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771B1 - 특고압 송배전 선로의 고정대 - Google Patents

특고압 송배전 선로의 고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771B1
KR102077771B1 KR1020190063129A KR20190063129A KR102077771B1 KR 102077771 B1 KR102077771 B1 KR 102077771B1 KR 1020190063129 A KR1020190063129 A KR 1020190063129A KR 20190063129 A KR20190063129 A KR 20190063129A KR 102077771 B1 KR102077771 B1 KR 102077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upport
support piece
rotary support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태
Original Assignee
(주)하늘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늘천 filed Critical (주)하늘천
Priority to KR1020190063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7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고압 송배전 선로의 고정대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절연 애자 측에서 특고압 송배전 선로를 지지하는 구조를 개선하는 한편, 제1,2 회전지지편이 이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랙의 이동에 따라 맞물리는 상태로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특고압 송배전 선로의 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특고압 송배전 선로의 고정대{Holder of high voltage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특고압 송배전 선로의 고정대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절연 애자 측에서 특고압 송배전 선로를 지지하는 구조를 개선하는 한편, 제1,2 회전지지편이 이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랙의 이동에 따라 맞물리는 상태로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특고압 송배전 선로의 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고압 송배전 선로는 전주에 설치되는 완철과 같은 고정대 본체와 고정대 본체 상에 설치된 절연 애자에 의해 지지 된다.
고정대 본체 상에 설치되는 애자는 전주에 밴드를 매개로 고정된 고정대 본체 상에 고정되어 특고압 송배전 선로의 나선부분을 절연하고 동시에 기계적으로 유지 또는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절연체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고정대에 의하면, 절연 애자에 의해 지지되는 특고압 송배전 선로의 지지 상태가 견고하지 못하여 특고압 송배전 선로가 절연 애자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352076호(2014.01.15.)에는 '특고압 배전 전용 가공전선 고정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특고압 배전 전용 가공전선 고정대는 제1,2 회전지지편이 이격된 상태에서의 슬라이딩 랙의 이동에 많은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맞물리는 상태로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352076호(2014.01.15.) '특고압 배전 전용 가공전선 고정대'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절연 애자 측에서 특고압 송배전 선로를 지지하는 구조를 개선하는 한편, 제1,2 회전지지편이 이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랙의 이동에 따라 맞물리는 상태로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특고압 송배전 선로의 고정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주(1)에 설치되는 고정대 본체(110); 상기 고정대 본체(110)에 착탈식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설플레이트(120); 상기 가설플레이트(120)의 상부에 설치된 절연재질의 애자 본체(130); 상기 애자 본체(130)의 상부에 고정된 베이스부(210)와, 상기 베이스부(210)의 상부에 구비된 케이싱 커버(220)로 이루어진 회전 지지 케이싱(200); 상기 베이스부(210)의 상부에 형성된 랙 가이드 홈(2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베이스 물림부(311)를 하부에 갖추고서 상기 케이싱 커버(220)의 랙 개구부(223)를 관통하며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 가능하게 구비된 절연재질의 슬라이딩 랙(310); 상기 슬라이딩 랙(310)에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피니언(321)과, 상기 피니언(321)의 중심부에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부(210)의 상부에 구비된 회전축 지지부(213)에 의해 지지되는 제1 회전축(323)과, 상기 제1 회전축(323)에 구비되되 상기 피니언(321)의 반대편에 구비된 제1 기어(325)와, 상기 제1 회전축(323)에 구비되되 상기 피니언(321) 및 상기 제1 기어(325) 사이에 구비된 제1 회전체(327)로 이루어진 제1 회전유닛(320); 상기 제1 기어(325)에 맞물려 상기 피니언(321) 및 상기 제1 기어(325)의 회전방향에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제2 기어(331)와, 상기 제2 기어(331)의 중심부에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부(210)의 상부에 구비된 또 다른 회전축 지지부(213)에 의해 지지되는 제2 회전축(333)과, 상기 제2 회전축(333)에 구비되되 상기 제1 회전체(327)와는 대칭되게 구비된 제2 회전체(335)로 이루어진 제2 회전유닛(330); 좌우로 상호 이격 또는 깍지 맞물리게 회전되되, 서로 마주보는 부분이 만곡 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상호 깍지 맞물리면 특고압 송배전 선로(L)를 상하좌우로 밀착지지하도록, 각각의 일측은 상기 제1 회전체(327) 및 상기 제2 회전체(335)에 각각 연결되고, 각각의 타측은 상기 케이싱 커버(220)의 지지편 개구부(221)를 통해 상기 회전 지지 케이싱(200)의 외부로 노출된 제1 및 제2 회전지지편(410,420); 상기 베이스부(210)의 상부에서 상기 케이싱 커버(220)의 일측에 구비된 스토퍼 케이싱(510)과, 상기 스토퍼 케이싱(510)의 내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되 하강시 상기 슬라이딩 랙(310)에 맞물리도록 구비된 걸림 랙(520)과, 상기 걸림 랙(520)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스토퍼 케이싱(510)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된 스토퍼 작동간(530)과, 상기 걸림 랙(520) 및 상기 스토퍼 케이싱(510) 사이에 구비되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엔 상기 걸림 랙(520)이 하강된 위치에 머물도록 탄발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540)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스토퍼 유닛(500); 및 상기 제1 회전지지편(410) 또는 상기 제2 회전지지편(420)의 지지편 결합부(440)에 매달리고, 상기 제1 회전지지편(410) 및 상기 제2 회전지지편(420)이 상호 맞물리면 상기 제1 회전지지편(410) 및 상기 제2 회전지지편(420)이 