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988B1 - 신축관 - Google Patents

신축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988B1
KR102077988B1 KR1020190047569A KR20190047569A KR102077988B1 KR 102077988 B1 KR102077988 B1 KR 102077988B1 KR 1020190047569 A KR1020190047569 A KR 1020190047569A KR 20190047569 A KR20190047569 A KR 20190047569A KR 102077988 B1 KR102077988 B1 KR 102077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ner tube
base
tube
ex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영
김영주
김영민
김주은
Original Assignee
김도영
김영주
김영민
김주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영, 김영주, 김영민, 김주은 filed Critical 김도영
Priority to KR1020190047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988B1/ko
Priority to PCT/KR2020/001140 priority patent/WO2020218718A1/ko
Priority to US17/606,106 priority patent/US1185130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B66F3/1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with telescopic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 F16L37/24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the coupling being co-axial with the pipe
    • F16L37/244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the coupling being co-axial with the pipe in which a male cylindrical element is introduced into a female cylindrical element, each element containing several threads axially spaced and circumferentially discontinuous which engage with each other as a result of the rotation of one of th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66C23/706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telescoped by other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E04H12/182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2Extend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6Securing devices or hooks for parts of extensible lad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4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driving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차의 사다리나 크레인의 붐 따위를 포함하는 고중량의 기계요소를 안전하게 신축시킬 수 있는 신축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길이를 늘리거나 줄이는 신축관에 있어서,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기저내관 및 상기 기저내관을 수용하도록 배치된 기저외관을 포함하는 기저신축관, 상기 기저내관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내관 및 상기 기저외관의 내주면으로 신축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연결외관을 포함하는 연결신축관, 상기 연결내관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되는 마감내관 및 상기 마감내관의 회전으로 연동되어 상기 연결외관의 내주면으로 신축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마감외관을 포함하는 마감신축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외관은 신축 완료된 상기 마감외관의 회전력으로 연동되어 상기 기저외관을 따라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각의 신축관이 나사결합에 의해 단계적으로 신축되므로 고중량의 기계요소를 안전하게 신축시키는 동시에 고소에서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신축관{TELESCOPIC PIPE}
본 발명은 늘어나고 줄어드는 신축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방차의 사다리나 크레인의 붐 따위를 포함하는 고중량의 기계요소를 안전하게 신축시킬 수 있는 신축관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신축관(telescopic pipe)은 하나의 관을 다른 관 안에 밀어 넣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서, 실린더나 안테나 등 다양한 기계 요소로 사용되고 있다.
신축관에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53000호(등록일자 2018년04월23일) ‘텔레스코픽 파이프’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실린더를 이용하여 파이프의 길이를 늘리는 구성으로서, 소방차의 사다리나 크레인의 붐(boom) 따위를 포함하는 고중량의 기계에 적용하거나 고소(高所)에 설치할 경우 무게 및 태풍 등의 기후에 견디지 못하고 쉽게 부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호(등록일자 20000년00월00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방차의 사다리나 크레인의 붐 따위를 포함하는 고중량의 기계요소를 안전하게 신축시키면서 고소에서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신축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길이를 늘리거나 줄이는 신축관에 있어서,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기저내관 및 상기 기저내관을 수용하도록 배치된 기저외관을 포함하는 기저신축관, 상기 기저내관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내관 및 상기 기저외관의 내주면으로 신축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연결외관을 포함하는 연결신축관, 상기 연결내관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되는 마감내관 및 상기 마감내관의 회전으로 연동되어 상기 연결외관의 내주면으로 신축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마감외관을 