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616B1 - 복합 체결형 자동 버클 및 이를 구비하는 허리띠 - Google Patents
복합 체결형 자동 버클 및 이를 구비하는 허리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4616B1 KR102074616B1 KR1020190093001A KR20190093001A KR102074616B1 KR 102074616 B1 KR102074616 B1 KR 102074616B1 KR 1020190093001 A KR1020190093001 A KR 1020190093001A KR 20190093001 A KR20190093001 A KR 20190093001A KR 102074616 B1 KR102074616 B1 KR 1020746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lt
- buckle
- rotation
- protrusion
- ca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9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fastening by sliding in the main plane or a plane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누름 조작만으로 벨트와 허리띠가 용이하게 체결 및 체결해제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을 증대시키면서도,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되어 향상된 제작성과 조립성 및 심플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으며, 구멍형 허리띠, 톱니 걸림형 허리띠, 및 무체결부형(민자형) 허리띠 모두에 적용될 수 있어 기능성과 경제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 체결형 자동 버클 및 이를 구비하는 허리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는 버클 바디; 상기 버클 바디의 일단부에 구비되되, 그 버클 바디의 일단부와의 사이로 허리띠가 통과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 로드; 및 상기 버클 바디의 타단부에 구비되되 그 버클 바디의 타단부와의 사이로 허리띠가 통과되도록 구비되며, 누름과 누름해제 조작으로 회동하여 통과하는 허리띠를 구속 및 구속해제하도록 구성되는 허리띠 체결 조작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허리띠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합 체결형 자동 버클 및 이를 구비하는 허리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누름 조작만으로 벨트와 허리띠가 용이하게 체결 및 체결해제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을 증대시키면서도,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되어 향상된 제작성과 조립성 및 심플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으며, 구멍형 허리띠, 톱니 걸림형 허리띠, 및 무체결부형(민자형) 허리띠 모두에 적용될 수 있어 기능성과 경제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 체결형 자동 버클 및 이를 구비하는 허리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허리띠(혁대)(belt)는 바지나 치마 등에 착용하여 상기 하의가 밑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잡아주기 위한 보조구로서, 허리띠는 통상 바지나 치마의 상단 둘레방향에 끼워져 사용자가 하의를 입은 상태로 허리띠를 자신의 허리 둘레에 알맞게 잠금 체결함으로써 착용된다.
일반적으로 혁대용 버클은 바지 등이 내려가지 않도록 바지의 상단부에 둘러지는 혁대의 양단부를 알맞은 길이로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체결방식에 따라 매우 여러 가지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혁대용 버클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1에 나타낸 혁대용 버클(10a)은, 버클본체(12a)에 걸고리(14a)가 형성되어 있고 혁대(1)에는 상기 걸고리(14a)가 끼워지는 걸림공(2)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혁대(1)의 착용시에는 사용자가 혁대(1)에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공(2) 중 어느 하나의 걸림공(2)에 걸고리(14a)를 끼워 혁대(1)가 버클본체(10a)에 걸리도록 하고, 이와는 반대로 혁대(1)를 풀고자 하는 경우에는 걸림공(2)에 걸려 있던 걸고리(14a)를 빼내어 혁대(1)의 걸림상태를 해제시켜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일 예의 혁대용 버클(10a)은 걸고리(14a)를 수동으로 끼워넣고 빼내는 동작을 해야하기 때문에 조작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갈고리(14a)를 반드시 구비해야 하는 구조로 미려하고 멋스러운 외관을 갖는 버클을 제공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혁대에 걸림공을 형성하지 않으면서도 혁대의 조임상태를 미세 조정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혁대용 버클이 제시되어 있으며, 이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종래 혁대용 버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낸 종래 다른 예의 혁대용 버클(10)은, 버클본체(12)의 이면에 플랜지(12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12a)의 일단에는 고정바(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13)에 혁대(1)의 일단을 감싼 상태로 고정구(3)로서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12a)의 중간부위에는 축공(12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축공(12b)에는 어느 일측(혁대와의 접속면)으로 복수개의 고정돌기(14a)가 형성된 회전부재(14)와 어느 일단에 손잡이(16a)가 형성된 레버(16)가 힌지축(11)에 의해 동시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부재(14)와 레버(16)가 탄력적으로 결합되게 하고자 상기 회전부재(14)와 레버(16)의 사이에는 상기 힌지축(11)을 감싸도록 스프링(18)이 설치되는데, 상기 스프링(18)의 일단은 회전부재(14)에 지지되고, 다른 일단은 레버(16)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부재(14)와 레버(16)가 항상 힌지축(11)을 중심으로 도면상에서 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받아 혁대(1)에 밀착되는 힘을 갖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다른 예의 혁대용 버클(10)은 상기 회전부재(14)와 레버(16)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8)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14)와 레버(16)가 힌지축(11)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갖게 됨으로 상기 회전부재(14)의 일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돌기(14a)가 혁대(1)의 이면에 밀착되어 혁대를 눌러주게되고, 이에 따라 혁대의 위치는 가변되지 않는다.