상호 맞물린 부위에 특고압 송배전 선로(L)의 길이방향을 따라 끼워지는 U자형 고정클립(600)을 포함하되, 상기 U자형 고정클립(600)은, 단부를 향해 갈수록 상호 간격이 좁혀졌다가 다시 원래의 간격으로 벌어지는 오목부(610)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610)에 결합되어 상기 U자형 고정클립(600)이 체결된 상태를 지지하는 판상의 클립 고정부재(620)가 구비되는 특고압 송배전 선로의 고정대에 있어서, 상기 제1,2 회전지지편(410,420)이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랙(310)의 이동에 따라 맞물리는 상태로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압부(7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압부(700)는, 상기 회전 지지 케이싱(2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고정판(710); 상기 고정판(71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회전지지편(410)과 대향되는 지지바(720); 일단부가 제1 회전지지편(410)에 이웃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바(720)를 통과하면서 상기 지지바(720)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바(730); 상기 가압바(730)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2 회전지지편(410,420)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회전지지편(410)과 접하는 가압판(740); 및 상기 지지바(720)와 상기 가압판(74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압바(73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750)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750)은, 상기 제1,2 회전지지편(410,420)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회전지지편(410)의 가압에 의해 수축되는 한편, 상기 제1,2 회전지지편(410,420)이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이완되면서 상기 제1 회전지지편(410)을 가압하여 상기 제1,2 회전지지편(410,420)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하는 상기 지지바(720)는, 하부가 상기 고정판(710)에 고정되는 하부바(721);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하부바(721)의 상부 외측으로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가압바(730)가 구비되고, 일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공(722a)이 형성되는 상부바(722); 및 상기 상부바(722)를 상기 하부바(721)에 승,하강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723)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723)은, 일단부가 하부바(721)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공(722a)을 통해 상기 상부바(72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승강돌기(724); 및 상기 승강돌기(724)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상부바(722)를 상기 하부바(721)에 고정하는 조절부재(725)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재(725)는, 풀림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바(722)가 상기 하부바(721)와 밀착 해제되면서 승,하강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제1 회전지지편(410)과 접하는 상기 가압판(740)의 높이가 적절하게 조정되도록 하며, 조임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바(722)로 밀착되는 한편, 상기 상부바(722)가 상기 하부바(721)로 밀착되면서 높이 조정된 상기 가압판(74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 송배전 선로의 고정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고압 배전선 라인의 지지상태가 견고해지도록 함으로써 특고압 배전선 라인이 절연 애자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2 회전지지편이 이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랙의 이동에 따라 제1 회전지지편을 맞물리는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맞물리는 상태로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송배전 선로의 고정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연 애자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애자 본체의 상부 영역을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케이싱 커버를 벗겨낸 상태를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제1회전지지편 및 제2회전지지편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U자형 고정클립이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송배전 선로의 고정대에서 가압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가압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8의 가압부에서 지지바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송배전 선로의 고정대(100)는 밴드와 같은 지지체를 갖추고서 전주(1)에 설치되는 고정대 본체(110), 고정대 본체(110)에 착탈식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설플레이트(120), 가설플레이트(120)의 상부에 설치된 절연재질의 애자 본체(130), 회전 지지 케이싱(200), 슬라이딩 랙(310)과, 제1 회전유닛(320), 제2 회전유닛(330), 제1 회전지지편(410), 제2 회전지지편(420), 슬라이딩 스토퍼 유닛(500) 및 U자형 고정클립(600)(도 5를 참고)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특고압 송배전 선로(L)의 지지상태가 견고해지도록 함으로써 특고압 송배전 선로(L)가 절연 애자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고압 송배전 선로의 고정대(100)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송배전 선로의 고정대(100)는 애자 본체(130)와 회전 지지 케이싱(200), 슬라이딩 랙(310), 제1 회전유닛(320), 제2 회전유닛(330), 제1 회전지지편(410), 제2 회전지지편(420), 슬라이딩 스토퍼 유닛(500) 및 U자형 고정클립(600)은 하나의 절연 애자를 구성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자 본체(130)는 고정대 본체(11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체적으로는 '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된 가설플레이트(120) 상에 설치되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딩 랙(310)의 슬라이딩 왕복에 의해 특고압 송배전 선로(L)를 지지해줄 제1 회전지지편(410) 및 제2 회전지지편(420)이 좌우로 상호 이격 또는 깍지 맞물리게 회전되도록 간편하게 조작됨으로써 특고압 송배전 선로(L)의 설치가 용이 해지고 작업이 간편해지도록 할 수 있다.
