와 저장부(160)에 미리 저장된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인증 횟수를 카운트하여 미리 저장된 운전자별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한다. 이처럼, 인증 횟수를 카운트하여 저장하는 이유는, 상대적으로 차량의 사용량이 많은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즉, 제어부(170)는 차량 상태 검출부(140)에서 차량의 시동 상태가 오프(off) 상태로 검출되는 경우(차량의 운행이 종료된 경우), 저장부(160)에 저장된 인증 횟수가 가장 많은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 정보를 기초로하여 운전자 편의 모듈(150)을 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차량의 이용 빈도수가 많은 운전자가 또 다시 차량을 이용할 확률이 높다는 점을 고려하여, 차량의 주행이 종료된 경우에는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위치를 인증 횟수가 가장 많은 운전자가 설정한 정보에 기초하여 조정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차량의 사용량이 많은 운전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차량 상태 검출부(140)에서 차량의 시동 상태가 오프(off) 상태로 검출되는 경우(차량의 운행이 종료된 경우), 사용자 인증 횟수를 참고하여 운전자 편의 모듈(150)을 조정하되, 사용자 인증 횟수가 가장 많은 운전자가 다수인 경우에는, 가장 최근에 인증된 운전자의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 편의 모듈(150)을 조정한다. 즉, 차량의 이용 빈도수가 가장 많은 사용자가 다수인 경우에는, 가장 최근에 차량을 사용한 운전자가 또 다시 차량을 이용할 확률이 높다는 점을 고려하여, 차량의 주행이 종료된 경우에는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위치를 인증 횟수가 가장 많고, 가장 최근에 차량을 이용한 운전자가 설정한 정보에 기초하여 조정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차량의 사용량이 많은 운전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운전자의 생체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운전자를 인증하되, 인증 횟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인증 횟수에 미리 설정된 구간별로 가중치를 곱하여 점수를 산정한 후, 미리 저장된 운전자별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한다. 이후, 제어부(170)는 차량 상태 검출부(140)에서 차량의 시동 상태가 오프(off) 상태로 검출되는 경우(차량의 운행이 종료된 경우), 저장부(160)의 정보에 기초하여 산정된 점수가 가장 높은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 정보를 기초로하여 운전자 편의 모듈(150)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차량 상태 검출부(140)의 시동이 온(on) 상태이고 변속 기어의 위치가 P(Parking)이거나, 차량 상태 검출부의 시동이 온(on) 상태이고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 이하인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 운전자 편의 모듈(150)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제어부(170)가 운전자 편의 모듈(150)을 제어할 수 있는 조건을 설정함으로써, 차량이 정차하거나, 매우 저속인 경우에만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자동 조정 장치(100) 내의 구성요소들은 공지된 CAN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하, 상술한 자동 조정 장치(100)에서의 운전자 인증을 통해 차량의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자동 조정 장치(100)는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인증을 위한 운전자의 생체정보 및/또는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한다(S410). 이때, 운전자의 생체정보 및/또는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의 인식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량의 시동이 온(on) 상태이고 변속 기어의 위치가 P(Parking)이거나, 차량 상태 검출부의 시동이 온(on) 상태이고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 이하인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운전자의 생체정보는 지문정보, 홍채 정보 및/또는 뇌파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인식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은 차량 내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설치된 사용자 단말 인식기를 통해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식별번호를 수신함으로써 인식될 수 있다.
