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197B1 - 통합형 회로기판을 갖는 수전장치 - Google Patents
통합형 회로기판을 갖는 수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6197B1 KR102076197B1 KR1020190062087A KR20190062087A KR102076197B1 KR 102076197 B1 KR102076197 B1 KR 102076197B1 KR 1020190062087 A KR1020190062087 A KR 1020190062087A KR 20190062087 A KR20190062087 A KR 20190062087A KR 102076197 B1 KR102076197 B1 KR 1020761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ircuit board
- sensor
- water
- solenoid valve
- fauc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5—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5—Proximity switches
- H03K17/955—Proximity switches using a capacitive detec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형 회로기판을 갖는 수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급수관 또는 출수관이 통과되는 급수공과 출수공이 마련된 수전몸체와, 상기 수전몸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급수관 및 출수관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출수관으로 공급되는 출수 유량을 개폐하는 전자밸브를 갖는 수전유닛과; 사용자의 조작 또는 움직임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절수유닛과; 상기 수전유닛, 절수유닛 및 외부전원 사이에 전원 또는 제어신호 중 하나 이상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각각을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케이블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센서의 동작제어 및 그 감지결과에 기초한 상기 전자밸브의 개폐제어와, 상기 센서 및 전자밸브로의 급전을 수행하는 회로기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절수유닛의 유닛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센서의 동작제어와 전자밸브의 개폐제어를 하나의 회로기판에 통합하여 마련함으로써, 센서용 회로기판과 전자밸브용 회로기판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어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설치작업이 간소화되며, 고장시 전자밸브가 있는 수전유닛과 센서가 마련된 절수유닛을 모두 분해하여 수리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유지보수가 매우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의해, 센서의 동작제어와 전자밸브의 개폐제어를 하나의 회로기판에 통합하여 마련함으로써, 센서용 회로기판과 전자밸브용 회로기판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어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설치작업이 간소화되며, 고장시 전자밸브가 있는 수전유닛과 센서가 마련된 절수유닛을 모두 분해하여 수리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유지보수가 매우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센서의 동작제어와 전자밸브의 개폐제어를 하나의 회로기판에 통합하여 마련함으로써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설치작업이 간소화되며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수전장치의 구성을 수전유닛과 절수유닛 및 케이블모듈로 하는 모듈화할 수 있는 통합형 회로기판을 갖는 수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전은 급수 배관의 말단에 위치하여 물을 개폐시키는 장치이다. 용도나 설치위치 또는 기능에 따라 수전은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일 예로 주방용 수전은 단순히 출수량을 조절하는 기능 이외에도, 온수와 냉수의 혼합량을 조절하거나, 또는 출수의 형태, 방향 및 높이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출수 헤드가 출수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탈착가능하게 마련되기도 한다.
이러한 주방용 수전은 전술한 편의성에 더하여, 디자인의 고급화를 통한 실내 인테리어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물 절약과 절수라는 측면에서도 점차 기 중요성이 더해가고 있다.
종래의 수전장치는 수전의 하부 싱크대 내부에 솔레노이드밸브를 설치하고, 싱크대 외부, 예를 들어 하부에 사용자가 발로 터치하는 누름스위치 또는 발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광센서 등의 풋페달을 설치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싱크대 하부에 급수관 및 출수관이 솔레노이드밸브를 경유하도록 설치해야 하므로 싱크대 내부가 복잡해지고 설치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솔레노이드 및 풋페달에 각각 동작 및 감지제어를 위한 회로기판이 별도로 마련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83366호 "수전"에는 전자밸브 및 전자밸브 제어를 위한 회로기판을 수전 내부에 장착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이는, 수전 내부에 전자밸브를 장착하여 싱크대 하부의 구성이 간소화되고 설치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기는 하나, 수전 내부에 전자밸브와 회로기판이 함께 구성됨에 따라 수전 내부의 구성이 더욱 복잡해져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고장이 잦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물이나 습기에 취약한 회로기판이 수전 내부에 마련됨으로써 고장발생가능성이 높아지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격벽 밀실을 추가 설계하여야 하고 방수를 위한 별도 방안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절수페달과 달리 수전은 그 설치시에도 급수관 및 출수관을 포함한 다양한 부품과 체결해야 하기 때문에 싱크대 하부로 작업자가 들어가서 작업을 해야하는 등 상당한 작업시간과 난이도가 소요되는데, 정상적인 작동이 되지 않는 경우 회로기판의 고장인지 전자밸브의 고장인지 여부 자체를 즉각적으로 판단할 수 없고, 어느 경우에든 수전을 싱크대로부터 해체하여 고장부품을 판별하고 수리 또는 교체한 후에 다시 조립해야하는 큰 불편이 있다.