회전 지지 케이싱(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자 본체(130)의 상부에 고정된 베이스부(210)와, 베이스부(210)의 상부에 구비된 케이싱 커버(22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210)의 상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랙(310)의 베이스 물림부(311)가 맞물리게 랙 가이드 홈(211)이 함몰 형성되고, 제1 회전유닛(320)의 제1 회전축(323)과 제2 회전유닛(330)의 제2 회전축(33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 지지부(213)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랙(310)이 베이스부(21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랙 가이드 홈(211)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랙(310)에 맞물려 슬라이딩 랙(310)의 왕복에 의해 회전되는 제1 회전유닛(320)과 제1 회전유닛(320)에 맞물려 제1 회전유닛(320)의 회전방향에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 회전유닛(330)이 회전축 지지부(213)에 의해 베이스부(21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회전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회전축 지지부(21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210)의 상부에서 제1 회전유닛(320)에 대응되는 측에서 제1 회전축(323)을 따라 전방과 후방에 한 쌍으로 각각 구비됨과 동시에 제2 회전유닛(330)에 대응되는 측에서 제2 회전축(333)을 따라 전방과 후방에 한 쌍으로 각각 구비되어 총 4개가 구비된다.
한편, 회전축 지지부(213)에서 제1 회전축(323) 또는 제2 회전축(333)이 관통되어 접촉되는 부분에는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커버(220)의 상부에는 제1 회전지지편(410) 및 제2 회전지지편(420)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상호 근접되게 회전시 상부가 깍지 맞물림에 의해 특고압 송배전 선로(L)를 밀착지지하도록 제1 회전지지편(410) 및 제2 회전지지편(420)이 회전되는 경로의 여유 공간을 제공하는 지지편 개구부(221)가 제1 회전지지편(410) 및 제2 회전지지편(420)에 각각 대응되게 한 쌍으로 천공 형성된다.
또한, 케이싱 커버(220)의 양 측면 하부에는 슬라이딩 랙(310)이 관통하며 슬라이딩 왕복 될 수 있게 랙 개구부(223)가 천공 형성된다.
한편, 슬라이딩 랙(310)은 베이스부(210)의 상부에 형성된 랙 가이드 홈(2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베이스 물림부(311)를 하부에 갖추고서 케이싱 커버(220)의 랙 개구부(223)를 관통하며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되, 고강도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재질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랙(310)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제1 회전유닛(320)의 피니언(321)이 슬라이딩 랙(310)에 맞물려 제1 회전지지편(410)이 벌어진 상태에서 오므라지게 회전됨과 동시에 제2 회전유닛(330)의 제2 기어(331)가 제1 회전유닛(320)의 제1 기어(325)에 맞물려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 회전지지편(420)이 벌어진 상태에서 오므라지게 회전됨으로써 제1 회전지지편(410) 및 제2 회전지지편(420)이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상호 깍지 맞물림 되는 상태로 회전하게 되어 특고압 송배전 선로(L)가 상하좌우로 밀착지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랙(310)이 절연재질로 마련됨으로써 특고압 송배전 선로(L)의 설치 작업시 감전사고의 발생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베이스 물림부(311)는 단면이 대략 ‘T’자를 거꾸로 세워 놓은 형상이 되도록 마련되고, 랙 가이드 홈(211)은 베이스 물림부(311)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 지지 케이싱(200), 제1 회전유닛(320), 제2 회전유닛(330), 제1 회전지지편(410), 제2 회전지지편(420), 스토퍼 케이싱(510) 및 스토퍼 작동간(530)도 절연재질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회전유닛(3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랙(310)에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피니언(321)과, 피니언(321)의 중심부에 구비되되 베이스부(210)의 상부에 구비된 회전축 지지부(213)에 의해 지지되는 제1 회전축(323)과, 제1 회전축(323)에 구비되되 피니언(321)의 반대편에 구비된 제1 기어(325)와, 제1 회전축(323)에 구비되되 피니언(321) 및 제1 기어(325) 사이에 구비된 제1 회전체(327)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랙(310)의 슬라이딩 왕복에 의해 제1 회전지지편(410)이 제2 회전지지편(420)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나 근접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1 회전지지편(410)이 연결된 제1 회전체(327)가 좌우로 회전되게 할 수 있고, 제1 기어(325)를 통해 제2 회전유닛(330)이 제1 회전유닛(320)의 회전방향에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유닛(330)은 제1 기어(325)에 맞물려 피니언(321) 및 제1 기어(325)의 회전방향에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제2 기어(331)와, 제2 기어(331)의 