포함하는 마감신축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외관은 신축 완료된 상기 마감외관의 회전력으로 연동되어 상기 기저외관을 따라 신축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저내관 및 연결내관의 외측 단부 내면에는 걸림턱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연결내관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턱에 각각 단속되도록 토우림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외관 및 마감외관의 내측 하부에는 디텐트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기저외관 및 연결외관의 외측에는 상기 디텐트에 각각 걸리도록 노치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신축관은 직경을 달리하여 신축가능하게 나사결합으로 연결되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감신축관은 상기 마감내관 및 상기 마감외관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마감내관 및 상기 마감외관의 외측 단부를 마감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덮개, 상기 연결덮개를 고정시키도록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길이를 늘리거나 줄이는 신축관에 있어서, 제1 수나사가 구비되어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기저내관 및 상기 제1 수나사에 나사결합되도록 제1 암나사가 구비되어 상기 기저내관의 회전에 따라 신축되는 기저외관을 포함하는 기저신축관, 상기 기저내관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제2 수나사를 갖는 연결내관 및 상기 제2 수나사에 나사결합되도록 제2 암나사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내관의 회전에 따라 신축되는 연결외관을 포함하는 연결신축관, 상기 연결내관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제3 수나사를 갖는 마감내관 및 상기 제3 수나사에 나사결합되도록 제3 암나사가 구비되어 상기 마감내관의 회전에 따라 신축되는 마감외관을 포함하는 마감신축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기저외관과 연결외관 및 마감외관은 기전내관과 연결내관 및 마감외관의 회전에 의해 동시에 신축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저내관 및 연결내관의 외측 단부 내면에는 스토퍼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결내관 및 마감내관의 내측 단부 외면에는 상기 스토퍼를 단속하도록 캐치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저외관과 연결외관 및 마감외관의 내측 단부 내면에는 스탑림이 각각 형성되어 늘어나는 각각의 수나사에 단속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신축관은 직경을 달리하여 신축가능하게 나사결합으로 연결되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신축관이 나사결합에 의해 단계적으로 신축되므로 고중량의 기계요소를 안전하게 신축시키는 동시에 고소에서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신축관이 나사결합에 의해 동시에 신축되므로 소형의 기계요소를 정밀하게 신축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각각의 신축관이 줄어든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감내관과 연결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동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각각의 신축관이 줄어든 상태의 단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작동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신축관은,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기저내관(110) 및 이 기저내관(110)을 수용하는 기저외관(130)을 포함하는 기저신축관(100), 기저내관(110)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내관(210) 및 기저외관(130)의 내주면으로 신축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연결외관(230)을 포함하는 연결신축관(200), 연결내관(210)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되는 마감내관(310) 및 이 마감내관(310)의 회전으로 연동되어 연결외관(230)의 내주면으로 신축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마감외관(330)을 포함하는 마감신축관(300)을 포함한다.
기저신축관(100)은 본 발명의 기초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기저신축관(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관(角管) 형상의 기저내관(110) 및 원형관(圓形管) 형상의 기저외관(130)을 포함한다.
그리고 기저내관(110)의 외면과 기저외관(130)의 내면 사이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작동공간(S)이 형성되어 기저내관(110)의 회전 시 간섭을 방지하고 연결외관(230) 및 마감외관(330)의 신축을 가능하게 한다.
기저내관(110)의 하부에는 회전축(111)이 연결되어 모터(M) 따위를 포함하는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저내관(110)의 개방된 상단부 내면에는 제1 걸림턱(112)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연결내관(210)의 제2 토우림(tow rim, 212)을 단속하게 된다. 기저내관(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사각형의 각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오각형, 육각형 따위를 포함하는 각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저외관(130)은 내부가 빈 원형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으로 제1 암나사(131)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1 암나사(131)에는 후술하는 연결외관(230)의 제2 수나사(234)가 나사결합되어 연결외관(230)의 신축을 안내하게 된다. 여기서, 제1 암나사(131)는 기저외관(130)의 내면 상단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기저외관(130)의 내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저외관(130)의 내면 상부에는 제1 노치(132)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연결외관(230)의 제2 디텐트(232)가 걸리게 되는데, 이러한 제1 노치(132)는 제1 암나사(131)의 하단부에 인접되게 형성된다.
