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243B1 - 증발식 냉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발식 냉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243B1
KR102078243B1 KR1020190119239A KR20190119239A KR102078243B1 KR 102078243 B1 KR102078243 B1 KR 102078243B1 KR 1020190119239 A KR1020190119239 A KR 1020190119239A KR 20190119239 A KR20190119239 A KR 20190119239A KR 102078243 B1 KR102078243 B1 KR 102078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gear
evaporative
rotation
spray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림테크
Priority to KR1020190119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2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3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evap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발식 냉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분무노즐을 통해 냉각수를 분무하여 냉방 기능을 제공하다가, 화재시에는 분사노즐을 통해 냉각수를 강력하게 분사하여 화재 진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증발냉방기를 상,하,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화재발생지점과 인접 설치된 다수의 증발냉방기를 화재발생지점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냉각수를 분사하여 화재 진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에 따라, 냉방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화재시 판매물품의 손상을 최소화시키면서 효율적으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증발식 냉방 시스템{System for evaporative cooler}
본 발명은 증발식 냉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분무노즐을 통해 냉각수를 분무하여 냉방 기능을 제공하다가, 화재시에는 분사노즐을 통해 냉각수를 강력하게 분사하여 화재 진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증발냉방기를 상,하,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화재발생지점과 인접 설치된 다수의 증발냉방기를 화재발생지점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냉각수를 분사하여 화재 진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에 따라, 냉방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화재시 판매물품의 손상을 최소화시키면서 효율적으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증발식 냉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통시장과 같이 옥외에 위치하는 시설물에는 효율성 문제로 인하여, 에어컨과 같은 냉방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여름철 무더위에 상인들은 물론, 전통시장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폭염으로부터 상인의 안전을 보호하고 전통시장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는 쾌적하고 시원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증발식 냉방 장치가 설치되고 있으며, 이러한 '증발 냉방 시스템'이 등록특허 제10-1989856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 게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증발 냉방 시스템'은, 수배관; 상기 수배관에 연결되어서 소화수를 분사하는 소화노즐; 상기 수배관으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서 유입된 냉각수를 여러 방향으로 분무하는 다수의 냉각노즐; 상기 본체를 회전시켜 상기 냉각노즐의 분무방향을 조절하는 회전유닛; 상기 소화노즐의 소화수 분사, 상기 냉각노즐의 냉각수 분무 및 회전유닛의 회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중이용시설용 소화 및 증발냉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결합봉을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체에 구비되는 삽입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탈착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삽입홈에서 하측 개구부로 출몰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단에 외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끼움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탄성편을 구비한 탈착부재, 각 탄성편의 외측에서 내외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측 하단에 가압돌기를 구비한 가압부재, 일측 제1 결합단이 상기 삽입홈의 내측면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 제2 결합단이 상기 가압돌기에 힌지 결합되며, 양측 결합단이 벌어지게 탄성력을 발생하는 원형꼬임부를 갖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탈착부재가 하강하여 상기 끼움부가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결합봉을 상기 끼움부에 끼우면, 상기 탈착부재가 삽입홈 내로 인입되면서 탄성편이 상기 가압부재의 피가압부를 밀면서 상기 가압돌기가 내측으로 회동하여 탄성편을 내측으로 밀고, 이 상태에서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부재의 회동이 강제되어 결합봉의 장착이 완료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특허문헌 1은 전통시장, 역사, 학교, 건축물, 광장, 공원 등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는 다중이용시설에 장착되어 무더운 여름철 실외냉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화재 발생시 소화노즐을 통해 소화수를 사방으로 강력하게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나, 소화노즐을 통해 소화수를 사방으로 강력하게 분사할 경우, 불필요한 곳에 소화수가 분사되어 상인들이 판매하는 농작물 등과 같은 판매물품의 손상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냉방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화재시 