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2528A - 드라이클리닝 장치 - Google Patents

드라이클리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2528A
KR20130142528A KR1020120065816A KR20120065816A KR20130142528A KR 20130142528 A KR20130142528 A KR 20130142528A KR 1020120065816 A KR1020120065816 A KR 1020120065816A KR 20120065816 A KR20120065816 A KR 20120065816A KR 20130142528 A KR20130142528 A KR 20130142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ortion
outer cylinder
dry cleaning
inner cylinder
lif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선
오경희
손성길
장석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20065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42528A/ko
Publication of KR20130142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5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3/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ith agitators therein contacting the articles being wash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3/00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 D06F43/02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having one rotary cleaning receptacle on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95/00Laundry systems or arrangements of apparatus or machines; Mobile laundries 
    • D06F95/002Baskets or bags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or transporting laundry; Supports therefor
    • D06F95/004Bags; Supports therefor
    • D06F95/006Bags for holding the laundry during wa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00Washing receptacles
    • D06F1/10Covers;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인 가정용 세탁기를 활용하여 물세탁과 동시에 드라이클리닝이 가능한 드라이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용제를 수용하는 외통부;와 내부에 세탁물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세탁물 수용공간과 상기 외통부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복수 개의 천공이 형성되는 내통부; 및 소정의 폭으로 상기 내통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외통부의 내벽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내통부와 상기 외통부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시키고, 상기 외통부가 회전할 때, 상기 용제를 퍼올리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를 포함하는 드라이클리닝 장치를 제공하여, 가정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드라이클리닝을 수행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드라이클리닝 장치{DRY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드라이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가정용 세탁기를 활용하여 물세탁과 동시에 드라이클리닝이 가능한 드라이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나 의류의 오염을 제거하는 과정인 세탁이라 함은 물과 세제를 사용하여 섬유나 의류의 오염을 제거하는 일반적인 물 세탁과 유기 용제를 사용하여 유성 오염을 제거하는 드라이클리닝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물 세탁은 세탁물에 공급되는 세제의 화학적 분해작용, 세탁물과 세탁수 또는 세탁물과 세탁장치간 마찰력을 포함한 물리적 힘을 이용하여 세탁물에 묻어있는 오염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세탁장치는 크게 세탁 날개를 회전시켜 세탁하는 펄세이터 방식과 세탁통을 통째로 돌리면서 세탁하는 드럼 방식이 있다.
펄세이터 방식은 세탁 엉킴이 심하고, 섬유의 뒤틀림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드럼 방식 세탁장치는 세탁조인 드럼이 세워진 상태로 회전하는 펄세이터 방식 세탁장치에 비해 세탁장치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의류의 꼬임 등과 같은 문제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섬유의 낙차를 이용한 세탁 방법으로 인해, 반복 사용 시 섬유의 마모가 큰 단점이 있다.
두 가지 경우, 모두 헹굼과정과 탈수과정에서 회전력을 이용하므로 의류의 구김이 생기며 의류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물세탁으로 처리할 수 없었던 지용성 때나 얼룩, 물에 약한 모직물이나 견직물, 모피와 같은 고급의류를 처리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지용성 때나 얼룩, 모직물이나 견직물, 모피와 같은 고급의류는 물로 세탁할 경우 섬유가 손상되며, 가정에서 그 처리 방법이 어려워 전문세탁업소에 세탁을 맡겨 드라이클리닝 세탁을 하고 있으나 그 절차가 복잡하고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드라이클리닝이 필요한 고급 세탁물이 증대됨에 따라서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에 드라이클리닝 기능의 추가와 함께 세탁 시, 의류의 꼬임과 마모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의류에 묻어 있는 오염물질은 화학 작용에 물리적 작용이 부가되는 세탁과정을 통해 제거된다. 특히, 유기 용제를 사용하는 드라이클리닝은 물 대신 드라이클리닝 용제를 이용하고, 비누 대신 드라이클리닝 세제를 이용해서 세탁한다.
