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403B1 - 한글음절을 형성하고 읽어주는 학습 시스템 및 학습 장치 - Google Patents

한글음절을 형성하고 읽어주는 학습 시스템 및 학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403B1
KR102076403B1 KR1020180023433A KR20180023433A KR102076403B1 KR 102076403 B1 KR102076403 B1 KR 102076403B1 KR 1020180023433 A KR1020180023433 A KR 1020180023433A KR 20180023433 A KR20180023433 A KR 20180023433A KR 102076403 B1 KR102076403 B1 KR 102076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vowel
consonant
hangul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9100A (ko
Inventor
김철회
Original Assignee
김철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회 filed Critical 김철회
Publication of KR20180119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6K9/0040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 한글자음이 인쇄되고, 일 한글자음에 대응되는 패턴이미지가 시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 크기로 인쇄되며, 회전할 때의 형상이 서로 다른 자음카드; 일 한글모음이 인쇄되고, 일 한글모음에 대응되는 패턴이미지가 시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 크기로 인쇄되며, 회전할 때의 형상이 서로 다르며, 좌변이 자음카드의 우변과 결합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우측모음카드; 다른 일 한글모음이 인쇄되고, 다른 일 한글모음에 대응되는 패턴이미지가 시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 크기로 인쇄되며, 회전할 때의 형상이 서로 다르며, 상변이 자음카드의 하변과 전부 혹은 일부 결합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하측모음카드; 및 이미지센서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자음카드를 촬영하고 적어도 하나의 우측모음카드 혹은 적어도 하나의 하측모음카드를 촬영하여 복수의 패턴이미지를 획득하고, 복수의 패턴이미지에 대응되는 복수의 코드를 확인하며, 복수의 코드를 조합하여 하나의 한글음절을 형성하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한글음절에 대응되는 음절음성데이터를 로드하고, 음절음성데이터를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통신부를 통해 외부 스피커로 출력하는 전자펜을 포함하는 학습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한글음절을 형성하고 읽어주는 학습 시스템 및 학습 장치{LEARNING SYSTEM AND LEARNING DEVICE FOR FORMING AND READING HANGUL SYLLABLES}
본 발명은 한글 학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글음절을 형성하고 읽어주는 한글 학습 기술에 관한 것이다.
매체에 인쇄된 표식을 인식하고 표식과 관련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들이 있다.
바코드 리더가 대표적인 장치인데, 바코드 리더는 매체에 인쇄된 바코드들을 읽어들인 후 대응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출력한다.
최근에는 책과 같은 매체에 인쇄된 특정 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코드에 대응되는 음성을 출력하는 전자펜이 다수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펜은 코드 리더 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면서 책과 같은 매체에 인쇄된 특정 코드를 읽어들인 후 해당 코드에 대응되는 음성을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한다.
통상적으로 책과 같은 인쇄매체에는 텍스트만 표시되기 때문에 독자에게 활자 정보만 제공하게 되는데, 이러한 전자펜을 이용하면 활자 정보 이외에 음성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독자의 사용자 경험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러한 전자펜은 학습용으로도 활용되고 있는데, 주로 활용되는 분야는 외국어 학습과 관련된 분야이다.
국어 학습과 관련하여서도 책에 인쇄된 문장을 읽어주거나 단어를 읽어주는 방식으로 전자펜이 활용되고 있으나 자음과 모음의 결합에 의해 한글음절이 형성되는 원리를 학습시키는 분야에는 이러한 전자펜이 활용된 사례가 없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음과 모음의 결합에 의해 한글음절이 형성되는 원리를 학습시키는 시스템 혹은 장치에 대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일 한글자음이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크기로 인쇄되고, 상기 일 한글자음에 대응되는 패턴이미지가 시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 크기로 인쇄되며, 0도, 90도, 180도 및 270도로 회전할 때의 형상이 서로 다른 자음카드; 일 한글모음이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크기로 인쇄되고, 상기 일 한글모음에 대응되는 패턴이미지가 시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 크기로 인쇄되며, 0도, 90도, 180도 및 270도로 회전할 때의 형상이 서로 다르며, 좌변이 상기 자음카드의 우변과 결합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우측모음카드; 다른 일 한글모음이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크기로 인쇄되고, 상기 다른 일 한글모음에 대응되는 패턴이미지가 시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 크기로 인쇄되며, 0도, 90도, 180도 및 270도로 회전할 때의 형상이 서로 다르며, 상변이 상기 자음카드의 하변과 전부 혹은 일부 결합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하측모음카드; 및 펜형상의 케이스로 둘러싸여 있고, 배터리를 통해 내부 전력을 공급하며, 내장된 연산장치를 통해 독립적으로 연산을 수행하는 전자펜이고, 이미지센서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자음카드를 촬영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우측모음카드 혹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하측모음카드를 촬영하여 복수의 패턴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패턴이미지에 대응되는 복수의 코드를 확인하며, 상기 복수의 코드를 조합하여 하나의 한글음절을 형성하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한글음절에 대응되는 음절음성데이터를 로드하고, 상기 음절음성데이터를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통신부를 통해 외부 스피커로 출력하는 전자펜을 포함하는 학습시스템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펜형상의 케이스;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 배터리, 외부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부 및 상기 배터리의 과충전을 보호하는 보호회로를 포함하면서 내부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한글의 각 음절에 대한 음절음성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내장된 연산장치를 통해 독립적으로 연산을 수행하고, 상기 센싱부를 통해 획득되는 패턴이미지를 분석하고 대응되는 코드를 생성하는 코드변환부, 및 상기 코드변환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자음카드 및 적어도 하나의 우측모음카드 혹은 적어도 하나의 하측모음카드에 인쇄된 복수의 패턴이미지에 대응되는 복수의 코드를 확인하며, 상기 복수의 코드를 조합하여 하나의 한글음절을 형성하고,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한글음절에 대응되는 상기 음절음성데이터를 로드하는 한글음절조합부를 포함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상기 음절음성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혹은 외부 스피커 시스템으로 상기 음절음성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음카드는 일 한글자음이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크기로 인쇄되고, 상기 일 한글자음에 대응되는 패턴이미지가 시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 크기로 인쇄되며, 0도, 90도, 180도 및 270도로 회전할 때의 형상이 서로 다르고, 상기 우측모음카드는 일 한글모음이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크기로 인쇄되고, 상기 일 한글모음에 대응되는 패턴이미지가 시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 크기로 인쇄되며, 0도, 90도, 180도 및 270도로 회전할 때의 형상이 서로 다르며, 좌변이 상기 자음카드의 우변과 결합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측모음카드는 다른 일 한글모음이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크기로 인쇄되고, 상기 다른 일 한글모음에 대응되는 패턴이미지가 시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 크기로 인쇄되며, 0도, 90도, 180도 및 270도로 회전할 때의 형상이 서로 다르며, 상변이 상기 자음카드의 하변과 전부 혹은 일부 결합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한글을 깨우치지 못한 유아 혹은 성인에게 자음과 모음의 결합에 의해 한글음절이 형성되는 원리를 손쉽게 가르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음카드 및 모음카드의 예시 도면이다.
도 3은 자음카드와 모음카드를 배열하여 한글음절을 만드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회전에 따라 동일한 한글자음 혹은 한글모음으로 인식되는 카드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음카드의 일 예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측모음카드의 일 예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측모음카드의 일 예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학습도구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음카드의 다른 예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음카드의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측모음카드의 다른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측모음카드의 다른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의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의 한글음절 형성 및 독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북마크카드를 활용하여 한글음절을 저장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북마크카드를 활용하여 한글음절을 저장하고 출력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기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스티커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학습시스템(100)은 한글학습도구(102) 및 전자펜(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펜(140)은 외부 형상이 펜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주로, '전자펜'이라고 호칭되나 이러한 호칭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단순히 학습장치로 호칭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자펜'으로 호칭하여 설명한다.
