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374B1 -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특성을 갖는 나노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용 퍼프 - Google Patents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특성을 갖는 나노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용 퍼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374B1
KR102075374B1 KR1020180172652A KR20180172652A KR102075374B1 KR 102075374 B1 KR102075374 B1 KR 102075374B1 KR 1020180172652 A KR1020180172652 A KR 1020180172652A KR 20180172652 A KR20180172652 A KR 20180172652A KR 102075374 B1 KR102075374 B1 KR 102075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ours
powder
mixed
pu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희
송혜주
Original Assignee
김경희
송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희, 송혜주 filed Critical 김경희
Priority to KR1020180172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01F1/103Agents inhibiting growth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4Inert, i.e. inert to chemical degradation, corrosion
    • B32B2307/7145Rot proof, resistant to bacteria, mildew, mould, fung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를 제조하고, 라텍스 시트의 테두리를 따라 천연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를 상기 라텍스 시트와 접합시켜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갖는 퍼프체를 제조하고,
상기 퍼프체를 손가락밴드가 형성되어 있는 퍼프지지체에 결합시킴으로써 완성시키는 화장용 퍼프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 이물질, 세균 등에 의한 오염도를 현저히 낮추고, 원적외선의 기능에 의해 피부의 노폐물 제거 촉진에 등에 의한 피부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갖는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특성을 갖는 나노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용 퍼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특성을 갖는 나노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용 퍼프{Manufacturing method of puff using nano-fiber for environmental cosmetic having antibacterial property and farinfrared radiation characteristic and the cosmetic puff}
본 발명은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를 제조하고, 라텍스 시트의 테두리를 따라 천연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를 상기 라텍스 시트와 접합시켜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갖는 퍼프체를 제조하고,
상기 퍼프체를 손가락밴드가 형성되어 있는 퍼프지지체에 결합시킴으로써 완성시키는 화장용 퍼프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 이물질, 세균 등에 의한 오염도를 현저히 낮추고, 원적외선의 기능에 의해 피부의 노폐물 제거 촉진에 등에 의한 피부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갖는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특성을 갖는 나노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용 퍼프에 관한 것이다.
미용(Cosmetics)은 단순히 미를 추구하는 수단이 아니라 개인의 생활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되어 있으며 심리적인 면에서도 자기만족이나 개성발휘를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미용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요소는 화장품이다. 화장품은 인체 피부에 적용하는 화합물로서 피부를 청결하게 만들고 영양분을 공급하여 건강을 유지시키고 용모를 맑게 변화시켜서 시각적으로 매력을 느끼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화장은 적절한 미용 도구를 사용해야만 더욱 만족할 수 있는 메이크업이 완성되며 자신에게 적합한 화장품의 사용과 함께 화장품의 특성에 부합되는 적절한 미용도구를 사용할 때 그 효과는 더해진다. 이에 따라 화장에 사용되는 미용도구 또한 다양하며 손, 라텍스(latex) 퍼프(puff), 블러셔(blusher), 진동 파운데이션(foundation)등 각 도구마다 다양한 질감을 표현할 수 있다.
퍼프는 파운데이션을 오래 지속시키기 위해 파우더를 덧바를 때 사용하며 얼굴 전체의 피부색감을 결정하는 중요한 도구로서 두개의 퍼프로 비비면서 사용하면 파우더의 입자가 섬세하게 되어 피부에 잘 밀착된다. 또 브러시는 섀도용이나 파우더용에 한정되어 사용되었지만 피부표현을 , 하는 파운데이션용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텍스쳐를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퍼프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36193(등록일자 2005.12.06) '화장용 퍼프';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81746(등록일자 2007.11.27)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20496(등록일자 2013.01.03)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용 퍼프';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68622(등록일자 2014.02.24) '논라텍스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논라텍스 화장용 퍼프';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72813(등록일자 2014.05.15) '화장용 퍼프';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48246(등록일자 2018.04.06) '에어셀이 구비된 화장용 퍼프'; 등 다양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퍼프는 관리 및 사용 상태에 따라 세균 등에 의한 오염도가 높아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퍼프의 오염은 사용자의 피부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관리 및 사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얼굴피부 접촉으로 인해 오염된 퍼프가 다시 쿠션 파운데이션의 스펀지에 묻혀야하고, 용기의 열고 닫음이 잦아, 제품 특성상 파운데이션 제형과 스펀지의 세균 오염에 대한 우려가 끊이지 않고 있다. 아모레퍼시픽 연구에 따르면, 퍼프를 15일마다 교체 혹은 세척해줄 것을 권장하나, 실제로 권장기간을 지키는 사용자는 적다. 열고 닫음이 잦은 용기에서 벗어나, 필터교체형 용기를 통해 세균번식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문턱(Threshold)을 넘지 않고, 퍼프를 일회성으로 사용하거나, 일주일마다 교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는 상기 퍼프의 항균 기능성 강화를 통해 세균 등에 의한 오염이 쉽게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청결한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91770(공개일자 2006.08.22) '나노항균 금속과 이산화티타늄 파우더 항균을 이용한 항균퍼프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50832(등록일자 2017.06.20) '화장용 항균 퍼프';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34938(공개일자 2018.04.05) '항균 구리 퍼프';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기존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들은 항균 기능이 포함되어 있기는 하나, 항균성이 지속되기 어렵고, 또한 항균성 기능 부여로 인해 사용질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항균 지속성이 뛰어나고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가지며, 사용질감이 뛰어난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의 친환경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용 퍼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36193(등록일자 2005.12.06)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81746(등록일자 2007.11.27)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20496(등록일자 2013.01.0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68622(등록일자 2014.02.2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72813(등록일자 2014.05.15)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48246(등록일자 2018.04.06)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91770(공개일자 2006.08.2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50832(등록일자 2017.06.20)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34938(공개일자 2018.04.05)
본 발명은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를 제조하고, 라텍스 시트의 테두리를 따라 천연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를 상기 라텍스 시트와 접합시켜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갖는 퍼프체를 제조하고,
상기 퍼프체를 손가락밴드가 형성되어 있는 퍼프지지체에 결합시킴으로써 완성시키는 화장용 퍼프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 이물질, 세균 등에 의한 오염도를 현저히 낮추고, 원적외선의 기능에 의해 피부의 노폐물 제거 촉진에 등에 의한 피부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갖는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특성을 갖는 나노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용 퍼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의 마스터 배치 칩을 제조한 후, 상기 마스터 배치 칩을 수지(resin)와 혼합 방사하여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를 제조하는 단계(S10)와,
라텍스 시트의 테두리를 따라 천연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S20)와,
상기 천연접착제가 도포된 라텍스 시트 상부에 상기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를 80 ~ 90 ℃, 5,000 ~ 9,000 Pa(파스칼)로 가압성형하여 라텍스 시트와 상기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를 일체화시켜 퍼프체를 제조하는 단계(S30)와,
손가락밴드가 형성되어 있는 퍼프지지체에 상기 퍼프체를 결합하여 화장용 퍼프를 완성하는 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특성을 갖는 나노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친환경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것으로서,
원형 또는 다각판형 구조의 퍼프지지체와,
양 측단이 상기 지지체의 테두리에 융착시켜, 상기 지지체의 하부면에 돌출 형성되는 띠 형상의 손가락 밴드와,
상기 지지체의 상부면와 일체로 접합 형성되는 퍼프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퍼프체는 라텍스 시트층과,
상기 라텍스 시트층의 테두리를 따라 도포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의 상부로 형성되는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가 일체로 구성된 친환경 화장용 퍼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특성을 갖는 나노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용 퍼프는 고 항균특성에 의해 외부 이물질, 세균 등에 의한 오염도를 현저히 낮춤에 따라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퍼프의 오염을 통해 피부 질환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적외선의 기능에 의해 피부의 노폐물 제거 촉진에 등에 의한 피부 건강 증진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환경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에 따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화장용 퍼프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화장용 퍼프의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특성을 갖는 나노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용 퍼프의 구체적인 기술 내용을 도면과 함께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은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의 마스터 배치 칩을 제조한 후, 상기 마스터 배치 칩을 수지(resin)와 혼합 방사하여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를 제조하는 단계(S10)와,
라텍스 시트의 테두리를 따라 천연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S20)와,
상기 천연접착제가 도포된 라텍스 시트 상부에 상기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를 80 ~ 90 ℃, 5,000 ~ 9,000 Pa(파스칼)로 가압성형하여 라텍스 시트와 상기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를 일체화시켜 퍼프체를 제조하는 단계(S30)와,
손가락밴드가 형성되어 있는 퍼프지지체에 상기 퍼프체를 결합하여 화장용 퍼프를 완성하는 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의 각 단계별 기술 구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 제조단계(S10) ]
상기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는 기능성 천연 추출물의 첨가를 기준으로 2가지 형태로 제시될 수 있다.
