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678B1 - 트레파닝 모듈 - Google Patents

트레파닝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678B1
KR102074678B1 KR1020180143113A KR20180143113A KR102074678B1 KR 102074678 B1 KR102074678 B1 KR 102074678B1 KR 1020180143113 A KR1020180143113 A KR 1020180143113A KR 20180143113 A KR20180143113 A KR 20180143113A KR 102074678 B1 KR102074678 B1 KR 102074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wedge mount
mount
optical system
indu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규
이수진
박종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텍
Priority to KR1020180143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6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ounting And Adjusting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트레파닝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레파닝 모듈은, 내측에 하나의 웨지 광학계가 각각 고정되고,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영구자석이 각각 고정되는 제1 웨지 마운트 및 제2 웨지 마운트와, 상기 제1 웨지 마운트 및 제2 웨지 마운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연결부를 회전시키는 풀리를 포함하는 웨지 회전체; 및 상기 제1 웨지 마운트의 외측에 배치되고 제어부에 의해 극성이 제어되는 제1유도부 및 상기 제2 웨지 마운트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극성이 제어되는 제2유도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웨지 마운트 및 제2 웨지 마운트는 상기 모터에 의해 연동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1유도부 및 제2유도부의 극성에 따라 직선 이동하여 제1 웨지 마운트의 웨지 광학계와 상기 제2 웨지 마운트의 웨지 광학계 간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트레파닝 모듈{TREPANNING MODULE}
본 발명은 트레파닝 모듈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웨지 광학계 간의 거리 조절이 가능한 트레파닝 모듈에 관한 것이다.
트레파닝 광학계(trepanning optics)는 레이저 드릴링의 효과적인 가공을 위해서 사용되는 광학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트레파닝 광학계는 1)렌즈의 편심을 이용하는 방법, 2축 미러 스캐너를 이용하는 방법, 도브 프리즘(dove prism)을 이용하는 방법, 웨지(wedge)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특히, 웨지를 이용하는 방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서로 마주보고 위치하는 다수의 웨지를 이용하여 레이저 빔을 시편에 입사시킬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웨지 간의 거리 또는 상대적인 각도 등을 이용하여 시편에 입사되는 레이저 빔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웨지의 거리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에 대한 연구 개발이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웨지 간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슬라이딩 장치를 추가할 경우 그에 따라 체적과 무게가 증가하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웨지 간 거리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체적이 작고 무게가 가벼운 트레파닝 모듈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레이저 트레판닝 드릴링을 위한 광학 설계, 노지환, 이제훈, 서정, 손현기, 신동식, 한국레이저가공학회지 제10권 제3호, 2007년10월.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웨지 광학계가 배치된 웨지 회전체의 외측에 웨지 회전체를 회전축을 따라 직선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유도부를 배치하여, 웨지 광학계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그 회전축을 따라 직선 이동되도록 한, 트레파닝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트레파닝 모듈은 내측에 하나의 웨지 광학계가 각각 고정되고,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영구자석이 각각 고정되는 제1 웨지 마운트 및 제2 웨지 마운트와, 상기 제1 웨지 마운트 및 제2 웨지 마운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연결부를 회전시키는 풀리를 포함하는 웨지 회전체; 및 상기 제1 웨지 마운트의 외측에 배치되고 제어부에 의해 극성이 제어되는 제1유도부 및 상기 제2 웨지 마운트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극성이 제어되는 제2유도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웨지 마운트 및 제2 웨지 마운트는 상기 모터에 의해 연동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1유도부 및 제2유도부의 극성에 따라 직선 이동하여 제1 웨지 마운트의 웨지 광학계와 상기 제2 웨지 마운트의 웨지 광학계 간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제1 웨지 마운트와 상기 제2 웨지 마운트 각각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웨지 마운트와 상기 제2 웨지 마운트 각각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연결부와 체결되는 제1 체결홀 및 상기 외측 옆면에 반경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영구자석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풀리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웨지 마운트와 상기 제2 웨지 마운트 사이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연결부가 체결되는 제2 체결홀 및 외측 옆면에 원주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모터와 연결된 벨트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유도부와 상기 제2유도부 각각은 상기 웨지 회전체의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석과 상기 영구자석 간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웨지 마운트와 상기 제2 웨지 마운트를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유도부는 상기 제1유도부의 전자석과 상기 제1 웨지 마운트의 영구자석 