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040B1 -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 및 이의 비개착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 및 이의 비개착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040B1
KR102076040B1 KR1020190006128A KR20190006128A KR102076040B1 KR 102076040 B1 KR102076040 B1 KR 102076040B1 KR 1020190006128 A KR1020190006128 A KR 1020190006128A KR 20190006128 A KR20190006128 A KR 20190006128A KR 102076040 B1 KR102076040 B1 KR 102076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earth pressure
tunnel structur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용
김재성
Original Assignee
김준용
김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용, 김재성 filed Critical 김준용
Priority to KR1020190006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0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40Devic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or placing units of linings or supporting units for tunnels or gall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0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concrete cast in situ; Shuttering also lost shutterings, e.g. made of blocks, of metal plates or other equipment adapted therefor
    • E21D11/102Removable shuttering; Bearing or supporting devic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5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by forcing prefabricated elements through the ground, e.g. by pushing lining from an access p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 설정된 크기의 다수 개의 강관; 상기 다수 개의 강관 사이에 연결된 제1 판 및 제2 판; 및 상기 제1 판 및 상기 제2 판 각각에 일단 및 타단이 배치되는 토압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토압 지지대는, 내부에 채움재가 주입되는 지지관 및 상기 지지관의 상기 타단에 일부가 삽입되는 지지캡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캡의 일측면이 터널의 내측면 일부를 형성하는,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이에 의하면, 터널 내측면에 홈이 생기지 않음으로써, 추가적인 마감 작업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터널 내측면에 노출되는 강도 높은 토압 지지대의 지지캡에 의해 터널 구조물의 품질, 내구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 및 이의 비개착 시공 방법{Tunnel structure having cavity-preventing soil support member and tubular roof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 및 이의 비개착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시공 중 토압이 효율적으로 분산되고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 및 방수 철판이 제거될 때 터널 표면이 매끄러울 수 있도록 구성된 터널 구조물 및 이의 비개착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 공사, 특히 도심지에서 행해지는 터널 공사는 지상의 제반 문제점(차량 및 시민의 통행 제한, 지하 구조물 이설, 도로 노면 침하, 지하 매설물 손상 등)을 고려해야 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지하에 복수 개의 중구경 또는 대구경 강관을 압입하고, 인접한 강관 사이를 방수 철판으로 연결하여 일체화시키고, 방수 철판 사이에 토압 지지대를 설치한다.
종래기술의 일 예시로서는 국내등록특허 제10-1022383호(특허문헌 1)가 있다. 특허문헌 1은 비개착식 터널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공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의 터널 구조물에서는 상부 및 하부 각각에 토류판을 설치하여 토압을 지지하게 하였으나, 상부 및 하부 토류판 사이에 지지대가 없으므로 토압이 커짐에 따라 토류판 일부가 변형될 위험이 있으며, 토류판 자체는 방수 기능이 없으므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추가적인 단계들이 요구되어 공기가 늘어날 수도 있다.
