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075B1 - 모니터 승하강 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 승하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075B1
KR102079075B1 KR1020180073082A KR20180073082A KR102079075B1 KR 102079075 B1 KR102079075 B1 KR 102079075B1 KR 1020180073082 A KR1020180073082 A KR 1020180073082A KR 20180073082 A KR20180073082 A KR 20180073082A KR 102079075 B1 KR102079075 B1 KR 102079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wire
weight
fixed
weight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871A (ko
Inventor
오병석
Original Assignee
오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병석 filed Critical 오병석
Priority to KR1020180073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075B1/ko
Publication of KR20200000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5Monitor mounted supports or st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판, 상판, 및 배면판으로 구성되는 테이블의 상판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하여 모니터가 승하강되도록 설치되는 모니터 승하강 장치로서, 모니터를 고정하여 모니터의 중량을 수용하는 고정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패널을 수직 방향으로 제한된 승하강 움직임을 갖도록 가이드하는 모니터 승하강 구조물, 및 상기 테이블의 측판 내측에 설치된 도르레, 상기 도르레에 권취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고정된 상기 모니터 승하강 구조물의 고정패널 측이 받는 하중을 경감시키기 위한 무게요소를 포함하는 하중 경감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무게요소는 상기 테이블의 양 측판을 가로질러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고정되는 횡관과 상기 횡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중량물을 포함하고, 상기 하중 경감 구조물은 상기 테이블의 양 측판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 및 상기 무게요소의 횡관의 양끝에 외삽되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수직으로 제한된 움직임을 갖는 수직 이동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니터 승하강 장치{Monitor A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테이블이나 컴퓨터 책상의 상면에 설치되는 컴퓨터 모니터를 미사용시에는 테이블 상판의 아래로 하강 상태로 유지하다가 모니터를 사용할 때에만 승강 상태로 올리기 위한 모니터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모니터의 하중에 비례하는 중량물을 도르레에 권취된 와이어의 반대측에 설치하여 지렛대 원리에 의하여 모니터를 쉽게 승하강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구조의 모니터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중량추를 이용한 종래의 모니터 승하강 장치는 등록특허 제10-1153157호나 등록실용신안 제20-047026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중량추가 와이어에 메달린 상태로 유지되어, 모니터의 승하강시에 중량추의 흔들림 현상에 의하여 승하강 경로에 비틀림이 발생하여 안정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테이블을 다른 곳으로 이동 배치하는 경우 중량추가 흔들려 비정상 위치에 놓이거나 테이블의 내면에 손상을 주는 경우도 발생하였었다.
또한, 모니터의 무게에 따른 중량추가 결정되어 있어, 제작시 모니터에 맞는 다양한 규격의 중량추를 사전에 준비해야 하는 부담이 있었다.
특히, 최근에 2 이상의 모니터를 하나의 테이블에 설치하여 함께 사용하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는데, 단일 모니터를 사용할 때보다 중량추의 무게도 또한 무거워져 전술한 문제들이 더욱 증폭되어진다.