연결신축관(200)은 기저신축관(100)과 마감신축관(300)을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연결신축관(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기저내관(110)의 내면으로 신축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내관(210)과, 원형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기저외관(130)의 내면으로 신축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연결외관(230)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내관(210)은 기저내관(110)의 형상에 부합되도록 각관으로 형성되어 기저내관(110)의 내면으로 신축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내관(210)의 외면 하부 양측에는 제2 토우림(212)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기저내관(110)의 제1 걸림턱(112)에 걸려서 단속된다. 연결내관(210)의 내면 상단부에는 제2 걸림턱(211)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마감내관(310)의 제3 토우림(311)을 단속하게 된다.
연결외관(230)은 내부가 빈 원형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으로 제2 암나사(231)가 구비되고 외주면으로 제2 수나사(234)가 구비된다. 제2 암나사(231)는 후술하는 마감외관(330)의 제3 수나사(331)와 나사결합되고, 제2 수나사(234)는 기저외관(130)의 제1 암나사(131)에 나사결합된다. 여기서, 제2 암나사(231)는 연결외관(230)의 내면 상단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연결외관(230)의 내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외관(230)의 외면 하부에는 제2 디텐트(232)가 형성되어 기저외관(130)의 제1 노치(132)에 걸리게 된다.
특히, 연결신축관(200)은 직경을 달리하여 신축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직경이 감소되는 복수의 연결내관(210)을 신축가능하게 연결하고 직경이 감소되는 복수의 연결외관(230)을 신축가능하게 나사결합하여, 기저신축관(100)과 마감신축관(300) 사이를 길게 연결하는 것이다.
마감신축관(300)은 본 발명의 끝 부분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마감신축관(3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내관(210)의 내면으로 신축가능하게 연결되는 마감내관(310), 원형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외관(230)의 내면으로 신축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마감외관(330), 마감내관(310)과 마감외관(330)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5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마감내관(3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내관(210)의 형상에 부합되도록 각관으로 형성되어 연결내관(210)의 내면으로 신축가능하게 결합된다. 마감내관(310)의 외면 하부 양측에는 제3 토우림(311)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연결내관(210)의 제2 걸림턱(211)에 걸려서 단속된다. 마감내관(310)의 상부는 차폐되고 그 상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마감외관(330)은 내부가 빈 원형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으로 제3 수나사(331)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3 수나사(331)는 연결외관(230)의 제2 암나사(231)에 나사결합되어 마감외관(330)의 신축을 안내하게 된다. 마감외관(330)의 내주면 상단부에는 키홈(333)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연결부재(350)의 결합키(352)가 결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마감외관(330)의 외면 하부에는 제3 디텐트(332)가 형성되어 연결외관(230)의 제2 노치(233)에 걸리게 된다.
연결부재(350)는 마감내관(310)과 마감외관(330)을 연결하여 마감내관(310)의 회전에 따라 마감외관(330)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연결부재(350)는 마감내관(310)과 마감외관(330)의 외측 단부를 마감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덮개(351), 연결덮개(351)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354)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덮개(351)는 대략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 중앙에 카운터보링 가공이 이루어지고, 연결덮개(351)의 둘레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키(352)가 구비되어 마감외관(330)의 키홈(333)에 키결합되며, 연결덮개(351)의 저면에는 결합철부(353)가 구비되어 마감내관(310)의 결합요부(312)에 끼움결합된다. 여기서, 결합철부(353)는 마감내관(310)의 결합요부(312)에 대응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마감내관(310)의 회전력이 연결덮개(351)에 그대로 전달된다.
고정볼트(354)는 연결덮개(351)의 카운터보링을 관통하여 마감내관(310)의 탭홀(313)에 나사결합되므로 연결덮개(351)를 마감내관(310)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마감외관(330)의 내측 단부는 연결외관(230)에 나사결합으로 지지되므로 볼트 등을 이용하여 연결덮개(351)와 마감외관(330)을 고정시키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 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신축관이 늘어나는 작동 관계를 살펴보면, 외부 동력에 의해 기저내관(110)이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연결내관(210) 및 마감내관(310)이 동시에 회전된다.
