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263B1 - 셀레노사마필린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셀레노사마필린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263B1
KR102076263B1 KR1020190115722A KR20190115722A KR102076263B1 KR 102076263 B1 KR102076263 B1 KR 102076263B1 KR 1020190115722 A KR1020190115722 A KR 1020190115722A KR 20190115722 A KR20190115722 A KR 20190115722A KR 102076263 B1 KR102076263 B1 KR 102076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st cancer
cancer
diselendiylbis
diyl
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국
박형근
변웅섭
한혜주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15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263B1/ko
Priority to US16/981,916 priority patent/US11903912B2/en
Priority to PCT/KR2019/013461 priority patent/WO202105451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8Compounds containing heavy me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레노사마필린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간암 및 위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셀레노사마필린 A와 그 유도체가 유방암, 간암 및 위암 세포에 대해 우수한 항암 활성을 나타내고, 기존의 사마필린 A와 비교하여 더 우수한 유방암 성장억제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유방암 세포의 전이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는 바, 셀레노사마필린 A와 그 유도체는 유방암, 간암 및/또는 위암의 예방 및 치료, 및 유방암 전이 억제를 위한 약학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셀레노사마필린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reast cancer containing Seleno-psammaplin A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셀레노사마필린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간암 및 위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유방암은 2008년 통계기준으로 미국에서는 여성암 중 1위를, 우리나라에서는 2위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암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 이후 유방암 발병 증가율이 연 6.8 %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증가 속도를 보이고 있다(2010년 WHO 보고). 실제 유방암은 2012, 2013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기관의 통계에 의하면, 총 3,232,417 명의 검진 환자 중 약 885,735명이 유방암 판정을 받았고, 전국의 암환자 중 두 번째로 많은 진료비를 내고 있다. 우리나라의 유방암 발병 증가율을 고려할 때 유방암의 치료는 대단히 중요하며 의약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된다.
유방암을 탁솔(taxol)과 같은 항암제 또는 방사선으로 치료할 경우, 초기 암 조직의 성장이 멈춰지고, 암의 크기가 작아지는 등 치료가 되는 것으로 보이지만, 일정기간이 지나면 다시 암이 자라나오게 되는 경우가 있다. 다시 자라나온 암세포를 대상으로 다시 동일한 항암제를 처리할 경우 항암제가 더 이상 작용하지 않게 되어 내성을 갖게 되며, 암세포의 전이율이 높아지는 등 더욱 악성의 형질을 갖게 된다. 삼중음성 유방암세포는 에스트로겐(estrogen)과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수용체가 결손 되어 있고(ER-/PR-), HER2가 발현 되지 않은(HER2-) 것으로 알려져 있어, 탁솔(taxol), 타목시펜(tamoxifen), Her 2 활성억제제(trastuzumab)에 내성을 갖는 특징을 갖고 있다. 더욱이 주로 50세 이하의 젊은 여성이나 African-American/Hispanic 여성 중 변이된 RCA1를 가진 여성에게서 발생 빈도가 높다. 미국에서 전체 유방암 환자 중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가 약 12~17% 정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인에서는 전체 유방암 환자 중 약 15.9% 정도가 삼중음성 유방암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약 77% 정도로 다른 종류의 유방암 환자에서 보이는 약 93%에 비해 낮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삼중음성 유방암은 다른 종류의 유방암에 비해 조직학적 등급(grade)이 높고 침윤성의 유관암(ductal carcinoma) 형태를 가지는 등 다른 유방암에 비해 공격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다수의 삼중음성 유방암은 호르몬 치료(Hormone therapy) 또는 트라스트주맙(trastzumab) 등에 효과가 없고 염색체 이수성 정도가 높으며(Degree of aneuploidy), 유전자-발현 프로파일(gene-expression profile)이 유사한 점 등, 기저-유사 유방암 서브타입(basal-like breast cancer subtype)과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삼중음성 유방암을 상대로 한 표적치료의 한계는 목표로 하고자 하는 표적을 찾기가 어렵고, 따라서 이와 관련한 유효한 표적치료가 없다는데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181950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셀레노사마필린 A와 그 유도체가 유방암 세포 증식의 억제 뿐만 아니라, 전이성 및 이동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유방암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 및 유방암 전이 억제 효과를 확인한바,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셀레노사마필린 A와 그 유도체 및 이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간암 및 위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셀레노사마필린 A와 그 유도체 및 이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셀레노사마필린 A와 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간암 및 위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96144783-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상기 X는 수소, C1-5 알킬,
Figure 112019096144783-pat00002
, 1-나프틸, 2-나프틸, 또는 9-안트라세닐이고;
이때, 상기 R1 내지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나이트로, 할로겐, 시안, 히드록시, 디메틸아미노, 메틸설포닐아미드, 트리플루오르메틸, C1-5 알킬, C1-3 알콕시, 비닐, 아릴, 페녹시, 또는 벤족시이고;
상기 R3 및 R4 는 환(ring)으로 연결되는 경우,
Figure 112019096144783-pat00003
(n = 1, 2, 3)이고;
상기 R1 내지 R5 중 어느 하나가 페녹시, 또는 벤족시일 경우, 상기 방향족 환(aromatic ring)의 치환기는 C1-3 알킬, C1-3 알콕시, 할로겐, 트리플루오르메틸, 또는 t-부틸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X는
Figure 112019096144783-pat00004
또는 2-나프틸이고;
이때, 상기 R1 , R2,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이고;
상기 R3는 수소, 히드록시, 에톡시, t-부틸,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나이트로, 또는 벤족시이고;
