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610B1 - 재활용 기능을 갖는 단열박스 - Google Patents

재활용 기능을 갖는 단열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610B1
KR102078610B1 KR1020180066270A KR20180066270A KR102078610B1 KR 102078610 B1 KR102078610 B1 KR 102078610B1 KR 1020180066270 A KR1020180066270 A KR 1020180066270A KR 20180066270 A KR20180066270 A KR 20180066270A KR 102078610 B1 KR102078610 B1 KR 102078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box
box body
thermal insulation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9602A (ko
Inventor
금용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안
Priority to KR1020180066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610B1/ko
Publication of KR20190139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6Linings or internal coatings, e.g. pre-formed trays provided with a blow- or thermoformed layer
    • B65D5/563Laminated linings;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2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with one or more containers located inside the external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 기능을 갖는 단열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박스본체의 내부에 보온 또는 보냉을 위한 단열부를 구비하여 단열 효율을 유지함과 동시에 단열부의 분리를 원활하게 하여 재활용으로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재활용 기능을 갖는 단열박스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물체가 충돌할 때 충격력을 완화시키도록 완충(absorb)력을 형성하는 골판지(corrugated cardboard)를 이용하여 물품을 수용가능하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개폐가능한 6면체로 형성되고, 내면은 접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표면이 매끄러운 내지가 구비되는 박스본체와, 상기 박스본체의 내면에 분리가능하도록 접착되는 점착층과, 어패류(魚貝類), 육류(肉類), 농산물(農産物)과 같은 물품을 수용하여 신선하게 수송 또는 이송할 수 있도록 열기의 이동을 최소화하는 단열층으로 구성되는 단열부; 를 포함하는 단열박스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은 복수 개의 공기층을 형성한 폴리에틸렌 폼과, 상기 폴리에틸렌 폼의 일면을 통해 적층되어 외부의 빛, 자외선을 차단함과 동시에 열의 이동을 차단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알루미늄박지와, 습기나 물의 침투를 방지하고 유지(油脂)의 침투에 대해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연신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propylene)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활용 기능을 갖는 단열박스{Heat-insulating box with recycling function}
본 발명은 재활용 기능을 갖는 단열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박스본체의 내부에 보온 또는 보냉을 위한 단열부를 구비하여 단열 효율을 유지함과 동시에 단열부의 분리를 원활하게 하여 재활용으로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재활용 기능을 갖는 단열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물품 등을 안전하게 이동시키거나 또는 배송하기 위해 단열박스가 사용된다.
이러한 단열박스는 주로 부패되기 쉬운 어패류(魚貝類), 육류(肉類), 농산물(農産物)과 같은 각종 물품들을 신선하게 유통시키기 위해 스티로폼(styrofoam), 스티로폴 등으로 불리는 발포폴리스티렌(expandedpolystyrene)을 이용하여 제작하거나, 또는 종이로 형성되는 박스의 측면과 상하면에 진공단열재 및 스티로폴을 적층하여 제작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단열박스는 전체가 스티로폼으로 형성되거나 일부가 스티로폼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종이나 플라스틱 재질과 같은 재활용품에 비하여 재활용이 어려울 뿐 아니라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스티로폼 단열박스는 종이박스와 같이 상품에 대한 다양한 설명 및 광고 등을 표면에 인쇄하는데 제한적일 수밖에 없고 제작된 상자를 접을 수가 없기 때문에 원형을 그대로 유지시켜야 함으로 부피가 현저하게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티로폼 단열박스는 휘발성 물질이 닿으면 즉시 녹기 때문에 취급에 주의를 요함과 동시에 약간의 충격에도 잘 부스러져 내구성이 약한 문제점이 있다.
