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528B1 - 신규한 hdac6 억제제를 이용한 치매 또는 인지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hdac6 억제제를 이용한 치매 또는 인지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528B1
KR102078528B1 KR1020180045283A KR20180045283A KR102078528B1 KR 102078528 B1 KR102078528 B1 KR 102078528B1 KR 1020180045283 A KR1020180045283 A KR 1020180045283A KR 20180045283 A KR20180045283 A KR 20180045283A KR 102078528 B1 KR102078528 B1 KR 102078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thiazol
hydroxypropanamide
hydroxy
propan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1664A (ko
Inventor
박현주
정영훈
장춘곤
백기선
목희연
정준민
김다은
서지연
남기범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45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528B1/ko
Publication of KR20190121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nd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nd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71/061,2,4-Oxadiazoles; Hydrogenated 1,2,4-oxa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45Oxa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DAC6 억제제, 및 이를 이용한 치매 또는 인지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HDAC6 선택적 억제제인 화합물52의 구조를 기반으로 새로운 56종의 HDAC6 선택적 억제제를 합성하였고, 그 결과 HDAC6에 대한 활성과 선택성이 가장 뛰어난 유도체 화합물32는 학습 및 기억력 손상에 대한 개선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HDAC6 억제제를 치매 또는 인지기능 장애를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에 적용하므로써 질병 기전연구에 기여하고 나아가 새로운 기전의 신약개발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신규한 HDAC6 억제제를 이용한 치매 또는 인지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ementia or cognitive disorder using novel HDAC6 inhibitors}
본 발명은 HDAC6 억제제, 및 이를 이용한 치매 또는 인지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세틸라아제 및 디아세틸라아제에 의하여 조절되는 히스톤의 아세틸화가 유전자 발현을 조절함이 알려지면서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HDAC, histone deacetylase)는 세포증식 억제인자의 발현을 저해함으로써 세포증식을 촉진시켜 세포의 종양화 및 분화를 조절하는데 중요한 인자이다. 따라서, HDAC 활성 억제는 암을 비롯한 기타 다른 질병 치료를 위한 표적으로 많은 주목을 받아 왔다. 현재까지 HDAC은 18개의 subtype이 보고되어 있으며, 각 subtype은 다른 기능과 역할을 가지며 연관된 질병도 차이를 보인다. 대부분의 HDAC이 핵 내부에 존재하면서 히스톤과 핵내 디아세틸화에 관여하는 반면 HDAC6는 핵과 세포질 사이를 오가면서 주로 세포질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디아세틸화에 관여한다. HDAC6 활성 억제는 항암효과, 면역반응 억제효과, 퇴행성 신경질환에 치료효과가 보고되어 있으며, 따라서 HDAC6 선택적 억제제는 새로운 기전의 면역질환, 퇴행성 신경질환 치료제 개발과 subtype 선택적인 HDAC 저해제의 적용 및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HDAC 억제제는 최근 새로운 항암제로써 vorinostat을 시작으로 chidamide, panobinostat 등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으나, 항암효과 이외에 HDAC의 여러 약리효과에 관한 활용의 폭이 제한적이다.
설사 항암효과로써 임상 사용이 승인된 HDAC 억제제라 하더라도, 대부분 subtype간 선택성이 없는 pan-HDAC 억제제로 subtype 특이적인 HDAC 억제제의 활용과 적용이 부족한 실정이었다. 또한, HDAC6 선택적 저해제로써 Tubastatin A, ricolinostat, ACY-241 등이 보고되었으나 현재까지 임상승인된 HDAC6 선택적 억제제는 없다. 현재까지 HDAC6 선택적 억제제와 관련해서 여러 연구가 수행중이나 HDAC 억제제의 특정 구조가 HDAC 활성과 subtype별 선택성을 결정하는지에 관한 실험적인 결과와 이론적 증거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또한, 치매를 포함한 신경퇴화와 관련된 질환들에 HDAC6 발현의 증가가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축적되고 있긴 하나 HDAC6 선택적 억제제의 희소성으로 인해 치매 및 신경퇴화질환에서의 HDAC6 억제 효과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한국공개공보 KR2013-0047623A 미국공개공보 US2015-0203468A1
본 발명은 HDAC6 억제제를 제공함으로써 이를 이용한 치매 또는 인지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학습 또는 기억력을 증진 및 개선시키며, 다양한 뇌신경계 이상으로 인한 치매 또는 인지장애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할 수 있다 :
[화학식 1]
Figure 112018038685586-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8038685586-pat00002
X 및 Y는 각각 독립적으로 질소(N), 황(S), 또는 산소(O)이고,
Z는 산소(O), 또는 수소 하나가 치환된 탄소(C)이고,
R1은 페닐, 5 또는 6원의 헤테로아릴, 또는 8 내지 12원의 바이헤테로아릴이고, 상기 헤테로아릴 및 바이헤테로아릴은 고리 내 N, S, 및 O 중 1개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R1 은 치환되지 않거나, 할로겐, 수산화기, 아민기, 시아노기, 알콕시기, 니트로기, 또는 트리플로오로메틸기로 치환될 수 있으며,
m은 1 또는 2이고, n은 0 내지 3의 정수이다.
그리고, 상기 화학식 1 또는 2에서,
R1 은 플루오로페닐(fluorophenyl), 페닐(phenyl), 1H-인돌-3-일(1H-indol-3-yl), 4-메톡시페닐(4-methoxyphenyl),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trifluoromethyl)phenyl), 4-아미노페닐(4-aminophenyl), 4-하이드록시페닐(4-hydroxyphenyl), 3,4-디메톡시페닐(3,4-dimethoxyphenyl), 4-브로모페닐(4-bromophenyl), 3-플루오로페닐(3-fluorophenyl), 3,4,5-트리메톡시페닐(3,4,5-trimethoxyphenyl), 3,4-디플루오로페닐(3,4-difluorophenyl), 4-클로로페닐(4-chlorophenyl),4-시아노페닐(4-cyanophenyl), 3,4-디하이드록시페닐(3,4-dihydroxyphenyl), 4-나이트로페닐(4-nitrophenyl), 3,4,5-트리하이드록시페닐(3,4,5-trihydroxyphenyl), 퓨란-2-일(furan-2-yl), 또는 티오펜-2-일(thiophen-2-yl)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
3-(3-(4-fluorophenethyl)-1,2,4-oxadiazol-5-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1) ;
(E)-3-(3-(4-fluorostyryl)-1,2,4-oxadiazol-5-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2) ;
N-hydroxy-3-(3-phenethyl-1,2,4-oxadiazol-5-yl)propanamide (화합물3) ;
(E)-N-hydroxy-3-(3-styryl-1,2,4-oxadiazol-5-yl)propanamide (화합물4) ;
4-(3-(4-fluorophenethyl)-1,2,4-oxadiazol-5-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5) ;
(E)-4-(3-(4-fluorostyryl)-1,2,4-oxadiazol-5-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6) ;
N-hydroxy-4-(3-phenethyl-1,2,4-oxadiazol-5-yl)butanamide (화합물7) ;
(E)-N-hydroxy-4-(3-styryl-1,2,4-oxadiazol-5-yl)butanamide (화합물8) ;
3-(2-((1H-indol-3-yl)m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9) ;
3-(2-benzylox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10) ;
N-hydroxy-3-(2-phenethyloxazol-4-yl)propanamide (화합물11) ;
(E)-N-hydroxy-3-(2-styryloxazol-4-yl)propanamide (화합물12) ;
3-(2-(2-(1H-indol-3-yl)ethyl)ox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13) ;
(E)-3-(2-(2-(1H-indol-3-yl)vinyl)ox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14) ;
4-(2-benzyloxazol-4-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15) ;
4-(2-((1H-indol-3-yl)methyl)oxazol-4-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16) ;
N-hydroxy-4-(2-phenethyloxazol-4-yl)butanamide (화합물17) ;
4-(2-(2-(1H-indol-3-yl)ethyl)oxazol-4-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18) ;
(E)-N-hydroxy-4-(2-styryloxazol-4-yl)butanamide (화합물19) ;
(E)-4-(2-(2-(1H-indol-3-yl)vinyl)oxazol-4-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20) ;
2-(4-fluorophenethyl)-N-hydroxythiazole-4-carboxamide (화합물21) ;
(E)-2-(4-fluorostyryl)-N-hydroxythiazole-4-carboxamide (화합물22) ;
2-(2-(4-fluorophenethyl)thiazol-4-yl)-N-hydroxyacetamide (화합물23) ;
(E)-2-(2-(4-fluorostyryl)thiazol-4-yl)-N-hydroxyacetamide (화합물24) ;
3-(2-benz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25) ;
3-(2-((1H-indol-3-yl)m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26) ;
N-hydroxy-3-(2-phenethylthiazol-4-yl)propanamide (화합물27) ;
(E)-N-hydroxy-3-(2-styrylthiazol-4-yl)propanamide (화합물28) ;
3-(2-(2-(1H-indol-3-yl)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29) ;
(E)-3-(2-(2-(1H-indol-3-yl)vin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30) ;
3-(2-(4-fluorophen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31) ;
(E)-3-(2-(4-fluorostyr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32) ;
N-hydroxy-3-(2-(4-methoxyphenethyl)thiazol-4-yl)propanamide (화합물33) ;
N-hydroxy-3-(2-(4-(trifluoromethyl)phenethyl)thiazol-4-yl)propanamide (화합물34) ;
3-(2-(4-aminophen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35) ;
N-hydroxy-3-(2-(4-hydroxyphenethyl)thiazol-4-yl)propanamide (화합물36) ;
3-(2-(3,4-dimethoxyphen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37) ;
3-(2-(4-bromophen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38) ;
3-(2-(3-fluorophen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39) ;
N-hydroxy-3-(2-(3,4,5-trimethoxyphenethyl)thiazol-4-yl)propanamide (화합물40) ;
3-(2-(3,4-difluorophen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41) ;
3-(2-(4-chlorophen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42) ;
3-(2-(4-cyanophen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43) ;
3-(2-(3,4-dihydroxyphen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44) ;
N-hydroxy-3-(2-(4-nitrophenethyl)thiazol-4-yl)propanamide (화합물45) ;
N-hydroxy-3-(2-(3,4,5-trihydroxyphenethyl)thiazol-4-yl)propanamide (화합물46) ;
3-(2-(2-(furan-2-yl)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47) ;
N-hydroxy-3-(2-(2-(thiophen-2-yl)ethyl)thiazol-4-yl)propanamide (화합물48) ;
4-(2-benzylthiazol-4-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49) ;
4-(2-((1H-indol-3-yl)methyl)thiazol-4-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50) ;
N-hydroxy-4-(2-phenethylthiazol-4-yl)butanamide (화합물51) ;
(E)-N-hydroxy-4-(2-styrylthiazol-4-yl)butanamide (화합물52) ;
4-(2-(2-(1H-indol-3-yl)ethyl)thiazol-4-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53) ;
(E)-4-(2-(2-(1H-indol-3-yl)vinyl)thiazol-4-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54) ;
4-(2-(4-fluorophenethyl)thiazol-4-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55) ; 및
(E)-4-(2-(4-fluorostyryl)thiazol-4-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56).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또는 2에서 R1은 플루오로페닐(fluorophenyl)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
3-(3-(4-fluorophenethyl)-1,2,4-oxadiazol-5-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1) ;
(E)-3-(3-(4-fluorostyryl)-1,2,4-oxadiazol-5-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2) ;
2-(4-fluorophenethyl)-N-hydroxythiazole-4-carboxamide (화합물21) ;
(E)-2-(4-fluorostyryl)-N-hydroxythiazole-4-carboxamide (화합물22) ;
2-(2-(4-fluorophenethyl)thiazol-4-yl)-N-hydroxyacetamide (화합물23) ;
(E)-2-(2-(4-fluorostyryl)thiazol-4-yl)-N-hydroxyacetamide (화합물24) ;
3-(2-(4-fluorophen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31) ;
(E)-3-(2-(4-fluorostyr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32) ; 및
(E)-4-(2-(4-fluorostyryl)thiazol-4-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56).
또한 본 발명은 (E)-3-(2-(4-fluorostyr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32),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들,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 또는 인지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6 (HDAC6) 선택적 억제제를 발굴함으로써 HDAC6 연관질병 연구에 기여하고, 퇴행성 신경질환 치료제후보물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HDAC6에 대한 활성과 선택성이 개선된 저해제를 발굴하고자 기존에 본 연구팀에서 개발한 HDAC6 선택적 억제제인 화합물52 (도 1)의 구조를 기반으로 in silico 모델링과 구조-활성 연구를 수행하여 새로운 HDAC6 선택적 억제제를 발굴하여 선택성의 이론적인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56종의 화합물52 유도체를 합성하고, HDAC1과 HDAC6 효소에 대한 in vitro 억제 활성치와 western blot으로 세포에서의 활성을 확인할 수 있고, 그 결과 HDAC6에 대한 활성과 선택성이 가장 뛰어난 유도체 화합물32 (도 1)는 마우스에서 스코폴아민 또는 아밀로이드 베타 (Aβ)로 유도된 학습 및 기억력 손상에 대한 개선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HDAC6 억제제를 치매 또는 인지기능 장애를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에 적용하므로써 질병 기전연구에 기여하고 나아가 새로운 기전의 신약개발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반물질인 HDAC 저해제 화합물52와 본 발명의 대표화합물인 화합물32의 구조이다.
도 2는, Para-fluorophenyl기가 cap group인 유도체들의 SAR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3은, 합성한 유도체 중 대표 HDAC6 억제 화합물인 화합물32의 PDB code 5EDU를 이용한 HDAC6 X-ray 결정구조와의 in silico 도킹 모델을 나타낸 것으로, HDAC6 중요 잔기와 전체 구조를 흰색, 결정구조 ligand인 trichostatin A는 노란색, 화합물32는 초록색으로 표시하였다.
