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747B1 - 환자 보호복 - Google Patents

환자 보호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747B1
KR102078747B1 KR1020180041600A KR20180041600A KR102078747B1 KR 102078747 B1 KR102078747 B1 KR 102078747B1 KR 1020180041600 A KR1020180041600 A KR 1020180041600A KR 20180041600 A KR20180041600 A KR 20180041600A KR 102078747 B1 KR102078747 B1 KR 102078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fluid
protective clothing
protection parts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8371A (ko
Inventor
이광덕
Original Assignee
신광의료기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광의료기산업(주) filed Critical 신광의료기산업(주)
Priority to KR1020180041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747B1/ko
Publication of KR20190118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12Surgeons' or patients' gowns or dresses
    • A41D13/1236Patients' garments
    • A41D13/1263Sui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12Surgeons' or patients' gowns or dresses
    • A41D13/1236Patients'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07Garments with built-in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41D13/015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having inflatable structure, e.g. non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31Spin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43Le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5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 A41D13/0556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releasable fas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28Shock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30Antimicrobial, e.g. antibac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 A61F5/3769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body to beds, wheel-chairs or the like
    • A61F5/3776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body to beds, wheel-chairs or the like by means of a blanket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69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flatable chambers
    • A61G7/05776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flatable chambers with at least two groups of alternately inflated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4Donning facili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매환자 등의 인지장애환자나 알콜중독환자의 안전을 위해 침대에 고정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보호복 본체와 제1,2결속수단을 이용하여 환자를 침대에 구속시키는 과정에서 결합끈과 제1,2연결끈의 길이에 따른 유격 범위 내에서 환자의 상,하지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보호복 본체의 몸체부 배면 좌,우 양측에 유체의 공급 및 배출에 따라 부피가 가변되는 에어쿠션재를 구비하여 환자가 침대에 결속된 상태에서 욕창 등의 피부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환자 보호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환자 보호복{PATIENT PROTECTING CLOTHES}
본 발명은 환자 보호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매환자 등의 인지장애환자나 알콜중독환자의 안전을 위해 침대에 고정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보호복 본체와 제1,2결속수단을 이용하여 환자를 침대에 구속시키는 과정에서 결합끈과 제1,2연결끈의 길이에 따른 유격 범위 내에서 환자의 상,하지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보호복 본체의 몸체부 배면 좌,우 양측에 유체의 공급 및 배출에 따라 부피가 가변되는 에어쿠션재를 구비하여 환자가 침대에 결속된 상태에서 욕창 등의 피부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환자 보호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매 및 알코올중독이 심한 환자들은 지적 능력을 상실하여 자신의 손으로 자신의 신체 일부를 자해하거나 타인에게도 해를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치매 환자의 경우는 자신의 대소변을 가리지 못해 기저귀를 착용하는데 이를 벗어버리는 등 아무거나 집어삼켜 환자가 위험하게 되는 경우도 있으며, 자신의 침상을 벗어나 기물을 파손하거나 숨어버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치료 및 환자의 신체를 보호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이 치매 및 