구체적으로, 드라이클리닝에 있어서, 드라이클리닝 용제는 유용성 오염물질을 녹여 제거할 수 있지만, 무극성이므로 땀이나 악취 등의 물과 친화력이 강한 수용성 오염물질은 제거할 수 없다. 수용성 오염물질을 없애고 세탁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드라이클리닝 세제이다. 드라이클리닝 세제는 물에서 비누의 작용과 반대로 친수성 부분이 섬유와 오염물질을 향하고 소수성 부분이 용제방향으로 배열되는 역미셀을 형성하여 수용성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때문에, 물로 세탁하는 경우, 문제가 발생하는 견, 모와 같은 고급의류 및 세탁 견뢰도가 낮은 염색물을 드라이클리닝을 통해 세탁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세탁 장치들은, 물을 용제로 사용하는 세탁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드라이클리닝의 경우, 대부분 전문 세탁 업체에 위탁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드라이클리닝을 수행하는 세탁 장치의 경우, 상당히 고가이기 때문에. 가정에서 드라이클리닝을 하기 위해, 개인이 드라이클리닝이 가능한 세탁 장치를 별도로 구입하는 것은 경제적 부담이 큰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정에서 용이하게 효과적인 드라이클리닝을 수행할 수 있는 드라이클리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존의 펄세이터 또는 드럼 방식의 세탁 장치의 구동력을 활용하여 물세탁을 수행하면서도 동시에, 드라이클리닝을 수행할 수 있는 드라이클리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제를 수용하는 외통부;와 내부에 세탁물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세탁물 수용공간과 상기 외통부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복수 개의 천공이 형성되는 내통부; 및 소정의 폭으로 상기 내통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외통부의 내벽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내통부와 상기 외통부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시키고, 상기 외통부가 회전할 때, 상기 용제를 퍼올리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를 포함하는 드라이클리닝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통부의 내벽에는, 상기 리프터를 구속되게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수용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프터수용부는, 상호 이격되어 상기 외통부의 내벽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걸림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리프터의 단부에는 상기 걸림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내통부를 구속하는 걸림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통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이물질은 걸러내며 상기 용제는 통과시키는 다공성 격막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공성 격막부는 금속, 실리콘, 플라스틱, 섬유, 부직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통부는, 원통형, 구형, 다면체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통부는. 상기 외통부의 내부를 밀폐하거나 개방하는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통부는, 금속, 실리콘, 섬유 및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통부에는 상기 세탁물 수용공간을 개방하여 세탁물을 상기 내통부에 넣거나 뺄 수 있는 개폐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통부는, 다면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프터는 상기 내통부의 각 모서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서 확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클리닝 장치는 기존의 세탁장치에 투입되어 회전력을 전달받고, 외통부가 회전할 때, 용제를 퍼올리는 리프터를 구비함으로써, 가정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드라이클리닝을 수행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클리닝 장치는, 세탁물이 수용된 내통부를 포함하는 외통부가 밀폐된 구성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물세탁이 수행되는 세탁장치에 투입되어, 세탁장치의 세탁물에 대한 물세탁과 동시에, 내통부에 수용된 세탁물에 대한 드라이클리닝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클리닝 장치는, 용제를 포함하는 외통부와 세탁물을 포함하는 내통부는 리프터에 의해 이격되어 이격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탈유과정 중에 내통을 빠져 나간 용제가 세탁물에 다시 묻지 않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클리닝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내통부의 세탁물에 용제를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그림,
도 3은 세탁장치에 투입되는 도 1에서 도시한 일실시예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그림,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리프터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그림,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리프터가 용제를 퍼올려 내통부에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그림,
도 6은 도 1에서 도시한 일실시예를 눕힌 상태에서 탈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그림,
도 7은 도 1에서 도시한 일실시예를 세운 상태에서 탈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에 드라이클리닝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세탁장치에 투입되어, 세탁장치에서 제공하는 회전력 등의 물리력을 전달받아, 드라이클리닝을 수행하는 드라이클리닝 장치를 기반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가정에서, 드라이클리닝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이 기존의 물세탁 장치를 활용하여, 저렴하고 용이하게 드라이클리닝을 수행하는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클리닝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관계를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 특징되는 부분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시된 특정 형태에 본 발명은 크게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클리닝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100)는, 용제를 수용하는 외통부(110)와, 세탁물을 수용하는 내통부(120)와, 외통부(110)와 내통부(120) 사이에 이격공간이 생기도록 지지하며 용제를 퍼올리도록 구성되는 리프터(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외통부(1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외통부(110)는 일정량의 용제를 내부에 수용하고, 후술되는 내통부(120)를 내부에 포함하며, 밀폐 구성되어, 세탁수 안에 투입되어 드라이클리닝에 필요한 물리력을 내통부(12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외통부(11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내통부(120)와 용제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성하며, 내부에 수용된 용제가 밖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전체적으로 밀폐되는 구성을 가진다.