간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웨지 마운트를 직선 이동시키고, 상기 제2유도부의 전자석과 상기 제2 웨지 마운트의 영구자석 간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웨지 마운트를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슬라이딩 유도부는 상기 제1 웨지 마운트와 상기 제2 웨지 마운트를 동시에 직선 이동시켜 상기 제1 웨지 마운트의 웨지 광학계와 상기 제2 웨지 마운트의 웨지 광학계 간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유도부는 상기 제1 웨지 마운트와 상기 제2 웨지 마운트 중 어느 하나의 웨지 마운트를 직선 이동시켜 상기 제1 웨지 마운트의 웨지 광학계와 상기 제2 웨지 마운트의 웨지 광학계 간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다수의 웨지 광학계가 배치된 웨지 회전체의 외측에 웨지 회전체를 회전축을 따라 직선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유도부를 배치하고, 웨지 회전체와 슬라이딩 유도부의 자기력을 이용하여 웨지 광학계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그 회전축을 따라 직선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웨지 광학계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 유도부를 다수 개 적용하여 슬라이딩 유도부와 인접한 웨지 회전체를 각각 또는 동시에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웨지 광학계 간의 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웨지 회전체를 직선 이동시킴에 있어서, 기구적으로 제어하지 않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하고, 체적이 작으며, 무게가 가벼워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파닝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파닝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지 회전체를 나타내는 도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지 광학계의 직선 이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트레파닝 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전자석과 영구자석의 자기력을 이용하여 웨지 회전체를 직선 이동시킴으로써, 웨지 광학계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그 회전축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이 간단하고 체적이 작은 새로운 트레파닝 모듈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파닝 모듈(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파닝 모듈(100)은 내측에 하나의 웨지 광학계(10)가 각각 고정되는 두 개 이상의 웨지 마운트(210)가 배치되어 회전하는 웨지 회전체(200), 웨지 회전체(200)의 외측에 배치되어 웨지 마운트(210)를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유도부(300), 웨지 회전체(200)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고, 슬라이딩 유도부(300)를 웨지 회전체(200)의 외측에 고정하는 프레임(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딩 유도부(300)의 전자석(330)과 웨지 회전체(200)의 영구자석(240) 간 자기력을 이용하여 웨지 회전체(200) 즉, 웨지 광학계(10)가 회전상태에서 회전 중심축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 유도부(300)는 인접한 웨지 마운트(210)를 각각 직선 이동시키는 제1유도부(310)와 제2유도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지 회전체(200)를 나타내는 도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지 회전체(200)는 웨지 광학계(10), 웨지 마운트(210), 연결부(220), 풀리(230), 영구자석(240), 웨지 캡(2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웨지 회전체(200)는 프레임(400)의 상부에 일정 높이로 이격 고정되고, 하나의 웨지 광학계(10)가 고정되어 있는 다수의 웨지 마운트(210)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웨지 회전체(200)가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면, 웨지 광학계(10) 자체도 회전되기 때문에 레이저 빔을 회전하는 직선 빔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 마운트(210)는 제1 웨지 마운트(210a)와 제2 웨지 마운트(210b)를 포함할 수 있다.
웨지 마운트(2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측 옆면에는 영구자석(240)이 배치될 수 있다.
웨지 마운트(210)는 연결부(220)와 체결되는 제1 체결홀(211), 영구자석(240)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홈(212), 웨지 광학계(10)가 체결되는 광학계 체결홀(2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홀(211)은 웨지 마운트(210)의 길이방향 즉,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홈(212)은 웨지 마운트(210)의 외측 옆면에 반경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거나 관통될 수 있다.
광학계 체결홀(213)은 웨지 마운트(210)의 길이방향 즉,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되, 웨지 마운트(210)와 광학계 체결홀(213)의 중심축은 동일할 수 있다.
제1 체결홀(211)과 제1 삽입홈(212)은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각각 원주방향으로 등각 이격되고, 제1 삽입홈(212)은 반경방향으로 등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영구자석(240)은 슬라이딩 유도부(300)의 전자석(330)과 인접하게 웨지 마운트(210)의 최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이는 웨지 마운트(210)와 슬라이딩 유도부(300) 간 자기력을 세게 하기 위함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 광학계(10)는 제1 웨지 광학계(10a)와 제2 웨지 광학계(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웨지 광학계(10a)는 제1 웨지 마운트(210a)의 광학계 체결홀(213)에, 제2 웨지 광학계(10b)는 제2 웨지 마운트(210b)의 광학계 체결홀(213)에 각각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웨지 마운트(210)에 의해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웨지 광학계(10)를 이용하여 직선으로 진행하는 레이저 빔의 경로를 바꿀 수 있다.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는 제1 체결홀(211)이 4개 구비되어 있으나, 이는 후술할 연결부(220)에 대응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개수와 위치를 한정하지 않는다.