한글학습도구(102)는 한글자음과 한글모음이 배열되면서 하나 이상의 한글음절이 표시되는 도구이다.
한글학습도구(102)는 배치판(110)과 자음카드(120) 및 모음카드(130)로 구성될 수 있다.
배치판(110)은 자음카드(120)와 모음카드(130)가 배열될 수 있는 판으로, 실시예에 따라 안내선이 인쇄됨으로써 사용자가 자음카드(120) 및 모음카드(130)를 효과적으로 배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어, 배치판(110)에는 특정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셀-예, 4각형 모양의 셀-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연속해서 배열되면서 인쇄될 수 있다. 그런데, 자음카드(120) 및 모음카드(130)는 이러한 셀과 같은 모양 혹은 이러한 셀이 둘 이상 결합된 모양과 같은 모양으로 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셀의 모양과 자음카드(120) 및 모음카드(130)의 모양을 비교할 때, 그 배치 위치가 손쉽게 가늠될 수 있다.
자음카드(120)에는 한글자음이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크기로 인쇄된다. 그리고, 자음카드(120)에는 인쇄된 한글자음에 대응되는 패턴이미지가 시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 크기로 인쇄된다. 패턴이미지는 도트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도트패턴은 가시성이 낮은 일정 크기 이하의 도트로 패터닝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57474호에 가시성이 낮은 도트패턴을 인쇄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모음카드(130)에는 한글모음이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크기로 인쇄된다. 그리고, 모음카드(130)에는 인쇄된 한글모음에 대응되는 패턴이미지가 시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 크기로 인쇄된다.
사용자는 자음카드(120) 및 모음카드(130)에 인쇄된 한글자음 혹은 한글모음은 인식할 수 있지만 그 패턴이미지는 인식하기 어렵다. 이에 반해, 이미지센서-예,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펜(140)은 초근접/고해상 이미지 분석을 통해 패턴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펜(140)은 인식된 패턴이미지의 패턴-예, 도트패턴-을 분석하여 각각의 패턴이미지에 대응되는 한글자음 혹은 한글모음을 확인할 수 있다-각각의 패턴이미지는 서로 다른 패턴으로 형상화되어 있음-.
다른 관점에서 보면, 사용자는 자음카드(120) 및 모음카드(130)에 인쇄된 가시성이 높은 캐릭터를 통해 한글자음 혹은 한글모음을 인식하게 되고, 전자펜(140)은 자음카드(120) 및 모음카드(130)에 인쇄된 가시성이 낮은 패턴이미지를 통해 한글자음 혹은 한글모음을 인식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자음카드(120)와 모음카드(130)를 배치판(110)에 배열하여 한글음절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ㄱ'자가 인쇄된 자음카드(120), 'ㅏ'자가 인쇄된 모음카드(130) 및 'ㅇ'자가 인쇄된 자음카드(120)를 배열하여 '강'이라는 한글음절을 만들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한글음절의 독음을 학습하려는 사람으로서, 자신이 만들어낸 한글음절이 어떻게 발음되는지 확인하고자 할 수 있다.
발음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는 전자펜(140)을 'ㄱ'자가 인쇄된 자음카드(120), 'ㅏ'자가 인쇄된 모음카드(130) 및 'ㅇ'자가 인쇄된 자음카드(120)에 접근시킬 수 있다. 그러면, 전자펜(140)은 각 카드에 인쇄된 패턴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ㄱ', 'ㅏ', 'ㅇ'자를 배열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펜(140)은 'ㄱ', 'ㅏ', 'ㅇ'자를 조합하여 '강'이라는 한글음절을 확인하고, 확인된 한글음절에 대응되는 음절음성데이터를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음카드 및 모음카드의 예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학습시스템은 서로 다른 한글자음이 인쇄되는 14종류의 자음카드(120a, 120b, 120c, 120d, 120e, 120f, 120g, 120h, 120i, 120j, 120k, 120l, 120m, 120n)를 포함할 수 있다. 학습시스템은 각 종류의 자음카드(120a, 120b, 120c, 120d, 120e, 120f, 120g, 120h, 120i, 120j, 120k, 120l, 120m, 120n)를 적어도 하나 이상씩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학습시스템은 모음카드로서 서로 다른 한글모음이 인쇄되는 9종류의 우측모음카드(132a, 132b, 132c, 132d, 132e, 132f, 132g, 132h, 132i) 및 서로 다른 한글모임이 인쇄되는 5종류의 하측모음카드(134a, 134b, 134c, 134d, 134e)를 포함할 수 있다. 학습시스템은 각 종류의 모음카드(132a, 132b, 132c, 132d, 132e, 132f, 132g, 132h, 132i, 134a, 134b, 134c, 134d, 134e)를 적어도 하나 이상씩 포함할 수 있다.
우측모음카드(132a, 132b, 132c, 132d, 132e, 132f, 132g, 132h, 132i)에는 한글음절을 만들 때, 한글자음의 우측에 배치되는 한글모음이 인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ㅏ', 'ㅑ', 'ㅐ', 'ㅒ', 'ㅓ', 'ㅕ', 'ㅔ', 'ㅖ', 'ㅣ' 등이 한글자음의 우측에 배치되는 한글모음이다.
하측모음카드(134a, 134b, 134c, 134d, 134e)에는 한글음절을 만들 때, 한글자음의 하측에 배치되는 한글모음이 인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ㅗ', 'ㅛ', 'ㅜ', 'ㅠ', 'ㅡ' 등이 한글자음의 하측에 배치되는 한글모음이다.
도 3은 자음카드와 모음카드를 배열하여 한글음절을 만드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배치판(110) 위에 'ㄱ'자가 인쇄된 제1자음카드(120a)를 배치하고, 제1자음카드(120a)의 우측으로 'ㅏ'자가 인쇄된 제1우측모음카드(132a)를 배치하며, 제1자음카드(120a) 및 제1우측모음카드(132a)의 하측으로 'ㅇ'자가 인쇄된 제8자음카드(120h)를 배열하여 한글음절 '강'을 만들 수 있다.
그런데, 한글자음은 형상으로 볼 때, 'ㄱ'과 'ㄴ'자가 동일하게 인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ㄴ'자가 인쇄된 제2자음카드(120b)를 180도 회전시키면 'ㄱ'자와 동일하게 인식될 수 있다.
한글모음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ㅓ'자가 인쇄된 제5우측모음카드(132e)를 180도 회전시키면 'ㅏ'자와 동일하게 인식될 수 있고, 'ㅗ'자가 인쇄된 제1하측모음카드(134a)를 90도 회전시키면 'ㅏ'자와 동일하게 인식될 수 있다-여기 및 이하에서 회전방향은 시계방향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는 자음카드 혹은 모음카드의 회전에 따라, 서로 다른 한글자음 혹은 한글모음을 동일하게 인식할 수 있지만, 해당 카드에는 서로 다른 패턴이미지가 인쇄되기 때문에 전자펜은 원래의 한글자음 및 한글모음을 정확하게 인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ㄱ'자가 인쇄된 제1자음카드(120a) 대신에 'ㄴ'자가 인쇄된 제2자음카드(120b)를 180도 회전시켜 배열하는 경우, 전자펜은 사용자가 의도한 '강'에 대한 한글음절을 읽어주는 것이 아니고, '낭'에 대한 한글음절을 읽어주게 되어 사용자의 학습을 오히려 방해할 수 있다.