알코올 중독이 심한 정신병 환자들의 안전을 보장하고 주변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환자복도 개선되고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20-0356354의 경우 매직테이프에 의해 환자의 신체에 생채기가 생길 수 있고 원단이 상하기도 하며, 장시간 사용을 하게 되면 접착력이 부족하게 되어 보호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매직테이프를 접착할 때, 환자가 몸부림을 치게 되는 경우 매직테이프를 상호 접착하는데 어렵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또한, 보호되어 있는 모습으로 환자가 이동을 하면 시각적으로 외부인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기존 환자 보호복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0579호 "환자용 보호복"(등록일자 : 2012.04.12)에 개시된 바와 같이, 환자를 보호하기 위한 환자용 보호복에 있어서, 상기 환자용 보호복은 환자를 보호하기 위한 상의와 시각적 차단을 위한 망토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의는 탈의방지 및 팔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제1고정끈, 제2고정끈, 제3고정끈, 제4고정끈, 제5고정끈, 제6고정끈, 제7고정끈, 제8고정끈 및 묶음부를 포함하는 소매; 주머니 조임끈을 포함하는 주머니; 망토의 단춧구멍과 결합하기 위한 단추;를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환자 보호복은 환자의 상체부위만을 구속하여 보호할 수 있으며, 하체부위를 보호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므로 상체가 구속된 상태로 환자가 돌아다니다가 넘어져 다칠 우려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다른 선행기술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7134호 "침대고정용 환자 보호복"(등록일자 : 2012.04.09)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리를 비롯한 환자의 몸이 위치되는 중앙복면;과, 환자의 팔을 배치하기 위하여 중앙복면의 양단에서 봉접되는 측가림면;으로 이루어지고, 중앙복면과 측가림면의 외면 경계선상에는 고리 형상의 고정부가 등간격 다수 구비되며, 측가림면은 중앙복면의 상측에서 서로 중첩되어 개폐부재를 통해 봉인되거나 혹은 분리되게 하되, 상기 중앙복면에는 환자의 다리를 수용하기 위하여 양단이 봉접되고 내부가 중공으로 이루어진 다리수용부;와, 다리수용부에 끼워진 환자의 다리 상측을 부가 고정하기 위한 벨크로 타입의 다리고정부재;가 복수개 구비되어 환자의 두 다리를 개별적으로 고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측가림면에는 환자의 팔을 수용하기 위하여 양단이 봉접되고 내부가 중공으로 이루어진 팔수용부;와, 팔수용부에 끼워진 환자의 팔 상측을 부가 고정하기 위한 벨크로 타입의 팔고정부재;가 구비된 것이다.
그런데, 기존에는 환자의 안전을 위해 환자의 신체 부위를 침대에 구속시킬 수 있으나, 장시간 침대에 구속된 상태에서 신체 부위 중 등 부위에 욕창 등의 피부병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0579호 "환자용 보호복"(등록일자 : 2012.04.1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7134호 "침대고정용 환자 보호복"(등록일자 : 2012.04.09)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치매환자 등의 인지장애환자나 알콜중독환자의 안전을 위해 침대에 고정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보호복 본체와 제1,2결속수단을 이용하여 환자를 침대에 구속시키는 과정에서 결합끈과 제1,2연결끈의 길이에 따른 유격 범위 내에서 환자의 상,하지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보호복 본체의 몸체부 배면 좌,우 양측에 유체의 공급 및 배출에 따라 부피가 가변되는 에어쿠션재를 구비하여 환자가 침대에 결속된 상태에서 욕창 등의 피부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환자 보호복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환자의 신체 상지와 몸통 및 하지부위를 감싸는 좌,우측 상지보호부와 몸체부 및 좌,우측 하지보호부가 복수의 지퍼부재에 의해 전면과 배면으로 연결 및 펼쳐짐이 가능한 보호복 본체와; 상기 좌,우측 상지보호부를 제한된 유격안에서만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각각 침대 프레임에 결속시키는 제1결속수단과; 상기 좌,우측 하지보호부를 결합끈의 길이조절로 제한된 유격안에서만 움직일 수 있도록 서로 결속시키고 좌,우측 하지보호부의 상,하부부위를 상기 침대 프레임의 좌,우측에 제한된 유격안에서만 움직일 수 있도록 결속시키는 제2결속수단과; 상기 몸체부의 배면 좌,우 양측에 마련되어 환자의 등 부위 좌,우측에 번갈아 움직임을 부여하는 좌,우측 에어쿠션재; 및 상기 좌,우측 하지보호부의 배면 좌,우 양측에 마련되어 환자의 허벅지 부위 좌,우측에 번갈아 움직임을 부여하는 제1,2에어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기 제1결속수단은 상기 좌,우측 상지보호부의 내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제1수버클이 마련되는 제1연결끈과, 상기 몸체부의 좌,우 양측에 고정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연결끈이 통과되는 연결고리와, 상기 침대 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제1수버클이 록킹 결합되는 제1암버클로 구성되고, 상기 제2결속수단은 상기 좌,우측 하지보호부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에 배치되는 결합끈의 단부에 각각 마련되며 록킹 결합 가능한 제2암,수버클과, 상기 좌,우측 하지보호부의 외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2연결끈과, 상기 제2연결끈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침대 프레임에 고정된 제3암버클에 각각 록킹 결합되는 제3수버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우측 에어쿠션재와 제1,2에어백부재는 외부의 유체제어부로부터 유체가 번갈아 공급 및 배출됨에 따라 부피가 가변되는 것이다.