중심부에 구비되되 베이스부(210)의 상부에 구비된 또 다른 회전축 지지부(213)에 의해 지지되는 제2 회전축(333)과, 제2 회전축(333)에 구비되되 제1 회전체(327)와는 대칭되게 구비된 제2 회전체(335)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랙(310)의 슬라이딩 왕복에 의해 제2 회전지지편(420)이 제1 회전지지편(410)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나 근접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2 회전지지편(420)이 연결된 제2 회전체(335)가 좌우로 회전되게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회전지지편(410,4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상호 이격 또는 깍지 맞물리게 회전되되, 서로 마주보는 부분이 만곡 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상호 깍지 맞물리면 특고압 송배전 선로(L)를 상하좌우로 밀착지지하도록,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일측은 제1 회전체(327) 및 제2 회전체(335)에 각각 연결되고, 각각의 타측은 케이싱 커버(220)의 지지편 개구부(221)를 통해 회전 지지 케이싱(2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1 회전지지편(4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체(327)에 연결되고, 제2 회전지지편(420)은 제2 회전체(335)에 연결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지지편(410)의 상부에는 복수의 제1 핑거(411)가 구비되고, 제2 회전지지편(420)의 상부에는 제1 회전지지편(410)과 상호 근접시 제1 핑거(411)와 함께 상호 깍지 맞물림 교합을 이루도록 복수의 제2 핑거(421)가 제1 핑거(411)에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랙(310)의 슬라이딩 왕복에 의해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회전체(327) 및 제2 회전체(335)에 제1 회전지지편(410) 및 제2 회전지지편(420)이 각각 연결되어 상호 이격에 의해 깍지 맞물림 해제되거나 상호 접근에 의해 깍지 맞물림 될 수 있고, 제1 핑거(411) 및 제2 핑거(421)가 상호 어긋나게 배치됨으로써 상호 깍지 맞물림에 의해 특고압 송배전 선로(L)를 상하좌우로 견고하게 밀착지지할 수 있다.
또한, 특고압 송배전 선로(L)의 설치가 용이 해지고 작업이 간편해짐으로써 설치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특고압 송배전 선로의 고정대(100)를 제공할 수 있다.
슬라이딩 스토퍼 유닛(5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210)의 상부에서 케이싱 커버(220)의 일측에 구비된 스토퍼 케이싱(510)과, 스토퍼 케이싱(510)의 내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되 하강시 슬라이딩 랙(310)에 맞물리도록 구비된 걸림 랙(520)과, 걸림 랙(520)의 상부에 구비되되 스토퍼 케이싱(510)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된 스토퍼 작동간(530)과, 걸림 랙(520) 및 스토퍼 케이싱(510) 사이에 구비되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엔 걸림 랙(520)이 하강된 위치에 머물도록 탄발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54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스토퍼 작동간(530)을 들어올려 걸림 랙(520)이 슬라이딩 랙(310)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도록 걸림 랙(520)을 상승시킴으로써 슬라이딩 랙(310)이 자유롭게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할 수 있고, 스토퍼 작동간(530)을 내버려두면 스토퍼 작동간(530)이 하강 되면서 걸림 랙(520)이 슬라이딩 랙(310)에 맞물려지도록 함으로써 제1 회전지지편(410) 및 제2 회전지지편(420)이 상호 이격 또는 접근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게 하여 제1 회전지지편(410) 및 제2 회전지지편(420)의 상호 이격 또는 접근된 상태가 단계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U자형 고정클립(6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지지편(410) 또는 제2 회전지지편(420)의 측면에 구비된 지지편 결합부(440)에 체인(450)과 같은 연결수단으로 매달리고, 제1 회전지지편(410) 및 제2 회전지지편(420)이 상호 맞물리면 제1 회전지지편(410) 및 제2 회전지지편(420)이 상호 맞물린 부위에 특고압 송배전 선로(L)의 길이방향을 따라 측방으로 끼워지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U자형 고정클립(600)은 약간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회전지지편(410) 및 제2 회전지지편(420)의 상호 깍지 맞물림에 의해 지지되는 특고압 송배전 선로(L)의 지지상태가 제1 회전지지편(410) 및 제2 회전지지편(420)이 상호 맞물린 부위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체결되는 U자형 고정클립(600)에 의해 더욱 견고해지도록 함으로써 특고압 송배전 선로(L)가 절연 애자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호 이격 또는 접근된 상태가 단계적으로 고정된 제1 회전지지편(410) 및 제2 회전지지편(420)의 상호 맞물린 부위가 U자형 고정클립(60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 및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절연 애자에 의해 지지 되어야 하는 특고압 송배전 선로(L)의 크기가 변경되더라도 별도의 다른 절연 애자로 교체할 필요없이 다양한 크기의 특고압 송배전 선로(L)를 지지할 수 있다.