도 4는 회전에 따라 동일한 한글자음 혹은 한글모음으로 인식되는 카드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ㄱ'자가 인쇄된 제1자음카드(120a)가 180도 회전된 상태(120a')에서는 사용자가 'ㄴ'자가 인쇄된 제2자음카드(120b)와 혼선을 느낄 수 있다. 반대로, 'ㄴ'자가 인쇄된 제2자음카드(120b)가 180도 회전된 상태(120b')에서는 사용자가 'ㄱ'자가 인쇄된 제1자음카드(120a)와 혼선을 느낄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ㅏ'자가 인쇄된 제1우측모음카드(132a)가 270도 회전된 상태(132a')에서는 사용자가 'ㅗ'자가 인쇄된 제1하측모음카드(134a)와 혼선을 느낄 수 있다. 반대로, 'ㅗ'자가 인쇄된 제1하측모음카드(134a)가 90도 회전된 상태(134a')에서는 사용자가 'ㅏ'자가 인쇄된 제1우측모음카드(132a)와 혼선을 느낄 수 있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ㅏ'자가 인쇄된 제1우측모음카드(132a)가 180도 회전된 상태(132a')에서는 사용자가 'ㅓ'자가 인쇄된 제5우측모음카드(132e)와 혼선을 느낄 수 있다. 반대로, 'ㅓ'자가 인쇄된 제5우측모음카드(132e)가 180도 회전된 상태(132e')에서는 사용자가 'ㅏ'자가 인쇄된 제1우측모음카드(132a)와 혼선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자음카드는 0도, 90도, 180도 및 270도로 회전할 때의 형상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모음카드도 0도, 90도, 180도 및 270도로 회전할 때의 형상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음카드 혹은 모음카드의 모양을 살펴보고 자음카드 혹은 모음카드가 원상태인지 회전된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배치판에 자음카드 혹은 모음카드의 형상과 일치하는 안내선 혹은 셀이 표시될 수 있는데, 자음카드 혹은 모음카드가 회전하면 형상이 달라져서 사용자가 배치판의 안내선 혹은 셀과 자음카드 혹은 모음카드 형상의 불일치를 확인하여 자음카드 혹은 모음카드가 회전되어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자음카드 및 모음카드는 각 변이 상호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전술한 것과 같이 회전에 따라 형상이 변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음카드와 모음카드가 상호 결합되는지를 파악하여 자음카드 혹은 모음카드가 원상태인지 회전된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음카드의 일 예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자음카드(120)는 4개의 변(510, 520, 530, 54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변은 수학에서 언급되는 다각형의 꼭지점을 잇는 선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일측의 가장자리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음카드(120)를 좌우상하의 4방위로 살펴볼 때, 좌변(510)은 좌측의 가장자리이고, 우변(520)은 우측의 가장자리이며, 상변(530)은 상측의 가장자리이고, 하변(540)은 하측의 가장자리로 이해될 수 있다.
자음카드(120)의 제1방향(X)으로 우측모음카드가 결합될 수 있고, 제2방향(Y)으로 하측모음카드 혹은 다른 자음카드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관계에 따라, 자음카드(120)의 우변(520)은 우측모음카드의 좌변과 결합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자음카드(120)의 우변(520)이 제1방향(X)에 수직되는 일직선의 형상을 가지는데, 이때, 우측모음카드의 좌변도 이러한 일직선과 나란한 일직선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자음카드(120)의 하변(540)은 하측모음카드의 상변과 결합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자음카드(120)의 하변(540)에 삼각형의 삽입부가 2개 형성된 형상이 도시되었는데, 이에 따라, 하측모음카드의 상변은 삼각형의 돌출부가 2개 형성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자음카드(120)의 하변(540)은 다른 자음카드(120)의 상변과 일부 혹은 전부 결합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자음카드(120)는 한글음절의 받침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모든 자음카드(120)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 전술한 결합관계를 만족시키기 위해, 자음카드의 상변(530) 형상은 하변(540) 형상과 전부 혹은 일부 결합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자음카드(120)의 상변(530)에 삼각형의 돌출부가 2개 형성된 형상이 도시되었는데, 이러한 돌출부는 하변(540)에 형성되는 삼각형의 삽입부와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변(530)의 2개의 돌출부가 하변(540)의 2개의 삽입부에 모두 결합될 수도 있고, 상변(530)의 1개의 돌출부가 하변(540)의 1개의 삽입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길이적으로 자음카드(120)는 제1방향(X)의 길이(W1)와 제2방향(Y)의 길이(H1)가 동일할 수 있다. 제2방향(Y)으로 자음카드(120)의 중심을 가르는 중심선(515)에 대하여, 우변(520)으로부터 중심선(515)까지의 길이(W1')를 1유니트(U: unit)라고 할 때, 자음카드(120)의 제1방향(X)의 길이(W1)는 2유니트(2U)와 같을 수 있고, 제2방향(Y)의 길이(H1)도 2유니트(2U)와 같을 수 있다.
자음카드(120)는 회전에 의한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0도, 90도, 180도 및 270도로 회전할 때의 형상이 서로 다르도록 4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회전동일형상조건. 90도 회전했을 때, 형상이 같아지기 위해서는 좌변(510)이 상변(53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변(530)은 우변(52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우변(520)은 하변(54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하변(540)은 좌변(510)과 동일한 형상을 가져야 한다.
제2회전동일형상조건. 180도 회전했을 때, 형상이 같아지기 위해서는 좌변(510)이 우변(52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변(530)은 하변(540)과 동일한 형상을 가져야 한다. 도 5에서, 좌변(510)은 우변(52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지만, 상변(530)이 하변(540)과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자음카드(120)는 180도 회전에 의해 다른 형상을 가지게 된다. 한편, 여기서, 동일한 형상인지의 여부는 좌우 대칭이나 상하 대칭으로 비교하는 것은 아니고 회전에 의해 비교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제3회전동일형상조건. 270도 회전했을 때, 형상이 같아지기 위해서는 좌변(510)이 하변(54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변(530)은 좌변(51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우변(520)은 상변(53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하변(540)은 우변(520)과 동일한 형상을 가져야 한다.
자음카드(120)는 전술한 3가지 회전동일형상조건을 피해서 그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측모음카드의 일 예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측모음카드(132)는 4개의 변(610, 620, 630, 64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우측모음카드(132)의 제1방향(X)으로 자음카드가 결합될 수 있고, 제2방향(Y)으로 자음카드 혹은 하측모음카드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관계에 따라, 우측모음카드(132)의 좌변(610)은 자음카드의 우변과 결합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우측모음카드(132)의 좌변(610)이 제1방향(X)에 수직되는 일직선의 형상을 가지는데, 이때, 자음카드의 우변도 이러한 일직선과 나란한 일직선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우측모음카드(132)의 하변(640)은 자음카드의 상변의 일부 혹은 전부에 결합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우측모음카드(132)의 하변(640)에 삼각형의 삽입부가 1개 형성된 형상이 도시되었는데, 이에 따라, 자음카드의 상변은 적어도 하나의 삼각형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우측모음카드(132)의 하변(640)은 하측모음카드의 상변의 일부 혹은 전부에 결합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우측모음카드(132)의 하변(640)에 삼각형의 삽입부가 1개 형성된 형상이 도시되었는데, 이에 따라, 하측모음카드의 상변은 적어도 하나의 삼각형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적으로 우측모음카드(132)는 제1방향(X)의 길이(W2)와 제2방향(Y)의 길이(H2)가 다를 수 있다. 제1방향(X)의 길이는 1유니트(1U)와 같을 수 있고, 제2방향(Y)의 길이(H2)는 2유니트(2U)와 같을 수 있다. 이러한 길이 관계에 따라, 우측모음카드(132)는 자음카드의 절반의 크기에 해당될 수 있다.
우측모음카드(132)는 회전에 의한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0도, 90도, 180도 및 270도로 회전할 때의 형상이 서로 다르도록 4변이 형성될 수 있다.