판매물품의 손상을 최소화시키면서 효율적으로 화재 진압이 가능한 증발식 냉방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8985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무노즐을 통해 냉각수를 분무하여 냉방 기능을 제공하다가, 화재시에는 분사노즐을 통해 냉각수를 강력하게 분사하여 화재 진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증발냉방기를 상,하,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화재발생지점과 인접 설치된 다수의 증발냉방기를 화재발생지점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냉각수를 분사하여 화재 진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에 따라, 냉방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화재시 판매물품의 손상을 최소화시키면서 효율적으로 화재의 초기 진압이 가능한 증발식 냉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발식 냉방 시스템은, 전통시장과 같이 옥외에 위치하는 시설물에 설치되어 냉방 기능을 제공하는 증발식 냉방 시스템에 있어서, 냉방 기능 제공을 위해 냉각수를 분무하는 분무노즐과, 화재 진압을 위해 냉각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냉각수 이동관을 통해 이동하는 냉각수가 상기 분무노즐 또는 분사노즐로 이동하도록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부재와, 상기 분무노즐을 통해 분무되는 냉각수를 확산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증발냉방기; 화재발생시 상기 분사노즐의 분사방향을 결정하도록 상기 증발냉방기의 회전을 가이드하되, 상기 증발냉방기를 좌,우 회전시키는 수평회전가이드부 및 상기 증발냉방기를 상,하 회전시키는 수직회전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회전가이드부재; 및 상기 분무노즐의 냉각수 분무와, 상기 분사노즐의 냉각수 분사 및 상기 회전가이드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냉방기 제어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회전가이드부는, 제1구동축이 구비되는 제1모터;와, 상기 제1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1모터의 구동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를 감싸며 전체가 맞물리도록 위치하여 상기 제1기어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는 제2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냉방기와 연결되는 상기 수직회전가이드부가 연결되도록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기어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함에 따라 상기 증발냉방기 및 수직회전가이드부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회전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회전가이드부는, 상기 회전관의 하부에서 상기 회전관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양측으로 제2구동축 및 제3구동축이 구비되는 제2모터;와, 상기 제2구동축 및 제3구동축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2모터의 구동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하는 제3기어 및 제4기어;와, 상기 회전관에 상하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그 하부에는 상기 증발냉방기와 연결되도록 결합부가 구비되고, 그 상부에는 상기 제3기어 및 제4기어의 하부에 각각 위치하되,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호를 따라 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제3기어 및 제4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각도가 변화되는 제5기어 및 제6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관에는 화재 감지를 위한 화재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냉방기 제어서버는 상기 화재감지센서를 통해 화재 감지시 화재발생지점과 인접 설치된 다수의 증발냉방기를 화재발생지점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냉각수를 분사하여 화재 진압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관에는 적외선 LED가 구비된 적외선 카메라가 구비되며, 상기 냉방기 제어서버는 화재 발생시 화재 현장에 투입되는 소방관이 화재발생지점까지 접근하는 진입로를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증발냉방기를 화재발생지점 방향으로 일정하게 각도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촬영을 진행하도록 제어하고, 촬영된 영상을 소방관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관에는 조명부가 구비되며, 상기 냉방기 제어서버는 상기 다수의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촬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조명부를 통해 바닥면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도록 제어하여 화재 지점까지 진입로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분무노즐을 통해 냉각수를 분무하여 냉방 기능을 제공하다가, 화재시에는 분사노즐을 통해 냉각수를 강력하게 분사하여 화재 진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증발냉방기를 상,하,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화재발생지점과 인접 설치된 다수의 증발냉방기를 화재발생지점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냉각수를 분사하여 화재 진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에 따라, 냉방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화재시 판매물품의 손상을 최소화시키면서 효율적으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발식 냉방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발식 냉방 시스템의 증발냉방기의 좌,우 회전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발식 냉방 시스템의 증발냉방기의 상,하 회전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발식 냉방 시스템의 증발냉방기가 아케이드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발식 