또, 골판지와 같은 종이로 제작되는 박스인 경우에는 표면에 내용물 상품에 대한 다양한 설명 및 광고를 나타낼 수 있으나 유통과정에서 내용물에 대한 적정한 온도의 단열이 어려워 농산물이나 수산물 같은 신선 물품을 취급(담음)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03-0060191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패류(魚貝類), 육류(肉類), 농산물(農産物)과 같은 물품을 신선하게 수송 또는 이송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재활용을 용이하게 이루도록 하는 단열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물체가 충돌할 때 충격력을 완화시키도록 완충(absorb)력을 형성하는 골판지(corrugated cardboard)를 이용하여 물품을 수용가능하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개폐가능한 6면체로 형성되고, 내면은 접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표면이 매끄러운 내지가 구비되는 박스본체와, 상기 박스본체의 내면에 분리가능하도록 접착되는 점착층과, 어패류(魚貝類), 육류(肉類), 농산물(農産物)과 같은 물품을 수용하여 신선하게 수송 또는 이송할 수 있도록 열기의 이동을 최소화하는 단열층으로 구성되는 단열부; 를 포함하는 단열박스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은 복수 개의 공기층을 형성한 폴리에틸렌 폼과, 상기 폴리에틸렌 폼의 일면을 통해 적층되어 외부의 빛, 자외선을 차단함과 동시에 열의 이동을 차단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알루미늄박지와, 습기나 물의 침투를 방지하고 유지(油脂)의 침투에 대해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연신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propylene)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외부는 골판지로 형성하고, 내부는 폴리에틸렌(PE), 연신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propylene, OPP)과 같은 재질로 단열부를 형성하여 어패류(魚貝類), 육류(肉類), 농산물(農産物)과 같은 물품을 신선하고 안전하게 수송 또는 이송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외부 골판지와 내부 단열부의 분리를 용이하고 원활하게 하여 재활용 효율을 향상시켜 환경 오염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구성을 향상시켜 훼손이나 파손을 최소화하고 취급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열박스의 박스본체와 단열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요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열박스에 물품과 열교환수단을 삽입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박스에 물품과 열교환수단을 삽입한후 밀봉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박스(100)는 박스본체(110)와 단열부(120)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박스본체(110)는 물체가 충돌할 때 충격력을 완화시키도록 완충(absorb)력을 형성하는 골판지(corrugated cardboard)를 이용하여 물품을 수용가능하도록 내부공간(111)을 구비하는 개폐가능한 6면체로 형성되고, 내면은 접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표면이 매끄러운 내지(1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내지(112)는 상기 단열부(120)의 접착과 분리가 원활하도록 크라프트지(kraft paper : 화학펄프의 일종인 미표백 크라프트펄프를 주원료로 하는 포장용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단열부(120)를 박스본체(110)의 내면에 접착(결합)시 원활한 접착(결합)을 이룰 수 있고, 또 필요시 단열부(120)의 분리를 원활하게 이룰 수 있다.
또, 상기 박스본체(110)는 상부 또는 하부에 개폐를 위해 접힘과 펼침 동작을 위한 각면에 절첩부(113a)와 절개부(113b)를 갖는 복수 개의 개폐면(113)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절첩부(113a)를 기준으로 각 개폐면(113)을 접게 되면 절개부(113b)에 의해 각 개폐면(113)이 독립적으로 안쪽으로 접히면서 박스본체(110)는 폐쇄된다.
반대로, 상기 절첩부(113a)를 기준으로 각 개폐면(113)을 펼치게 되면 절개부(113b)에 의해 각 개폐면(113)이 독립적으로 바깥쪽으로 펼쳐지면서 박스본체(110)는 개방된다.
또, 상기 박스본체(110)는 예컨대 골판형, 플루트(예컨대, E-플루트, F-플루트, N-플루트 또는 G-플루트) 비골판형 또는 엠보싱형 공기 채널(11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플루트(Flute)는 가늘고 길게 입구가 오므라진 형태를 일컫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기 채널(114)은 수직, 수평, 대각선 또는 다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서로 평행하게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채널(114)은 양단이 폐쇄되는 것이 열의 이동을 차단하고 단열효율을 향상시키는데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박스본체(110)에 형성된 공기 채널(114)의 양단은 열 이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테이프 등에 의해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박스본체(110)의 외면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글씨나 그림, 도형과 같은 인쇄물이 형성된다.
