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317B1 -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317B1
KR102076317B1 KR1020190058662A KR20190058662A KR102076317B1 KR 102076317 B1 KR102076317 B1 KR 102076317B1 KR 1020190058662 A KR1020190058662 A KR 1020190058662A KR 20190058662 A KR20190058662 A KR 20190058662A KR 102076317 B1 KR102076317 B1 KR 102076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frame
crack length
exten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남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라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라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라플러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G01B7/04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for measuring wid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33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amage, crack or we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 콘크리트에 생기 불규칙한 형상으로 형성된 균열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의 길이를 측정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정보를 획득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정보를 제어하는 본체부; 및 상기 측정부와 상기 본체부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측정부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상기 본체부에 전달하는 케이블;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CRACK LENGTH OF CONCRETE CONSTRUCTIONS}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에 발생한 불규칙한 형상으로 형성된 균열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회 기반 시설의 대부분은 콘크리트 구조로 되어 있으며, 구조물의 공용 연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지 관리에 점점 더 많은 관심이 기울여지고 있다.
한편, 시공 시부터 발생하기도 하는 균열에 대한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 진다면 적당한 시기에 콘크리트에 대한 보수 및 보강을 실시할 수 있고, 콘크리트의 내구성 향상을 통한 사용 연한의 극대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사용 연한의 극대화는 시설물의 재건축 주기를 최대로 늘림으로써, 국가와 사회가 부담하는 경제적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대형 붕괴 사고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의 발생에 기인할 수 있는데 정확한 균열 측정으로 구조물의 손상 상태를 정확히 판단하여, 시설물의 안전성을 최대로 높여 시설물의 붕괴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점점 형태가 다양화되고 대형화되고 있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더욱 안전성 있게 유지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상태, 양생 상태, 안전 상태, 화재 후 계속 사용여부 등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균열 길이 등을 측정하여야 하며,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들의 표면에 생긴 균열들에 대한 조사는 콘크리트 구조물들의 정밀 안전 진단에 있어서 중요한 판단 요소이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한 균열 중에서 보수해야 할 균열의 경우 균열 길이에 따른 공사비가 지급되므로 정확한 균열길이의 측정이 필요하다.
한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에 대한 조사는 통상적으로 육안 관측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육안 관측 방법은 정확도 및 신뢰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균열은 직선의 형태로 생기는 것이 아니며,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이러한 랜덤한 모양의 균열 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콘크리트에 생기 불규칙한 형상으로 형성된 균열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측정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의 길이를 측정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정보를 획득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정보를 제어하는 본체부; 및 상기 측정부와 상기 본체부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측정부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상기 본체부에 전달하는 케이블;을 포함한다.
상기 측정부는, 제1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절곡된 제2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직각형상의 브라켓; 상기 제1프레임의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에 접하고, 균열 부위를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제1프레임의 내면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른 펄스 신호의 변동을 감지하는 펄스감지부; 상기 제1프레임에서 상기 회전부와 겹치는 영역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를 가압하여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스토퍼; 및 상기 제2프레임의 외면에 고정되고, 작업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프레임으로부터 상호 거리를 두고 이격되고, 상기 스토퍼의 두께는 상기 제1프레임의 두께 및 상기 제1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회전부 사이의 거리를 더한 길이보다 두껍다.
상기 회전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둘레에 결합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에 접촉되는 접촉부; 및 일단은 상기 바디부의 중심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정부의 손잡이 하면에 결합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는, 중공의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연장부; 및 상기 제1연장부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장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연장부의 길이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연장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1연장부는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연장부의 길이방향 이동을 고정하는 고정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2연장부는 외주면에서 상기 고정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고정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연장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 일단은 상기 제1연장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레버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레버의 일단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레버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측정부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전원을 ON/OFF시키는 전원스위치; 및 상기 측정부로부터 전달 받아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를 초기화 시키는 리셋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부의 마모정도를 측정하는 기준자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준자는, 바 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가 굴려지는 굴림홈; 상기 굴림홈의 근접한 영역에서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굴림홈에 굴려지는 회전부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눈금; 상기 프레임의 결합되고,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측정장치는 접촉부가 탄성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에 접할 때,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스토퍼는 일정 힘으로 회전부를 지지함으로써, 작업자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로부터 측정부를 떼는 순간, 즉 측정을 종료하는 순간부터, 회전부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됨으로써, 회전부의 관성에 따른 균열 길이 측정 오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장부는 긴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측정부의 손잡이 하면에 결합됨으로써,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은 높은 곳의 균열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기준자는 측정부의 마모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측정부가 측정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정보를 보정하거나, 필요에 따라 회전 롤러를 교체시기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측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측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와 연장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장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자의 사용상태를 나태낸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측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측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와 연장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장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자의 사용상태를 나태낸 사시도이다.