U자형 고정클립(6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를 향해 갈수록 상호 간격이 좁혀졌다가 다시 원래의 간격으로 벌어지는 오목부(610)를 포함하고, U자형 고정클립(600)에는 오목부(610)에 결합되어 U자형 고정클립(600)이 체결된 상태를 지지하는 판상의 클립 고정부재(620)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1 회전지지편(410) 및 제2 회전지지편(420)이 상호 맞물린 부위에 U자형 고정클립(600)이 끼워진 상태가 U자형 고정클립(600)의 오목부(610)에 끼워지는 클립 고정부재(62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송배전 선로의 고정대(100)의 작동 과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 회전지지편(410) 및 제2 회전지지편(420)이 상호 이격되어 벌어진 상태에서 슬라이딩 스토퍼 유닛(500)의 스토퍼 작동간(530)을 들어올린 후, 슬라이딩 랙(310)을 회전 지지 케이싱(200) 속으로 밀어 넣는다.
다음에, 슬라이딩 랙(310)이 회전 지지 케이싱(200)의 내부로 진입됨에 따라 슬라이딩 랙(310)에 맞물리는 제1 회전유닛(320)의 피니언(321)이 회전되어 제1 회전체(327)에 연결된 제1 회전지지편(410)이 특고압 송배전 선로(L)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오므라짐과 동시에 제2 회전체(335)는 제1 회전체(327)의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 회전지지편(420)도 특고압 송배전 선로(L)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오므라져 마침내 제1 회전지지편(410)과 제2 회전지지편(420)은 제1 핑거(411)들과 제2 핑거(421)들이 상호 깍지 맞물리게 교합되도록 접근된다.
그리고, 스토퍼 작동간(530)을 들어올린 힘을 놓으면 걸림 랙(520)이 하강되어 슬라이딩 랙(310)에 맞물리게 되면서 제1 회전지지편(410) 및 제2 회전지지편(420)이 상호 깍지 맞물리게 회전된 상태를 그대로 고정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U자형 고정클립(600)을 제1 회전지지편(410) 및 제2 회전지지편(420)이 상호 맞물린 부위에 특고압 송배전 선로(L)의 길이방향을 따라 측방으로 끼운다. 이때, U자형 고정클립(600)의 단부에 구비된 클립 고정부재(620)를 통해 오목부(610)가 끼워지도록 하여 U자형 고정클립(600)이 제1 회전지지편(410) 및 제2 회전지지편(420)의 상호 맞물린 부위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체결된 상태를 견고하게 고정 지지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특고압 송배전 선로(L)의 지지상태가 견고해지도록 함으로써 특고압 송배전 선로(L)가 절연 애자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송배전 선로의 고정대(100)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회전지지편(410,420)이 이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랙(310)의 이동에 따라 맞물리는 상태로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압부(700)를 더 포함한다.
가압부(700)는 제1,2 회전지지편(410,420)이 이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랙(310)의 이동시, 제1 회전지지편(410)을 맞물리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적은 힘으로도 제1,2 회전지지편(410,42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특고압 송배전 선로(L)에 대한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가압부(700)는 회전 지지 케이싱(2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고정판(710), 고정판(71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 회전지지편(410)과 대향되는 지지바(720), 일단부가 제1 회전지지편(410)에 이웃하고, 타단부가 지지바(720)를 통과하면서 지지바(720)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바(730), 가압바(730)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제1,2 회전지지편(410,420)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 회전지지편(410)과 접하는 가압판(740) 및 지지바(720)와 가압판(740) 간에 위치되도록 가압바(73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750)을 포함한다.
고정판(710)은 양단부가 특고압 송배전 선로(L)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 회전지지편(41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일단부가 회전 지지 케이싱(200)의 일측에 고정된다.
가압부(700)는 회전 지지 케이싱(200)으로부터 고정판(710)을 지지하는 브라켓(7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판(710)은 지지바(7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지지바(720)는 하부가 고정판(710)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부가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고정판(710)과 교차되는 형태를 이룬다.
지지바(720)는 고정판(7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바(730)는 양단부가 고정판(710)의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지지바(720)의 양면을 통과한다.
가압부(700)는 가압바(730)가 지지바(7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7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바(730)는 타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탈방지부재(770)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가압바(730)의 타단부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면서 가압바(730)가 지지바(7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압판(740)은 제1,2회전지지편(410,420)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회전지지편(410)과 접촉되면서 스프링(750)이 수축되도록 한다.
가압부(700)는 가압판(740)과 제1회전지지편(410) 간에 위치되도록 가압판(740)에 구비되는 압착부재(7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착부재(780)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회전지지편(410)과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접촉에 따른 마모와 함께 소음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스프링(750)은 슬라이딩 랙(310)의 이동시, 제1,2 회전지지편(410,420)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 회전지지편(410)의 가압에 의해 수축되는 한편, 제1,2 회전지지편(410,420)이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이완되면서 제1 회전지지편(410)을 제2 회전지지편(420)의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2 회전지지편(410,420)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한다.
