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414B1 -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414B1
KR102074414B1 KR1020170129094A KR20170129094A KR102074414B1 KR 102074414 B1 KR102074414 B1 KR 102074414B1 KR 1020170129094 A KR1020170129094 A KR 1020170129094A KR 20170129094 A KR20170129094 A KR 20170129094A KR 102074414 B1 KR102074414 B1 KR 102074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fixing member
rail fixing
cas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9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0404A (ko
Inventor
이근호
Original Assignee
이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호 filed Critical 이근호
Priority to KR1020170129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414B1/ko
Publication of KR20190040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04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monitoring the mechanical state of the route
    • B61L23/042Track changes detection
    • B61L23/047Track or rail mov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2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16Elements for restraining, 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parts, e.g. for zero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 레일(10)의 하부를 둘러 고정됨과 아울러,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에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1 레일 고정부재(A)와 제2 레일 고정부재(B)의 사이에 설치되는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일측 레일(10)의 하부를 둘러 고정됨과 아울러, 침목(20)을 사이에 두고 전후방에 설치된 전방 레일 고정부재(100a) 및 후방 레일 고정부재(100b); 양단이 상기 전방 레일 고정부재(100a) 및 후방 레일 고정부재(100b)에 결합하여 상기 침목(20)의 상부를 건너가는 구조로 설치됨과 아울러, 전방 케이싱 결합부(301) 및 후방 케이싱 결합부(302)가 형성된 케이싱 결합부재(300); 전단이 상기 제1 레일 고정부재(A)에 결합하고, 후단이 상기 전방 케이싱 결합부(301)에 결합한 전방 센서 케이싱(200a); 상기 제1 레일 고정부재(A)와 상기 전방 레일 고정부재(100a) 사이의 각도변화에 의해 상기 일측 레일(10)의 길이방향 변위를 측정하도록, 상기 전방 센서 케이싱(200a)에 설치되는 각도센서; 전단이 상기 후방 케이싱 결합부(302)에 결합하고, 후단이 제2 레일 고정부재(B)에 결합한 후방 센서 케이싱(200b); 상기 후방 레일 고정부재(100b)와 상기 제2 레일 고정부재(B) 사이의 각도변화에 의해 상기 일측 레일(10)의 길이방향 변위를 측정하도록, 상기 후방 센서 케이싱(200b)에 설치되는 각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를 제시함으로써, 레일의 넓은 영역의 변위측정을 위하여 다수의 레일 고정부재 및 센서를 설치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시공이 용이하고 정확한 계측이 가능한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MEASURING APPARATUS FOR RAIL}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철도레일의 변위측정에 관한 것이다.
철도는 일반적으로 자갈도상 위에 진행방향으로 다수의 침목(20)이 설치되고, 그 침목(20) 위에 한 쌍의 레일(10)이 설치되는 구성을 취한다(도 1).
지반의 침하 등의 이유로 레일(10)에 변위가 발생하는 경우, 탈선 기타 사고의 우려가 있으므로, 레일(10)의 변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나무 재질의 침목(20)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받침대(31)를 설치하고, 그 위에 진행방향을 따라 센서(30)를 설치하여 레일(10)의 변위를 측정하는 방식을 취하여 왔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과거에는 나무 재질의 침목(20)을 사용하였으므로, 받침대(31)를 앵커 등에 의해 침목(20)에 고정할 수 있었으나, 최근에는 콘크리트 재질의 침목이 주류를 이루므로, 센서의 설치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둘째, 레일(10) 자체의 변위를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아니고, 침목(20)의 변위를 측정하여 레일(10)의 변위를 간접적으로 추정하는 방식이므로, 측정된 데이터의 신뢰도가 낮다.
셋째, 레일의 진행방향 변위뿐만 아니라, 진행방향의 변위(양측 레일의 높이 차이 발생 여부) 또한 기차의 안정적인 운행을 위하여 반드시 측정해야 할 항목임에 불구하고, 종래기술에 의해서는 이를 측정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은 다음과 같은 2건의 발명을 출원하여 등록받은바 있다.
