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795B1 - 논슬립데크재 가공장치 및 이로 제조된 논슬립데크재 - Google Patents

논슬립데크재 가공장치 및 이로 제조된 논슬립데크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795B1
KR102074795B1 KR1020190050462A KR20190050462A KR102074795B1 KR 102074795 B1 KR102074795 B1 KR 102074795B1 KR 1020190050462 A KR1020190050462 A KR 1020190050462A KR 20190050462 A KR20190050462 A KR 20190050462A KR 102074795 B1 KR102074795 B1 KR 102074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deck material
support frame
main support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미선
Original Assignee
최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미선 filed Critical 최미선
Priority to KR1020190050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7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8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31/00Arrangements for conveying, loading, turning, adjusting, or discharging the log or timber, specially designed for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 B27B31/003Arrangements for conveying, loading, turning, adjusting, or discharging the log or timber, specially designed for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with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5/00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2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com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4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flooring elements, e.g. parqueting b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61Floor elements with grooved main surface
    • E04F15/02166Floor elements with grooved main surface wherein the grooves are filled with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논슬립데크재 가공장치 및 이로 제조된 논슬립데크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논슬립배합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논슬립설치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논슬립데크재에 상기 논슬립배합부재를 자동화 설비에 의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논슬립데크재의 생산성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논슬립설치홈에 상기 논슬립배합부재가 견고히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논슬립데크재의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논슬립데크재 가공장치 및 이로 제조된 논슬립데크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면에 논슬립설치홈(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논슬립데크재(10)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메인지지프레임(100);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상부에 올려진 상기 논슬립데크재(10)를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데크재이송부재(200); 상기 데크재이송부재(200)에 의해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논슬립데크재(10)의 논슬립설치홈(11)에 논슬립배합부재(13)를 투입하는 투입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논슬립데크재 가공장치 및 이로 제조된 논슬립데크재{NONSLIP DECK BOARD AND DECK BOARD PRODUCED THEREFROM}
본 발명은 논슬립데크재 가공장치 및 이로 제조된 논슬립데크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논슬립배합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논슬립설치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논슬립데크재에 상기 논슬립배합부재를 자동화 설비에 의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논슬립데크재의 생산성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논슬립설치홈에 상기 논슬립배합부재가 견고히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논슬립데크재의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논슬립데크재 가공장치 및 이로 제조된 논슬립데크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사회적으로 친자연환경 붐이 일면서 전원주택이나 콘도 및 펜션등의 테라스, 공원내에 설치된 산책로, 호수주변, 그리고 실내의 바닥면에 다른 재료에 비해 자연친화적일 뿐 아니라 충격 및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조용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도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제공하는 목재의 데크재를 이용하여 설치하고 있다.
목재의 데크재는 내구성이 탁월하고 보수유지가 간편하며, 보행시 탄력성 및 충격흡수 기능이 좋아서 피로감을 덜 느끼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데크재 중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홈을 가공하고, 상기 홈에 컬러칩이나 미분규사를 배합한 논슬립배합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논슬립이 가능하도록 데크재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데크재에 상기 논슬립배합부재를 설치시, 작업자가 직접 상기 홈에 상기 논슬립배합부재를 삽입하는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수작업에 의해 진행되는 공정으로 인해 작업피로도의 향상은 물론 데크재의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더욱이 인력 압착공정은 논슬립의 모든 부분에 압력이 고르게 작용하지 않아 부분적으로 탈락되는 하자가 발생하는 등 데크재의 품질 저하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논슬립배합부재를 논슬립데크재의 논슬립설치홈에 데크재이송부재, 투입장치, 압착장치로 이루어진 자동화 설비에 의해 견고하면서도 신속히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논슬립데크재의 생산성 향상 및 인건비의 절감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상기와 같은 자동화설비에 의해 논슬립배합부재를 견고히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논슬립데크재의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논슬립데크재 가공장치 및 이로 제조된 데크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면에 