첫번째 형태는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 제조과정 중에 항균추출물분말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고, 두번째 형태는 상기 항균추출물분말과 피부보호추출물분말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첫번째 형태에 따른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는,
게르마늄(Germanium), 규석(Quatz), 규조토(Diatomite), 규사(Silica sand), 알루미나(Alumina), 일라이트(Illite), 견운모(Sericite), 적점토(Red clay), 납석(Pyrophyllite), 맥반석(Bearly stone), 활석(Talc), 감람석(Serpentine), 지르콘(Zircon), 고령토(Kaoline), 석회석(Limestone), 도석(Potery stone), 사문석(Olivine), 티타늄(Titanium), 바나듐(Vanadium), 셀레늄(Selenium)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혼합광물을 1.5 ~ 5.0 ㎛로 분쇄하여 분말화한 광물혼합물(a) 80.00 ~ 90.00 wt%와,
0.01 ~ 1.00 ㎛로 분쇄한 이산화규소(SiO2) 미분말(b) 0.50 ~ 10.00 wt%와,
키토산과 나노실버를 동비율로 혼합조성한 항균성 미분말(c) 0.50 ~ 5.0 wt%와,
연교를 수세한 후 55 ~ 65 ℃의 온도조건에서 20 ~ 26 시간 동안 건조하고, 건조한 연교와 증류수를 1 : 5 ~ 10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3 ~ 6 시간 동안 열탕추출기에서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여 수득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한 다음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2 ~ 4 일 동안 건조시킨 후, 균질기를 이용하여 20 ~ 40 mesh로 분쇄한 분말인 연교 추출물 20 ~ 50.0 wt%와,
상백피와 에탄올을 1 : 5 ~ 10 중량비로 혼합한 후, 혼합물을 상온에서 20 ~ 40 시간 동안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수득하고, 상기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하고, 수득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한 다음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2 ~ 4 일 동안 건조시킨 후, 균질기를 이용하여 20 ~ 40 mesh로 분쇄한 분말인 상백피 추출물 20 ~ 50.0 wt%와,
편백나무잎과 증류수를 1 : 5 ~ 10 중량비로 혼합한 후, 혼합물을 열탕추출기에서 2 ~ 4 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고, 추출물을 여과하고,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한 다음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2 ~ 4 일 동안 건조시킨 후, 균질기를 이용하여 30 ~ 50 mesh로 분쇄한 분말인 편백나무잎 추출물 20 ~ 50.0 wt%를 혼합하여 100.0 wt%로 구성된 혼합항균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분쇄한 항균추출물분말(c) 0.50 ~ 5.0 wt%를 혼합(a+b+c)한 후 압출하여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의 마스터 배치(Master batch ; MB) 칩을 제조하는 단계(S10)와,
상기 마스터 배치(MB) 칩 1.00 ~ 10.00 wt%와, 폴리염화비닐(Poly vinylchlorid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스터(Polyester), 아크릴, 나일론 6, 나일론 66 중 선택되는 어느 1종의 수지(resin) 90.00 ~ 99.00 wt%;를 혼합 방사하여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를 제조하는 단계(S20)와,
키토산을 1 ~ 2 %(w/v)의 아세트산(Acetic acid)과 1 : 50 ~ 200 중량비로 혼합하여 키토산 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를 상기 키토산 용액에 10 ~ 30 분 동안 침지시킨 다음 100 ~ 120 ℃에서 10 ~ 30 분 동안 열풍건조하여 키토산 처리하는 단계(S30)를 거쳐 제조된다.