이에 따라, 가압부(700)는 슬라이딩 랙(310)의 이동시, 제1 회전유닛(320)에 구비된 피니언(321)이 쉽게 회전될 수 있음으로써 제1 기어(325)와 함께 제1 기어(325)에 치형결합되는 제2 기어(331)의 원활한 회전을 통해 제1,2회전지지편(410,420)에 대한 빠르고 원활한 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
가압부(700)는 고정판(710)으로부터 제1회전지지편(41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7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수단(790)은 지지스프링(791), 지지스프링(791)의 하부에 결합되며 고정판(710)의 일단부 상측에 구비되는 하부캡(792) 및 지지스프링(791)의 상부로 결합되는 상부캡(793)을 포함한다.
상부캡(793)은 하부가 개방되는 'ㄷ'자 형태를 이루며 지지스프링(791)의 상부로 결합된다.
상부캡(793)은 제1,2회전지지편(410)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회전지지편(410)과 접하는 한편, 제1회전지지편(410)의 가압에 의해 하강되면서 지지스프링(791)이 수축되도록 한다.
하부캡(792)은 상부가 개방되는 'ㄷ'자 형태를 이루며 지지스프링(791)의 하부로 결합된다.
지지스프링(791)은 제1,2회전지지편(410,420)이 맞물린 상태에서 이완된 상태를 유지하다 제1,2회전지지편(410)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회전지지편(410)의 가압에 의해 수축되는 한편, 슬라이딩 랙(310)의 이동에 따라 이완되면서 제1회전지지편(410)을 가압한다.
이로 인해, 지지수단(790)은 제1,2회전지지편(410,420)이 최대로 이격된 상태에서 제1회전지지편(4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제1,2회전지지편(410,420)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회전지지편(410)을 제2회전지지편(420)의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2회전지지편(410,42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지지바(720)는 상하 길이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면서 제1 회전지지편(410)과 접하는 가압판(74)의 위치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지지부(7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상기 고정판(710)에 고정되는 하부바(721),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하부바(721)의 상부 외측으로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가압바(730)가 구비되고 일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공(722a)이 형성되는 상부바(722) 및 상부바(722)를 하부바(721)에 승,하강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723)을 포함한다.
고정수단(723)은 일단부가 하부바(721)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가이드공(722a)을 통해 상부바(72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승강돌기(724) 및 승강돌기(724)로 나사결합되면서 상부바(722)를 하부바(721)에 고정하는 조절부재(725)를 포함한다.
조절부재(725)는 풀림 회전에 따라 상부바(722)가 하부바(721)와 밀착 해제되면서 승,하강 가능하도록 하여 제1 회전지지편(410)과 접하는 가압판(740)의 높이가 적절하게 조정되도록 한다.
조절부재(725)는 조임 회전에 따라 상부바(722)로 밀착되는 한편, 상부바(722)가 하부바(721)로 밀착되면서 높이 조정된 가압판(74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부바(722)는 가이드공(722a)이 형성되는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에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인입공간(722b)이 형성된다.
인입공간(722b)은 하부바(722)로의 상부바(722)의 결합시, 승강돌기(724)가 통과되면서 가이드공(722a)으로의 인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로 인해, 지지바(720)는 제1 회전지지편(410)과 접하는 가압판(74)의 위치가 적절하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110 : 고정대 본체 120 : 가설플레이트
130 : 애자 본체 200 : 회전 지지 케이싱
210 : 베이스부 220 : 케이싱 커버
310 : 슬라이딩 랙 320 : 제1 회전유닛
330 : 제2 회전유닛 410 : 제1 회전지지편
420 : 제2 회전지지편 500 : 슬라이딩 스토퍼 유닛
600 : U자형 고정클립 620 : 클립 고정부재
700 : 가압부 710 : 고정판
720 : 지지바 730 : 가압바
740 : 가압판 750 : 스프링
760 : 브라켓 770 : 이탈방지부재
780 : 압착부재 790 : 지지수단

Claims (1)

  1. 전주(1)에 설치되는 고정대 본체(110);
    상기 고정대 본체(110)에 착탈식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설플레이트(120);
    상기 가설플레이트(120)의 상부에 설치된 절연재질의 애자 본체(130);
    상기 애자 본체(130)의 상부에 고정된 베이스부(210)와, 상기 베이스부(210)의 상부에 구비된 케이싱 커버(220)로 이루어진 회전 지지 케이싱(200);
    상기 베이스부(210)의 상부에 형성된 랙 가이드 홈(2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베이스 물림부(311)를 하부에 갖추고서 상기 케이싱 커버(220)의 랙 개구부(223)를 관통하며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 가능하게 구비된 절연재질의 슬라이딩 랙(310);
    상기 슬라이딩 랙(310)에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피니언(321)과, 상기 피니언(321)의 중심부에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부(210)의 상부에 구비된 회전축 지지부(213)에 의해 지지되는 제1 회전축(323)과, 상기 제1 회전축(323)에 구비되되 상기 피니언(321)의 반대편에 구비된 제1 기어(325)와, 상기 제1 회전축(323)에 구비되되 상기 피니언(321) 및 상기 제1 기어(325) 사이에 구비된 제1 회전체(327)로 이루어진 제1 회전유닛(320);
    상기 제1 기어(325)에 맞물려 상기 피니언(321) 및 상기 제1 기어(325)의 회전방향에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제2 기어(331)와, 상기 제2 기어(331)의 중심부에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부(210)의 상부에 구비된 또 다른 회전축 지지부(213)에 의해 지지되는 제2 회전축(333)과, 상기 제2 회전축(333)에 구비되되 상기 제1 회전체(327)와는 대칭되게 구비된 제2 회전체(335)로 이루어진 제2 회전유닛(330);
    좌우로 상호 이격 또는 깍지 맞물리게 회전되되, 서로 마주보는 부분이 만곡 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상호 깍지 맞물리면 특고압 송배전 선로(L)를 상하좌우로 밀착지지하도록, 각각의 일측은 상기 제1 회전체(327) 및 상기 제2 회전체(335)에 각각 연결되고, 각각의 타측은 상기 케이싱 커버(220)의 지지편 개구부(221)를 통해 상기 회전 지지 케이싱(200)의 외부로 노출된 제1 및 제2 회전지지편(410,420);