자동 조정 장치(100)는 운전자와 관련한 신체정보를 음성으로 입력받아 수신할 수 있다(S420). 이때, 자동 조정 장치(100)는 운전자의 생체정보 및/또는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운전자를 인식하는 경우, 해당 운전자와 매칭되는 정보가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운전자로부터 신체정보를 음성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자동 조정 장치(100)는 운전자와 관련한 신체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차량에 구비된 조작 버튼을 통해 입력받을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음성으로 입력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자동 조정 장치(100)는 운전자와 관련한 신체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차량 내에 구비된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입력받고자 하는 신체정보를 출력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출력한 신체정보에 해당하는 신체정보의 값을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동 조정 장치(100)는 “키를 입력하세요”라는 멘트를 출력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운전자로부터 키에 대한 값을 입력받는 경우, 운전자의 키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
자동 조정 장치(100)는 차량의 시동 온/오프(on/off) 상태, 변속 기어의 위치 및 차량의 속도와 같은 차량의 상태를 검출한다(S430). 이때, 자동 조정 장치(100)는 차량의 시동이 온(on) 상태이고 변속 기어의 위치가 P(Parking)이거나, 차량 상태 검출부의 시동이 온(on) 상태이고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 이하인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 운전자 편의 모듈(150)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자동 조정 장치(100)가 운전자 편의 모듈(150)을 제어할 수 있는 조건을 설정함으로써, 차량이 정차하거나, 매우 저속인 경우에만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동 조정 장치(100)는 인식된 운전자의 생체정보 및/또는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운전자를 인증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차량의 시트, 룸미러, 사이드 미러, 스티어링 컬럼, HUD 및 클러스터와 같은 운전자 편의 모듈(150)을 제어하여 운전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편의 모듈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S440). 이때, 사용자의 인증과 관련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여부에 따른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자동 조정 장치(100)는 운전자의 생체정보 및/또는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운전자를 인증하되, 인증 결과에 따라 운전자 편의 모듈(150)을 제어하거나 또는 사용자(운전자)로부터 신체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자동 조정 장치는(100)는 인식된 운전자의 생체정보 및/또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번호 중 어느 하나의 정보가 저장부(160)에 미리 저장된 운전자의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저장된 사용자의 생체정보와 대응되는 운전자별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S510)(S520).
반면, 자동 조정 장치(100)는 인식된 운전자의 생체정보 및/또는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정보가 저장부(160)에 미리 저장된 운전자의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신체정보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S530). 이때, 자동 조정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버튼 및/또는 터치를 통해 신체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지만, 음성을 통해 신체정보를 입력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운전자는 음성을 통해 보다 편리하게 신체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후, 자동 조정 장치(100)는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신체정보를 수신하고, 신체정보에 대응하는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540)(S550). 이때,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 정보는 신체정보에 대응되게 사전에 미리 저장된 최적의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키가 175cm이고, 앉은키가 90cm이며, 몸무게가 70kg인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차량의 시트, 룸미러, 사이드 미러, 스티어링 컬럼의 위치 및/또는 HUD 및 클러스터의 밝기가 조정된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 정보가 사전에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운전자의 신체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자동 조정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자동 조정 장치(100)는 최적화된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 편의 모듈(150)을 자동으로 조정하거나 또는 다수 개의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설정 정보를 선택받는 경우, 해당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 편의 모듈(150)을 조정할 수 있다. 이후, 자동 조장 장치(100)는 설정된 편의 모듈의 설정 정보를 운전자의 생체 정보 및/또는 사용자 단말의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후 해당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 저장부(160)에 저장된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 편의 모듈(150)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자동 조정 장치(100)는 운전자의 인증에 앞서 차량의 상태를 확인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운전자 편의 모듈(150)을 제어한다(S610). 이때, 차량의 상태는 차량의 시동 온/오프(on/off) 상태, 변속 기어의 위치(P, R, N, D 중 어느 하나) 및 차량의 속도 등일 수 있다. 이처럼, 자동 조정 장치(100)가 차량의 상태를 확인하는 이유는, 차량의 시동이 온(on) 상태이고 변속 기어의 위치가 P(Parking)이거나, 차량 상태 검출부의 시동이 온(on) 상태이고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 이하인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 운전자 편의 모듈(150)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이 정차하거나, 매우 저속인 경우에만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먼저, 자동 조정 장치(100)가 차량의 상태를 확인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차량의 시동이 온(on) 상태이고 변속 기어의 위치가 P(Parking)이거나, 차량 상태 검출부의 시동이 온(on) 상태이고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 이하인 경우 중 어느 하나)에는, 운전자 인증을 시도한다(S620). 이때, 자동 조정 장치는(100)는 인식된 운전자의 생체정보 및/또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번호 중 어느 하나의 정보가 저장부(160)에 미리 저장된 운전자의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인증 횟수를 저장부(160)에 운전자별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하고, 저장된 사용자의 생체정보와 대응되는 운전자별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S630)(S640). 이때, 인증 횟수를 저장하는 이유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을 종료한 경우에는 사용자 인증 횟수를 참고하여, 사용자 인증 횟수가 가장 많은 사용자와 대응되는 운전자 편의 장치의 설정 정보를 기초로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차량의 이용이 많은 운전자의 편의를 보다 높이기 위함이다.