일단, 우측모음카드(132)는 제1방향(X)의 길이(W2)와 제2방향(Y)의 길이(H2)가 달라 90도 및 270도 회전할 때의 형상이 0도 및 180도로 회전할 때의 형상과 다를 수 있다. 여기서, 0도로 회전하는 것은 원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그리고, 우측모음카드(132)는 상변(630)과 하변(640)의 형상이 다름으로써 180도 회전할 때의 형상도 원상태의 형상과 상이하게 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3가지 회전동일형상조건을 피해 그 형상이 결정되는 것은 그대로 우측모음카드(132)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측모음카드의 일 예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하측모음카드(134)는 4개의 변(710, 720, 730, 740)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측모음카드(134)의 제2방향(Y)으로 자음카드가 결합될 수 있고, 제2방향(Y)의 반대방향으로도 자음카드가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측모음카드(134)의 제2방향(Y)으로 우측모음카드가 일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관계에 따라, 하측모음카드(134)의 상변(730)은 자음카드의 하변과 결합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하측모음카드(134)의 상변(730)에 삼각형의 돌출부가 2개 형성된 형상이 도시되었는데, 이에 따라, 자음카드의 하변은 적어도 하나의 삼각형의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측모음카드(134)의 하변(740)은 자음카드의 상변과 결합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하측모음카드(134)의 하변(740)에 삼각형의 삽입부가 2개 형성된 형상이 도시되었는데, 이에 따라, 자음카드의 상변은 적어도 하나의 삼각형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모음카드(134)의 좌변(710)과 우변(720)은 자음카드의 좌변 및 우변과 일관성의 차원에서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에서 하측모음카드(134)의 좌변(710)과 우변(720)은 제1방향(X)과 수직되는 일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형상은 도 5에 도시된 자음카드의 좌변 및 우변과 유사한 형상이다.
길이적으로 하측모음카드(134)는 제1방향(X)의 길이(W3)와 제2방향(Y)의 길이(H3)가 다를 수 있다. 제1방향(X)의 길이는 2유니트(2U)와 같을 수 있고, 제2방향(Y)의 길이(H3)는 1유니트(1U)와 같을 수 있다. 이러한 길이 관계에 따라, 하측모음카드(132)는 자음카드의 절반의 크기에 해당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우측모음카드와 비교할 때, 하측모음카드(134)의 제1방향(X)의 길이(W3)는 우측모음카드의 제2방향(Y)의 길이와 같을 수 있고, 하측모음카드(134)의 제2방향(Y)의 길이(H3)는 우측모음카드의 제1방향(X)의 길이와 같을 수 있다.
제2방향(Y)으로 하측모음카드(134)의 중심을 가르는 중심선(715)에 대하여, 우변(720)으로부터 중심선(715)까지의 길이(W3')는 1유니트(1U)일 수 있는데, 이때, 중심선(715)을 기준으로 우측과 좌측은 각각 가로세로가 1U x 1U가 될 수 있다. 중심선(715)에 의해 나누어지는 1U x 1U 크기의 하측모음카드(134)의 반쪽을 단위셀이라고 할 수 있는데, 도 5에 도시된 자음카드는 이러한 단위셀이 가로 2개, 세로 2개로 결합된 형상과 같고, 도 6에 도시된 우측모음카드는 이러한 단위셀이 세로 2개로 결합된 형상과 같을 수 있다.
하측모음카드(134)는 회전에 의한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0도, 90도, 180도 및 270도로 회전할 때의 형상이 서로 다르도록 4변이 형성될 수 있다.
일단, 하측모음카드(134)는 제1방향(X)의 길이(W3)와 제2방향(Y)의 길이(H3)가 달라 90도 및 270도 회전할 때의 형상이 0도 및 180도로 회전할 때의 형상과 다를 수 있다.
그리고, 하측모음카드(134)는 좌변(710)과 우변(720)의 형상이 다름으로써 180도 회전할 때의 형상도 원상태의 형상과 상이하게 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3가지 회전동일형상조건을 피해 그 형상이 결정되는 것은 그대로 하측모음카드(134)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자음카드 및 모음카드의 배치가 좀더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학습시스템은 배치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학습도구의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한글학습도구(102)는 배치판(110) 및 자음카드(120), 그리고, 모음카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치판(110)에는 다수의 안내선(812, 814)이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인쇄될 수 있다.
배치판(110)에는 두 개의 가로방향 안내선(814) 및 두 개의 세로방향 안내선(812)으로 둘러쌓이는 셀(810)이 형성될 수 있다.
셀(810)은 0도, 90도, 180도 및 270도로 회전할 때의 형상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셀(810)은 상변으로 삼각형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하변으로 삼각형의 삽입부가 형성되며 좌변과 우변이 일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 8에 도시된 셀(810)은 0도, 90도, 180도 및 270도로 회전할 때의 형상이 서로 다르게 된다.
배치판(110)에는 이러한 복수의 셀(810)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연속해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자음카드(120) 및 모음카드(130)는 이러한 셀(810)이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음카드(120)는 가로 2개, 세로 2개의 셀(810)이 결합된 형상과 같을 수 있고, 모음카드(130)는 2개의 셀(810)이 결합된 형상과 같을 수 있다. 모음카드(130) 중에서도 우측모음카드는 세로로 2개의 셀(810)이 결합된 형상과 같을 수 있고, 하측모음카드는 가로로 2개의 셀(810)이 결합된 형상과 같을 수 있다.
사용자는 자음카드(120) 및 모음카드(130)를 이러한 셀(810) 모양에 맞추어 배치함으로써, 회전되지 않는 원상태로 자음카드(120) 및 모음카드(130)를 배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자음카드(120)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3가지 회전동일형상조건을 피해서 그 형상이 결정될 수 있는데, 이때, 그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음카드의 다른 예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자음카드(921)는 상변에 반원형태의 돌출부가 2개 형성되고, 하변에 반원형태의 삽입부가 2개 형성되며, 좌변과 우변은 일직선이 형성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자음카드(922)는 상변과 하변은 일직선이 형성되고, 좌변에 반원형태의 삽입부가 2개 형성되며, 우변에 반원형태의 돌출부가 2개 형성될 수 있다.