도 4는, 합성한 유도체 중 대표 HDAC6 억제 화합물인 화합물32의 western blot 결과(세포주는 HeLa cell을 사용했으며 화합물32 처리후 24시간 후에 단백질을 수득함)이다.
도 5는, 합성한 유도체 중 우수한 억제 활성을 보인 상위 6개 유도체와 HDAC IC50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결과이다.
도 6은, 스코폴아민 또는 아밀로이드 베타 (Aβ)에 의해 유도된 치매 마우스 모델에서 화합물32의 처리에 의한 각 모델의 체중 변화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7은, Y-미로실험에서 화합물32 처리에 의해 나타나는 스코폴아민 또는 아밀로이드 베타 (Aβ) 유도 공간기억력 감소의 회복 효과에 대한 결과이다.
도 8은, 새로운 물체 인지 실험에서 화합물32 처리에 의해 나타나는 스코폴아민 또는 아밀로이드 베타 (Aβ) 유도 인지기억력 감소의 회복 효과에 대한 결과이다.
도 9는, 새로운 위치 인지 실험에서 화합물32 처리에 의해 나타나는 스코폴아민 또는 아밀로이드 베타 (Aβ) 유도 인지기억력 감소의 회복 효과에 대한 결과이다.
도 10은, 수동회피실험에서 화합물32 처리에 의해 나타나는 스코폴아민 또는 아밀로이드 베타 (Aβ) 유도 학습 및 기억력 감소의 회복효과에 대한 결과이다.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6(HDAC6)의 억제가 면역반응 억제, 퇴행성 신경질환 등에 치료효과가 있는 것이 보고되면서 효과적인 HDAC6 선택적 억제제 개발이 요구 되고 있으나, HDAC 억제제의 특정 구조가 HDAC 활성과 subtype별 선택성을 결정하는지에 관한 실험적인 결과와 이론적 증거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기존에 확보한 HDAC 억제제 화합물52의 중요구조 변경과 구조간 C chain 변경 등으로 HDAC6 억제제로써의 최적화를 실시하여 총 56종의 유도체 합성하였고, HDAC1/HDAC6 enzymatic assay를 수행하여 유도체들의 억제 활성과 선택성 계산하여 발굴된 우수한 HDAC6 선택적 억제제인 화합물32(도 1)의 세포 수준에서의 억제활성을 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고, 또한 HeLa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으로 HDAC6 억제농도에서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HDAC1/HDAC6의 X-ray 결정구조를 이용하여 유도체들의 in silico 도킹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HDAC6에 대한 활성과 선택성을 결정하는 이론적 증거를 규명하였고, 신규 HDAC6 선택적 억제제인 화합물32(도 1)를 이용하여 마우스에서 스코폴아민 또는 아밀로이드 베타 (Aβ)로 유도된 학습 및 기억력 감소에 대한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class I과 class II HDAC을 전반적으로 억제하는 비선택적 억제제 SAHA와 비교하면서 HDAC6의 선택적 억제의 효과를 검증하여 치매 또는 인지기능 장애를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치료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HDAC enzymatic assay를 통해 IC50값을 도출하여 HDAC6 및 HDAC1의 억제활성과 선택성을 확인하였다(실시예 1참고).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화합물52의 HDAC6 억제활성과 선택성을 최적화 하고자 cap group인 phenyl ring에 다양한 치환기를 도입했을 때 para 위치에 fluoro 기를 도입한 유도체 화합물56의 활성과 선택성이 다소 개선됨을 확인하고, 실시예 1에 따른 HDAC enzymaic assay 결과 도출해 낸 유도체 화합물 중 para-fluorophenyl ring을 cap group으로 갖는 유도체들만 분류하여 HDAC6에 대한 활성과 선택성을 비교한 결과이다(실시예 2 참고).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in sillico 도킹 분석을 통해 trans 이중결합 구조가 억제제의 cap 구조를 subtype간 잔기차이를 보이는 위치(Tyr204 in HDAC1, Phe679 in HDAC6)에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이중결합 구조가 HDAC6 선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확인하였다(실시예 3 참고).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우수한 HDAC6 선택적 저해제인 화합물 32의 western blot을 통해 튜불린 단백질의 아세틸화 변화를 확인하여 HDAC1 대비 HDAC6 억제 활성이 더 높다는 것을 알아내고(실시예 4-1 참고), HDAC6 enzymatic assay 결과를 기준으로 가장 활성이 큰 6개 화합물(화합물27, 화합물31, 화합물32, 화합물54, 화합물29, 화합물9)에 대하여 HeLa cell으로 세포독성 실험을 실시하여 세포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세포독성 IC50 농도보다 현저히 낮은 농도에서 HDAC6활성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실시예 4-2 참고).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스코폴아민 도는 아밀로이드 베타(Aβ)에 의해 유도된 치매 마우스 모델에서 우수한 HDAC6 선택적 저해제인 화합물32를 처리 후 체중변화, 공간기억력 감소의 회복되는 것을 관찰하여 SAHA보다 유도학습 및 기억력 손상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실시예 5 참고)
따라서 본 발명은 화합물 1 내지 56 또는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 또는 인지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 1 내지 56은 HDAC 억제제 화합물52의 중요구조 변경과 구조간 C chain 변경 등으로 HDAC6 억제제로써의 최적화를 실시하여 얻은 유도체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치매는 알츠하이머형 치매, 혈관성 치매, 전측두엽 치매, 가성 치매, 노인성치매, 파킨슨형 치매, 초로기치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존 치료 활성 성분, 기타 보조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등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 결정성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로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투여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동맥 주사, 정맥 주사, 경피 주사, 비강 내 투여, 경기관지 투여, 또는 근육 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체"란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 (mouse), 쥐 (rat),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약제학적 조성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환자의 연령, 성별, 상태, 체중, 체내에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율 및 배설속도, 질병종류, 병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으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팩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에 다른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HDAC6 억제제, 및 이를 이용한 치매 및 인지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하여 보다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조예 1. 화합물 52 의 유도체 설계
기존에 확보한 HDAC 억제제인 화합물52 (도 1)가 HDAC6에 활성이 있는 것에서 착안하여 화합물52를 기반으로 하여 유도체를 설계하였다. 화합물52는 크게 hydroxamate group의 Zn binding group, 구조 중앙에 위치한 thiazole ring linker, phenyl cap 구조로 이뤄져 있으며, HDAC6 활성과 선택성 개선을 위해 1) Zn binding group, ring linker, cap 사이의 C chain 길이와 bond state 최적화. 2) thiazole 이외의 여러 ring linker 구조 시도. 3) 여러 cap 구조의 시도 및 최적화를 위한 총 56종의 화합물52 유도체를 하기와 같이 설계하였다.
Figure 112018038685586-pat00003
Figure 112018038685586-pat00004
Figure 112018038685586-pat00005
Figure 112018038685586-pat00006
제조예 2. 화합물52 유도체 합성 (옥사디아졸 화합물)
옥사디아졸의 전체 합성 경로(Total Scheme of Oxadiazole)
Figure 112018038685586-pat00007
아미노화 반응의 일반적인 과정 (방법 A)
적절한 카르복실산(1 당량) 및 트리메틸아민(2 당량)을 -10 ℃에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V)에 용해시켰다. 그 후 에틸클로로포르메이트(2 당량)를 같은 온도에서 적가하고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30 % 암모니아 용액 (2.5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고체를 여과하고, 잔류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 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재결정화시켜 정제하였다.
아마이드에서 나이트릴로의 일반적인 과정 (방법 B)
적절한 아마이드(1 당량) 및 피리딘(2.5 당량)을 1,4-다이옥세인(0.25 mmol mL-1)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2 당량)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 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용액을 포화 중탄산나트륨으로 pH 8까지 급냉시켰다. 피리딘을 제거하기 위해, 1N 염산을 사용 하였다. 잔유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5 % 트리에틸아민을 갖는 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구배)로 정제하여 나이트릴 화합물을 수득 하였다.
나이트릴에서 N'-하이드록시이미드아마이드로의 일반적인 과정 (방법 C)
적절한 나이트릴(1 당량)을 에탄올(0.5 mmol mL-1)에 용해시켰다. 50 % w/w물(4 당량)에 있는 하이드록실아민을 반응 혼합물에 가하고 1.5 시간 동안 80 ℃로 가열 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유기 생성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추출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 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옥사디아졸 합성의 일반적인 과정 (방법 D)
0 ℃에서 적절한 산(1 당량) 및 EDCI HCl(1 당량)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0.47 mmol mL-1)에 용해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 하였다. 이어서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감압하에 제거 하였다. 피리딘 (0.36 mmol mL-1) 및 적절한 N'-하이드록시이미드아마미드(1 당량)를 혼합물에 첨가하고 2 시간 동안 110 ℃로 가열 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유기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물로 세척 하였다. 피리딘을 제거하기 위해 1N 염산을 사용 하였다. 잔유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구배)로 정제하여 옥사디아졸 화합물을 수득 하였다.
에스테르 가수분해의 일반적인 과정(방법 E)
적절한 옥사디아졸 에스테르(1 당량) 및 수산화리튬 일수화물(3 당량)을 테트라하이트로퓨란(0.4 mmol mL-1) 및 물 (0.4 mmol mL-1)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 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테트라하이트로퓨란을 감압하에 제거하고, 수용액층을 1 N 염산으로 pH 3으로 조정하였다. 이어서, 유기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 사용 하였다.
아마이드 커플링의 일반적인 과정(방법F)
적절한 산 (1 당량), EDCI HCl (4 당량) 및 HOBt 수화물(4 당량)을 N,N-디메틸 포름아마이드(0.28 mmol mL-1)에 용해시켰다. 그 다음, 트리메틸 아민(3 당량)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히드록실 아민 염산염(3 당량)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 하였다. 유기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 하였다. 잔유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 클로라이드 - 메탄올 구배)로 정제하여 옥사디아졸 화합물을 수득 하였다.
Figure 112018038685586-pat00008
옥사디아졸 화합물의 종류
3-(3-(4-fluorophenethyl)-1,2,4-oxadiazol-5-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1)
Figure 112018038685586-pat00009
(0.04 g, 31 %); Rf = 0.23 (CH2Cl2 : MeOH = 15 : 1); 1H NMR (400 MHz, CD3OD, ppm) δ 7.24-7.20 (m, 2H), 7.02-7.98 (t, J = 16 Hz, 2H), 3.23-3.19 (t, J = 15 Hz, 2H), 3.07-2.97 (m, 4H), 2.67-2.63 (t, J = 15 Hz, 2H); 13C NMR (400 MHz, CD3OD, ppm) δ 178.88, 169.41, 168.87, 162.78, 160.36, 136.17, 136.14, 129.78, 129.70, 114.77, 114.55, 31.59, 28.27, 27.37, 21.55.
(E)-3-(3-(4-fluorostyryl)-1,2,4-oxadiazol-5-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 2)
Figure 112018038685586-pat00010
(0.09 g, 40.5 %); Rf = 0.3 (CH2Cl2 : MeOH = 15 : 1); 1H NMR (400 MHz, CD3OD, ppm) δ 7.69-7.65 (d, J = 16 Hz, 1H), 7.68-7.66 (m, 2H), 7.17-7.13 (t, J = 16 Hz, 2H), 7.08-7.04 (d, J = 16 Hz, 1H), 3.27-3.23 (t, J = 15 Hz, 2H), 2.73-2.69 (t, J = 15 Hz, 2H); 13C NMR (400 MHz, CD3OD, ppm) δ 178.46, 168.91, 167.53, 164.66, 162.19, 137.74, 131.80, 131.77, 129.22, 129.13, 115.55, 115.33, 112.18, 112.16, 28.36, 21.65.
N-hydroxy-3-(3-phenethyl-1,2,4-oxadiazol-5-yl)propanamide (화합물 3)
Figure 112018038685586-pat00011
(0.05 g, 31.4 %); Rf = 0.28 (CH2Cl2 : MeOH = 15 : 1); 1H NMR (400 MHz, CD3OD, ppm) δ 7.30-7.17 (m, 5H), 3.23-3.19 (t, J = 15 Hz, 2H), 3.06-2.98 (m, 4H), 2.67-2.63 (t, J = 15 Hz, 2H); 13C NMR (400 MHz, CD3OD, ppm) δ 178.84, 169.58, 168.89, 140.25, 128.12, 128.10, 128.00, 125.95, 125.92, 32.48, 28.30, 27.36, 21.57.
(E)-N-hydroxy-3-(3-styryl-1,2,4-oxadiazol-5-yl)propanamide (화합물 4)
Figure 112018038685586-pat00012
(0.06 g, 33.2 %); Rf = 0.32 (CH2Cl2 : MeOH = 15 : 1); 1H NMR (400 MHz, CD3OD, ppm) δ 7.71-7.67 (d, J = 16 Hz, 1H), 7.63-7.61 (m, 2H), 7.43-7.35 (m, 3H), 7.12-7.08 (d, J = 16 Hz, 1H), 3.27-3.23 (t, J = 15 Hz, 2H), 2.73-2.69 (t, J = 15 Hz, 2H); 13C NMR (400 MHz, CD3OD, ppm) δ 178.43, 168.99, 167.61, 139.08, 135.30, 129.21, 128.59, 127.12, 112.20, 28.33, 21.61.