나아가,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여전히 외부에 위치하여야 하므로 센서 동작제어를 위한 별도의 회로기판이 여전히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회로고장이 있는 경우 수전과 센서가 장착된 절수페달을 모두 분해 및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의 동작제어와 전자밸브의 개폐제어를 하나의 회로기판에 통합하여 마련함으로써, 센서용 회로기판과 전자밸브용 회로기판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어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설치작업이 간소화되며, 고장시 전자밸브가 있는 수전유닛과 센서가 마련된 절수유닛을 모두 분해하여 수리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유지보수가 매우 간편한 통합형 회로기판을 갖는 수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밸브는 수전유닛 내부에 일체로 구성하고, 센서 및 전자밸브 제어를 위한 회로기판은 절수유닛에 일체로 구성하고 이를 케이블모듈을 통하여 연결하는 모듈형 구성을 통하여, 수전장치의 구성이 간단화 함으로써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설치작업이 매우 용이하며, 고장시에도 2 이상의 유닛을 모두 수리 및 교체할 필요없이 해당 유닛만을 수리 또는 교체하기만 하면 되므로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한 통합형 회로기판을 갖는 수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급수관 또는 출수관이 통과되는 급수공과 출수공이 마련된 수전몸체와, 상기 수전몸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급수관 및 출수관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출수관으로 공급되는 출수 유량을 개폐하는 전자밸브를 갖는 수전유닛과; 사용자의 조작 또는 움직임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절수유닛과; 상기 수전유닛, 절수유닛 및 외부전원 사이에 전원 또는 제어신호 중 하나 이상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각각을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케이블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센서의 동작제어 및 그 감지결과에 기초한 상기 전자밸브의 개폐제어와, 상기 센서 및 전자밸브로의 급전을 수행하는 회로기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절수유닛의 유닛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통합형 회로기판을 갖는 수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모듈은, 일단은 상기 전자밸브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전자밸브로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밸브커넥터가 마련된 밸브케이블과, 일단은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되고 타단은 각각 외부전원커넥터와 연결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밸브커넥터와 연결되는 제2커넥터로 분기되는 기판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전유닛은, 혼합수의 형성 및 개폐를 위한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핸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전몸체는 측면 일측에 상기 카트리지의 설치를 위한 설치공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인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센서로 마련되며, 상기 회로기판에 일체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절수유닛은 수전 사용자의 발, 복부 또는 무릎의 근접 또는 접촉을 감지할 수 있도록 수전 설치대의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닛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센서의 감지방향을 제한하는 차폐부재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재는 전도성 재질로 마련되거나 또는 전도성 재질을 코팅하여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센서가 사용자 발의 근접을 감지하는 경우, 감지거리가 8cm 이상이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회로기판을 갖는 수전장치는, 센서의 동작제어와 전자밸브의 개폐제어를 하나의 회로기판에 통합하여 마련함으로써, 센서용 회로기판과 전자밸브용 회로기판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어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설치작업이 간소화되며, 고장시 전자밸브가 있는 수전유닛과 센서가 마련된 절수유닛을 모두 분해하여 수리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유지보수가 매우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회로기판을 갖는 수전장치는, 전자밸브는 수전유닛 내부에 일체로 구성하고, 센서 및 전자밸브 제어를 위한 회로기판은 절수유닛에 일체로 구성하고 이를 케이블모듈을 통하여 연결하는 모듈형 구성을 통하여, 수전장치의 구성이 간단화함으로써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설치작업이 매우 용이하며, 고장시에도 2 이상의 유닛을 모두 수리 및 교체할 필요없이 해당 유닛만을 수리 또는 교체하기만 하면 되므로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회로기판을 갖는 수전장치는, 사용자 신체의 접촉 및 근접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종래 광센서와 같은 비접촉센서처럼 모든 물체에 반응하지 않아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누름스위치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스위치를 작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개폐조작이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나아가 차폐부재를 이용하여 오감지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회로기판을 갖는 수전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전유닛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수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의 구성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전유닛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수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의 구성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회로기판을 갖는 수전장치(1)는, 수전유닛(100)과, 절수유닛(200)과 케이블모듈(300)을 포함하되, 센서(218) 및 전자밸브(161)의 제어를 위한 회로기판(210)이 일체로 형성되어 절수유닛(200)의 유닛케이스(201, 202)에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하, 각 구성별로 설명한다.