냉방 시스템의 화재 진압 과정을 보인 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발식 냉방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발식 냉방 시스템의 증발냉방기의 좌,우 회전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발식 냉방 시스템의 증발냉방기의 상,하 회전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발식 냉방 시스템의 증발냉방기가 아케이드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고,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발식 냉방 시스템의 화재 진압 과정을 보인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발식 냉방 시스템은, 증발냉방기(100), 회전가이드부재(200), 냉방기 제어서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증발냉방기(100)는 전통시장과 같이 옥외에 위치하는 시설물(아케이드 등)에 설치되어 냉방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냉방 기능 제공을 위해 냉각수를 분무하는 분무노즐(110)과, 화재 진압을 위해 냉각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20)과, 냉각수 이동관을 통해 이동하는 냉각수가 상기 분무노즐(110) 또는 분사노즐(120)로 이동하도록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부재(미도시)와, 상기 분무노즐(110)을 통해 분무되는 냉각수를 확산시키는 송풍팬(130)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증발냉방기(100)는 평상시에는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분무노즐(110)을 통해 냉각수를 분무하도록 구성되며, 화재시에는 냉방기 제어서버(300)의 제어에 의해 상,하,좌,우로 회전하여 화재지점으로 분사노즐(120)을 통해 냉각수를 강력하게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증발냉방기(100)는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온도/습도 설정에 의해 기설정된 온도/습도에 도달하는 경우, 작동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증발냉방기(100)를 이루는 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회전가이드부재(200)는 화재발생시 상기 분사노즐(120)의 분사방향을 결정하도록 증발냉방기(10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부재(200)는 상기 증발냉방기(100)를 좌,우 회전시키는 수평회전가이드부(210)와 상기 증발냉방기(100)를 상,하 회전시키는 수직회전가이드부(220)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수평회전가이드부(210)는 증발냉방기(100)의 설치를 위해 시설물에 고정되는 고정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증발냉방기(100)를 좌,우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회전관(213)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제1구동축(211a)이 구비되는 제1모터(211)와, 상기 제1구동축(211a)과 연결되어 제1모터(211)의 구동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하는 제1기어(212)와, 상기 제1기어(212)를 감싸며 전체가 맞물리도록 위치하여 제1기어(212)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는 제2기어(213a)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냉방기(100)와 연결되는 수직회전가이드부(220)가 연결되도록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제2기어(213a)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함에 따라 증발냉방기(100) 및 수직회전가이드부(220)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회전관(213)으로 구성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터(211)의 구동시 제1기어(212)와 맞물린 제2기어(213a)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관(213)이 좌,우 어느 일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회전관(213)의 하부에 결합된 증발냉방기(100)의 좌,우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관(213)에는 화재 감지를 위한 화재감지센서(214)가 구비되고, 화재시 화재 현장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적외선 LED가 구비된 적외선 카메라(215)가 구비되며, 화재시 화재 현장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21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회전가이드부(220)는 상기 증발냉방기(100)를 상,하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관(213)의 하부에서 회전관(213)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양측으로 제2구동축(221a) 및 제3구동축(221b)이 구비되는 제2모터(221)와, 상기 제2구동축(221a) 및 제3구동축(221b)에 각각 연결되어 제2모터(221)의 구동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하는 제3기어(222) 및 제4기어(223)와, 상기 회전관(213)에 상하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그 하부에는 상기 증발냉방기(100)와 연결되도록 결합부(226)가 구비되고, 그 상부에는 상기 제3기어(222) 및 제4기어(223)의 하부에 각각 위치하되,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호를 따라 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제3기어(222) 및 제4기어(223)의 회전에 의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각도가 변화되는 제5기어(224) 및 제6기어(225)로 구성되는데,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모터(221)의 구동시 제3기어(222) 및 제4기어(223)와 맞물린 제5기어(224) 및 제6기어(225)가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제6기어(225)의 결합부(226)에 결합된 증발냉방기(100)가 상,하 어느 일측 방향으로 일정하게 각도가 변화되며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5기어(224) 및 제6기어(225)는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그 