도 2 내지 6은 한국특허출원 제10-2013-0041014호에 관한 것이다.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는 기본적으로, 일측 레일(10)의 하부를 둘러 고정됨과 아울러,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 고정부재(100); 한 쌍의 레일 고정부재(100) 사이에 설치되는 센서 케이싱(200); 한 쌍의 레일 고정부재(100)의 각도변화를 측정하도록, 센서 케이싱(200)에 설치되는 각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한 쌍의 레일 고정부재(100)를 일측 레일(10)의 하부를 둘러 고정하되 상호 간격을 갖도록 하고, 그 한 쌍의 레일 고정부재(100) 사이에 센서 케이싱(200)을 설치한 후, 그 센서 케이싱(200)에 설치된 각도센서에 의해 일측 레일(10)의 진행방향 각도변화(높이 변화)를 측정하도록 한 것이다.
레일 고정부재(100)는, 레일(10)의 하부를 둘러 고정되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으나, 레일(10)의 저면에 면접촉되어 지지되는 저면 지지부(110); 저면 지지부(110)의 외측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레일(10)의 하측 플랜지(11)의 외면을 덮어 지지되는 외측 지지부(120); 저면 지지부(110)의 내측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레일(10)의 하측 플랜지(11)의 내면과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 내측 지지부(130); 레일(10)의 하측 플랜지(11)의 내면과 내측 지지부(13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된 내측 간격부재(131); 내측 지지부(130)의 상측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레일(10)의 하측 플랜지(11)의 상면과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 상측 지지부(140); 레일(10)의 하측 플랜지(11)의 상면과 상측 지지부(14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된 상측 간격부재(141);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는 경우, 레일(10)의 하부를 둘러싸는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이룰 수 있다는 점, 내측 지지부(130) 및 상측 지지부(140)와 레일(10)의 하측 플랜지(11) 사이의 간격이 별도의 내측 간격부재(131) 및 상측 간격부재(141)에 의해 조절되므로 다양한 규격의 레일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 등의 효과가 추가된다(도 4).
센서 케이싱(200)은, 각도센서가 내부에 설치된 본체(210); 본체(210)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센서 결합부재(221)에 의해 케이싱 결합부(320)에 결합하는 센서 결합부(220);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안정적인 측정을 위하여 바람직하다(도 5).
기차의 운행 중 자갈이 튀어 센서 케이싱(200)에 부딪힘으로써 안정적인 측정을 방해할 수 있는데, 센서 케이싱(200)의 본체(210)가 원통형 구조를 취하는 경우, 위와 같은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측 지지부(140) 및 센서 결합부(220)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볼트-너트 구조 등에 의한 센서 결합부재(221)는 결합공에 공통으로 결합하며, 상측 지지부(140)와 센서 결합부(220)의 사이에는 스프링, 고무 패드 등의 진동 저감부재(400)가 설치되는 경우, 기차의 운행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각도센서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변위측정을 가능하게 한다(도 2).
여기서, 스프링, 고무 패드 등의 진동 저감부재(400)는 볼트-너트 구조 등에 의한 센서 결합부재(221)를 둘러싸도록 설치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도 2).
그런데 이는 변위측정장치에 힌지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양측 레일(10)의 상대 변위에 의한 각도 변화를 정확히 측정하는데 한계가 노출되어, 다음과 같은 별도의 출원을 하게 되었다.
도 6 내지 11은 한국특허출원 제10-2013-0110417호에 관한 것이다.
도 6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는 기본적으로, 일측 레일(10)의 하부를 둘러 고정됨과 아울러, 힌지결합부(101)가 형성되고,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 고정부재(100); 일측 레일(10)의 침하에 대응하여 힌지구동하도록, 양단이 각각 한 쌍의 레일 고정부재(100)의 힌지결합부(101)에 힌지결합하는 센서 케이싱(200); 한 쌍의 레일 고정부재(100)의 각도변화를 측정하도록, 센서 케이싱(200)에 설치되는 각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한 쌍의 레일 고정부재(100)를 일측 레일(10)의 하부를 둘러 고정하되 상호 간격을 갖도록 하고, 그 한 쌍의 레일 고정부재(100) 사이에 센서 케이싱(200)을 힌지결합한 후, 그 센서 케이싱(200)에 설치된 각도센서에 의해 일측 레일(10)의 진행방향 각도변화(높이 변화)를 측정하도록 한 것이다.