도 1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측정장치는 측정부(100)와 본체부(200)와 케이블(300) 및 연장부(400)를 포함한다.
측정부(100)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의 길이를 측정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정보를 획득한다.
이러한 측정부(100)는 브라켓(110)과 회전부(120)와 펄스감지부(130)와 스토퍼(140) 및 손잡이(150)를 포함한다.
브라켓(110)은 제1프레임(111) 및 제1프레임(111)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절곡된 제2프레임(112)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직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브라켓(110)에는 회전부(120)와 펄스감지부(130)와 스토퍼(140) 및 손잡이(150)가 고정된다.
회전부(120)는 제1프레임(111)의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에 접하고, 균열 부위를 따라 구르면서 이동한다.
이를 위해 회전부(120)는 제1프레임(111)으로부터 상호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로 인해 회전부(120)는 제1프레임(111)으로부터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120)는 바디부(121)와 접촉부(122) 및 회전축(123)을 포함한다.
바디부(121)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바디부(121)는 둘레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접촉부(122)가 결합된다.
접촉부(122)는 바디부(121)의 둘레에 형성된 홈에 결합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에 접촉된다.
한편, 접촉부(122)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접촉부(122)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에 접할 때,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촉부(122)는 바디부(121)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을 따라 정확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회전축(123)은 일단은 바디부(121)의 중심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1프레임(1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축(123)의 타단은 제1프레임(111)을 관통하여 펄스감지부(130)에 고정된다.
펄스감지부(130)는 제1프레임(111)의 내면에 고정되고, 회전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부(120)의 회전에 따른 펄스 신호의 변동을 감지한다.
이를 위해 펄스감지부(130)는 회전축(123)을 매개로 하여 회전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펄스감지부(130)는 회전부(120)의 회전 수 등 회전정보와 회전부(120)의 둘레 길이를 고려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정보를 획득한다.
스토퍼(140)는 제1프레임(111)에서 회전부(120)와 겹치는 영역에 결합되고, 회전부(120)를 가압하여 회전부(12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스토퍼(140)의 두께(D1)는 제1프레임(111)의 두께(D2) 및 제1프레임(111)으로부터 회전부(120) 사이의 거리(D3)를 더한 길이보다 두꺼운 두께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스토퍼(140)는 제1프레임(111)에 탄성부재를 매개로 하여 결합된다.
즉, 스토퍼(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스토퍼(140)를 가압하면 스토퍼(140)의 일단이 회전부(120)를 가압하여 회전부(120)의 회전을 멈추도록 하고, 작업자가 스토퍼(140)에서 손을 떼면 스토퍼(140)가 탄성복귀되어 일단이 스토퍼(140)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스토퍼(140)는 회전부(120)의 이동에 따른 관성에 의해 실제 균열길이를 측정하고, 균열 부위로부터 회전부(120)를 뗀 상태에서도 추가로 회전하게 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가 과측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토퍼(140)는 일정 힘으로 회전부(120)를 지지함으로써, 작업자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로부터 측정부(100)를 떼는 순간, 즉 측정을 종료하는 순간부터, 회전부(120)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됨으로써, 회전부(120)의 관성에 따른 균열 길이 측정 오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손잡이(150)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2프레임(112)의 외면에 고정되고, 작업자가 파지한다.
따라서, 손잡이(150)는 제1프레임(111)에 결합된 회전부(120)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굴릴 수 있다.
본체부(200)는 측정부(10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정보를 제어한다.
이러한 본체부(200)는 하우징(210)과 표시부(220)와 전원스위치(230) 및 리셋스위치(240)를 포함한다.