상기 단열부(120)는 박스본체(110)의 내면에 분리가능하도록 접착되는 점착층(121)과, 어패류(魚貝類), 육류(肉類), 농산물(農産物)과 같은 물품을 수용하여 신선하게 수송 또는 이송할 수 있도록 열기의 이동을 최소화하는 단열층(1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점착층(121)은 접착제의 도포시 전이(轉移, transition)현상 없이 접착이 용이하도록 일면이 코로나 즉, 방전처리(discharge treatment)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 high density polyethylene)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의 일면에 방전처리기를 사용하여 코로나염을 발생시켜 그 사이로 필름을 통과시켜 표면을 개질하는 방전처리를 함으로써 필름 표면이 산화되어 친수성의 정도를 가리키는 물과의 접촉각이 작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점착층(121)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의 일면에 접착제의 도포시 전이현상이 방지되므로 상기 단열층(122)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박스본체(110)의 내면에 탈부착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기 때문에 분리수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시트의 변형을 줄이고 박스본체(110)의 내면과 탈부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접착제의 점착력을 1,000 ∼1,200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층(121)은 단열부(120)를 박스본체(110)의 내면에 접착(결합)시 원활한 접착(결합)과 분리를 이루도록 상기 박스본체(110)의 절첩부(113a) 이하로 접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절첩부(113a)를 기준으로 각 개폐면(113) 까지 전체 접착을 하게 되면 물품의 포장 후, 추후 설명할 열교환수단(130)에 의해 발생하는 결로나 습기또는 수분 등이 빈틈을 통해 상기 박스본체(110)로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절첩부(113a)를 기준으로 아래면으로만 점착층(121)이 접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절첩부(113a)를 기준으로 윗면과 아랫면에 위치하는 단열부(120)는 추후 테이프(미도시) 등에 의해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착제는 단열층(122)을 박스본체(110)에 쉽고 견고하게 부착하거나 쉽게 분리가능하도록 아크릴계 접착제 또는 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접착제는 아크릴 공중합체와 용제로 구성된다.
상기 아크릴계 접착제는 에텔렌계 카르본산 단량체 부분이 0∼10중량부이고 점도가 500∼50,000 센티포아즈인 하나 이상의 아크릴 에스테르 단량체 + 에틸렌계 카르본산 단량체의 아크릴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한다.
그리고 아크릴 공중합체에 사용되는 아크릴 에스테르 단량체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디메틸푸말레이트, 디에틸푸말레이트, 디메틸말레이트, 디메틸이타코네이트, 모노메틸푸말레이트, 모노에틸푸말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틸메타크릴레이트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틸메타크릴레이트이다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본산 단량체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인산, 푸말산, 이타콘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이다. 아크릴산이 공중합 올리고머에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중량부 사용된다.
상기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여러가지 포물레이션으로 준비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하여 소량의 보호된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하여 상온 건조 조건에서는 용매의 증발에 의하여 가경화되고 가열 해리 반응에 의하여 보호된 이소시아네이트가 활성화되어 우레탄 반응에 의하여 경화된다.
디이소시아네이트 보호제로는 페놀, 페놀 유도체, 옥심, 락탐, 디알킬말로네이트, 피라졸 유도체, 트리아졸과 이미다졸 등이 있다.
다른 방식으로는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하고 우레탄 프리폴리머디아크릴레이트를 첨가하고 가교성분을 소량 첨가하여 가교반응을 일으켜 열경화시킬 수 있다.
이때, 가교 성분으로는 친핵성 열반응성 가교 성분과 친전자성 열반응성 가교성분이 사용된다.
친핵성 열반응성 가교 성분으로의 히드록시 알킬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는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메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와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에틸렌계 아마이드와 에틸렌계아민으로는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메틸롤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와 대응하는 이들의 아민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아마이드 01 내지 3 중량부를 사용한다.
또한, 친전자성 열반응성 가교성분으로 글리시딜화합물로는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메틸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친전자성 알킬, 아릴 또는 아랄킬 퍼옥시드로는 3급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디-ter-부틸퍼옥시드, 라우릴퍼옥시드, 벤조익퍼옥시드등이 사용된다.
또한, 말레산 무수물도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01내지 3 중량부가 사용된다.
또 다른 방식으로는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하고 개시제와 아크릴레이트를 첨가하여 우레탄계 접착제를 배합할 수 있다.
아크릴레이트로는 모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디아크릴레이트가 사용된다.
디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우레탄 프리폴리머 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에톡실화디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디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에톡실화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알킬레이트, 글리세린프로폭실화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모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 아크릴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등이다 개시제로는 분해온도가 비교적 높은 R-N=N-R' 구조식의 아조화합물이 사용된다.
이러한 아크릴 접착제 또는 우레탄 접착제의 고형물은 용제에 의하여 2배 이상 희석된다.