논슬립설치홈(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논슬립데크재(10)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메인지지프레임(100);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상부에 올려진 상기 논슬립데크재(10)를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데크재이송부재(200); 상기 데크재이송부재(200)에 의해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논슬립데크재(10)의 논슬립설치홈(11)에 논슬립배합부재(13)를 투입하도록 이루어지되 하측면에 상기 논슬립데크재(10)의 논슬립설치홈(11)과 대응되는 폭을 갖는 삽입가이드공(311)이 형성된 투입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논슬립배합부재(13)은 합성수지 계열의 바인더에 무기안료, 황또, 규사, 탄화왕겨, 숯가루, 고무칩, 세라믹칩, 목재칩, 축광안료, 야광안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배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데크재이송부재(200)는,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상부에 올려진 상기 논슬립데크재(10)을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데크재이동유닛(220)과,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에 설치되는 연장가이드봉(210)을 매개로 상기 데크재이동유닛(220)에 연결되어 상기 데크재이동유닛(220)을 상하이동되게 하거나 수평이동되게 하는 이동가이드유닛(2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가이드유닛(230)은, 상기 연장가이드봉(21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회전손잡이(250)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251)가 설치되는 이동가이드구(240)와, 상기 이동가이드구(24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피니언기어(251)에 기어결합되는 랙기어(26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평이동가이드봉(26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입장치(300)에 의해 상기 논슬립설치홈(11)에 채워진 논슬립배합부재(13)를 압착하여 상기 논슬립배합부재(13)가 상기 논슬립설치홈(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압착장치(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논슬립설치홈(11)에 투입되는 상기 논슬립배합부재(13)를 교반하기 위한 배합부교반장치(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착장치(400)는,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폭방향 양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브라켓(410)과, 상기 지지브라켓(4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이동되는 논슬립데크재(10)의 상부를 압착하여 상기 논슬립설치홈(11)에 채워진 논슬립배합부재(13)를 다지는 압착롤러(42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압착롤러(420)에 점착된 논슬립배합부재의 잔여물을 탈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탈리부재(500)와, 상기 논슬립데크재(10)의 논슬립설치홈(11)에 채워진 상기 논슬립배합부재를 양생하기 위한 양생실(8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또한, 상기 데크재이동유닛(220)은,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로 유입되는 상기 논슬립데크재(10)의 상부에 밀착되는 이동롤러(221)와 상기 이동롤러(221)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모터(222)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논슬립데크재에 논슬립배합부재의 설치시, 테크재이송부재, 투입장치, 압착장치로 이루어진 자동화설비에 의해 단시간내 견고히 설치할 수 있어 논슬립데크재의 생산성 향상을 통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고, 상기 논슬립데크재에 설치된 논슬립배합부재가 상기 압착장치에 의해 상기 논슬립데크재에 균일한 압력으로 누락되는 부분없이 압착되게 설치됨에 따라 논슬립데크재의 내구성 향상 및 제품 하자로 인한 유지/보수 비용의 절감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데크재 가공장치의 개략적인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지지프레임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재이송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입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삽입가이드공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착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탈리부재에 의해 논슬립배합부재의 잔여물이 제거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데크재 가공장치에 의해 제조된 논슬립데크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나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데크재 가공장치 및 이로 제조된 논슬립데크재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데크재 가공장치의 개략적인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지지프레임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재이송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입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삽입가이드공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착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탈리부재에 의해 논슬립배합부재의 잔여물이 제거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데크재 가공장치는 논슬립데크재(10)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메인지지프레임(100)과, 상기 논슬립데크재(10)의 이송을 위한 데크재이송부재(200), 상기 논슬립데크재(10)의 논슬립설치홈(11)에 논슬립배합부재(13)를 투입하는 투입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에 압착장치(400)를 설치하여 상기 논슬립설치홈(11)에 투입된 상기 논슬립배합부재(13)를 압착하여 견고히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데크재 가공장치는 상기 데크재이송부재(200)에 의해 상기 논슬립데크재(10)를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투입장치(300)에 의해 상기 논슬립설치홈(11)으로 상기 논슬립배합부재(13)를 투입 후, 상기 논슬립배합부재(13)를 상기 압착장치(400)에 의해 압착하여 상기 논슬립배합부재(13)가 설치된 논슬립데크재를 손쉽고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논슬립배합부재(13)는 합성수지 계열의 바인더에 무기안료, 황토 또는 규사, 탄화왕겨, 숯가루, 고무칩, 세라믹칩, 목재칩, 축광안료, 야광안료 중어느 하나 이상을 배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배합된 상기 논슬립배합부재(13)를 상기 논슬립데크재(10)의 논슬립설치홈(11)에 설치된다.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은 일측면에 논슬립설치홈(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논슬립데크재(10)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하측에는 지면에 안착되는 안착프레임(120)이 일체로 마련된다.