이때, 상기 S20 단계의 수지(resin)는 폴리락타이드(polylactide, PLA), 폴리히드록시 알카노에이트(polyhydroxy alkanoates, PHAs) 또는 폴리(ε-카프로락톤)(PCL(poly ε-caprolactone))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생분해성 수지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두번째 형태에 따른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는,
게르마늄(Germanium), 규석(Quatz), 규조토(Diatomite), 규사(Silica sand), 알루미나(Alumina), 일라이트(Illite), 견운모(Sericite), 적점토(Red clay), 납석(Pyrophyllite), 맥반석(Bearly stone), 활석(Talc), 감람석(Serpentine), 지르콘(Zircon), 고령토(Kaoline), 석회석(Limestone), 도석(Potery stone), 사문석(Olivine), 티타늄(Titanium), 바나듐(Vanadium), 셀레늄(Selenium)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혼합광물을 1.5 ~ 5.0 ㎛로 분쇄하여 분말화한 광물혼합물(a) 80.00 ~ 90.00 wt%와,
0.01 ~ 1.00 ㎛로 분쇄한 이산화규소(SiO2) 미분말(b) 0.50 ~ 10.00 wt%와,
키토산과 나노실버를 동비율로 혼합조성한 항균성 미분말(c) 0.50 ~ 5.0 wt%와,
연교를 수세한 후 55 ~ 65 ℃의 온도조건에서 20 ~ 26 시간 동안 건조하고, 건조한 연교와 증류수를 1 : 5 ~ 10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3 ~ 6 시간 동안 열탕추출기에서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여 수득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한 다음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2 ~ 4 일 동안 건조시킨 후, 균질기를 이용하여 20 ~ 40 mesh로 분쇄한 분말인 연교 추출물 20 ~ 50.0 wt%와,
상백피와 에탄올을 1 : 5 ~ 10 중량비로 혼합한 후, 혼합물을 상온에서 20 ~ 40 시간 동안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수득하고, 상기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하고, 수득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한 다음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2 ~ 4 일 동안 건조시킨 후, 균질기를 이용하여 20 ~ 40 mesh로 분쇄한 분말인 상백피 추출물 20 ~ 50.0 wt%와,
편백나무잎과 증류수를 1 : 5 ~ 10 중량비로 혼합한 후, 혼합물을 열탕추출기에서 2 ~ 4 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고,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과하여 수득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한 다음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2 ~ 4 일 동안 건조시킨 후, 균질기를 이용하여 30 ~ 50 mesh로 분쇄한 분말인 편백나무잎 추출물 20 ~ 50.0 wt%를 혼합하여 100.0 wt%로 구성된 혼합항균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분쇄한 항균추출물분말(c) 0.50 ~ 5.0 wt%와,
미역과 다시마를 1:1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50 ~ 60 ℃의 열풍으로 12 ~ 16 시간 동안 건조시킨 건조 분말 3.0 ~ 6.0 wt%와, 증류수 94.0 ~ 97.0 wt%를 혼합하여 80 ~ 90 ℃에서 1 ~ 3 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고, 상기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하고, 수득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한 다음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2 ~ 4 일 동안 건조시킨 후, 균질기를 이용하여 20 ~ 40 mesh로 분쇄한 분말인 해조류 추출물 10 ~ 30.0 wt%와,
건조 구기자와 증류수를 1 : 10 ~ 20 중량비로 혼합하여 100 ℃, 100 ~ 140 rpm의 조건으로 1 ~ 5 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고, 수득한 추출물을 원심분리기에서 4,000 ~ 6,000 rpm으로 5 ~ 20 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하고, 수득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한 다음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2 ~ 4 일 동안 건조시킨 후, 균질기를 이용하여 20 ~ 40 mesh로 분쇄한 분말인 구기자 추출물 10 ~ 30.0 wt%와,
건조 연뿌리 분말과 에탄올을 1 : 10 ~ 20 중량비로 혼합한 후, 실온에서 20 ~ 30 시간 동안 침지시켜 추출하고, 수득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한 다음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2 ~ 4 일 동안 건조시킨 후, 균질기를 이용하여 20 ~ 40 mesh로 분쇄한 분말인 연뿌리 추출물 10 ~ 30.0 wt%와,
익모초와 증류수를 1 : 10 ~ 20 중량비로 혼합하여 100 ℃, 100 ~ 140 rpm의 조건으로 1 ~ 5 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고, 수득한 추출물을 원심분리기에서 4,000 ~ 6,000 rpm으로 5 ~ 20 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한 다음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2 ~ 4 일 동안 건조시킨 후, 균질기를 이용하여 20 ~ 40 mesh로 분쇄한 분말인 익모초 추출물 10 ~ 30.0 wt%를 혼합하여 100.0 wt%로 구성된 혼합항균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분쇄한 피부보호추출물분말(d) 0.50 ~ 5.0 wt%를 혼합(a+b+c+d)한 후 압출하여 항균, 원적외선 방사 기능 및 피부보호 기능의 마스터 배치(Master batch ; MB) 칩을 제조하는 단계(S10)와,
상기 마스터 배치(MB) 칩 1.00 ~ 10.00 wt%와, 폴리염화비닐(Poly vinylchlorid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스터(Polyester), 아크릴, 나일론 6, 나일론 66 중 선택되는 어느 1종의 수지(resin) 90.00 ~ 99.00 wt%;를 혼합 방사하여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를 제조하는 단계(S20)와,
키토산을 1 ~ 2 %(w/v)의 아세트산(Acetic acid)과 1 : 50 ~ 200 중량비로 혼합하여 키토산 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를 상기 키토산 용액에 10 ~ 30 분 동안 침지시킨 다음 100 ~ 120 ℃에서 10 ~ 30 분 동안 열풍건조하여 키토산 처리하는 단계(S30)를 거쳐 제조된다.
상기 마스터 배치(Master batch ; MB) 칩을 제조함에 있어, 상기 광물혼합물의 사용량이 80.00 wt% 미만인 경우에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 기능이 제대로 발현되기 어렵고, 90.0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다른 성분들의 함량이 줄어들어 항균 또는 피부개선 기능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광물혼합물의 사용량은 마스터 배치(Master batch ; MB) 칩의 전체 중량에 대해 80.00 ~ 90.0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광물혼합물의 미분말의 크기가 1.50 ㎛ 미만인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미분쇄로 인해 비경제적이고, 5.00 ㎛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균일한 분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 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광물혼합물의 미분말은 1.50 ~ 5.00 ㎛ 범위내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적외선이란 파장이 4 ㎛ 이상인 적외선으로서, 적외선 중 파장이 긴 것을 말한다. 적외선은 가시광선의 적색 영역보다 파장이 길어 열작용이 큰 전자파의 일종으로, 눈에 보이지 않고 물질에 잘 흡수되며 유기화합물 분자에 대한 공진 및 공명작용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원적외선은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없애는 데 도움이 되고,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과 세포조직 생성에 도움을 준다. 또, 세포를 구성하는 수분과 단백질 분자에 닿으면 세포를 1분에 2,000번씩 미세하게 흔들어 줌으로써 세포조직을 활성화하여 노화방지, 신진대사 촉진, 만성피로 등 각종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다. 그밖에도 발한작용 촉진, 통증완화, 중금속제거, 숙면, 탈취, 항균, 곰팡이 번식방지, 제습, 공기정화 등의 효과가 있다.
음이온은 과학적으로는 공기 중에 떠있는 전기적 성질을 가진 공기에너지로서(-) 전류를 가진 이온을 지칭한다. 음이온은 혈액 중에 미네랄 성분인 칼슘, 나트륨, 칼륨 등의 이온화율을 상승시켜 알칼리화의 진행을 통해 혈액을 정화해주고, 혈청 중에 포함된 면역 성분인 글루부린의 양을 증가시켜 감염 증세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자율신경계 조절 작용, 공기정화작용, 먼지 제거 및 살균작용과 더불어 유해한 양이온을 중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 광물들 중 게르마늄(Germanium)을 예시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게르마늄(Germanium)은 내열성이 우수하고 저열팽창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산화물보다 높은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익 게르마늄(Germanium)이 피부에 접촉하면 게르마늄 이온이 체내에 들어가 공명·공진 운동을 하게 되며, 섭취 시에도 각종 유해물질과 함께 20 ~ 30 시간 안에 몸 밖으로 배출되므로 중독이나 부작용이 전혀 없다. 또한 게르마늄은 건축자재로서 탈취, 항곰팡이, 제습, 공기정화, 온열 등의 기능을 한다.
상기 이산화규소(SiO2)는 규소의 산화물로, 화학식은 SiO2이다. 실리카(silica)라도고도 한다. 모래와 유리의 주성분으로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고체 물질 중 하나이다. 지구 지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광물이라 웬만한 암석에는 이산화규소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이산화규소(SiO2) 미분말의 사용량이 0.50 wt% 미만인 경우에는 원적외선 방사 및 항균특성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10.0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다른 성분들과의 최적의 배합을 이루기 어려워 원적외선 방사, 항균, 방취 기능성이 적절하게 발휘되기 어려우므로, 상기 이산화규소(SiO2) 미분말의 사용량은 마스터 배치(Master batch ; MB) 칩의 전체 중량에 대해 0.50 ~ 10.0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산화규소(SiO2)의 미분말의 크기가 0.01 ㎛ 미만인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미분쇄로 인해 비경제적이고, 1.00 ㎛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균일한 분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원적외선 방사 및 항균특성이 제대로 발현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이산화규소(SiO2)의 미분말은 0.01 ~ 1.00 ㎛ 범위내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이산화규소(SiO2) 미분말은 기계적, 기능적 물성 향상을 위하여 표면처리한 것을 사용한다.