    상기 베이스부(210)의 상부에서 상기 케이싱 커버(220)의 일측에 구비된 스토퍼 케이싱(510)과, 상기 스토퍼 케이싱(510)의 내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되 하강시 상기 슬라이딩 랙(310)에 맞물리도록 구비된 걸림 랙(520)과, 상기 걸림 랙(520)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스토퍼 케이싱(510)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된 스토퍼 작동간(530)과, 상기 걸림 랙(520) 및 상기 스토퍼 케이싱(510) 사이에 구비되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엔 상기 걸림 랙(520)이 하강된 위치에 머물도록 탄발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540)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스토퍼 유닛(500); 및
    상기 제1 회전지지편(410) 또는 상기 제2 회전지지편(420)의 지지편 결합부(440)에 매달리고, 상기 제1 회전지지편(410) 및 상기 제2 회전지지편(420)이 상호 맞물리면 상기 제1 회전지지편(410) 및 상기 제2 회전지지편(420)이 상호 맞물린 부위에 특고압 송배전 선로(L)의 길이방향을 따라 끼워지는 U자형 고정클립(600)을 포함하되,
    상기 U자형 고정클립(600)은,
    단부를 향해 갈수록 상호 간격이 좁혀졌다가 다시 원래의 간격으로 벌어지는 오목부(610)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610)에 결합되어 상기 U자형 고정클립(600)이 체결된 상태를 지지하는 판상의 클립 고정부재(620)가 구비되는 특고압 송배전 선로의 고정대에 있어서,
    상기 제1,2 회전지지편(410,420)이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랙(310)의 이동에 따라 맞물리는 상태로의 회전이 적은 힘으로도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압부(7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700)는,
    상기 회전 지지 케이싱(2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고정판(710);
    상기 고정판(71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회전지지편(410)과 대향되는 지지바(720);
    일단부가 제1 회전지지편(410)에 이웃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바(720)를 통과하면서 상기 지지바(720)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바(730);
    상기 가압바(730)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2 회전지지편(410,420)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회전지지편(410)과 접하는 가압판(740);
    상기 지지바(720)와 상기 가압판(74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압바(73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750);
    상기 가압바(730)의 타단부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가압바(730)가 상기 지지바(7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770);
    상기 가압판(740)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1회전지지편(410)과의 접촉에 따른 마모와 함께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압착부재(780); 및
    상기 고정판(710)으로부터 상기 제1회전지지편(41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790)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750)은,
    상기 제1,2 회전지지편(410,420)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회전지지편(410)의 가압에 의해 수축되는 한편, 상기 제1,2 회전지지편(410,420)이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이완되면서 상기 제1 회전지지편(410)을 가압하여 상기 제1,2 회전지지편(410,420)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하고,
    상기 지지수단(790)은,
    지지스프링(791);
    상기 지지스프링(791)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판(710)의 일단부 상측에 구비되는 하부캡(792); 및
    상기 지지스프링(791)의 상부로 결합되는 상부캡(793)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스프링(791)은,
    상기 제1,2회전지지편(410,420)이 맞물린 상태에서 이완된 상태를 유지하다 상기 제1,2회전지지편(410)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회전지지편(410)의 가압에 의해 수축되는 한편, 싱기 슬라이딩 랙(310)의 이동에 따라 이완되면서 상기 제1회전지지편(410)을 가압하며,
    상기 지지바(720)는,
    하부가 상기 고정판(710)에 고정되는 하부바(721);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하부바(721)의 상부 외측으로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가압바(730)가 구비되고, 일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공(722a)이 형성되는 상부바(722); 및
    상기 상부바(722)를 상기 하부바(721)에 승,하강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723)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723)은,
    일단부가 하부바(721)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공(722a)을 통해 상기 상부바(72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승강돌기(724); 및
    상기 승강돌기(724)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상부바(722)를 상기 하부바(721)에 고정하는 조절부재(725)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바(722)는,
    상기 가이드공(722a)이 형성되는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에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인입공간(722b)이 형성되면서 상기 하부바(722)로의 상기 상부바(722)의 결합시, 상기 승강돌기(724)가 통과되면서 상기 가이드공(722a)으로의 인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조절부재(725)는,
    풀림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바(722)가 상기 하부바(721)와 밀착 해제되면서 승,하강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제1 회전지지편(410)과 접하는 상기 가압판(740)의 높이가 조정되도록 하며, 조임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바(722)로 밀착되는 한편, 상기 상부바(722)가 상기 하부바(721)로 밀착되면서 높이 조정된 상기 가압판(74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 송배전 선로의 고정대.