이어서, 마감내관(310)의 회전력이 연결부재(350)를 통해 마감외관(330)에 그대로 전달되어 동시에 회전되고, 이 마감외관(330)은 연결외관(230)의 제2 암나사(231)에 의해 안내되어 도 6에서와 같이 회전하면서 늘어나게 된다.
참고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점선화살표는 기저내관(110)과 연결내관(210) 및 마감내관(310)의 회전 상태 및 방향을 나타내었고, 실선화살표는 연결외관(230) 및 마감외관(330)의 회전 상태 및 방향을 나타내었다.
다음, 도 7에서와 같이 마감외관(330)의 회전으로 제3 디텐트(332)가 연결외관(230)의 제2 노치(233)에 단속되면 마감외관(330)의 늘어나는 거리는 최대치를 이루게 된다.
계속해서, 제2 노치(233)에 단속된 제3 디텐트(332)에 의해 마감외관(330)의 회전력이 연결외관(230)으로 전달되므로 연결외관(230) 및 마감외관(330)은 도 8에서와 같이 잇따라 함께 회전된다.
이때, 연결내관(210)은 제2 걸림턱(211)이 마감내관(310)의 제3 토우림(311)에 걸린 상태이므로 연결외관(230)은 마감내관(310)에 의해 견인되어 늘어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9에서와 같이 연결외관(230)의 회전으로 제2 디텐트(232)가 기저외관(130)의 제1 노치(132)에 단속되면 연결외관(230)의 늘어나는 거리는 최대치를 이루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신축관이 줄어드는 작동 관계는 상술한 신축관이 늘어나는 작동 관계의 역순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축(111)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마감외관(330)의 회전 완료 후 연결외관(230)이 회전되며, 도 4에서와 같이 완전히 줄어든 상태에서는 마감내관(310) 및 연결내관(210)이 기저내관(110)의 바닥면에 단속되어 더 이상 줄어들지 않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신축관은, 제1 수나사(412)가 구비되어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기저내관(410) 및 제1 수나사(412)에 나사결합되도록 제1 암나사(431)가 구비되어 기저내관(410)의 회전에 따라 신축되는 기저외관(430)을 포함하는 기저신축관(400), 기저내관(410)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제2 수나사(512)를 갖는 연결내관(510) 및 제2 수나사(512)에 나사결합되도록 제2 암나사(531)가 구비되어 연결내관(510)의 회전에 따라 신축되는 연결외관(530)을 포함하는 연결신축관(500), 연결내관(510)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제3 수나사(612)를 갖는 마감내관(610) 및 제3 수나사(612)에 나사결합되도록 제3 암나사(631)가 구비되어 마감내관(610)의 회전에 따라 신축되는 마감외관(630)을 포함하는 마감신축관(600)을 포함한다.
기저신축관(400)은 본 발명의 기초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기저신축관(400)은 제1 수나사(412)를 갖는 각관 형상의 기저내관(410) 및 제1 암나사(431)를 갖는 원형관 형상의 기저외관(430)을 포함한다.
그리고 기저내관(410)의 외면과 기저외관(430)의 내면 사이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작동공간(S)이 형성되어 기저내관(410)의 회전 시 간섭을 방지하게 된다.
기저내관(410)의 하부에는 회전축(411)이 연결되어 모터(M) 따위를 포함하는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저내관(410)의 개방된 상단부 내면에는 제1 스토퍼(413)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연결내관(510)의 제2 캐치를 단속하게 된다. 기저내관(410)은 내부가 빈 사각형의 각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오각형, 육각형 따위를 포함하는 각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저내관(410)의 외주면에는 제1 수나사(412)가 일체로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1 수나사(41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내관(410)의 외주면 상단에 두껍게 돌출된 제1 보스(412a)에 형성된다.