상기 R4는 수소, 브로모, 클로로, 또는 플루오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암은 유방암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유방암은 삼중 음성 유방암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DOT1L 활성을 억제시키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셀레노사마필린 A와 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암 세포의 성장 억제, 침윤(invasion) 억제 및 이동(migration) 억제 효과를 갖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유방암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상기 셀레노사마필린 A와 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방암, 간암 및 위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암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셀레노사마필린 A와 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유방암, 간암 및 위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암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방암, 간암 및 위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암 치료제를 생산하기 위한 셀레노사마필린 A와 그 유도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방암 전이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상기 셀레노사마필린 A와 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방암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셀레노사마필린 A와 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유방암 전이 억제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방암 전이 억제제를 생산하기 위한 셀레노사마필린 A와 그 유도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마필린 A와 관련하여 구조 활성 연구에 따라 디설파이드 부분이 디셀레나이드로 치환된 새로운 화합물 셀레노사마필린 A와 그 유도체가 유방암, 간암 및 위암 세포에 대해 우수한 항암 활성을 나타내고, 기존의 사마필린 A와 비교하여 더 우수한 유방암 성장억제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유방암 세포의 전이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한 것으로, 상기 셀레노사마필린 A와 그 유도체는 유방암, 간암 및 위암 예방 및 치료, 및 유방암 전이 억제를 위한 약학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히스톤 메틸화 효소인 DOT1L이 정상세포(MCF10A), 삼중음성유방암이 아닌 암종에 비해 삼중음성유방암(TNBC)에서 과발현되어 있으며, 암전이성의 대표적인 마커인 E-cadherin은 반대로 낮아져있음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실제 임상 sample 분석에서도 TNBC에서 DOT1L이 과발현 되어있음을 TGCA database 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셀레노사마필린 A 유도체가 DOT1L의 체내 표적인 히스톤3 라이신 79번 잔기(H3K79)의 메틸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4a 및 도 4b는 사마필린 A를 대조군으로 하여, 2번 화합물(10nM)이 효과적으로 H3K79 메틸화를 억제할 뿐만 아니라, 표적 선택성이 우수함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5a 및 도 5b는 2번 화합물(10 nM)의 암 전이의 지표인 암세포의 이동성(migration) 억제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6a 및 도 6b는 2번 화합물(10 nM)의 암 전이의 지표인 암세포의 침윤성(invasion)에 대한 억제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7a 내지 도 7f는 2번 화합물(10 nM)이 세포 전이를 매개한다고 알려진 EMT 마커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로, 도 7a는 CDH1(E-cadherin)의 mRNA 발현 수준, 도 7b는 CDH2(N-cadherin)의 mRNA 발현 수준, 도 7c는 ZEB1의 mRNA 발현 수준, 도 7d는 VIM(Vimentin)의 mRNA 발현 수준을 확인한 결과이며, 도 7e는 CDH1, CDH2, ZEB1, Vimentin의 단백질 발현 수준을 확인한 결과이며, 도 7f는 이들의 상대적 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2번 화합물(10 nM)을 처리한 마우스 Xenograft 모델을 이용하여 암 종양 성장 억제 가능성을 확인한 결과로, 도 8a는 종양 부피, 도 8b는 최종 종양 중량, 도 8c는 마우스 체중, 도 8d는 종양을 촬영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유방암 세포가 폐, 간, 비장, 신장으로 전이되는 정도를 확인한 것으로, 2번 화합물(5 mg/kg, 15 mg/kg)을 처리한 마우스에서 각 장기들로의 전이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2번 화합물(10 mg/kg)을 처리한 마우스에서 적출한 유방 종양에서 히스톤 메틸화 정도 및 전이 마커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1은 면역염색법을 통하여 유방암 종양 조직에서의 단백질 발현을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자들은 셀레노사마필린 A 및 이의 유도체가 유방암 세포주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에서 과발현되는 DOT1L의 표적의 메틸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사마필린 A와 비교하여 암세포의 이동성, 전이성 억제효과가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유방암 동물 모델에서 종양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폐로의 전이를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는 바,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본 발명의 실시예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은 셀레노사마필린 A,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간암 및 위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셀레노사마필린 A 및 이의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
[화학식 1]
Figure 112019096144783-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상기 X는 수소, C1-5 알킬,
Figure 112019096144783-pat00006
, 1-나프틸, 2-나프틸, 또는 9-안트라세닐이고;
이때, 상기 R1 내지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나이트로, 할로겐, 시안, 히드록시, 디메틸아미노, 메틸설포닐아미드, 트리플루오르메틸, C1-5 알킬, C1-3 알콕시, 비닐, 아릴, 페녹시, 또는 벤족시이고;
상기 R3 및 R4 는 환(ring)으로 연결되는 경우,
Figure 112019096144783-pat00007
(n = 1, 2, 3)이고;
상기 R1 내지 R5 중 어느 하나가 페녹시, 또는 벤족시일 경우, 상기 방향족 환(aromatic ring)의 치환기는 C1-3 알킬, C1-3 알콕시, 할로겐, 트리플루오르메틸, 또는 t-부틸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X는
Figure 112019096144783-pat00008
또는 2-나프틸이고;
이때, 상기 R1 , R2,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이고;
상기 R3는 수소, 히드록시, 에톡시, t-부틸,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나이트로, 또는 벤족시이고;
상기 R4는 수소, 브로모, 클로로, 또는 플루오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을 제조하는 여러 가지 치환기의 정의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C1-5 알킬"은 탄소원자수 1 내지 5의 1가 알킬기를 의미하고, "C1-3 알킬"은 탄소원자수 1 내지 3의 1가 알킬기를 의미한다. 이 용어는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tert-부틸, n-헥실 등과 같은 기능기를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기재된 알킬, 및 그 외 알킬 부분을 포함하는 치환체는 직쇄 또는 분쇄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C1-3 알콕시"는 -O-R기를 의미하며, 여기서 R은 "C1-C3 알킬"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알콕시기는 예를 들면, 메톡시, 에톡시, 페녹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기재된 알킬, 알콕시 및 그 외 알킬부분을 포함하는 치환체는 직쇄 또는 분쇄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기재된 X의 형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하기 표에 나타낸 것과 같다.