이산화규소(SiO2) 미분말의 표면처리는, 이산화규소 미분말과 pH 5의 아세트산 수용액을 1 : 7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조성하고,
글리시딜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glycidyloxypropyl trimethoxy silane), 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glycidoxypropyl triethoxy silane), 글리시독시프로필 메틸 디에톡시 실란(glycidoxypropyl methyl diethoxy silane), 글리시독시프로필 메틸 디메톡시 실란(glycidoxypropyl methyl dimethoxy silane), 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aminopropyl trimethoxy silane), 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aminopropyl trimethoxy silane)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실란 커플링제와 95 % 에탄올을 1 : 25 ~ 30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조성하고,
상기 제1혼합물과 제2혼합물을 55 ~ 65 ℃에서 3 ~ 5 시간 동안 교반하여 표면처리된 이산화규소 미분말을 포함하는 제3혼합물을 조성하고,
상기 제3혼합물을 거름종이로 여과하여 걸러낸 입자를 열풍건조기로 110 ~ 130 ℃에서 20 ~ 30 시간 동안 건조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키토산과 나노실버를 동비율로 혼합조성한 항균성 미분말의 사용량이 0.50 wt% 미만인 경우에는 항균 기능성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10.0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사용으로 인해 비경제적이라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항균성 미분말의 사용량은 마스터 배치(Master batch ; MB) 칩의 전체 중량에 대해 0.50 ~ 10.0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항균성 미분말은 키토산 또는 나노실버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항균특성이 뛰어나며, 이때 배합비는 동중량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토산은 카이토산나아제(chitosanase) 처리를 통해 저분자화함으로써 항균성을 강화시킨 것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게(Crab)으로부터 수득한 고분자키토산을 카이토산나아제(chitosanase) 처리를 통해 저분자화하여 분자량이 3 ~ 50 kDa이고, 탈아세틸화도(DDA)가 95 ~ 98 %의 고순도 저분자키토산을 사용한다.
상기 나노실버는 은(Ag)을 20 nm 이하로 잘게 쪼개 나노화하여 살균 및 특성을 극대화시킨 것이다. Nano-technology의 한 분야로 나노실버는 강력한 항균 및 살균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나노실버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구형 실리카를 이용하는 방법은 직경이 10 nm 정도 되는 구형 실리카(규소)를 준비한 다음 그 표면에 1 ~ 3 nm 정도되는 은 입자를 붙임으로서 그 면적을 최대화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실리카의 흡착, 탈착, 원적외선 방사기능과 은의 살균, 항균, 전도성 기능을 복합적으로 가지는 다기능 나노실버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은(Ag)은 나노사이즈로 제조함으로써 항균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염소계열의 살균제보다 수십 배의 강력한 항균력을 갖는다. 그러나 인체에는 전혀 무해한 특성을 갖기 때문에 안전하다.
상기 항균추출물분말은 키토산과 나노실버를 동비율로 혼합조성한 항균성 미분말과 함께 사용되어 항균기능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연교 추출물 20 ~ 50.0 wt%와, 상백피 추출물 20 ~ 50.0 wt%와, 편백나무잎 추출물 20 ~ 50.0 wt%의 혼합으로 구성된다.
상기 항균추출물분말은 0.50 ~ 5.0 wt%의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0.50 wt% 미만인 경우에는 항균추출물을 통해 항균기능의 강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5.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항균 기능의 향상 정도가 미미하여 무의미하므로, 상기 항균추출물분말은 마스터 배치(Master batch ; MB) 칩의 전체 중량에 대해 0.50 ~ 5.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교(連翹, Forsythiae Fructus)는 물푸레나무과(木犀科, Oleaceae)에 속하는 낙엽 관목인 개나리(Forsythia koreana Nakai) 및 동속 근연식물인 만리화(Forsythia ovata Nakai), 장수만리화(Forsythia densitolra Nakai), 산개나리(Forsythia saxatilis Nakai) 등의 성숙한 과실이다.
상기 연교는 한의학에서 청열해독약류(淸熱解毒藥類)에 속하며 청열해독(淸熱解毒), 소종산결(消腫散結)의 효능이 있어 임상에서 외감풍열(外感風熱), 온병초기(溫病初起)에 응용하고 내옹외옹(內癰外癰), 담핵(痰核)을 다스리며 그 외 후비(喉痺), 혈열발반(血熱發班), 고열번갈(高熱煩渴), 신혼발반(神昏發斑), 열림뇨폐(熱淋尿閉) 등의 증상에도 이용되어 주로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상기 연교 추출물의 구체적인 제조예는 다음과 같다.
연교를 수세한 후 온도 60 ℃에서 25 시간 동안 건조한다. 건조한 연교 500 g을 증류수 3.5 L를 혼합하여 열탕추출기에서 4 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물을 수득한다. 상기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후 그 여액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62 ℃, 0.2 mPA의 조건에서 5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추출물을 수득한다. 이와 같이 수득한 추출물은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3 일 동안 건조한 후, 30 mesh로 분쇄한 연교 추출물을 제조한다.
상기 상백피 뽕나무과의 뽕나무 (MorusalbaL.) 또는 동속 식물의 뿌리껍질을 말린 한약재로 혈압 강하, 이뇨, 소염, 항균 및 진해, 진통, 해열 작용 등의 효능이 있다.
상기 상백피 추출물의 구체적인 제조예는 다음과 같다.
상백피에 70 % 에탄올을 상백피 무게의 7 배로 가해서 상온에서 30 시간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한다. 상기 추출물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한다. 같은 방법으로 2 회 반복하여 얻은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하고, 수득한 여액을 62 ℃, 0.2 mPA의 조건에서 5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추출물을 수득한다. 이와 같이 수득한 추출물은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3 일 동안 건조한 후, 30 mesh로 분쇄한 상백피 추출물을 제조한다.
상기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는 측백나무과(Cupressaceae)에 속하는 상록침엽수로서, 상기 편백나무로부터 추출한 정유 성분들은 스트레스 완화, 심리적 안정, 심폐기능 강화 및 기관지 천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이외에도 편백 정유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가려움증 완화 효과와 피부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편백나무잎 추출물의 구체적인 제조예는 다음과 같다.
편백나무잎 500 g에 증류수 3.5 L를 가하여 열탕 추출기에서 3 시간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한다.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하고, 수득한 여액을 62 ℃, 0.2 mPA의 조건에서 5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추출물을 수득한다. 이와 같이 수득한 추출물은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3 일 동안 건조한 후, 30 mesh로 분쇄한 편백나무잎 추출물을 제조한다.
상기 마스터 배치(Master batch ; MB) 칩 제조를 위한 구체적인 성분 배합예는 다음과 같다.