흔히 사용되는 용제로는 BTX 용제와 케톤류, 예를 들면, MIBK와 MEK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접착제는 롤코팅 또는 콤마 코팅에 의하여 탈부착 가능한 적정한 두께로 상기 점착층(121)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의 일면에 일정하게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열층(122)을 박스본체(110)에 쉽게 부착하거나 분리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쓰리엠사'(3M company)의 '포스트-잇'(postit) 이라는 상표명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접착 메모지에 사용되는 접착성을 갖는 접착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단열층(122)은 점착층(121)의 타 일면과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외부와 내부의 온도변화를 최소화하도록 복합 단열재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단열층(122)은 복수 개의 공기층(a)을 형성한 폴리에틸렌 폼(122a)과, 상기 폴리에틸렌 폼(122a)의 일면을 통해 적층되어 외부의 빛, 자외선을 차단함과 동시에 열의 이동을 차단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알루미늄박지(122b)와, 습기나 물의 침투를 방지하고 유지(油脂)의 침투에 대해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연신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propylene)(122c)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폴리에틸렌 폼(122a)에 복수 개의 공기층(a)을 형성함으로써 열의 이동이 차단되거나 최소화되므로 단열부(120)에 의해 포장되는 물품의 열이 빼앗기거나 물품으로 열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장시간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단열층(122)은 라미네이트 가공(laminated finishing)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단열부(120)에 의해 어패류(魚貝類), 육류(肉類), 농산물(農産物)과 같은 물품을 신선하고 안전하게 수송 또는 이송함과 동시에 상기 박스본체(110)와의 분리를 용이하고 원활하게 하여 자원의 재활용으로 환경 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단열층(122)은 1∼10t 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단열층(122)의 두께가 1t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 단열 기능을 원활하게 이루지 못하고, 10t 이상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가격 상승을 유발하고 부피를 증가시켜 포장효율을 저하시킴은 물론 가격에 비해 월등한 단열효율을 도모할 수 없으므로 1∼10t 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열부(120)의 내부에는 열교환수단(13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수단(130)은 보온을 위한 핫팩이나 또는 보냉을 위한 얼음이나 냉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단열부(120)의 내에 형성되는 열교환수단(130)을 통해 본 발명의 단열박스(100)는 물품의 보온이나 보냉을 더욱더 안전하고 신선하게 운반하거나 보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열교환수단(130)은 단열부(120)의 내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결로나 습기 및 수분이 박스본체(110)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보온 또는 보냉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박스본체(110)의 내면에 단열부(120)를 점착시킨다.
이때, 상기 단열부(120)의 점착층(121)은 박스본체(110)의 절첩부(113a)를 기준으로 아래면으로만 접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박스본체(110)를 박스 형태를 이루도록 접는다.
이때, 상기 박스본체(110)의 하면 폐쇄를 위해 절첩부(113a)를 기준으로 각 개폐면(113)을 접어 밑면을 폐쇄시켜 내부공간(111)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박스본체(110)의 하면 각 개폐면(113)에 대응하는 단열부(120)를 접어 절개부를 테이프로 밀봉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111)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단열부(120)는 기밀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다음, 상기 단열부(120)가 일체를 이루도록 접착된 박스본체(110)의 내부공간(111)에 이송이나 수송하고자 하는 물품과 열교환수단(130)을 삽입한다.
이후, 상기 박스본체(110)의 상면 각 개폐면(113)에 대응하는 단열부(120)를 접어 절개부를 테이프로 밀봉시킨다.