레일 고정부재(100)는, 레일(10)의 하부를 둘러 고정되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으나, 레일(10)의 하측 플랜지(11)의 저면 및 외측을 덮어 지지하는 외측 지지부재(110); 외측 지지부재(110)에 결합함과 아울러, 레일(10)의 하측 플랜지(11)의 내측을 덮어 지지하는 내측 지지부재(120);를 포함하고, 힌지결합부(101)는 내측 지지부재(120)에 형성된 구성을 취하는 경우, 레일(10)의 하부를 둘러싸는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이룰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도 8 내지 10).
외측 지지부재(110)는, 레일(10)의 저면에 면접촉되어 지지하는 저면 지지부(111); 저면 지지부(110)의 외측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레일(10)의 하측 플랜지(11)의 외측을 덮어 지지하는 외측 지지부(112);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는데, 이는 레일(10)의 하측 플랜지(11)를 더욱 안정적으로 둘러싸는 구조가 되므로, 구조적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저면 지지부(111)의 전후방에서 하측으로 절곡부(113)가 절곡형성되는 경우, 상하방향 하중에 의해 저면 지지부(11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추가된다.
내측 지지부재(120)는, 저면 지지부(111)에 결합하는 몸통부(121); 레일(10)의 하측 플랜지(11)의 내측을 덮어 지지하도록 몸통부(121)에 형성된 단차부(122);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는데, 이는 위와 마찬가지로 레일(10)의 하측 플랜지(11)를 더욱 안정적으로 둘러싸는 구조가 되므로, 구조적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저면 지지부(111) 및 몸통부(121)에는 상하방향으로 결합공(131)이 형성되고, 결합공(131)에 공통으로 결합한 볼트-너트 등의 결합부재(130)에 의해 외측 지지부재(110) 및 내측 지지부재(120)가 상호 결합하는 구성을 취하는 경우, 레일(10)의 하측 플랜지(11)의 내측을 상하에서 압박하면서 고정하는 구조가 되므로, 구조적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몸통부(121)의 상부에 외측으로 단차진 구조의 상측연장부(123)가 형성되고, 힌지결합부(101)는 상측연장부(123)에 형성된 구성을 취하는 경우, 위 결합공(131) 또는 결합부재(130)와의 저촉을 피하여, 센서 케이싱(200)의 안정적인 힌지구동을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추가된다.
센서 케이싱(200)은, 각도센서가 내부에 설치된 본체(210); 본체(210)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힌지결합부(101)에 힌지결합하는 센서 결합부(220);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안정적인 측정을 위하여 바람직하다(도 11).
기차의 운행 중 자갈이 튀어 센서 케이싱(200)에 부딪힘으로써 안정적인 측정을 방해할 수 있는데, 센서 케이싱(200)의 본체(210)가 원통형 구조를 취하는 경우, 위와 같은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힌지결합부(101) 및 센서 결합부(220)에는 체결공(231)이 형성되고, 체결공(231)에 공통으로 결합한 볼트-너트 등의 체결부재(230)에 의해 힌지결합부(101) 및 센서 결합부(220)가 상호 결합하는 구성을 취하는 경우, 안정적인 결합구조 및 힌지구동구조를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추가된다.
그런데 위 종래기술의 경우에도, 그 실시 중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위 종래기술에 의한 변위측정장치에서 레일 고정부재(100)는 레일(10) 중 침목(20)이 없는 위치에만 설치할 수 있다.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계측을 레일의 넓은 영역에 걸쳐 실시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레일 고정부재(100)를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다수의 센서 케이싱(200) 및 각도센서를 위 다수의 레일 고정부재(100)의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도 12).
다수의 레일 고정부재(100)를 설치하다 보면, 레일 고정부재(100)가 침목(20)의 설치 위치에 올 수밖에 없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종래기술에 의한 변위측정장치는 이러한 경우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대단히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위 종래기술의 도면부호는 당해 종래기술의 설명에 대하여만 한정되는 것으로 한다.