기저외관(430)은 내부가 빈 원형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으로 제1 암나사(431)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1 암나사(431)에는 기저내관(410)의 제1 수나사(412)가 나사결합되므로 기저외관은 기저내관(410)의 회전에 의해 신축된다. 기저외관(430)의 외면 상단에는 제1 거셋(432)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연결외관(530)의 제2 스탑림(stop rim, 533)을 단속하고, 내주면 하단에는 제1 스탑림(433)이 형성되어 기저내관(410)의 제1 수나사(412)에 단속된다.
연결신축관(500)은 기저신축관(400)과 마감신축관(600)을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연결신축관(500)은 제2 수나사(512)를 갖는 각관 형상의 기저내관(410) 및 제2 암나사(531)를 갖는 원형관 형상의 연결외관(530)을 포함한다.
연결내관(510)은 기저내관(410)의 형상에 부합되도록 각관으로 형성되어 기저내관(410)의 내면으로 신축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내관(510)의 외주면에는 제2 수나사(512)가 일체로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2 수나사(51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내관(510)의 외주면 상단에 두껍게 돌출된 제2 보스(512a)에 형성된다. 연결내관(510)의 내면 상단에는 제2 스토퍼(513)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마감내관(610)의 제3 캐치(614)를 단속하고, 외면 하단에는 제2 캐치가 구비되어 기저내관(410)의 제1 스토퍼(413)에 단속된다.
연결외관(530)은 내부가 빈 원형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으로 제2 암나사(531)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2 암나사(531)에는 연결내관(510)의 제2 수나사(512)가 나사결합되므로 연결외관은 연결내관(510)의 회전에 의해 신축된다. 연결외관(530)의 외주면 상단에는 제2 거셋(532)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마감외관(630)의 제3 스탑림(633)을 단속하고, 내주면 하단에는 제2 스탑림(533)이 형성되어 연결내관(510)의 제2 수나사(512)에 단속된다.
특히, 연결신축관(500)은 직경을 달리하여 신축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직경이 감소되는 복수의 연결내관(510)을 신축가능하게 연결하고 직경이 증가되는 복수의 연결외관(530)을 신축가능하게 나사결합하여, 기저신축관(400)과 마감신축관(600) 사이를 길게 연결하는 것이다.
마감신축관(600)은 본 발명의 끝 부분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마감신축관(600)은 제3 수나사(612)가 구비되어 연결내관(510)의 내면으로 신축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감내관(610), 제3 암나사(631)가 구비되어 연결외관(530)의 외면으로 신축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감외관(630), 마감내관(610)과 마감외관(630)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50)를 포함한다.
마감내관(610)은 연결내관(510)의 형상에 부합되도록 각관으로 형성되어 연결내관(510)의 내면으로 신축가능하게 결합된다. 마감내관(610)의 외주면에는 제3 수나사(612)가 일체로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3 수나사(61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내관(610)의 외주면 상단에 두껍게 돌출된 제3 보스(612a)에 형성된다. 마감내관(610)의 외면 하단에는 제3 캐치(614)가 형성되어 연결내관(510)의 제2 스토퍼(513)에 단속된다.
마감외관(630)은 내부가 빈 원형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으로 제3 암나사(631)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3 암나사(631)에는 마감외관(630)의 제3 수나사(612)가 나사결합되어 마감외관(630)이 마감내관(610)을 따라 회전하면서 신축된다. 마감외관(630)의 내면 하단에는 제3 스탑림(633)이 형성되어 마감내관(610)의 제3 수나사(612)에 단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전체적인 작동 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신축관이 늘어나는 작동 관계를 살펴보면, 외부 동력에 의해 기저내관(410)이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연결내관(510) 및 마감내관(610)이 동시에 회전된다.
이때, 제1 수나사(412) 내지 제3 수나사(612)가 회전되고, 각각의 수나사에 나사결합된 제1 암나사(431) 내지 제3 암나사(631)에 의해 기저외관(430)과 연결외관(530) 및 마감외관(630)이 동시에 회전되어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각각의 내관을 따라 늘어나게 된다.