도 9의 (c)를 참조하면, 자음카드(923)는 상변에 반원형태의 돌출부가 2개 형성되고, 하변에 반원형태의 삽입부가 2개 형성되며, 좌변에 반원형태의 삽입부가 1개 형성되고, 우변에 반원형태의 돌출부가 1개 형성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9의 (d)를 참조하면, 자음카드(924)는 상변에 반원형태의 삽입부가 1개 형성되고, 하변에 반원형태의 돌출부가 1개 형성되며, 좌변에 반원형태의 삽입부가 2개 형성되고, 우변에 반원형태의 돌출부가 2개 형성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음카드의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자음카드(1000)를 4사분면으로 분할해 보면, 자음카드(1000)는 제1사분면(1010), 제2사분면(1020), 제3사분면(1030) 및 제4사분면(1040)으로 분할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사분면(1010)의 상변으로 제1-1돌출부(1012)가 형성되고, 제2사분면(1020)의 하변으로 제1-1돌출부(1012)와 결합되는 제2-1삽입부(1022)가 형성되고, 제3사분면(1030)의 하변으로 제3-1삽입부(1032)가 형성되고, 제4사분면(1040)의 상변으로 제3-1삽입부(1032)와 결합되는 제4-1돌출부(1042)가 형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1사분면(1010)의 상변으로 제1-1삽입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제2사분면(1020)의 하변으로 제1-1삽입부(미도시)와 결합되는 제2-1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제3사분면(1030)의 하변으로 제3-1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제4사분면(1040)의 상변으로 제3-1돌출부(미도시)와 결합되는 제4-1삽입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사분면(1010)의 우변으로 제1-2돌출부(1014)가 형성되고, 제4사분면(1040)의 좌변으로 제1-2돌출부(1014)와 결합되는 제4-2삽입부(1044)가 형성되고, 제2사분면(1020)의 우변으로 제2-2돌출부(1024)가 형성되고, 제3사분면(1030)의 좌변으로 제2-2돌출부(1024)와 결합되는 제3-2삽입부(1034)가 형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1사분면(1010)의 우변으로 제1-2삽입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제4사분면(1040)의 좌변으로 제1-2삽입부(미도시)와 결합되는 제4-2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제2사분면(1020)의 우변으로 제2-2삽입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제3사분면(1030)의 좌변으로 제2-2삽입부(미도시)와 결합되는 제3-2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자음카드(1000)를 4사분면으로 분할해 볼 때, 제1사분면(1010)의 상변 형상은 회전할 때, 제2사분면(1020)의 우변 형상과, 제3사분면(1030)의 하변 형상과, 제4사분면(1040)의 좌변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사분면(1010)의 우변 형상은 회전할 때, 제2사분면(1020)의 하변 형상과, 제3사분면(1030)의 좌변 형상과, 제4사분면(1040)의 상변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자음카드(1000)를 4사분면으로 분할해 볼 때, 제1사분면(1010)의 상변에 삼각형의 제1-1돌출부(1012)가 형성되고, 제2사분면(1020)의 하변에 제1-1돌출부(1012)에 대응되는 삼각형의 제2-1삽입부(1022)가 형성되며, 제3사분면(1030)의 하변에 삼각형의 제3-1삽입부(1032)가 형성되고, 제4사분면(1040)의 상변에 제3-1삽입부(1032)에 대응되는 제4-1돌출부(104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사분면(1010)의 우변에 사다리꼴의 제1-2돌출부(1014)가 형성되고, 제4사분면(1040)의 좌변에 제1-2돌출부(1014)에 대응되는 사다리꼴의 제4-2삽입부(1044)가 형성되며, 제2사분면(1020)의 우변에 사다리꼴의 제2-2돌출부(1024)가 형성되고, 제3사분면(1030)의 좌변에 제2-2돌출부(1024)에 대응되는 제3-2삽입부(103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측모음카드의 다른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측모음카드(1100)를 상반면(1110)과 하반면(1120)으로 양분할 때, 상반면(1110)의 상변으로 제1-1돌출부(1112)가 형성되고, 하반면(1120)의 하변으로 제1-1돌출부(1112)와 결합되는 제2-1삽입부(1122)가 형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반면(1110)의 상변으로 제1-1삽입부(미도시)가 형성되고, 하반면(1120)의 하변으로 제1-1삽입부(미도시)와 결합되는 제2-1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반면(1110)의 우변으로 제1-2돌출부(1114)가 형성되고 좌변으로 제1-2돌출부(1114)에 대응되는 제1-2삽입부(111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반면(1120)의 우변으로 제2-2돌출부(1124)가 형성되고 좌변으로 제2-2돌출부(1124)에 대응되는 제2-2삽입부(1126)가 형성될 수 있다.
우측모음카드(1100)에서 상변 혹은 하변에 형성되는 돌출부 혹은 삽입부는 삼각형일 수 있고, 좌변 혹은 우변에 형성되는 돌출부 혹은 삽입부는 다른 형상-예를 들어, 사다리꼴-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측모음카드의 다른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측모음카드(1200)을 좌반면(1210)과 우반면(1220)으로 양분할 때, 좌반면(1210)의 상변으로 제1-1돌출부(1212)가 형성되고, 하변으로 제1-1돌출부(1212)에 대응되는 제1-1삽입부(121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우반면(1220)의 상변으로 제2-1돌출부(1222)가 형성되고, 하변으로 제2-1돌출부(1222)에 대응되는 제2-2삽입부(122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좌반면(1210)의 좌변으로 제1-2삽입부(1214)가 형성되고, 우반면(1220)의 우변으로 제1-2삽입부(1214)에 대응되는 제2-2돌출부(1224)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서 돌출부 혹은 삽입부가 상호 대응된다고 표현된 것은 돌출부 혹은 삽입부가 상호 결합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전자펜은 배열된 자음카드 및 모음카드의 패턴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인식하고, 각각의 패턴이미지에 대응되는 코드를 확인하여 한글음절을 형성하고 한글음절에 대응되는 음절음성데이터를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의 구성도이다.
전자펜(140)은 케이스(1302), 센싱부(1310), 처리부(1320), 저장부(1330), 출력부(1340), 전원부(1350) 및 통신부(13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302)는 펜형상으로 구성되고, 다른 구성-센싱부(1310), 처리부(1320), 저장부(1330), 출력부(1340), 전원부(1350) 및 통신부(1360) 등-을 둘러쌀 수 있다.
전자펜(140)은 센싱부(1310)에 포함된 이미지센서(1412)를 이용하여 특정 패턴을 입력받는 측면에서 바코드 스캐너와 같은 다른 입력장치와 비교된다. 그런데, 바코드 센서와 같은 다른 입력장치는 독립적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가 아니고 컴퓨터장치 등과 같은 외부 장치에 결합되어 작동된다는 측면에서 독립적인 장치인 전자펜(140)과 구별된다.
구체적으로 전자펜(140)은 독립적인 장치로서, 배터리(1456)를 통해 내부 전력을 공급받으며, 내장된 연산장치를 통해 독립적으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펜(140)은 바코드 스캐너와 같이 센싱된 값을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장치를 통해 연산하는 입력장치와는 구별된다. 전자펜(140)은 이미지센서를 통해 바코드 스캐너와 같이 센싱값을 생성할 수 있지만 이러한 센싱값을 독립적으로 연산하여 출력까지 이르게 한다는 측면에서 다른 입력장치와 구별된다.
전자펜(140)은 이미지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값을 독립적으로 연산하여 출력하기 때문에 마치 하나의 펜이 글씨를 읽고 소리를 출력해 주는 것과 같은 효과를 창출한다.
전원에 있어서도, 독립적인 전원부(1350)를 포함하지 않는 다른 장치와 달리, 전자펜(140)은 외부 전력을 변환하여 배터리(1456)를 충전시키는 충전부(1452) 및 배터리(1456)의 과충전을 보호하는 보호회로(1454)를 전원부(1350)에 포함하고 있어 하나의 독립적인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입력장치들-예를 들어, 바코드 스캐너-은 컴퓨터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거나 별도의 전원라인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야 하기 때문에 독립적으로 기능하기 어렵다.
이렇게 전자펜(140)은 독립적인 장치로서, 자음카드 혹은 모음카드에 인쇄된 가시성이 낮은 패턴이미지를 인식하고 내장하고 있는 스피커 혹은 외부 스피커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음카드 혹은 모음카드로 형성된 한글음절을 독출할 수 있다.
센싱부(1310)는 이미지센서(1412)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이미지센서(1412)는 자음카드 혹은 모음카드에 인쇄된 가시성이 낮은 패턴이미지(IMG)를 촬영하고 그 패턴이미지(IMG)를 처리부(1320)에 포함된 코드변환부(1422)로 전송할 수 있다.
처리부(1320)는 코드변환부(1422), 한글음절조합부(1424), 제어부(1426)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코드변환부(1422)는 적어도 하나의 자음카드 및 적어도 하나의 우측모음카드 혹은 적어도 하나의 하측모음카드에 인쇄된 복수의 패턴이미지(IMG)를 이미지센서(1412)로부터 전달받고, 이에 대응되는 복수의 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한글음절조합부(1424)는 복수의 코드를 조합하여 하나의 한글음절을 형성하고, 저장부(1330)로부터 한글음절에 대응되는 음절음성데이터를 로드하고, 출력부(1340)로 하여금 음절음성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26)는 전술한 기능을 제외한 전자펜(140)의 제반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코드에는 다양한 분류가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분류는 임의로 변경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내용을 적용함에 있어서 변형이 가능하다.
코드는 한글자음코드, 한글모음코드, 특수키코드, 명령코드, 콘텐츠코드, 북마크코드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한글자음코드는 한글자음에 대응되는 코드이다. 한글자음코드는 14개가 있을 수 있으며, 14개의 한글자음코드는 각각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에 대응될 수 있다.