등록특허 제10-1153157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7026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중량추를 포함하는 하중 경감 구조물을 사용하여 모니터를 직접 승하강시키는 데 필요한 힘을 경감시키기 위한 모니터 승하강 장치에서, 중량추를 테이블의 양 측벽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무게요소로 구성하고, 횡관의 양단에 측벽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서만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움직이는 수직 이동부재를 외삽한 하중 경감 구조물을 포함하는 모니터 승하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니터의 하중과 관련하여 중량추의 크기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횡관의 내측에 원하는 개수의 중량물을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무게요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기타 본 발명에서 추구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측판, 상판, 및 배면판으로 구성되는 테이블의 상판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하여 모니터가 승하강되도록 설치되는 모니터 승하강 장치로서, 모니터를 고정하여 모니터의 중량을 수용하는 고정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패널을 수직 방향으로 제한된 승하강 움직임을 갖도록 가이드하는 모니터 승하강 구조물, 및 상기 테이블의 측판 내측에 설치된 도르레, 상기 도르레에 권취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고정된 상기 모니터 승하강 구조물의 고정패널 측이 받는 하중을 경감시키기 위한 무게요소를 포함하는 하중 경감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무게요소는 상기 테이블의 양 측판을 가로질러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고정되는 횡관과 상기 횡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중량물을 포함하고, 상기 하중 경감 구조물은 상기 테이블의 양 측판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 및 상기 무게요소의 횡관의 양끝에 외삽되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수직으로 제한된 움직임을 갖는 수직 이동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직 이동부재는 상기 횡관의 끝단을 삽입하기 위한 횡관 삽입부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횡관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가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으로 안치되도록 하는 와이어 연결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 이동부재의 횡관 삽입부에 상기 와이어 연결로로 이어지는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 상기 무게요소의 횡관에 삽입되는 중량물은 복수의 금속편을 상기 모니터 승하강 구조물의 고정패널 측이 받는 하중에 비례하여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측판, 상판, 및 배면판으로 구성되는 테이블의 상판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하여 모니터가 승하강되도록 설치되는 모니터 승하강 장치로서, 모니터를 고정하여 모니터의 중량을 수용하는 고정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패널을 수직 방향으로 제한된 승하강 움직임을 갖도록 가이드하는 모니터 승하강 구조물, 및 상기 테이블의 양 측판 내측에 각각 설치된 도르레, 상기 각 도르레에 권취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에 안착되고 상기 도르레를 경유하여 상기 와이어의 양 끝단에 고정된 상기 모니터 승하강 구조물의 고정패널 측이 받는 하중을 경감시키기 위한 무게요소를 포함하는 하중 경감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무게요소는 상기 테이블의 양 측판을 가로질러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고정되는 횡관과 상기 횡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중량물을 포함하고, 상기 하중 경감 구조물은 상기 테이블의 양 측판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 및 상기 무게요소의 횡관의 양끝에 외삽되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수직으로 제한된 움직임을 갖는 수직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이동부재는 상기 횡관의 끝단을 삽입하기 위한 횡관 삽입부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드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모니터 승하강 장치에 의하면, 테이블의 측판에 세로로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제한된 수직 움직임을 갖도록 설치되는 수직 이동부재에 결합된 무게요소가 안정적으로 상하로 왕복 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모니터의 승하강 동작이 안정되어 듀얼모니터 등의 다중 모니터 구성을 갖는 경우에도 흔들림과 삐걱거림 없이 고정패널을 움직여 고정패널을 가이드하는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무게요소가 횡관의 내부에 복수의 중량물을 삽입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모니터의 하중에 따른 중량추의 무게구성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게 되고, 횡관과 중량물의 형상이 테이블의 좌우 측판을 가로지르는 균일한 형태로 구성되어 무게의 좌우 균형이 달성되어 