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859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3859B1 KR102073859B1 KR1020130084796A KR20130084796A KR102073859B1 KR 102073859 B1 KR102073859 B1 KR 102073859B1 KR 1020130084796 A KR1020130084796 A KR 1020130084796A KR 20130084796 A KR20130084796 A KR 20130084796A KR 102073859 B1 KR102073859 B1 KR 1020738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ating body
- outer tub
- laundry
- coupling part
- tub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08—Driving arrangements for the impelle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10—Impell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향 개구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가능한 외조; 상기 외조의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분리 및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고, 원주면에 내외가 연통되게 복수의 연통공이 구비되는 내조; 상기 외조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내조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와 회전방향에 대해 맞물림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상기 내조가 회전되게 하는 결합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내조를 세탁물 수집에 편리한 장소에 배치하여 세탁물 수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세탁 후 내조에서 세탁물을 분리하지 아니하고 원하는 장소로 세탁물을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조를 분리할 수 있어 세탁물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 헹굼, 탈수 및/또는 건조 과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는 세탁기, 탈수장치 및 세탁건조기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의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는, 캐비넷(10)과, 상기 캐비넷(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외조(20)와, 상기 외조(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내조(40)를 구비한다.
상기 캐비넷(10)의 상부에는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게 개구(12)가 구비된다.
상기 캐비넷(10)의 상단에는 상기 개구(12)를 개폐할 수 있게 도어(15)가 마련된다.
상기 캐비넷(10)의 내부에는 물을 수용할 수 있게 외조(20)가 구비된다.
상기 외조(20)는 일 측이 상기 캐비넷(10)에 결합된 현가지지장치(25)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외조(20)의 내부에는 내조(40)가 구비된다.
상기 내조(40)는 원통형상을 구비하며, 탈수가 가능하게 내외가 연통되게 형성된 복수의 연통공(42)이 마련된다.
상기 내조(40)의 내부에는 펄세이터 및/또는 회전날개(45)가 구비된다.
상기 외조(20)의 저부에는 상기 내조(40)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30)가 구비된다.
상기 외조(20)의 저부에는 물을 배출할 수 있게 배수부(35)가 마련된다.
그런데, 이러한 세탁기와 같은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세탁물이 발생하면 세탁물수집용기(미도시)에 세탁물을 수집한 후 의류처리장치에서 1회에 동시에 세탁할 수 있는 정도(량)의 세탁물이 수집되면 세탁을 실시하게 되므로, 세탁물 발생시점과 세탁시점 사이에 지연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세탁물의 색상 및/또는 종류에 따라 세탁물을 구분할 경우 1회에 동시에 세탁할 수 있는 량이 부족할 경우 세탁 시점의 지연이 더욱 크게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세탁물을 수집하는 동안에 세탁물에서 불쾌한 냄새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세탁물수집용기에 세탁물을 수집한 후 세탁기로 이동하고, 세탁물이 종류별로 세탁물을 분리하여 세탁조의 내부에 투입하여야 하므로 세탁물의 세탁 전 준비가 번거롭게 될 수 있다.