한글모음코드는 한글모음에 대응되는 코드이다. 한글모음코드는 14개가 있을 수 있으며, 14개의 한글모음코드는 각각 'ㅏ', 'ㅑ', 'ㅐ', 'ㅒ', 'ㅓ', 'ㅕ', 'ㅔ', 'ㅖ', 'ㅣ', 'ㅗ', 'ㅛ', 'ㅜ', 'ㅠ', 'ㅡ'에 대응될 수 있다.
특수키코드는 키보드자판에서 특수 기능을 나타내는 키에 대응되는 코드이다. 특수키코드의 예로서는, 엔터키에 대응되는 엔터키코드가 있을 수 있고, ESC키에 대응되는 ESC키보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백스페이스키에 대응되는 백스페이스키코드가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140)은 이러한 특수키코드를 이용하여 한글음절을 편집하거나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코드는 전자펜(140)이 특정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코드이다. 명령코드의 예로서, 저장명령코드, 녹음명령코드, 재생명령코드, 삭제명령코드 등이 있을 수 있는데, 전자펜(140)은 명령코드가 인지되면 각각의 명령코드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코드의 상세한 예에 대해서는 별도로 후술한다.
콘텐츠코드는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인쇄매체에 대응되는 코드이다. 인쇄매체에는 콘텐츠에 대응되는 디지털 파일이 실제로 저장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콘텐츠코드는 실제로는 해당 인쇄매체에 인쇄된 패턴이미지에 대응되는 코드이다. 전자펜(140)에는 콘텐츠코드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데, 전자펜(140)은 인쇄매체에 대한 스캔을 통해 이러한 콘텐츠코드가 인지되면 콘텐츠코드에 매칭되어 있는 콘텐츠를 출력하게 된다.
북마크코드는 콘텐츠가 저장될 인쇄매체에 대응되는 코드이다. 다른 용도로 활용되는 코드도 콘텐츠 저장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면 이러한 북마크코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에 이미 매칭되어 있는 콘텐츠코드도 실시예에 따라서는 새로운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북마크코드가 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는 콘텐츠코드에 새로운 콘텐츠가 덮어 씌워지지 않도록 콘텐츠코드와 북마크코드를 분리하는 기능이 전자펜(140)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여기서, 인쇄매체는 이미지가 인쇄되는 다양한 종류의 매체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인쇄매체는 책, 카드, 신문, 잡지, 전단, 팜플릿 및 포스트 등의 종이매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인쇄매체는 책상, 필통, 연필, 지우개 등의 학용품일 수 있다. 이외에도 이미지의 인쇄가 가능한 매체는 모두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인쇄매체일 수 있다.
코드변환부(1422)는 이미지센서(1412)로부터 전달되는 패턴이미지(IMG)를 분석하여 전술한 여러 분류의 코드들을 인식한 후 인식된 코드를 한글음절조합부(1424)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전자펜(140)으로 적어도 하나의 자음카드 및 적어도 하나의 우측모음카드 혹은 적어도 하나의 하측모음카드를 접촉하면, 이미지센서(1412)는 각 카드에 인쇄된 복수의 패턴이미지를 코드변환부(1422)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코드변환부(1422)는 복수의 패턴이미지에 대응되는 복수의 코드를 확인하고 복수의 코드를 한글음절조합부(1424)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한글음절조합부(1424)는 전달된 복수의 코드를 조합하여 하나의 한글음절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한글음절조합부(1424)는 저장부(1330)로부터 한글음절에 대응되는 음절음성데이터를 로드할 수 있다.
저장부(1330)에는 한글음절에 대응되는 음절음성데이터를 저장한 음절발음DB(1432), 각종 음성-예를 들어, 단어음성데이터-를 저장한 음성DB(1434), 및 북마크를 저장한 북마크DB(143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340)는 내장된 스피커(1442)를 통해 한글음절조합부(1424)가 로드한 음절음성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부(1426)가 통신부(1360)를 제어하여 음절음성데이터를 외부 스피커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외부 스피커 시스템에서 음절음성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의 한글음절 형성 및 독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전자펜은 자음카드 혹은 모음카드에 대한 이미지센싱을 통해 패턴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1500).
그리고, 전자펜은 획득된 패턴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S1502).
그리고, 전자펜은 코드의 기능을 파악하고, 코드가 엔터키코드인지 확인할 수 있다(S1504).
코드가 엔터키코드가 아닌 경우(S1504에서 NO), 전자펜은 코드를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한글음절을 형성할 수 있다(S1506). 이때, 코드는 한글자음코드 혹은 한글모음코드이고, 한글자음코드 혹은 한글모음코드가 아닌 다른 코드는 한글음절을 형성하는 순차적인 배열에서 제외될 수 있다.
코드가 엔터키코드가 인식될 때까지 S1500, S1502, S1504 및 S1506의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코드가 엔터키코드가 인식될 때, 한글음절 형성을 위한 코드의 배열이 멈추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엔터키코드가 아닌 다른 특수키가 사용될 수도 있다. 혹은 코드를 엔터키코드랑 비교하는 것이 아니고 전자펜의 특수 버튼이 인식될 때까지 한글음절 형성을 위한 코드의 배열을 진행할 수도 있다.
한편, 코드로서 엔터키코드가 인식되면(S1504에서 YES), 코드의 배열을 멈추고 그때까지 배열된 한글자음코드 혹은 한글모음코드를 조합하여 한글음절을 형성하고, 한글음절에 대응되는 음절음성데이터를 저장부에서 검색할 수 있다(S1508).
한글자음코드 혹은 한글모음코드는 자음, 모음, 자음(받침 자음)의 순서로 입력될 수도 있으나 전자펜은 다른 순서로 입력되는 것도 조합하여 한글음절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한글자음코드와 두 개의 한글모음코드가 입력될 때, 전자펜은 두 개의 한글자음코드 중 하나를 자음으로 인식하고 다른 하나를 받침 자음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한글자음코드는 순서에 따라 먼저 입력된 것을 자음으로 인식되고 나중에 입력된 것을 받침 자음으로 인식될 수 있다. 한글모음코드가 두 개 입력되는 경우에 하나는 우측모음이고 다른 하나는 하측모임으로 인식될 수 있다. 한글자음코드 사이의 순서를 제외하고 나머지들은 각각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펜은 순서와 무관하게 한글자음코드 혹은 한글모음코드를 조합하여 한글음절을 형성할 수 있다.
한글음절에 대한 음절음성데이터가 검색되면, 전자펜은 음절음성데이터를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통신부를 통해 외부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S1510).
형성된 한글음절은 하나의 북마크카드에 이식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16은 북마크카드를 활용하여 한글음절을 저장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전자펜(140)은 자음카드 및 모음카드를 스캔하면서 하나의 한글음절-예를 들어, '바'-을 형성하면서 독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한글음절 형성 및 독출 단계를 통해 전자펜(140)은 이식 대상이 되는 한글음절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펜(140)은 저장명령코드가 인쇄된 명령카드(1620)를 스캔할 수 있다. 이때, 저장명령코드는 이미지센서, 코드변환부를 거쳐 제어부로 전달되게 되는데, 제어부는 확인되는 코드가 저장명령코드인 경우, 저장기능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저장기능상태에서 선택된 한글음절 혹은 한글음절에 대응되는 음절음성데이터를 저장할 북마크코드의 입력을 대기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에서 도 16(a)와 같이 전자펜(140)이 제1북마크카드(1610a)를 스캔하면서 북마크코드를 확인하게 되면 제어부는 확인된 북마크코드를 선택된 한글음절 혹은 한글음절에 대응되는 음절음성데이터에 매칭시켜 북마크DB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제1북마크카드(1610a)에 하나의 한글음절-예를 들어, '바'-이 매칭되어 저장되고, 제2북마크카드(1610b)에 다른 하나의 한글음절-예를 들어, '닷'-이 매칭되어 저장되며, 제3북마크카드(1610c)에 또 다른 하나의 한글음절-예를 들어, '가'-이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각각의 북마크카드에 한글음절이 저장된 후에 사용자가 전자펜(140)을 사용하여 각각의 북마크카드를 스캔하면, 각각의 북마크카드에서 '바', '닷', '가'와 같은 하나의 단어와 관련된 한글음절들이 독출될 수 있다.