화합물 X 화합물 X
1
Figure 112019096144783-pat00009
8
Figure 112019096144783-pat00010
2
Figure 112019096144783-pat00011
9
Figure 112019096144783-pat00012
3
Figure 112019096144783-pat00013
10
Figure 112019096144783-pat00014
4
Figure 112019096144783-pat00015
11
Figure 112019096144783-pat00016
5
Figure 112019096144783-pat00017
12
Figure 112019096144783-pat00018
6
Figure 112019096144783-pat00019
13
Figure 112019096144783-pat00020
7
Figure 112019096144783-pat00021
14
Figure 112019096144783-pat00022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셀레노사마필린 A와 그 유도체의 바람직한 구현 예는 하기와 같다:
(2E,2'E)-N,N'-(디셀렌디일비스(에탄-2,1-디일))비스(3-(3-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2-(하이드록시이미노)프로판아미드);
(2E,2'E)-N,N'-(디셀렌디일비스(에탄-2,1-디일))비스(3-(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2-(하이드록시이미노)프로판아미드);
(2E,2'E)-N,N'-(디셀렌디일비스(에탄-2,1-디일))비스(3-(3-플루오로-4-하이드록시페닐)-2-(하이드록시이미노)프로판아미드);
(2E,2'E)-N,N'-(디셀렌디일비스(에탄-2,1-디일))비스(2-(하이드록시이미노)-3-페닐프로판아미드);
(2E,2'E)-N,N'-(디셀렌디일비스(에탄-2,1-디일))비스(3-(4-플루오로페닐)-2-(하이드록시이미노)프로판아미드);
(2E,2'E)-N,N'-(디셀렌디일비스(에탄-2,1-디일))비스(3-(4-클로로페닐)-2-(하이드록시이미노)프로판아미드);
(2E,2'E)-N,N'-(디셀렌디일비스(에탄-2,1-디일))비스(3-(4-브로모페닐)-2-(하이드록시이미노)프로판아미드);
(2E,2'E)-N,N'-(디셀렌디일비스(에탄-2,1-디일))비스(3-(3,4-디플루오로페닐)-2-(하이드록시이미노)프로판아미드);
(2E,2'E)-N,N'-(디셀렌디일비스(에탄-2,1-디일))비스(3,4-디클로로페닐)-2-(하이드록시이미노)프로판아미드);
(2E,2'E)-N,N'-(디셀렌디일비스(에탄-2,1-디일))비스(3-(4-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이미노)프로판아미드);
(2E,2'E)-N,N'-(디셀렌디일비스(에탄-2,1-디일))비스(3-(4-벤질옥시)페닐)-2-(하이드록시이미노)프로판아미드);
(2E,2'E)-N,N'-(디셀렌디일비스(에탄-2,1-디일))비스(2-(하이드록시이미노)-3-(4-니트로페닐)프로판아미드);
(2E,2'E)-N,N'-(디셀렌디일비스(에탄-2,1-디일))비스(3-(4-터트-부틸)페닐)-2-(하이드록시이미노)프로판아미드); 및
(2E,2'E)-N,N'-(디셀렌디일비스(에탄-2,1-디일))비스(2-(하이드록시이미노)-3-(나프탈렌-2-일)프로판아미드).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베타-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상기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 혼합물에서 용매나 과량의 산을 증발시킨 후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입 여과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도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음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뿐만 아니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모든 염, 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셀레노마사필린 A와 그 유도체는 유방암, 간암 및/또는 위암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및 유방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에 1 pg 내지 30g w/v%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암은 바람직하게는 유방암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유방암”은 삼중 음성 유방암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암 전이”는 원발성 암에서 암 세포가 타 장기로 퍼져 새로운 암을 형성하는 것이다. 전이는 다양한 암 환자에서 목숨을 위협하는 주요 현상이기에 전이를 예방하거나 조절하는 것은 암 연구분야의 중요 목표이다. 전이가 되지 않은 초기에 진단이 된 경우에는 수술, 항암치료, 또는 방사선 치료가 효과적이나 진단시에 전이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들 치료의 효과는 감소된다. 이뿐 아니라 진단시 전이를 확인하지 못하였으나 전이가 치료 중이나 후에 확인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임상적으로 암의 전이의 중요성이 높지만 전이 과정은 아직 완벽히 이해되고 있지 못한 상태이다.
전이는 침투(invasion), 혈관내 유입(intravasation), 멈춤(arrest), 혈관외 배출(extravasation), 그리고, 집락화(colonization) 등의 연속적인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과정을 통하여 원발성 장기에서 시작하여 최종적으로 다른 장기에 암을 형성하게 된다. 첫 번째 단계인 침투는 전이의 시작 단계로 암 세포의 세포간 또는 세포외 기질과의 상호작용 변화, 주변 조직의 분해, 그리고 조직 내로의 암 세포의 이동 등을 포함한다. 두 번째 단계인 혈관내 유입은 암 세포가 혈관이나 림프관의 내피세포를 통과하여 전신적인 순환에 포함되는 것이다. 유입된 암 세포 중 극히 일부분만이 순환과정에서 살아남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살아 남은 일부분의 암 세포는 다른 부위의 모세관 내피세포를 투과하는 혈관 외 배출에 성공하고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여 증식하여 전이 암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유방암 전이 억제”란, 유방암이 다른 장기로 퍼져 새로운 암을 형성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말하며, 다른 장기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폐, 간, 췌장(이자), 비장, 신장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체”란 척추동물이라면 제한되지 아니하나, 구체적으로는 인간, 마우스, 래트, 기니어 피그, 토끼, 원숭이, 돼지, 말, 소, 양, 영양, 개, 고양이, 어류 및 파충류에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유방암 또는 유방암의 전이를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유방암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개선”이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유방암과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담체(carrier)"란 비이클(vehicle)이라고도 불리며,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디메틸술폭사이드(DMSO)는 생물체의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많은 유기물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는 통상 사용되는 담체이다.