하우징(210)은 본체부(200)의 몸체를 이루고, 표시부(220)는 하우징(210)의 전면에 형성되어 측정부(100)로부터 획득된 정보, 즉 회전부(120)의 구동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정보를 숫자로 표시한다.
그리고, 전원스위치(230)는 하우징(210)에 형성되어 전원을 ON/OFF시키고, 리셋스위치(240)는 측정부(100)로부터 전달 받아 표시부(220)에 표시된 정보를 초기화 시킨다.
즉, 본체부(200)는 전원스위치(230)를 통해 본체부(200)의 전원을 제어하고, 회전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부(120)의 회전에 따른 펄스 신호의 변동을 감지한 펄스감지부(130)의 감지정보에 따라 표시부(220)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정보를 숫자로 표시한다.
그리고, 본체부(200)는 리셋스위치(240)를 통해 기존에 측정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정보를 초기화 할 수 있다.
케이블(300)은 측정부(100)와 본체부(200)를 상호 연결하여 측정부(100)로부터 획득된 정보, 즉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정보를 본체부(200)에 전달한다.
한편, 대부분 본체부(200)는 작업자에게 있고, 측정부(100)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형성된 균열을 따라 이동한다.
즉, 본체부(200)와 측정부(100) 사이의 거리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이 형성된 위치에 따라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300)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형성된 균열의 위치에 따라 충분히 긴 길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연장부(400)는 긴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측정부(100)의 손잡이(150) 하면에 결합된다.
연장부(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50)의 하면과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장부(400)는 제1연장부(410) 및 제2연장부(420)를 포함한다.
제1연장부(410)는 중공의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연장부(420)는 둘레가 제1연장부(410)의 내주면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연장부(410)의 내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2연장부(420)의 일단에는 측정부(100)의 손잡이(150) 하면과 결합된다.
이러한 제2연장부(420)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이 형성된 높이에 따라 제1연장부(410)로부터 가변된다.
이로 인해 연장부(400)는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은 높은 곳의 균열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연장부(410)의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돌기(411)가 형성되고, 제2연장부(420)의 외주면에는 제1연장부(410)의 가이드돌기(411)와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홈(4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연장부(410)의 가이드돌기(411)는 제1연장부(410)의 내부에 제2연장부(420)가 삽입된 후, 콘트리트 구조물의 균열의 길이를 측정할 때, 제2연장부(420)가 제1연장부(410)로부터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1연장부(410)는 외주면에 고정되고 제1연장부(410)의 내부에 삽입된 제2연장부(420)의 길이방향 이동을 고정하는 고정부(412)가 결합되고, 제2연장부(420)는 외주면에서 고정부(41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고정홀(422)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412)는 지지대(413)와 레버(414)와 탄성스프링(415) 및 고정돌기(416)를 포함한다.
지지대(413)는 제1연장부(41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레버(414)는 중간영역이 지지대(4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탄성스프링(415)은 일단이 제1연장부(410)에 고정되고, 타단이 레버(414)의 일단에 고정되어 레버(414)의 일단을 탄성지지한다.
그리고, 고정돌기(416)는 레버(414)의 타단에 형성되며, 특히 제2연장부(420)에 형성된 고정홀(42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돌기(416)는 작업자가 레버(414)의 일단을 가압함에 따라 고정홀(422)에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즉,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레버(414)의 일단을 가압하면 고정돌기(416)가 고정홀(422)로부터 이탈되어 제2연장부(420)가 제1연장부(410)로부터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레버(414)의 일단으로부터 손을 떼면 고정돌기(416)가 탄성스프링(415)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홀(422)에 삽입되어 제2연장부(420)가 제1연장부(410)로부터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이로 인해, 상기 고정부(412)는 제2연장부(420)에 결합된 측정부(100)가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이 형성된 영역에 도달하면 레버(414)에 가압력을 제거하여 제2연장부(420)을 제1연장부(4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회전부(12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접촉부(122)의 마모 등으로 인해, 콘크리트 구조뮬의 균열 길이를 측정할 때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준자(500)를 더 포함한다.