종래기술의 다른 일 예시로서 국내등록특허 제10-1022382호(특허문헌 2)는 비개착식 지하 터널 축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장의 해당 토질에 따라 구성부품들을 선택하고 구조를 해석하여 시공을 더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따르면 토류판, 즉 특허문헌 2에서는 강관 사이에 배치 및 연결되는 방수 철판과 프리캐스팅 패널이 변형될 위험은 적으나, 토압 지지대의 상하 길이 조절을 위한 스크루 잭이 이후에 제거되면 그 자리가 파인 형태로 남게 된다. 이에 따라 추가로 터널의 내측면을 마감해야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터널의 내측면(10)에는 홈(20)이 남게 된다. 이러한 홈(20)은 추가적으로 시멘트, 콘크리트, 방수재 등으로 마감 작업을 통해 메워지는데, 이에 의해 공기가 늘어나고 인건비에 의한 공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현재는 간단한 구성으로 기존의 토압 지지대보다 더 향상된 기능과 구성을 가지며 공기를 단축하고 복잡한 마감 작업이 필요 없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1022383 B1 KR 10-1022382 B1
본 발명은 터널 구조물의 품질, 내구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새로운 구성의 토압 지지대만으로 터널의 내측면에 파인 곳이 발생하지 않아, 추가적으로 내측면을 메우는 작업이 필요 없는 터널 구조물 및 이의 비개착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더욱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은, 기 설정된 크기의 다수 개의 강관; 상기 다수 개의 강관 사이에 연결된 제1 판 및 제2 판; 및 상기 제1 판 및 상기 제2 판 각각에 일단 및 타단이 배치되는 토압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토압 지지대는, 내부에 채움재가 주입되는 지지관 및 상기 지지관의 상기 타단에 일부가 삽입되는 지지캡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캡의 일측면이 터널의 내측면 일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캡은 기 설정된 강도를 갖는 콘크리트로 제작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채움재는 기 설정된 강도의 콘크리트이며, 상기 지지캡의 강도는 상기 채움재의 강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토압 지지대는, 상기 지지관의 상기 일단 외주면에 용접되는 적어도 3개의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상기 지지판의 일측은 상기 지지관에 용접되고, 상기 지지판의 상기 일측에 대해 수직인 다른 일측은 상기 제1 판에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캡의 최대 지름은 상기 지지관의 최대 지름보다 크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다수 개의 강관이 압입되는 단계; 상기 다수 개의 강관 내의 토사가 제거되는 단계; 제1 판 및 제2 판이 상기 다수 개의 강관 사이에 설치되는 단계; 지지캡이 구비된 토압 지지대의 일단 및 타단이 상기 제1 판 및 상기 제2 판 각각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단계; 상기 다수 개의 강관 내에 거푸집이 설치되는 단계; 및 콘크리트가 상기 다수 개의 강관 내로 주입되어 타설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캡의 일측면이 터널의 내측면 일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캡이 구비된 상기 토압 지지대가 상기 제1 판 및 제2 판 사이에 설치되는 단계는, 상기 토압 지지대의 지지관이 적어도 3개의 지지판과 용접되는 단계; 상기 지지관 내 채움재가 주입되는 단계; 및 상기 지지관에 상기 지지캡이 삽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캡은 기 설정된 강도를 갖는 콘크리트로 제작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채움재는 기 설정된 강도의 콘크리트이며, 상기 지지캡의 강도는 상기 채움재의 강도보다 높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됨으로써, 터널 내측면에 홈이 생기지 않음으로써, 추가적인 마감 작업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터널 내측면에 노출되는 강도 높은 토압 지지대의 지지캡에 의해 터널 구조물의 품질, 내구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터널 내측면에 형성된 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의 토압 지지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의 토압 지지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의 토압 지지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의 시공 방법의 토압 지지대 설치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
도 2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을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압 지지대(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의 토압 지지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의 토압 지지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의 토압 지지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토압 지지대(100)는, 지지관(110), 지지관(110)의 일단에 연결된 지지캡(120), 및 지지관(110)의 타단에 연결된 지지판(130)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캡(120)은 지지관(110)의 일단과 별도로 제작되는 부재로서, 지지관(110)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지지관(110) 내부에는 채움재(140)가 주입됨으로써 토압 지지대(100)의 강도가 높아지며, 채움재(140)는 지지캡(120)이 지지관(110)에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접착제로도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채움재(140)는 기 설정된 강도의 콘크리트일 수 있다. 이때 지지캡(120)도 기 설정된 강도를 갖는 콘크리트로 제작될 수 있다.
채움재(140) 및 지지캡(120)이 모두 콘크리트로 구성됨으로써, 공사 과정에서의 외기 온도에 따른 재료의 수축 팽창률이 유사하여, 결국 일체형 토압 지지대(100)와 같이 사용될 수 있으며, 크랙(crack)의 발생이 방지될 수도 있다.