승하강 동작이 매우 안정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 승하강 장치가 구비된 테이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 승하강 장치가 보이도록 상판과 전면 격리패널, 및 우측 측판을 제거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모니터 승하강 장치의 고정패널이 승강하여 모니터가 위로 올려진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르레에 권취된 와이어의 일단에 무게요소(230)가 수직이동부재(250)를 통하여 연결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무게요소(230)와 수직 이동부재(250)를 분리한 상태의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무게요소(230)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하중 경감 구조물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측판(10), 상판(20), 및 배면판(30)으로 구성되는 테이블의 상판(20)에 형성된 관통구(21)를 통하여 모니터(1)가 승하강되도록 설치되는 모니터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2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구조가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 승하강 장치는 모니터 승하강 구조물과 하중 경감 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요소로서 모니터 승하강 구조물은 모니터(1)를 고정하여 모니터(1)의 중량을 수용하는 고정패널(11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패널(110)을 수직 방향으로만 제한된 승하강 움직임을 갖도록 가이드한다. 구체적으로 도면에서 측벽(10)의 내측에 형성된 결속 구조물(122)과 배면판(30)의 전면에 형성된 결속 구조물(124)에 고정패널(110)의 측면과 배면의 일단을 이동가능하게 결속하여 고정패널(110)이 수직 방향으로 제한되어 왕복 운동하도록 구속한다. 고정패널(110)의 이동 범위는 결속 구조물(122, 124)의 상하단에 설정된 리미팅 장치에 의하여 제한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모니터의 최대 하강 위치와 최대 상승 위치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결속 구조물(122, 124)에는 결속을 위한 결속 홈이 형성되고, 결속 홈의 내측에 고정패널(110)에 형성되는 결속 돌기가 삽입되어 결속되고 결속 홈의 길이 방향으로 결속 돌기가 슬라이딩 움직임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고, 결속 홈과 결속 돌기는 내구성이 좋은 금속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의 요소로서 상기 하중 경감 구조물은 테이블의 측판(10) 내측에 설치된 도르레(210), 상기 도르레에 권취된 와이어(220), 및 상기 와이어(220)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220)의 타단에 고정된 상기 모니터 승하강 구조물의 고정패널(110) 측이 받는 하중을 경감시키기 위한 무게요소(230)를 포함하여 도르레(210)를 중심으로 고정패널(110)과 무게요소(230)가 와이어(220)로 연결되어 무게요소(230)에 의하여 모니터(1)를 포함하는 고정패널(110) 측의 무게를 낮추어 줌으로써 독립적으로 들어올리는 것보다 용이하게 모니터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무게요소(230)는 테이블의 양 측판(10)을 가로질러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220)가 고정되는 횡관(232)과 상기 횡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중량물(234)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무게요소(230)는 전후 방향의 움직임이나 비틀림, 회전 등의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고, 오로지 양 측판(10) 사이에서 상하로만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무게요소(230)는, 통상 질량이 큰 금속 소재의 중량물(234)을 포함함에 의하여 전체적 질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 중량물(234)이 삽입되는 횡관(232) 자체도 금속 소재로 구성하여 무게요소(230) 전체가 모니터 측의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는 하나의 질량물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또한, 횡관(232)의 내부에 중량물(234)을 충분히 삽입하지 못하는 경우 횡관(232)의 외면, 바람직하게는 상면에 중량물(234)을,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적층하여 무게요소(230)의 무게를 증가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게요소(230)의 횡관(232)에 삽입되는 중량물(234)은 복수의 금속편을 상기 모니터 승하강 구조물의 고정패널 측이 받는 하중에 비례하는 개수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서 횡관(232)은 사각관의 형상으로 도시되고,이에 삽입되는 중량물(234)은 평판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이고, 다른 형태, 예로서, 횡관(232)을 원통관의 형상으로 구성하고, 중량물(234)도 단면이 원형이 막대 형태로 구성하여 횡관(232)의 내부에 삽입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횡관(232)의 상면에 중량물(234)을 추가적으로 용접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는 상면이 편평한 사각관의 형상 등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하중 경감 구조물은 테이블의 양 측판(10)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240), 및 상기 무게요소(230)의 횡관(232)의 양끝에 외삽되고 상기 가이드홈(240)을 따라 수직으로 제한된 움직임을 갖는 수직 이동부재(250)를 포함하고, 수직 이동부재(250)는 상기 횡관(232)의 끝단을 삽입하기 위한 횡관 삽입부(252)와 상기 가이드홈(240)에 삽입되는 돌출부(254)를 포함한다. 