상기 유체제어부는 상기 좌,우측 에어쿠션재 내에 번갈아 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유입호스와 배출호스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유입호스를 통해 유체를 공급하도록 펌프가 구비되며, 상기 배출호스에는 유체의 배출을 위한 개폐밸브가 구비된 것 것이다.
상기 유체제어부는 상기 제1,2에어백부재내에 번갈아 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공급호스와 유출호스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공급호스를 통해 유체를 공급하도록 제어펌프가 구비되며, 상기 유출호스에는 유체의 유출을 위한 개폐제어밸브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 유체제어부는 타이머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보호복 본체는 은나노입자가 함유된 항균 섬유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환자가 침대에 구속된 상태에서도 환자의 상지부위는 제1결속수단의 제1연결끈 길이에 따른 유격 범위 내에서 움직임이 가능하며, 환자의 하지부위는 제2연결끈과 결합끈의 길이에 따른 유격 범위 내에서 움직임이 가능하므로, 중증 치매환자인 경우에도 환자의 자해 및 타인에 대한 상해를 예방하면서 일정 범위 움직임을 부여하여 답답함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환자가 침대에 구속된 상태에서도 유체제어부를 통해 좌,우측 에어쿠션재 내에 유체가 공급 및 배출동작이 번갈아 이루어지게 되므로, 환자의 등부위를 강제 운동시켜 혈액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피부가 연약한 고령의 환자일 경우 쉽게 발생하는 피부병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 보호복 본체는 은나노입자가 함유된 항균 섬유로 구성됨에 따라 제균 기능을 수행하여 환자의 피부병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환자가 침대에 구속된 상태에서도 유체제어부를 통해 제1,2에어백부재 내에 유체가 공급 및 유출동작이 번갈아 이루어지게 되므로, 환자의 하지가 좌,우측 하지보호부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2에어백부재가 번갈아 부풀어 올라 환자의 허벅지 부위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게 되어 환자의 하지부위를 강제 재활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보호복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 제1,2결속수단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환자 보호복이 적용된 환자를 침대에 구속시키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유체가 주입되기 전의 좌,우측 에어쿠션재를 나타낸 측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 좌,우측 에어쿠션재에 유체가 번갈아 유입 및 배출됨에 따라 환자의 등부위가 강제 운동되는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 제1,2에어백부재에 유체가 번갈아 공급 및 유출됨에 따라 환자의 하지부위가 강제 운동되기 전,후 상태를 보인 도면.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보호복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환자의 신체 상지와 몸통 및 하지부위를 감싸는 좌,우측 상지보호부(110,120)와 몸체부(130) 및 좌,우측 하지보호부(140,150)가 복수의 지퍼부재(105)에 의해 전면과 배면으로 연결 및 펼쳐짐이 가능한 보호복 본체(100)와; 상기 좌,우측 상지보호부(110,120)를 제한된 유격안에서만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각각 침대 프레임(15)에 결속시키는 제1결속수단(200)과; 상기 좌,우측 하지보호부(140,150)를 결합끈(310)의 길이조절로 제한된 유격안에서만 움직일 수 있도록 서로 결속시키고 좌,우측 하지보호부(140,150)의 상,하부부위를 상기 침대 프레임(15)의 좌,우측에 제한된 유격안에서만 움직일 수 있도록 결속시키는 제2결속수단(300)과; 상기 몸체부(130)의 배면 좌,우 양측에 마련되어 환자의 등 부위 좌,우측에 번갈아 움직임을 부여하는 좌,우측 에어쿠션재(410,420); 및 상기 좌,우측 하지보호부(140,150)의 배면 좌,우 양측에 마련되어 환자의 허벅지 부위 좌,우측에 번갈아 움직임을 부여하는 