본 발명에서 "희석제(diluent)"란 대상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형태를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화합물을 용해시키게 되는 물에서 희석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버퍼 용액에 용해되어 있는 염은 당해 분야에서 희석제로 사용된다. 통상 사용되는 버퍼 용액은 포스페이트 버퍼 식염수이며, 이는 인간 체액의 염 상태를 모방하고 있기 때문이다. 버퍼 염은 낮은 농도에서 용액의 pH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버퍼 희석제가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을 변형하는 일은 드물다. 여기에 사용된 아젤라산을 함유하는 화합물들은 인간 환자에게 그 자체로서, 또는 결합 요법에서와 같이 다른 성분들과 함께 또는 적당한 담체나 부형제와 함께 혼합된 약학적 조성물로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셀레노사마필린 A와 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분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바람직하게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근육 주입,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복강 주입, 국소 투여,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대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될 적합한 개체는 포유동물 개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유동물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인간, 개(canine), 고양잇과동물(feline), 소(bovine), 염소(caprine), 말(equine), 양(ovine), 돼지(porcine), 설치류(rodents), 토끼목(lagomorphs), 영장류(primates) 등을 포함하고, 자궁 내의(in utero) 포유동물을 포함한다. 개체는 양쪽 성(性) 모두 일 수 있고 발생(development)의 임의의 단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모든 문헌은 그 내용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처럼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 또는 이의 바람직한 태양(들)의 요소를 도입할 때, 관사 "하나의(a)", "하나의(an)", "그(the)" 및 "상기(said)"는 하나 이상의 요소가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 "포함하는(including)" 및 "갖는(having)"은 포괄적인 것으로 의도되고, 나열된 요소 이외의 추가적인 요소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록 본 발명이 특정 양태 또는 태양에 관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들 양태의 세부 사항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DOT1L 단백질 발현량 확인
실시예 1-1. 유방암세포주에서의 DOT1L 단백질 발현량 확인
사람 유방암세포주 및 정상 유방세포주의 DOT1L 발현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유방암세포주 및 정상 유방세포주를 10% FBS가 포함된 RPMI, DMEM 배지로 100 mm 배양접시에 1ⅹ106개의 농도로 깔고, 37℃, 5% CO2 조건에서 24 시간을 배양한 후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PBS)로 2회 세척하였다. 부착된 세포를 회수하여 PBS로 2 회 세척한 후 끓고 있는 2ⅹ 시료 loading buffer(250 mM Tris-HCl(pH 6.8), 4% SDS, 10% glycerol, 0.006% bromophenol blue, 2% β-mercaptoethanol, 50 mM sodium fluoride와 5 mM sodium orthovanadate)를 넣어 세포를 파쇄시키고 이를 100℃ 에서 10 분간 두었다. 식힌 후 20℃에서 보관하였고 사용 직전에 37℃ 에서 녹여 단백질 정량 및 전기영동에 이용하였다. 10 μg 의 단백질을 8 % SDS-polyacrylamide gel(#456-1036, Bio-rad, Hercules, CA)을 이용하여 100 V에서 2시간 동안 전기영동을 수행하였다. 분리된 단백질을 PVDF 멤브레인(membrane, ISEQ15150, Millipore, Bedford, MA)으로 100 V에서 1 시간 동안 옮긴 후 blocking buffer(5% non-fat dry milk in TBS containing 0.1% Tween-20(TBST))에 주입하여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TBST로 5분간 3회씩 세척한 후 해당 단일항체를 TBST로 5% 비지방 건조 우유(non-fat dry milk)로 희석하여 멤브레인(membrane)과 함께 4℃에서 18시간 반응시켰다.
멤브레인[Membrane, ISEQ 1S150, Millipore, Bedford, MA)을 TBST로 10분간 3회 세척한 후 HRP(horseradish peroxidase)-결합 이차항체를 TBST로 2.5% 탈지분유로 1:1,000의 비율로 희석하여 멤브레인(membrane)과 함께 상온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이후 TBST로 10분간 3회 세척한 후 화학발광(chemiluminescent) 시약(LabFrontier, Suwon, Korea)으로 처리하여 LAS-4000(Fuji Film Corp., Japan)에서 DOT1L, E-cadherin 및 β-actin의 단백질 발현 정도를 확인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히스톤 메틸화 효소인 DOT1L은 정상세포(MCF10A) 그리고 삼중음성유방암이 아닌 암종에 비해 삼중음성유방암(TNBC)에서 과발현되어있으며, 이에 따라 암전이성의 대표적인 마커인 E-cadherin가 반대로 낮아져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2. 삼중음성유방암 환자 샘플에서의 DOT1L 단백질 발현량 확인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미국 Natioanal Cancer Institute의 database 인 The Cancer Genome Atlas (TCGA) 분석를 이용한 실제 임상 sample 분석에서도 TNBC에서 DOT1L이 과발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는 바, DOT1L을 삼중음성유방암의 바이오마커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실시예 2.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확인
합성된 셀레노사마필린 A와 그 유도체으로 세포독성 시험을 실시하였다(Lee SK et al(2008) Chem Biol Interact 115:215-28).
세포독성 시험은 총 5개의 대표적인 암세포주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각 화합물의 세포독성 시험은 SRB assay 방법으로 측정되었다(인간 폐암 세포, A549; 인간 결장암 세포, HCT116; 인간 유방암 세포, MDA-MB231; 인간 간암 세포, SK-HEP-1; 인간 위암 세포, SNU638).
각 세포주는 열에 의해 불활성화된 10%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100 units/mL 페니실린(penicillin), 100 μg/mL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과 250 ng/mL 암포테리신 비(amphotericin B)가 포함되어 있는 로즈웰 파크 메모리얼 연구소 배지 1640(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RPMI) 배지(medium) 1640, RPMI 1640) 또는 DMEM(Dulbeco’s Modified Eagle Medium) 을 이용하여 37°C, 5% CO2조건에서 1 주일에 1 ~ 2회 계대 배양하였다. 모든 세포는 액체질소로부터 녹인 다음 3회 이상 계대를 거치고 나서 실험에 이용하였다. 화합물들의 세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술포로다민 B(sulforhodamine B: SRB)법으로 측정하였다(Lee et al(1998) Chemico-Biol Interact 115:215-228).