4-(3-(4-fluorophenethyl)-1,2,4-oxadiazol-5-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 5)
Figure 112018038685586-pat00013
(0.03 g, 27.3 %); Rf = 0.24 (CH2Cl2:MeOH=15:1); 1H NMR (400 MHz, CD3OD, ppm) δ 7.13-7.09 (m, 2H), 6.90-6.86 (t, J = 16 Hz, 2H), 2.96-2.86 (m, 4H), 2.85-2.81 (t, J = 15 Hz, 2H), 2.13-2.09 (t, J = 15 Hz, 2H), 2.01-1.97 (t, J = 15 Hz, 2H); 13C NMR (400 MHz, CD3OD, ppm) δ 179.37, 170.29, 169.42, 162.78, 160.36, 136.18, 136.15, 129.77, 129.69, 114.76, 114.55, 31.61, 31.13, 27.33, 24.98, 22.10.
(E)-4-(3-(4-fluorostyryl)-1,2,4-oxadiazol-5-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6)
Figure 112018038685586-pat00014
(0.07 g, 31.6 %); Rf = 0.32 (CH2Cl2:MeOH=15:1); 1H NMR (400 MHz, CD3OD, ppm) δ 7.71-7.67 (d, J = 16 Hz, 1H), 7.70-7.66 (m, 2H), 7.18-7.14 (t, J = 16 Hz, 2H), 7.10-7.06 (d, J = 16 Hz, 1H), 3.02-2.98 23 (t, J = 15 Hz, 2H), 2.30-2.26 (t, J = 15 Hz, 2H), 2.19-2.15 (t, J = 15 Hz, 2H); 13C NMR (400 MHz, CD3OD, ppm) δ 178.93, 170.26, 167.54, 164.67, 162.20, 137.69, 131.82, 131.79, 129.23, 129.14, 115.55, 115.33, 112.23, 112.21, 31.18, 25.02, 22.09.
N-hydroxy-4-(3-phenethyl-1,2,4-oxadiazol-5-yl)butanamide (화합물 7)
Figure 112018038685586-pat00015
(0.04 g, 22.2 %); Rf = 0.27 (CH2Cl2:MeOH=15:1); 1H NMR (400 MHz, CD3OD, ppm) δ 7.29-7.16 (m, 5H), 3.07-2.98 (m, 4H), 2.97-2.93 (t, J = 15 Hz, 2H), 2.25-2.21 (t, J = 15 Hz, 2H), 2.13-2.09 (t, J = 15 Hz, 2H); 13C NMR (400 MHz, CD3OD, ppm) δ 179.33, 170.31, 169.56, 140.24, 128.12, 128.01, 125.97, 32.50, 31.15, 27.31, 24.99, 22.11.
(E)-N-hydroxy-4-(3-styryl-1,2,4-oxadiazol-5-yl)butanamide (화합물 8)
Figure 112018038685586-pat00016
(0.1 g, 40.5 %); Rf = 0.3 (CH2Cl2:MeOH=15:1); 1H NMR (400 MHz, CD3OD, ppm) δ 7.72-7.68 (d, J = 16 Hz, 1H), 7.64-7.62 (m, 2H), 7.42-7.36 (m, 3H), 7.14-7.10 (d, J = 16 Hz, 1H), 3.01-2.98 (t, J = 15 Hz, 2H), 2.30-2.27 (t, J = 15 Hz, 2H), 2.19-2.16 (t, J = 15 Hz, 2H); 13C NMR (400 MHz, CD3OD, ppm) δ 178.90, 170.35, 167.62, 139.03, 135.31, 129.20, 128.59, 127.13, 112.25, 31.17, 25.02, 22.07.
제조예 3. 화합물52 유도체 합성 (옥사졸 화합물)
옥사졸의 전체 합성 경로(Total Scheme of Oxazole)
Figure 112018038685586-pat00017
아미노화반응의 일반과정(방법 A)
적절한 카르복실산 (1 당량) 및 트리메틸아민(2 당량)을 -10 ℃에서 테트라하이드로퓨란(10V)에 용해시켰다. 그 후 에틸 클로로 포르메이트(2 당량)를 같은 온도에서 적가하고 1.5 시간 동안 교반 하였다. 그 다음, 30 % 암모니아 용액 (2.5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밤새 교반 하였다. 반응 완료 후, 고체를 여과하고, 잔류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 하였다. 유기층을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재결정화시켜 정제 하였다.
메틸 5-브로모-4-옥소펜타노에이트(Methyl 5-bromo-4-oxopentanoate) 제조방법(방법 H)
Figure 112018038685586-pat00018
메탄올 (80 mL)에 용해 된 레볼릭 산 (10 g, 86.12 mmol). 브롬 (4.41 mL, 86.12 mmol)을 0 ℃에서 적가하고 2 시간 동안 교반 하였다. 70 ℃에서 2 시간 교반 하였다. 용액을 증발시키고 포화 중탄산 나트륨으로 pH 7로 중화시켰다. 수성층을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 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브로모 에스터 화합물을 담황색 액체로서 수득 하였다.
옥사졸 합성의 일반적인 과정 (방법 I)
적절한 아마이드(1당량)를 메탄올(0.16 mmol mL-1)에 용해시켰다. 그런 다음, 적절한 브로모 에스터 (1 - 1.5 당량)를 첨가하고 70 ℃에서 밤새 교반 하였다. 반응 완료 후, 메탄올을 제거 하였다. 유기 화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 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구배)로 정제하여 옥사졸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에스터에서 하이드록사메이트로의 일반적인 과정 (방법 J)
적절한 옥사졸 에스터(1 당량)를 MeOH (0.1 mmol mL-1)에 용해시켰다. 그런 다음 0℃에서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2 당량)과 8N-수산화 나트륨(0.5 mmol mL-1)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5 시간동안 교반 하였다. 그 후, 메탄올을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유기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 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재결정화 하였다.
옥사졸 화합물의 종류
3-(2-benzylox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 10)
Figure 112018038685586-pat00019
Yield = 32 %; Rf = 0.47 (CH2Cl2:MeOH=10:1); 1H NMR (300MHz, DMSO-d6) δ 7.32-7.21 (tt, 5H), 6.93 (s, 1H), 4.25 (s, 2H) 2.83-2.78 (t, J = 15 Hz, 2H), 2.39-2.34 (t, J = 15 Hz, 2H); 13C NMR (100MHz, DMSO-d6) δ 200.51, 190.47, 170.97, 159.43, 156.32, 153.27, 152.64, 150.22, 140.53, 140.53, 34.12, 27.19
N-hydroxy-3-(2-phenethyloxazol-4-yl)propanamide (화합물 11)
Figure 112018038685586-pat00020
Yield = 15 %; Rf = 0.40 (CH2Cl2:MeOH=10:1); 1H NMR (300MHz, DMSO-d6) δ 7.32-7.18 (m, 5H), 6.99 (s, 1H), 3.30-3.25 (t, J = 15 Hz, 2H), 3.11-3.05 (m, 4H), 2.76-2.71 (t, J = 15 Hz, 2H); 13C NMR (100MHz, DMSO-d6) δ 196.54, 196.37, 176.48, 160.52, 158.94, 152.36, 152.30, 140.78, 34.12, 32.63, 31.58, 27.19
(E)-N-hydroxy-3-(2-styryloxazol-4-yl)propanamide (화합물 12)
Figure 112018038685586-pat00021
Yield = 17 %; Rf = 0.40 (CH2Cl2:MeOH=10:1); 1H NMR (300MHz, CD3OD) δ 7.53-7.51 (d, J = 6 Hz, 2H), 7.41-7.23 (m, 4H), 6.92 (s, 1H), 3.14-3.09 (t, J = 15 Hz, 2H), 2.81-2.76 (t, J = 15 Hz, 2H); 13C NMR (100MHz, DMSO-d6) δ 172.64, 168.93, 158.27, 137.22, 136.11, 130.29, 128.35, 121.95, 114.92, 33.25, 31.52, 26.49
3-(2-(2-(1H-indol-3-yl)ethyl)ox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 13)
Figure 112018038685586-pat00022
Yield = 30 %; Rf = 0.50 (CH2Cl2:MeOH=10:1); 1H NMR (300MHz, DMSO-d6) δ 8.31 (bs, 1H), 7.62-7.59 (d, J = 9 Hz, 1H), 7.36-7.33 (d, J = 9 Hz, 1H), 7.21-7.08 (m, 2H), 6.89 (s, 1H), 6.79 (s, 1H), 3.41-3.36 (t, J = 15 Hz, 2H), 3.27-3.22 (t, J = 15 Hz, 2H), 2.82-2.77 (t, J = 15Hz, 2H), 2.39-2.34 (t, J = 15Hz, 2H); 13C NMR (100MHz, DMSO-d6) δ 210.78, 190.72, 162.48, 155.28, 154.32, 152.47, 150.35, 150.20, 138.79, 135.44, 129.87, 125.44, 46.42, 35.29, 31.52, 26.49
(E)-3-(2-(2-(1H-indol-3-yl)vinyl)ox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 14)
Figure 112018038685586-pat00023
Yield = 32 %; Rf = 0.45 (CH2Cl2:MeOH=10:1); 1H NMR (300MHz, DMSO-d6) δ 8.31 (bs, 1H), 7.67-7.65 (d, J = 6 Hz, 2H), 7.62-7.59 (d, J = 9 Hz, 1H), 7.36-7.33 (d, J = 9 Hz, 1H), 7.21-7.08 (m, 2H), 6.89 (s, 1H), 6.79 (s, 1H), 2.82-2.77 (t, J = 15Hz, 2H), 2.39-2.34 (t, J = 15Hz, 2H); 13C NMR (100MHz, DMSO-d6) δ 200.98, 195.46, 175.81, 160.42, 154.52, 150.99, 149.34, 142.65, 140.23, 138.48, 136.57, 120.48, 114.73, 113.28, 35.29, 31.52
4-(2-benzyloxazol-4-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 15)
Figure 112018038685586-pat00024
Yield = 35 %; Rf = 0.47 (CH2Cl2:MeOH=10:1); 1H NMR (300MHz, DMSO-d6) δ 7.31-7.20 (tt, 5H), 6.97 (s, 1H), 4.43 (s, 2H) 2.82-2.77 (t, J = 15 Hz, 2H), 2.39-2.34 (t, J = 15 Hz, 2H), 2.09-1.99 (m, 2H); 13C NMR (100MHz, DMSO-d6) δ 200.51, 190.47, 170.97, 159.43, 156.32, 153.27, 152.64, 150.22, 140.53, 140.53, 36.97, 34.12, 27.19
4-(2-((1H-indol-3-yl)methyl)oxazol-4-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 16)
Figure 112018038685586-pat00025
Yield = 28 %; Rf = 0.50 (CH2Cl2:MeOH=10:1); 1H NMR (300MHz, CD3OD) δ 8.13 (s, 1H), 7.58-7.56 (d, J = 6 Hz, 1H), 7.39-7.37 (d, J = 6 Hz, 1H), 7.23-7.08 (m, 3H), 6.67 (s, 1H), 4.43 (s, 2H) 2.83-2.78 (t, J = 15 Hz, 2H), 2.41-2.36 (t, J =15 Hz, 2H), 2.11-2.01 (m, 2H); 13C NMR (100MHz, DMSO-d6) δ 210.78, 190.72, 162.48, 155.28, 154.32, 152.47, 150.35, 150.20, 138.79, 135.44, 129.87, 125.44, 46.58, 35.29, 31.52, 26.49
N-hydroxy-4-(2-phenethyloxazol-4-yl)butanamide (화합물 17)
Figure 112018038685586-pat00026
Yield = 19 %; Rf = 0.37 (CH2Cl2:MeOH=10:1); 1H NMR (300MHz, DMSO-d6) δ 7.31-7.20 (m, 5H), 6.99 (s, 1H), 3.31-3.26 (t, J = 15 Hz, 2H), 3.11-3.06 (q, J = 15 Hz, 2H), 2.82-2.77 (t, J = 15 Hz, 2H), 2.39-2.34 (t, J = 15 Hz, 2H), 2.26-2.00 (m, 2H); 13C NMR (100MHz, DMSO-d6) δ 196.54, 196.37, 176.48, 160.52, 158.94, 152.36, 152.30, 140.78, 70.52, 36.47, 34.12, 32.63, 27.19
4-(2-(2-(1H-indol-3-yl)ethyl)oxazol-4-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 18)
Figure 112018038685586-pat00027
Yield = 28 %; Rf = 0.47 (CH2Cl2:MeOH=10:1); 1H NMR (300MHz, DMSO-d6) δ 8.31 (bs, 1H), 7.62-7.59 (d, J = 9 Hz, 1H), 7.36-7.33 (d, J = 9 Hz, 1H), 7.21-7.08 (m, 2H), 6.98 (s, 1H), 6.89 (s, 1H), 3.41-3.36 (t, J = 15 Hz, 2H), 3.27-3.22 (t, J = 15 Hz, 2H), 2.82-2.77 (t, J = 15Hz, 2H), 2.39-2.34 (t, J = 15Hz, 2H), 2.07-2.02 (m, 2H); 13C NMR (100MHz, DMSO-d6) δ 210.78, 190.72, 162.48, 155.28, 154.32, 152.47, 150.35, 150.20, 138.79, 135.44, 129.87, 125.44, 46.42, 36.37, 35.29, 31.52, 26.49
(E)-N-hydroxy-4-(2-styryloxazol-4-yl)butanamide (화합물 19)
Figure 112018038685586-pat00028
Yield = 16 %; Rf = 0.38 (CH2Cl2:MeOH=10:1); 1H NMR (300MHz, DMSO-d6): δ 7.60-7.58 (d, J = 6 Hz, 2H), 7.53-7.25 (m, 5H), 7.12 (s, 1H), 3.66 (s, 3H), 2.83-2.78 (t, J = 15 Hz, 2H), 2.19-2.14 (t, J = 15 Hz, 2H), 2.06-2.01 (m, 2H); 13C NMR (100MHz, DMSO-d6) δ 172.68, 168.97, 158.27, 137.42, 136.11, 130.13, 128.35, 121.95, 114.96, 42.64, 33.25, 31.52, 26.49
(E)-4-(2-(2-(1H-indol-3-yl)vinyl)oxazol-4-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 20)
Figure 112018038685586-pat00029
Yield = 28 %; Rf = 0.45 (CH2Cl2:MeOH=10:1); 1H NMR (300MHz, DMSO-d6) δ 8.31 (bs, 1H), 7.67-7.65 (d, J = 6 Hz, 2H), 7.62-7.59 (d, J = 9 Hz, 1H), 7.36-7.33 (d, J = 9 Hz, 1H), 7.21-7.08 (m, 2H), 6.89 (s, 1H), 6.79 (s, 1H), 2.82-2.77 (t, J = 15Hz, 2H), 2.39-2.34 (t, J = 15Hz, 2H), 2.07-2.02 (m, 2H); 13C NMR (100MHz, DMSO-d6) δ 200.98, 195.46, 175.81, 160.42, 154.52, 150.99, 149.34, 142.65, 140.23, 138.48, 136.57, 120.48, 114.73, 113.28, 35.29, 31.52, 26.76
제조예 4. 화합물52 유도체 합성 (티아졸 화합물)
티아졸의 전체 합성 경로(Total Scheme of Thiazole)
Figure 112018038685586-pat00030
아미노화반응의 일반적인 과정(방법 A)
적절한 카르복실산 (1 당량) 및 트리메틸아민(2 당량)을 -10 ℃에서 테트라하이드로퓨란(10V)에 용해시켰다. 그 후 에틸 클로로 포르메이트(2 당량)를 같은 온도에서 적가하고 1.5 시간 동안 교반 하였다. 그 다음, 30 % 암모니아 용액 (2.5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밤새 교반 하였다. 반응 완료 후, 고체를 여과하고, 잔류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 하였다. 유기층을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재결정화시켜 정제하였다
티에이션(Thiation) 일반적인 과정 (방법 K)
적절한 아마이드 (1 equiv.) 및 Lawesson 's 시약 (0.7 당량)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0.2 mmol mL-1)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 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감압 하에 제거 하였다. 잔류물을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메틸 5-브로모-4-옥소펜타노에이트(Methyl 5-bromo-4-oxopentanoate)제조방법 (방법 H)
Figure 112018038685586-pat00031
메탄올 (80 mL)에 용해 된 레볼릭 산(Levuilic acid) (10 g, 86.12 mmol). 브롬 (4.41 mL, 86.12 mmol)을 0 ℃에서 적가하고 2 시간 동안 교반 하였다. 70 ℃에서 2 시간 교반 하였다. 용액을 증발시키고 포화 중탄산 나트륨으로 pH 7로 중화시켰다. 수성층을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 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브로모 에스터 화합물을 담황색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티아졸 합성의 일반적인 과정 (방법 L)
적절한 티오아마이드(1 당량)를 메탄올(0.16 mmol mL-1)에 용해시켰다. 그런 다음, 적절한 브로모 에스테르(1~1.5 당량)를 첨가하고 70 ℃에서 밤새 교반 하였다. 반응 완료 후, 메탄올을 제거 하였다. 유기 화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 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구배)로 정제하여 티아졸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에스테르에서 하이드록사메이트(Hydroxamate)로의 일반적인 과정 (방법 M)
적절한 티아졸 에스테르(1 당량)를 메탄올(0.1 mmol mL-1)에 용해시켰다. 그런 다음 0 ℃에서 히드록실 아민 염산염 (2 당량)과 8N-수산화 나트륨 (0.5 mmol mL-1)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 하였다. 그 후, 메탄올을 감압하에 제거 하였다. 유기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 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재결정화 하였다.