또한, 세탁물의 처리 완료 후 내조에서 세탁물을 분리하여 별도의 용기에 담아 건조장소로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즉시 세탁이 필요한 세탁물은 손세탁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사용 시간이 경과 할 경우, 외조의 내면 및 내조의 외면에 오염물질(묵은 때, 곰팡이, 이물질)이 부착되어도 내조의 분리가 곤란하여 오염물질의 제거가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조를 세탁물 수집에 편리한 장소에 배치하여 세탁물 수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 후 내조에서 세탁물을 분리하지 아니하고 원하는 장소로 세탁물을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을 종류별로 분리 수집하고 분리 수집된 상태로 각각 세탁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시 내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조 및 외조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상향 개구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가능한 외조; 상기 외조의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분리 및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고, 원주면에 내외가 연통되게 복수의 연통공이 구비되는 내조; 상기 외조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내조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와 회전방향에 대해 맞물림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상기 내조가 회전되게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회전체와 상기 결합부의 상호 접촉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상기 회전체와 상기 결합부가 축 방향에 대해 고정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회전체와 상기 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돌기와, 상기 회전체와 상기 결합부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지지돌기의 돌출된 단부가 삽입되어 축방향으로 맞물림되는 지지돌기삽입부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회동 가능하고, 상기 지지돌기의 일 측에는 상기 회전체의 정지시 상기 지지돌기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이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소정 직경의 결합부본체와, 상기 결합부본체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체에는, 상기 결합부본체가 수용되는 결합부본체수용부와, 상기 결합돌기가 수용될 수 있게 함몰된 결합돌기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결합부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돌기삽입부는 상기 회전체에 형성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외조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외조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및 상기 외조의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외조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외조의 외부를 경유하여 다시 상기 외조의 내부로 순환되게 안내하는 순환덕트; 상기 외조의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순환덕트의 내부의 공기의 유동을 촉진시키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외조를 내부에 수용하는 캐비넷;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조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외조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조는 서로 구별될 수 있게 식별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외조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조는 서로 다른 색상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조에 대해 내조를 분리할 수 있어 내조를 세탁물 수집에 편리한 장소에 배치하여 내조의 내부에 세탁물을 직접 수집할 수 있어 세탁물 수집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외조 및 내조를 상대적으로 작게 구성할 경우 물, 세제 및 에너지를 작게 소모하면서 상대적으로 빨리 세탁을 실시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또한, 세탁물의 처리(세탁 및/또는 건조) 후 내조를 분리하여 내조로부터 세탁물을 분리하지 아니하고 세탁물을 내조와 함께 원하는 장소로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다.
또한, 내조의 회전시 내조를 축방향으로 고정되게 하는 지지유닛을 구비함으로써, 내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외조 및 내조를 복수 개 마련함으로써, 세탁물의 발생시 세탁물을 종류 별로 분리 수집함으로써 세탁물의 분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외조 및 내조를 복수 개 마련하여 세탁물을 종류 별로 분리하여 수집하고, 분리 수집된 상태에서 동시에 세탁물을 처리할 수 있어 세탁물의 처리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외조로부터 내조를 분리할 수 있어 외조 및 내조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고, 특히 내조가 분리되지 않는 의류처리장치와는 달리, 외조의 내면 및 내조의 외면의 오염물질까지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세탁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내조의 확대도,
도 4는 도 3의 내조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결합부의 저면사시도,
도 6은 도 2의 회전체의 절개사시도,
도 7은 도 2의 회전체 및 결합부의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8의 회전시 지지돌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Ⅹ-Ⅹ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내조의 확대도,
도 4는 도 3의 내조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결합부의 저면사시도,
도 6은 도 2의 회전체의 절개사시도,
도 7은 도 2의 회전체 및 결합부의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8의 회전시 지지돌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Ⅹ-Ⅹ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향 개구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가능한 외조(120); 상기 외조(120)의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분리 및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고, 원주면에 내외가 연통되게 복수의 연통공(182)이 구비되는 내조(180); 상기 외조(12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체(220); 상기 회전체(220)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25); 상기 내조(180)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220)와 회전방향에 대해 맞물림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220)의 회전시 상기 내조(180)가 회전되게 하는 결합부(210); 및 상기 회전체(220)와 상기 결합부(210)의 상호 