따라서 수직 이동부재(250)의 승하강 움직임에 따라 수평으로 배치된 횡관(232)이 수직 방향에서의 왕복 경로를 갖게 된다. 또한, 수직 이동부재(250)는 돌출부(254)의 좌우측에 측판(10)의 내벽에 접하는 접합면(258)이 형성되어 수직 이동부재(250)의 양측 접합면(258)이 테이블의 좌우 측판(10)의 내면에 접하여 그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수직 이동부재(250)의 접합면(258)은 측판(10)의 내면과의 마찰력을 작게 하여 미끄러짐을 부드럽게 하고 마찰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횡관(232)에 연결되는 와이어(220)의 접속부는 횡관(232)의 양 끝단의 아래측의 와이어 연결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데, 하나의 예시로서, 횡관(232)의 끝단에 돌출된 와이어 연결부(235)가 형성되고, 여기에 와이어의 접속부(225)가 체결되는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돌출된 와이어 연결부(235)는 횡관(232)이 수직 이동부재(250)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직 이동부재(250)의, 후술하는 와이어 연결로(255) 상에 배치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수직 이동부재(250)의 돌출부(254)는 상기 횡관(232)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220)가 상기 가이드홈(240)의 내측으로 안치되도록 하는 와이어 연결로(25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 이동부재(250)의 횡관 삽입부(252)에 상기 와이어 연결로로 이어지는 절개부(25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횡관(232)을 횡관 삽입부(252)의 횡관 삽입구(253)로 밀어넣을 때에 횡관(232)의 밀착면(237)이 와이어(220)를 와이어 연결로(255) 내부로 밀어넣게 되고, 이때 와이어(220)는 절개부(257)를 통하여 와이어 연결로(255)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가이드 홈(240)은 테이블의 측판(10)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구체적인 도면에서는 테이블의 측판(10)에 보강판(18)을 더 설치하여 보강판(18)의 내면에 동일한 구조의 가이드 홈(240)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의 상판(20) 아래에 격리판(40)을 설치하여 내부 구조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하중 경감 구조물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측판, 상판, 및 배면판으로 구성되는 테이블의 상판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하여 모니터가 승하강되도록 설치되는 모니터 승하강 장치로서, 모니터를 고정하여 모니터의 중량을 수용하는 고정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패널을 수직 방향으로 제한된 승하강 움직임을 갖도록 가이드하는 모니터 승하강 구조물, 및 상기 테이블의 양 측판 내측에 각각 설치된 도르레, 상기 각 도르레에 권취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에 안착되고 상기 도르레를 경유하여 상기 와이어의 양 끝단에 고정된 상기 모니터 승하강 구조물의 고정패널 측이 받는 하중을 경감시키기 위한 무게요소를 포함하는 하중 경감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무게요소는 상기 테이블의 양 측판을 가로질러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고정되는 횡관과 상기 횡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중량물을 포함하고, 상기 하중 경감 구조물은 상기 테이블의 양 측판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 및 상기 무게요소의 횡관의 양끝에 외삽되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수직으로 제한된 움직임을 갖는 수직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이동부재는 상기 횡관의 끝단을 삽입하기 위한 횡관 삽입부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드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하중 경감 구조물에 대해서는 와이어의 결속부가 제거됨으로써 전술한 실시 예에서보다 구조가 단순화되고 용접 등의 접합과정이 생략되어 설치가 매우 간편하게 달성될 수 있고, 오랜 사용에 따른 결속부의 이탈 등의 위험요소가 완전히 제거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사항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다양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4)

  1. 측판, 상판, 및 배면판으로 구성되는 테이블의 상판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하여 모니터가 승하강되도록 설치되는 모니터 승하강 장치로서,
    모니터를 고정하여 모니터의 중량을 수용하는 고정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패널을 수직 방향으로 제한된 승하강 움직임을 갖도록 가이드하는 모니터 승하강 구조물; 및
    상기 테이블의 측판 내측에 설치된 도르레, 상기 도르레에 권취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고정된 상기 모니터 승하강 구조물의 고정패널 측이 받는 하중을 경감시키기 위한 무게요소를 포함하는 하중 경감 구조물;
    을 포함하고,
    상기 무게요소는 상기 테이블의 양 측판을 가로질러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고정되는 횡관과 상기 횡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중량물을 포함하고,