한국특허출원 제10-2013-0041014호 한국특허출원 제10-2013-011041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레일의 넓은 영역의 변위측정을 위하여 다수의 레일 고정부재 및 센서를 설치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시공이 용이하고 정확한 계측이 가능한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 레일(10)의 하부를 둘러 고정됨과 아울러,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에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1 레일 고정부재(A)와 제2 레일 고정부재(B)의 사이에 설치되는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로서, 상기 일측 레일(10)의 하부를 둘러 고정됨과 아울러, 침목(20)을 사이에 두고 전후방에 설치된 전방 레일 고정부재(100a) 및 후방 레일 고정부재(100b); 양단이 상기 전방 레일 고정부재(100a) 및 후방 레일 고정부재(100b)에 결합하여 상기 침목(20)의 상부를 건너가는 구조로 설치됨과 아울러, 전방 케이싱 결합부(301) 및 후방 케이싱 결합부(302)가 형성된 케이싱 결합부재(300); 전단이 상기 제1 레일 고정부재(A)에 결합하고, 후단이 상기 전방 케이싱 결합부(301)에 결합한 전방 센서 케이싱(200a); 상기 제1 레일 고정부재(A)와 상기 전방 레일 고정부재(100a) 사이의 각도변화에 의해 상기 일측 레일(10)의 길이방향 변위를 측정하도록, 상기 전방 센서 케이싱(200a)에 설치되는 각도센서; 전단이 상기 후방 케이싱 결합부(302)에 결합하고, 후단이 제2 레일 고정부재(B)에 결합한 후방 센서 케이싱(200b); 상기 후방 레일 고정부재(100b)와 상기 제2 레일 고정부재(B) 사이의 각도변화에 의해 상기 일측 레일(10)의 길이방향 변위를 측정하도록, 상기 후방 센서 케이싱(200b)에 설치되는 각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를 제시한다.
상기 케이싱 결합부재(300)는, 심부에 상기 전방 케이싱 결합부(301) 및 후방 케이싱 결합부(302)가 형성된 본체부(310); 상기 전방 레일 고정부재(100a) 및 후방 레일 고정부재(100b)의 상부에 결합하도록, 상기 본체부(310)의 하부 양단에 형성된 고정부재 결합부(3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 케이싱 결합부(301) 및 후방 케이싱 결합부(302)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장공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 결합부(320)는 상기 본체부(310)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구조이고, 심부에 결합공(321)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310)와 상기 고정부재 결합부(320)의 사이에는 상기 본체부(310)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부(33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 결합부(320)는 상기 연장부(330)의 하단에 절곡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 레일 고정부재(100a) 및 후방 레일 고정부재(100b)는, 상기 일측 레일(10)의 하측 플랜지(11)의 저면 및 외측을 덮어 지지하는 외측 지지부재(110); 하부가 상기 외측 지지부재(110)에 결합하고, 상부가 상기 케이싱 결합부재(300)에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레일(10)의 하측 플랜지(11)의 내측을 덮어 지지하는 내측 지지부재(1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 지지부재(110)는, 상기 일측 레일(10)의 저면에 면접촉되어 지지하는 저면 지지부(111); 상기 저면 지지부(111)의 외측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레일(10)의 하측 플랜지(11)의 외측을 덮어 지지하는 외측 지지부(11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지지부재(120)는, 상기 저면 지지부(111) 및 상기 케이싱 결합부재(300)의 고정부재 결합부(320)가 결합하는 몸통부(121); 상기 레일(10)의 하측 플랜지(11)의 내측을 덮어 지지하도록 상기 몸통부(121)에 형성된 단차부(12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지지부재(120)의 몸통부(121)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공(123)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 지지부재(110)의 저면 지지부(111)에는 체결공(11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 결합부(320)의 결합공(321), 상기 몸통부(121)의 관통공(123) 및 상기 저면 지지부(111)의 체결공(114)에는 공통의 체결구(30)가 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레일의 넓은 영역의 변위측정을 위하여 다수의 레일 고정부재 및 센서를 설치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시공이 용이하고 정확한 계측이 가능한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를 제시한다.
도 1은 종래의 철도레일의 변위측정장치의 사시도.
도 2 내지 6은 한국특허출원 제10-2013-0041014호의 도면.
도 7 내지 11은 한국특허출원 제10-2013-0110417호의 도면.
도 12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관한 평면도.
도 13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3은 평면도.
도 14는 케이싱 결합부재의 측면도.
도 15는 케이싱 결합부재의 평면도.
도 16은 케이싱 결합부재의 정면도.
도 17은 내측 지지부재의 사시도.