게르마늄(Germanium), 규석(Quatz), 규조토(Diatomite), 규사(Silica sand), 알루미나(Alumina), 일라이트(Illite), 견운모(Sericite), 적점토(Red clay), 납석(Pyrophyllite), 맥반석(Bearly stone), 활석(Talc), 감람석(Serpentine), 지르콘(Zircon), 고령토(Kaoline), 석회석(Limestone), 도석(Potery stone), 사문석(Olivine), 티타늄(Titanium), 바나듐(Vanadium), 셀레늄(Selenium)을 각각 동 중량비율로 배합하여 조성한 광물혼합물을 평균입도 5.0 ㎛로 분말화한 광물혼합물(a) 90.00 wt%와,
평균입도 1 ㎛로 분쇄한 이산화규소(SiO2) 미분말(b) 3.00 wt%와,
키토산과 나노실버를 1:1 중량비율로 혼합조성한 항균성 미분말(c) 3.00 wt%와,
연교 추출물분말 25.0 wt%와, 상백피 추출물분말 25.0 wt%와, 편백나무잎 추출물분말 50.0 wt%를 혼합하여 100.0 wt%로 구성된 항균추출물분말(d) 4.00 wt%를 혼합(a+b+c+d)한 후 압출하여 마스터 배치(Master batch ; MB) 칩을 제조한다.
상기 마스터 배치(Master batch ; MB) 칩 제조는 상기 제시된 항균성 미분말피부 보호 기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피부보호추출물분말을 부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피부보호추출물분말은 해조류 추출물 10 ~ 30.0 wt%, 구기자 추출물 10 ~ 30.0 wt%와 연뿌리 추출물 10 ~ 30.0 wt%와, 익모초 추출물 10 ~ 30.0 wt%의 혼합으로 구성된다.
해조류는 항산화, 항균, 항암, 항염증, 항혈액응고 등의 생리활성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현재까지 다각도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상기 해조류 추출물은 미역과 다시마를 동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해조류 추출물의 구체적인 제조예는 다음과 같다.
미역과 다시마를 60 ℃의 열풍으로 15 시간 동안 건조한다. 건조한 미역과 다시마를 1:1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분쇄하여 수득한 해조류 건조 분말 500 g와 증류수 13 L를 혼합한 후 85 ℃에서 2 시간 동안 가열 추출한 추출물을 수득한다. 사익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다. 여과하여 수득한 여액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2 mPA의 조건에서 5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해조류 추출물을 수득한다. 이와 같이 수득한 추출물은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3 일 동안 건조한 후, 30 mesh로 분쇄한 해조류 추출물을 제조한다.
구기자는 구지자 나무의 성숙한 열매를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채취하여 말린 것을 일컫고, 구기자와 지골피는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고, 어린순은 나물 등 식용으로 이용하건 차로 만들어 음용한다. 구기자의 성분으로는 carotenoid, cholin, melliscic acid, zeaxanthin, physalien(dipalmityl-zeaxanthin), betain, 베타-sitosterol, vitamin B1, rutin, linoleic acid, 불포화 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상기 구기자 추출물의 구체적인 제조예는 다음과 같다.
건조 구기자 500 g을 증류수 7.5 L에 첨가하여, 100 ℃에서 2 시간 동안 진탕한 후 5,000 rpm에서 20 분간 원심분리하여 찌꺼기를 제거한 상층액을 수득한다. 상기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한다. 수득한 여액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2 mPA의 조건에서 5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구기자 추출물을 수득한다. 이와 같이 수득한 추출물은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3 일 동안 건조한 후, 30 mesh로 분쇄한 구기자 추출물을 제조한다.
연뿌리는 수분 80 ~ 85 %, 탄수화물 12 ~ 15 %를 포함하고, 단백질, 지방 등이 미량 포함되어 있다. 또한 아스파라긴(asparagine) 약 2%를 비롯하여 알기닌(arginine), 티로신(tyrosine), 트리코네린(trigonelline) 등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인지질인 레시틴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물과 기름이 잘 섞이게 하는 유화력을 가지고 있다.
상기 연뿌리 추출물의 구체적인 제조예는 다음과 같다.
물로 세척한 연뿌리를 건조한 후 분쇄하여 분말로 제조한다. 연뿌리 분말 500 g을 50 % 에탄올 7.5 L에 침지시켜 23 ℃에서 20 시간 동안 추출한다. 추출한 추출물을 필터 페이퍼(Whatman No.2)로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한다. 상기 여액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2 mPA의 조건에서 5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추출물을 수득한다. 이와 같이 수득한 추출물은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3 일 동안 건조한 후, 30 mesh로 분쇄한 연뿌리 추출물을 제조한다.
익모초(Leonurus japonicus H.)는 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2년생 초본이다. 주성분으로는 전초에 alkaloid로서 leonurine, leonuridine, stachynose, stachydrine, flavonoid로서 rutin 외에 protocatechol, benzoic acid 를 비롯해 비타민 A 와 지방유등의 성분이 함유된 것으로 밝혀져 있다.
상기 익모초 추출물의 구체적인 제조예는 다음과 같다.
건조 익모초 분말 500 g을 증류수 7.5 L에 첨가하여 100 ℃에서 2 시간 동안 진탕한 후 3,000 rpm에서 15 분간 원심분리하여 찌꺼기를 제거한 상층액을 수득한다. 상기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한다. 상기 여액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2 mPA의 조건에서 5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추출물을 수득한다. 이와 같이 수득한 추출물은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3 일 동안 건조한 후, 30 mesh로 분쇄한 연뿌리 추출물을 제조한다.
상기 피부보호추출물분말을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Master batch ; MB) 칩 제조를 위한 구체적인 성분 배합예는 다음과 같다.
게르마늄(Germanium), 규석(Quatz), 규조토(Diatomite), 규사(Silica sand), 알루미나(Alumina), 일라이트(Illite), 견운모(Sericite), 적점토(Red clay), 납석(Pyrophyllite), 맥반석(Bearly stone), 활석(Talc), 감람석(Serpentine), 지르콘(Zircon), 고령토(Kaoline), 석회석(Limestone), 도석(Potery stone), 사문석(Olivine), 티타늄(Titanium), 바나듐(Vanadium), 셀레늄(Selenium)을 각각 동 중량비율로 배합하여 조성한 광물혼합물을 평균입도 5.0 ㎛로 분말화한 광물혼합물(a) 88.00 wt%와,
평균입도 1 ㎛로 분쇄한 이산화규소(SiO2) 미분말(b) 3.00 wt%와,
키토산과 나노실버를 1:1 중량비율로 혼합조성한 항균성 미분말(c) 3.00 wt%와,
연교 추출물분말 25.0 wt%와, 상백피 추출물분말 25.0 wt%와, 편백나무잎 추출물분말 50.0 wt%를 혼합하여 100.0 wt%로 구성된 항균추출물분말(d) 3.00 wt%와,
해조류 추출물분말 25.0 wt%와, 구기자 추출물분말 25.0 wt%와, 연뿌리 추출물분말 25.0 wt%와, 익모초 추출물분말 25.0 wt%를 혼합하여 100.0 wt%로 구성된 피부보호추출물분말(e) 3.0 wt%를 혼합(a+b+c+d+e)한 후 압출하여 마스터 배치(Master batch ; MB) 칩을 제조한다.