기준자(5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부(100)의 마모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프레임(510)과 굴림홈(520)과 눈금(530) 및 온도계(540)를 포함한다.
프레임(510)은 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기준자(500)의 몸체를 이루고, 굴림홈(520)은 프레임(510)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회전부(120)가 굴려지며, 눈금(530)은 굴림홈(520)의 근접한 영역에서 프레임(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굴림홈(520)에 굴려지는 회전부(120)의 이동 거리를 측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자(500)는 눈금(530)을 통해, 기설정된 길이(예: 1미터, 50 센티미터 등)를 표시하고, 회전부(120)는 상기 기설정된 길이를 측정하여, 회전부(120)의 마모에 따른 보정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기준자(500)의 기설정된 눈금(530) 0미터에서 1미터까지 회전수 50바퀴가 되어야 하는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회전부(120)가 마모에 의해, 회전수가 55바퀴가 되는 경우, 실제 1미터의 길이를 1.1미터로 측정하게 될 것인 바, 측정부(100)가 측정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정보를 보정하거나(90%로 보정), 필요에 따라 회전 롤러를 교체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온도계(540)는 프레임(510)의 결합되고, 주변 온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온도계(540)는 회전부(120)의 마모에 따른 보정 필요 여부를 판단할 때, 기준자(500) 주변 온도의 특성에 따른 기설정된 길이의 변동 여부, 즉 기준자(500) 그 자체의 형상 변경 역시 고려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측정장치는 접촉부(122)가 탄성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에 접할 때,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140)는 일정 힘으로 회전부(120)를 지지함으로써, 작업자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로부터 측정부(100)를 떼는 순간, 즉 측정을 종료하는 순간부터, 회전부(120)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됨으로써, 회전부(120)의 관성에 따른 균열 길이 측정 오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연장부(400)는 긴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측정부(100)의 손잡이(150) 하면에 결합됨으로써,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은 높은 곳의 균열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아울러, 기준자(500)는 측정부(100)의 마모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측정부(100)가 측정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정보를 보정하거나, 필요에 따라 회전 롤러를 교체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측정부 110: 브라켓
111: 제1프레임 112: 제2프레임
120: 회전부 121: 바디부
122: 접촉부 123: 회전축
130: 펄스감지부 140: 스토퍼
150: 손잡이 200: 본체부
210: 하우징 220: 표시부
230: 전원스위치 240: 리셋스위치
300: 케이블 400: 연장부
410: 제1연장부 411: 가이드돌기
412: 고정부 413: 지지대
414: 레버 415: 탄성스프링
416: 고정돌기 420: 제2연장부
421: 가이드홈 422: 고정홀
500: 기준자 510: 프레임
520: 굴림홈 530: 눈금
540: 온도계

Claims (13)

  1.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의 길이를 측정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정보를 획득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정보를 제어하는 본체부; 및
    상기 측정부와 상기 본체부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측정부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상기 본체부에 전달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제1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절곡된 제2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직각형상의 브라켓;
    상기 제1프레임의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에 접하고, 균열 부위를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제1프레임에서 상기 회전부와 겹치는 영역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를 가압하여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스토퍼; 및
    상기 제2프레임의 외면에서 상기 스토퍼와 근접한 위치에 고정되고, 작업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바디부; 및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부의 둘레에 결합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둘레에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가 결합되는 것
    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1프레임의 내면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른 펄스 신호의 변동을 감지하는 펄스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프레임으로부터 상호 거리를 두고 이격되고,
    상기 스토퍼의 두께는 상기 제1프레임의 두께 및 상기 제1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회전부 사이의 거리를 더한 길이보다 두꺼운 것
    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측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일단은 상기 바디부의 중심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는 것
    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측정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정부의 손잡이 하면에 결합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측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중공의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연장부; 및
    상기 제1연장부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것
    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측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연장부의 길이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연장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
    인 콘크리트구조물의 균열 길이 측정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는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연장부의 길이방향 이동을 고정하는 고정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2연장부는 외주면에서 상기 고정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고정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
    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측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연장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
    일단은 상기 제1연장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레버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레버의 일단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레버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
    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측정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측정부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전원을 ON/OFF시키는 전원스위치; 및
    상기 측정부로부터 전달 받아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를 초기화 시키는 리셋스위치를 포함하는 것
    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측정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의 마모정도를 측정하는 기준자를 더 포함하는 것
    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측정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자는,
    바 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가 굴려지는 굴림홈;
    상기 굴림홈의 근접한 영역에서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굴림홈에 굴려지는 회전부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눈금;
    상기 프레임의 결합되고,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를 포함하는 것
    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측정장치.