도 1에서 외통부(110)를 원통부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형 또는 다면체를 이루는 박스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하다.
외통부(110)의 크기 및 형태는, 세탁물의 종류 및 세탁방식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으며, 일실시예가 투입되는 세탁장치의 구조 및 크기에 따라 변경 실시될 수 있다.
외통부(110)의 내벽에는 높이 방향으로 복수 개의 리프터수용부(111)가 일정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다.
리프터수용부(111)에는 후술되는 리프터(130)가 결합되어, 외통부(110)와 후술될 내통부(120)를 연결한다. 이러한, 리프터수용부(111)는 리프터(130)가 구속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걸림공간(후술되는 도 4의 111a 참조)을 형성한다. 이 걸림공간(111a)에 리프터(130)가 상하방향으로 끼워져 반경방향으로 움직임이 구속된다.
본 발명의 리프터수용부(111)는 도 1에서 도시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외통부(110)의 형상 및 크기 또는, 내통부(120)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실시 가능하다.
한편, 외통부(110)의 하부에는 다공성 격막부(112)가 마련된다. 다공성 격막부(112)는 드라이클리닝 중에 발생하는 의류의 보푸라기 또는 이물질 등을 걸러 내는 역할을 한다. 이는 재사용되는 용제의 순도를 최대한 높이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다공성 격막부(112)는 금속, 실리콘, 플라스틱, 섬유,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외통부(110)는 내부를 밀폐하거나 개방하는 덮개부(113)가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내통부(1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내통부(120)는 세탁물을 수용하여 세탁공간을 형성하고, 상술한 외통부(110) 내부에서 리프터(130)를 통해 연결되어 외통부(110)와 함께 움직인다.
이러한, 내통부(12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세탁물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도 1에서 내통부(120)를 사각 박스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형, 원통형 또는 다면체를 이루는 박스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하다.
내통부(120)는 외통부(110) 내벽과 소정의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이는 탈유 후, 외통부(110)에 고여있는 용제가 내통부(120)의 세탁물에 다시 묻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내통부(120)에는 세탁물 수용공간과 외통부(110)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복수 개의 천공(121)이 형성된다, 이 천공(121)들을 통하여, 용제가 내통부(120)로 유입되거나, 내통부(120)에서 유출된다.
내통부(120)의 크기 및 형태는, 세탁물의 종류 및 세탁방식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으며, 외통부(110)와 리프터(130)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변경 실시 가능하다.
내통부(120)의 소재는 금속, 실리콘, 섬유 및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내통부(120)의 일측면에는 내통부(120)의 세탁물 수용공간을 개방하는 개폐부(122)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개폐부(122)를 열어, 내통부(120)에 세탁물을 넣거나, 내통부(120)로부터 세탁물을 꺼낼 수 있다.