제1,2에어백부재(510,520);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보호복 본체(100)는 좌,우측 상지보호부(110,120)와 몸체부(130) 및 좌,우측 하지보호부(140,150)가 복수의 지퍼부재(105)에 의해 보호복 본체(100)가 전면과 배면으로 연결 및 펼쳐짐 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좌,우측 상지보호부(110,120)는 상기 몸체부(130)의 좌,우 양측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 하지보호부(140,150)는 상기 몸체부(130)의 하단 좌,우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환자를 보호복 본체(100)에 입히기 위해 환자의 상지를 지퍼부재(105)가 개방되어 펼쳐져 있는 좌,우측 상지보호부(110,120)의 상측에 배치하고, 환자의 하지를 좌,우측 하지보호부(140,150)의 상측에 배치하며, 환자의 등 부위가 몸체부(13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한 후에 지퍼부재(105)를 닫을 수 있도록 연결하여 환자의 신체 부위를 각각 보호복 본체(100) 내에 수용되도록 입힐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결속수단(200)은 상기 좌,우측 상지보호부(110,120)의 내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제1수버클(215)이 마련되는 제1연결끈(210)과, 상기 몸체부(130)의 좌,우 양측에 고정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연결끈(210)이 통과되는 연결고리(220)와, 상기 침대 프레임(15)에 마련되며 상기 제1수버클(215)이 록킹 결합되는 제1암버클(23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제1결속수단(200)은 상기 좌,우측 상지보호부(110,120)를 침대 프레임(15)에 대해 일정 거리 움직임이 허용되도록 제1연결끈(2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결속수단(200)은 상기 좌,우측 상지보호부(110,120) 내에 사용자인 환자의 상지 부위가 수용되도록 입혀진 상태에서 제1연결끈(210)이 몸체부(130)에 마련된 연결고리(220)를 통과하여 침대 프레임(15)에 마련된 제1암버클(230)에 제1수버클(215)이 록킹 결합됨에 따라, 일정 유격 범위 내에서 상지 움직임을 허용하여 답답함을 해소하면서 침대 프레임(15)에 환자의 상지 부위를 구속시켜 중증 치매 환자의 자해 및 타인에 대한 상해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제2결속수단(300)은 상기 좌,우측 하지보호부(140,150)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에 배치되는 결합끈(310)의 단부에 각각 마련되며 록킹 결합 가능한 제2암,수버클(330,320)과, 상기 좌,우측 하지보호부(140,150)의 외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2연결끈(340)과, 상기 제2연결끈(340)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침대 프레임(15)에 고정된 제3암버클(360)에 록킹 결합되는 제3수버클(350)을 구비한다.
상기 제2결속수단(300)의 제2암버클(330)과 제2수버클(320)은 환자의 무릎부위(하지의 상측부위)와 발목부위(하지의 하측부위)에 해당하는 서로 마주보는 좌,우측 하지보호부(140,150)에 결합끈(310)으로 연결되어 록킹 결합시 환자의 좌,우측 하지가 결합끈(310)의 길이에 따른 제한된 유격에서만 움직임이 가능하게 되며, 환자의 무릎부위와 발목부위에 해당하는 부위에 각각 마련된 상기 제3수버클(350)이 침대 프레임(15)에 마련된 제3암버클(360)에 각각 록킹 결합됨에 따라 제2연결끈(340)의 길이에 따른 제한된 유격에서만 하지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결합끈(310)과 제1,2연결끈(210,340)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중간 부위에 길이조절고리(212)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침대 프레임(15)에 고정되도록 마련된 제1암버클(230)과 제3암버클(360)은 별도의 고정끈으로 침대 프레임(15)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결속수단(200)은 제1수버클(215)과 제1암버클(230) 대신에 벨크로 테이프를 채택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결속수단(300)의 제2,3수버클과 제2,3암버클 대신에 벨크로 테이프를 채택할 수 있다.