티아졸 화합물의 종류
3-(2-((1H-indol-3-yl)m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 9)
Figure 112018038685586-pat00032
Yield = 22 %; Rf = 0.47 (CH2Cl2:MeOH=15:1); 1H NMR (300MHz, DMSO-d6) δ 8.26 (s, 1H), 7.57-7.54 (d, J = 9 Hz, 1H), 7.37-7.34 (d, J = 9 Hz, 1H), 7.22-7.10 (tt, 3H), 6.75 (s, 1H), 4.44 (s, 2H), 3.11-3.06 (t, J = 15 Hz, 2H), 2.78-2.73 (t, J = 15 Hz, 2H); 13C NMR (100MHz, DMSO-d6) δ 210.78, 190.72, 162.48, 155.28, 154.32, 152.47, 150.35, 150.20, 138.79, 135.44, 129.87, 125.44, 50.64, 35.29, 31.52, 26.49
2-(4-fluorophenethyl)-N-hydroxythiazole-4-carboxamide (화합물 21)
Figure 112018038685586-pat00033
(0.09 g, 34 %); Rf = 0.41 (CH2Cl2:MeOH=15:1); 1H NMR (400 MHz, DMSO-d6, ppm) δ 8.06 (s, 2H), 7.31-7.27 (m, 2H), 7.12-7.08 (t, J = 16 Hz, 2H), 3.31-3.27 (t, J = 15 Hz, 2H), 3.09-3.05 (t, J = 15 Hz, 2H); 13C NMR (400 MHz, DMSO-d6, ppm) δ 170.87, 162.81, 160.39, 160.06, 147.15, 136.08, 136.05, 129.90, 129.82, 122.84, 114.77, 114.56, 34.45, 34.32
(E)-2-(4-fluorostyryl)-N-hydroxythiazole-4-carboxamide (화합물 22)
Figure 112018038685586-pat00034
(0.15 g, 46.7 %); Rf = 0.33 (CH2Cl2:MeOH=15:1); 1H NMR (400 MHz, DMSO-d6, ppm) δ 8.20 (s, 1H), 7.78-7.75 (m, 2H), 7.64-7.60 (d, J = 16 Hz, 1H), 7.46-7.42 (d, J = 16 Hz, 1H), 7.30-7.26 (t, J = 16 Hz, 2H); 13C NMR (400 MHz, DMSO-d6, ppm) δ 166.69, 164.21, 161.75, 158.90, 149.48, 134.38, 132.40, 132.37, 129.99, 129.91, 123.55, 121.05, 121.03, 116.51, 116.30
2-(2-(4-fluorophenethyl)thiazol-4-yl)-N-hydroxyacetamide (화합물 23)
Figure 112018038685586-pat00035
(0.15 g, 36.5 %); Rf = 0.29 (CH2Cl2:MeOH=15:1); 1H NMR (400 MHz, DMSO-d6, ppm) δ 7.31-7.28 (m ,2H), 7.22 (s, 2H), 7.12-7.08 (t, J = 16 Hz, 2H), 3.42 (s, 2H), 3.24-3.20 (t, J = 15 Hz, 2H), 3.02-2.98 (t, J = 15 Hz, 2H); 13C NMR (400 MHz, DMSO-d6, ppm) δ 169.09, 166.24, 162.47, 160.07, 150.15, 137.01, 136.98, 130.76, 130.68, 115.88, 115.56, 115.35, 35.82, 34.71, 34.63
(E)-2-(2-(4-fluorostyryl)thiazol-4-yl)-N-hydroxyacetamide (화합물 24)
Figure 112018038685586-pat00036
(0.12 g, 36.6 %); Rf = 0.31 (CH2Cl2:MeOH=15:1); 1H NMR (400 MHz, DMSO-d6, ppm) δ 7.78-7.75 (m ,2H), 7.43 (s, 2H), 7.37 (s, 1H), 7.26-7.22 (t, J = 16 Hz, 2H), 3.48 (s, 2H); 13C NMR (400 MHz, DMSO-d6, ppm) δ 166.15, 165.72, 164.02, 161.57, 151.73, 132.68, 132.65, 132.63, 129.83, 129.74, 121.67, 121.64, 116.67, 116.38, 116.16, 35.87
3-(2-benz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 25)
Figure 112018038685586-pat00037
Yield = 17 %; Rf = 0.42 (CH2Cl2:MeOH=20:1); 1H NMR (300MHz, DMSO-d6) δ 7.32-7.21 (m, J = 15, 6 Hz, 5H), 6.76 (s, 1H), 4.24 (s, 2H), 2.83-2.78 (t, J = 15 Hz, 2H), 2.39-2.34 (t, J = 15 Hz, 2H); 13C NMR (100MHz, DMSO-d6) δ 200.51, 190.47, 170.97, 159.43, 156.32, 153.27, 152.64, 150.22, 140.53, 140.53, 34.12, 31.14
3-(2-((1H-indol-3-yl)m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 26)
Figure 112018038685586-pat00038
Yield = 22 %; Rf = 0.47 (CH2Cl2:MeOH=15:1); 1H NMR (300MHz, DMSO-d6) δ 8.26 (s, 1H), 7.57-7.54 (d, J = 9 Hz, 1H), 7.37-7.34 (d, J = 9 Hz, 1H), 7.22-7.10 (tt, 3H), 6.75 (s, 1H), 4.44 (s, 2H), 3.11-3.06 (t, J = 15 Hz, 2H), 2.78-2.73 (t, J = 15 Hz, 2H); 13C NMR (100MHz, DMSO-d6) δ 210.78, 190.72, 162.48, 155.28, 154.32, 152.47, 150.35, 150.20, 138.79, 135.44, 129.87, 125.44, 50.64, 35.29, 31.52, 26.49
N-hydroxy-3-(2-phenethylthiazol-4-yl)propanamide (화합물 27)
Figure 112018038685586-pat00039
Yield = 19 %; Rf = 0.42 (CH2Cl2:MeOH=20:1); 1H NMR (300MHz, DMSO-d6) δ 7.32-7.18 (m, J = 15 , 9 Hz, 5H), 6.78 (s, 1H), 3.30-2.25 (t, J = 15 Hz, 2H), 3.11-3.06 (m, 4H), 2.76-2.71 (t, J = 15 Hz, 2H); 13C NMR (100MHz, DMSO-d6) δ 196.54, 196.37, 176.48, 160.52, 158.94, 152.36, 152.30, 140.78, 70.52, 34.12, 32.63, 27.19
(E)-N-hydroxy-3-(2-styrylthiazol-4-yl)propanamide (화합물 28)
Figure 112018038685586-pat00040
Yield = 20 %; Rf = 0.35 (CH2Cl2:MeOH=20:1); 1H NMR (300MHz, CD3OD): δ 7.54-7.51 (d, J = 9 Hz, 2H), 7.41-7.22 (m, 5H), 6.88 (s, 1H), 3.14-3.09 (t, J = 15 Hz, 2H), 2.81-2.76 (t, J = 9 Hz, 2H); 13C NMR (100MHz, DMSO-d6) δ 172.64, 168.93, 158.27, 137.22, 136.11, 130.29, 128.35, 121.95, 114.92, 33.25, 31.52, 26.49
3-(2-(2-(1H-indol-3-yl)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 29)
Figure 112018038685586-pat00041
Yield = 21 %; Rf = 0.37 (CH2Cl2:MeOH=15:1); 1H NMR (300MHz, DMSO-d6) δ 8.17 (s, 1H), 7.62-7.59 (d, J = 9 Hz, 1H), 7.37-7.34 (d, J = 9 Hz, 1H), 7.22-7.08 (m, 2H), 6.98 (s, 1H), 6.73 (s, 1H), 3.41-3.36 (t, J = 15 Hz, 2H), 3.27-3.22 (t, J = 15 Hz, 2H) 2.82-2.77 (t, J = 15 Hz, 2H), 2.39-2.34 (t, J = 15 Hz, 2H); 13C NMR (100MHz, DMSO-d6) δ 210.78, 190.72, 162.48, 155.28, 154.32, 152.47, 150.35, 150.20, 138.79, 135.44, 129.87, 125.44, 50.64, 46.42, 35.29, 31.52, 26.49
(E)-3-(2-(2-(1H-indol-3-yl)vin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 30)
Figure 112018038685586-pat00042
Yield = 20 %; Rf = 0.32 (CH2Cl2:MeOH=15:1); 1H NMR (300MHz, DMSO-d6) δ 8.31 (bs, 1H), 7.67-7.65 (d, J = 6 Hz, 2H), 7.62-7.59 (d, J = 9 Hz, 1H), 7.36-7.33 (d, J = 9 Hz, 1H), 7.21-7.08 (m, 2H), 6.89 (s, 1H), 6.79 (s, 1H), 2.82-2.77 (t, J = 15Hz, 2H), 2.46-2.41 (t, J = 15Hz, 2H); 13C NMR (100MHz, DMSO-d6) δ 200.98, 195.46, 175.81, 160.42, 154.52, 150.99, 149.34, 142.65, 140.23, 138.48, 136.57, 120.48, 114.73, 113.28, 35.29, 31.52
3-(2-(4-fluorophen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 31)
Figure 112018038685586-pat00043
Yield = 32 %; Rf = 0.40 (CH2Cl2:MeOH=20:1); 1H NMR (300MHz, DMSO-d6) δ 7.32-7.19 (m, 4H), 6.78 (s, 1H), 3.30-3.25 (t, J = 15 Hz, 2H), 3.11-3.06 (m, 4H), 2.76-2.71 (t, J = 15 Hz, 2H); 13C NMR (100MHz, DMSO-d6) δ 196.54, 176.48, 160.52, 158.94, 152.36, 152.30, 140.78, 70.52, 34.12, 32.63, 27.19
(E)-3-(2-(4-fluorostyr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 (화합물 32)
Figure 112018038685586-pat00044
Yield = 28 %; Rf = 0.31 (CH2Cl2:MeOH=20:1); 1H NMR (300MHz, DMSO-d6): δ 7.54-7.51 (d, J = 9 Hz, 2H), 7.32-7.18 (m, 4H), 6.90 (s, 1H), 2.75-2.70 (t, J = 15 Hz, 2H), 2.52-2.47 (t, J = 15 Hz, 2H); 13C NMR (100MHz, DMSO-d6): δ 172.64, 158.27, 137.22, 136.11, 130.29, 128.35, 121.95, 114.92, 33.25, 31.52, 26.49
N-hydroxy-3-(2-(4-methoxyphenethyl)thiazol-4-yl)propanamide (화합물 33)
Figure 112018038685586-pat00045
(0.29 g, 64.2 %); Rf = 0.48 (CH2Cl2:MeOH=15:1); 1H NMR (400 MHz, CD3OD, ppm) δ 7.16-7.14 (d, J = 8 Hz, 2H), 7.05 (s, 1H), 6.88-6.86 (d, J = 8 Hz, 2H), 3.80 (s, 3H), 3.30-3.27 (t, J = 15 Hz, 2H), 3.10, 3.03 (m, 4H), 2.53-2.50 (t, J = 15 Hz, 2H); 13C NMR (400 MHz, CD3OD, ppm) δ 174.95, 174.18, 162.26, 158.31, 136.01, 133.02, 117.43, 117.24, 58.17, 38.83, 38.55, 35.81, 30.45
N-hydroxy-3-(2-(4-(trifluoromethyl)phenethyl)thiazol-4-yl)propanamide (화합물 34)
Figure 112018038685586-pat00046
(0.21 g, 63.5 %); Rf = 0.46 (CH2Cl2:MeOH=10:1); 1H NMR (400 MHz, CD3OD, ppm) δ 7.59-7.57 (d, J = 8 Hz, 2H), 7.42-7.40 (d, J = 8 Hz, 2H), 7.03 (s, 1H), 3.35-3.31 (t, J = 15 Hz, 2H), 3.20-3.16 (t, J = 15 Hz, 2H), 3.07-3.03 (t, J = 15 Hz, 2H), 2.50-2.46 (t, J = 15 Hz, 2H); 13C NMR (400 MHz, CD3OD, ppm) δ 170.23, 170.13, 154.61, 144.84, 144.83, 128.86, 124.96, 113.44, 35.30, 33.78, 31.85, 26.53
3-(2-(4-aminophen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 35)
Figure 112018038685586-pat00047