또한, 혁대를 풀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돌기(14a)의 걸림상태를 해제시켜야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레버(16)의 일단에 형성된 손잡이(16a)를 혁대 측으로 눌러주면 상기 레버(16)가 회전부재(14)의 일단을 밀어주게 되므로 상기 회전부재(14)가 스프링(18)을 압축시키면서 힌지축(11)을 중심으로 도면상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1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고정돌기(14a)가 혁대(1)의 이면에서 분리되면서 혁대(1)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혁대(1)를 버클본체(12)로부터 빠져나오게 할 수 있다.
한편, 혁대가 풀어진 상태에서 누르고 있던 손잡이(16a)를 놓게 되면 외력이 제거되면서 압축되었던 스프링(18)의 복원력으로 초기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혁대를 착용하기 위해 혁대(1)의 일단을 다시 버클본체(12)의 내부로 밀어 넣으면 혁대(1)의 삽입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14)가 스프링(18)을 압축시키면서 힌지축(1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소정의 위치(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따른 적절한 위치)에서 혁대의 삽입을 중단하면 회전되었던 회전부재(14)가 스프링(18)의 복원력으로 초기상태로 되면서 혁대(1)가 버클본체(12)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종래 다른 예의 혁대용 버클(10)은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따라 혁대의 조임상태를 미세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나,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성과 조립성이 떨어지며, 고정돌기(14a)가 닿는 부분이 마모되는 경우 안정된 고정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3은 종래 또 다른 예의 혁대용 버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의 혁대용 버클은 걸림부재를 강제적으로 들어올려 벨트의 걸림부로 부터 걸림부재를 이탈시켜 해정상태를 가지도록 된 혁대용 버클구조로서, 버클의 몸체(1) 일측으로 축을 통해 유동가능케 조립된 벨트고정부재(2)에 대해 톱니형태의 걸림부(B1)가 부설된 벨트(B) 일측단이 이탈되지 못하도록 조립되어 있고, 몸체에 회전가능케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부재(5)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는 탄성부재(4)의 타측이 탄지되어 있어 이 탄성부재(4)의 복원력에 의하여 항시 일방향으로만 작용되면서 탄력적으로 벨트(B)의 걸림부(B1)에 대해 걸림작용하는 걸림부재(3)가 부설구비되어 있으며, 걸림부재(3)에 대해 벨트걸림부(B1)와 걸림해제상태를 갖도록 하는 누름식 구조의 걸림해제수단(가)이 갖추어져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종래 또 다른 예에 따른 혁대용 버클은 부품수가 많고 조립공정이 복잡함에 따라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을 가지며, 특히 걸림부가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혁대에 적용되는 한계가 따르며, 걸림부가 마모되거나 훼손되는 경우 벨트로서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각 예의 혁대용 버클은 그 버클에 맞는 전용 혁대에 대해서만 착용해야 하기 때문에, 여러 개의 혁대용 버클을 구비하여야 하고, 이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간단한 누름 조작만으로 벨트와 허리띠가 용이하게 체결 및 체결해제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을 증대시키면서도,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되어 향상된 제작성과 조립성 및 심플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복합 체결형 자동 버클 및 이를 구비하는 허리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멍형 허리띠, 톱니형 허리띠, 및 무체결부형(민자형) 허리띠 모두에 적용될 수 있어 기능성과 경제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 체결형 자동 버클 및 이를 구비하는 허리띠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는 버클 바디; 상기 버클 바디의 일단부에 구비되되, 그 버클 바디의 일단부와의 사이로 허리띠가 통과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 로드; 및 상기 버클 바디의 타단부에 구비되되 그 버클 바디의 타단부와의 사이로 허리띠가 통과되도록 구비되며, 누름과 누름해제 조작으로 회동하여 통과하는 허리띠를 구속 및 구속해제하도록 구성되는 허리띠 체결 조작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버클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버클 바디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면 