도 2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몸체부(130)의 배면 좌,우 양측에 마련되고 외부의 유체제어부로부터 유체가 번갈아 공급 및 배출됨에 따라 부피가 가변되면서 환자의 등 부위 좌,우측에 번갈아 움직임을 부여하는 좌,우측 에어쿠션재(410,42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좌,우측 에어쿠션재(410,420)에 공급 및 배출되는 유체는 에어를 채택할 수 있다.
상기 좌,우측 에어쿠션재(410,420)는 몸체부(130)의 배면 좌,우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고 환자의 척추 부위를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좌,우 양측에 배치된다.
상기 좌,우측 에어쿠션재(410,420)는 침대 프레임(15)의 하측에 마련된 유체제어부로부터 압송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부피가 팽창하고, 좌,우측 에어쿠션재(410,420) 내의 유체가 다시 배출될 경우 부피가 원래대로 복원되는 성질을 갖는다.
또한, 상기 유체제어부는 상기 좌,우측 에어쿠션재(410,420) 내에 유체를 번갈아 공급하여 환자의 등부위를 좌,우 번갈아 들어 올려서 환자의 등부위를 강제 운동시킴으로써, 환자의 등부위 혈액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유체제어부는 도 5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에어쿠션재(410) 내에 유체가 공급될 경우, 우측 에어쿠션재(420) 내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조절하며, 이와 반대로 도 5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에어쿠션재(420) 내에 유체가 공급될 경우 좌측 에어쿠션재(410) 내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조절하게 된다.
상기 유체제어부는 상기 좌,우측 에어쿠션재(410,420) 내에 번갈아 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유입호스(452)와 배출호스(454)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유입호스(452)를 통해 유체를 공급하도록 펌프(455)가 구비되며, 상기 배출호스(454)에는 유체의 배출을 위한 개폐밸브(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유체제어부는 별도의 타이머(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타이머가 구비된 경우 상기 유입호스(452)와 배출호스(454)를 통해 좌,우측 에어쿠션재(410,420)에 유체가 일정시간동안 번갈아 공급 및 배출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등부위가 좌,우로 기울기를 갖도록 움직임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좌,우측 하지보호부(140,150)의 배면 좌,우 양측에 마련되고 외부의 유체제어부로부터 유체가 번갈아 공급 및 배출됨에 따라 부피가 가변되면서 환자의 허벅지 부위 좌,우측에 번갈아 움직임을 부여하는 제1,2에어백부재(510,520)를 더 구비한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2에어백부재(510,520)는 좌,우측 하지보호부(140,150)의 배면 부위 중 환자의 허벅지 부위에 해당하는 부위에 마련된다.
상기 제1,2에어백부재(510,520)는 침대 프레임(15)의 하측에 마련된 유체제어부로부터 압송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부피가 팽창하고, 제1,2에어백부재(510,520) 내의 유체가 다시 배출될 경우 부피가 원래대로 복원되는 성질을 갖는다.