이때,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은 일정길이를 갖는 상태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메인지지구(110)와, 상기 메인지지구(110)의 길이방향 양측단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구(130)로 구성되어 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메인지지구(110) 사이에는 다수개의 회전롤러(111)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회전롤러(111)에 안착된 상기 논슬립데크재(10)가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용이한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메인지지구(110) 중 어느 하나의 메인지지구(110)에는, 상기 논슬립데크재(10)의 이동시 일직선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구(1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회전롤러(111)상으로 유입되는 상기 논슬립데크재(10)는 상기 논슬립설치홈(11)이 상측을 바라보도록 하여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데크재이송부재(200)는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상부에 올려진 상기 논슬립데크재(10)를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회전롤러(111) 상부로 유입되는 상기 논슬립데크재(10)를 다수개의 이동롤러(221)에 의해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것이다.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데크재이송부재(200)는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상부에 올려진 상기 논슬립데크재(10)을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데크재이동유닛(220)과, 상기 데크재이동유닛(220)을 상하이동되게 하거나 수평이동되게 하는 이동가이드유닛(2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에는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가이드봉(210)이 설치되고, 상기 연장가이드봉(210)에는 상기 데크재이동유닛(220)과 연결되는 상기 이동가이드유닛(230)이 연결된다.
즉, 상기 회전롤러(111)의 상부로 유입되는 상기 논슬립데크재(10)의 두께에 따라 상기 이동가이드유닛(230)를 조작하여 상기 데크재이동유닛(220)의 상하 이동을 가능토록 함으로써 다양한 논슬립데크재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논슬립데크재(10)의 길이에 따라 상기 이동가이드유닛(230)를 조작하여 상기 데크재이동유닛(220)의 밀착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논슬립데크재를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용이하게 밀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데크재이동유닛(220)은 상기 회전롤러(111)로 유입되는 상기 논슬립데크재(10)의 상부에 밀착되는 상기 이동롤러(221)와 상기 이동롤러(221)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모터(222)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회전구동모터(222)가 구동하게 되면 상기 회전구동모터(222)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이동롤러(221)가 회전하면서 상기 논슬립데크재(10)를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밀어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이동가이드유닛(230)은 상기 연장가이드봉(21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회전손잡이(250)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251)가 설치되는 이동가이드구(240)와, 상기 이동가이드구(24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피니언기어(251)에 기어결합되는 랙기어(26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평이동가이드봉(26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이동가이드봉(260)의 단부에는 상기 데크재이동유닛(220)이 연결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논슬립데크재(10)의 두께에 따라 상기 데크재이동유닛(220)을 상하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이동가이드구(240)를 상기 연장가이드봉(210) 상에서 이동시키고, 상기 논슬립데크재(10)의 길이에 따라 상기 데크재이동유닛(220)의 밀착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상기 회전손잡이(250)를 회전시켜 상기 수평이동가이드봉(260)이 상기 이동가이드구(240)에서 수평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동가이드구(240)는 상기 수평이동가이드봉(260)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커버브라켓(241)과, 상기 커버브라켓(241)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연장가이드봉(210)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연결커버구(242)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투입장치(300)는 상기 데크재이송부재(200)에 의해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논슬립데크재(10)의 논슬립설치홈(11)에 논슬립배합부재(13)를 투입한다.