즉, 웨지 마운트(210)를 안정적으로 회전운동 시키기 위해 연결부(220)의 개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1 체결홀(211)도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는 제1 삽입홈(212)이 4개씩 구비되어 있으나, 이는 영구자석(240) 개수에 대응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개수와 위치를 한정하지 않는다.
즉, 웨지 회전체(200)와 슬라이딩 유도부(300) 간 자기력의 세기를 강화하기 위해 영구자석(240)의 개수를 늘릴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1 삽입홈(212)도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연결부(220)는 제1 웨지 마운트(210a)와 제2 웨지 마운트(210b)를 연결하는 긴 봉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20)는 제1 연결부(220a), 제2 연결부, 제3 연결부 및 제4 연결부(2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220a) 내지 제4 연결부(220b)는 제1 웨지 마운트(210a)의 일측과 제2 웨지 마운트(210b)의 일측 사이에 연결되어, 제1 웨지 마운트(210a)와 제2 웨지 마운트(210b)가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도록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2개의 웨지 광학계(10)가 연결부(220)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조건에 따라 회전하는 직선 레이저 빔의 회전 반경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1 웨지 광학계(10a)와 제2 웨지 광학계(10b)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제1 연결부(220a) 내지 제4 연결부(220b)를 통해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웨지 광학계(10a)와 제2 웨지 광학계(10b)는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직전 이동하되,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웨지 광학계(10a)와 제2 웨지 광학계(10b)는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부(220)의 외측 즉, 연결부(220)와 웨지 마운트(210) 사이에는 연결부(22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부재(221)가 체결될 수 있으며, 이때 연결부재(221)는 볼 베어링일 수 있다.
다음으로, 풀리(230)는 동력원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연결부(220)를 회전시키고, 최종적으로 웨지 마운트(2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동력원은 모터(260)일 수 있고, 모터(260)와 풀리(230)는 벨트(26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풀리(23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두 개 이상의 웨지 마운트(210) 중 하나의 웨지 마운트 즉, 제1 웨지 마운트(210a)와 다른 웨지 마운트 즉, 제2 웨지 마운트(210b) 사이에 배치되거나 어느 일측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풀리(230)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연결부(220)가 체결되는 제2 체결홀(231) 및 외측 옆면에 원주방향으로 함몰되어 모터(260)와 연결된 벨트(261)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홈(2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체결홀(231)은 전술한 제1 체결홀(211)과 같이 연결부(220)의 개수에 대응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개수와 위치를 한정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웨지 캡(250)은 연결부(220)의 양 단부에 체결되어 프레임(400)에 웨지 회전체(200)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웨지 캡(250)은 연결부(220)의 일단부에 체결되는 제1 웨지 캡(250)과 연결부(220)의 타단부에 체결되는 제2 웨지 캡(2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유도부(300)는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즉, 회전 중심축과 직교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전자석(330)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유도부(300)는 전자석(330)과 영구자석(240) 간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웨지 마운트(210) 즉, 웨지 광학계(10)를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 유도부(300)는 풀리(230)의 일측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1유도부(310)와 풀리(230)의 타측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2유도부(32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유도부(310)와 제2유도부(320)는 각각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전자석(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유도부(310)는 제1유도부(310)와 인접한 하나의 웨지 마운트 즉, 제1 웨지 마운트(210a)를 제1유도부(310)의 전자석(330)과 제1 웨지 마운트(210a)에 배치된 영구자석(240) 간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유도부(320)는 제2유도부(320)와 인접한 다른 웨지 마운트 즉, 제2 웨지 마운트(210b)를 제2유도부(320)의 전자석(330)과 제2 웨지 마운트(210b)에 배치된 영구자석(240) 간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 유도부(300) 내 전자석(330)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각각 제어될 수 있으며, 제1유도부(310)와 제2유도부(320)는 전자석(330)에 의해 동일하게 조작되거나 각각 다르게 조작될 수 있다.
즉, 웨지 마운트(210)를 동시에 동량 직선 이동시켜 웨지 광학계(10) 간 이격거리를 조절하거나, 두 개 이상의 웨지 마운트(210) 중 어느 하나의 웨지 마운트(210)만을 직선 이동시켜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웨지 마운트(210)를 동시에 직선 이동시키되 이동 위치를 다르게 하여 웨지 광학계(10) 간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지 광학계(10)의 직선 이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유도부(300)의 전자석(330)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각각 다른 극성을 띌 수 있다.