[ 천연접착제 도포 단계(S20) ]
본 단계는 라텍스 시트 상부로 상기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를 일체로 접착시키기 위한 전단계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텍스 시트의 테두리를 따라 천연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상기 천연접착제는 D.I water 75.0 ~ 83.0 wt%와, 점증제의 NA-CMC 0.15 ~ 0.5 wt%와, 산화방지제의 EDTA-2NA 0.01 ~ 0.2 wt%와, 글리세린 2.5 ~ 5.0 wt%와, 실리카 계열의 PVA 13.0 ~ 22.0 wt%를 60 ~ 70 ℃에서 50 ~ 70 분 동안 교반 용해시켜 제1혼합물을 제조하고,
에탄올(ethanol) 58.0 ~ 65.0 wt%와, 실리카 계열의 PVP-K30 2.0 ~ 5.0 wt%와, 방부제 M.P 0.5 ~ 3.0 wt%와, 히스토아크릴(histoacryl) 0.05 ~ 0.5 wt%와, 폴리부텐(polybutene) 28.0 ~ 36.0 wt%를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1혼합물 60.0 ~ 70.0 wt%와, 제2혼합물 8.0 ~ 13.0 wt%와, 덱스트린 1.5 ~ 5.0 wt%와, 카제인 1.5 ~ 5.0 wt%와, 어교 1.5 ~ 5.0 wt%와, 오미자 추출물 1.5 ~ 5.0 wt%와, 오배자 추출물 1.5 ~ 5.0 wt%와, 황련 추출물 1.5 ~ 5.0 wt%와, 소목 추출물 1.5 ~ 5.0 wt%를 호모믹서(homo mixer)로 1,500 ~ 2,500 rpm으로 균일하게 분산 교반하여 제3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3혼합물을 자연냉각시켜 제조된 것을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D.I water 70.0 g와, 점증제의 NA-CMC 0.2 g와, 산화방지제의 EDTA-2NA 0.03 g와, 글리세린 3.0 g와, 실리카 계열의 PVA 14.8 g를 60 ~ 70 ℃에서 50 ~ 70 분 동안 교반 용해시켜 제1혼합물을 제조하고,
에탄올(ethanol) 9.0 g와, 실리카 계열의 PVP-K30 0.5 g와, 방부제 M.P 0.2 g와, 히스토아크릴(histoacryl) 0.02 g와, 폴리부텐(polybutene) 5.0 g를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1혼합물 88.03 g와, 제2혼합물 14.72 g와, 덱스트린 5.0 g와, 카제인 5.0 g와, 어교 5.0 g와, 오미자 추출물 5.0 g와, 오배자 추출물 5.0 g와, 황련 추출물 5.0 g와, 소목 추출물 5.0 g를 호모믹서(homo mixer)로 1,500 ~ 2,500 rpm으로 균일하게 분산 교반하여 제3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3혼합물을 자연냉각시켜 제조된 것을 사용한다.
[ 퍼프체 제조단계(S30) ]
본 단계는 상기 천연접착제가 도포된 라텍스 시트 상부에 상기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를 80 ~ 90 ℃, 5,000 ~ 9,000 Pa(파스칼)로 가압성형하여 라텍스 시트와 상기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를 일체화시켜 퍼프체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화장용 퍼프(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또는 다각판형 구조의 퍼프지지체(10)와,
양 측단이 상기 지지체(10)의 테두리에 융착시켜, 상기 지지체(10)의 하부면에 돌출 형성되는 띠 형상의 손가락 밴드(20)와,
상기 지지체(10)의 상부면와 일체로 접합 형성되는 퍼프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퍼프체(30)는 라텍스 시트층(301)과,
상기 라텍스 시트층(301)의 테두리를 따라 도포되는 접착층(302)과,
상기 접착층(302)의 상부로 형성되는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303)가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퍼프체(30)는 탄력성을 갖는 라텍스 시트층(301)의 상부로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갖는 방사시트(303)를 접착시켜 일체화를 이룸으로써,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갖는 친환경 화장용 퍼프(1)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라텍스 시트층(301)의 테두리를 따라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303)와 접합을 이루기 때문에, 테두리를 제외한 부분은 상기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303)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여 라텍스 시트층(301)과 미세하게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라텍스 시트층(301)은 사전에 화장료 조성물을 내부에 함침시킨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 화장용 퍼프 완성 단계(S40) ]
본 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퍼프를 완성하는 단계로서, 띠 형상의 손가락 밴드(20)가 형성되어 있는 퍼프지지체(10)에 상기 퍼프체(30)를 고정시킴으로써 화장용 퍼프를 완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퍼프지지체(10)는 원형 또는 다각판형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퍼프지지체(10)의 양 측단에는 띠 형상의 손가락 밴드(20)에 융착형성됨에 따라, 상기 퍼프지지체(10)의 하부면에 띠 형상의 손가락 밴드(20)가 반원형으로 돌출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퍼프지지체(10)의 상부면은 상기 퍼프체(30)와 일체를 이룸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퍼프(1)가 완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특성을 갖는 나노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용 퍼프는 고 항균특성에 의해 외부 이물질, 세균 등에 의한 오염도를 현저히 낮춤에 따라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퍼프의 오염을 통해 피부 질환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적외선의 기능에 의해 피부의 노폐물 제거 촉진에 등에 의한 피부 건강 증진 효과를 가짐으로써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1 : 화장용 퍼프
10: 라텍스 시트
20: 나노섬유 외피
30: 지지체

Claims (7)

  1.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의 마스터 배치 칩을 제조한 후, 상기 마스터 배치 칩을 수지(resin)와 혼합 방사하여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를 제조하는 단계(S10)와,
    라텍스 시트의 테두리를 따라 천연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S20)와,
    상기 천연접착제가 도포된 라텍스 시트 상부에 상기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를 80 ~ 90 ℃, 5,000 ~ 9,000 Pa(파스칼)로 가압성형하여 라텍스 시트와 상기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를 일체화시켜 퍼프체를 제조하는 단계(S30)와,
    손가락밴드가 형성되어 있는 퍼프지지체에 상기 퍼프체를 결합하여 화장용 퍼프를 완성하는 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는 게르마늄(Germanium), 규석(Quatz), 규조토(Diatomite), 규사(Silica sand), 알루미나(Alumina), 일라이트(Illite), 견운모(Sericite), 적점토(Red clay), 납석(Pyrophyllite), 맥반석(Bearly stone), 활석(Talc), 감람석(Serpentine), 지르콘(Zircon), 고령토(Kaoline), 석회석(Limestone), 도석(Potery stone), 사문석(Olivine), 티타늄(Titanium), 바나듐(Vanadium), 셀레늄(Selenium)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혼합광물을 1.5 ~ 5.0 ㎛로 분쇄하여 분말화한 광물혼합물(a) 80.00 ~ 90.00 wt%와,
    0.01 ~ 1.00 ㎛로 분쇄한 이산화규소(SiO2) 미분말(b) 0.50 ~ 10.00 wt%와,
    키토산과 나노실버를 동비율로 혼합조성한 항균성 미분말(c) 0.50 ~ 5.0 wt%와,
    연교를 수세한 후 55 ~ 65 ℃의 온도조건에서 20 ~ 26 시간 동안 건조하고, 건조한 연교와 증류수를 1 : 5 ~ 10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3 ~ 6 시간 동안 열탕추출기에서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여 수득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한 다음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2 ~ 4 일 동안 건조시킨 후, 균질기를 이용하여 20 ~ 40 mesh로 분쇄한 분말인 연교 추출물 20 ~ 50.0 wt%와,