자세하게는 본 발명에 이용된 사람의 암 세포주를 10% FBS, 1% PSF 등을 함유한 RPMI 배지에서 계대 배양하였으며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10% DMSO에 녹아있는 시료 10 ㎕와 상기 세포현탁액 190 ㎕(4-5 x 104 cells/ml) 넣고 3일간 배양하였다. 적어도 16 웰에 상기 세포현탁액 190 ㎕를 넣고 30분간 배양하여 실험 전의 음성대조(zero-day control)로 사용하였다. 배양한 세포를 10% TCA(trichloroacetic acid)로 고정시킨 후 SRB 용액으로 염색하고, 10 mM 트리스 베이스(Tris-base)로 염색액을 용해시킨 다음 5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10% DMSO에서 배양한 경우를 대조군으로 하여 각 시험 물질처리에 따른 세포 생존율을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에토포사이드(Etoposide)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되었다.
[수학식 1]
% 생존율 =(OD(sample) - OD(0-day))/(OD(10% DMSO) - OD(0-day)) X 100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을 100%로 하였을 때 시료 처리군의 값을 대조군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으며, 각 시험물질 처리는 이중 혹은 삼중 시험의 평균값 ± SEM으로 구하였다. IC50 값은 50% 생존율에 대한 시험 물질의 농도이다. 화합물들의 암 세포주에 미치는 영향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암세포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19096144783-pat00023
실시예 3. DOT1L 메틸화 억제 확인
실시예 1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DOT1L이 유방암 세포주에서 과발현되는 것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 유도체들이 DOT1L 의 체내 표적인 히스톤 3 라이신 79번 잔기(H3K79)의 메틸화에 미치는 영향을 웨스턴 블롯팅으로 확인하였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H3K79 메틸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화합물 1(9), 화합물 2(10), 화합물 9(17), 화합물 10(18), 화합물 11(19), 및 화합물 12(20)의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MDA -MB-231 세포주에서의 체내 표적 선택성 확인
셀레노사마필린 A와 그 유도체 중에서 화합물 2(X=ph)를 선택하여 세포내 DOT1L 표적인 H3K79 잔기 선택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 MDA-MB-231을 10% FBS가 포함된 DMEM 배지로 6 well 플레이트에 2ⅹ106개의 농도로 깔고, 37℃, 5% CO2 조건에서 24 시간을 배양한 후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PBS)로 2회 세척하였다. 부착된 세포를 회수하여 PBS로 2 회 세척한 후 끓고 있는 2ⅹ 시료 loading buffer(250 mM Tris-HCl(pH 6.8), 4% SDS, 10% glycerol, 0.006% bromophenol blue, 2% β-mercaptoethanol, 50 mM sodium fluoride와 5 mM sodium orthovanadate)를 넣어 세포를 파쇄시키고 이를 100℃ 에서 10 분간 두었다. 식힌 후 20℃에서 보관하였고 사용 직전에 37℃ 에서 녹여 단백질 정량 및 전기영동에 이용하였다. 10 μg의 단백질을 12% SDS-polyacrylamide gel(#456-1036, Bio-rad, Hercules, CA)을 이용하여 100 V에서 2시간 동안 전기영동을 수행하였다. 분리된 단백질을 PVDF 멤브레인(membrane, ISEQ15150, Millipore, Bedford, MA)으로 100 V에서 1 시간 동안 옮긴 후 blocking buffer(5% non-fat dry milk in TBS containing 0.1% Tween-20(TBST))에 주입하여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TBST로 5분간 3회씩 세척한 후 해당 단일항체를 TBST로 5% 비지방 건조 우유(non-fat dry milk)로 희석하여 멤브레인(membrane)과 함께 4℃에서 18시간 반응시켰다. 멤브레인[Membrane, ISEQ 1S150, Millipore, Bedford, MA) 을 TBST로 10분간 3회 세척한 후 HRP(horseradish peroxidase)-결합 이차항체를 TBST로 2.5% 탈지분유로 1:2,000의 비율로 희석하여 멤브레인(membrane)과 함께 상온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이후 TBST로 10분간 3회 세척한 후 화학발광(chemiluminescent) 시약(LabFrontier, Suwon, Korea)으로 처리하여 LAS-4000(Fuji Film Corp., Japan)에서 H3K4me2, H3K27me2, H3K36me2, H3K79me2 및 Histone H3의 단백질 발현 정도를 확인하여 도 4a에 나타내었다. 이를 ImageJ software를 이용해 정량하여 도 4b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합물 2가 히스톤 3의 다른 잔기의 메틸화 정도는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79번 잔기의 메틸화 특이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효과가 사마필린 A(PsA)보다도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암세포 이동 억제 효과
셀레노사마필린 A와 그 유도체의 유방암 전이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 화합물의 암세포 이동(migration)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 MDA-MB-231을 10% FBS가 포함된 DMEM 배지로 6 well 플레이트에 2ⅹ106개의 농도로 깔고, 37℃, 5% CO2 조건에서 24 시간을 배양한 후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PBS)로 1회 세척하였다. 이후 200 ul tip을 이용하여 scratch를 낸 후 2번 물질을 50-400 nM, Psammaplin A를 400 nM 처리한후 24 시간동안 배양하였다. PBS로 1회 세척후 현미경을 이용하여 세포의 이동 정도를 촬영하여 도 5a에 나타내었다. ImageJ software를 이용하여 대조군 대비 Scratch의 수복정도를 도5b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합물 2가 농도 의존적으로 유방암 세포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암세포 침윤 억제 효과