일단부 양측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로드가 장착되는 가이드로드 장착편, 및 상기 바디부의 일면 타단부 양측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허리띠 체결 조작 수단이 장착되는 체결조작수단 장착편을 포함하며, 상기 허리띠 체결 조작 수단은 통 형상의 회동 바디와, 상기 회동 바디의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는 록킹-언록킹 돌기와, 상기 회동 바디의 일단부에 탈락 방지되게 구비되어 상기 체결조작수단 장착편의 일측 장착편에 장착되는 회전 장착 돌기와, 일단부는 상기 회동 바디 내로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회동 바디의 타단부에 노출되며 그 회동 바디에 선형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 조작 부재와, 상기 회동 바디 내에서 상기 회전 장착 돌기와 회동 조작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체, 및 상기 회동 바디와 상기 회동 조작 부재 간에 구성되어 상기 회동 조작 부재의 선형 운동을 상기 회동 바디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캠 운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록킹-언록킹 돌기는 기단부(proximal end portion)가 상기 회동 바디에 일체로 형성되고, 선단부(distal end portion)는 상기 버클 바디의 일면 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록킹-언록킹 돌기의 선단부의 끝단은 돔형 돌기, 일(一)자형의 선형 첨단, 및 톱니형 돌기가 다수 형성되는 톱니형 돌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회동 조작 부재는 봉 형상의 로드부, 및 상기 로드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의 U자형으로 형성되는 노브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조작수단 장착편의 일측 장착편에는 상기 노브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방형 구멍 또는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U자형 노브부의 내측 공간의 폭은 상기 회동 바디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캠 운동 수단은 상기 회동 바디의 내연에 돌출 형성되는 캠 돌기, 및 상기 로드부의 외연에 형성되어 상기 캠 돌기가 가이드되는 캠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캠팔로워 슬롯은 상기 로드부의 일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형성되는 장착용 가이드 슬롯부; 및 상기 장착용 가이드 슬롯부의 끝단에서 나선형으로 소정 길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 조작 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캠 돌기가 가이드되면서 상기 회동 바디를 상대적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캠팔로우 슬롯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상기한 일 관점에 따른 자동 버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띠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체결형 자동 버클 및 이를 구비하는 허리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간단한 누름 조작만으로 벨트와 허리띠가 용이하게 체결 및 체결해제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되어 상대적으로 부품수 감소와 제작 공수의 감소로 제작성과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벨트로서의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심플한 디자인으로 구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구멍이 형성되는 허리띠, 톱니형의 걸림부가 형성되는 허리띠, 및 구멍이나 걸림부가 없는 무체결부형(민자형) 허리띠 모두에 적용될 수 있어 기능성과 경제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혁대용 버클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혁대용 버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또 다른 예의 혁대용 버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체결형 자동 버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체결형 자동 버클을 구성하는 버클 바디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체결형 자동 버클을 구성하는 허리띠 체결 조작 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체결형 자동 버클을 구성하는 허리띠 체결 조작 수단을 구성하는 회동 조작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체결형 자동 버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와 일측 측면도들이다.