즉, 상기 논슬립데크재(10)가 상기 데크재이송부재(200)에 의해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논슬립데크재(10)에 형성된 상기 논슬립설치홈(11)에 상기 논슬립배합부재(13)가 인입되게 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투입장치(300)은 상기 배합부교반장치(600)로부터 이송된 상기 논슬립배합부재(13)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호퍼부(700)가 상면에 장착되고 중앙부에 관통홀(321)이 형성된 장착판(320)과, 상기 장착판(320)의 하측에 상기 관통홀(321)과 연통되게 설치되되 하측면에 상기 논슬립배합부재(13)의 배출을 위한 삽입가이드공(311)이 형성된 통체의 투입관(310)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장착판(320)의 관통홀(321)을 통해 상기 투입관(310)의 내측으로 유입된 상기 논슬립배합부재(13)은 상기 삽입가이드공(311)을 거쳐 상기 논슬립데크재(10)의 논슬립설치홈(11)에 지속적으로 투입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삽입가이드공(311)은 상기 논슬립데크재(10)의 논슬립설치홈(11)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상기 삽입가이드공(311)이 상기 논슬립설치홈(11)보다 큰 경우, 상기 논슬립배합부재(13)가 논슬립데크재의 상면에 도포되거나 위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삽입가이드공(311)이 상기 논슬립설치홈(11)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경우, 상기 논슬립배합부재(13)가 상기 논슬립설치홈(11)의 전부분에 걸쳐 균일한 투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상기 삽입가이드공(311)은 상기 논슬립데크재(10)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논슬립설치홈(11)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삽입가이드공(311)의 갯수는 1개 이상으로 구성되되 상기 논슬립설치홈(11)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논슬립설치홈(11)을 제외한 상기 논슬립데크재(10)의 상면에 상기 논슬립배합부재(13)가 도포되거나 위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논슬립데크재(10)의 상면에 위치하는 논슬립배합부재(13)를 제거하는 후가공작업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압착장치(400)는 상기 투입장치(300)에 의해 상기 논슬립설치홈(11)에 채워진 논슬립배합부재(13)를 압착하여 상기 논슬립배합부재(13)가 상기 논슬립설치홈(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논슬립설치홈(11) 내부에 상기 논슬립배합부재(13)가 빈공간 없이 밀실하게 채워지도록 한다.
즉, 상기 투입장치(300)을 통과하면서 상기 논슬립배합부재(13)가 투입된 부분이 상기 압착장치(400)를 통과하게 되면 상기 논슬립설치홈(11)에 투입된 논슬립배합부재(13)가 압착되면서 상기 논슬립설치홈(11)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압착장치(400)는,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폭방향 양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브라켓(410)과, 상기 지지브라켓(4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이동되는 논슬립데크재의 상부를 압착하여 상기 논슬립설치홈(11)에 채워진 논슬립배합부재(13)를 다지는 압착롤러(4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브라켓(410)은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메인지지구(110)에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연장결합구(430)에 양측이 끼워지게 설치되고, 상기 연장결합구(430)에 끼워진 상기 지지브라켓(410)의 양측 상면에 탄성스프링(440)를 설치후, 상기 연장결합구(430)의 단부에 너트구(450)가 결합되어 상기 압착롤러(42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회전롤러(111)와 상기 압착롤러(420) 사이를 논슬립데크재(10)가 통과하게 되면 상기 압착롤러(420)가 상기 논슬립데크재(10)의 두께만큼 상승되고, 그와 동시에 상기 탄성스프링(440)이 압축되어 일정한 탄성력이 발생됨에 따라 상기 압착롤러(420)가 상기 논슬립데크재(10)의 상면을 일정한 압으로 가압하여 상기 논슬립배합부재(13)를 압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압착롤러(420)의 일측에는 상기 압착롤러(420)에 점착된 논슬립배합부재(13)의 잔연물을 탈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탈리부재(50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압착롤러(420)에 의해 상기 논슬립배합부재(13)가 압착되는 과정에서 잔여물이 상기 압착롤러(420)의 외주면에 점착되어 지속적인 압착작업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함에 따라 상기 압착롤러(420)의 일측에 상기 탈리부재(500)를 설치하여 상기 압착롤러(420)의 외주면에 점착된 논슬립배합부재의 잔연물을 탈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논슬립배합부재(13)의 압착작업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작업의 효율성 증대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압착장치(400)과 탈리부재(500)는 현장상황이나 작업여건, 제품의 품질 향상 등 여러 다양한 상황에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데크재 가공장치에는 상기 논슬립설치홈(11)에 투입되는 상기 논슬립배합부재(13)를 교반하기 위한 배합부교반장치(600)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배합부교반장치(600)는 내부에 수용된 논슬립배합부재를 교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회전되는 배합회전체(미도시)에 상기 논슬립배합부재를 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여려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즉, 무기안료, 황토 또는 규사, 탄화왕겨, 숯가루, 고무칩, 세라믹칩, 목재칩, 축광안료, 야광안료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바인더를 상기 배합바디(610)에 투입한 후, 상기 배합회전체(620)를 일정속도로 회전시키면서 배합하는 것이다.