    상기 하중 경감 구조물은:
    상기 테이블의 양 측판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 및
    상기 무게요소의 횡관의 양끝에 외삽되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수직으로 제한된 움직임을 갖는 수직 이동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이동부재는 상기 횡관의 끝단을 삽입하기 위한 횡관 삽입부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드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횡관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가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으로 안치되도록 하는 와이어 연결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승하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요소의 횡관에 삽입되는 중량물은 복수의 금속편을 상기 모니터 승하강 구조물의 고정패널 측이 받는 하중에 비례하여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승하강 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80073082A 2018-06-26 2018-06-26 모니터 승하강 장치 KR102079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082A KR102079075B1 (ko) 2018-06-26 2018-06-26 모니터 승하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082A KR102079075B1 (ko) 2018-06-26 2018-06-26 모니터 승하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871A KR20200000871A (ko) 2020-01-06
KR102079075B1 true KR102079075B1 (ko) 2020-02-19

Family

ID=69158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082A KR102079075B1 (ko) 2018-06-26 2018-06-26 모니터 승하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0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65007B (zh) * 2020-03-10 2021-07-06 江西世纪星校具实业有限公司 一种方便调节显示器的电脑桌
CN114947366B (zh) * 2022-05-25 2023-08-08 西藏景致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联络中心系统多媒体会议引导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8776A (ja) 1999-08-18 2001-03-06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つり合いおもり
JP2004359396A (ja) 2003-06-04 2004-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釣合い錘
KR100512604B1 (ko) 2005-02-21 2005-09-05 경민웨이트(주) 엘리베이터 웨이트
KR100720656B1 (ko) 2006-01-17 2007-05-21 서석호 모니터 수납형 책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2A (ja) * 1992-06-17 1994-01-11 Seiko:Kk パソコンデスク
KR101153157B1 (ko) 2011-07-08 2012-06-04 이광임 모니터 승강장치
KR200470263Y1 (ko) 2011-10-12 2013-12-06 이광임 모니터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8776A (ja) 1999-08-18 2001-03-06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つり合いおもり
JP2004359396A (ja) 2003-06-04 2004-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釣合い錘
KR100512604B1 (ko) 2005-02-21 2005-09-05 경민웨이트(주) 엘리베이터 웨이트
KR100720656B1 (ko) 2006-01-17 2007-05-21 서석호 모니터 수납형 책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871A (ko) 202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9075B1 (ko) 모니터 승하강 장치
US9510670B2 (en) Height-adjustable table
US9050223B2 (en) Lifting apparatus and bed provided with the same
CN209262585U (zh) 支撑装置
CA2956461A1 (en) Cabinet installation device
EP3524096B1 (en) Electric shelf
CN105901942A (zh) 升降工作台
KR100401605B1 (ko) 정밀 제어용 자유 링크장치
US10556782B2 (en) Raising/lowering conveyance device for container for conveying article
CN112237351A (zh) 一种床体结构
KR100958274B1 (ko) 스택커
CN104150397B (zh) 一种升降架
JP2010023972A (ja) エレベータ
CN211021797U (zh) 一种床体结构
KR101931067B1 (ko) 승강 가능한 세탁물 바구니
KR102378485B1 (ko) 시공용 밴딩장치
KR101357219B1 (ko) 모니터 승강장치
JP4568648B2 (ja) 昇降式載置棚
KR20180076608A (ko)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
JP5083555B2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JP7437108B2 (ja) パネル積載ユニット
KR102394819B1 (ko) 도서 적재 장치
FR3072374A1 (fr) Dispositif elevatoire par poussee
CN108861512B (zh) 物料堆叠设备
CN219809662U (zh) 一种建筑机电设备减震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