셀레노사마필린 A와 그 유도체의 유방암 전이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 화합물의 암세포 침윤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 MDA-MB-231을 10% FBS가 포함된 DMEM 배지로 transwell 플레이트에 1ⅹ106개의 농도로 깔고, 37℃, 5% CO2 조건에서 24 시간 배양한 후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PBS)로 1회 세척하였다. 이후 2번 물질을 50-400 nM, Psammaplin A를 400 nM 처리한후 24 시간동안 배양하였다. PBS로 1회 세척후 slide glass 에 멤브레인을 부착하고, 현미경을 이용하여 세포의 침윤 정도를 촬영하여 도 6a에 나타내었다. ImageJ software를 이용하여 대조군대비 침윤정도를 도6b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합물 2가 농도 의존적으로 유방암 세포의 침윤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암세포 전이 매개 EMT 마커의 발현 확인
세포의 전이를 매개한다고 알려진 EMT 마커들의 발현 변화에 미치는 본 발명 화합물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7-1. 암세포 전이 매개 EMT 마커의 유전자 발현 확인
사람 유방암 세포주 MDA-MB-231 의 EMT 관련 유전자 발현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사람 유방암 세포주 MDA-MB-231의 EMT 마커 발현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유방암세포를 10% FBS가 포함된 RPMI 배지로 100 mm 배양접시에 1ⅹ106개의 농도로 깔고, 37℃, 5% CO2 조건에서 24 시간을 배양한 후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PBS)로 2회 세척하였다. 부착된 세포를 PBS로 2회 세척한 후 TRI reagent(TRIZol(#15596-026, Invitrogen, Grand Island, NY))를 이용하여 세포를 파괴후 CHCl3를 첨가하여 RNA를 추출하고 isopropyl alcohol을 이용하여 침전시켰다. RNA 침전물을 70% 에탄올로 세척한 후 공기 중에서 건조시킨 후 nuclease-free water(AM9937, Ambion, Austin, TX)를 이용하여 녹인 다음 55℃에서 10분간 가열하고, 70℃에서 5분간 열처리하여 RNA가 single strand 상태로 존재하도록 하였다. Total RNA를 NanoDrop(ND-1000, Dae Myung Sceince, Seoul, Korea)을 이용하여 정량하여 1 μg/μL으로 희석한 후 avian myeloblastosis virus(AMV) reverse transcriptase(M5108, Promega, Madison, WI)과 oligo(dT)15 primer(C110B, Promega, Madison, WI)를 이용하여 cDNA를 제조하였다. iQTM SYBR® Green Supermix(#170-8880, Bio-Rad, Hercules, CA), target gene-specific primers 를 이용하여 target gene을 MiniOpticonTM Real-time PCR Detection system(CFB-3120, Bio-Rad, Hercules, CA)에서 증폭시켰다. Real-time PCR 조건은 95℃에서 20초간 변성(denaturation)시킨 뒤 95°C에서 20초(denaturation), 56℃에서 20초(annealing), 72℃에서 30초(elongation)의 PCR cycle을 40회 반복하였고 이후 95℃에서 1분 및 55℃에서 1분간 최종 단계를 거쳤다. MJ Opticon Monitor software(Opticon Monitor 3.1.32, Bio-rad, Hercules, CA)를 이용하여 리박 등(Livak KJ et al(1996) Method 25:402-408)의 방법에 의하여 Ct 값을 결정하였고, 시료의 β-액틴의 Ct 값으로 보정하여 유방암세포주에서의 EMT marker의 mRNA 발현을 도 7a 내지 7d에 나타내었다.
도 7a 내지 7d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합물 2가 전이를 감소시키는 E-cadherin의 발현은 증가시키고, 전이를 증가시키는 N-cadherin, ZEB1, Vimentin의 mRNA 발현은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2. 암세포 전이 매개 EMT 마커의 단백질 발현 확인
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 MDA-MB-231을 10% FBS가 포함된 DMEM 배지로 6 well 플레이트에 2ⅹ106개의 농도로 깔고, 37℃, 5% CO2 조건에서 24 시간 배양한 후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PBS)로 2회 세척하였다. 부착된 세포를 회수하여 PBS 로 2 회 세척한 후 끓고 있는 2ⅹ 시료 loading buffer(250 mM Tris-HCl(pH 6.8), 4% SDS, 10% glycerol, 0.006% bromophenol blue, 2% β-mercaptoethanol, 50 mM sodium fluoride와 5 mM sodium orthovanadate)를 넣어 세포를 파쇄시키고 이를 100℃ 에서 10 분간 두었다. 식힌 후 20℃에서 보관하였고 사용 직전에 37℃ 에서 녹여 단백질 정량 및 전기영동에 이용하였다. 10 μg 의 단백질을 12% SDS-polyacrylamide gel(#456-1036, Bio-rad, Hercules, CA)을 이용하여 100 V에서 2시간 동안 전기영동을 수행하였다. 분리된 단백질을 PVDF 멤브레인(membrane, ISEQ15150, Millipore, Bedford, MA)으로 100 V에서 1 시간 동안 옮긴 후 blocking buffer(5% non-fat dry milk in TBS containing 0.1% Tween-20(TBST))에 주입하여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TBST로 5분간 3회 세척한 후 해당 단일항체를 TBST로 5% 비지방 건조 우유(non-fat dry milk)로 희석하여 멤브레인(membrane)과 함께 4℃에서 18시간 반응시켰다. 멤브레인[Membrane, ISEQ 1S150, Millipore, Bedford, MA) 을 TBST로 10분간 3회 세척한 후 HRP(horseradish peroxidase)-결합 이차항체를 TBST로 2.5% 탈지분유로 1:2,000의 비율로 희석하여 멤브레인(membrane)과 함께 상온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이후 TBST로 10분간 3회 세척한 후 화학발광(chemiluminescent) 시약(LabFrontier, Suwon, Korea)으로 처리하여 LAS-4000(Fuji Film Corp., Japan)에서 E-cadherin, N-cadherin, Vimentin 및 beta-actin 의 단백질 발현 정도를 확인하여 도 7e에 나타내었다. 이를 ImageJ software를 이용해 정량하여 도 7f에 나타내었다.