상기 배합부교반장치(600)를 통해 교반된 논슬립배합부재(13)는 상기 투입장치(300)로 제공되는데, 상기 투입장치(300)의 일측에는 상기 배합부교반장치(600)로부터 제공된 상기 논슬립배합부재(13)를 수용하여 상기 투입장치(300)로 제공하기 위한 상기 호퍼부(700)가 연결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배합부교반장치(600)에서 교반된 상기 논슬립배합부재(13)는 상기 호퍼부(700)로 이동된 후, 상기 투입장치(300)의 투입관(3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압착장치(400)에 의해 다져진 상기 논슬립배합부재(13)를 양생하기 위한 양생실(800)이 마련되는데, 상기 양생실(800)은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길이방향 타측에 설치되어 논슬립배합부재(13)가 압착된 상태의 상기 논슬립데크재(10)를 수용하여 일정기간 동안 양생하여 상기 논슬립배합부재(13)를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데크재 가공장치는 논슬립설치홈이 형성된 논슬립데크재에 논슬립배합부재의 설치공정을 데크재이송부재(200), 투입장치(300), 압착장치(400)로 이루어진 자동화설비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자동화설비로 인한 인건비의 감소와 더불어 고품질의 제품생산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논슬립데크재 가공장치에 의해 제조된 논슬립데크재(10)는 상기 논슬립배합부재(13)가 상기 논슬립설치홈(11)에 견고히 설치됨에 따라 이러한 논슬립데크재의 시공시, 장기간 상기 논슬립배합부재(13)의 탈리 현상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유지 및 보수비용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논슬립데크재 100: 메인지지프레임
110: 메인지지구 120: 안착프레임
130: 연결구 200: 데크재이송부재
210: 연장가이드봉 220: 데크재이동유닛
230: 이동가이드유닛 300: 투입장치
310: 투입관 320: 장착판
400: 압착장치 410: 지지브라켓
420: 압착롤러 500: 탈리부재
600: 배합부교반장치 700: 호퍼부
800: 양생실

Claims (9)

  1. 일측면에 논슬립설치홈(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논슬립데크재(10)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메인지지프레임(100);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상부에 올려진 상기 논슬립데크재(10)를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데크재이송부재(200); 상기 데크재이송부재(200)에 의해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논슬립데크재(10)의 논슬립설치홈(11)에 논슬립배합부재(13)를 투입하도록 이루어지되 하측면에 상기 논슬립데크재(10)의 논슬립설치홈(11)과 대응되는 폭을 갖는 삽입가이드공(311)이 형성된 투입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논슬립배합부재(13)은 합성수지 계열의 바인더에 무기안료, 황토, 규사, 탄화왕겨, 숯가루, 고무칩, 세라믹칩, 목재칩, 축광안료, 야광안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배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데크재이송부재(200)는,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상부에 올려진 상기 논슬립데크재(10)을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데크재이동유닛(220)과,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에 설치되는 연장가이드봉(210)을 매개로 상기 데크재이동유닛(220)에 연결되어 상기 데크재이동유닛(220)을 상하이동되게 하거나 수평이동되게 하는 이동가이드유닛(2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가이드유닛(230)은, 상기 연장가이드봉(21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회전손잡이(250)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251)가 설치되는 이동가이드구(240)와, 상기 이동가이드구(24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피니언기어(251)에 기어결합되는 랙기어(26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평이동가이드봉(26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데크재 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장치(300)에 의해 상기 논슬립설치홈(11)에 채워진 논슬립배합부재(13)를 압착하여 상기 논슬립배합부재(13)가 상기 논슬립설치홈(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압착장치(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데크재 가공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설치홈(11)에 투입되는 상기 논슬립배합부재(13)를 교반하기 위한 배합부교반장치(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데크재 가공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장치(400)는,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폭방향 양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브라켓(410)과, 상기 지지브라켓(4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이동되는 논슬립데크재(10)의 상부를 압착하여 상기 논슬립설치홈(11)에 채워진 논슬립배합부재(13)를 다지는 압착롤러(4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데크재 가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롤러(420)에 점착된 논슬립배합부재의 잔여물을 탈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탈리부재(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데크재 가공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데크재(10)의 논슬립설치홈(11)에 채워진 상기 논슬립배합부재를 양생하기 위한 양생실(8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데크재 가공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재이동유닛(220)은,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로 유입되는 상기 논슬립데크재(10)의 상부에 밀착되는 이동롤러(221)와 상기 이동롤러(221)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모터(2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데크재 가공장치.