접촉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220)의 회전시 상기 회전체(220)와 상기 결합부(210)가 축 방향에 대해 고정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24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조(120)는, 예를 들면, 상향 개구된 수용공간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조(120)에는, 예를 들면, 상기 개구를 개폐할 수 있게 도어(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30)는 상기 외조(12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30)에는, 예를 들면, 상기 외조(120)의 내부로 물을 급수할 수 있게 급수부(14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140)는, 예를 들면, 상기 도어(130)의 내부에 형성된 급수공간(142)과, 상기 급수공간(142)에 연결된 급수관(14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급수관(142)에는 급수밸브(14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공간(142)은, 예를 들면, 물이 분산되어 공급될 수 있게 상기 도어(130)의 단면적의 절반 이상의 면적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공간(142)의 저부에는, 예를 들면, 물이 하부로 유출될 수 있게 관통된 복수의 급수공(1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공간(142)은, 예를 들면, 상향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공간(142)의 개구(상부 개구)에는 상기 개구를 개폐할 수 있게 도어 또는 커버(145)(이하, "커버(145)"로 표기함)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145)는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거나, 상기 도어(13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공간(142)의 내부에는, 예를 들면, 상기 개구를 통해 각 종 세제가 각각 공급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조(120)의 저부에는, 예를 들면, 내부의 물을 배출할 수 있게 배수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150)는, 상기 외조(120)의 저부에 관통된 배수공(152)과, 상기 배수공(152)에 연결된 배수관(154)을 구비하려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154)에는, 예를 들면, 배수펌프(15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외조(120)의 저부에는, 예를 들면,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외조(120)를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60)는, 예를 들면, 상기 외조(120)의 저부면에서 하향 돌출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60)는, 예를 들면, 상기 외조(12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160)는 상기 지지부(160)의 저부에 구비된 복수의 레그(162)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조(120)는 지지부(160)의 저부에 구비된 레그(162)를 이용하여 바닥면에 지지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외조(120)는 별도의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벽면에 부착되거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지지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외조(120)의 하부에는 상기 내조(180)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25)는 상기 지지부(16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25)는, 예를 들면, 정회전 또는 역회전 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조(120) 또는 도어(130)에는 세탁물의 세탁, 헹굼, 탈수, 각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된 세탁물 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비한 제어부(1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5)에는, 상기 구동모터(125), 상기 급수밸브(146) 및 상기 배수펌프(155)가 제어가능하게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5)에는 전원의 온/오프, 운전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콘트롤패널(137)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콘트롤패널(137)은, 예를 들면,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입력부(미도시) 및/또는 세탁물 처리 관련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콘트롤패널(137) 및 제어부(135)는 상기 도어(130)의 상면에 구비되게 예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내조(180)는,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조(180)는 원통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내조(180)의 원주면에는 세탁수가 출입할 수 있게 복수의 연통공(18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조(180)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18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내조(180)의 파지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곡부(185)는 상기 내조(180)의 분리, 결합 및 운반시 손과 접촉되어 내조(180)의 파지를 용이하게 한다는 점에서 "손잡이"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185)는 상기 내조(180)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원형 고리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내조(180)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내조(180)의 원주면에는,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된 비드(184)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내조(180)의 강성이 증가되어 상기 내조(180)의 일그러짐이 억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비드(184)가 9개로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고 있으나, 그 크기 및 개수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내조(180)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된 돌출부(186)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내조(180)의 회전시 수류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세탁물과 상기 돌출부(186)가 접촉되면서 세탁물의 세탁이 촉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86)는, 예를 들면,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86)가 3개로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그 수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86)는, 예를 들면, 상기 비드(184)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돌출부(186)는, 예를 들면, 각 돌출부(186)의 중심이 각 상측에 형성된 비드(184)의 중심과 