도 17은 북마크카드를 활용하여 한글음절을 저장하고 출력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전자펜은 복수의 한글카드-한글자음카드 혹은 한글모음카드-로부터 패턴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1700).
그리고, 전자펜은 패턴이미지 분석을 통해 한글음절을 형성할 수 있다(S1702).
그리고, 전자펜은 형성된 한글음절에 대응되는 음절음성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S1704).
그리고, 전자펜은 명령카드로부터 패턴이미지를 획득하고(S1706), 명령카드에서 획득된 패턴이미지 분석을 통해 저장명령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S1708).
그리고, 전자펜은 북마크카드로부터 패턴이미지를 획득하고(S1710), 패턴이미지 분석을 통해 북마크코드를 확인하며(S1712), 선택된 음절음성데이터와 북마크코드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S1714).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하나의 북마크카드에 하나의 한글음절 혹은 한글음절에 대한 음절음성데이터를 매칭시켜 저장해 놓고 추후 전자펜을 스캔하여 저장된 한글음절을 독출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학습시스템에는 학습보드, 쓰기보드, 한글스티커보드 등이 더 포함되면서 한글에 대한 학습 기능을 더 강화시킬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학습보드(1800)는 다수의 자음블럭(1820), 다수의 모음블럭(1830), 다수의 결합칸(18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자음블럭(1820)에는 한글자음이 인쇄되고, 한글자음에 대응되는 패턴이미지가 시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 크기로 인쇄될 수 있다.
각각의 모음블럭(1830)에는 한글모음이 인쇄되고, 한글모음에 대응되는 패턴이미지가 시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 크기로 인쇄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결합칸(1810)에는 자음블럭(1820)에 인쇄된 한글자음과 모음블럭(1830)에 인쇄된 한글모음이 결합하여 형성하는 한글음절에 대응되는 패턴이미지가 시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 크기로 인쇄될 수 있다.
다수의 결합칸(1810)은 격자(매트릭스)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는데, 다수의 결합칸(1810)의 일 변으로는 다수의 자음블럭(1820)이 일렬로 배열되고, 다수의 결합칸(1810)의 다른 변-자음블럭(1820)과 마주보지 않는 변-으로는 다수의 모음블럭(1830)이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결합칸(1810)에는 제1방향-예를 들어, 가로방향-으로 연장한 선과 만나는 자음블럭(1820)에 인쇄된 한글자음과 제2방향-제1방향에 수직되는 방향, 예를 들어, 세로방향-으로 연장한 선과 만나는 모음블럭(1830)에 인쇄된 한글모음이 결합하여 형성하는 한글음절에 대응되는 패턴이미지가 인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결합칸(1810a)에는 제1방향으로 연장한 선과 만나는 한글자음 'ㅍ'와 제2방향으로 연장한 선과 만나는 한글모음 'ㅡ'이 결합하여 형성하는 한글음절 '프'에 대응되는 패턴이미지가 인쇄될 수 있다.
전자펜(140)이 결합칸(1810)에 인쇄된 패턴이미지를 인식하면 그 패턴이미지에 대응되는 음절음성데이터를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자펜(140)이 각각의 자음블럭(1820) 혹은 모음블럭(1830)에 인쇄된 패턴이미지를 인식하면 그 패턴이미지에 대응되는 각 자음 혹은 모음의 음성데이터가 스피터 등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기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쓰기보드(1900)는 저장명령블럭(1910), 다수의 북마크저장블럭(1920), 쓰기판(1930), 자음모음블럭(1940), 녹음명령블럭(19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녹음명령블럭(1950)은 녹음명령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이미지가 인쇄될 수 있다. 전자펜(140)이 이러한 패턴이미지를 인식하면 녹음기능상태로 진입하는데, 녹음기능상태에서 전자펜(140)의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은 전자펜(140) 내부에 녹음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저장명령블럭(1910)은 저장명령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이미지가 인쇄될 수 있다. 전자펜(140)이 이러한 패턴이미지를 인식하면 저장기능상태로 진입할 수 있는데, 전자펜(140)은 이러한 저장기능상태로 진입하기 직전에 출력한 음성데이터를 저장기능상태로 진입한 이후에 인식되는 북마크코드에 매칭시켜 북마크DB에 저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펜(140)이 저장기능상태로 진입하기 이전에 한글음절에 대응되는 음절음성데이터를 출력한 경우, 전자펜(140)은 이러한 음절음성데이터를 북마크코드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펜(140)이 저장기능상태로 진입하기 이전에 녹음데이터를 생성하고 출력한 경우, 전자펜(140)은 이러한 녹음데이터를 북마크코드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각각의 북마크저장블럭(1920)에는 서로 다른 북마크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이미지가 인쇄될 수 있다.
전자펜(140)은 이러한 북마크저장블럭(1920)에 음성데이터를 매칭시켜 저장시킬 수 있다.
자음모음블럭(1940)에는 한글자음, 한글모음 혹은 한글음절에 대응되는 패턴이미지가 인쇄될 수 있고, 전자펜(140)이 이러한 자음모음블럭(1940)을 스캔하면 각 자음모음블럭(1940)에 대응되는 한글자음, 한글모음 혹은 한글음절이 독출될 수 있다.
혹은, 자음모음블럭(1940)은 일정한 한글음절 그룹에 대응되는 패턴이미지가 인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일 자음모음블럭(1940)에는 가시적으로 'ㄱ'이 인쇄되고, 비가시적으로는 '가갸거겨고교구규그기'에 대응되는 패턴이미지가 인쇄될 수 있는데, 전자펜(140)이 이러한 일 자음모음블럭(194)을 스캔하면 '가갸거겨고교구규그기'가 독출될 수 있다.
쓰기판(1930)에는 보드마커와 같은 잉크펜의 잉크로 형상이 그려지고, 스펀지성의 지우개에 의해 그 형상이 지워질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쓰기판(1930)은 한글자음, 한글모음, 한글음절 등이 그려졌다 지워질 수 있는 글자연습판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북마크저장블럭(1920)에 한글음절을 저장해 놓고, 그 북마크저장블럭(1920)에 저장된 한글음절을 청취하면서 쓰기판(1930)에 한글음절을 쓰는 연습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스티커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한글스티커보드(2000)는 다수의 한글음절스티커(2010), 받침판(2020)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한글음절스티커(2010)에는 가시적으로 한글음절이 인쇄될 수 있고, 비가시적으로 한글음절에 대응되는 패턴이미지가 인쇄될 수 있다.
각각의 한글음절스티커(2010)는 일면에 스티커물질-점착성물질-이 도포되어 있어서, 받침판(2020)에서 분리되어 다른 곳에 부착될 수 있다.