수전유닛(100)은 수전몸체(110)와 전자밸브(161)를 포함한다.
수전몸체(110)는 급수관(143) 또는 출수관(141)이 통과되는 급수공(112)과 출수공(111)이 마련된다.
수전몸체(110)의 상부에는 출수관(141)이 통과되는 출수공(111)이 마련되며, 하단에는 급수관(143)이 통과되는 급수공(112)이 마련된다.
출수관(141)은 출수공(111)을 통해 연장되어 헤드몸체(131)를 지나 싱크헤드(133)에 연결된다. 이에,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싱크헤드(133)를 수전몸체(110)로부터 분리하여 원하는 곳으로 출수가 가능하다.
급수관(14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 및 냉수의 2개의 급수관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온수와 냉수의 혼합은 후술할 카트리지(124) 및 핸들(121)을 통해 조작이 가능하다.
수전몸체(110)는 측면 일측에 카트리지(124)의 설치를 위한 설치공(113)이 추가로 형성되며, 설치공(113)을 통해 혼합수의 형성 및 개폐를 위한 카트리지(124)와, 카트리지(124)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핸들(121)이 조립된다. 예를 들어, 와셔(126)가 스크루(125)를 통해 수전몸체(110) 내부에 위치한 전자밸브(161)의 바디에 조립되고, 와셔(126)에는 카트리지(124)가 조립되며, 카트리지(124) 전방에 누름너트(123)와, 커버(122) 및 핸들(121)이 차례로 조립된다.
전자밸브(161)는 수전몸체(110) 내부에 위치하며, 급수관(143) 및 출수관(141)이 각각 연결되어 출수관(141)으로 공급되는 출수 유량을 개폐한다.
전자밸브(161)는 솔레이드 밸브를 포함하여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밸브가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자밸브(161)의 상부를 덮는 밸브커버(163)가 더 마련될 수도 있고, 전자밸브(161)의 하부에는 전자밸브(161)를 지지하여 수전의 설치대에 고정되는 받침대(170) 및 받침대체결구(175)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는, 전술한 수전유닛(100)의 결합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싱크헤드(133) 등 구체적인 구성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절수유닛(200)은, 사용자의 조작 또는 움직임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218)를 포함한다.
이에, 사용자는 수전 이용시 핸들 등 직접적인 조작이 필요없이 센서(218)에 발을 갖다 대거나 또는 움직임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전자밸브(161)를 개폐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며, 원하는 시점마다 출수 또는 단수가 가능하므로 물의 남용을 방지하여 절수효과가 있다.
센서(218)는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박막센서, 누름스위치, 광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센서(218)는 그 종류 또는 필요에 따라 유닛케이스(201, 202)의 외부에 마련될 수도 있고, 또는 유닛케이스(201, 202) 내부에 회로기판(210)에 일체로 장착될 수도 있다.
정전용량센서를 사용하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는 뒤에서 따로 설명하기로 한다.
회로기판(210)은, 센서(218)의 동작제어 및 그 감지결과에 기초한 전자밸브(161)의 개폐제어와, 센서(218) 및 전자밸브(161)로의 급전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되, 통합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절수유닛(200)의 유닛케이스(201, 202) 내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통합형'이라는 의미는 종래 센서의 동작제어와 전자밸브의 개폐제어를 위하여 각각 센서와 전자밸브에 분리되어 마련되는 회로기판이 1개로 통합되어 마련된다는 것이다.