일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86)는, 예를 들면, 상기 내조(180)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예를 들면 120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86)는 상기 내조(180)의 하부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86)는, 예를 들면 상기 내조(180)의 전체높이(H1)의 20% 내지 50% 정도의 높이(H2)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86)는 원호형 단면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조(120)에는 상기 내조(180)를 회전시키는 회전체(2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220)는 상기 외조(1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220)는 상기 구동모터(125)의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220)의 회전축(223)은,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외조(120)의 저부를 통과하여 상기 구동모터(125)의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125)의 정, 역 회전시 상기 회전체(220)가 일체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220)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외경이 증가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220)는, 예를 들면, 절두된 원추형상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220)는,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본체(221)와, 상기 회전체본체(221)에 구비된 회전축(223)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본체(221)는, 상면(222a), 상기 상면(222a)보다 확장된 크기를 가지고 상기 상면(222a)과 나란하게 배치된 저면(222b), 및 상기 상면(222a)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외경이 확장되게 형성되는 측면(222c)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조(180)의 저부에는 상기 회전체(220)가 수용될 수 있게 회전체수용부(19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수용부(190)는, 예를 들면, 상기 회전체(22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절두된 원추형상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회전체(220)의 삽입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수용부(190)는 상기 내조(180)의 저부 중앙에 상향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수용부(190)는, 상면(191a), 상기 상면(191a)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내경이 증가되게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측면(191b)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수용부(190)의 상면(191a) 및 측면(191b)은 결합시 상기 회전체(220)의 상면(222a) 및 측면(222c)과 각각 면접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내조(180)와 상기 외조(120)의 결합시 상기 내조(18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내조(180)의 회전시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해 상기 내조가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내조(180)의 저부에는 상기 회전체(220)와 결합될 수 있게 결합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10)는, 예를 들면, 상기 회전체(220)와 상하방향(또는 축방향)을 따라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10)는, 예를 들면, 상기 회전체(220)의 상단에 비해 축소된 외폭을 구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10)는,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외경을 구비한 원형의 결합부본체(212)와, 상기 결합부본체(212)의 외부에 돌출된 결합돌기(214)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214)는, 예를 들면, 상기 결합부본체(212)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결합돌기(214)는, 예를 들면, 상부의 폭(W1)에 비해 점진적으로 감소되어 최소 폭(W2)을 구비하게 형성되는 안내부(215)를 각각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내조(180)의 결합시 상기 각 결합돌기(214)의 삽입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220)에는, 예를 들면, 상기 결합부(210)가 상하방향을 따라 삽입될 수 있게 삽입부(2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25)는 상기 회전체(220)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25)는, 예를 들면, 상기 결합부본체(212)가 수용되는 결합부본체수용부(226)와, 상기 결합부본체수용부(226)에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함몰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된 결합돌기수용부(228)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본체수용부(226)는 소정의 내경을 구비한 원형의 홈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수용부(228)는 상기 결합부본체수용부(226)의 내면으로부터 반경방항을 따라 외측으로 함몰되고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수용부(228)는 상부 및 하부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210)와 상기 회전체(220)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상기 회전체(220)의 회전시 상기 회전체(220)와 상기 결합부(210)가 축방향에 대해 고정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24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유닛(240)은, 예를 들면, 상기 회전체(220)와 상기 결합부(210) 중 어느 하나에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돌기(245)와, 상기 회전체(220)와 상기 결합부(210)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지지돌기(245)의 돌출된 단부가 삽입되어 축방향으로 맞물림되는 지지돌기삽입부(251)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지지돌기(245)는 상기 결합부(210)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돌기삽입부(251)는 상기 회전체(220)에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지지돌기(245)는, 예를 들면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돌기(245)가 2개로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지지돌기(245)는 3개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돌기(245)는, 예를 들면, 원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결합부(249)는 상기 지지돌기(245)를 수용할 수 있게 원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10)의 측부에는 상기 지지돌기(245)가 회동 가능하게 수용 결합될 수 있게 지지돌기결합부(24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245)는, 