이때, 지지캡(120)의 최대 지름은 지지관(110)의 최대 지름보다 크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캡(120)의 최대 지름이 지지관(110)의 최대 지름보다 크거나 같음으로써, 토압 지지대(100)가 매립된 터널의 내측면이 더 안정적으로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토압 지지대(100)가 어느 한 방향으로 쏠리거나 비틀어 지거나 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움재(140)는 지지관(110)을 채우고 있다. 지지캡(120)이 삽입됨으로써 채움재(140)가 지지관(110) 외측으로 흘러내릴 수도 있으나, 채움재(140)가 굳으면서 지지관(110)과 지지캡(120) 간의 결합력이 증가할 수 있다.
지지판(130)은 지지관(110)의 외주면에 용접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적어도 3개 이상의 지지판(130)이 연결될 수 있다.
지지판(130)은 지지관(110)의 외주면에 연결됨으로써, 토압 지지대(100)가 방수 철판과 같은 터널 구조물의 다른 구성과도 용이하게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다. 지지판(130)에 의해 터널 구조물의 모멘트 및 구조의 안정성이 보장될 수 있다.
도 5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은, 기 설정된 크기의 다수 개의 강관(300), 다수 개의 강관(300) 사이에 연결된 제1 판(210) 및 제2 판(220), 및 제1 판(210) 및 제2 판(220) 각각에 일단 및 타단이 배치되는 토압 지지대(100)를 포함한다.
토압 지지대(100)는, 내부에 채움재가 주입되는 지지관(110) 및 지지관(110)의 타단에 일부가 삽입되는 지지캡(120)을 포함하고, 지지캡(120)의 일측면이 터널의 내측면 일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판(210) 및 제2 판(220)은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는 방수 철판(200)일 수 있으며, 다른 일 실시 예에서는 방수 철판뿐만 아니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같은 구성과 결합되어 제작된 판일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1 판(210) 및 제2 판(220)은 방수 철판(200)으로서, 상부판 및 하부판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을 형성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거푸집(400)이 설치된다. 이때 거푸집(400)은 제2 판(220), 즉 하부판과 동일선 상에 위치하여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푸집(400)은 통상적으로 비개착 공법에서 사용되는 거푸집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거푸집(400) 외 거푸집 지지 부재들도 통상의 비개착 공법에 사용되는 부재들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도 6을 참조하여,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지지판(130)의 일측은 지지관(110)에 용접되고, 지지판(130)의 일측에 대해 수직인 다른 일측은 제1 판(210)에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강관(300) 내부로 콘크리트(600)가 타설될 때도 토압 지지대(100)는 안정적으로 제1 판(210)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콘크리트(600)가 경화되어 거푸집(400)이 제거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 공간(500)의 내측면은 파이지 않은 매끄러운 상태로 시공될 수 있다.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의 시공 방법
다음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의 시공 방법의 토압 지지대 설치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다수 개의 강관(300)이 압입되는 단계(S100), 다수 개의 강관(300) 내의 토사가 제거되는 단계(S200), 제1 판(210)(상부판) 및 제2 판(220)(하부판)이 다수 개의 강관(300) 사이에 설치되는 단계(S300), 지지캡(120)이 구비된 토압 지지대(100)의 일단 및 타단이 제1 판(210) 및 제2 판(220) 각각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단계(S400), 다수 개의 강관(300) 내에 거푸집(400)이 설치되는 단계(S500), 및 콘크리트(600)가 다수 개의 강관(300) 내로 주입되어 타설되는 단계(S600);를 포함한다. 