도 2는 종래 혁대용 버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또 다른 예의 혁대용 버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체결형 자동 버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체결형 자동 버클을 구성하는 버클 바디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체결형 자동 버클을 구성하는 허리띠 체결 조작 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체결형 자동 버클을 구성하는 허리띠 체결 조작 수단을 구성하는 회동 조작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체결형 자동 버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와 일측 측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상에"또는 "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적 시계열적인 관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각 단계 후의 혼합하는 단계와 같이 두 단계의 순서에 시계열적 순서가 바뀔 수 있는 간접적 시계열적 관계에 있는 경우와 동일한 권리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체결형 자동 버클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체결형 자동 버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체결형 자동 버클을 구성하는 버클 바디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체결형 자동 버클을 구성하는 허리띠 체결 조작 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체결형 자동 버클을 구성하는 허리띠 체결 조작 수단을 구성하는 회동 조작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체결형 자동 버클을 구성하는 허리띠 체결 조작 수단의 내부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와 일측 측면도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체결형 자동 버클은, 도 4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는 버클 바디(buckle body)(100); 상기 버클 바디(100)의 일단부에 구비되되, 그 버클 바디(100)의 일단부와의 사이로 허리띠(혁대)가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 로드(200); 및 상기 버클 바디(100)의 타단부에 구비되되 그 버클 바디(100)의 타단부와의 사이로 허리띠(혁대)가 통과하도록 구비되며, 누름과 누름해제 조작으로 회동하여 통과하는 허리띠를 구속 및 구속해제하도록 구성되는 허리띠 체결 조작 수단(300);을 포함한다.
상기 버클 바디(100)의 다양하고 미려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일단부와 타단부에서 각각 상기 가이드 로드(200)와 허리띠 체결 조작 수단을 일정 간격을 갖고 구비되도록 하여, 그 버클 바디(100)의 일면(배면 측)과 가이드 로드(200)와 허리띠 체결 조작 수단 사이로 허리띠가 통과(가이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버클 바디(100)는 도 4 및 도 5에 나탄내 바와 같이, 틀 형태 또는 면 형태의 바디부(110)와, 상기 바디부(110)의 일면(배면) 일단부 양측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로드(200)가 장착되는 가이드로드 장착편(120), 및 상기 바디부(110)의 일면(배면) 타단부 양측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허리띠 체결 조작 수단이 장착되는 체결조작수단 장착편(130)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110)는 디자인적인 면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나 형상으로 형성되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장식이나 문양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가이드로드 장착편(120)에는 상기 가이드 로드(200)의 양단부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구멍(121)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조작수단 장착편(130)의 일측 장착편(131)에는 상기 허리띠 체결 조작 수단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결합 구멍(131a)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조작수단 장착편(130)의 타측 장착편(132)에는 아래에 자세히 설명될 허리띠 체결 조작 수단을 구성하는 회전 조작 부재가 선형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방형 구멍 또는 슬롯(slot)(132a)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 로드(200)는 상기 버클 바디(100)의 일단부, 즉 상기 버클 바디(100)의 가이드로드 장착편(12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봉형 로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 로드(200)는 상기 가이드로드 장착편(120)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 로드(200)는 일단부가 가이드로드 장착편(120)의 일측 장착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 로드 바디부, 및 상기 로드 바디부의 타단부 내에 구비된 탄성체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그 타단부로부터 탈락 방지되게 구비되는 탄성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로드(200)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상기 로드 바디부의 일단부를 일측 가이드로드 장착편(120)의 결합 구멍에 삽입하고, 상기 탄성 결합돌기를 로드 바디부의 내측으로 밀어넣은 상태에서 상기 로드 바디부의 타측 가이드로드 장착편(120) 측의 결합 구멍에 정렬시킨 상태에서 놓게 되면 탄성 결합돌기는 외측으로 탄성 돌출되면서 타측 가이드로드 장착편(120)의 결합 구멍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 로드(200)는 반드시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또한 봉 형상으로 제한될 필요가 없고 다각형의 