또한, 상기 유체제어부는 상기 제1,2에어백부재(510,520) 내에 유체를 번갈아 공급하여 환자의 좌,우측 허벅지부위를 좌,우 번갈아 들어 올려서 환자의 무릎부위를 강제 운동시킴으로써, 하지 재활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유체제어부는 상기 제1,2에어백부재(510,520)내에 번갈아 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공급호스(552)와 유출호스(554)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공급호스(552)를 통해 유체를 공급하도록 제어펌프(555)가 구비되며, 상기 유출호스(554)에는 유체의 유출을 위한 개폐제어밸브(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유체제어부는 별도의 타이머(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타이머가 구비된 경우 상기 공급호스(552)와 유출호스(554)를 통해 제1에어백부재(510,520)에 유체가 일정시간동안 번갈아 공급 및 배출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허벅지부위가 무릎부위를 중심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강제 움직임을 부여할 수 있게 되어 하지 재활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보호복 본체(100)는 환자의 피부 건강을 위해 은나노입자가 함유된 항균 섬유로 구성되거나, 원적외선 방출물질이 도포된 섬유를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환자의 신체 부위 중 상지부위가 지퍼부재(105)로 닫혀진 보호복 본체(100)의 좌,우측 상지보호부(110,120) 내에 수용되고, 환자의 하지부위가 보호복 본체(100)의 좌,우측 하지보호부(140,150) 내에 수용되며, 한자의 등부위와 배부위가 보호복 본체(100)의 몸체부(130) 내에 수용되도록 보호복 본체(100)를 입힌 상태로 침대(10)에 눕힌다.
이후에, 환자가 자해하거나 타인을 상해하지 않도록 침대(10)에 결속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속수단(200)의 제1수버클(215) 및 제1연결끈(210)을 몸체부(130)에 고정된 연결고리(220)를 통과시켜서 당긴 후에, 좌,우측 상지보호부(110,120)의 하측을 통해 제1연결끈(210)을 침대 프레임(15)의 외측으로 빼낸 후에, 제1수버클(215)을 침대 프레임(15)에 고정된 제1암버클(230)에 록킹 결합시킨다.
이로 인해 환자의 상지가 좌,우측 상지보호부(110,120)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연결끈(210)이 연결고리(220)를 통과하여 제1암버클(230)에 록킹 결합됨에 따라, 환자의 상지는 좌,우측 상지보호부(110,120)가 몸체부(130)에 밀착된 상태로 구속됨과 아울러, 몸체부(130)에 밀착된 제1연결끈(210)의 길이만큼 유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제2결속수단(300)의 제2수버클(320)과 제2암버클(330)을 서로 록킹 결합시켜 환자의 좌,우측 하지(무릎부위와 발목부위)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제3수버클(350)을 침대 프레임(15)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 제3암버클(360)에 결합시켜 환자의 하지 부위를 침대 프레임(15)에 구속시킨다.
이때, 본 발명은 환자가 침대(10)에 구속된 상태에서도 환자의 상지부위는 제1결속수단(200)의 제1연결끈(210) 길이에 따른 유격 범위 내에서 움직임이 가능하며, 환자의 하지부위는 제2연결끈(340)과 결합끈(310)의 길이에 따른 유격 범위 내에서 움직임이 가능하므로, 중증 치매환자인 경우에도 환자의 자해 및 타인에 대한 상해를 예방하면서 일정 범위 움직임을 부여하여 답답함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환자가 침대(10)에 구속된 상태에서도 유체제어부를 통해 좌,우측 에어쿠션재(410,420) 내에 유체가 공급 및 배출동작이 번갈아 이루어지게 되므로, 환자의 등부위를 강제 운동시켜 혈액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피부가 연약한 고령의 환자일 경우 쉽게 발생하는 욕창 등의 피부병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 보호복 본체(100)는 은나노입자가 함유된 항균 섬유로 구성됨에 따라 제균 기능을 수행하여 환자의 피부병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환자가 침대(10)에 구속된 상태에서도 유체제어부를 통해 제1,2에어백부재(510,520) 내에 유체가 공급 및 유출동작이 번갈아 이루어지게 되므로, 환자의 하지가 좌,우측 하지보호부(140,150)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2에어백부재(510,520)가 번갈아 부풀어 올라 환자의 허벅지 부위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게 되어 환자의 하지부위를 강제 재활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침대 15 : 침대 프레임