(0.02 g, 28.5 %); Rf = 0.24 (CH2Cl2:MeOH=15:1); 1H NMR (400 MHz, CD3OD, ppm) δ 6.88 (s, 1H), 6.84-6.82 (d, J = 8 Hz, 2H), 6.56-6.54 (d, J = 8 Hz, 2H), 3.11-3.07 (t, J = 15 Hz, 2H), 2.93-2.89 (t, J = 15 Hz, 2H), 2.84-2.80 (t, J = 15 Hz, 2H), 2.37-2.33 (t, J = 15 Hz, 2H); 13C NMR (400 MHz, CD3OD, ppm) δ 171.27, 170.25, 154.29, 145.40, 129.82, 128.74, 115.55, 113.26, 35.09, 34.78, 31.89, 26.50
N-hydroxy-3-(2-(4-hydroxyphenethyl)thiazol-4-yl)propanamide (화합물 36)
Figure 112018038685586-pat00048
(0.01 g, 32 %); Rf = 0.25 (CH2Cl2:MeOH=10:1); 1H NMR (400 MHz, DMSO-d6, ppm) δ 7.30 (s, 1H), 7.04-7.02 (d, J = 8 Hz, 2H), 6.69-6.67 (d, J = 8 Hz, 2H), 3.31-3.27 (t, J = 15 Hz, 2H), 2.95-2.90 (m, 4H), 2.39-2.35 (t, J = 15 Hz, 2H); 13C NMR (400 MHz, DMSO-d6, ppm) δ 171.97, 168.35, 156.24, 152.11, 130.24, 129.82, 115.65, 115.61, 34.29, 33.91, 31.70, 25.85
3-(2-(3,4-dimethoxyphen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 37)
Figure 112018038685586-pat00049
(0.65 g, 66.8 %); Rf = 0.48 (CH2Cl2:MeOH=10:1); 1H NMR (400 MHz, CD3OD, ppm) δ 7.02 (s, 1H), 6.87-6.85 (d, J = 8 Hz, 1H), 6.80-6.79 (d, J = 4 Hz, 1H), 6.75-6.73 (dd, J = 8, 1.6 Hz, 1H), 3.80 (s, 3H), 3.80 (s, 3H), 3.28-3.25 (t, J = 15 Hz, 2H), 3.06-3.00 (m, 4H), 2.50-2.46 (t, J = 15 Hz, 2H); 13C NMR (400 MHz, CD3OD, ppm) δ 170.97, 170.24, 154.41, 148.99, 147.66, 133.07, 120.48, 113.31, 112.16, 111.74, 55.12, 55.03, 35.32, 34.52, 31.87, 26.52
3-(2-(4-bromophen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 38)
Figure 112018038685586-pat00050
(0.42 g, 55.8 %); Rf = 0.56 (CH2Cl2:MeOH=10:1); 1H NMR (400 MHz, DMSO-d6, ppm) δ 7.47-7.45 (d, J = 8 Hz, 2H), 7.23-7.21 (d, J = 8 Hz, 2H), 7.08 (s, 1H), 3.24-3.20 (t, J = 15 Hz, 2H), 3.02-2.98 (t, J = 15 Hz, 2H), 2.90-2.86 (t, J = 15 Hz, 2H), 2.35-2.31 (t, J = 15 Hz, 2H); 13C NMR (400 MHz, DMSO-d6, ppm) δ 168.70, 155.41, 140.33, 131.59, 131.25, 119.65, 113.60, 34.75, 34.34, 32.21, 27.28
3-(2-(3-fluorophen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 39)
Figure 112018038685586-pat00051
(0.65 g, 62.3 %); Rf = 0.28 (CH2Cl2:MeOH=15:1); 1H NMR (400 MHz, CD3OD, ppm) δ 7.31-7.26 (m, 1H), 7.03 (s, 1H), 7.01-6.91 (m, 3H), 3.31-3.27 (t, J = 15 Hz, 2H), 3.12-3.08 (t, J = 15 Hz, 2H), 3.06-3.02 (t, J = 15 Hz, 2H), 2.50-2.46 (t, J = 15 Hz, 2H); 13C NMR (400 MHz, CD3OD, ppm) δ 170.39, 170.26, 164.15, 161.73, 154.54, 143.03, 142.95, 129.82, 129.74, 124.07, 124.04, 114.93, 114.72, 113.39, 112.77, 112.55, 35.28, 33.96, 31.88, 26.54
N-hydroxy-3-(2-(3,4,5-trimethoxyphenethyl)thiazol-4-yl)propanamide (화합물 40)
Figure 112018038685586-pat00052
(0.24 g, 44.3 %); Rf = 0.57 (CH2Cl2:MeOH=10:1); 1H NMR (400 MHz, DMSO-d6, ppm) δ 7.10 (s, 1H), 6.51 (s, 2H), 3.74 (s, 6H), 3.61(s, 3H), 3.25-3.21 (t, J = 15 Hz, 2H), 2.97-2.93 (t, J = 15 Hz, 2H), 2.91-2.88 (t, J = 15 Hz, 2H), 2.36-2.32 (t, J = 15 Hz, 2H); 13C NMR (400 MHz, DMSO-d6, ppm) δ 169.46, 168.73, 155.40, 153.17, 136.59, 136.24, 113.52, 106.14, 60.42, 56.24, 35.99, 34.77, 32.22, 27.31
3-(2-(3,4-difluorophen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 41)
Figure 112018038685586-pat00053
(0.29 g, 36.6 %); Rf = 0.22 (CH2Cl2:MeOH=15:1); 1H NMR (400 MHz, CD3OD, ppm) δ 7.18-7.11 (m, 2H), 7.03 (s, 1H), 7.03-6.98 (m, 1H), 3.30-3.26 (t, J = 15 Hz, 2H), 3.09-3.05 (t, J = 15 Hz, 2H), 3.06-3.02 (t, J = 15 Hz, 2H), 2.50-2.46 (t, J = 15 Hz, 2H); 13C NMR (400 MHz, CD3OD, ppm) δ 170.24, 170.14, 154.60, 124.64, 124.61, 124.58, 124.55, 117.04, 116.87, 116.81, 116.63, 113.42, 34.66, 33.95, 31.86, 26.53
3-(2-(4-chlorophen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 42)
Figure 112018038685586-pat00054
(0.24 g, 38 %); Rf = 0.25 (CH2Cl2:MeOH=15:1); 1H NMR (400 MHz, CD3OD, ppm) δ 7.28-7.26 (d, J = 8 Hz, 2H), 7.19-7.17 (d, J = 8 Hz, 2H), 7.02 (s, 1H), 3.29-3.26 (t, J = 15 Hz, 2H), 3.09-3.05 (t, J = 15 Hz, 2H), 3.06-3.02 (t, J = 15 Hz, 2H), 2.50-2.46 (t, J = 15 Hz, 2H); 13C NMR (400 MHz, CD3OD, ppm) δ 170.41, 170.25, 154.53, 138.93, 131.76, 129.80, 128.13, 113.41, 34.92, 34.06, 31.87, 26.52
3-(2-(4-cyanophen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 43)
Figure 112018038685586-pat00055
(0.13 g, 29.4 %); Rf = 0.22 (CH2Cl2:MeOH=15:1); 1H NMR (400 MHz, DMSO-d6, ppm) δ 7.76-7.74 (d, J = 8 Hz, 2H), 7.48-7.46 (d, J = 8 Hz, 2H), 7.09 (s, 1H), 3.29-3.25 (t, J = 15 Hz, 2H), 3.14-3.10 (t, J = 15 Hz, 2H), 2.90-2.86 (t, J = 15 Hz, 2H), 2.35-2.31 (t, J = 15 Hz, 2H); 13C NMR (400 MHz, DMSO-d6, ppm) δ 170.23, 169.86, 154.66, 146.24, 131.98, 129.36, 118.41, 113.50, 109.79, 35.50, 33.50, 31.84, 26.50
3-(2-(3,4-dihydroxyphen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 44)
Figure 112018038685586-pat00056
(0.01 g, 28 %); Rf = 0.23 (CH2Cl2:MeOH=10:1); 1H NMR (400 MHz, DMSO-d6, ppm) δ 7.32 (s, 1H), 6.65-6.62 (m, 2H), 6.49-6.47 (d, J = 8 Hz, 1H), 3.29-3.25 (t, J = 15 Hz, 2H), 2.96-2.93 (t, J = 15 Hz, 2H), 2.88-2.84 (t, J = 15 Hz, 2H), 2.40-2.36 (t, J = 15 Hz, 2H); 13C NMR (400 MHz, DMSO-d6, ppm) δ 172.08, 168.32, 151.97, 145.58, 144.18, 130.91, 119.54, 116.29, 115.99, 115.56, 34.69, 33.86, 31.69, 25.82
N-hydroxy-3-(2-(4-nitrophenethyl)thiazol-4-yl)propanamide (화합물 45)
Figure 112018038685586-pat00057
(0.27 g, 44.9 %); Rf = 0.6 (CH2Cl2:MeOH=10:1); 1H NMR (400 MHz, DMSO-d6, ppm) δ 8.16-8.14 (d, J = 8 Hz, 2H), 7.56-7.54 (d, J = 8 Hz, 2H), 7.10 (s, 1H), 3.32-3.28 (t, J = 15 Hz, 2H), 3.20-3.16 (t, J = 15 Hz, 2H), 2.90-2.86 (t, J = 15 Hz, 2H), 2.35-2.31 (t, J = 15 Hz, 2H); 13C NMR (400 MHz, DMSO-d6, ppm) δ 168.62, 155.49, 149.31, 146.53, 130.32, 123.86, 113.73, 35.06, 33.86, 32.20, 27.28
N-hydroxy-3-(2-(3,4,5-trihydroxyphenethyl)thiazol-4-yl)propanamide (화합물 46)
Figure 112018038685586-pat00058
(0.01 g, 33 %); Rf = 0.22 (CH2Cl2:MeOH=10:1); 1H NMR (400 MHz, DMSO-d6, ppm) δ 7.36 (s, 1H), 6.14 (s, 2H), 3.27-3.23 (t, J = 15 Hz, 2H), 2.96-2.93 (t, J = 15 Hz, 2H), 2.80-2.76 (t, J = 15 Hz, 2H), 2.66-2.63 (t, J = 15 Hz, 2H); 13C NMR (400 MHz, DMSO-d6, ppm) δ 173.84, 172.33, 151.50, 146.50, 131.86, 130.15, 115.76, 107.59, 34.89, 33.70, 33.04, 25.25
3-(2-(2-(furan-2-yl)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 47)
Figure 112018038685586-pat00059
(0.33 g, 33.5 %); Rf = 0.31 (CH2Cl2:MeOH=10:1); 1H NMR (400 MHz, DMSO-d6, ppm) δ 7.53-7.52 (dd, J = 2, 0.8 Hz, 1H), 7.11 (s, 1H), 6.35-6.34 (dd, J = 3.2, 2 Hz 1H), 6.14-6.13 (dd, J = 3.2, 0.8 Hz, 1H), 3.26-3.23 (t, J = 15 Hz, 2H), 3.06-3.03 (t, J = 15 Hz, 2H), 2.90-2.86 (t, J = 15 Hz, 2H), 2.35-2.31 (t, J = 15 Hz, 2H); 13C NMR (400 MHz, DMSO-d6, ppm) δ 168.70, 155.42, 154.19, 142.02, 113.73, 110.88, 106.39, 32.18, 31.59, 27.91, 27.18
N-hydroxy-3-(2-(2-(thiophen-2-yl)ethyl)thiazol-4-yl)propanamide (화합물 48)
Figure 112018038685586-pat00060
(0.6 g, 56.4 %); Rf = 0.29 (CH2Cl2:MeOH=10:1); 1H NMR (400 MHz, DMSO-d6, ppm) δ 7.32-7.31 (dd, J = 4.8, 1.2 Hz, 1H), 7.11 (s, 1H), 6.94-6.92 (dd, J = 4.8, 3.2 Hz 1H), 6.90-6.89 (dd, J = 3.2, 1.2 Hz, 1H), 3.27-3.25 (m, 4H), 2.90-2.86 (t, J = 15 Hz, 2H), 2.35-2.31 (t, J = 15 Hz, 2H); 13C NMR (400 MHz, DMSO-d6, ppm) δ 168.69, 168.65, 155.44, 143.18, 127.36, 125.64, 124.45, 113.74, 35.04, 32.22, 29.63, 27.31
4-(2-benzylthiazol-4-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 49)
Figure 112018038685586-pat00061
Yield = 19 %; Rf = 0.42 (CH2Cl2:MeOH=20:1); 1H NMR (300MHz, DMSO-d6) δ 7.31-7.20 (m, J = 15, 6 Hz, 5H), 6.75 (s, 1H), 4.25 (s, 2H), 2.82-2.77 (t, J = 15 Hz, 2H), 2.39-2.34 (t, J = 15 Hz, 2H), 2.10-2.00 (m, 2H); 13C NMR (100MHz, DMSO-d6) δ 200.51, 190.47, 170.97, 159.43, 156.32, 153.27, 152.64, 150.22, 140.53, 140.53, 34.47, 34.12, 27.19