    상백피와 에탄올을 1 : 5 ~ 10 중량비로 혼합한 후, 혼합물을 상온에서 20 ~ 40 시간 동안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수득하고, 상기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하고, 수득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한 다음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2 ~ 4 일 동안 건조시킨 후, 균질기를 이용하여 20 ~ 40 mesh로 분쇄한 분말인 상백피 추출물 20 ~ 50.0 wt%와,
    편백나무잎과 증류수를 1 : 5 ~ 10 중량비로 혼합한 후, 혼합물을 열탕추출기에서 2 ~ 4 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고, 추출물을 여과하고,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한 다음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2 ~ 4 일 동안 건조시킨 후, 균질기를 이용하여 30 ~ 50 mesh로 분쇄한 분말인 편백나무잎 추출물 20 ~ 50.0 wt%를 혼합하여 100.0 wt%로 구성된 혼합항균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분쇄한 항균추출물분말(c) 0.50 ~ 5.0 wt%를 혼합(a+b+c)한 후 압출하여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의 마스터 배치(Master batch ; MB) 칩을 제조하는 단계(S10)와,
    상기 마스터 배치(MB) 칩 1.00 ~ 10.00 wt%와, 폴리염화비닐(Poly vinylchlorid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스터(Polyester), 아크릴, 나일론 6, 나일론 66 중 선택되는 어느 1종의 수지(resin) 90.00 ~ 99.00 wt%;를 혼합 방사하여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를 제조하는 단계(S20)와,
    키토산을 1 ~ 2 %(w/v)의 아세트산(Acetic acid)과 1 : 50 ~ 200 중량비로 혼합하여 키토산 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시트를 상기 키토산 용액에 10 ~ 30 분 동안 침지시킨 다음 100 ~ 120 ℃에서 10 ~ 30 분 동안 열풍건조하여 키토산 처리하는 단계(S30)를 거쳐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특성을 갖는 나노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마스터 배치(Master batch ; MB) 칩은
    게르마늄(Germanium), 규석(Quatz), 규조토(Diatomite), 규사(Silica sand), 알루미나(Alumina), 일라이트(Illite), 견운모(Sericite), 적점토(Red clay), 납석(Pyrophyllite), 맥반석(Bearly stone), 활석(Talc), 감람석(Serpentine), 지르콘(Zircon), 고령토(Kaoline), 석회석(Limestone), 도석(Potery stone), 사문석(Olivine), 티타늄(Titanium), 바나듐(Vanadium), 셀레늄(Selenium)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혼합광물을 1.5 ~ 5.0 ㎛로 분쇄하여 분말화한 광물혼합물(a) 80.00 ~ 90.00 wt%와,
    0.01 ~ 1.00 ㎛로 분쇄한 이산화규소(SiO2) 미분말(b) 0.50 ~ 10.00 wt%와,
    키토산과 나노실버를 동비율로 혼합조성한 항균성 미분말(c) 0.50 ~ 5.0 wt%와,
    연교를 수세한 후 55 ~ 65 ℃의 온도조건에서 20 ~ 26 시간 동안 건조하고, 건조한 연교와 증류수를 1 : 5 ~ 10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3 ~ 6 시간 동안 열탕추출기에서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여 수득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한 다음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2 ~ 4 일 동안 건조시킨 후, 균질기를 이용하여 20 ~ 40 mesh로 분쇄한 분말인 연교 추출물 20 ~ 50.0 wt%와,
    상백피와 에탄올을 1 : 5 ~ 10 중량비로 혼합한 후, 혼합물을 상온에서 20 ~ 40 시간 동안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수득하고, 상기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하고, 수득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한 다음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2 ~ 4 일 동안 건조시킨 후, 균질기를 이용하여 20 ~ 40 mesh로 분쇄한 분말인 상백피 추출물 20 ~ 50.0 wt%와,
    편백나무잎과 증류수를 1 : 5 ~ 10 중량비로 혼합한 후, 혼합물을 열탕추출기에서 2 ~ 4 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고,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과하여 수득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한 다음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2 ~ 4 일 동안 건조시킨 후, 균질기를 이용하여 30 ~ 50 mesh로 분쇄한 분말인 편백나무잎 추출물 20 ~ 50.0 wt%를 혼합하여 100.0 wt%로 구성된 혼합항균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분쇄한 항균추출물분말(c) 0.50 ~ 5.0 wt%와,
    미역과 다시마를 1:1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50 ~ 60 ℃의 열풍으로 12 ~ 16 시간 동안 건조시킨 건조 분말 3.0 ~ 6.0 wt%와, 증류수 94.0 ~ 97.0 wt%를 혼합하여 80 ~ 90 ℃에서 1 ~ 3 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고, 상기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하고, 수득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한 다음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2 ~ 4 일 동안 건조시킨 후, 균질기를 이용하여 20 ~ 40 mesh로 분쇄한 분말인 해조류 추출물 10 ~ 30.0 wt%와,
    건조 구기자와 증류수를 1 : 10 ~ 20 중량비로 혼합하여 100 ℃, 100 ~ 140 rpm의 조건으로 1 ~ 5 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고, 수득한 추출물을 원심분리기에서 4,000 ~ 6,000 rpm으로 5 ~ 20 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하고, 수득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한 다음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2 ~ 4 일 동안 건조시킨 후, 균질기를 이용하여 20 ~ 40 mesh로 분쇄한 분말인 구기자 추출물 10 ~ 30.0 wt%와,
    건조 연뿌리 분말과 에탄올을 1 : 10 ~ 20 중량비로 혼합한 후, 실온에서 20 ~ 30 시간 동안 침지시켜 추출하고, 수득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한 다음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2 ~ 4 일 동안 건조시킨 후, 균질기를 이용하여 20 ~ 40 mesh로 분쇄한 분말인 연뿌리 추출물 10 ~ 30.0 wt%와,
    익모초와 증류수를 1 : 10 ~ 20 중량비로 혼합하여 100 ℃, 100 ~ 140 rpm의 조건으로 1 ~ 5 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고, 수득한 추출물을 원심분리기에서 4,000 ~ 6,000 rpm으로 5 ~ 20 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한 다음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2 ~ 4 일 동안 건조시킨 후, 균질기를 이용하여 20 ~ 40 mesh로 분쇄한 분말인 익모초 추출물 10 ~ 30.0 wt%를 혼합하여 100.0 wt%로 구성된 혼합항균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분쇄한 피부보호추출물분말(d) 0.50 ~ 5.0 wt%를 혼합(a+b+c+d)한 후 압출하여 제조된 것으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특성을 갖는 나노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천연접착제는 D.I water 75.0 ~ 83.0 wt%와, 점증제의 NA-CMC 0.15 ~ 0.5 wt%와, 산화방지제의 EDTA-2NA 0.01 ~ 0.2 wt%와, 글리세린 2.5 ~ 5.0 wt%와, 실리카 계열의 PVA 13.0 ~ 22.0 wt%를 60 ~ 70 ℃에서 50 ~ 70 분 동안 교반 용해시켜 제1혼합물을 제조하고,