따라서, 전자석(330)이 영구자석(240)과 같은 극성을 띄도록 하여 웨지 마운트(210)를 밀어내거나, 영구자석(240)과 다른 극성을 띄도록 하여 웨지 마운트(210)를 당겨 웨지 광학계(10) 간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마주보는 전자석(330)은 동일한 극성을 띄도록 제어되어야 한다.
또한, 전자석(330) 간 이격거리와 개수를 변경하여 웨지 마운트(210)를 섬세하게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의 경우, 전자석(330) a, a', c, c', d, d', f, f'는 영구자석(240)과 동일한 극성을 띄기 때문에 전자석(330)과 영구자석(240) 간에는 척력이 작용하고, 전자석(330) b, b', e, e'는 영구자석(240)과 반대 극성을 띄기 때문에 전자석(330)과 영구자석(240) 간에는 인력이 작용하게 되어, 웨지 마운트(210)는 전자석(330) b, b'와 전자석(330) e, e'와 인접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전자석(330)의 극성을 제어하여 웨지 광학계(10) 간의 거리가 좁아지는 경우에는 회전 중심축과 회전하는 레이저 빔과의 거리가 좁아져 레이저 빔의 회전 반경이 작아지게 되고, 웨지 광학계(10) 간의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 회전 중심축과 회전하는 레이저 빔과의 거리가 멀어져 레이저 빔의 회전 반경이 커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슬라이딩 구조 없이 전자석(330)의 극성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웨지 광학계(10) 간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듈 내 구성품을 최소화 하면서도 섬세하게 레이저 빔의 경로 조절이 가능한 트레파닝 모듈(100)을 제공할 수 있다.
덧붙여,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웨지 회전체(200)는 웨지 마운트(210)를 2개, 슬라이딩 유도부(300)를 제1유도부(310)와 제2유도부(320)로 총 2개, 연결부(220)를 4개, 영구자석(240)을 4개, 제1유도부(310)와 제2유도부(320) 각각이 전자석(330)을 4개씩 포함되는 경우이나, 본 발명은 구성요소의 숫자나 형태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슬라이딩 유도부(300) 내 전자석(330)의 개수, 형태, 간격은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도 4를 제외한 모든 도면에는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웨지 회전체(200)의 동력원인 모터(260)와 모터(260)의 회전력을 웨지 회전체(200)에 전달하는 벨트(261)를 생략하였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트레파닝 모듈
200: 웨지 회전체
300: 슬라이딩 유도부
400: 프레임
210: 웨지 마운트
210a: 제1 웨지 마운트
210b: 제2 웨지 마운트
220: 연결부
220a: 제1 연결부
220b: 제4 연결부
230: 풀리
240: 영구자석
250: 웨지 캡
260: 모터
310: 제1유도부
320: 제2유도부
330: 전자석
211: 제1 체결홀
212: 제1 삽입홈
213: 광학계 체결홀
221: 연결부재
231: 제2 체결홀
232: 제2 삽입홈
261: 벨트
10: 웨지 광학계
10a: 제1 웨지 광학계
10b: 제2 웨지 광학계

Claims (10)

  1. 내측에 하나의 웨지 광학계가 각각 고정되고,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영구자석이 각각 고정되는 제1 웨지 마운트 및 제2 웨지 마운트와, 상기 제1 웨지 마운트 및 제2 웨지 마운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연결부를 회전시키는 풀리를 포함하는 웨지 회전체; 및
    상기 제1 웨지 마운트의 외측에 배치되고 제어부에 의해 극성이 제어되는 제1유도부 및 상기 제2 웨지 마운트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극성이 제어되는 제2유도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웨지 마운트 및 제2 웨지 마운트는,
    상기 모터에 의해 연동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1유도부 및 제2유도부의 극성에 따라 직선 이동하여 제1 웨지 마운트의 웨지 광학계와 상기 제2 웨지 마운트의 웨지 광학계 간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트레파닝 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지 마운트와 상기 제2 웨지 마운트 각각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트레파닝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지 마운트와 상기 제2 웨지 마운트 각각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연결부와 체결되는 제1 체결홀; 및
    외측 옆면에 반경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영구자석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홈;을 포함하는, 트레파닝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웨지 마운트와 상기 제2 웨지 마운트 사이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연결부가 체결되는 제2 체결홀; 및
    외측 옆면에 원주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모터와 연결된 벨트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홈;을 포함하는, 트레파닝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도부와 상기 제2유도부 각각은
    상기 웨지 회전체의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석과 상기 영구자석 간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웨지 마운트 및 제2 웨지 마운트를 직선 이동시키는, 트레파닝 모듈.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유도부는
    상기 제1유도부의 전자석과 상기 제1 웨지 마운트의 영구자석 간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웨지 마운트를 직선 이동시키고,
    상기 제2유도부의 전자석과 상기 제2 웨지 마운트의 영구자석 간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웨지 마운트를 직선 이동시키는, 트레파닝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유도부는
    상기 제1 웨지 마운트와 상기 제2 웨지 마운트를 동시에 직선 이동시켜 상기 제1 웨지 마운트의 웨지 광학계와 상기 제2 웨지 마운트의 웨지 광학계 간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트레파닝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유도부는
    상기 제1 웨지 마운트와 상기 제2 웨지 마운트 중 어느 하나의 웨지 마운트를 직선 이동시켜 상기 제1 웨지 마운트의 웨지 광학계와 상기 제2 웨지 마운트의 웨지 광학계 간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트레파닝 모듈.