KR1020190063129A 2019-05-29 2019-05-29 특고압 송배전 선로의 고정대 KR102077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129A KR102077771B1 (ko) 2019-05-29 2019-05-29 특고압 송배전 선로의 고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129A KR102077771B1 (ko) 2019-05-29 2019-05-29 특고압 송배전 선로의 고정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771B1 true KR102077771B1 (ko) 2020-02-17

Family

ID=69670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129A KR102077771B1 (ko) 2019-05-29 2019-05-29 특고압 송배전 선로의 고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7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023B1 (ko) * 2020-08-06 2021-03-12 주식회사 건일 배전용 케이블 고정장치
KR102248999B1 (ko) * 2020-11-18 2021-05-07 대성전력(주) 배전선로의 조류 퇴치장치
KR102277790B1 (ko) * 2020-07-09 2021-07-15 주식회사 대성사 가공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단장치
CN116865188A (zh) * 2023-07-17 2023-10-10 天津立博坤电气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力用线缆固定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076B1 (ko) 2013-11-12 2014-01-15 (주)세종그룹엔지니어링 특고압 배전 전용 가공전선 고정대
KR101613894B1 (ko) * 2015-09-30 2016-04-20 주식회사 평일 폴 타입 엘보접속재 투입 및 분리장치
KR101869361B1 (ko) * 2017-12-11 2018-06-21 (주)인곡기술사사무소 감전의 위험성을 낮춘 가공배전선 고정용 지지완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076B1 (ko) 2013-11-12 2014-01-15 (주)세종그룹엔지니어링 특고압 배전 전용 가공전선 고정대
KR101613894B1 (ko) * 2015-09-30 2016-04-20 주식회사 평일 폴 타입 엘보접속재 투입 및 분리장치
KR101869361B1 (ko) * 2017-12-11 2018-06-21 (주)인곡기술사사무소 감전의 위험성을 낮춘 가공배전선 고정용 지지완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790B1 (ko) * 2020-07-09 2021-07-15 주식회사 대성사 가공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단장치
KR102227023B1 (ko) * 2020-08-06 2021-03-12 주식회사 건일 배전용 케이블 고정장치
KR102248999B1 (ko) * 2020-11-18 2021-05-07 대성전력(주) 배전선로의 조류 퇴치장치
CN116865188A (zh) * 2023-07-17 2023-10-10 天津立博坤电气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力用线缆固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7771B1 (ko) 특고압 송배전 선로의 고정대
KR101352072B1 (ko) 배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금
EP2977175A1 (en) Bottle blowing machine having bottom die lifting clamping mechanism
US9113711B2 (en) Armrest, in particular for an office chair
EP3330475B1 (en) Rail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covering
KR102301965B1 (ko) 다중 연동 중문 레일 구조체
KR101222841B1 (ko) 회전벨트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US20190013652A1 (en) Stackable module
KR101306175B1 (ko) 콘센트장치
AU2013245482A1 (en) Pulley mechanism
CN109079539A (zh) 一种用于机电设备加工的辅助夹持装置
CN103119670A (zh) 用于可分离地将电流导体固定至电流互感器壳体的装置
KR102095937B1 (ko)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KR20180003097U (ko) 케이블 덕트
CN106766620A (zh) 冰箱及其瓶座
KR101352076B1 (ko) 특고압 배전 전용 가공전선 고정대
US20230382436A1 (en) Line bypass system
KR101369499B1 (ko) 미닫이 도어의 상부롤러장치
KR101809790B1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KR20120020999A (ko) 케이블 덕트 고정구
KR101736357B1 (ko) 반자동 3연동 도어 시스템
KR101315495B1 (ko) 전주 상부 지지대
KR200489994Y1 (ko) 미닫이 도어용 호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CN203950715U (zh) 一种电源开关
US2542084A (e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