예를 들면,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돌기(245)는 2개로 형성되므로 180도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245)는 상기 내조(180)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일 단부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245)의 일 측에는 상기 지지돌기(245)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축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245)는 합성수지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부식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245)는, 대략 선형 또는 원호 형상을 가지는 지지돌기본체(246)와, 상기 지지돌기본체(246)에 비해 큰 질량을 가지고 상기 지지돌기본체(246)의 자유단부에 구비되는 중량추(247)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내조(180)의 회전시 상기 지지돌기(245)가 원활하게 회동되어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본체(246)의 일 측에는 회동축(255)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량추(247)는, 예를 들면, 무게중심이 상기 지지돌기본체(246)의 무게중심과 회동축(255)을 연결하는 연결선상에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본체(246)에는 상기 회동축(255)이 수용될 수 있게 회동축공(248)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결합부(249)에는 상기 지지돌기(245)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257)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내조(180)의 정지시 상기 지지돌기(245)가 초기위치로복귀되어 상기 결합부(210)와 상기 회전체(220)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복귀스프링(257)은, 예를 들면,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돌기(245) 및 복귀스프링(257)은 세탁물의 세탁 및 헹굼을 위해 내조(180)의 회전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지지돌기(245)가 외측으로 신속하게 돌출될 수 있는 정도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10)에는 상기 복귀스프링(257)이 수용될 수 있게 복귀스프링수용부(258)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귀스프링수용부(258) 및 지지돌기(245)에는 상기 복귀스프링(257)의 각 단부가 고정 결합되는 스프링고정부(259)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귀스프링수용부(258)의 크기 및 형상은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체(220)에는 상기 지지돌기(245)의 돌출된 단부가 수용되어 상기 지지돌기(245)와 축방향으로 맞물림되는 지지돌기삽입부(25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삽입부(251)는, 예를 들면, 상기 지지돌기(245)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지지돌기(245)의 개수보다 많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삽입부(251)는, 예를 들면, 상기 결합돌기수용부(228)들 사이에 각각 배치된 6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지지돌기(245) 및 지지돌기삽입부(251)의 위치를 고려하지 아니하여도 되므로 상기 내조(180)의 결합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돌기(245)는 2개로 형성되고 지지돌기삽입부(251)는 6개로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지지돌기(245) 및 지지돌기삽입부(251)가 모두 6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돌기삽입부(251)의 상면(252)은 상기 지지돌기(245)의 상단면과 접촉되어 축방향으로 구속되게 한다는 점에서 "걸림턱"이라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삽입부(251)의 내면(내측면)(253)은 상기 지지돌기(245)의 외면이 접촉되어 상기 지지돌기(245)의 회동을 억제한다는 점에서 "스토퍼"라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삽입부(251)의 내면(253)은, 예를 들면, 상기 지지돌기(245)의 외면과 면접촉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지지돌기(245)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어 지지돌기(245)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내조(180)를 상기 외조(12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는 상기 내조(180)의 상단의 절곡부(185)를 잡고 상측로 당기면 상기 결합부(210)가 상기 회전체(220)로부터 간단하게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외조(120)로부터 분리된 상기 내조(180)는 원하는 위치(예를 들면 욕실 입구 또는 내부 등)에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집할 수 있다.
세탁물이 수집된 내조(180)를 상기 외조(120)의 내부에 결합하고자 할 때는 상기 내조(180)의 절곡부(185)를 잡고 상기 내조(180)의 하단부를 상기 외조(120)의 내부에 삽입하면 된다.
상기 내조(180)가 상기 외조(120)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회전체(220)의 상단이 상기 회전체수용부(19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체(220)의 경사진 측면과 상기 회전체수용부(190)의 경사진 측면에 의해 상기 내조(180)가 상기 외조(120)의 중심으로 안내되어 결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220)가 회전체수용부(190)로 삽입되면 상기 결합부(210)는 상기 삽입부(225)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210)의 결합돌기(214)는 하단의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 안내부(215)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결합돌기수용부(228)의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콘트롤패널(137)에 의해 일련의 세탁 과정(예를 들면, 세탁, 헹굼, 탈수 각각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이 선택되면, 상기 구동모터(125)가 미리 설정된 세탁프로그램에 의해 회전동작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25)가 회전되면 상호 결합된 회전체(220) 및 결합부(210)가 회전되어 결국 상기 내조(180)가 미리 설정된 속도 및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10)가 회전되면 상기 지지돌기(245)는 원심력에 의해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245)는 상기 회동축(255)을 중심으로 자유단부가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245)는 지지돌기삽입부(251)에 돌출 단부가 수용되어 축방향으로 맞물림 됨으로써, 상기 내조(180)의 회전시 상기 내조(180)의 기울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내조(180)의 기울어짐에 기인한 상기 내조(180)와 외조(120)의 충격적 접촉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콘트롤패널(137)의 조작으로 선택된 세탁과정이 종료되어 상기 내조(180)가 정지하면, 상기 지지돌기(245)는 상기 복귀스프링(257)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내조(180)는 상기 외조(120)에 대해 분리 가능한 상태로 된다.