반면, 자동 조정 장치(100)는 인식된 운전자의 생체정보 및/또는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정보가 저장부(160)에 미리 저장된 운전자의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신체정보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S650). 이때, 자동 조정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버튼 및/또는 터치를 통해 신체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지만, 음성을 통해 신체정보를 입력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음성을 통해 신체정보를 입력받음으로써 운전자는 보다 편리하여 신체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후, 자동 조정 장치(100)는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신체정보를 수신하고, 신체정보에 대응하는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660)(S670). 이때,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 정보는 신체정보에 대응되게 사전에 미리 저장된 최적의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키가 175cm이고, 몸무게가 70kg인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차량의 시트, 룸미러, 사이드 미러, 스티어링 컬럼의 위치 및/또는 HUD 및 클러스터의 밝기가 조정된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 정보가 사전에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운전자의 신체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자동 조정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자동 조정 장치(100)는 하나의 최적화된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 편의 모듈(150)을 자동으로 조정하거나 또는 다수 개의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설정 정보를 선택받는 경우, 해당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 편의 모듈(150)을 조정할 수 있다. 이후, 자동 조장 장치(100)는 설정된 편의 모듈의 설정 정보를 운전자의 생체 정보 및/또는 사용자 단말의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후 해당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 저장부(160)에 저장된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 편의 모듈(150)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자동 조정 장치(100)가 차량의 상태를 확인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예컨대, 차량의 상태가 시동 오프(off) 상태인 경우), 인증 횟수가 가장 많은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 정보를 기초로하여 운전자 편의 모듈(150)을 조정할 수 있다(S680). 구체적으로, 인증 횟수가 많은 운전자가 복수 명일 수도 있으므로, 자동 조정 장치(100)는 인증 횟수가 가장 많은 운전자가 1명인 경우에는 인증 횟수가 가장 많은 운전자 편의 모듈(150)의 설정 정보를 기초로하여 운전자 편의 모듈(150)을 조정한다(S681)(S683).
반면, 자동 조정 장치(100)는 인증 횟수가 가장 많은 운전자가 1명 이상인 복수 명인 경우에는, 인증 횟수가 가장 많은 운전자들 다수 중에 가장 최근에 인증된 운전자의 운전자 편의 모듈(150)을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 편의 모듈(150)을 조정한다(S681)(S685). 예컨대, 자동 조정 장치(100)는 인증 횟수가 가장 많은 운전자들의 인증 횟수와 함께 저장된 가장 최근에 인증된 최근 인증된 시각정보를 참조하여, 인증 횟수가 가장 많은 운전자들 다수 중에 가장 최근에 차량에 탑승했던 운전자의 운전자 편의 모듈(150)을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 편의 모듈(150)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한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의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앱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 자동 조정 장치
110: 생체 정보 인식부
120 : 사용자 단말 인식부
130 : 음성 입력부
140 : 차량 상태 검출부
150 : 운전자 편의 모듈
160 : 저장부
170 : 제어부

Claims (17)

  1.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인증을 위한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인식하는 생체정보 인식부;
    상기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는 사용자 단말 인식부;
    상기 운전자와 관련한 신체정보를 음성으로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
    상기 차량의 시동 온/오프(on/off) 상태, 변속 기어의 위치 및 차량의 속도와 같은 차량의 상태를 검출하는 차량 상태 검출부; 및
    상기 운전자의 생체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운전자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차량의 시트, 룸미러, 사이드미러, 스티어링 컬럼, HUD(Head Up Display), 클러스터와 같은 운전자 편의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인증을 위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가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인증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부 및/또는 스피커와 같은 출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신체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음성으로 입력받은 신체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신체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최적의 운전자 편의 모듈 설정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을 통해 차량의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인증을 위한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인식하는 생체정보 인식부;
    상기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는 사용자 단말 인식부;
    상기 운전자와 관련한 신체정보를 음성으로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
    상기 차량의 시동 온/오프(on/off) 상태, 변속 기어의 위치 및 차량의 속도와 같은 차량의 상태를 검출하는 차량 상태 검출부; 및
    상기 운전자의 생체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운전자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차량의 시트, 룸미러, 사이드미러, 스티어링 컬럼, HUD(Head Up Display), 클러스터와 같은 운전자 편의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생체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운전자를 인증하되, 인증 횟수를 카운트하여 미리 저장된 운전자별 운전자 편의 모듈의 설정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하고,