중앙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회전시에는 증발냉방기(100)를 상방향으로 회전시키며, 타측으로 회전시에는 증발냉방기(100)를 하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하방향으로 각각 90도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냉방기 제어서버(300)는 상기 분무노즐(110)의 냉각수 분무와, 상기 분사노즐(120)의 냉각수 분사 및 상기 회전가이드부재(200)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방기 제어서버(300)는 평상시에는 증발냉방기(100)를 일측 방향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분무노즐(110)을 통해 냉각수가 분무되도록 제어하다가, 화재발생시 증발냉방기(100)를 회전하여 분사노즐(120)을 통해 냉각수가 강력하게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냉방기 제어서버(300)는 화재감지센서(214)에 의한 화재 감지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발생지점과 인접 설치된 다수의 증발냉방기(100)를 화재발생지점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분사노즐(120)을 통해 냉각수를 분사하여 화재 진압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게 되는데, 이때, 화재방생지점과 인접 설치된 증발냉방기(100)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증발냉방기(100)에는 고유의 식별번호가 부여되며, 이와 함께 설치위치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방기 제어서버(300)는 화재 발생시, 이를 소방서버(400)로 통보하도록 구성되는데, 화재 발생시 화재 현장에 투입되는 소방관이 화재발생지점까지 접근하는 진입로를 안내하고, 현장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증발냉방기(100)를 화재발생지점 방향으로 일정하게 각도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적외선 카메라(215)를 통해 촬영을 진행하도록 제어하고, 촬영된 영상을 소방관 단말기(5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이, 적외선 카메라(215)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소방관 단말기(500)로 제공함으로써, 소방관(500)이 화재 현장 상황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데, 다수의 적외선 카메라(215)를 통해 촬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냉방기 제어서버(300)에서 조명부(216)를 통해 바닥면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도록 제어하여 화재 지점까지 진입로를 표시함으로써, 소방관이 신속하게 화재발생지점까지 도달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냉방기 제어서버(300)에서 각각의 증발냉방기(100)를 개별 제어하여 화재를 진압함과 동시에 회전관(213)에 구비되는 적외선 카메라(215), 조명부(216)를 통해 화재 현장 상황 및 화재발생지점까지 신속하게 진입 가능한 진입로를 안내함으로써, 효율적인 화재 진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평상시 분무노즐(110)을 통해 냉각수를 분무하여 냉방 기능을 제공하다가, 화재시에는 분사노즐(120)을 통해 냉각수를 강력하게 분사하여 화재 진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증발냉방기(100)를 상,하,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화재발생지점과 인접 설치된 다수의 증발냉방기(100)를 화재발생지점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냉각수를 분사하여 화재 진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에 따라, 냉방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화재시 판매물품의 손상을 최소화시키면서 효율적으로 화재의 초기 진압이 가능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증발냉방기 110: 분무노즐
120: 분사노즐 130: 송풍팬
200: 회전가이드부재 210: 수평회전가이드부
211: 제1모터 211a: 제1구동축
212: 제1기어 213: 회전관
213a: 제2기어 214: 화재감지센서
215: 적외선 카메라 216: 조명부
220: 수직회전가이드부 221: 제2모터
221a: 제2구동축 221b: 제3구동축
222: 제3기어 223: 제4기어
224: 제5기어 225: 제6기어
226: 결합부 227: 연결핀
300: 냉방기 제어서버 400: 소방서버
500: 소방관 단말기

Claims (5)

  1. 전통시장과 같이 옥외에 위치하는 시설물에 설치되어 냉방 기능을 제공하는 증발식 냉방 시스템에 있어서,
    냉방 기능 제공을 위해 냉각수를 분무하는 분무노즐과, 화재 진압을 위해 냉각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냉각수 이동관을 통해 이동하는 냉각수가 상기 분무노즐 또는 분사노즐로 이동하도록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부재와, 상기 분무노즐을 통해 분무되는 냉각수를 확산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증발냉방기;
    화재발생시 상기 분사노즐의 분사방향을 결정하도록 상기 증발냉방기의 회전을 가이드하되, 상기 증발냉방기를 좌,우 회전시키는 수평회전가이드부 및 상기 증발냉방기를 상,하 회전시키는 수직회전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회전가이드부재; 및
    상기 분무노즐의 냉각수 분무와, 상기 분사노즐의 냉각수 분사 및 상기 회전가이드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냉방기 제어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회전가이드부는,
    제1구동축이 구비되는 제1모터;와, 상기 제1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1모터의 구동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를 감싸며 전체가 맞물리도록 위치하여 상기 제1기어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는 제2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냉방기와 연결되는 상기 수직회전가이드부가 연결되도록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기어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함에 따라 상기 증발냉방기 및 수직회전가이드부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회전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회전가이드부는,