도 18은 외측 지지부재의 사시도.
도 19는 변위측정장치의 정면도.
도 20은 변위측정장치의 평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일측 레일(10)의 하부를 둘러 고정됨과 아울러,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에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1 레일 고정부재(A)와 제2 레일 고정부재(B)의 사이에 설치되는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일측 레일(10)의 하부를 둘러 고정됨과 아울러, 침목(20)을 사이에 두고 전후방에 설치된 전방 레일 고정부재(100a) 및 후방 레일 고정부재(100b); 양단이 전방 레일 고정부재(100a) 및 후방 레일 고정부재(100b)에 결합하여 침목(20)의 상부를 건너가는 구조로 설치됨과 아울러, 전방 케이싱 결합부(301) 및 후방 케이싱 결합부(302)가 형성된 케이싱 결합부재(300); 전단이 제1 레일 고정부재(A)에 결합하고, 후단이 전방 케이싱 결합부(301)에 결합한 전방 센서 케이싱(200a); 제1 레일 고정부재(A)와 전방 레일 고정부재(100a) 사이의 각도변화에 의해 일측 레일(10)의 길이방향 변위를 측정하도록, 전방 센서 케이싱(200a)에 설치되는 각도센서; 전단이 후방 케이싱 결합부(302)에 결합하고, 후단이 제2 레일 고정부재(B)에 결합한 후방 센서 케이싱(200b); 후방 레일 고정부재(100b)와 제2 레일 고정부재(B) 사이의 각도변화에 의해 일측 레일(10)의 길이방향 변위를 측정하도록, 후방 센서 케이싱(200b)에 설치되는 각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침목(20)을 사이에 두고 레일(10)에 전방 레일 고정부재(100a) 및 후방 레일 고정부재(100b)를 설치하고, 이에 대하여 침목(20)의 상부를 건너가는 구조로 케이싱 결합부재(300)를 설치하고, 그 케이싱 결합부재(300)의 전방 케이싱 결합부(301) 및 후방 케이싱 결합부(302)에 센서 케이싱(200a,200b) 및 각도센서를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레일의 넓은 영역의 변위측정을 위하여 종래기술에 의한 다수의 레일 고정부재 및 센서를 설치하는 도중, 레일 고정부재가 침목(20)의 설치 위치에 올 수밖에 없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한 변위측정장치를 설치하고, 다시 종래기술에 의한 다수의 레일 고정부재 및 센서를 설치하면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비해 시공이 용이하고 정확한 계측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케이싱 결합부재(300)는 양단이 전방 레일 고정부재(100a) 및 후방 레일 고정부재(100b)에 결합하여 침목(20)의 상부를 건너가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는 구체적으로, 심부에 전방 케이싱 결합부(301) 및 후방 케이싱 결합부(302)가 형성된 본체부(310); 전방 레일 고정부재(100a) 및 후방 레일 고정부재(100b)의 상부에 결합하도록, 본체부(310)의 하부 양단에 형성된 고정부재 결합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4 내지 16).
전방 케이싱 결합부(301) 및 후방 케이싱 결합부(302)는 센서 케이싱(200a,200b)과 결합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으나,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전후방 센서 케이싱(200a,200b)과 결합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장공구조를 취하는 경우, 어느 정도의 시공오차에 불구하고 편리한 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케이싱 결합부재(300)는 강재에 의한 판형 구조를 취하는 것이 제조의 편의성 측면에서 바람직하고, 이 경우 고정부재 결합부(320)는 본체부(310)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구조이고, 심부에 결합공(321)이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싱 결합부재(300)의 본체부(310)와 침목(20)의 저촉을 안정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본체부(310)와 고정부재 결합부(320)의 사이에 본체부(310)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부(330)가 형성되고, 고정부재 결합부(320)는 연장부(330)의 하단에 절곡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 레일 고정부재(100a) 및 후방 레일 고정부재(100b)는 구체적으로, 일측 레일(10)의 하측 플랜지(11)의 저면 및 외측을 덮어 지지하는 외측 지지부재(110); 하부가 외측 지지부재(110)에 결합하고, 상부가 케이싱 결합부재(300)에 결합함과 아울러, 레일(10)의 하측 플랜지(11)의 내측을 덮어 지지하는 내측 지지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7 내지 19).