4-(2-((1H-indol-3-yl)methyl)thiazol-4-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 50)
Figure 112018038685586-pat00062
Yield = 21 %; Rf = 0.43 (CH2Cl2:MeOH=15:1); 1H NMR (300MHz, CD3OD) δ 8.13 (s, 1H), 7.59-7.56 (d, J = 9 Hz, 1H), 7.39-7.36 (d, J = 9 Hz, 1H), 7.23-7.11 (tt, 3H), 7.08 (s, 1H), 6.72 (s, 1H), 4.45 (s, 2H), 2.83-2.78 (t, J = 15 Hz, 2H), 2.41-2.36 (t, J = 15 Hz, 2H), 2.11-2.01 (m, 2H); 13C NMR (100MHz, DMSO-d6) δ 210.78, 190.72, 162.48, 155.28, 154.32, 152.47, 150.35, 150.20, 138.79, 135.44, 129.87, 125.44, 50.64, 46.58, 35.29, 31.52, 26.49
N-hydroxy-4-(2-phenethylthiazol-4-yl)butanamide (화합물 51)
Figure 112018038685586-pat00063
Yield = 22 %; Rf = 0.40 (CH2Cl2:MeOH=20:1); 1H NMR (300MHz, DMSO-d6) δ 7.31-7.20 (m, J = 15 , 9 Hz, 5H), 6.75 (s, 1H), 3.31-2.26 (t, J = 15 Hz, 2H), 3.12-3.07 (t, J = 15 Hz, 2H), 2.82-2.77 (t, J = 15 Hz, 2H), 2.39-2.34 (t, J = 15 Hz, 2H), 2.09-1.99 (m, 2H); 13C NMR (100MHz, DMSO-d6) δ 196.54, 196.37, 176.48, 160.52, 158.94, 152.36, 152.30, 140.78, 70.52, 51.79, 36.47, 34.12, 32.63, 27.19
(E)-N-hydroxy-4-(2-styrylthiazol-4-yl)butanamide (화합물 52)
Figure 112018038685586-pat00064
Yield = 20 %; Rf = 0.35 (CH2Cl2:MeOH=20:1); 1H NMR (500MHz, CD3OD): δ 7.62 (d, J = 5.6 Hz, 2H), 7.48-7.33 (m, 5H), 7.15 (s, 1H), 2.83-2.81 (t, J = 10 Hz, 2H), 2.19-2.17 (t, J = 10 Hz, 2H), 2.07-2.05 (m, 2H); 13C NMR (125MHz, CD3OD): δ 172.64, 168.93, 158.27, 137.22, 136.11, 130.29, 130.13, 128.35, 121.95, 114.92, 33.25, 31.52, 26.49
4-(2-(2-(1H-indol-3-yl)ethyl)thiazol-4-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 53)
Figure 112018038685586-pat00065
Yield = 24 %; Rf = 0.35 (CH2Cl2:MeOH=15:1); 1H NMR (300MHz, DMSO-d6) δ 8.13 (s, 1H), 7.62-7.59 (d, J = 9 Hz, 1H), 7.37-7.34 (d, J = 9 Hz, 1H), 7.22-7.09 (m, J = 18, 15 Hz, 3H), 6.79 (s, 2H), 3.41-3.36 (t, J = 15 Hz, 2H), 3.27-3.22 (t, J = 15 Hz, 2H) 2.82-2.77 (t, J = 15 Hz, 2H), 2.39-2.34 (t, J = 15 Hz, 2H), 2.07-2.02 (m, 2H); 13C NMR (100MHz, DMSO-d6) δ 210.78, 190.72, 162.48, 155.28, 154.32, 152.47, 150.35, 150.20, 138.79, 135.44, 129.87, 125.44, 46.42, 36.37, 35.29, 31.52, 26.49
(E)-4-(2-(2-(1H-indol-3-yl)vinyl)thiazol-4-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 54)
Figure 112018038685586-pat00066
Yield = 25 %; Rf = 0.32 (CH2Cl2:MeOH=15:1); 1H NMR (300MHz, DMSO-d6) δ 8.31 (bs, 1H), 7.67-7.65 (d, J = 6 Hz, 2H), 7.62-7.59 (d, J = 9 Hz, 1H), 7.36-7.33 (d, J = 9 Hz, 1H), 7.21-7.08 (m, 2H), 6.89 (s, 1H), 6.79 (s, 1H), 2.76-2.71 (t, J = 15Hz, 2H), 2.39-2.34 (t, J = 15Hz, 2H), 2.07-2.02 (m, 2H); 13C NMR (100MHz, DMSO-d6) δ 200.98, 195.46, 175.81, 160.42, 154.52, 150.99, 149.34, 142.65, 140.23, 138.48, 136.57, 120.48, 114.73, 113.28, 35.29, 31.52, 26.76
4-(2-(4-fluorophenethyl)thiazol-4-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 55)
Figure 112018038685586-pat00067
Yield = 35 %; Rf = 0.40 (CH2Cl2:MeOH=20:1); 1H NMR (300MHz, DMSO-d6) δ 7.29-7.16 (m, 4H), 6.82 (s, 1H), 3.30-2.25 (t, J = 15 Hz, 2H), 3.11-3.06 (m, 4H), 2.76-2.71 (t, J = 15 Hz, 2H), 2.24-2.14 (m, 2H); 13C NMR (100MHz, DMSO-d6) δ 196.54, 176.48, 160.52, 158.94, 152.36, 152.30, 140.78, 70.52, 34.12, 32.63, 31.87, 27.19
(E)-4-(2-(4-fluorostyryl)thiazol-4-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 56)
Figure 112018038685586-pat00068
Yield = 33 %; Rf = 0.31 (CH2Cl2:MeOH=20:1); 1H NMR (300MHz, DMSO-d6): δ 7.54-7.51 (d, J = 9 Hz, 2H), 7.32-7.18 (m, 4H), 6.90 (s, 1H), 2.81-2.76 (t, J = 15 Hz, 2H), 2.63-2.58 (t, J = 15 Hz, 2H), 2.17-2.07 (m, 2H); 13C NMR (100MHz, DMSO-d6): δ 172.64, 158.27, 137.22, 136.11, 130.29, 128.35, 121.95, 114.92, 40.69, 33.25, 31.52, 26.49
실시예 1. HDAC enzymatic assay
HDAC 억제활성은 BPS HDAC assay kit (HDAC1: catalog# 50061, HDAC6: catalog# 50076)로 측정하였다. 실험방법은 제조사의 protocol대로 실시하였으며, 96well plate(Costar# 4693)에서 Promega Glomax multi detection system(E7061) 기기로 350-380nm 파장 조사 후 440-460nm 영역에서의 형광 발생으로 HDAC 활성 억제를 측정하였다. 억제제는 농도를 10배씩 증가시키며 총 5개 농도점에서 실험하였고(0.001μM, 0.01μM, 0.1μM, 1μM, 10μM) 최소 3반복 실시하였다. 실험은 HDAC substrate(5mM, 0.2μl/well), BSA(Enzynomics# B001, 5μg/well)를 assay buffer에 섞은 master mix에 억제제와 실험에 따라 HDAC1, HDAC6를 처리, 37℃에서 HDAC1은 45분, HDAC6는 30분간 반응시키고 HDAC developer를 50μl 처리, 15분동안 반응시키고 형광을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음성 대조군으로 HDAC, 억제제를 처리하지 않은 well과 양성대조군으로 억제제를 처리하지 않은 well을 두어 아래 [수학식 1] 같은 식으로 억제제가 처리된 well의 HDAC 활성을 %로 변환하고 Prism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IC50값을 하기 [표 1]과 같이 도출하였다. 또한 알려진 HDAC 억제제인 Trichostatin A 혹은 Tubastatin A 1μM well을 두어 일정한 결과값이 나오는지 확인하였다.
[수학식 1]
Figure 112018038685586-pat00069
[표 1]
Figure 112018038685586-pat00070
Figure 112018038685586-pat00071
Figure 112018038685586-pat00072
Figure 112018038685586-pat00073
실시예 2. HDAC6 억제활성과 선택성의 최적화
화합물52의 HDAC6 억제활성과 선택성을 최적화 하고자 먼저 cap group인 phenyl ring에 다양한 치환기를 도입했을 때 para 위치에 fluoro 기를 도입한 유도체 375이 활성과 선택성 다소 개선되었다. 실시예 1에 따른 HDAC enzymatic assay 결과 도출 해 낸 도체 화합물 중 para-fluorophenyl ring을 cap group으로 갖는 유도체들만 분류하여, 실시예 1의 HDAC enzymatic assay에 따른 HDAC6에 대한 활성과 선택성을 비교해보면 도 2와 같다. Cap group과 thiazole ring 사이에는 ethyl 보다 rigid한 ethenyl linker를 도입한 것이 HDAC6에 대한 선택성이 개선되고, thiazole ring과 hydroxamate group 사이에는 C2 linker를 도입하면 억제 활성이 개선됨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SAR 연구에서 HDAC6에 대한 활성과 선택성 가장 뛰어난 유도체로서 화합물32가 도출되었다. (도 2)
실시예 3. in silico 도킹 분석
화합물52 유도체 확보와 HDAC enzymatic assay 결과의 구조-활성 상관관계 분석에서 ring linker와 cap 사이를 trans구조의 이중결합 C chain으로 연결하는 것이 HDAC6 선택성에 중요함을 확인하였으며, 유도체들로 HDAC1(PDB code: 4BKX), HDAC6(PDB code: 5EDU) in silico 도킹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이를 재확인하였다. 도킹 모델에서 trans 이중결합 구조가 억제제의 cap 구조를 subtype간 잔기차이를 보이는 위치(Tyr204 in HDAC1, Phe679 in HDAC6)에 고정되도록 하며, 이러한 이유로 이중결합 구조가 HDAC6 선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판단된다. (도 3)
실시예 4. 우수한 HDAC6 선택적 저해제의 세포활성/세포독성 실험
4-1. 화합물32의 western blot
6well plate에 HeLa cell을 분주하고 억제제를 10uM, 100uM, 1mM, 10mM 네 농도로 처리하고 24hr후에 세포에서 단백질을 수득한 후에 SDS-PAGE법으로 western blot을 실시하였다. 핵 내부에 주로 존재하는 HDAC1의 활성 변화 확인을 위해 Anti-histone H3 antibody(Abcam ab1791), Anti-acetylated histone H3 antibody(Milipore 06-599)로 히스톤 단백질의 아세틸화 변화를 보았고, 세포질에 주로 존재하는 HDAC6는 Anti-α tubulin(Sigma T6074-200UL), Anti-acetylated α tubulin(Sigma T7451-100UL)로 튜불린 단백질의 아세틸화 변화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화합물32이 HDAC1 대비 HDAC6 억제 활성이 더 높음을 확인하였다. (도 4)
4-2. HDAC6 억제활성 상위 6개 유도체의 세포독성 확인
HDAC6 enzymatic assay 결과를 기준으로 가장 활성이 큰 6개 화합물(화합물27, 화합물31, 화합물32, 화합물54, 화합물29, 화합물9)에 대하여 HeLa cell으로 세포독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Cell counting kit-8(Enzo ALX-850-039-KI01)을 제조사의 protocol대로 진행하였고, 1μM, 10μM, 50μM, 100μM 농도로 억제제를 처리해 24시간 후의 세포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를 HDAC6 IC50과 비교했을 때 세포독성 IC50 농도보다 현저히 낮은 농도에서 HDAC6활성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도 5)
실시예 5. 우수한 HDAC6 선택적 저해제의 퇴행성 신경질환 (치매 또는 인지기능장애) 회복 효과 확인
5-1. 실험 동물의 준비
4주령의 ICR계 수컷 마우스(18~20 g)를 코아텍 (평택, 대한민국)에서 공급받아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의 동물사육실에서 1주일 이상 사육하여 적응시켜 사용하였으며, 물과 사료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고, 온도 (23 ± 2 ℃), 습도 (55 ± 10 %) 및 명암주기 (12시간)는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였다. 실험 군당 마우스는 10 마리씩으로 하였다.