이때, 지지캡(120)의 일측면이 터널의 내측면 일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통상적인 터널 구조물의 구성 중 강관의 압입 단계(본 발명에서 S100), 인접한 강관 사이를 철판으로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는 단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캡(120)이 구비된 토압 지지대(100)가 제1 판(210) 및 제2 판(220) 사이에 설치되는 단계(S400)는, 토압 지지대(100)의 지지관(110)이 적어도 3개의 지지판(130)과 용접되는 단계(S410), 지지관(110) 내 채움재(140), 예를 들어, 콘크리트가 주입되는 단계(S420), 및 지지관(110)에 지지캡(120)이 삽입되는 단계(S4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지지캡(120)은 기 설정된 강도를 갖는 콘크리트로 제작된 것이 바람직하며, 채움재(140)는 기 설정된 강도의 콘크리트로서, 지지캡(120)의 강도가 채움재(140)의 강도보다 높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 및 이의 비개착 시공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내측면
20: 홈
100: 토압 지지대
110: 지지관
120: 지지캡
130: 지지판
140: 채움재
200: 방수 철판
210: 상부판
220: 하부판
300: 강관
400: 콘크리트
500: 터널 공간

Claims (10)

  1. 기 설정된 크기의 다수 개의 강관;
    상기 다수 개의 강관 사이에 연결된 제1 판 및 제2 판; 및
    상기 제1 판 및 상기 제2 판 각각에 일단 및 타단이 배치되는 토압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토압 지지대는,
    내부에 기 설정된 강도의 콘크리트인 채움재가 주입되는 지지관 및 상기 지지관의 타단에 일부가 삽입되는 지지캡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캡은 기 설정된 강도를 갖는 콘크리트로 사전에 제작되며, 상기 지지캡의 일측면이 터널의 내측면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채움재는 상기 지지캡을 상기 지지관에 고정시키는 접착제로 기능하는,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캡의 강도는 상기 채움재의 강도보다 높거나 같은,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압 지지대는,
    상기 지지관의 일단 외주면에 용접되는 적어도 3개의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
  5. 제 4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지지판의 일측은 상기 지지관에 용접되고, 상기 지지판의 상기 일측에 대해 수직인 다른 일측은 상기 제1 판에 용접되는,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캡의 최대 지름은 상기 지지관의 최대 지름보다 크거나 같은,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
  7. 다수 개의 강관이 압입되는 단계;
    상기 다수 개의 강관 내의 토사가 제거되는 단계;
    제1 판 및 제2 판이 상기 다수 개의 강관 사이에 설치되는 단계;
    지지캡이 구비된 토압 지지대의 일단 및 타단이 상기 제1 판 및 상기 제2 판 각각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단계;
    상기 다수 개의 강관 내에 거푸집이 설치되는 단계; 및
    콘크리트가 상기 다수 개의 강관 내로 주입되어 타설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캡이 구비된 상기 토압 지지대가 상기 제1 판 및 상기 제2 판 사이에 설치되는 단계는,
    지지관 내부로 기 설정된 강도의 콘크리트인 채움재가 주입되는 단계; 및
    상기 지지관에 상기 지지캡이 삽입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캡은 기 설정된 강도를 갖는 콘크리트로 사전에 제작되며, 상기 지지캡의 일측면이 터널의 내측면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채움재는 상기 지지캡을 상기 지지관에 고정시키는 접착제로 기능하는,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의 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캡이 구비된 상기 토압 지지대가 상기 제1 판 및 상기 제2 판 사이에 설치되는 단계는,
    상기 토압 지지대의 지지관이 적어도 3개의 지지판과 용접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의 시공 방법.