100 : 보호복 본체 105 : 지퍼부재
110,120 : 좌,우측 상지보호부 130 : 몸체부
140,150 : 좌,우측 하지보호부 200 : 제1결속수단
210 : 제1연결끈 215 : 제1수버클
220 : 연결고리 230 : 제1암버클
250 : 길이조절고리 300 : 제2결속수단
310 : 결합끈 320 : 제2수버클
330 : 제2암버클 340 : 제2연결끈
350 : 제3수버클 360 : 제3암버클
410,420 : 좌,우측 에어쿠션재 452 : 유입호스
454 : 배출호스 455 : 펌프
510,520 : 제1,2에어백부재 552 : 공급호스
554 : 유출호스 555 : 제어펌프

Claims (6)

  1. 환자의 신체 상지와 몸통 및 하지부위를 감싸는 좌,우측 상지보호부(110,120)와 몸체부(130) 및 좌,우측 하지보호부(140,150)가 복수의 지퍼부재(105)에 의해 전면과 배면으로 연결 및 펼쳐짐이 가능한 보호복 본체(100)와;
    상기 좌,우측 상지보호부(110,120)를 제한된 유격안에서만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각각 침대 프레임(15)에 결속시키는 제1결속수단(200)과;
    상기 좌,우측 하지보호부(140,150)를 결합끈(310)의 길이조절로 제한된 유격안에서만 움직일 수 있도록 서로 결속시키고 좌,우측 하지보호부(140,150)의 상,하부부위를 상기 침대 프레임(15)의 좌,우측에 제한된 유격안에서만 움직일 수 있도록 결속시키는 제2결속수단(300)과;
    상기 몸체부(130)의 배면 좌,우 양측에 마련되어 환자의 등 부위 좌,우측에 번갈아 움직임을 부여하는 좌,우측 에어쿠션재(410,420); 및
    상기 좌,우측 하지보호부(140,150)의 배면 좌,우 양측에 마련되어 환자의 허벅지 부위 좌,우측에 번갈아 움직임을 부여하는 제1,2에어백부재(510,520);를 포함하고,
    상기 상기 제1결속수단(200)은 상기 좌,우측 상지보호부(110,120)의 내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제1수버클(215)이 마련되는 제1연결끈(210)과, 상기 몸체부(130)의 좌,우 양측에 고정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연결끈(210)이 통과되는 연결고리(220)와, 상기 침대 프레임(15)에 마련되며 상기 제1수버클(215)이 록킹 결합되는 제1암버클(230)로 구성되고,
    상기 제2결속수단(300)은 상기 좌,우측 하지보호부(140,150)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에 배치되는 결합끈(310)의 단부에 각각 마련되며 록킹 결합 가능한 제2암,수버클(330,320)과, 상기 좌,우측 하지보호부(140,150)의 외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2연결끈(340)과, 상기 제2연결끈(340)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침대 프레임(15)에 고정된 제3암버클(360)에 각각 록킹 결합되는 제3수버클(3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보호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에어쿠션재(410,420)와 제1,2에어백부재(510,520)는 외부의 유체제어부로부터 유체가 번갈아 공급 및 배출됨에 따라 부피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보호복.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체제어부는 상기 좌,우측 에어쿠션재(410,420) 내에 번갈아 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유입호스(452)와 배출호스(454)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유입호스(452)를 통해 유체를 공급하도록 펌프(455)가 구비되며, 상기 배출호스(454)에는 유체의 배출을 위한 개폐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보호복.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체제어부는 상기 제1,2에어백부재(510,520)내에 번갈아 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공급호스(552)와 유출호스(554)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공급호스(552)를 통해 유체를 공급하도록 제어펌프(555)가 구비되며, 상기 유출호스(554)에는 유체의 유출을 위한 개폐제어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보호복.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체제어부는 타이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보호복.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복 본체(100)는 은나노입자가 함유된 항균 섬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보호복.