회로기판(210)은 센서(218)의 동작을 온/오프하며, 센서(218)의 감도를 조절하거나, 감지결과를 필터링 또는 노이즈를 제거하여 오감지를 저하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210)은 감지결과에 따라 전자밸브(161)의 개폐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전자밸브(161)에 전달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센서(218) 및 전자밸브(161)에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회로기판을 갖는 수전장치는, 센서의 동작제어와 전자밸브의 개폐제어를 하나의 회로기판에 통합하여 마련함으로써, 센서용 회로기판과 전자밸브용 회로기판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어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설치작업이 간소화되며, 센서감도 수정이나 업그레이드 또는 기판 고장시 절수유닛만을 분해하거나 교체하면 되므로 수전유닛과 절수유닛을 모두 분해할 필요가 없어 유지보수가 매우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케이블모듈(300)은, 수전유닛(100), 절수유닛(200) 및 외부전원 사이에 전원 또는 제어신호 중 하나 이상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각각을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연결한다.
여기서,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착탈가능하다는 것은, 각 구성에 연결된 케이블이 단부의 커넥터에 의하여 용이하게 물리적으로 결합 및 탈착됨으로써, 전기적으로는 전원과 제어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커넥터는 일예를 도시한 것일 뿐, 그 명칭이나 형상에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예를 포함하는 것은 분명하다.
케이블모듈(300)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는 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케이블(165)과, 기판케이블(211)을 포함한다.
밸브케이블(165)은, 일단은 전자밸브(161)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전자밸브(161)로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밸브커넥터(166)가 마련된다.
기판케이블(211)은, 일단은 회로기판(210)에 연결되고, 타단은 각각 외부전원커넥터(311)와 연결되는 제1커넥터(213)와 밸브커넥터(166)와 연결되는 제2커넥터(214)로 분기된다.
또는, 전자밸브(161), 전원어답터(301) 및 회로기판(210)에는 동일한 규격의 커넥터(166, 213, 214)가 연결되는 커넥터수용부(미도시)가 마련되고, 상기 각 커넥터수용부에 수용되는 커넥터(166, 213, 214)가 양단에 설치된 케이블이 마련되어 어느 유닛이든 동일한 케이블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회로기판을 갖는 수전장치(1)는, 설치시에 전자밸브(161) 및 바디에 급수관(143) 및 출수관(141)을 연결하여 수전설치대에 설치하고, 절수유닛(200)은 수전설치대의 해당 설치위에 그대로 설치한 후에, 외부전원에 연결된 전원어답터(301)와 외부전원케이블(313) 단부에 마련된 외부전원커넥터(311)에 기판케이블(211) 단부의 제1커넥터(213)를 연결하고, 전자밸브(161)로부터 연장된 밸브케이블(165) 단부의 밸브커넥터(166)에 제2커넥터(214)를 연결하는 것으로 수전장치의 설치가 완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회로기판을 갖는 수전장치는, 전자밸브는 수전유닛 내부에 일체로 구성하고, 센서 및 전자밸브 제어를 위한 회로기판은 절수유닛에 일체로 구성하고 이를 케이블모듈을 통하여 연결하는 모듈형 구성을 통하여, 수전장치의 구성이 간단화함으로써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설치작업이 매우 용이하며, 고장시에도 2 이상의 유닛을 모두 수리 및 교체할 필요없이 해당 유닛만을 수리 또는 교체하기만 하면 되므로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회로기판을 갖는 수전장치(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218)는 인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센서(218)는 회로기판(210)에 일체로 장착됨으로써, 센서(218)를 유닛케이스(201, 202)와 별도로 설치할 필요없이 사용자 신체의 일부가 근접하는 위치에 절수유닛(200)을 직접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절수유닛(200) 즉, 유닛케이스(201, 202)는 수전 사용자의 발, 복부 또는 무릎의 근접 또는 접촉을 감지할 수 있도록 수전 설치대(미도시)의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절수유닛(200)은 수전유닛(100)에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수전을 터치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정전용량 센서(218)는 그 위치에 따라 감지방법을 달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풋페달의 경우에는 근접센서로, 복부나 무릎의 경우에는 직접 또는 근접센서로, 수전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직접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차폐부재(220)는, 유닛케이스(201, 202) 내부에 마련되며, 센서(218)의 감지방향을 제한한다. 즉, 도 3의 경우, 차폐부재(220)가 'ㄷ'자 형상으로 마련된 경우, 차폐부재(220)가 개구된 하방으로의 근접 또는 접촉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는 감지되나 그외 방향으로의 근접 또는 접촉은 차단된다.
이는 특히, 절수유닛(200)이 싱크대에 설치되는 경우, 싱크대 내부의 기구 출납이나 의도하지 않은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개폐제어가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여 오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차폐부재(220)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전도성 재질로 마련되거나, 또는 전도성 재질을 코팅(예를 들어 도금코팅)하여 마련될 수 있다.