    상기 차량 상태 검출부에서 차량의 시동 상태가 오프(off) 상태로 검출되는 경우,
    상기 인증 횟수가 가장 많은 운전자 편의 모듈의 설정 정보를 기초로하여 운전자 편의 모듈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을 통해 차량의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 횟수가 가장 많은 운전자가 다수인 경우,
    가장 최근에 인증된 운전자의 운전자 편의 모듈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 편의 모듈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을 통해 차량의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9.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인증을 위한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인식하는 생체정보 인식부;
    상기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는 사용자 단말 인식부;
    상기 운전자와 관련한 신체정보를 음성으로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
    상기 차량의 시동 온/오프(on/off) 상태, 변속 기어의 위치 및 차량의 속도와 같은 차량의 상태를 검출하는 차량 상태 검출부; 및
    상기 운전자의 생체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운전자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차량의 시트, 룸미러, 사이드미러, 스티어링 컬럼, HUD(Head Up Display), 클러스터와 같은 운전자 편의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생체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운전자를 인증하되, 인증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된 인증 횟수에 미리 설정된 구간별로 가중치를 곱하여 점수를 산정한 후, 미리 저장된 운전자별 운전자 편의 모듈의 설정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하고,
    상기 차량 상태 검출부에서 차량의 시동 상태가 오프(off) 상태로 검출되는 경우,
    상기 산정된 점수가 가장 높은 운전자 편의 모듈의 설정 정보를 기초로하여 운전자 편의 모듈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을 통해 차량의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10.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인증을 위한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인식하는 생체정보 인식부;
    상기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는 사용자 단말 인식부;
    상기 운전자와 관련한 신체정보를 음성으로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
    상기 차량의 시동 온/오프(on/off) 상태, 변속 기어의 위치 및 차량의 속도와 같은 차량의 상태를 검출하는 차량 상태 검출부; 및
    상기 운전자의 생체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운전자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차량의 시트, 룸미러, 사이드미러, 스티어링 컬럼, HUD(Head Up Display), 클러스터와 같은 운전자 편의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상태 검출부의 시동이 온(on) 상태이고 변속 기어의 위치가 P(Parking)이거나, 상기 차량 상태 검출부의 시동이 온(on) 상태이고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 이하인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 운전자 편의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을 통해 차량의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운전자 인식을 통해 차량의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에서의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인증을 위한 운전자의 생체정보 또는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하는 단계;
    운전자와 관련한 신체정보를 음성으로 입력받아 수신하는 단계;
    차량의 시동 온/오프(on/off) 상태, 변속 기어의 위치 및 차량의 속도와 같은 차량의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의 생체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운전자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차량의 시트, 룸미러, 사이드미러, 스티어링 컬럼, HUD(Head Up Display), 클러스터와 같은 운전자 편의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 편의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의 인증을 위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가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인증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부 및/또는 스피커와 같은 출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신체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사용자로부터 음성 입력부를 통해 음성으로 입력받은 신체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신체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최적의 운전자 편의 모듈 설정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방법.
  16. 운전자 인식을 통해 차량의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에서의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인증을 위한 운전자의 생체정보 또는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하는 단계;
    운전자와 관련한 신체정보를 음성으로 입력받아 수신하는 단계;
    차량의 시동 온/오프(on/off) 상태, 변속 기어의 위치 및 차량의 속도와 같은 차량의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의 생체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운전자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차량의 시트, 룸미러, 사이드미러, 스티어링 컬럼, HUD(Head Up Display), 클러스터와 같은 운전자 편의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 편의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의 생체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운전자를 인증하되, 인증 횟수를 카운트하여 미리 저장된 운전자별 운전자 편의 모듈의 설정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하고,
    차량 상태 검출부에서 차량의 시동 상태가 오프(off) 상태로 검출되는 경우,
    상기 인증 횟수가 가장 많은 운전자 편의 모듈의 설정 정보를 기초로하여 운전자 편의 모듈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편의 모듈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 횟수가 가장 많은 운전자가 다수인 경우,
    가장 최근에 인증된 운전자의 운전자 편의 모듈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 편의 모듈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방법.