    에탄올(ethanol) 58.0 ~ 65.0 wt%와, 실리카 계열의 PVP-K30 2.0 ~ 5.0 wt%와, 방부제 M.P 0.5 ~ 3.0 wt%와, 히스토아크릴(histoacryl) 0.05 ~ 0.5 wt%와, 폴리부텐(polybutene) 28.0 ~ 36.0 wt%를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1혼합물 60.0 ~ 70.0 wt%와, 제2혼합물 8.0 ~ 13.0 wt%와, 덱스트린 1.5 ~ 5.0 wt%와, 카제인 1.5 ~ 5.0 wt%와, 어교 1.5 ~ 5.0 wt%와, 오미자 추출물 1.5 ~ 5.0 wt%와, 오배자 추출물 1.5 ~ 5.0 wt%와, 황련 추출물 1.5 ~ 5.0 wt%와, 소목 추출물 1.5 ~ 5.0 wt%를 호모믹서(homo mixer)로 1,500 ~ 2,500 rpm으로 균일하게 분산 교반하여 제3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3혼합물을 자연냉각시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특성을 갖는 나노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지(resin)는 폴리락타이드(polylactide, PLA), 폴리히드록시 알카노에이트(polyhydroxy alkanoates, PHAs) 또는 폴리(ε-카프로락톤)(PCL(poly ε-caprolactone))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생분해성 수지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특성을 갖는 나노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80172652A 2018-12-28 2018-12-28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특성을 갖는 나노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용 퍼프 KR102075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652A KR102075374B1 (ko) 2018-12-28 2018-12-28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특성을 갖는 나노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용 퍼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652A KR102075374B1 (ko) 2018-12-28 2018-12-28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특성을 갖는 나노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용 퍼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5374B1 true KR102075374B1 (ko) 2020-02-10

Family

ID=69627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652A KR102075374B1 (ko) 2018-12-28 2018-12-28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특성을 갖는 나노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용 퍼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3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835B1 (ko) * 2020-08-13 2021-02-17 임상철 화장품용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품용기
CN114224872A (zh) * 2021-11-10 2022-03-25 澳门科技大学 一种益母草碱缓释微球、制备方法及应用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193B1 (ko) 2001-08-28 2005-12-14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화장용 퍼프
KR20060091770A (ko) 2005-02-15 2006-08-22 조석천 나노항균 금속과 이산화티타늄 파우더 항균을 이용한 항균퍼프 제조방법
KR100781746B1 (ko) 2006-05-03 2007-12-06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장치
KR101181168B1 (ko) * 2011-06-13 2012-09-18 주식회사 대현공예 퍼프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퍼프
KR101220496B1 (ko) 2011-09-22 2013-01-10 (주)삼본퍼프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용 퍼프
KR101368622B1 (ko) 2012-10-04 2014-03-04 최재준 논라텍스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논라텍스 화장용 퍼프
KR200472813Y1 (ko) 2014-01-10 2014-05-22 임성욱 화장용 퍼프
KR101470516B1 (ko) * 2013-05-31 2014-12-0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항균 기능을 갖는 기능성 분첩 및 그 제조방법
KR101750832B1 (ko) 2016-07-28 2017-06-27 주식회사 디엠코스메틱스 화장용 항균 퍼프
KR20180034938A (ko) 2016-09-28 2018-04-05 성정희 항균 구리 퍼프
KR101848246B1 (ko) 2016-03-02 2018-04-12 최재준 에어셀이 구비된 화장용 퍼프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193B1 (ko) 2001-08-28 2005-12-14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화장용 퍼프
KR20060091770A (ko) 2005-02-15 2006-08-22 조석천 나노항균 금속과 이산화티타늄 파우더 항균을 이용한 항균퍼프 제조방법
KR100781746B1 (ko) 2006-05-03 2007-12-06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장치
KR101181168B1 (ko) * 2011-06-13 2012-09-18 주식회사 대현공예 퍼프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퍼프
KR101220496B1 (ko) 2011-09-22 2013-01-10 (주)삼본퍼프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용 퍼프
KR101368622B1 (ko) 2012-10-04 2014-03-04 최재준 논라텍스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논라텍스 화장용 퍼프
KR101470516B1 (ko) * 2013-05-31 2014-12-0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항균 기능을 갖는 기능성 분첩 및 그 제조방법
KR200472813Y1 (ko) 2014-01-10 2014-05-22 임성욱 화장용 퍼프
KR101848246B1 (ko) 2016-03-02 2018-04-12 최재준 에어셀이 구비된 화장용 퍼프
KR101750832B1 (ko) 2016-07-28 2017-06-27 주식회사 디엠코스메틱스 화장용 항균 퍼프
KR20180034938A (ko) 2016-09-28 2018-04-05 성정희 항균 구리 퍼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835B1 (ko) * 2020-08-13 2021-02-17 임상철 화장품용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품용기
CN114224872A (zh) * 2021-11-10 2022-03-25 澳门科技大学 一种益母草碱缓释微球、制备方法及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034B1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239201A (zh) 一种具有抗菌保健功能的牙刷丝及其制备方法
KR102075374B1 (ko)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특성을 갖는 나노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용 퍼프
KR101565778B1 (ko) 나노 산화아연이 함유된 항균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비누
KR102139538B1 (ko) 헤어 샴푸 조성물
KR101653534B1 (ko) 원적외선 방사 및 한방성분을 함유한 여성용 패드 및 그 제조방법
JP7315985B2 (ja) 山養参を用いた石鹸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石鹸
KR102159169B1 (ko)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 기능을 통해 알러지, 염증, 아토피 또는 새집증후군에 따른 피부염의 피부 트러블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기능성 직물의 제조 방법 및 그 기능성 직물
KR102288724B1 (ko) 항균, 살균, 항염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피부 면역력의 강화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애완동물용 복합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 방법
CN108158918A (zh) 包裹天然提取物的微胶囊及其制备方法及微胶囊型唇膏
JP2002316909A (ja) 機能性材料
CN102552089A (zh) 一种银杏洗浴粉及其制作方法
KR101089879B1 (ko) 자외선차단 테이프
CN104248599A (zh) 一种绿豆面膜粉
KR100800316B1 (ko) 기능성 쑥 머드 미용팩
KR102263911B1 (ko) 신선도 유지 및 부패 억제 기능을 갖는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식품포장재
KR101767979B1 (ko) 편백나무 추출액을 함유하는 조성물
CN1209095C (zh) 含有蒲公英、白芨提取物的化妆品复合添加剂及其制备工艺和在化妆品中的应用
KR20200029289A (ko) 버섯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30260B1 (ko) 피부 개선 효과를 갖는 천연 광물질 함유 화장료 조성물
CN108478487A (zh) 防脱洗发露及其制备方法
CN102716060B (zh) 松针粉-超细微晶纤维素爽身粉及其制造方法
CN1141932C (zh) 黄蜀葵去痘美容液及其制备方法
KR100538536B1 (ko) 함초가 혼합된 미용팩 제조방법
CN107211997A (zh) 一种园林用驱蚊粉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