회로기판(210)은 센서(218)의 감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근접시 근접거리를 변경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가 사용자 발의 근접을 감지하는 경우, 센서(218)의 비접촉 감지거리가 8cm 이상이 되도록 마련할 수 있다. 이는 절수유닛(200)이 설치되는 위치와 발의 동작위치를 고려한 것이다.
또한, 회로기판(210)은 센서(218) 감지시 주변 노이즈에 의한 입력값 왜곡 등을 보정하는 노이즈제거 또는 입력값 보정 알고리즘이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회로기판을 갖는 수전장치는, 사용자 신체의 접촉 및 근접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종래 광센서와 같은 비접촉센서처럼 모든 물체에 반응하지 않아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누름스위치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스위치를 작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개폐조작이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나아가 차폐부재를 이용하여 오감지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 통합형 회로기판을 갖는 수전장치
100 : 수전유닛 110 : 수전몸체
111 : 출수공 112 : 급수공
113 : 설치공 121 : 핸들
124 : 카트리지 133 : 싱크헤드
161 : 전자밸브 165 : 밸브케이블
166 : 밸브커넥터
200 : 절수유닛 201, 202 : 유닛케이스
210 : 회로기판 211 : 기판케이블
213 : 제1커넥터 214 : 제2커넥터
217 : 제어부 218 : 센서
220 : 차폐부재
300 : 케이블모듈 301 : 전원어답터
311 : 외부전원커넥터 313 : 외부전원케이블
100 : 수전유닛 110 : 수전몸체
111 : 출수공 112 : 급수공
113 : 설치공 121 : 핸들
124 : 카트리지 133 : 싱크헤드
161 : 전자밸브 165 : 밸브케이블
166 : 밸브커넥터
200 : 절수유닛 201, 202 : 유닛케이스
210 : 회로기판 211 : 기판케이블
213 : 제1커넥터 214 : 제2커넥터
217 : 제어부 218 : 센서
220 : 차폐부재
300 : 케이블모듈 301 : 전원어답터
311 : 외부전원커넥터 313 : 외부전원케이블
Claims (8)
- 급수관 또는 출수관이 통과되는 급수공과 출수공이 마련된 수전몸체와, 상기 수전몸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급수관 및 출수관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출수관으로 공급되는 출수 유량을 개폐하는 전자밸브를 갖는 수전유닛과;
사용자의 조작 또는 움직임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절수유닛과;
상기 수전유닛, 절수유닛 및 외부전원 사이에 전원 또는 제어신호 중 하나 이상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각각을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케이블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센서의 동작제어 및 그 감지결과에 기초한 상기 전자밸브의 개폐제어와, 상기 센서 및 전자밸브로의 급전을 수행하는 회로기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절수유닛의 유닛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모듈은, 일단은 상기 전자밸브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전자밸브로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밸브커넥터가 마련된 밸브케이블과, 일단은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되고 타단은 각각 외부전원커넥터와 연결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밸브커넥터와 연결되는 제2커넥터로 분기되는 기판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인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센서로 마련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일체로 장착되며,
상기 유닛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센서의 감지방향을 제한하는 차폐부재가 추가로 마련되되, 상기 차폐부재는 전도성 재질로 마련되거나 또는 전도성 재질을 코팅하여 마련되는 통합형 회로기판을 갖는 수전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유닛은, 혼합수의 형성 및 개폐를 위한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핸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전몸체는 측면 일측에 상기 카트리지의 설치를 위한 설치공이 추가로 형성되는 통합형 회로기판을 갖는 수전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수유닛은 수전 사용자의 발, 복부 또는 무릎의 근접 또는 접촉을 감지할 수 있도록 수전 설치대의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위치에 설치되는 통합형 회로기판을 갖는 수전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사용자 발의 근접을 감지하는 경우, 비접촉 감지거리가 8cm 이상이 되도록 마련되는 통합형 회로기판을 갖는 수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2087A KR102076197B1 (ko) | 2019-05-27 | 2019-05-27 | 통합형 회로기판을 갖는 수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2087A KR102076197B1 (ko) | 2019-05-27 | 2019-05-27 | 통합형 회로기판을 갖는 수전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76197B1 true KR102076197B1 (ko) | 2020-02-11 |