처리된 세탁물을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는, 상기 내조(180)의 절곡부(185)를 손으로 잡고 상기 내조(180)를 상측으로 당기면 된다.
상기 내조(180)를 상측으로 당기면 상기 결합부(210)는 상기 회전체(220)로부터 간단히 분리되고, 상기 내조(180)는 상기 외조(120)의 상부 개구를 통해 외부로 간단히 인출될 수 있다.
인출된 내조(180)는 내부에 세탁물이 수납된 상태로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면되므로 세탁물의 이동이 간편하게 될 수 있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도시를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인용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넷(110); 상기 캐비넷(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향 개구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가능한 외조(120); 상기 외조(120)의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분리 및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고, 원주면에 내외가 연통되게 복수의 연통공(182)이 구비되는 내조(180); 상기 외조(12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체(220); 상기 회전체(220)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25); 상기 내조(180)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220)와 회전방향에 대해 맞물림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220)의 회전시 상기 내조(180)가 회전되게 하는 결합부(210); 및 상기 회전체(220)와 상기 결합부(210)의 상호 접촉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220)의 회전시 상기 회전체(220)와 상기 결합부(210)가 축 방향에 대해 고정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24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조(120)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조(120) 및 내조(180)가 각각 3개씩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그 개수는 2개 또는 4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외조(120)는, 예를 들면, 일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조(120)의 배열은 삼각형을 이루게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외조(120)의 개수 및 배열은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외조(120)의 외측에는 캐비넷(1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넷(11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캐비넷(110)에는, 예를 들면, 상기 외조(120)의 상단을 지지할 수 있게 외조지지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조지지부(117)는,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외조(120)의 진동이 억제되게 지지하는 현가지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각 외조(120)의 상측에는 상기 외조의 상부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13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130)는 상기 외조(120) 또는 캐비넷(1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외조(120)에는 내조(180)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25)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각 외조(120)에는 회전체(22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내조(180)에는 결합부(210)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10)와 회전체(220) 사이에는 지지유닛(2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외조(120)는 급수부(140) 및 배수부(150)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외조(120)에는 건조장치(27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건조장치(270)가 상기 각 외조(120)에 각각 구비되어 3개로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건조장치(270)는 상기 복수의 외조(120) 중 일부(1 개 또는 2개)만 설치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건조장치(270)는, 예를 들면, 상기 외조(120)의 내부의 공기를 인출하여 다시 외조(120)의 내부에 공급하는 순환덕트(271), 상기 순환덕트(271)의 내부의 공기의 유동을 촉진시키는 송풍팬(275), 및 상기 순환덕트(271)의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277)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271)의 일 단부는 상기 외조(120)의 하부 일 측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271)의 타 단부는 상기 외조(120)의 상부 일 측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271)는 상기 외조(120)의 하부영역을 경유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순환덕트(271)의 일 단은 상기 외조(120)의 하부 일 측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외조(120)의 하부를 경유하여 상기 외조(120)의 타 측 상부에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외조(120)의 내부의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271)의 일 영역에는 송풍팬(275)이 수용되는 송풍팬수용부(27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271)의 내부 일 영역에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게 히터(27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277)는, 예를 들면, 상기 송풍팬(275)의 하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넷(110) 또는 각 도어(130)에는, 예를 들면, 세탁물의 세탁, 헹굼, 탈수, 건조 각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된 세탁물 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비한 제어부(1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5)에는, 상기 구동모터(125), 상기 급수밸브(146), 상기 배수펌프(155), 상기 송풍팬(275) 및 히터(277)가 제어가능하게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5)에는, 예를 들면, 전원의 온/오프, 운전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콘트롤패널(137)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콘트롤패널(137)은,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예를 들면,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입력부 및/또는 세탁물 처리 관련 정보를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내조(180)는, 예를 들면, 서로 구별될 수 있게 식별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식별수단은, 예를 들면, 숫자, 문자 및/또는 문양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조(180)의 식별수단으로 "1","2" 및 "3"이 상기 내조(180)의 외면에 표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내조(180)는 서로 다른 색상(예를 들면, 빨강색, 파랑색, 노랑색 등)으로 서로 구별되게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각 내조(180)는 해당 외조(120)의 내부에 수납되거나 또는 상기 각 외조(120)로부터 분리 인출되어 원하는 장소에 배치되어 서로 다른 종류의 세탁물을 분리하여 각각 수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단일의 세탁물수납용기에 일괄적으로 수납된 세탁물을 세탁전에 종류별(예를 들면, 흰색과 검은색)로 분리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각 외조(120)로부터 분리된 내조(180)는 서로 다른 색상 또는 식별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세탁물의 분리 수거시 세탁물이 혼합 또는 섞이게 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내조(180)에 수납된 세탁물은 동시에 처리되거나 단독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세탁 대기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세탁물의 종류 별로 분리하여 동시에 세탁이 가능하므로 전체 세탁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다.