  8. 제1항의 가공장치에 의해 상기 논슬립데크재(10)의 논슬립설치홈(11)에 상기 논슬립배합부재(13)가 채워지도록 가공된 논슬립데크재.
  9. 삭제
KR1020190050462A 2019-04-30 2019-04-30 논슬립데크재 가공장치 및 이로 제조된 논슬립데크재 KR102074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462A KR102074795B1 (ko) 2019-04-30 2019-04-30 논슬립데크재 가공장치 및 이로 제조된 논슬립데크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462A KR102074795B1 (ko) 2019-04-30 2019-04-30 논슬립데크재 가공장치 및 이로 제조된 논슬립데크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795B1 true KR102074795B1 (ko) 2020-03-02

Family

ID=69805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462A KR102074795B1 (ko) 2019-04-30 2019-04-30 논슬립데크재 가공장치 및 이로 제조된 논슬립데크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7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2543A (ko) * 2012-09-28 2014-04-07 손권백 건축용 석재패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 석재패널
KR101512275B1 (ko) * 2014-09-20 2015-04-17 최찬우 도로용 미끄럼방지 안전 데크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50045725A (ko) * 2013-10-21 2015-04-29 주식회사 울타리 보도용 데크의 가공장치
KR101783651B1 (ko) * 2017-04-04 2017-10-11 (주)신행건설 압출성형 데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2543A (ko) * 2012-09-28 2014-04-07 손권백 건축용 석재패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 석재패널
KR20150045725A (ko) * 2013-10-21 2015-04-29 주식회사 울타리 보도용 데크의 가공장치
KR101512275B1 (ko) * 2014-09-20 2015-04-17 최찬우 도로용 미끄럼방지 안전 데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83651B1 (ko) * 2017-04-04 2017-10-11 (주)신행건설 압출성형 데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76750B (zh) 全自动仿石砖机及制砖方法
CN111409177B (zh) 一种圆盘旋转式压砖机
CN114311303B (zh) 一种用于土木工程建筑的环保型混凝土加工设备
KR102074795B1 (ko) 논슬립데크재 가공장치 및 이로 제조된 논슬립데크재
CN113276276A (zh) 一种高性能混凝土制备工艺
CN112834356A (zh) 一种混凝土用强度检测装置
CN211250833U (zh) 一种抗裂自修复商砼生产用搅拌仓投料口
KR102063261B1 (ko) 슬립방지형 보드가공장치 및 이로 제조된 슬립방지형 보드
CN213617537U (zh) 一种可提高混凝土质量的混凝土搅拌装置
CN111175120B (zh) 一种用于混凝土抗压设备的全自动上料系统
CN215241842U (zh) 一种混凝土搅拌加工装置
CN113351534A (zh) 一种钢结构工程灌浆套筒制造加工工艺
CN214810396U (zh) 一种透水混凝土用填缝剂生产原料混合装置
CN217257230U (zh) 一种用于石膏粉生产线的石膏料浆搅拌机
CN112264841B (zh) 一种耐高温石墨质导电材料制备加工方法
CN215241682U (zh) 一种水泥盖板生产上料装置
CN110318523A (zh) 一种用于地砖铺设的自动排版机
CN112982082B (zh) 一种灌浆搅拌装置和水稳摊铺机
CN216068080U (zh) 一种人造大理石板震动渗胶设备
CN214687281U (zh) 一种混凝土搅拌机卸料装置
CN220724784U (zh) 一种塑胶跑道施工用摊铺机
CN214267019U (zh) 一种锡膏印刷机钢网固定结构
CN220126781U (zh) 一种建筑混凝土原料筛分装置
CN215150336U (zh) 一种陶瓷生产用的练泥机
CN116810971B (zh) 花岗岩板材的制造装置及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