Family
ID=69568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2087A KR102076197B1 (ko) | 2019-05-27 | 2019-05-27 | 통합형 회로기판을 갖는 수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6197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40632A (ja) * | 1996-11-06 | 1998-05-26 | Toto Ltd | 壁付け用自動水栓 |
JP2004124622A (ja) * | 2002-10-07 | 2004-04-22 | San-Ei Faucet Mfg Co Ltd | リモート操作式湯水混合栓 |
KR20050096088A (ko) * | 2004-03-29 | 2005-10-05 | 김영범 | 주방용 개수대 절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 |
KR20080054961A (ko) * | 2006-12-14 | 2008-06-19 | 차스랩주식회사 | 물비누공급 통합제어형 상수도개폐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KR101164547B1 (ko) * | 2012-04-03 | 2012-07-10 | 주식회사 이엠티 | 스마트 터치식 자동 수전 장치 |
KR101791530B1 (ko) * | 2016-06-20 | 2017-10-30 | 진명홈바스(주) | 절수기용 풋스위치 및 이를 갖는 절수기 |
KR20180124615A (ko) * | 2017-05-12 | 2018-11-21 | 손정우 | 절수기 일체형 수전 |
-
2019
- 2019-05-27 KR KR1020190062087A patent/KR10207619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40632A (ja) * | 1996-11-06 | 1998-05-26 | Toto Ltd | 壁付け用自動水栓 |
JP2004124622A (ja) * | 2002-10-07 | 2004-04-22 | San-Ei Faucet Mfg Co Ltd | リモート操作式湯水混合栓 |
KR20050096088A (ko) * | 2004-03-29 | 2005-10-05 | 김영범 | 주방용 개수대 절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 |
KR20080054961A (ko) * | 2006-12-14 | 2008-06-19 | 차스랩주식회사 | 물비누공급 통합제어형 상수도개폐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KR101164547B1 (ko) * | 2012-04-03 | 2012-07-10 | 주식회사 이엠티 | 스마트 터치식 자동 수전 장치 |
KR101791530B1 (ko) * | 2016-06-20 | 2017-10-30 | 진명홈바스(주) | 절수기용 풋스위치 및 이를 갖는 절수기 |
KR20180124615A (ko) * | 2017-05-12 | 2018-11-21 | 손정우 | 절수기 일체형 수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243717A (en) | Human body sensing mechanism for an automatic faucet apparatus | |
US7104519B2 (en) | Adapter for touch-free operation of gooseneck faucet | |
US20010011390A1 (en) | Faucet system for sanitary fixtures | |
KR20070117910A (ko) | 전기전자기기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 | |
JP2011090897A (ja) | 壁スイッチ装置 | |
KR102076197B1 (ko) | 통합형 회로기판을 갖는 수전장치 | |
US5535781A (en) | Push button flush activation system for urinal | |
US20090320949A1 (en) | Separating electrical control water faucet | |
US10053841B2 (en) | Apparatus and handheld shower unit thereof for water supply and sanitary purposes, e.g. for allowing purification and either recycling of water or discarding of water | |
EP0446953B1 (en) | Human body sensing mechanism for an automatic faucet apparatus | |
US20230235541A1 (en) | Water discharge unit and water purifier including same | |
JP2000352089A (ja) | 自動水栓ユニット | |
KR102076187B1 (ko) | 수전장치 | |
EP3064664A1 (en) | Automatic system and method for flushing a sanitary bowl | |
EP0461349A1 (en) | Human body sensing mechanism for an automatic faucet apparatus | |
KR101450643B1 (ko) | 자동 급수 조절 장치 | |
JP4715597B2 (ja) | 洗面装置 | |
KR200315765Y1 (ko) | 자동수위조절장치 | |
JP7022724B2 (ja) | 洗浄スイッチおよび水洗式便器 | |
KR101666382B1 (ko) |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 | |
EP1724401A2 (en) | Electrically controlled mixing valve | |
JP2017043907A (ja) | 洗浄スイッチおよび水洗式便器 | |
CN220870212U (zh) | 触碰式水龙头 | |
CN219590801U (zh) | 一种鼠标外壳及鼠标 | |
CN214541963U (zh) | 一种控制按键及应用有该控制按键的吸油烟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