KR1020180143113A 2018-11-20 2018-11-20 트레파닝 모듈 KR102074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113A KR102074678B1 (ko) 2018-11-20 2018-11-20 트레파닝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113A KR102074678B1 (ko) 2018-11-20 2018-11-20 트레파닝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678B1 true KR102074678B1 (ko) 2020-02-07

Family

ID=69570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113A KR102074678B1 (ko) 2018-11-20 2018-11-20 트레파닝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6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393A (ko) * 2008-07-18 2010-01-27 한국기계연구원 세차 운동을 하는 레이저 빔의 경로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모듈을 갖는 레이저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가공방법
JP2011167704A (ja) * 2010-02-16 2011-09-01 Hrd Kk ビームローテータ
KR20140028197A (ko) * 2012-08-27 2014-03-10 주식회사 엘티에스 레이저 헬리컬 드릴링 장치
KR20180100417A (ko) * 2016-02-15 2018-09-10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레이저 가공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393A (ko) * 2008-07-18 2010-01-27 한국기계연구원 세차 운동을 하는 레이저 빔의 경로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모듈을 갖는 레이저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가공방법
JP2011167704A (ja) * 2010-02-16 2011-09-01 Hrd Kk ビームローテータ
KR20140028197A (ko) * 2012-08-27 2014-03-10 주식회사 엘티에스 레이저 헬리컬 드릴링 장치
KR20180100417A (ko) * 2016-02-15 2018-09-10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레이저 가공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레이저 트레판닝 드릴링을 위한 광학 설계, 노지환, 이제훈, 서정, 손현기, 신동식, 한국레이저가공학회지 제10권 제3호, 2007년10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3135B1 (ko) 비대칭 지지 구조의 자동초점 조절장치
CN105929517B (zh) 透镜驱动装置
KR102192244B1 (ko) 기판 이송장치
US8179007B2 (en) Gimbal
KR101704498B1 (ko) 3위치 지지구조의 자동초점 조절장치
KR101451652B1 (ko) 구름 가이드 구조를 갖는 렌즈 초점거리 조절모듈
US7505243B2 (en) Magnetic levitation apparatus
JP4893626B2 (ja) 磁界制御方法および磁界発生装置
CA2120981C (en) Permanent magnetic suspension with roller guides
KR102074678B1 (ko) 트레파닝 모듈
US9823464B2 (en) Optical module for vibrating light beam
KR102142058B1 (ko) 트레파닝 모듈
JP2017015963A (ja) レンズ鏡筒
US20120237147A1 (en) Integrated ball cage
EP2721439B1 (en) Positioning apparatus and system for directing a beam
US11073614B2 (en) Lidar sensor for detecting an object
JP2013123297A (ja) 磁気浮揚装置
US20110215889A1 (en) Stabilized ball bearings for camera lens
EP2210035B1 (en) Suspension arrangement for directional equipment
US6572327B1 (en) Method for positioning a cylindrical article
KR20230143289A (ko) 회전 이동이 가능한 자기부상 기구
KR20170005882A (ko) 전자기력으로 구동되는 유체 프리즘 소자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319178B1 (ko) 렌즈 이동장치
WO2018158804A1 (ja) 制振台
KR20030035593A (ko) 선형구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