전자펜(140)이 각각의 한글음절스티커(2010)를 스캔하면, 각각의 한글음절스티커(2010)에 인쇄된 패턴이미지에 대응되는 한글음절이 독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한글을 깨우치지 못한 유아 혹은 성인(특히, 외국인)에게 자음과 모음의 결합에 의해 한글음절이 형성되는 원리를 손쉽게 가르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0도, 90도, 180도 및 270도로 회전할 때의 형상이 서로 다른 복수의 셀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연속해서 배열되면서 인쇄되는 배치판;
    상기 셀과 같은 모양 혹은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셀이 결합된 모양을 가지고, 일 한글자음이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크기로 인쇄되고, 상기 일 한글자음에 대응되는 패턴이미지가 시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 크기로 인쇄되며, 0도, 90도, 180도 및 270도로 회전할 때의 형상이 서로 다른 자음카드;
    상기 셀과 같은 모양 혹은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셀이 결합된 모양을 가지고, 일 한글모음이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크기로 인쇄되고, 상기 일 한글모음에 대응되는 패턴이미지가 시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 크기로 인쇄되며, 0도, 90도, 180도 및 270도로 회전할 때의 형상이 서로 다르며, 좌변이 상기 자음카드의 우변과 결합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우측모음카드;
    상기 셀과 같은 모양 혹은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셀이 결합된 모양을 가지고, 다른 일 한글모음이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크기로 인쇄되고, 상기 다른 일 한글모음에 대응되는 패턴이미지가 시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 크기로 인쇄되며, 0도, 90도, 180도 및 270도로 회전할 때의 형상이 서로 다르며, 상변이 상기 자음카드의 하변과 전부 혹은 일부 결합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하측모음카드; 및
    펜형상의 케이스로 둘러싸여 있고, 배터리를 통해 내부 전력을 공급하며, 내장된 연산장치를 통해 독립적으로 연산을 수행하는 전자펜이고, 이미지센서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자음카드를 촬영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우측모음카드 혹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하측모음카드를 촬영하여 복수의 패턴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패턴이미지에 대응되는 복수의 코드를 확인하며, 상기 복수의 코드를 조합하여 하나의 한글음절을 형성하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한글음절에 대응되는 음절음성데이터를 로드하고, 상기 음절음성데이터를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통신부를 통해 외부 스피커로 출력하는 전자펜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펜은,
    저장명령코드가 인쇄된 명령카드의 촬영에 따라 확인되는 상기 저장명령코드에 따라 저장기능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저장기능상태에서 북마크코드가 인쇄된 북마크카드의 촬영에 따라 상기 북마크코드가 확인되면, 상기 북마크코드를 상기 음절음성데이터에 매칭시켜 북마크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북마크코드의 재촬영에 따라 상기 북마크코드가 재확인되면, 상기 음절음성데이터를 상기 내장된 스피커 혹은 상기 외부 스피커로 출력하는
    학습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한글자음이 인쇄되는 14종류의 자음카드, 서로 다른 한글모음이 인쇄되는 9종류의 우측모음카드 및 서로 다른 한글모임이 인쇄되는 5종류의 하측모음카드를 포함하는 학습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카드의 상변 형상은 하변 형상과 전부 혹은 일부 결합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학습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모음카드의 하변 형상은 상기 자음카드의 상변의 전부 혹은 일부에 결합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학습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카드를 4사분면으로 분할해 볼 때, 제1사분면의 상변으로 제1돌출부 혹은 제1삽입부가 형성되고, 제2사분면의 하변으로 상기 제1돌출부와 결합되는 제2삽입부 혹은 상기 제1삽입부와 결합되는 제2돌출부가 형성되고, 제3사분면의 하변으로 제3삽입부 혹은 제3돌출부가 형성되고, 제4사분면의 상변으로 상기 제3삽입부와 결합되는 제4돌출부 혹은 상기 제3돌출부와 결합되는 제4삽입부가 형성되는 학습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카드를 4사분면으로 분할해 볼 때, 제1사분면의 우변으로 제1돌출부 혹은 제1삽입부가 형성되고, 제4사분면의 좌변으로 상기 제1돌출부와 결합되는 제4삽입부 혹은 상기 제1삽입부와 결합되는 제4돌출부가 형성되고, 제2사분면의 우변으로 제2돌출부 혹은 제2삽입부가 형성되고, 제3사분면의 좌변으로 상기 제2돌출부와 결합되는 제3삽입부 혹은 상기 제2삽입부와 결합되는 제3돌출부가 형성되는 학습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카드를 4사분면으로 분할해 볼 때, 제1사분면의 상변 형상은 제2사분면의 우변 형상과, 제3사분면의 하변 형상과, 제4사분면의 좌변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가지는 학습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카드를 4사분면으로 분할해 볼 때, 제1사분면의 상변에 삼각형의 제1돌출부가 형성되고, 제2사분면의 하변에 상기 제1돌출부에 대응되는 삼각형의 제2삽입부가 형성되며, 제3사분면의 하변에 삼각형의 제3삽입부가 형성되고, 제4사분면의 상변에 상기 제3삽입부에 대응되는 제4돌출부가 형성되는 학습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모음카드는 제1방향과 제2방향의 길이가 다르고, 상기 하측모음카드는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의 길이가 다르며, 상기 우측모음카드의 상기 제1방향의 길이와 상기 하측모음카드의 상기 제2방향의 길이는 서로 같은 학습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카드는 가로 2개, 세로 2개의 상기 셀이 결합된 형상과 같고, 상기 우측모음카드는 세로로 2개의 상기 셀이 결합된 형상과 같으며, 상기 하측모음카드는 가로로 2개의 상기 셀이 결합된 형상과 같은 학습시스템.
  11. 삭제
KR1020180023433A 2017-04-24 2018-02-27 한글음절을 형성하고 읽어주는 학습 시스템 및 학습 장치 KR1020764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077 2017-04-24
KR20170052077 2017-04-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100A KR20180119100A (ko) 2018-11-01
KR102076403B1 true KR102076403B1 (ko) 2020-02-11

Family

ID=64398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433A KR102076403B1 (ko) 2017-04-24 2018-02-27 한글음절을 형성하고 읽어주는 학습 시스템 및 학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4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1445A (ko) 2022-02-11 2023-08-18 박종권 발음 교육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180B1 (ko) * 2019-12-20 2020-01-28 최인건 놀이식 한글 교육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2086820B1 (ko) * 2019-12-20 2020-03-09 에이아이프렌드 주식회사 로봇을 이용한 학습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441B1 (ko) * 2007-11-01 2009-10-13 주식회사 지팡이 사용자가 직접 컨텐츠를 생성하고 재생할 수 있는 지능형광학펜 및 그 동작방법
KR20100114709A (ko) * 2009-04-16 2010-10-26 (주)우리이앤에스 학습교구
KR101322730B1 (ko) * 2011-12-28 2013-10-28 (주)바소콤 음절인식장치를 이용한 문자학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1445A (ko) 2022-02-11 2023-08-18 박종권 발음 교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100A (ko) 2018-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29649C (zh) 信息提示装置以及方法
KR102076403B1 (ko) 한글음절을 형성하고 읽어주는 학습 시스템 및 학습 장치
KR100815078B1 (ko) 상호 작용 시스템 및 이에 의한 스캐닝 방법
US9058067B2 (en) Digital bookclip
CN101385023B (zh) 矢量图形文档中的列表检测
CN101258461A (zh) 电子文档的阅读模式
Sinclair From theory to practice
JP3604483B2 (ja) 文書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文書情報管理方法
KR100905705B1 (ko)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N101813981A (zh) 中文输入装置
KR101946207B1 (ko) 점자 출력 장치
KR20090048211A (ko) 음원 재생이 가능한 문서 변환 및 실행 방법, 이를수행하는 기록 매체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
JP2006262152A (ja) 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625906B1 (ko) 전자펜을 이용하여 음성을 메모하는 점착성 메모지
KR100805259B1 (ko)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대화형 인터페이스
JP4799604B2 (ja) 文書構造テンプレート用紙及び文書情報再生システム
Silver et al. Language learning in new English contexts: Studies of acquisition and development
KR102328041B1 (ko) 전자 문서에서 책자 제작을 위한 모아 찍기 인쇄를 가능하게 하는 문서 편집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642168B1 (ko) 전자펜 및 전자펜을 이용한 반주기계 조작 장치
JP6570163B1 (ja) 国語学習用カード
KR20180017558A (ko) 다양한 음성을 제공하는 전자펜
KR20120019347A (ko) 학습 장치
Biggs What characterizes pictures and text?
US20110304130A1 (en) Identifying Film for Optical Code
KR101571122B1 (ko) 기능성 마커를 갖는 노트 및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