    상기 회전관의 하부에서 상기 회전관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양측으로 제2구동축 및 제3구동축이 구비되는 제2모터;와, 상기 제2구동축 및 제3구동축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2모터의 구동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하는 제3기어 및 제4기어;와, 상기 회전관에 상하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그 하부에는 상기 증발냉방기와 연결되도록 결합부가 구비되고, 그 상부에는 상기 제3기어 및 제4기어의 하부에 각각 위치하되,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호를 따라 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제3기어 및 제4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각도가 변화되는 제5기어 및 제6기어;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관에는 화재 감지를 위한 화재감지센서가 구비되되, 상기 냉방기 제어서버는 상기 화재감지센서를 통해 화재 감지시 화재발생지점과 인접 설치된 다수의 증발냉방기를 화재발생지점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냉각수를 분사하여 화재 진압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회전관에는 적외선 LED가 구비된 적외선 카메라가 구비되되, 상기 냉방기 제어서버는 화재 발생시 화재 현장에 투입되는 소방관이 화재발생지점까지 접근하는 진입로를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증발냉방기를 화재발생지점 방향으로 일정하게 각도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촬영을 진행하도록 제어하고, 촬영된 영상을 소방관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관에는 조명부가 구비되되, 상기 냉방기 제어서버는 상기 다수의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촬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조명부를 통해 바닥면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도록 제어하여 화재 지점까지 진입로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식 냉방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19239A 2019-09-27 2019-09-27 증발식 냉방 시스템 KR102078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239A KR102078243B1 (ko) 2019-09-27 2019-09-27 증발식 냉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239A KR102078243B1 (ko) 2019-09-27 2019-09-27 증발식 냉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243B1 true KR102078243B1 (ko) 2020-02-17

Family

ID=69670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239A KR102078243B1 (ko) 2019-09-27 2019-09-27 증발식 냉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2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84125A (zh) * 2021-12-30 2022-04-05 上海集成电路研发中心有限公司 离子注入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532800B1 (ko) * 2022-12-15 2023-05-1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폭염 저감을 위한 송풍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8409A (ko) * 2015-12-29 2017-07-07 장현실 터널화재 진압용 살수시스템
KR101935475B1 (ko) * 2018-05-04 2019-01-04 블루텍 주식회사 시설물용 냉각장치
KR101989856B1 (ko) 2019-02-19 2019-06-18 (주)올찬 다중이용시설용 소화 및 증발냉방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8409A (ko) * 2015-12-29 2017-07-07 장현실 터널화재 진압용 살수시스템
KR101935475B1 (ko) * 2018-05-04 2019-01-04 블루텍 주식회사 시설물용 냉각장치
KR101989856B1 (ko) 2019-02-19 2019-06-18 (주)올찬 다중이용시설용 소화 및 증발냉방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84125A (zh) * 2021-12-30 2022-04-05 上海集成电路研发中心有限公司 离子注入装置及其控制方法
CN114284125B (zh) * 2021-12-30 2024-01-16 上海集成电路研发中心有限公司 离子注入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532800B1 (ko) * 2022-12-15 2023-05-1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폭염 저감을 위한 송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8243B1 (ko) 증발식 냉방 시스템
KR100770655B1 (ko) 화재 진압용 소방로봇
US8973671B2 (en) Smart compact indoor firefighting robot for extinguishing a fire at an early stage
GB2533262B (en) Wall-mountable spray head unit
JP5112031B2 (ja) 空気調和機
JP6876375B2 (ja) ヒートポンプ装置のファン駆動回路
US20190054333A1 (en) Autonomous fire locating and suppress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119665B1 (ko) 발화지점 자동감지 화재 진압장치
CN109069892A (zh) 灭火系统
KR20120079219A (ko) 화재 감시 및 소방용 자동 물대포
CN103537032B (zh) 高层救援移动式灭火装置
KR101793992B1 (ko) 건축물에 설치되는 소방함용 소방 호스릴
KR102346594B1 (ko)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
US20210041134A1 (e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hen et al. An automatic fire searching and suppression system for large spaces
TWI791115B (zh) 放水裝置及滅火系統
JP2022132547A (ja) 低層建物用高所消火装置
KR101828250B1 (ko) 건물의 외벽을 통한 화재확산 방지장치
US20210299494A1 (en) Wall-Mounted Spray Head Unit
JP6976901B2 (ja) 室内空調機設置方向表示装置
CN210845078U (zh) 一种新型消防灭火机器人
CN103742995A (zh) 圆盘空调
CN209123237U (zh) 一种轮式灭火机器人
CN214130022U (zh) 一种高压细水雾自动跟踪定位消防雾炮
CN103673103A (zh) 一种新型圆盘空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