한편, 내통부(120)의 둘레를 따라, 후술되는 복수 개의 리프터(300)가 확장 형성되거나 결합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리프터(3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리프터(130)는 상술한, 외통부(110)와 내통부(120)가 함께 움직이도록 연결함과 동시에, 외통부(110)와 내통부(120) 사이에 이격공간이 발생하도록, 외통부(110)와 내통부(120)를 지지하며, 외통부(110)가 회전할 때, 용제를 퍼올려 내통부(120)의 세탁물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리프터(13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통부(120)의 모서리 부근에서 각각 방사방향으로 확장되어 돌출 형성된다. 리프터(130)는 용제를 퍼올릴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리프터(130)의 폭은 외통부(110)와 내통부(120)의 이격거리를 결정한다. 때문에, 드라이클리닝이 종료된 후, 탈유 시, 회수된 용제가 세탁물에 다시 묻지 않도록, 리프터(130)의 폭은 적절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터(130)의 단부에는 걸림부(131)가 돌출 형성된다. 걸림부(131)는 리프터수용부(111)의 걸림공간(도 4의111a)에 끼워짐으로써, 내통부(120)를 외통부(110)에 부착시킨다.
도 1에서는 리프터수용부(111)의 개수에 대응하여 모두 4개의 리프터(130)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리프터(130)의 개수 및 형태는 외통부(110)의 형상 및 크기 또는, 내통부(120)의 형성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실시 가능하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일실시예를 사용한 드라이클리닝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내통부의 세탁물에 용제를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그림이다.
먼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113)를 열고, 리프터(130)를 리프터수용부(111)에 끼워 내통부(120)를 외통부(110)에 장착시킨 후, 용제가 내통부(120)에 수용된 세탁물을 적시도록, 외통부(110)에 용제를 주입한다.
이때, 용제는 다공성 격막부(112)를 넘지 않도록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세탁장치에 투입되는 도 1에서 도시한 일실시예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그림이다.
이후,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113)를 닫아 외통부(110)를 밀폐시킨 후, 옆으로 눕혀진 상태로 세탁장치(10)에 투입한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리프터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그림이다.
일실시예(100)가 세탁장치에 투입이 되는 경우,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실시예(100)가 눕혀진 상태에서, 외통부(110)의 하부에 용제가 고이게 된다.
한편,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리프터(130)의 걸림부(131)는 리프터수용부(111)의 걸림공간(111a)에 끼워져 구속되어 있는 상태이며, 리프터(130)는 외통부(110)와 내통부(120)가 소정의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외통부(110)와 내통부(120)를 연결하여 지지하고 있다.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리프터가 용제를 퍼올려 내통부에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그림이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장치(10)가 구동하여 회전력을 비롯한 물리력이 외통부(110)에 전달되면, 외통부(110)가 회전하게 되며, 내통부(12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외통부(110)의 하부에 고여있던, 용제는, 리프터(130)에 의해 상방으로 퍼올려지고, 계속되는 외통부(110)의 회전에 의해, 퍼올려진 용제는 내통부(120)를 향하여 부어지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드라이클리닝이 수행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인하여, 세탁장치(10) 안에서 움직이는 일실시예(100)의 세척력을 더욱 높이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도 1에서 도시한 일실시예를 눕힌 상태에서 탈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그림이며, 도 7은 도 1에서 도시한 일실시예를 세운 상태에서 탈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그림이다.
드라이클리닝 종료 후,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통부(110)의 움직임이 멈추면, 세탁물에 적셔진 용제는, 중력에 의해, 내통부(120)의 천공(121)을 통해, 외통부(110)의 하부로 떨어져 모이게 된다.