세탁, 헹굼 및 탈수, 또는 건조 처리된 세탁물은 해당 내조(180)로부터 분리하여 별도의 용기로 옮길 필요없이 해당 내조(180)를 외조(120)로부터 분리하여 세탁물이 내조(180)에 담긴 채로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므로 세탁물의 취급이 간편하게 될 수 있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들에서는, 내조의 결합부가 회전체에 삽입 결합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상기 회전체가 상기 결합부에 삽입 결합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지지돌기(245)가 회전체에 형성되고 지지돌기삽입부(251)가 결합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캐비넷 115 : 개구
117 : 외조지지부 120 : 외조
125 : 구동모터 130 : 도어
135 : 제어부 137 : 콘트롤패널
140 : 급수부 142 : 급수공간
144 : 급수관 145 : 커버
146 : 급수밸브 150 : 배수부
152 : 배수공 154 : 배수관
155 : 배수펌프 160 : 지지부
162 : 레그 180 : 내조
182 : 연통공 184 : 비드
185 : 절곡부 186 : 돌출부
190 : 회전체수용부 191a,222a,252: 상면,
191b, 222c : 측면 210 : 결합부
212 : 결합부본체 214 : 결합돌기
215 : 안내부 220 : 회전체
225 : 삽입부 226 : 결합부본체수용부
228 : 결합돌기수용부 240 : 지지유닛
245 : 지지돌기 246 : 지지돌기본체
247 : 중량추 248 : 회동축공
249 : 지지돌기결합부 251 : 지지돌기삽입부
255 : 회동축 257 : 복귀스프링
258 : 복귀스프링수용부 259 : 복귀스프링고정부
117 : 외조지지부 120 : 외조
125 : 구동모터 130 : 도어
135 : 제어부 137 : 콘트롤패널
140 : 급수부 142 : 급수공간
144 : 급수관 145 : 커버
146 : 급수밸브 150 : 배수부
152 : 배수공 154 : 배수관
155 : 배수펌프 160 : 지지부
162 : 레그 180 : 내조
182 : 연통공 184 : 비드
185 : 절곡부 186 : 돌출부
190 : 회전체수용부 191a,222a,252: 상면,
191b, 222c : 측면 210 : 결합부
212 : 결합부본체 214 : 결합돌기
215 : 안내부 220 : 회전체
225 : 삽입부 226 : 결합부본체수용부
228 : 결합돌기수용부 240 : 지지유닛
245 : 지지돌기 246 : 지지돌기본체
247 : 중량추 248 : 회동축공
249 : 지지돌기결합부 251 : 지지돌기삽입부
255 : 회동축 257 : 복귀스프링
258 : 복귀스프링수용부 259 : 복귀스프링고정부
Claims (13)
- 상향 개구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가능한 외조;
상기 외조의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분리 및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고, 원주면에 내외가 연통되게 복수의 연통공이 구비되는 내조;
상기 외조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내조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와 회전방향에 대해 맞물림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상기 내조가 회전되게 하는 결합부;및
상기 회전체와 상기 결합부의 상호 접촉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상기 회전체와 상기 결합부가 축 방향에 대해 고정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회전체와 상기 결합부의 상호 접촉영역 중 어느 하나에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돌기와, 상기 회전체와 상기 결합부의 상호 접촉영역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지지돌기의 돌출된 단부가 삽입되어 축방향으로 맞물림되는 지지돌기삽입부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내조에는 상기 회전체가 수용되는 회전체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에는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회동 가능하고, 상기 지지돌기의 일 측에는 상기 회전체의 정지시 상기 지지돌기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소정 직경의 결합부본체와, 상기 결합부본체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체에는, 상기 결합부본체가 수용되는 결합부본체수용부와, 상기 결합돌기가 수용될 수 있게 함몰된 결합돌기수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결합부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돌기삽입부는 상기 회전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조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조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및