다음, 도 13에서와 같이 제1 내지 제3 스탑림(633)제3 스탑림(633)수나사에 단속되고 제2 캐치 및 제3 캐치(614)가 각각의 스토퍼에 단속되면, 기저신축관(400)과 연결신축관(500) 및 마감신축관(600)의 늘어나는 거리는 최대치를 이루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축관이 줄어드는 작동 관계는 상술한 신축관이 늘어나는 작동 관계의 역순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축(411)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400 : 기저신축관 110, 410 : 기저내관
130, 430 : 기저외관 200, 500 : 연결신축관
210, 510 : 연결내관 230, 530 : 연결외관
300, 600 : 마감신축관 310, 610 : 마감내관
330, 630 : 마감외관 350 : 연결부재
M : 모터 S : 작동공간

Claims (7)

  1. 길이를 늘리거나 줄이는 신축관에 있어서,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기저내관 및 상기 기저내관을 수용하도록 배치된 기저외관을 포함하는 기저신축관,
    상기 기저내관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내관 및 상기 기저외관의 내주면으로 신축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연결외관을 포함하는 연결신축관,
    상기 연결내관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되는 마감내관 및 상기 마감내관의 회전으로 연동되어 상기 연결외관의 내주면으로 신축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마감외관을 포함하는 마감신축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마감신축관은 상기 마감내관 및 상기 마감외관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마감내관 및 상기 마감외관의 외측 단부를 마감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덮개, 상기 연결덮개를 고정시키도록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외관은 신축 완료된 상기 마감외관의 회전력으로 연동되어 상기 기저외관을 따라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저내관 및 연결내관의 외측 단부 내면에는 걸림턱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연결내관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턱에 각각 단속되도록 토우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외관 및 마감외관의 내측 하부에는 디텐트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기저외관 및 연결외관의 외측에는 상기 디텐트에 각각 걸리도록 노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신축관은 직경을 달리하여 신축가능하게 나사결합으로 연결되는 복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관.
  5. 삭제
  6. 길이를 늘리거나 줄이는 신축관에 있어서,
    제1 수나사가 구비되어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기저내관 및 상기 제1 수나사에 나사결합되도록 제1 암나사가 구비되어 상기 기저내관의 회전에 따라 신축되는 기저외관을 포함하는 기저신축관,
    상기 기저내관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제2 수나사를 갖는 연결내관 및 상기 제2 수나사에 나사결합되도록 제2 암나사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내관의 회전에 따라 신축되는 연결외관을 포함하는 연결신축관,
    상기 연결내관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제3 수나사를 갖는 마감내관 및 상기 제3 수나사에 나사결합되도록 제3 암나사가 구비되어 상기 마감내관의 회전에 따라 신축되는 마감외관을 포함하는 마감신축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기저외관과 연결외관 및 마감외관은 기저내관과 연결내관 및 마감외관의 회전에 의해 동시에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기저내관 및 연결내관의 외측 단부 내면에는 스토퍼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결내관 및 마감내관의 내측 단부 외면에는 상기 스토퍼를 단속하도록 캐치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관.