용제의 경계면과 내통부(120) 사이에는 도 6의 d2와 같은 이격거리가 존재하기 때문에, 드라이클리닝이 종료된 후 회수된 용제에 의해. 세탁물이 다시 적셔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통부(110)를 세워서 탈유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세로축 구동방식의 세탁장치에, 일실시예(100)를 투입하여, 빠르게 탈유 과정을 진행할 수 있으며, 세탁물의 용제는 원심력에 의해 탈유되어 내통부(120)의 천공(121)을 통해 외통부(110) 하부에 모여 회수된다. 용제의 경계면과 내통부(120) 사이에는 도 7의 d1과 같은 이격거리가 존재하기 때문에, 드라이클리닝이 종료된 후 회수된 용제에 의해, 세탁물이 다시 적셔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일실시예(100)가 드라이클리닝을 수행하기 위해 세탁장치(10)에 투입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일실시예(100)를 세탁장치(10)에 투입하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내통부(120)를 다루어 직접 드라이클리닝하거나 기타 별도의 수단으로 드라이클리닝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사용자가 직접 또는 별도의 수단으로 드라이클리닝을 수행한 후, 리프터(130)를 리프터수용부(111)에 끼워 외통부(110) 안에 내통부(120)를 연결 한 후, 세탁장치(10)에 투입하여 탈유 과정만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세탁장치(10)의 탈수 모드를 활용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클리닝 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외통부
111 : 리프터수용부
111a : 리프터수용부의 걸림공간
112 : 다공성 격막부
120 : 내통부
121 : 천공
122 : 개폐부
130 : 리프터
131 : 걸림부

Claims (10)

  1. 용제를 수용하는 외통부;와
    내부에 세탁물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세탁물 수용공간과 상기 외통부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복수 개의 천공이 형성되는 내통부; 및
    소정의 폭으로 상기 내통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외통부의 내벽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내통부와 상기 외통부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시키고, 상기 외통부가 회전할 때, 상기 용제를 퍼올리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
    를 포함하는 드라이클리닝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부의 내벽에는, 상기 리프터를 구속되게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수용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클리닝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수용부는, 상호 이격되어 상기 외통부의 내벽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걸림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리프터의 단부에는 상기 걸림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내통부를 구속하는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클리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이물질은 걸러내며 상기 용제는 통과시키는 다공성 격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클리닝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격막부는 금속, 실리콘, 플라스틱, 섬유, 부직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클리닝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부는,
    원통형, 구형, 다면체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클리닝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부는.
    상기 외통부의 내부를 밀폐하거나 개방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클리닝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는, 금속, 실리콘, 섬유 및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클리닝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에는 상기 세탁물 수용공간을 개방하여 세탁물을 상기 내통부에 넣거나 뺄 수 있는 개폐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클리닝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는, 다면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프터는 상기 내통부의 각 모서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서 확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클리닝 장치.
KR1020120065816A 2012-06-19 2012-06-19 드라이클리닝 장치 KR201301425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816A KR20130142528A (ko) 2012-06-19 2012-06-19 드라이클리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816A KR20130142528A (ko) 2012-06-19 2012-06-19 드라이클리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528A true KR20130142528A (ko) 2013-12-30

Family

ID=49986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816A KR20130142528A (ko) 2012-06-19 2012-06-19 드라이클리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425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76014A (zh) * 2019-02-18 2020-08-25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烘干袋及衣物处理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76014A (zh) * 2019-02-18 2020-08-25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烘干袋及衣物处理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74735A (ko) 세탁기
KR101569058B1 (ko) 전동식 물걸레 청소기용 물걸레 세탁기
KR20190012354A (ko) 세탁장치
EP4036299A1 (en) Pet hair filter
WO2016133357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60101569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JP6781870B2 (ja) 洗濯機
KR20130142528A (ko) 드라이클리닝 장치
US9528211B2 (en) Cleaning apparatus
EP4141158A1 (en) Removable filtration apparatus for laundry treating appliances
KR20110009917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0392394B1 (ko) 이물질 걸름장치를 갖는 드럼세탁기
KR101961374B1 (ko) 세탁물 처리장치
JP2013153904A (ja) 洗濯装置
EP2832916A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including a rotatable drum
WO2018221365A1 (ja) 押し洗い機、洗濯機および洗濯装置
KR20110009924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40037603A (ko) 드라이클리닝 장치
JP6064167B2 (ja) 洗濯機
CN114808396B (zh) 宠物毛发过滤器
KR102073859B1 (ko) 의류처리장치
JP6670997B2 (ja) 洗濯乾燥機
KR10159188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방법
KR20070090637A (ko) 세탁기
US20220316126A1 (en) Removable agitator with fabric softener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