상기 외조의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조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외조의 외부를 경유하여 다시 상기 외조의 내부로 순환되게 안내하는 순환덕트;
상기 외조의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순환덕트의 내부의 공기의 유동을 촉진시키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조를 내부에 수용하는 캐비넷;을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조는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로 구성되는 각 외조의 내부에 각각 수용되는 내조는 서로 구별될 수 있게 식별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로 구성되는 각 외조의 내부에 각각 수용되는 내조는 서로 다른 색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4796A KR102073859B1 (ko) | 2013-07-18 | 2013-07-18 | 의류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4796A KR102073859B1 (ko) | 2013-07-18 | 2013-07-18 | 의류처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0168A KR20150010168A (ko) | 2015-01-28 |
KR102073859B1 true KR102073859B1 (ko) | 2020-02-05 |
Family
ID=52482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84796A KR102073859B1 (ko) | 2013-07-18 | 2013-07-18 | 의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3859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1976Y1 (ko) * | 2002-09-16 | 2003-01-24 | 이복순 | 세탁기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39388B1 (ko) * | 2000-04-20 | 2002-06-01 | 구자홍 | 분리가능한 세탁조를 구비한 세탁기 |
KR100418884B1 (ko) * | 2001-06-09 | 2004-02-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
-
2013
- 2013-07-18 KR KR1020130084796A patent/KR10207385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1976Y1 (ko) * | 2002-09-16 | 2003-01-24 | 이복순 | 세탁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0168A (ko) | 2015-0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3226727B2 (en) | Laundry treating machine | |
US8950084B2 (en) | Semi-dry method of washing machine and the ventilating structure, control apparatus for the same | |
JP5427513B2 (ja) | 乾燥機能付き洗濯機及びこの洗濯機用ハンガー | |
KR20160015890A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716192B1 (ko) | 세탁물 처리기기 | |
JP6620061B2 (ja) | 洗濯機 | |
KR20150071987A (ko) | 세탁기 | |
TWI540234B (zh) | Drum washing machine | |
US20050132758A1 (en) | Device for circulating washing water in washing machine | |
KR102073859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070029442A (ko) | 드럼세탁기 | |
CN109415865A (zh) | 衣物处理设备 | |
KR100644823B1 (ko) | 세탁기의 세탁조 | |
JP6609442B2 (ja) | 自動洗濯機 | |
EP2832916B1 (en) | Laundry treating machine including a rotatable drum | |
KR100263451B1 (ko) | 세탁기 | |
CN113430769B (zh) | 一种衣物处理设备 | |
KR20130142528A (ko) | 드라이클리닝 장치 | |
JP2015023980A (ja) | 洗濯機 | |
KR20100095932A (ko) | 세탁물 처리기기 | |
CN219709871U (zh) | 门封组件和衣物处理设备 | |
US20240229336A1 (en) | Impeller and pump for combination washer and dryer laundry appliance | |
KR102428265B1 (ko) | 세탁기 | |
KR102442967B1 (ko) | 세탁물 처리장치 | |
KR100360419B1 (ko) | 세탁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