로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버클 바디(100)의 타단부에 구비되되 그 버클 바디(100)의 타단부와의 사이로 허리띠(혁대)가 통과하도록 구비되며, 누름과 누름해제 조작으로 일정 각도 회동하여 그 사이로 통과하는 허리띠를 구속 및 구속해제하도록 구성되는 허리띠 체결 조작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허리띠 체결 조작 수단은 도 4,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양단 개구의 원기둥 중공을 갖는 통 형상의 회동 바디(310)와, 상기 회동 바디(310)의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는 록킹-언록킹 돌기(320)와, 상기 회동 바디(310)의 일단부에 탈락 방지되게 구비되는 회전 장착 돌기(330)와, 일단부는 상기 회동 바디(310) 내로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회동 바디(310)의 타단부에 노출되며 그 회동 바디(310)에 선형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 조작 부재(340), 상기 회동 바디(310) 내에서 상기 회전 장착 돌기(330)와 회동 조작 부재(34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체(350), 및 상기 회동 바디(310)와 상기 회동 조작 부재(340) 간에 구성되어 상기 회동 조작 부재(340)의 선형 운동을 상기 회동 바디(310)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캠 운동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회동 바디(310)는 내부 중공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외면은 사각형을 포함한 다각형의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언록킹 돌기(320)는 기단부(proximal end portion)가 상기 회동 바디(310)에 일체로 형성되고, 선단부(distal end portion)는 버클 바디(100)의 내면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예를 들면, 절곡 연장되거나 곡률을 갖고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록킹-언록킹 돌기(320)의 선단부의 끝단은 돔형 돌기로 이루어지거나, "일(一)"자형의 선형 첨단으로 이루어지거나, 톱니형 돌기가 다수 형성되는 톱니형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록킹-언록킹 돌기(320)의 선단부의 끝단이 돔형 돌기로 이루어지는 경우, 체결 구멍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허리띠(도 1과 같은 허리띠)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록킹-언록킹 돌기(320)의 선단부의 끝단이 "일(一)"자형의 선형 첨단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톱니 형태의 걸림부가 형성되는 허리띠(도 3과 같은 허리띠)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록킹-언록킹 돌기(320)의 선단부의 끝단이 톱니형 돌기가 다수 형성되는 톱니형 돌기로 이루어지는 경우, 무체결부형(민자형) 허리띠(도 2 참조)에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록킹-언록킹 돌기(320)의 선단부의 끝단이 톱니형 돌기가 다수 형성되는 톱니형 돌기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톱니 형태의 걸림부가 형성되는 허리띠(도 3과 같은 허리띠)에도 적용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회동 조작 부재(340)는 원형 봉 형상의 로드부(341), 및 상기 로드부(341)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의 "U자"형으로 형성되는 노브부(342)를 포함한다.
상기 "U자"형 노브부(342)의 내측 공간의 폭은 회동 바디(310)의 내연과 외연 간의 두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회동 조작 부재(340)의 슬라이딩 이동 시 그 "U자"형 노브부(342)의 내측 공간으로 회동 바디(310)의 타단부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인 허리띠 체결 조작 수단의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자"형 노브부(342)가 장착되는 상기 회동 바디(310)의 장방형 구멍 또는 슬롯(slot)(132a)은 상기 노브부(342)의 외형에 상응하는 구멍 또는 슬롯으로 형성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탄성체(350)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동 바디(310) 내에서 회전 장착 돌기(330)와 회동 조작 부재(34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회동 바디(310)와 상기 회동 조작 부재(340) 간에 구성되어 상기 회동 조작 부재(340)의 선형 운동을 상기 회동 바디(310)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캠 운동 수단은, 상기 회동 바디(310)의 내연의 소정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캠 돌기(361), 및 상기 회동 조작 부재(340)의 외면의 소정 구간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캠 돌기(361)를 따라 가이드되는 캠 슬롯(362)을 포함한다.
상기 캠팔로우 슬롯(362)은 구체적으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회동 조작 부재(340)의 로드부(341)의 일단에서 소정 길이 형성되는 장착용 가이드 슬롯부(362a), 및 상기 장착용 가이드 슬롯부(362a)의 끝단에서 소정 길이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캠팔로우 슬롯부(362b)을 포함한다.
상기 장착용 가이드 슬롯부(362a)는 회동 조작 부재(340)의 로드부(341)를 회동 바디(310) 내측으로 삽입 장착시킬 때 캠 돌기(361)가 캠팔로우 슬롯부(362b) 측으로 안내되도록 가이드하는 슬롯이며, 상기 캠팔로우 슬롯부(362b)는 도 8의 (A)와 같이 캠 돌기(361)가 캠팔로우 슬롯부(362b)의 끝단에 위치된 상태에서 회동 조작 부재(340)를 회동 바디(310)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되면 그 회동 조작 부재(34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캠 돌기(361)가 캠팔로우 슬롯부(362b)를 따라 이동하면서 회동 바디(310)를 상대적으로 소정 각도 회동시키게 된다(도 8의 (B)).