외측 지지부재(110)는, 일측 레일(10)의 저면에 면접촉되어 지지하는 저면 지지부(111); 저면 지지부(111)의 외측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레일(10)의 하측 플랜지(11)의 외측을 덮어 지지하는 외측 지지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8).
내측 지지부재(120)는, 저면 지지부(111) 및 케이싱 결합부재(300)의 고정부재 결합부(320)가 결합하는 몸통부(121); 레일(10)의 하측 플랜지(11)의 내측을 덮어 지지하도록 몸통부(121)에 형성된 단차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7).
내측 지지부재(120)의 몸통부(121)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공(123)이 형성되고, 외측 지지부재(110)의 저면 지지부(111)에는 체결공(114)이 형성되고, 고정부재 결합부(320)의 결합공(321), 몸통부(121)의 관통공(123) 및 저면 지지부(111)의 체결공(114)에는 볼트와 같은 공통의 체결구(30)가 결합하는 구조를 취하는 경우,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A : 제1 레일 고정부재 B : 제2 레일 고정부재
10 : 레일 20 : 침목
100a : 전방 레일 고정부재 100b : 후방 레일 고정부재
110 : 외측 지지부재 111 : 저면 지지부
112 : 외측 지지부 114 : 체결공
120 : 내측 지지부재 121 : 몸통부
122 : 단차부 123 : 관통공
200a : 전방 센서 케이싱 200b : 후방 센서 케이싱
300 : 케이싱 결합부재 301 : 전방 케이싱 결합부
302 : 후방 케이싱 결합부 310 : 본체부
320 : 고정부재 결합부 321 : 결합공
330 : 연장부

Claims (9)

  1. 일측 레일(10)의 하부를 둘러 고정됨과 아울러,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에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1 레일 고정부재(A)와 제2 레일 고정부재(B)의 사이에 설치되는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로서,
    상기 일측 레일(10)의 하부를 둘러 고정됨과 아울러, 침목(20)을 사이에 두고 전후방에 설치된 전방 레일 고정부재(100a) 및 후방 레일 고정부재(100b);
    양단이 상기 전방 레일 고정부재(100a) 및 후방 레일 고정부재(100b)에 결합하여 상기 침목(20)의 상부를 건너가는 구조로 설치됨과 아울러, 전방 케이싱 결합부(301) 및 후방 케이싱 결합부(302)가 형성된 케이싱 결합부재(300);
    전단이 상기 제1 레일 고정부재(A)에 결합하고, 후단이 상기 전방 케이싱 결합부(301)에 결합한 전방 센서 케이싱(200a);
    상기 제1 레일 고정부재(A)와 상기 전방 레일 고정부재(100a) 사이의 각도변화에 의해 상기 일측 레일(10)의 길이방향 변위를 측정하도록, 상기 전방 센서 케이싱(200a)에 설치되는 각도센서;
    전단이 상기 후방 케이싱 결합부(302)에 결합하고, 후단이 제2 레일 고정부재(B)에 결합한 후방 센서 케이싱(200b);
    상기 후방 레일 고정부재(100b)와 상기 제2 레일 고정부재(B) 사이의 각도변화에 의해 상기 일측 레일(10)의 길이방향 변위를 측정하도록, 상기 후방 센서 케이싱(200b)에 설치되는 각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 결합부재(300)는,
    심부에 상기 전방 케이싱 결합부(301) 및 후방 케이싱 결합부(302)가 형성된 본체부(310);
    상기 전방 레일 고정부재(100a) 및 후방 레일 고정부재(100b)의 상부에 결합하도록, 상기 본체부(310)의 하부 양단에 형성된 고정부재 결합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케이싱 결합부(301) 및 후방 케이싱 결합부(302)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장공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결합부(320)는 상기 본체부(310)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구조이고, 심부에 결합공(3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310)와 상기 고정부재 결합부(320)의 사이에는 상기 본체부(310)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부(33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 결합부(320)는 상기 연장부(330)의 하단에 절곡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레일 고정부재(100a) 및 후방 레일 고정부재(100b)는,
    상기 일측 레일(10)의 하측 플랜지(11)의 저면 및 외측을 덮어 지지하는 외측 지지부재(110);
    하부가 상기 외측 지지부재(110)에 결합하고, 상부가 상기 케이싱 결합부재(300)에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레일(10)의 하측 플랜지(11)의 내측을 덮어 지지하는 내측 지지부재(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지지부재(110)는,
    상기 일측 레일(10)의 저면에 면접촉되어 지지하는 저면 지지부(111);
    상기 저면 지지부(111)의 외측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레일(10)의 하측 플랜지(11)의 외측을 덮어 지지하는 외측 지지부(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지지부재(120)는,
    상기 저면 지지부(111) 및 상기 케이싱 결합부재(300)의 고정부재 결합부(320)가 결합하는 몸통부(121);