도 7e 및 도 7f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백질에 대해서도 화합물 2가 전이를 감소시키는 E-cadherin의 발현은 증가시키고, 전이를 증가시키는 N-cadherin, ZEB1, Vimentin의 mRNA 발현은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유방암 종양의 성장 억제 효과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유방 종양의 성장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유방암 세포를 nude BALB/c 생쥐(8주령, 암컷)의 Fat pad에 주사하였다. 종양크기가 200 mm3 정도 도달했을 때, 화합물을 주 3회 복강 주사하였다. 종양의 부피는 [부피(mg)=(L× W2)/2]식으로 계산하여 도 8a에 나타내었다. 투여 시작 38일 후에 생쥐를 희생하고 종양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여 도 8b에 나타내었다. 실험 중 측정한 생쥐의 체중은 도 8c에 나타내었다. 실험 종료시점의 생쥐를 IVIS(PerkinElmer)를 이용하여 촬영하여 종양의 크기를 도 8d에 간접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8a내지 도8d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합물 2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종양의 부피가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종양 중량도 대조군, 사마필린 A(PsA) 투여군, Paclitaxel 투여군과 비교하여 현저히 감소하였고, 마우스 체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바, 이는 화합물의 독성에 의한 것이 아님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9. 유방암 전이 억제 효과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유방 종양의 전이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8의 동물 모델의 폐, 간, 비장(Spleen), 신장 등의 장기를 적출하여 대조군과 투여군에서의 암전이 정도를 IVIS(PerkinElmer)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촬영하여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합물 2 투여군에서 각 장기들로의 암 전이 정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폐로의 전이가 매우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0. 종양 조직 내 암 전이 마커 발현 확인
화합물 2가 in vivo에서 H3K79me2, E-cadherin, Viemntin과 같은 주요 인자 조절에 관여하는 것을 규명하기 위해, 종양 조직 내에서 화합물 2의 영향을 주요인자들에 대해 하기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 MDA-MB-231을 10% FBS가 포함된 DMEM 배지로 6 well 플레이트에 2ⅹ106개의 농도로 깔고, 37℃, 5% CO2 조건에서 24 시간 배양한 후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PBS)로 2회 세척하였다. 부착된 세포를 회수하여 PBS로 2 회 세척한 후 끓고 있는 2ⅹ 시료 loading buffer(250 mM Tris-HCl(pH 6.8), 4% SDS, 10% glycerol, 0.006% bromophenol blue, 2% β-mercaptoethanol, 50 mM sodium fluoride와 5 mM sodium orthovanadate)를 넣어 세포를 파쇄시키고 이를 100℃ 에서 10 분간 방치하였다. 식힌 후 20℃에서 보관하였고 사용 직전에 37℃ 에서 녹여 단백질 정량 및 전기영동에 이용하였다. 10 μg 의 단백질을 12% SDS-polyacrylamide gel(#456-1036, Bio-rad, Hercules, CA)을 이용하여 100 V에서 2시간 동안 전기영동을 수행하였다. 분리된 단백질을 PVDF 멤브레인(membrane, ISEQ15150, Millipore, Bedford, MA)으로 100 V에서 1 시간 동안 옮긴 후 blocking buffer(5% non-fat dry milk in TBS containing 0.1% Tween-20(TBST)에 주입하여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그 다음 TBST로 5분간 3회씩 세척한 후 해당 단일항체를 TBST로 5% 비지방 건조 우유(non-fat dry milk)로 희석하여 멤브레인(membrane)과 함께 4℃에서 18시간 반응시켰다. 멤브레인[Membrane, ISEQ 1S150, Millipore, Bedford, MA) 을 TBST로 10분간 3회 세척한 후 HRP(horseradish peroxidase)-결합 이차항체를 TBST로 2.5% 탈지분유로 1:2,000의 비율로 희석하여 멤브레인(membrane)과 함께 상온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이후 TBST로 10분간 3회 세척한 후 화학발광(chemiluminescent) 시약(LabFrontier, Suwon, Korea)으로 처리하여 LAS-4000(Fuji Film Corp., Japan)에서 H3K79me2, E-cadherin, Vimentin, Histone H3 및 β-actin 의 단백질 발현 정도를 확인하여 도 10a에 나타내었다. 이를 ImageJ software를 이용해 정량하여 도 10b에 나타내었다.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난 바와 같이, 2번 화합물(10 mg/kg)을 처리한 마우스에서 적출한 유방 종양에서 히스톤 메틸화 및 Vimentin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E-cadherin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1. 종양 조직 내 암 전이 마커의 면역조직학적 확인
상기 동물모델에서 투여 시작 38일 후에 생쥐를 희생하고 종양을 적출하여 파라핀 블록을 만든 후, 면역조직학적 방법으로 이용하여 Ki67, H3K79me2, E-cadherin, Vimentin 등의 발암 관련 생체지표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0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히스톤 메틸화 및 Vimentin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E-cadherin은 농도의존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제제예 ]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셀레노사마필린 A(Seleno-psammaplin A) 2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셀레노사마필린 A(Seleno-psammaplin A) 2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셀레노사마필린 A(Seleno-psammaplin A) 20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캅셀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캅셀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셀레노사마필린 A(Seleno-psammaplin A) 20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 ,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셀레노사마필린 A(Seleno-psammaplin A) 20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이상의 실시예를 종합하여, 본 발명자들은 셀레노사마필린 A와 그 유도체가 유방암, 간암 및 위암 항암 활성 뿐만 아니라, 전이 억제 효과 또한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셀레노사마필린 A와 그 유도체를 유방암 예방 또는 치료제 및 유방암 전이 억제제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간암 및 위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9130233387-pat00024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상기 X는
    Figure 112019130233387-pat00054
    또는 2-나프틸이고;
    이때, 상기 R1 , R2,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이고;
    상기 R3는 수소, 히드록시, 에톡시, t-부틸,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나이트로, 또는 벤족시이고;
    상기 R4는 수소, 브로모, 클로로, 또는 플루오로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유방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E,2'E)-N,N'-(디셀렌디일비스(에탄-2,1-디일))비스(3-(3-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2-(하이드록시이미노)프로판아미드);
    (2E,2'E)-N,N'-(디셀렌디일비스(에탄-2,1-디일))비스(3-(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2-(하이드록시이미노)프로판아미드);
    (2E,2'E)-N,N'-(디셀렌디일비스(에탄-2,1-디일))비스(3-(3-플루오로-4-하이드록시페닐)-2-(하이드록시이미노)프로판아미드);
    (2E,2'E)-N,N'-(디셀렌디일비스(에탄-2,1-디일))비스(2-(하이드록시이미노)-3-페닐프로판아미드);