도 8에서 (A)는 회동 조작 부재(340)가 슬라이딩 이동하기 전이고 이에 따라 회동 바디(310)의 록킹-언록킹 돌기(320)는 허리띠를 구속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8에서 (B)는 회동 조작 부재(340)가 회동 바디(310)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이에 따라 회동 바디(310)가 상대 운동으로 회동하여 록킹-언록킹 돌기(320)가 허리띠를 구속해제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체결형 자동 버클 및 이를 구비하는 허리띠에 따르면, 간단한 누름 조작만으로 벨트와 허리띠가 용이하게 체결 및 체결해제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되어 상대적으로 부품수 감소와 제작 공수의 감소로 제작성과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벨트로서의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심플한 디자인으로 구현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멍이 형성되는 허리띠, 톱니형의 걸림부가 형성되는 허리띠, 및 구멍이나 걸림부가 없는 무체결부형(민자형) 허리띠 모두에 적용될 수 있어 기능성과 경제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은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버클 바디
110: 바디부
120: 가이드로드 장착편
121: 결합 구멍
130, 131, 132: 체결조작수단 장착편
131a: 결합 구멍
132a: 장방형 구멍(슬롯)
200: 가이드 로드
300: 허리띠 체결 조작 수단
310: 회동 바디
320: 록킹-언록킹 돌기
330: 회전 장착 돌기
340: 회동 조작 부재
341: 로드부
342: 노브부
350: 탄성체
361: 캠 돌기
362: 캠팔라우 슬롯
362a: 장착용 가이드 슬롯부
362b: 캠팔로우 슬롯부
110: 바디부
120: 가이드로드 장착편
121: 결합 구멍
130, 131, 132: 체결조작수단 장착편
131a: 결합 구멍
132a: 장방형 구멍(슬롯)
200: 가이드 로드
300: 허리띠 체결 조작 수단
310: 회동 바디
320: 록킹-언록킹 돌기
330: 회전 장착 돌기
340: 회동 조작 부재
341: 로드부
342: 노브부
350: 탄성체
361: 캠 돌기
362: 캠팔라우 슬롯
362a: 장착용 가이드 슬롯부
362b: 캠팔로우 슬롯부
Claims (7)
-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는 버클 바디;
상기 버클 바디의 일단부에 구비되되, 그 버클 바디의 일단부와의 사이로 허리띠가 통과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 로드; 및
상기 버클 바디의 타단부에 구비되되 그 버클 바디의 타단부와의 사이로 허리띠가 통과되도록 구비되며, 누름과 누름해제 조작으로 회동하여 통과하는 허리띠를 구속 및 구속해제하도록 구성되는 허리띠 체결 조작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버클 바디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면 일단부 양측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로드가 장착되는 가이드로드 장착편, 및 상기 바디부의 일면 타단부 양측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허리띠 체결 조작 수단이 장착되는 체결조작수단 장착편을 포함하며,
상기 허리띠 체결 조작 수단은 통 형상의 회동 바디와, 상기 회동 바디의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는 록킹-언록킹 돌기와, 상기 회동 바디의 일단부에 탈락 방지되게 구비되어 상기 체결조작수단 장착편의 일측 장착편에 장착되는 회전 장착 돌기와, 일단부는 상기 회동 바디 내로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회동 바디의 타단부에 노출되며 그 회동 바디에 선형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 조작 부재와, 상기 회동 바디 내에서 상기 회전 장착 돌기와 회동 조작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체, 및 상기 회동 바디와 상기 회동 조작 부재 간에 구성되어 상기 회동 조작 부재의 선형 운동을 상기 회동 바디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캠 운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버클.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언록킹 돌기는 기단부(proximal end portion)가 상기 회동 바디에 일체로 형성되고, 선단부(distal end portion)는 상기 버클 바디의 일면 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록킹-언록킹 돌기의 선단부의 끝단은 돔형 돌기, 일(一)자형의 선형 첨단, 및 톱니형 돌기가 다수 형성되는 톱니형 돌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버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조작 부재는 봉 형상의 로드부, 및 상기 로드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의 U자형으로 형성되는 노브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조작수단 장착편의 일측 장착편에는 상기 노브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방형 구멍 또는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버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노브부의 내측 공간의 폭은 상기 회동 바디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캠 운동 수단은 상기 회동 바디의 내연에 돌출 형성되는 캠 돌기, 및 상기 로드부의 외연에 형성되어 상기 캠 돌기가 가이드되는 캠팔로우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버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캠팔로우 슬롯은
상기 로드부의 일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형성되는 장착용 가이드 슬롯부; 및
상기 장착용 가이드 슬롯부의 끝단에서 나선형으로 소정 길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 조작 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캠 돌기가 가이드되면서 상기 회동 바디를 상대적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캠팔로우 슬롯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버클.