5-2. 스코폴아민 또는 아밀로이드 베타 (Aβ)에 의해 유도된 치매 마우스 모델에서 화합물32의 처리 후 체중 변화
스코폴아민 (Scp) 모델에서, 대조군인 제 1군은 5% DMSO와 5% Tween 80을 포함한 생리식염수 전처리 후 생리식염수 투여군, 제 2군은 5% DMSO와 5% Tween 80을 포함한 생리식염수 전처리 후 스코폴아민 투여군, 제 3군에서 제 5군까지는 각각 화합물32 0.03, 0.1, 0.3 mg/kg 전처리 후 스코폴아민 투여군, 제 6군은 SAHA (비선택적 HDAC 억제제) 5 mg/kg 전처리 후 스코폴아민 투여군으로 하였다.
아밀로이드 베타 (Aβ) 모델에서, 대조군인 제 1군은 증류수 전처리 후 5% DMSO와 5% Tween 80을 포함한 생리식염수 투여군, 제 2군은 아밀로이드 베타 (Aβ) 전처리 후 5% DMSO와 5% Tween 80을 포함한 생리식염수 투여군, 제 3군에서 제 5군까지는 아밀로이드 베타 (Aβ) 전처리 후 각각 화합물32 0.01, 0.03, 0.1 mg/kg 투여군, 제 6군은 아밀로이드 베타 (Aβ) 전처리 후 SAHA 5 mg/kg 투여군으로 하였다.
행동 실험을 진행하기 전, 두 모델에서 모든 군의 동물들의 체중을 측정하였다. 스코폴아민 모델에서는 제 3군에서 5군 중, 유효한 결과를 보여준 제 4군만을 포함하여 총 4가지 군의 결과를 (도 6)에서 보여주었다. 실험 결과는 스코폴아민에 의해 유도된 체중 감소를 화합물32 0.1 mg/kg의 투여가 생리식염수 투여 대조군의 수준으로 회복시켰다 (p<0.05). 하지만 SAHA 5 mg/kg는 체중 감소 개선 효과를 나타내지 못 하였다. 아밀로이드 베타 (Aβ) 모델에서는 대조군 및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실험결과를 통하여 화합물32이 체중 변화가 없었던 아밀로이드 베타 (Aβ) 모델에서는 비정상적인 체중 변화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스코폴아민에 의한 체중 감소는 효과적으로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6).
5-3. Y-미로실험에서 화합물32 처리에 의해 나타나는 스코폴아민 또는 아밀로이드 베타 (Aβ) 유도 공간기억력 감소의 회복 효과
스코폴아민 모델 실험에서는 화합물32을 각각 0.03, 0.1, 0.3 mg/kg으로 SAHA는 5 mg/kg의 용량으로 마우스에 복강 투여하고, 30분 뒤에 스코폴아민 0.5 mg/kg을 복강투여 하였다. 30분 뒤에 마우스를 Y-미로에 넣어 A, B 및 C 가지에 마우스가 자유롭게 들어가는 것을 측정하였다.
아밀로이드 베타 (Aβ) 모델에서는 행동 실험 7일 전, 대뇌 뇌실내로 Aβ를 단회 투여하고 화합물32은 각각 0.01, 0.03, 0.1 mg/kg으로 7일 동안 반복적으로 복강투여 하였다. 행동 실험 당일에 화합물32을 각각 0.01, 0.03, 0.1 mg/kg으로 복강투여 한 뒤, 30분 뒤에 마우스를 Y-미로에 넣어 A, B 및 C 가지에 마우스가 자유롭게 들어가는 것을 측정하였다. 이때, 두 모델의 마우스 모두 새로운 가지로 들어가면 1점을 주게 되며, 교차행동 %는 하기의 [수학식 2]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수학식 2]
Figure 112018038685586-pat00074
실험 결과, 스코폴아민 모델 실험에서 대조군은 68%의 교차행동을 나타내어 공간기억력이 유지되고 있었으나, 스코폴아민 투여군은 47%의 교차행동을 나타내어 건망증이 유도되었으며 (p<0.001), 화합물32 0.3 mg/kg 투여군과 SAHA 5 mg/kg 투여군은 모두 57%의 교차행동을 나타내어 스코폴아민 투여군과 비교하여 교차행동을 10% 증가시켰다 (p<0.01, p<0.05).
아밀로이드 베타 (Aβ) 모델 실험에서 대조군은 65%의 교차행동을 나타내어 공간기억력이 유지되고 있었으나, 아밀로이드 베타 (Aβ) 투여군은 51%의 교차행동을 나타내어 건망증이 유도되었으며 (p<0.01), 화합물32 0.01 mg/kg 투여군은 65%의 교차행동을 나타내어 아밀로이드 베타 (Aβ) 투여군과 비교하여 교차행동을 14% 증가시켰다 (p<0.05). 한편 SAHA 5 mg/kg 투여군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상기 실험결과를 통하여 화합물32이 스코폴아민 유도 공간 기억력 손상을 효과적으로 회복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화합물32이 아밀로이드 베타 (Aβ) 유도 공간 기억력 손상을 SAHA보다 효과적으로 회복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7).
5-4. 새로운 물체 인지 실험에서 화합물32 처리에 의해 나타나는 스코폴아민 또는 아밀로이드 베타 (Aβ) 유도 인지기억력 감소의 회복 효과
스코폴아민 모델 실험에서는 화합물32 을 각각 0.03, 0.1, 0.3 mg/kg으로 SAHA는 5 mg/kg의 용량으로 마우스에 복강 투여하고, 30분 뒤에 스코폴아민 0.5 mg/kg을 복강투여 하였다. 30분 뒤에 마우스를 동일한 물체 2개가 나란히 일정한 위치에 놓여있는 열린 상자에 5분 동안 두어 동일한 물체를 탐색하도록 훈련을 거친다. 1시간 뒤에 열린 상자의 일정한 위치에 놓인 두 물체 중 한 물체를 새로운 물체로 바꾸어 놓고, 마우스를 5분 동안 두어 친숙한 물체와 새로운 물체를 자유롭게 탐색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아밀로이드 베타 (Aβ) 모델에서는 행동 실험 7일 전, 대뇌 뇌실내로 Aβ를 단회 투여하고 화합물32은 각각 0.01, 0.03, 0.1 mg/kg으로 7일 동안 반복적으로 복강투여 하였다. 행동 실험 당일에 화합물32을 각각 0.01, 0.03, 0.1 mg/kg으로 복강투여 한 뒤, 30분 뒤에 마우스를 동일한 물체 2개가 나란히 일정한 위치에 놓여있는 열린 상자에 5분 동안 두어 동일한 물체를 탐색하도록 훈련을 거친다. 1시간 뒤에 열린 상자의 일정한 위치에 놓인 두 물체 중 한 물체를 새로운 물체로 바꾸어 놓고, 마우스를 5분 동안 두어 친숙한 물체와 새로운 물체를 자유롭게 탐색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두 모델의 마우스 모두 친숙한 물체와 새로운 물체의 변별도 지수 %는 하기의 [수학식 3]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수학식 3]
Figure 112018038685586-pat00075
실험 결과, 스코폴아민 모델 실험에서 대조군은 71%의 변별도 지수를 나타내어 인지기억력이 유지되고 있었으나, 스코폴아민 투여군은 52%의 변별도 지수를 나타내어 인지기억력 손상이 유도되었다 (p<0.001). 화합물32 0.03, 0.1, 0.3 mg/kg 투여군은 각각 62, 66, 66%의 변별도 지수를 나타내어 스코폴아민 투여군과 비교하여 변별도 지수를 각각 10, 14, 14% 증가시켰다 (p<0.05, p<0.01, p<0.01). 한편, SAHA 5 mg/kg 투여군은 62%의 변별도 지수를 나타내어 스코폴아민 투여군과 비교하여 변별도 지수를 10% 증가시켰다 (p<0.05).
아밀로이드 베타 (Aβ) 모델 실험에서 대조군은 70%의 변별도 지수를 나타내어 인지기억력이 유지되고 있었으나, 아밀로이드 베타 (Aβ) 투여군은 45%의 변별도 지수를 나타내어 인지기억력 손상이 유도되었으며 (p<0.001), 화합물32 0.01, 0.03, 0.1 mg/kg 투여군은 각각 70, 58, 67%의 변별도 지수를 나타내어 아밀로이드 베타 (Aβ) 투여군과 비교하여 변별도 지수를 각각 25, 13, 22% 증가시켰다 (p<0.001, p<0.05, p<0.001). 한편, SAHA 5 mg/kg 투여군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상기 실험결과를 통하여, 화합물32이 스코폴아민 유도 인지기억력 손상을 효과적으로 회복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화합물32이 아밀로이드 베타 (Aβ)유도 인지기억력 손상을 SAHA보다 효과적으로 회복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8).
5-5. 새로운 위치 인지 실험에서 화합물32처리에 의해 나타나는 스코폴아민 또는 아밀로이드 베타 (Aβ) 유도 인지기억력 감소의 회복 효과
스코폴아민 모델 실험에서는 화합물32을 각각 0.03, 0.1, 0.3 mg/kg으로 SAHA는 5 mg/kg의 용량으로 마우스에 복강 투여하고, 30분 뒤에 스코폴아민 0.5 mg/kg을 복강투여 하였다. 30분 뒤에 마우스를 동일한 물체 2개가 나란히 일정한 위치에 놓여있는 열린 상자에 5분 동안 두어 동일한 물체를 탐색하도록 훈련을 거친다. 1시간 뒤, 열린 상자에 놓인 동일 물체 두 개 중 한 물체의 위치를 바꾸어 놓고, 마우스를 5분 동안 두어 친숙한 위치의 물체와 새로운 위치의 물체를 자유롭게 탐색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아밀로이드 베타 (Aβ) 모델에서는 행동 실험 7일 전, 대뇌 뇌실내로 Aβ를 단회 투여하고 화합물32은 각각 0.01, 0.03, 0.1 mg/kg으로 7일 동안 반복적으로 복강투여 하였다. 행동 실험 당일에 화합물32을 각각 0.01, 0.03, 0.1 mg/kg으로 복강투여 한 뒤, 30분 뒤에 마우스를 동일한 물체 2개가 나란히 일정한 위치에 놓여있는 열린 상자에 5분 동안 두어 동일한 물체를 탐색하도록 훈련을 거친다. 1시간 뒤, 열린 상자에 놓인 동일 물체 두 개 중 한 물체의 위치를 바꾸어 놓고, 마우스를 5분 동안 두어 친숙한 위치의 물체와 새로운 위치의 물체를 자유롭게 탐색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두 모델의 마우스 모두 친숙한 위치의 물체와 새로운 위치의 물체의 변별도 지수 %는 상기 실시예 5-4의 수학식 3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 스코폴아민 모델 실험에서 대조군은 62%의 변별도 지수를 나타내어 인지기억력이 유지되고 있었으나, 스코폴아민 투여군은 46%의 변별도 지수를 나타내어 인지기억력 손상이 유도되었다 (p<0.05). 화합물32 0.1 mg/kg 투여군은 62%의 변별도 지수를 나타내어 스코폴아민 투여군과 비교하여 변별도 지수를 16% 증가시켰고 (p<0.05), 화합물32 0.3 mg/kg 투여군은 59%의 변별도 지수를 나타내어 스코폴아민 투여군과 비교하여 변별도 지수를 13% 증가시켰다(p<0.05). SAHA 5 mg/kg 투여군은 68%의 변별도 지수를 나타내어 스코폴아민 투여군과 비교하여 변별도 지수를 22% 증가시켰다 (p<0.001).
아밀로이드 베타 (Aβ) 모델 실험에서 대조군은 63%의 변별도 지수를 나타내어 인지기억력이 유지되고 있었으나, 아밀로이드 베타 (Aβ) 투여군은 42%의 변별도 지수를 나타내어 인지기억력 손상이 유도되었으며 (p<0.05), 화합물32 0.01 mg/kg 투여군에서 62%의 변별도 지수를 나타내어 아밀로이드 베타 (Aβ) 투여군과 비교하여 변별도 지수를 20% 증가시켰다 (p<0.05). 한편, SAHA 5 mg/kg 투여군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상기 실험결과를 통하여 화합물32이 스코폴아민 유도 인지기억력 손상을 효과적으로 회복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화합물32이 아밀로이드 베타 (Aβ)유도 인지기억력 손상을 SAHA보다 효과적으로 회복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9).
5-6. 수동회피실험에서 화합물32 처리에 의해 나타나는 스코폴아민 또는 아밀로이드 베타 (Aβ) 유도 학습 및 기억력 감소의 회복효과
스코폴아민 모델 실험에서는 화합물32을 각각 0.03, 0.1, 0.3 mg/kg으로 SAHA는 5 mg/kg의 용량으로 마우스에 복강 투여하고, 30분 뒤에 스코폴아민 0.5 mg/kg을 복강투여 하였다. 30분 뒤에 마우스를 수동회피 실험 장치에 넣어 어두운 상자로 들어가면 0.8mA (3 초)의 전기 충격을 가하여 학습 (training)시켰다. 24시간 뒤에 마우스를 다시 밝은 상자에 넣어 검은 상자에 들어가기까지의 체재시간을 측정하여 스코폴아민에 의해 유도되는 건망증에 대한 학습 및 기억력의 지표로 하였다.