    상기 레일(10)의 하측 플랜지(11)의 내측을 덮어 지지하도록 상기 몸통부(121)에 형성된 단차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지지부재(120)의 몸통부(121)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공(123)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 지지부재(110)의 저면 지지부(111)에는 체결공(11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 결합부(320)의 결합공(321), 상기 몸통부(121)의 관통공(123) 및 상기 저면 지지부(111)의 체결공(114)에는 공통의 체결구(30)가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
KR1020170129094A 2017-10-10 2017-10-10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 KR102074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094A KR102074414B1 (ko) 2017-10-10 2017-10-10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094A KR102074414B1 (ko) 2017-10-10 2017-10-10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404A KR20190040404A (ko) 2019-04-18
KR102074414B1 true KR102074414B1 (ko) 2020-02-06

Family

ID=66285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9094A KR102074414B1 (ko) 2017-10-10 2017-10-10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4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994B1 (ko) * 2013-09-13 2014-12-04 이근호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변위측정방법
JP2014227818A (ja) * 2013-05-20 2014-12-08 綜合計測株式会社 構造物の水平変位計測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0607B2 (ja) * 1997-07-16 2002-05-13 日本軌道工業株式会社 脱線防止用ガード部材の取付装置
KR101369270B1 (ko) 2012-03-29 2014-03-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멀티 채널 분석을 이용한 비디오 스트림 분석 방법
KR101678519B1 (ko) 2013-03-21 2016-11-2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의 제어 장치
KR20170076316A (ko) * 2015-12-24 2017-07-0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차륜 검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27818A (ja) * 2013-05-20 2014-12-08 綜合計測株式会社 構造物の水平変位計測装置
KR101468994B1 (ko) * 2013-09-13 2014-12-04 이근호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변위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404A (ko) 201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8994B1 (ko)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변위측정방법
KR101348147B1 (ko) 철도레일의 폭방향 변위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변위측정방법
KR101437604B1 (ko) 철도레일의 폭방향 변위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변위측정방법
KR101328516B1 (ko)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변위측정방법
US9857207B2 (en) Apparatus for measuring displacement of railroad
KR102135562B1 (ko) 매립형 철도궤도의 설치구조 및 이를 위한 고정블럭
BR112015001139B1 (pt) sistema de fixação de trilhos para regiões de transição
KR101530965B1 (ko) 전단하중 유도용 외함을 구비한 레일 체결장치
KR101823552B1 (ko)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변위측정방법
KR102074414B1 (ko)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
KR102016442B1 (ko) 철도레일의 변위측정용 센서고정장치
KR20160117923A (ko) 철도교용 철골철근콘크리트 슬래브 궤도 및 그 시공 방법
KR101917739B1 (ko) 철도레일의 변위측정장치
KR20160073259A (ko) 콘크리트침목 레일고정장치
KR100948279B1 (ko) 레일조정장치를 구비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CA1206938A (en) Highway railway crossing and cap therefor
KR101332970B1 (ko) 도시철도터널 내공변위 측정장치
US3460756A (en) Insulating fastener for a railway rail
JP5913033B2 (ja) 鉄道線路横断用舗装板及びその舗装構造
KR101510833B1 (ko)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관 직결 궤도 및 그 시공 방법
KR101808668B1 (ko) 철도레일의 폭방향 변위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변위측정방법
KR102232018B1 (ko) 철도레일의 레일바이크용 복선 개조시스템
KR100818757B1 (ko) 철도 레일 충격 흡수 체결 장치
KR20170075480A (ko) 철도용 레일 지지장치
JP2014163150A (ja) 下路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