- 청구항 1,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동 버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3001A KR102074616B1 (ko) | 2019-07-31 | 2019-07-31 | 복합 체결형 자동 버클 및 이를 구비하는 허리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3001A KR102074616B1 (ko) | 2019-07-31 | 2019-07-31 | 복합 체결형 자동 버클 및 이를 구비하는 허리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74616B1 true KR102074616B1 (ko) | 2020-02-06 |
Family
ID=69569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3001A KR102074616B1 (ko) | 2019-07-31 | 2019-07-31 | 복합 체결형 자동 버클 및 이를 구비하는 허리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4616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8516Y1 (ko) * | 1999-07-26 | 2000-02-15 | 유성호 | 의복용 버클 |
KR200235276Y1 (ko) | 2001-03-19 | 2001-10-18 | 김인석 | 허리띠 버클 |
KR200376460Y1 (ko) | 2004-12-08 | 2005-03-10 | 박태교 | 버클 |
KR20100007899U (ko) * | 2009-01-30 | 2010-08-09 | 손영수 | 혁대용 버클 |
KR20100008345U (ko) | 2009-02-13 | 2010-08-23 | 유성호 | 허리띠용 버클 |
KR20110004274U (ko) | 2009-10-23 | 2011-04-29 | 유성호 | 허리띠용 버클 |
-
2019
- 2019-07-31 KR KR1020190093001A patent/KR10207461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8516Y1 (ko) * | 1999-07-26 | 2000-02-15 | 유성호 | 의복용 버클 |
KR200235276Y1 (ko) | 2001-03-19 | 2001-10-18 | 김인석 | 허리띠 버클 |
KR200376460Y1 (ko) | 2004-12-08 | 2005-03-10 | 박태교 | 버클 |
KR20100007899U (ko) * | 2009-01-30 | 2010-08-09 | 손영수 | 혁대용 버클 |
KR20100008345U (ko) | 2009-02-13 | 2010-08-23 | 유성호 | 허리띠용 버클 |
KR20110004274U (ko) | 2009-10-23 | 2011-04-29 | 유성호 | 허리띠용 버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08821A (en) | Trouser belt with extensible clasp | |
JP6672378B2 (ja) | ブレスレットの留め金 | |
TW200840507A (en) | Wristlet clasp with length-adjusting device | |
JPH01303102A (ja) | 締付け調節具 | |
JP2012524601A (ja) | バンドロック | |
JP2020093092A (ja) | 調整可能なバンド中留 | |
KR102074616B1 (ko) | 복합 체결형 자동 버클 및 이를 구비하는 허리띠 | |
ATE280427T1 (de) | Verriegelungselement für einen gurt | |
EP0994660A1 (en) | Adjustable quick-release buckle, particularly for diving masks or similar | |
US5689861A (en) | Strap clasp | |
NZ214373A (en) | Snap hook; sliding snap portion | |
EP1956934B1 (en) | Belt and buckle for a belt | |
US20130055532A1 (en) | Device for closing and fastening two lengths of flexible strapping | |
JP6707170B2 (ja) | バンド、制御装置およびバンド調節装置 | |
JP4103103B2 (ja) | ウエストサイズ調節具 | |
KR20160004168U (ko) | 슬라이딩 창호 잠금장치용 손잡이 | |
EP3534020A1 (en) | Carabiners | |
DE19847761C1 (de) | Gelenkverschluss | |
KR20150087110A (ko) | 클립 | |
KR970000461Y1 (ko) | 길이조절이 가능한 손목시계용 버클식 가죽밴드 | |
KR100436094B1 (ko) | 헬멧 턱끈용 버클 | |
KR200239247Y1 (ko) | 버클의 회동장치 | |
KR20000047660A (ko) | 끈고정구 | |
KR200469383Y1 (ko) | 허리 벨트 조임쇠 장치 | |
JP2013514648A (ja) | 変流器の筐体に導体を取り付けるための取り外し可能締結部を有するデバイ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