그리고, 상기 박스본체(110)의 상면의 폐쇄를 위해 절첩부(113a)를 기준으로 각 개폐면(113)을 접게 되면 절개부(113b)에 의해 상면 각 개폐면(113)이 독립적으로 안쪽으로 접히면서 박스본체(110)의 상면이 폐쇄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단열박스(100)는 기존의 스티로폼 박스를 대체하여 생선류나 육류 등 신선도가 유지되어야 할 식품 등의 보관인, 이송 또는 수송시 신선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동시에 사용 후 빈 상자를 재활용하거나 종이와 플라스틱을 쉽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티로폼 상자를 사용했던 경우에 비하여 환경 오염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단열박스(100)는 기존의 스티로폼 박스를 대체하여 환경 호르몬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상기 단열부(120)를 박스본체(110)의 외면으로도 형성함으로써, 박스본체(110)를 기준으로 내면과 외면 모두에서 열의 이동을 차단시키기 때문에 박스본체(110)의 단열성을 배가하여 어패류(魚貝類), 육류(肉類), 농산물(農産物)과 같은 물품을 더욱더 신선하고 안전하게 수송과 이송 또는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단열박스 110 : 박스본체
111 : 내부공간 112 : 내지
113 : 개폐면 113a : 절첩부
113b : 절개부 114 : 공기채널
120 : 단열부 121 : 점착층
122 : 단열층 122a : 폴리에틸렌 폼
122b : 알루미늄박지 122c : 연신폴리프로필렌
130 : 열교환수단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물체가 충돌할 때 충격력을 완화시키도록 완충(absorb)력을 형성하는 골판지(corrugated cardboard)를 이용하여 물품을 수용가능하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개폐가능한 6면체로 형성되고, 내면은 접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표면이 매끄러운 내지가 구비되는 박스본체와, 상기 박스본체의 내면에 분리가능하도록 접착되는 점착층과, 어패류(魚貝類), 육류(肉類), 농산물(農産物)과 같은 물품을 수용하여 신선하게 수송 또는 이송할 수 있도록 열기의 이동을 최소화하는 단열층으로 구성되는 단열부; 를 포함하는 단열박스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은 복수 개의 공기층을 형성한 폴리에틸렌 폼과, 상기 폴리에틸렌 폼의 일면을 통해 적층되어 외부의 빛, 자외선을 차단함과 동시에 열의 이동을 차단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알루미늄박지와, 습기나 물의 침투를 방지하고 유지(油脂)의 침투에 대해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연신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propylene)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기능을 갖는 단열박스.
  7. 삭제
  8. 삭제
KR1020180066270A 2018-06-08 2018-06-08 재활용 기능을 갖는 단열박스 KR102078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270A KR102078610B1 (ko) 2018-06-08 2018-06-08 재활용 기능을 갖는 단열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270A KR102078610B1 (ko) 2018-06-08 2018-06-08 재활용 기능을 갖는 단열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602A KR20190139602A (ko) 2019-12-18
KR102078610B1 true KR102078610B1 (ko) 2020-02-19

Family

ID=69052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270A KR102078610B1 (ko) 2018-06-08 2018-06-08 재활용 기능을 갖는 단열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6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619Y1 (ko) * 2020-01-10 2020-11-11 주식회사 에다포스코리아 형상변경이 자유로운 골판지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0066A (ja) * 2001-07-05 2003-01-21 Tokan Kogyo Co Ltd 段ボール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包装箱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191A (ko) 2002-01-07 2003-07-16 에스아이에스기술(주) 진공단열재를 이용한 종이박스
KR102586939B1 (ko) * 2014-01-13 2023-10-11 문제광 완충용 포장재
KR101634308B1 (ko) * 2014-04-18 2016-06-29 대한민국 물품보호 기능이 강화된 포장상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0066A (ja) * 2001-07-05 2003-01-21 Tokan Kogyo Co Ltd 段ボール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包装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602A (ko) 2019-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4356B2 (en) Cushioning air bag with automatically adjustable clamping pressure
KR100528304B1 (ko) 두루마리제품의저장및운반용용기
NL8101756A (nl) Velvormig verpakkingsmateriaal uit bekleed papier- microschuim.
MX2012003228A (es) Material de empaque protector anti-abrasivo y metodo para hacer el mismo.
KR102078610B1 (ko) 재활용 기능을 갖는 단열박스
US20220169435A1 (en) Thermal protection packaging
CN105691806A (zh) 一种多功能包装纸箱
JP2010509145A (ja) 紙などのシート材料を包装するための構造
JP2018069460A (ja) シート及び包装袋
JP2021020688A (ja) 包装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AU2005300651A1 (en) Laminate packaging
CZ11896A3 (en) Cardboard sectional packing for foodstuffs
CN211077017U (zh) 一种具有保护功能的瓦楞纸箱
KR102069866B1 (ko) 포장 장치
JP4365608B2 (ja) 修理用携帯情報機器の配送容器
CN211363729U (zh) 一种高缓冲性能瓦楞纸箱
KR20220140938A (ko) 물품 보관 및 이송용 단열 패키징 시스템
JP6047879B2 (ja) 包装体
CN206606569U (zh) 一种简易包装的亚克力大板
CN211443088U (zh) 一种商品运输用三角柱型纸箱
CN212603880U (zh) 一种耐压保温型瓦楞纸箱
US8074822B1 (en) Liner film and packaging system with liner film
CN210853308U (zh) 一种瓦楞纸纸箱的支撑结构
KR20200135635A (ko) 포장상자용 골판지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포장상자용 골판지
CN220243897U (zh) 一种高强度的瓦楞纸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