    (2E,2'E)-N,N'-(디셀렌디일비스(에탄-2,1-디일))비스(3-(4-플루오로페닐)-2-(하이드록시이미노)프로판아미드);
    (2E,2'E)-N,N'-(디셀렌디일비스(에탄-2,1-디일))비스(3-(4-클로로페닐)-2-(하이드록시이미노)프로판아미드);
    (2E,2'E)-N,N'-(디셀렌디일비스(에탄-2,1-디일))비스(3-(4-브로모페닐)-2-(하이드록시이미노)프로판아미드);
    (2E,2'E)-N,N'-(디셀렌디일비스(에탄-2,1-디일))비스(3-(3,4-디플루오로페닐)-2-(하이드록시이미노)프로판아미드);
    (2E,2'E)-N,N'-(디셀렌디일비스(에탄-2,1-디일))비스(3,4-디클로로페닐)-2-(하이드록시이미노)프로판아미드);
    (2E,2'E)-N,N'-(디셀렌디일비스(에탄-2,1-디일))비스(3-(4-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이미노)프로판아미드);
    (2E,2'E)-N,N'-(디셀렌디일비스(에탄-2,1-디일))비스(3-(4-벤질옥시)페닐)-2-(하이드록시이미노)프로판아미드);
    (2E,2'E)-N,N'-(디셀렌디일비스(에탄-2,1-디일))비스(2-(하이드록시이미노)-3-(4-니트로페닐)프로판아미드);
    (2E,2'E)-N,N'-(디셀렌디일비스(에탄-2,1-디일))비스(3-(4-터트-부틸)페닐)-2-(하이드록시이미노)프로판아미드); 및
    (2E,2'E)-N,N'-(디셀렌디일비스(에탄-2,1-디일))비스(2-(하이드록시이미노)-3-(나프탈렌-2-일)프로판아미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방암은 삼중 음성 유방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DOT1L 활성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9130233387-pat00028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상기 X는
    Figure 112019130233387-pat00055
    또는 2-나프틸이고;
    이때, 상기 R1 , R2,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이고;
    상기 R3는 수소, 히드록시, 에톡시, t-부틸,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나이트로, 또는 벤족시이고;
    상기 R4는 수소, 브로모, 클로로, 또는 플루오로이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방암은 삼중 음성 유방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암 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암 세포의 성장 억제, 침윤(invasion) 억제 및 이동(migration) 억제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암 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90115722A 2019-09-20 2019-09-20 셀레노사마필린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76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722A KR102076263B1 (ko) 2019-09-20 2019-09-20 셀레노사마필린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16/981,916 US11903912B2 (en) 2019-09-20 2019-10-15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breast cancer including selenopsammaplin A as active ingredients
PCT/KR2019/013461 WO2021054510A1 (ko) 2019-09-20 2019-10-15 셀레노사마필린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722A KR102076263B1 (ko) 2019-09-20 2019-09-20 셀레노사마필린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263B1 true KR102076263B1 (ko) 2020-02-11

Family

ID=69568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722A KR102076263B1 (ko) 2019-09-20 2019-09-20 셀레노사마필린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03912B2 (ko)
KR (1) KR102076263B1 (ko)
WO (1) WO20210545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25675A (zh) * 2022-11-10 2023-04-07 中国海洋大学 一种Psammaplin A类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509B1 (ko) 2016-10-21 2018-01-17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Th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또는 호르몬 저항성 유방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90053090A (ko) * 2017-11-09 2019-05-1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셀레노사마필린 a와 그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1904A (ko) 2013-06-03 2014-12-1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한 항암활성을 갖는 사마필린a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509B1 (ko) 2016-10-21 2018-01-17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Th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또는 호르몬 저항성 유방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90053090A (ko) * 2017-11-09 2019-05-1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셀레노사마필린 a와 그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org. Med. Chem. Letters., 26, 4372-4376, 2016. *
Marine drugs, 16, 442, 2018. *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철우, 2013년 8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03912B2 (en) 2024-02-20
WO2021054510A1 (ko) 2021-03-25
US20210259997A1 (en)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2443B2 (en) 17α-monoesters and 17α,21-diesters of cortexolone for use in the treatment of tumors
KR20150123328A (ko) 암 치료용 화합물
TW201717941A (zh) 氯喹(chloroquine)及克立咪唑(clemizole)化合物於治療發炎及癌症病況之用途
EP3021848B1 (en) Treatment for melanoma
US20170172980A1 (en) Methods and formulations for treating scars and beta-catenin-mediated disorders
JP6928000B2 (ja) 化学療法の改善
TW201938543A (zh) 三取代之苯并三唑衍生物的使用方法
CN116077631A (zh) 涉及粘液素的疾病治疗
US20170112865A1 (en) Treatment for melanoma
KR102076263B1 (ko) 셀레노사마필린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110952A (ko) 암을 치료하기 위한 신규한 방법
KR102011105B1 (ko) 고시폴 및 펜포르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10953004B2 (en) Combination therapy for proliferative diseases
KR102315103B1 (ko) 티오리다진 및 퍼헥실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10933076B2 (en) Crocin-sorafenib combination therapy for liver cancer
US10857113B2 (en) Bezafibrate for the treatment of cancer
EP4168013A1 (en) Method for treatment of pancreatitis
TWI650141B (zh) 包含奎寧鹽懸浮液的用於抗癌治療的局部給藥用注射劑組合物
JP2020132625A (ja) 肝臓癌に対するサフラナールとソラフェニブの併用療法
TWI447111B (zh) Antitumor agents or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eutic agents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treatment
KR102575465B1 (ko) 도세탁셀 및 칼키톡신 티올아마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전이 억제 및/또는 암 치료 효과 증진용 조성물
JP3921535B2 (ja) 抗癌剤及び抗癌用薬理組成物
US20240108611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eases, containing torsemide and cromolyn
KR102249814B1 (ko) 칼키톡신 티오아마이드 알코올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2073961B1 (ko) 메트포르민 및 페로센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