KR1020190047569A 2019-04-23 2019-04-23 신축관 KR102077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569A KR102077988B1 (ko) 2019-04-23 2019-04-23 신축관
PCT/KR2020/001140 WO2020218718A1 (ko) 2019-04-23 2020-01-22 신축관
US17/606,106 US11851308B2 (en) 2019-04-23 2020-01-22 Telescopic pi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569A KR102077988B1 (ko) 2019-04-23 2019-04-23 신축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988B1 true KR102077988B1 (ko) 2020-04-07

Family

ID=70290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569A KR102077988B1 (ko) 2019-04-23 2019-04-23 신축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51308B2 (ko)
KR (1) KR102077988B1 (ko)
WO (1) WO2020218718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15208A (zh) * 2021-10-12 2022-01-11 金到映 一种安全伸缩重型机械部件用伸缩管
KR102361508B1 (ko) * 2020-12-14 2022-02-14 김도영 승강식 타워를 갖는 풍력발전기
WO2022092349A1 (ko) * 2020-10-29 2022-05-05 노욱래 신축 장치
KR102421195B1 (ko) * 2021-10-18 2022-07-15 주식회사 와이케이엔지니어링 소방용 안전 유도장치
KR102450204B1 (ko) * 2021-10-08 2022-09-30 신종민 중량물 인상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1184A (ja) * 1989-12-20 1991-08-21 Showa Alum Corp 伸縮式中空ポ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43428B (sv) * 1983-04-25 1986-02-24 Ingemar Svensson Teleskopisk lengdforenderlig paverkningsanordning
JP2753626B2 (ja) * 1989-06-14 1998-05-20 昭和飛行機工業株式会社 伸縮ポール
JPH04308604A (ja) * 1991-04-04 1992-10-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伸縮式ポール
JP4043563B2 (ja) * 1997-10-15 2008-02-06 電気興業株式会社 昇降装置
KR20060118991A (ko) 2005-05-18 2006-11-24 강경이 신축성 가로등주
KR20130001749A (ko) * 2011-06-28 2013-01-07 김진목 전동식 텔리스코픽 승하강 시스템
CN104444861A (zh) * 2014-12-10 2015-03-25 郑敏 一种可调速伸缩臂
CN110240081B (zh) * 2019-04-29 2021-04-09 西安华欧精密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4级滚珠丝杠电动缸
US11338777B2 (en) * 2020-05-26 2022-05-24 Sos Solutions, Inc. Two speed trailer jack
DE102022130040A1 (de) * 2021-11-12 2023-05-17 Völker GmbH Längenveränderbare Hubsäule für ein Bett, insbesondere Kranken- und/oder Pflegebett sowie derartiges Bet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1184A (ja) * 1989-12-20 1991-08-21 Showa Alum Corp 伸縮式中空ポール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호(등록일자 20000년00월00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349A1 (ko) * 2020-10-29 2022-05-05 노욱래 신축 장치
KR102361508B1 (ko) * 2020-12-14 2022-02-14 김도영 승강식 타워를 갖는 풍력발전기
KR102450204B1 (ko) * 2021-10-08 2022-09-30 신종민 중량물 인상기
CN113915208A (zh) * 2021-10-12 2022-01-11 金到映 一种安全伸缩重型机械部件用伸缩管
KR102421195B1 (ko) * 2021-10-18 2022-07-15 주식회사 와이케이엔지니어링 소방용 안전 유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94760A1 (en) 2022-06-23
US11851308B2 (en) 2023-12-26
WO2020218718A1 (ko)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7988B1 (ko) 신축관
US2687268A (en) Adjustable shore or strut
US6902342B1 (en) Short telescoping turnbuckle
CN209244226U (zh) 一种脚手架斜拉式工字钢悬挑梁
CA2545565C (en) Device which is expandable to engage the interior of a tube
CN106639914B (zh) 偏心跟管钻具
US20210135331A1 (en) Antenna mounting structure
RU2409499C2 (ru) Легкое подъем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подвод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CA2912082A1 (en) Downhole tubing swivels and related methods
US4371279A (en) Structural joint
KR100665209B1 (ko) 맨홀거푸집
US3073633A (en) Screw couplings
CN113915208A (zh) 一种安全伸缩重型机械部件用伸缩管
KR101894464B1 (ko) 비볼트 체결방식의 전주 연결장치
JPH02159404A (ja) 伸縮自在の支柱装置
CN212251489U (zh) 一种可自由调节的穿墙管
CN203638079U (zh) 中间自锁式舱门撑杆
KR102304259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KR101789156B1 (ko) 일체형셋앙카 및 이를 이용한 건물외장재 시공방법
US10717632B2 (en) Bolting device
JP6590229B2 (ja) パイプジョイント
CN103708023A (zh) 中间自锁式舱门撑杆
US20230102551A1 (en) Improved Pole Joint
KR102180536B1 (ko) 건축용 통신선 보호관 접속구조
CN205617577U (zh) 支架锁固于浪板的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