KR1020180041600A 2018-04-10 2018-04-10 환자 보호복 KR102078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600A KR102078747B1 (ko) 2018-04-10 2018-04-10 환자 보호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600A KR102078747B1 (ko) 2018-04-10 2018-04-10 환자 보호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371A KR20190118371A (ko) 2019-10-18
KR102078747B1 true KR102078747B1 (ko) 2020-02-19

Family

ID=68462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600A KR102078747B1 (ko) 2018-04-10 2018-04-10 환자 보호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7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06857A (zh) * 2020-10-12 2020-12-01 乔玲娟 一种方便输液治疗的精神科患者护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788B1 (ko) 2021-12-03 2022-03-14 서은미 환자 결속구
CN114766760B (zh) * 2022-04-26 2023-08-15 郑州大学 一种具有跌倒防护功能的智能护理服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4529A (ja) * 1999-08-19 2001-02-27 Teruo Furuichi 医療用保護装着具
KR100816780B1 (ko) 2007-04-28 2008-03-25 천숙자 치매환자 보호용 전신 억제복
KR100825400B1 (ko) * 2007-05-11 2008-04-29 바이오슬립메드 주식회사 수면 호흡장애 또는 욕창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 및 이를이용한 수면 호흡장애와 욕창 방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457B1 (ko) * 2010-05-03 2012-12-03 주식회사 비 에스 지 감염 방지성이 우수한 병원 의복용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37134B1 (ko) 2011-12-06 2012-04-20 조정현 침대고정용 환자 보호복
KR101140579B1 (ko) 2011-12-06 2012-05-07 주식회사 생글 환자용 보호복
KR20130005103U (ko) * 2013-07-12 2013-08-27 이정희 치매 환자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4529A (ja) * 1999-08-19 2001-02-27 Teruo Furuichi 医療用保護装着具
KR100816780B1 (ko) 2007-04-28 2008-03-25 천숙자 치매환자 보호용 전신 억제복
KR100825400B1 (ko) * 2007-05-11 2008-04-29 바이오슬립메드 주식회사 수면 호흡장애 또는 욕창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 및 이를이용한 수면 호흡장애와 욕창 방지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06857A (zh) * 2020-10-12 2020-12-01 乔玲娟 一种方便输液治疗的精神科患者护理装置
CN112006857B (zh) * 2020-10-12 2022-03-04 乔玲娟 一种方便输液治疗的精神科患者护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371A (ko) 2019-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77635A1 (en) Orthopedic device and method for securing the same
KR102078747B1 (ko) 환자 보호복
US6859948B2 (en) Hip protector system
US4117840A (en) Pediatric restraint garment
US20190070062A1 (en) Flexible Members for Anchoring to the Body
EA015564B1 (ru) Интегрируемая в одежду система для вытягивания пениса
US5895366A (en) Hip and knee abductor with air bladder
US4524768A (en) Restraint garment
JP2007185246A (ja) 吊り具
US10952919B2 (en) Pneumomassage sleeve
JP2008081864A (ja) 腰部保護ズボン
JP2005312600A (ja) 介護リフト用装着具及びリフト機能付き歩行車
CN214231681U (zh) 一种狂躁患者约束背心结构
KR101515757B1 (ko) 지지밴드가 구비된 기능성 의복
CN212308170U (zh) 一种躁动病人约束装置
KR101467143B1 (ko) 지지밴드가 구비된 기능성 의복
CN212877754U (zh) 一种约束衣
CN215425521U (zh) 一种纳米下肢深静脉血栓防护套
CN211021081U (zh) 一种防出走、防暴力的精神病人保护连体衣
GB2514314A (en) Joint safe remedial and joint protector
JP2019099985A (ja) 介護用衣類
KR102373788B1 (ko) 환자 결속구
KR200170556Y1 (ko) 환자 이송용 침대
KR102153321B1 (ko) 휠체어 낙상 방지용 탈부착 보조의
RU218167U1 (ru) Изделие в форме трус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