KR1020190058662A 2018-12-07 2019-05-20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측정장치 KR1020763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615 2018-12-07
KR20180156615 2018-1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317B1 true KR102076317B1 (ko) 2020-02-11

Family

ID=69568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662A KR102076317B1 (ko) 2018-12-07 2019-05-20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3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812B1 (ko) * 2021-05-21 2021-11-18 주식회사 디에스기술원 안전 진단을 위한 콘크리트 균열의 표시 및 검사를 위한 안전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2540350B1 (ko) * 2022-01-19 2023-06-05 기하리 IoT 형태 측정 디바이스 및 IoT 형태 측정 프로그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2710A (en) * 1982-05-20 1985-08-06 Phyronics, Inc. Distance measuring device for golf carts and the like
JPH02101212U (ko) * 1989-01-28 1990-08-13
JP2001255123A (ja) * 2000-03-09 2001-09-21 Techno Research:Kk ひび割れ幅測定器
KR20120055762A (ko) * 2010-11-22 2012-06-01 임영찬 자동길이조절 스틱
JP2017075826A (ja) * 2015-10-14 2017-04-20 東京ニホス株式会社 長さ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2710A (en) * 1982-05-20 1985-08-06 Phyronics, Inc. Distance measuring device for golf carts and the like
JPH02101212U (ko) * 1989-01-28 1990-08-13
JP2001255123A (ja) * 2000-03-09 2001-09-21 Techno Research:Kk ひび割れ幅測定器
KR20120055762A (ko) * 2010-11-22 2012-06-01 임영찬 자동길이조절 스틱
JP2017075826A (ja) * 2015-10-14 2017-04-20 東京ニホス株式会社 長さ測定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812B1 (ko) * 2021-05-21 2021-11-18 주식회사 디에스기술원 안전 진단을 위한 콘크리트 균열의 표시 및 검사를 위한 안전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2540350B1 (ko) * 2022-01-19 2023-06-05 기하리 IoT 형태 측정 디바이스 및 IoT 형태 측정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31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측정장치
US20200109620A1 (en) Stator bore gage
JP2018072126A (ja) 支承の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及びモニタリング方法
EP3191793B1 (en) A device for measurement of deviation from a reference axis
KR101179667B1 (ko) 크랙 측정기
KR10204495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변위량 측정기
CN110849527A (zh) 针对混凝土支撑轴力的实时检测方法
CN104121840A (zh) 测量间隙的装置,尤其是电梯层门间隙测量仪
BR102012024903B1 (pt) Sonda de toque de medição, sistema de medição, método para determinação ótica por laser da altura real de um cilindro guia de fio, e uso do sistema de medição
CN108050985B (zh) 裂缝形变监测仪的使用方法
KR102520191B1 (ko)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교량 받침장치의 변위량 측정장치
JP2003315001A (ja) 路面平たん性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KR20210073913A (ko) 조인트 샤프트 그루빙부의 그루빙 센터 높이 검사 장치
KR102176597B1 (ko) 터널 라이닝 건전성 평가용 측정 데이터를 비파괴 방식으로 수집하는 측정장치
KR102270770B1 (ko) 균열구간 측정장치
RU167850U9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параметров вмятины
KR102419837B1 (ko) 정밀 계측형 균열 게이지
RU2402747C1 (ru) Датчик измерения перемещений при жизнедеятельности трещины
US2728144A (en) Apparatus
KR20190043370A (ko) 휴대용 레일 내부온도 검출장치
KR101421803B1 (ko) 롤의 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의 진단방법
CN107702634B (zh) 变形测量仪
RU212611U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статической подуклонки рельса
CN107340230B (zh) 鞋子抓地性能测试设备与方法
KR20180001246U (ko) 레이저스타프 시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