KR1020180103381A 2018-08-31 2018-08-31 운전자 인증을 통해 차량의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79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381A KR102079351B1 (ko) 2018-08-31 2018-08-31 운전자 인증을 통해 차량의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381A KR102079351B1 (ko) 2018-08-31 2018-08-31 운전자 인증을 통해 차량의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351B1 true KR102079351B1 (ko) 2020-02-19

Family

ID=69669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381A KR102079351B1 (ko) 2018-08-31 2018-08-31 운전자 인증을 통해 차량의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3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369B1 (ko) 2020-09-24 2021-06-2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개인인증을 이용한 차량 진입 및 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
CN113415250A (zh) * 2021-06-16 2021-09-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设备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407903A (zh) * 2020-05-15 2022-04-29 华为技术有限公司 座舱系统调节装置和用于调节座舱系统的方法
CN114619993A (zh) * 2022-03-16 2022-06-14 上海齐感电子信息科技有限公司 基于人脸识别汽车控制方法及其系统、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33320A (ja) * 2015-08-01 2017-02-09 Ntn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調整装置
KR101741647B1 (ko) 2016-09-30 2017-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2018027731A (ja) * 2016-08-16 2018-02-22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車載装置、車載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33320A (ja) * 2015-08-01 2017-02-09 Ntn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調整装置
JP2018027731A (ja) * 2016-08-16 2018-02-22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車載装置、車載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
KR101741647B1 (ko) 2016-09-30 2017-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7903A (zh) * 2020-05-15 2022-04-29 华为技术有限公司 座舱系统调节装置和用于调节座舱系统的方法
CN114407903B (zh) * 2020-05-15 2022-10-28 华为技术有限公司 座舱系统调节装置和用于调节座舱系统的方法
KR102270369B1 (ko) 2020-09-24 2021-06-2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개인인증을 이용한 차량 진입 및 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
CN113415250A (zh) * 2021-06-16 2021-09-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设备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619993A (zh) * 2022-03-16 2022-06-14 上海齐感电子信息科技有限公司 基于人脸识别汽车控制方法及其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4619993B (zh) * 2022-03-16 2023-06-16 上海齐感电子信息科技有限公司 基于人脸识别汽车控制方法及其系统、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9351B1 (ko) 운전자 인증을 통해 차량의 운전자 편의 장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
US10477010B2 (en) Mode chang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vehicle setting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is in proximity to a vehicle
US97795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operation of a driver's mobile telephone
US20160355191A1 (en) Controlling access to an in-vehicle human-machine interface
US100996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user role and user settings associated with a vehicle
EP2028061A2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personalized settings in a vehicle
CN109263645B (zh) 用于调整机动车的运行参数的方法和系统以及机动车
US201801182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ular adaptation to driver state
JP4419758B2 (ja) 自動車用ユーザもてなしシステム
US20120226413A1 (en) Hierarchical recognition of vehicle driver and select activation of vehicle settings based on the recognition
US200900551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speech recognition in a vehicle
US11386678B2 (en) Driver authentication for vehicle-sharing fleet
US10002478B2 (en)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in a shared acoustic space
US10042432B2 (en) Programmable onboard interface
JP2015505284A (ja) 車両の乗員を識別するシステム、方法、及び装置
US20140218170A1 (en) Biometric data-driven application of vehicle operation settings
US11904783B2 (en) Vehicle microphone activation and/or control systems
US11511703B2 (en) Driver personalization for vehicle-sharing fleet
CN111717083B (zh) 一种车辆交互方法和一种车辆
KR20200145826A (ko) 신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와 함께 차량 내 카메라를 사용한 무결절 운전자 인증
US20050035855A1 (en) Voice command system for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of home networked devices
KR101910920B1 (ko) 레버형 도어의 그립 패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식별 방법 및 장치
KR20170000908A (ko) 지문인식 연동 운행 환경 제어 시스템
KR101595339B1 (ko) 패턴 입력형 시크릿 스마트 시동이 가능한 보안 시스템
KR101714517B1 (ko)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