  9. 삭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캡의 강도는 상기 채움재의 강도보다 높거나 같은,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20190006128A 2019-01-17 2019-01-17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 및 이의 비개착 시공 방법 KR102076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128A KR102076040B1 (ko) 2019-01-17 2019-01-17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 및 이의 비개착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128A KR102076040B1 (ko) 2019-01-17 2019-01-17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 및 이의 비개착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040B1 true KR102076040B1 (ko) 2020-03-02

Family

ID=69805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128A KR102076040B1 (ko) 2019-01-17 2019-01-17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 및 이의 비개착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0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83467A (zh) * 2021-04-08 2021-06-18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隧道关门式大塌方的处治方法
KR102363376B1 (ko) * 2020-08-28 2022-02-15 옥경윤 비개착터널용 방수식 토압지지대
KR102363379B1 (ko) * 2020-08-28 2022-02-15 옥경윤 비개착터널용 방수식 토압지지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0867A (ko) * 2008-03-21 2009-09-24 이창원 도로의 지하차도 시공을 위한 유닛강관 굴착장치및시공방법
KR101022383B1 (ko) 2010-08-31 2011-03-22 (주)정토지오텍 비개착식 터널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시공 방법
KR101022382B1 (ko) 2010-08-16 2011-03-22 (주)정토지오텍 비개착식 지하터널 축조 장치 및 방법
KR101582173B1 (ko) * 2015-03-11 2016-01-04 강태욱 비개착식 터널형성용 구조물 조립체 및 이의 축조방법
KR20170114454A (ko) * 2016-04-04 2017-10-16 최찬숙 강관을 이용한 지하 터널 구조물 시공 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0867A (ko) * 2008-03-21 2009-09-24 이창원 도로의 지하차도 시공을 위한 유닛강관 굴착장치및시공방법
KR101022382B1 (ko) 2010-08-16 2011-03-22 (주)정토지오텍 비개착식 지하터널 축조 장치 및 방법
KR101022383B1 (ko) 2010-08-31 2011-03-22 (주)정토지오텍 비개착식 터널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시공 방법
KR101582173B1 (ko) * 2015-03-11 2016-01-04 강태욱 비개착식 터널형성용 구조물 조립체 및 이의 축조방법
KR20170114454A (ko) * 2016-04-04 2017-10-16 최찬숙 강관을 이용한 지하 터널 구조물 시공 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376B1 (ko) * 2020-08-28 2022-02-15 옥경윤 비개착터널용 방수식 토압지지대
KR102363379B1 (ko) * 2020-08-28 2022-02-15 옥경윤 비개착터널용 방수식 토압지지대
CN112983467A (zh) * 2021-04-08 2021-06-18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隧道关门式大塌方的处治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040B1 (ko) 패임-방지 토압 지지대가 구비된 터널 구조물 및 이의 비개착 시공 방법
KR100920204B1 (ko) 교량용 프리캐스트 기초부의 시공 방법
CN111042185B (zh) 一种带塔吊基础的地下室筏板基础施工方法
CN111365018B (zh) 一种适用于小隧道净空的套拱加固补强方法
KR100926173B1 (ko) 현장타설 배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4881555B2 (ja)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CN201605599U (zh) 一体式预制检查井
KR20110132910A (ko) 기성 콘크리트 말뚝과 바닥 슬래브를 이용한 지하차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20110132909A (ko) 기성 콘크리트 말뚝을 이용한 지하차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664143B1 (ko) 친환경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구조물
KR102156793B1 (ko) 씽크홀 방지를 위한 지하 구조물의 역타공법
KR100815174B1 (ko) 연속화된 하부 주인장 철근을 구비한 파이프 루프 터널시공방법 및 그에 의한 파이프 루프 터널
KR100806867B1 (ko) 강관루프 구조체 및 그 강관루프 구조체를 이용한터널구조체 시공방법
CN115538470B (zh) 沉管隧道原位现浇最终接头的双向顶推拉合方法
KR101013627B1 (ko) 지하구조물의 루프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692542B1 (ko) 흙막이벽 시공용 강관 파일의 제조방법
CN111576488A (zh) 污水管顶管施工装配式工作井结构及建造工艺
JP3347866B2 (ja) トンネルの歩床敷設方法
KR101275468B1 (ko) 비개착식 터널형성용 구조물 조립체 및 이의 축조방법
KR101431623B1 (ko)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
CN204781426U (zh) 一种地下结构预制叠合墙与地板的接头节点结构
KR101657880B1 (ko)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 및 이에 따른 지하 구조물
JP3863158B2 (ja) 分合流部のトンネルおよび分合流部構築方法
KR100609125B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암거 및 그 시공법
KR101219450B1 (ko) 지중 차수벽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