아밀로이드 베타 (Aβ) 모델에서는 행동 실험 7일 전, 대뇌 뇌실내로 Aβ를 단회 투여하고 화합물32은 각각 0.01, 0.03, 0.1 mg/kg으로 7일 동안 반복적으로 복강투여 하였다. 행동 실험 당일에 화합물32을 각각 0.01, 0.03, 0.1 mg/kg으로 복강투여 한 뒤, 30분 뒤에 마우스를 수동회피 실험 장치에 넣어 어두운 상자로 들어가면 0.8mA (3 초)의 전기 충격을 가하여 학습 (training)시켰다. 24시간 뒤에 마우스를 다시 밝은 상자에 넣어 검은 상자에 들어가기까지의 체재시간을 측정하여 아밀로이드 베타 (Aβ)에 의해 유도되는 건망증에 대한 학습 및 기억력의 지표로 하였다. 이때 두 모델의 마우스 모두 컷-오프 시간 (cut-off time)은 300초로 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스코폴아민 모델 실험에서 대조군은 124초를 나타내어 기억력이 유지되고 있었으나, 스코폴아민 투여군은 21초의 체재시간을 나타내어 건망증이 현저히 유도되었으며 (p<0.001), 화합물32 0.1 mg/kg 투여군은 105초를 나타내어 스코폴아민 투여군과 비교하여 체재시간을 84초로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p<0.001). 또한, 화합물32 0.3 mg/kg 투여군은 77초를 나타내어 스코폴아민 투여군과 비교하여 체재시간을 56초 증가시켰다 (p<0.05). 하지만 SAHA 5 mg/kg 투여군은 스코폴아민 투여군과 비교하여 체재시간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키지 못하였다.
아밀로이드 베타 (Aβ) 모델 실험에서 대조군은 148초를 나타내어 기억력이 유지되고 있었으나, 아밀로이드 베타 (Aβ) 투여군은 38초의 체재시간을 나타내어 건망증이 현저히 유도되었으며 (p<0.001), 화합물32 0.1 mg/kg 투여군은 116초를 나타내어 아밀로이드 베타 (Aβ) 투여군과 비교하여 체재시간을 78초로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p<0.01). 하지만 SAHA 5 mg/kg 투여군은 아밀로이드 베타 (Aβ) 투여군과 비교하여 체재시간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키지 못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를 통하여 화합물32이 SAHA보다 스코폴아민 유도 또는 아밀로이드 베타 (Aβ) 유도 학습 및 기억력 손상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0).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
    [화학식 1]
    Figure 112019102772889-pat00076

    [화학식 2]
    Figure 112019102772889-pat00077

    화학식 1에서 X 및 Y는 각각 독립적으로 질소(N), 황(S), 또는 산소(O)이고,
    Z는 산소(O), 또는 수소 하나가 치환된 탄소(C)이고,
    R1 은 페닐, 5 또는 6원의 헤테로아릴, 또는 8 내지 12원의 바이헤테로아릴이 고, 상기 헤테로아릴 및 바이헤테로아릴은 고리 내 N, S, 및 O 중 1개 이상을 포함 하며,
    상기 R1 은 치환되지 않거나, 할로겐, 수산화기, 아민기, 시아노기, 알콕시기, 니트로기, 또는 트리플로오로메틸기로 치환될 수 있으며,
    m은 1 또는 2이고, n은 0 내지 3의 정수이며;
    화학식 2에서 X 및 Y는 각각 독립적으로 질소(N), 황(S), 또는 산소(O)이고,
    Z는 산소(O), 또는 수소 하나가 치환된 탄소(C)이고,
    R1 은 플루오로페닐(fluorophenyl) 또는 페닐(phenyl)이고,
    R1 이 페닐인 경우, X 내지 Z 중 하나가 산소(O)이고,
    n은 2 또는 3의 정수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에서,
    R1 은 플루오로페닐(fluorophenyl), 페닐(phenyl), 1H-인돌-3-일(1H-indol-3-yl), 4-메톡시페닐(4-methoxyphenyl),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trifluoromethyl)phenyl), 4-아미노페닐(4-aminophenyl), 4-하이드록시페닐(4-hydroxyphenyl), 3,4-디메톡시페닐(3,4-dimethoxyphenyl), 4-브로모페닐(4-bromophenyl), 3-플루오로페닐(3-fluorophenyl), 3,4,5-트리메톡시페닐(3,4,5-trimethoxyphenyl), 3,4-디플루오로페닐(3,4-difluorophenyl), 4-클로로페닐(4-chlorophenyl),4-시아노페닐(4-cyanophenyl), 3,4-디하이드록시페닐(3,4-dihydroxyphenyl), 4-나이트로페닐(4-nitrophenyl), 3,4,5-트리하이드록시페닐(3,4,5-trihydroxyphenyl), 퓨란-2-일(furan-2-yl), 또는 티오펜-2-일(thiophen-2-y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
    3-(3-(4-fluorophenethyl)-1,2,4-oxadiazol-5-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1) ;
    (E)-3-(3-(4-fluorostyryl)-1,2,4-oxadiazol-5-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2) ;
    N-hydroxy-3-(3-phenethyl-1,2,4-oxadiazol-5-yl)propanamide (화합물3) ;
    (E)-N-hydroxy-3-(3-styryl-1,2,4-oxadiazol-5-yl)propanamide (화합물4) ;
    4-(3-(4-fluorophenethyl)-1,2,4-oxadiazol-5-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5) ;
    (E)-4-(3-(4-fluorostyryl)-1,2,4-oxadiazol-5-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6) ;
    N-hydroxy-4-(3-phenethyl-1,2,4-oxadiazol-5-yl)butanamide (화합물7) ;
    (E)-N-hydroxy-4-(3-styryl-1,2,4-oxadiazol-5-yl)butanamide (화합물8) ;
    3-(2-((1H-indol-3-yl)m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9) ;
    3-(2-benzylox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10) ;
    N-hydroxy-3-(2-phenethyloxazol-4-yl)propanamide (화합물11) ;
    (E)-N-hydroxy-3-(2-styryloxazol-4-yl)propanamide (화합물12) ;
    3-(2-(2-(1H-indol-3-yl)ethyl)ox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13) ;
    4-(2-benzyloxazol-4-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15) ;
    4-(2-((1H-indol-3-yl)methyl)oxazol-4-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16) ;
    N-hydroxy-4-(2-phenethyloxazol-4-yl)butanamide (화합물17) ;
    4-(2-(2-(1H-indol-3-yl)ethyl)oxazol-4-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18) ;
    (E)-N-hydroxy-4-(2-styryloxazol-4-yl)butanamide (화합물19) ;
    2-(4-fluorophenethyl)-N-hydroxythiazole-4-carboxamide (화합물21) ;
    2-(2-(4-fluorophenethyl)thiazol-4-yl)-N-hydroxyacetamide (화합물23) ;
    3-(2-benz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25) ;
    3-(2-((1H-indol-3-yl)m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26) ;
    N-hydroxy-3-(2-phenethylthiazol-4-yl)propanamide (화합물27) ;
    3-(2-(2-(1H-indol-3-yl)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29) ;
    3-(2-(4-fluorophen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31) ;
    (E)-3-(2-(4-fluorostyr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32) ;
    N-hydroxy-3-(2-(4-methoxyphenethyl)thiazol-4-yl)propanamide (화합물33) ;
    N-hydroxy-3-(2-(4-(trifluoromethyl)phenethyl)thiazol-4-yl)propanamide (화합물34) ;
    3-(2-(4-aminophen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35) ;
    N-hydroxy-3-(2-(4-hydroxyphenethyl)thiazol-4-yl)propanamide (화합물36) ;
    3-(2-(3,4-dimethoxyphen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37) ;
    3-(2-(4-bromophen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38) ;
    3-(2-(3-fluorophen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39) ;
    N-hydroxy-3-(2-(3,4,5-trimethoxyphenethyl)thiazol-4-yl)propanamide (화합물40) ;
    3-(2-(3,4-difluorophen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41) ;
    3-(2-(4-chlorophen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42) ;
    3-(2-(4-cyanophen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43) ;
    3-(2-(3,4-dihydroxyphen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44) ;
    N-hydroxy-3-(2-(4-nitrophenethyl)thiazol-4-yl)propanamide (화합물45) ;
    N-hydroxy-3-(2-(3,4,5-trihydroxyphenethyl)thiazol-4-yl)propanamide (화합물46) ;
    3-(2-(2-(furan-2-yl)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47) ;
    N-hydroxy-3-(2-(2-(thiophen-2-yl)ethyl)thiazol-4-yl)propanamide (화합물48) ;
    4-(2-benzylthiazol-4-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49) ;
    4-(2-((1H-indol-3-yl)methyl)thiazol-4-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50) ;
    N-hydroxy-4-(2-phenethylthiazol-4-yl)butanamide (화합물51) ;
    4-(2-(2-(1H-indol-3-yl)ethyl)thiazol-4-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53) ;
    4-(2-(4-fluorophenethyl)thiazol-4-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55) ; 및
    (E)-4-(2-(4-fluorostyryl)thiazol-4-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56).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또는 2에서 R1은 플루오로페닐(fluorophenyl)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5. 제 4항에 있어서, 하기 화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
    3-(3-(4-fluorophenethyl)-1,2,4-oxadiazol-5-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1) ;
    (E)-3-(3-(4-fluorostyryl)-1,2,4-oxadiazol-5-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2) ;
    2-(4-fluorophenethyl)-N-hydroxythiazole-4-carboxamide (화합물21) ;
    2-(2-(4-fluorophenethyl)thiazol-4-yl)-N-hydroxyacetamide (화합물23) ;
    3-(2-(4-fluoropheneth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31) ;
    (E)-3-(2-(4-fluorostyr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32) ; 및
    (E)-4-(2-(4-fluorostyryl)thiazol-4-yl)-N-hydroxybutanamide (화합물56).
  6. 제5항에 있어서,
    (E)-3-(2-(4-fluorostyryl)thiazol-4-yl)-N-hydroxypropanamide (화합물32),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 또는 인지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80045283A 2018-04-18 2018-04-18 신규한 hdac6 억제제를 이용한 치매 또는 인지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78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283A KR102078528B1 (ko) 2018-04-18 2018-04-18 신규한 hdac6 억제제를 이용한 치매 또는 인지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283A KR102078528B1 (ko) 2018-04-18 2018-04-18 신규한 hdac6 억제제를 이용한 치매 또는 인지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664A KR20190121664A (ko) 2019-10-28
KR102078528B1 true KR102078528B1 (ko) 2020-02-19

Family

ID=68422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283A KR102078528B1 (ko) 2018-04-18 2018-04-18 신규한 hdac6 억제제를 이용한 치매 또는 인지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52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4009932A2 (pt) 2011-10-28 2017-06-13 Chong Kun Dang Pharmaceutical Corp derivados de hidroxamato para inibidores da hdac e composição farmacêutica contendo os mesmos
TW201408628A (zh) 2012-07-16 2014-03-01 Chdi Foundation Inc 組蛋白去乙醯酶抑制劑及組成物,暨其使用之方法
PL3116859T3 (pl) * 2014-03-12 2019-04-30 Chong Kun Dang Pharmaceutical Corp Nowe związki jako inhibitory deacetylazy histonowej 6 i zawierające je kompozycje farmaceutyczne
KR101711731B1 (ko) * 2014-06-11 2017-03-0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패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664A (ko) 201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3178B2 (en) Arylcyclopropylamine based demethylase inhibitors of LSD1 and their medical use
US9676701B2 (en) Cyclopropylamine derivatives useful as LSD1 inhibitors
KR100430022B1 (ko) 신경장애의치료에유용한수용체-작동칼슘채널의신규부위에서활성인화합물
US9061966B2 (en) Cyclopropylamine inhibitors of oxidases
KR101855471B1 (ko) 다환형 화합물 및 이의 사용 방법
AU2019236666B2 (en) Aminocarbonylcarbamate compounds
Clausen et al. Selective inhibitors of GABA uptake: synthesis and molecular pharmacology of 4-N-methylamino-4, 5, 6, 7-tetrahydrobenzo [d] isoxazol-3-ol analogues
ES2864800T3 (es) Compuesto de benzamida sustituida con alquinilo 5-aromático y procedimiento de preparación, composición farmacéutica, y uso del mismo
EP3621610A1 (en) Sphingosine 1 phosphate receptor agonists for neuroprotection
AU2019247842B2 (en) Opioid receptor modulators and product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KR20190040783A (ko) 라이신 특이적 데메틸라제-1 억제제로서의 피라졸 유도체
NZ573352A (en) Substituted carboxamides as group i metabotropic receptor antagonists
JP6985271B2 (ja) アルキニルジヒドロキノリンスルホンアミド化合物
KR20150002713A (ko) 단백질 응집 저해제로서의 페닐-우레아 및 페닐-카바메이트 유도체
KR102406885B1 (ko) 무스카린 m1 수용체 양성 알로스테릭 조절제로서 다환형 아미드
KR102078528B1 (ko) 신규한 hdac6 억제제를 이용한 치매 또는 인지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TW200948805A (en) Enol carbamate derivatives as modulators of fatty acid amide hydrolase
CZ315098A3 (cs) Antagonisté alfa1-adrenergických receptorů
WO2016141188A1 (en) Compounds for modulating mitochondrial function
WO2016019588A1 (en) Oxacazone compounds to treat clostridium difficile
CA2728096C (en) Substituted 2h-pyrrolo[3,4-c]quinoline compound with serotoninergic activity, processes to prepar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the compound
US10800776B2 (en) Fluorine-containing triazolopyridine, and manufacturing method,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application thereof
KR20230073197A (ko) 세로토닌 수용체 조절제
EP2784065B1 (en) Glycine reuptake inhibitor and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